KR20210142378A -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378A
KR20210142378A KR1020200059121A KR20200059121A KR20210142378A KR 20210142378 A KR20210142378 A KR 20210142378A KR 1020200059121 A KR1020200059121 A KR 1020200059121A KR 20200059121 A KR20200059121 A KR 20200059121A KR 20210142378 A KR20210142378 A KR 2021014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quins
sequin
fabric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859B1 (ko
Inventor
추한수
Original Assignee
이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림 filed Critical 이경림
Priority to KR102020005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8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2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팽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팽글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열을 가할 시 둘레가 후면으로 절곡되는 수축력을 가지게 구성함으로써,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시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을 이루어 둘레가 원단에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게 하며, 이에 사용자의 피부 등이 스팽글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며, 또한,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시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을 통해 입체적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Spangle film and Spangle attachment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스팽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나 가방, 장식지 등의 원단에 스팽글을 부착시 수축력에 의해 중앙이 돌출된 "돔" 형상의 구현을 통해 손 등의 피부 접촉시 스팽글의 걸림 현상이 방지되게 하는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팽글 필름이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료의 얇은 스팽글 필름을 원형, 다각형, 꽃모양, 잎모양 등과 같은 형상으로 재단한 스팽글 피스를 직물 원단에 고정시킨 것으로, 스팽글의 난반사로 인한 시각적인 장식효과를 발휘하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팽글 필름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다양한 디자인과 광택성을 가지는 디자인 광택층이 인쇄 또는 필름 구성되며, 또한 베이스 필름의 후면에 열용융 접착을 위한 핫멜트(Hot-melt)층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스팽글 필름을 원단에 부착시에는 포일 프린트(Foil Print)방식과 자수기를 응용하여 스팽글(Spangle)을 실로 재봉하여 부착시키거나, 전용 스팽글 머신을 이용하여 타발 및 열용융 접착제에 열을 가하여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단에 부착되는 스팽글은 평면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원단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걸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인바, 이러한 걸림 현상으로 인해 부착된 스팽글이 원단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과, 자칫 날카로운 스팽클 전단면에 의해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스팽글은 디자인을 연출하는 디자인 광택층이 평면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광택면이 단조로워 디자인 연출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2713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332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팽글 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열을 가할 시 둘레가 후면으로 절곡되는 수축력을 가지게 구성함으로써,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시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을 이루어 둘레가 원단에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게 하며, 이에 사용자의 피부 등이 스팽글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시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을 통해 입체적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을 얻는 스팽글 필름에 있어서,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인쇄 및 코팅 또는 인쇄 필름 접착되어 광택 및 색상의 디자인을 연출하는 디자인 광택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후면에 접착 형성되며, 열을 가하면 수축력을 가지는 수축필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축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여, 베이스 필름 보다 열 반응이 쉽게 일어나게 구성하며,
또한, 상기 수축필름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
또한, 상기 디자인 광택층의 전면에는,
디자인 광택층의 표면 보호를 위한 이형필름이 더 점착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수축필름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하며,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의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상기 스팽글 필름을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을 형성하는 스팽글 형성단계;
상기 스팽글을 수축필름이 원단에 접하도록 원단의 표면에 다수 재봉하여 부착하는 스팽글 부착단계; 및
상기 스팽글이 재봉 부착된 상태에서 스팽글을 열 가압 및 냉각하여 스팽글의 수축필름을 수축시켜 스팽글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되며,
또한,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과 핫멜트층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원단을 가열하면서 공급하고, 스팽글 필름을 상기 원단의 상부로 공급하는 원단 및 필름 공급단계;
상기 공급는 스팽글 필름을 타발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그 형성된 스팽글을 연속하여 가열된 원단의 표면에 가압하여 핫멜트층으로 가접하는 타발 및 가접단계;
상기 스팽글이 가접된 상태에서 스팽글을 열압착하여 핫멜트층을 용융 및 스팽글을 원단에 완전히 접착시키고, 스팽글의 수축필름을 수축시켜 스팽글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되며,
또한, 베이스 필름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이 형성되고, 디자인 광택층의 전면에 이형필름이 형성되며, 베이스 필름의 후면에 수축필름과 핫멜트층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상기 스팽글 필름의 후면으로부터 핫멜트층과 수축필름과 베이스 필름과 디자인 광택층을 스팽글의 디자인에 해당하게 컷팅하여 칼집 구성되는 스팽글을 형성하고, 그 스팽글을 제외한 필름을 이형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스팽글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컷팅된 스팽글을 제외한 스팽글 필름을 이형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제거단계;
상기 스팽글이 컷팅된 스팽글 필름을 핫멜트층이 원단에 접하도록 원단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형필름의 상부면에서 열을 가해 열압착하여 핫멜트층을 용융 및 스팽글을 원단에 접착 및 스팽글의 수축필름을 수축시켜 스팽글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 및
스팽글로부터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이형필름 분리단계를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베이스 필름의 후면에 수축력을 가지는 수축필름이 형성되어 열을 가할 시 후면으로 휘어지는 수축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인바, 재단된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시 열을 가하면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에 스팽글의 둘레가 원단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되며, 이에 사용자의 피부 등이 스팽글의 둘레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특히 반복된 걸림으로 인한 스팽글의 이탈 방지에 따른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며, 나아가 날카로운 스팽글 전단면에 의한 피부 부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의 디자인 광택층이 "돔" 형상을 이루는 것인바, 다수의 스팽글 배치시 입체화 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향에서의 빛 반사 또는 굴절을 통한 다양한 광택성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스팽글 필름에 의해 얻어진 스팽글의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에 의해 얻어진 스팽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1 실시예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2 실시예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3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은,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을 얻게 되는 것으로, 베이스 필름(10)과, 디자인 광택층(20)과, 수축필름(30)으로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 필름(10)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 폴리에스테르(PE : Polyest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릴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자인 광택층(20)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전면(도면중 상부면)에 구성되어 빛에 의한 반사 등을 통한 광택 및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디자인 광택층(20)을 베이스 필름(10)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 필름(10)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이 인쇄 및 코팅 처리하거나, 디자인이 인쇄된 필름을 접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축필름(30)은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후면(도면중 저면)에 구성되어 열을 가할 시 수축 작용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수축필름(3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열 수축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릴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축필름(3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인바, 이때 수축필름(30)은 상기 베이스 필름(10) 보다 얇은 두께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약 상기 수축필름(30)을 베이스 필름(10)과 동일하거나 두꺼운 두께로 구성하게 되면 그 수축필름(30)이 열 변형(반응)을 일으키는 온도에서 베이스 필름(10)이 먼저 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인바, 이에 베이스 필름(10)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여 열을 가할 시 베이스 필름(10)의 변형 없이 수축필름(30) 만의 수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2)을 구성시 그 스팽글(2)에 열을 가하게 되면 수축필름(30)이 수축되게 되며, 이에 그 수축필름(30)과 접착 형성된 베이스 필름(10)의 둘레가 수축필름(30) 측으로 휨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의 스팽글(2)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팽글(2)을 구성시 그 모양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 사각, 삼각, 별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수축필름(30)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Hot-melt)층(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수축필름(30)의 후면에 핫멜트층(40)을 더 구성하게 되면, 타발 또는 재단되어 된 스팽글(2)의 핫멜트층(40)을 원단(도면중 미도시함)에 접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수축필름(30)이 수축되어 "돔"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핫멜트층(40)이 용용 및 냉각되는 과정에서 원단에 접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스팽글 필름(1)을 구성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디자인 광택층(20)의 전면에는 상기 디자인 광택층(20)의 보호 및 그 디자인 광택층(20)로부터 분리되는 이형필름(50)을 더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이형필름(50)은 디자인 광택층(20)에 점착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필름(5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강질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 폴리에스테르(PE : Polyest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릴렌(PP :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축필름(30)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Hot-melt)층(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형필름(5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인바, 이때 이형필름(50)은 상기 베이스 필름(10) 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며, 강질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약 상기 이형필름(50)을 베이스 필름(10)과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로 구성하게 되면 스팽글 필름(1)을 원단에 열 접착 하는 과정에서 직접 열이 절단되는 이형필름(50)이 용융 등의 열 변형(반응)을 일으켜 베이스 필름(10)에 융착될 수 있는 것인바, 이에 베이스 필름(10)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하여 열을 가할 시 열 변형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디자인 광택층(20)의 전면에 이형필름(50)을 형성하고, 수축필름(30)의 후면에 핫멜트층(40)을 구성하게 되면, 타발 또는 재단되어 된 스팽글(2)의 핫멜트층(40)을 원단(도면중 미도시함)에 접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수축필름(30)이 수축되어 "돔"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핫멜트층(40)이 용용 및 냉각되는 과정에서 원단에 접착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팽글 필름(1)을 이용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그 형성된 스팽글을 원단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스팽글을 형성 및 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3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1)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는 스팽글 형성단계와, 스팽글 부착단계와, 스팽글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스팽글 형성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팽글 필름(1)을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2)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스팽글 부착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스팽글(2)을 원단(3)에 부착하되, 그 부착시에는 수축필름(30)이 원단(3)에 접하게 한 상태에서 그 둘레를 적어도 한 곳 이상 재봉하여 원단(3)에 부착하게 된다.
이후, 스팽글 성형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이 원단(3)에 재봉 부착된 상태에서 그 스팽글(2)을 다림질 또는 열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열 가압 및 냉각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을 열 가압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팽글(2)은 후면에서 수축필름(30)에 수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와 동시에 베이스 필름(10)은 수축필름(30)의 수축과 함께 둘레가 수축필름(30)을 향하는 후면으로 휨 발생하게 된다.
이에, 도 9를 참조하여 스팽글(2)은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화되는 것인바, 그 둘레가 원단(3)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30)과 핫멜트층(4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1)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는 필름 공급단계와, 타발 및 가접단계와,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필름 공급단계는,
도 10을 참조하여 먼저, 스팽글(2)을 부착하기 위한 원단(3)을 공급하되, 이때 원단(3)은 핫멜트층(40)이 소정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되면서 공급되는 것으로, 그 가열 공급 구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히팅구조(도면중 미도시함)를 갖는 컨베이어 또는 롤러를 타고 공급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팽글 필름(1)을 공급하되, 이때 스팽글 필름(1)은 상기 공급되는 원단(3)의 상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원단(3) 및 스팽글 필름(1)은 먼저, 원단(3)은 지지대(210)의 상부로 공급되게 되고, 스팽글(2)은 상기 원단(3)의 상부로 타발공(221)을 갖는 타발지그(220)를 사이에 두고 그 타발지그(220) 상부로 공급되게 구성될 것이다.
이후, 타발 및 가접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스팽글 필름(1)을 가압핀(230)을 이용해 상부에서 가압 및 타발지그(220)를 통해 타발하여 스팽글(2)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타발된 스팽글(2)은 타발공(221)을 관통하여 원단(3) 상부에 위치되게 되며, 가압핀(230)은 연속하여 타발된 스팽글(2)을 원단(3) 상부에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원단(3)에 가압되는 스팽글(2)은 핫멜트층(40)이 가열된 원단(3)과 접하는 과정에서 소정 용융되어 가접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팽글(2)의 타발 및 가접은 연속된 스팽글 필름(1) 및 원단(3)의 공급을 통해 연속 작동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이 원단(3)에 가접착된 상태에서 그 스팽글(2)을 다림질 또는 열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열 압착 및 냉각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을 원단(3)에 열 압착하게 되면, 가접착된 핫멜트층(40)은 완전히 용융되어 스팽글(2)을 원단(3)에 완전 접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을 가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팽글(2)은 후면에서 수축필름(30)에 수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와 동시에 베이스 필름(10)은 수축필름(30)의 수축과 함께 둘레가 수축필름(30)을 향하는 후면으로 휨 발생하게 된다.
이에, 도 13을 참조하여 스팽글(2)은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화되는 것인바, 원단(3)에 접착 및 그 둘레가 원단(3)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의 제3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디자인 광택층(20)의 전면에 이형필름(50)이 형성되며, 베이스 필름(10)의 후면에 수축필름(30)과 핫멜트층(4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는 스팽글 형성단계와,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와, 이형필름 분리단계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스팽글 형성단계는,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먼저, 스팽글 필름(1)을 컷팅하여 스팽글(2)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그 컷팅은 상기 스팽글 필름(1)의 후면으로부터 핫멜트층(40)과 수축필름(30)과 베이스 필름(10)과 디자인 광택층(20)을 것팅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스팽글(2) 만이 이형필름(50)을 제외한 칼집 구성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컷팅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컷팅이나 프레스 컷팅, 칼날 컷팅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컷팅 구성된 스팽글(2)을 제외한 스팽글 필름(1)을 이형필름(50)으로부터 분리 제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스팽글(2) 만이 이형필름(50)에 점착 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스팽글(2)이 컷팅 형성된 스팽글 필름(1)을 핫멜트층(40)이 원단(3)에 접하도록 원단(3)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그 스팽글(2)을 다림질 또는 열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열 압착 및 냉각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을 원단(3)에 열 압착하게 되면, 핫멜트층(40)은 완전히 용융되어 스팽글(2)을 원단에 완전 접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을 가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팽글(2)은 후면에서 수축필름(30)에 수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와 동시에 베이스 필름(10)은 수축필름(30)의 수축과 함께 둘레가 수축필름(30)을 향하는 후면으로 휨 발생하게 된다.
이후, 이형필름 분리단계를 수행하되,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스팽글(2)이 원단(3)에 완전 부착된 상태에서 디자인 광택층(20)에 점착 형성된 이형필름(50)을 분리하면 된다.
이에, 스팽글(2)은 중앙이 융출되는 "돔" 형상화되는 것인바, 원단(3)에 접착 및 그 둘레가 원단(3)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은, 베이스 필름의 후면에 열 수축되는 수축필름이 구성된 것인바, 스팽글 필름을 원단에 부착 및 열을 가하게 되면 수축과 함께 둘레가 원단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되는 것인바, 스팽글이 부착된 원단에 피부 등이 마찰 되더라도 스팽글의 걸림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착되는 스팽글은 중앙이 융출된 "돔" 형상을 이루는 것인바, 자체적으로 입체감을 부여하는 한편, 다수의 스팽글을 통한 디자인을 연출시 그 입체감으로 인한 미려함이 한층 향상되게 되며, 특히 다양한 각도에서 디자인 광택층의 빛의 반사 및 굴절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1 : 스팽글 필름 2 : 스팽글
3 : 원단
10 : 베이스 필름 20 : 디자인 광택층
30 : 수축필름 40 : 핫멜트층
50 : 이형필름

Claims (6)

  1.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을 얻는 스팽글 필름에 있어서,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베이스 필름(10);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인쇄 및 코팅 또는 인쇄 필름 접착되어 광택 및 색상의 디자인을 연출하는 디자인 광택층(20); 및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후면에 접착 형성되며, 열을 가하면 수축력을 가지는 수축필름(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축필름(30)은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여, 베이스 필름(10) 보다 열 반응이 쉽게 일어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필름(30)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층(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광택층(20)의 전면에는,
    디자인 광택층(20)의 표면 보호를 위한 이형필름(50)이 더 점착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수축필름(30)의 후면에는,
    열을 가할 시 용융되어 원단에 접착력을 가지는 핫멜트층(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형필름(50)은 상기 베이스 필름(10)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
  4.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3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의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상기 스팽글 필름을 타발 또는 재단하여 스팽글(2)을 형성하는 스팽글 형성단계;
    상기 스팽글(2)을 수축필름(30)이 원단(3)에 접하도록 원단(3)의 표면에 다수 재봉하여 부착하는 스팽글 부착단계; 및
    상기 스팽글(2)이 재봉 부착된 상태에서 스팽글(2)을 열 가압 및 냉각하여 스팽글(2)의 수축필름(30)을 수축시켜 스팽글(2)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성형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5.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후면에 수축필름(30)과 핫멜트층(4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원단(3)을 가열하면서 공급하고, 스팽글 필름을 상기 원단(3)의 상부로 공급하는 원단 및 필름 공급단계;
    상기 공급는 스팽글 필름을 타발하여 스팽글(2)을 형성 및 그 형성된 스팽글(2)을 연속하여 가열된 원단(3)의 표면에 가압하여 핫멜트층(40)으로 가접하는 타발 및 가접단계;
    상기 스팽글(2)이 가접된 상태에서 스팽글(2)을 열압착하여 핫멜트층(40)을 용융 및 스팽글(2)을 원단(3)에 완전히 접착시키고, 스팽글(2)의 수축필름(30)을 수축시켜 스팽글(2)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6. 베이스 필름(10)의 전면에 디자인 광택층(20)이 형성되고, 디자인 광택층(20)의 전면에 이형필름(50)이 형성되며, 베이스 필름(10)의 후면에 수축필름(30)과 핫멜트층(40)이 형성된 스팽글 필름을 이용하여 스팽글을 형성 및 원단에 부착하되,
    상기 스팽글 필름의 후면으로부터 핫멜트층(40)과 수축필름(30)과 베이스 필름(10)과 디자인 광택층(20)을 스팽글(2)의 디자인에 해당하게 컷팅하여 칼집 구성되는 스팽글(2)을 형성하고, 그 스팽글을 제외한 필름을 이형필름(50)으로부터 분리하는 스팽글 형성단계;
    상기와 같이 컷팅된 스팽글(2)을 제외한 스팽글 필름(1)을 이형필름(50)으로부터 분리하는 필름 제거단계;
    상기 스팽글(2)이 컷팅된 스팽글 필름을 핫멜트층(40)이 원단(3)에 접하도록 원단(3)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형필름(50)의 상부면에서 열을 가해 열압착하여 핫멜트층(40)을 용융 및 스팽글(2)을 원단(3)에 접착 및 스팽글(2)의 수축필름(30)을 수축시켜 스팽글(2)을 "돔" 형상화하는 스팽글 접착 성형단계; 및
    스팽글(2)로부터 이형필름(50)을 제거하는 이형필름 분리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팽글 필름을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KR1020200059121A 2020-05-18 2020-05-18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KR10246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21A KR102469859B1 (ko) 2020-05-18 2020-05-18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21A KR102469859B1 (ko) 2020-05-18 2020-05-18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78A true KR20210142378A (ko) 2021-11-25
KR102469859B1 KR102469859B1 (ko) 2022-11-22

Family

ID=7874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21A KR102469859B1 (ko) 2020-05-18 2020-05-18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8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39A (ko) * 2008-07-16 2010-01-26 정종임 스팽글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스팽글 원단
KR20100007191U (ko) * 2009-01-05 2010-07-14 이수종 열전사방식을 이용한 스팽글 전사지
KR101372713B1 (ko) 2013-05-06 2014-03-13 유화종 Pet 재질로 된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KR20150033246A (ko) 2013-09-24 2015-04-01 이은주 재귀반사 스팽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8379A (ko) * 2014-05-09 2015-11-18 김종미 프린터를 이용한 원단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39A (ko) * 2008-07-16 2010-01-26 정종임 스팽글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스팽글 원단
KR20100007191U (ko) * 2009-01-05 2010-07-14 이수종 열전사방식을 이용한 스팽글 전사지
KR101372713B1 (ko) 2013-05-06 2014-03-13 유화종 Pet 재질로 된 스팽글필름 제조방법
KR20150033246A (ko) 2013-09-24 2015-04-01 이은주 재귀반사 스팽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8379A (ko) * 2014-05-09 2015-11-18 김종미 프린터를 이용한 원단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859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2558A1 (en) Method for bonding supplemental material to textiles
EP3733427B1 (en)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pie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0587403B1 (en) Thermally transferable type emblem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20004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textile product
KR101999562B1 (ko) 3차원 입체 무늬를 갖는 장식용 직물 및 장식용 직물 제조 방법
KR20210142378A (ko) 스팽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스팽글 부착방법
KR102187553B1 (ko) 로고 라벨 부착방법 및 로고 라벨
US4597812A (en) Handicraft bonding
KR102007262B1 (ko)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JPWO2006087807A1 (ja) 刺繍アップリケ並びに刺繍アップリケ製造方法並びに刺繍製品製造方法
JP6389111B2 (ja) 帽子の製造方法
JP7372700B1 (ja) 曲面状の立体ワッペン
CN1124578C (zh) 一种立体标牌的成型方法及其装置
EP1325687B9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allic label and product thereby obtained
KR101471448B1 (ko) 스포츠 유니폼의 광택 원사 패턴 전사 방법
KR102049948B1 (ko) 핫멜트 필름을 이용하여 인솔의 울 섬유층에 도안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한 인솔
US20180202090A1 (en) Embroidered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0616554B1 (ko) 입체자수 방법
JP2003223103A (ja) 熱着用ワッペン
KR20030006504A (ko) 스팽클의 부착방법
JP2022061227A (ja) 刺繍付き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ンドセル
JP6164916B2 (ja) 軟質の合成樹脂製ハトメ、その取付方法及びこれらを用いて製造されるハトメを有する物品
KR200198381Y1 (ko) 레이스 장식용 부재
JPH0744955U (ja) 装飾用テープ
CA1237969A (en) Handicraft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