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356A -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356A
KR20210138356A KR1020200056583A KR20200056583A KR20210138356A KR 20210138356 A KR20210138356 A KR 20210138356A KR 1020200056583 A KR1020200056583 A KR 1020200056583A KR 20200056583 A KR20200056583 A KR 20200056583A KR 20210138356 A KR20210138356 A KR 2021013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lywood
wall
wooden build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234B1 (ko
Inventor
최통일
Original Assignee
최통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통일 filed Critical 최통일
Priority to KR102020005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2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2Pest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 해충차단 시공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부와 외부합판 사이로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목조건축물의 실내로 해충이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목조건축물 벽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여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해충차단 시공 구조는, 콘크리트 기초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벽체를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토대목과; 상기 토대목 하부에 부착된 씰실러와; 스터드 벽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대목 상부로 설치되는 구조재와; 상기 스터드 벽체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합판과;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토대목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초틈새차단망과;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으로 부착되는 투습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해충차단 시공 방법은,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 앙카에 고정되는 토대목을 준비하는 토대목 준비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하부면에 씰실러를 부착하는 씰실러 부착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게 기초틈새차단망의 일측을 상기 토대목에 고정하는 차단망 부분고정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토대목을 상기 기초부에 설치하는 토대목 설치단계와; 상기 기초부와 상기 토대목 사이로 돌출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을 하방으로 구부려 늘어트리는 차단망 설치대기단계와; 상기 구조재 및 상기 외부합판을 설치하여 벽체 골조를 형성하는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늘어트린 부분으로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부려 상기 외부합판에 고정시키는 차단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wooden condition wall}
본 발명은 목조건축물 해충차단 시공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부와 외부합판 사이로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목조건축물의 실내로 해충이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목조건축물 벽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여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사회 건축물은 철재와 콘크리트 및 합성수지 등 다양한 인조 및 천연부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주거환경을 극대화시켜 실리적 편리성과 보안, 주거성, 안락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나 정적인 부분이 미약하여 현대인들은 현대화된 건축양식 및 고건축물의 각 장점들이 적절하게 상호 조화되어 새롭게 이루어진 현대식 목조건축물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목조건축물의 경우 나무 자체에서 발산되는 향이 좋고 친환경적이어서 자연을 그리워하는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있으므로 최근 다양한 형태의 목조건축물이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목조건축물의 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110) 위 레이아웃 토대(머드씰)가 설치되는데, 토대는 통상 방부 처리된 방부목을 사용하여 토대목이라고 불리며, 이와 같은 토대목(120)의 상부로 목골조를 이루는 구조용 부재, 즉 구조재(130)가 설치되어 스터드(뼈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기초와 토대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해 씰실러(Sill Sealer)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씰실러(115)는 기초에서 올라오는 습기나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스터드의 외부에는 구조용 덮개 즉,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을 설치하고 외벽쪽으로는 투습방수지를 부착한 후, 시멘트사이딩, 스타코, 벽돌, 세라믹사이딩과 같은 다양한 외장재로 마감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의 목조건축물 특히, 경량목조주택의 벽체 구조에서는 시공 순서를 크게 나누어볼 때 내부 단열 구조를 제외한 경우 콘크리트 기초(110) 상부에 설치되는 토대목(120), 구조재 및 스터드(130), OSB합판(140), 투습방수지(150), 외부마감재의 시공 순서로 진행되며, 각 시공자에 따라 세밀한 작업 공정이 추가되거나, 지역별 기후 상태 또는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일부 공정이 생략되어 목조건축물의 벽체가 완성된다.
한편, 목조건축물의 벽체 구조에서는 합판과 외장재 사이에 공기 통로를 만들기 위하여 레인스크린 작업을 하는데, 이와 같은 레인스크린(160)이란 벽체의 통기층 또는 통기층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시공되는 방부 쫄대를 흔히 말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레인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투습방수지가 시공된 외측에 버그스크린(165)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버크스크린의 목적은 통기층을 형성하기 위해 시공되는 레인스크린에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나 벌레들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버그스크린(165)은 레인스크린(160)을 설치하기 전에 일단부가 투습방수지(150)의 하단부측에 고정되고, 레인스크린이 설치된 후 레인스크린을 감싸도록 고정하여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버그스크린(165)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의 방충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에는 이와 같은 버그스크린을 설치하여 레인스크린의 통기층 공간으로 벌레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목조건축물 벽체 구조에서는 상기 버그스크린의 설치를 통해 레인스크린으로의 벌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된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콘크리트 기초부(110) 부위에 연접하게 설치되는 부재 즉, OSB합판(140)의 하단부가 기초부와 맞닿게 설치되는데, 이때 노출된 목재 재질의 부재를 흰개미 등의 해충이 갉아먹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초부와 OSB합판 사이가 밀착되지 못하거나 목재의 수축과 팽창 등에 의한 변형으로 틈새(G)가 발생된 경우 그 틈새를 통해 토대목이나 구조재가 설치된 부분까지 해충이 유입됨으로써 벽체 구조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0162호(2000.08.05. 공개)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0163호(2000.08.05. 공개)호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와 같은 기술에서는 목조 건축물의 해충 침입 방지방법에 있어서, 흰개미 등의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숯과 소금의 혼합물을 산포하고, 살충제가 함유되는 면솜이 수용된 합성수지 필름을 설치하여 흰개미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또는 검출통을 설치하여 검출통 내부에 유인제가 함유된 유도체를 설치하여 흰개미가 유입되어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살충제 등으로 해충이 기피하는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검출통의 설치 작업과 유인된 흰개미를 방역 처리하는 등의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기술들은 목조 건축물에 기생하는 해충 등이 기초부에 인접하여 깊숙한 곳에서 침투하는 문제를 완벽히 차단하기 힘든 구조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단시간에 목조 건축물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목조 건축물의 장기적인 수명 유지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여야 할 강구책이 필요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부와 외부합판 사이로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목조건축물 벽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여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인스크린에 설치되는 기존의 버그스크린과 함께 시공된 경우 벽체의 외부측은 물론, 기초부에 인접한 내측에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한 방충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의 여러 외장재 선택에 따른 다양한 시공 방법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며, 종래의 일반적인 버그스크린의 설치만으로 벽체의 깊숙한 곳까지 해충의 차단이 취약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콘크리트 기초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벽체를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토대목과; 상기 토대목 하부에 부착된 씰실러와; 스터드 벽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대목 상부로 설치되는 구조재와; 상기 스터드 벽체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합판과;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토대목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초틈새차단망과;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으로 부착되는 투습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은, 타측이 상기 외부합판 및 상기 투습방수지의 하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는 후레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투습방수지는, 상기 외부합판에 부착된 상기 후레싱의 상단부를 측면에서 덮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투습방수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레인스크린과; 상기 외부합판을 따라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레인스크린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버그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은,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 앙카에 고정되는 토대목을 준비하는 토대목 준비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하부면에 씰실러를 부착하는 씰실러 부착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게 기초틈새차단망의 일측을 상기 토대목에 고정하는 차단망 부분고정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토대목을 상기 기초부에 설치하는 토대목 설치단계와; 상기 기초부와 상기 토대목 사이로 돌출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을 하방으로 구부려 늘어트리는 차단망 설치대기단계와; 상기 구조재 및 상기 외부합판을 설치하여 벽체 골조를 형성하는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늘어트린 부분으로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부려 상기 외부합판에 고정시키는 차단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은, 상기 골조 형성단계는,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에 투습방수지가 더 설치된 경우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이 상기 외부합판과 상기 투습방수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은 기초부와 외부합판 사이로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목조건축물의 실내로 해충이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목조건축물 벽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여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은 기존의 버그스크린과 함께 시공된 경우 벽체의 외부측은 물론, 기초부에 인접한 내측에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한 방충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은 벽체의 여러 외장재 선택에 따른 다양한 시공 방법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하며, 종래의 일반적인 버그스크린의 설치만으로 벽체의 깊숙한 곳까지 해충의 차단이 취약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콘크리트 기초부(1)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벽체를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토대목(11)과, 씰실러(12)와, 구조재(13)와, 외부합판(14)과, 기초틈새차단망(15)과, 후레싱(16)과, 투습방수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대목(11)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1) 상부에 수평을 고려하여 레이아웃을 우선 실시하고, 기초부에 미리 매설된 앵커볼트에 삽입되도록 타공한 후 상기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대목(11)은 하부에 머드실과, 머드실 상부로 적층되는 이중밑깔도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씰실러(12)는 상기 기초부(1)와 상기 토대목(11) 사이로 수분의 침투와 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씰실러(Sill Sealer)는 콘크리트 기초부와 목구조로 이루어지는 목조건축물에서 벽체 간의 공극을 차단함으로써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토대목(11)이 수분에 접촉되어 부식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씰실러(12)는 상기 토대목(11)을 상기 기초부(1)에 시공하기 전에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일체로 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조재(13)는 목조건축물의 벽체 구조를 이루는 구조용 부재이다.
상기 구조재(13)는 상기 토대목(11) 상부로 시공되는 토대목 플레이트(밑깔도리)와 목기둥, 스터드, 헤더, 트리머, 베커 등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구조재(13)의 설치로 목조건축물의 벽체 골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재(13)의 사이 즉, 목기둥과 목재스터드 사이 그리고 목재스터드와 목재스터드 사이에는 열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 글라스울이 밀실 충진되고, 단열 글라스울이 밀실 충진한 다음에는 목기둥 사이의 단열 글라스울과 목재스터드의 내측면으로 방화보드를 설치하여 벽체를 거의 완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기초부(1)와 토대목(11) 사이 그리고, 상기 기초부(1)와 후술되는 상기 외부합판(14)의 사이 틈새(G)로부터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이 시공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의 시공시 상기 토대목(11)과 함께 상기 기초부(1)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측이 길게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부(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촘촘한 구멍이 형성된 망형 부재인 것으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 등 작은 해충이 통과할 수 없는 형태의 망사형으로 어느 재질이든 무방할 것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방부성에 유리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토대목(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부(1)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후술되는 상기 외부합판(14)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초틈새차단망(15)의 구체적인 시공 방법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합판(14)은 상기 구조재(13)가 완성된 후 목기둥과 목재스터드의 외부에 설치하는 구성이다.
상기 외부합판(14)은 통상 목조건축물에서 사용하는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외부합판(14)은 다수개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목기둥 및 목재스터드와 함께 구조적으로 벽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시공된 상기 외부합판(14)은 벽체의 단열, 방풍, 방습 등의 기능을 하게 되고, 후술되는 상기 투습방수지(17)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착판의 역할 또한 하게 된다.
상기 후레싱(16)은 외장재 즉, 수직으로 세라믹 사이딩과 같은 자재 시공시 물끊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후레싱(16)은 외벽을 타고 빗물이 토대로 침투하지 않도록 시공된다.
이와 같은 상기 후레싱(16)은 작업 현장의 상황이나 외장재의 선택에 따라 시공이 생략될 수도 있는 구성이지만, 통상 레인스크린과 같은 통기층을 시공하는 경우 함께 시공되는 경우가 많은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레싱(16)이 상기 외부합판(14)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후레싱(16)은 수직하게 세워진 상단부가 상기 외부합판(14)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꺾이게 연장되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기초부(1)나 외부합판(14)측으로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후레싱(16)을 설치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빗물이 튀어올라오는 경우 벽체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충 등이 후술되는 레인스크린(18) 내부로 침투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투습방수지(17)는 상기 외부합판(14)의 외측으로 부착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외부합판(14)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지(17)는 주지된 바와 같이 목조건축물의 외벽체에 시공되어 내부와 외부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방수 기능을 겸용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투습방수지(17)는 목조건축물의 벽체 골조에서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통기가 이루어짐으로써 대부분의 목재 자재로 이루어진 목조건축물의 벽체 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에서는 상기 투습방수지(17)가 상기 외부합판(14)에 부착된 상기 후레싱(16)의 상단부를 측면에서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습방수지(17)를 통해 차단되어 상기 투습방수지(17)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는 수분이 상기 외부합판(14)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후레싱(16)에 의해 외측으로 유도되어 지면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투습방수지(17)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레인스크린(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인스크린(18)은 외부에서 벽체로 수분이 유입된 경우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는 공간을 이루거나 벽체에 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레인스크린(18)은 얇은 각재 또는 합판띠로 상기 투습방수지(17)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타카 등의 장비를 통해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레인스크린(18)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버그스크린(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그스크린(19)은 상기 레인스크린(18)에 의해 발생된 공간으로 해충이나 벌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버그스크린(19)은 상기 레인스크린(18)의 하단부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상기 투습방수지(17)에 우선적으로 길게 고정되고, 상기 레인스크린(18)이 외측으로 시공된 후 상기 레인스크린(18)의 하단부를 감싸도록하여 타측이 상기 레인스크린(18)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설치 구조가 가장 큰 특징인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설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의 구성도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후레싱(16)의 구성이 생략된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씰실러(12)와 함께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일체로 부착 시공된다. 즉, 상기 씰실러(12)가 상기 토대목(11)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에서 일측 부분이 상기 씰실러(12)와 포개지게 상기 토대목(11)에 고정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시공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먼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토대목(11)과 상기 씰실러(12) 사이에 겹쳐지도록 상기 토대목(11)에 우선 설치되고,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외측에 상기 씰실러(12)가 시공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토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토대목(11)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타측이 상기 기초부(1)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데, 이때,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돌출된 부분은 하방으로 구부려 상기 기초부(1)에 맞닿거나 나란한 상태로 대기시킨다.
그 다음으로, 상기 외부합판(14)이 상기 구조재(13)의 외측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합판(14)은 구부려진 상태의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상부측 일부를 덮도록 시공된다. 이때,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타측 즉, 구부려진 상태로 노출된 부분을 상방으로 꺾이게 하여 상기 외부합판(14)의 하단부가 감싸지도록 하면서 상기 외부합판(14)의 외측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타측이 고정된 상태의 상기 외부합판(14)에 상기 후레싱(16)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상기 후레싱(16)은 상기 외부합판(14)의 외측 하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상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투습방수지(17)가 상기 외부합판(14)에 부착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 투습방수지(17)가 상기 후레싱(16)의 상단부를 덮도록 시공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합판(14)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후레싱(16)의 상단부를 측면에서 덮도록 시공되어 상기 투습방수지(17)를 통해 차단된 수분이 벽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후레싱(16)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투습방수지(17)가 설치된 후, 그 외측으로 상기 상기 레인스크린(18) 및 상기 버그스크린(19)이 설치되고, 마지막으로 벽체의 최외측에 상기 외부마감재(20)가 설치되어 목조건축물의 벽체 시공이 마무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와 같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기초부(1)와 상기 토대목(11) 사이, 그리고 상기 기초부(1)와 상기 외부합판(14) 사이의 틈새(G)를 차단하여 흰개미와 같은 해충이 상기 토대목(11)과 상기 외부합판(14)측으로 침투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버그스크린(19)을 통해 상기 레인스크린(18)의 통기층을 차단하여 벽체의 하단부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마감된 부분으로 벌레나 해충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주지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벽체의 내측 기초부 주변을 따라 타고 올라오는 해충 등이 상기 토대목(11)과 상기 외부합판(14)의 내측 하단부 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한 방충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시공 순서를 정리하면, 상기 토대목(11)과, 씰실러(12)가 설치된 후,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일측이 상기 토대목(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이후에 상기 구조재(13)의 외측으로 상기 외부합판(14), 상기 후레싱(16), 상기 투습방수지(17), 상기 레인스크린(18)의 순서대로 시공된다.
이때,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타측이 상기 외부합판(14) 및 상기 투습방수지(17)의 하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레싱(16)의 시공이 생략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후레싱(16)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상기 외부합판(14)과 상기 투습방수지(17)를 동시에 한번에 감싸도록 시공된 것이 특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후레싱(16)이 시공된 경우와 대동소이한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일측이 상기 토대목(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이 우선 하방으로 구부려져 대기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합판(14)과 상기 투습방수지(17)가 시공된 후,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상방으로 꺾이게 하여 상기 외부합판(14) 및 상기 투습방수지(17)의 하단부가 동시에 감싸지도록 하면서 상기 외부합판(14)에 고정된다.
한편, 최근의 목조건축물에 사용되는 투습방수지는 외장재의 재질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레인스크린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 레인스크린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레인스크린 대체품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업계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통상 드레인랩(Drainwrap)이라고 칭하는 레인스크린 대체품이 사용되고 있다. 즉, 쫄대나 합판 등을 부착하는 종래의 레인스크린 기능을 하도록 투습방수지 자체에 주름이 형성되어 주름 사이로 배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레인스크린 대체품은 쫄대나 합판 등이 상기 외부합판(14)에 부착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버그스크린(19)의 설치가 생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본 발명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상기와 같은 레인스크린의 대체품이 사용된 경우에도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상기 외부합판(14)과 레인스크린 기능을 겸하는 투습방수지의 하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는 벽체의 외장재 선택에 따라 다양한 시공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일반적인 버그스크린의 설치만으로 기초 부분에 인접한 벽체 내부 깊숙한 곳에서의 해충 차단이 취약한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은 토대목 준비단계(S10)와, 씰실러 부착단계(S20)와, 차단망 부분고정단계(S30)와, 토대목 설치단계(S40)와, 차단망 설치대기단계(S50)와, 골조 형성단계(S60)와, 차단망 설치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대목 준비단계(S10)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1)의 테두리 부분 수평을 고려하여 레이아웃을 실시하고, 기초부에 미리 매설된 앵커볼트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토대목(1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씰실러 부착단계(S20)는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상기 씰실러(12)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에, 상기 씰실러(12)는 상기 토대목(11)을 상기 기초부(1)에 시공하기 전에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일체로 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망 부분고정단계(S30)는 상기 토대목(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게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일측을 상기 토대목(11)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의 하부면에 먼저 시공된 후, 상기 씰실러(12)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 외측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은 상기 토대목(11)과 상기 씰실러(12) 사이에 설치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상기 토대목 설치단계(S40)는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상기 토대목(11)에 일측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토대목(11)을 상기 기초부(1)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차단망 설치대기단계(S50)는 후술되는 골조 형성단계(S60) 이후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돌출된 타측을 상기 외부합판(14)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기초부(1)와 상기 토대목(11) 사이로 돌출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타측을 하방으로 구부려 늘어트린 후 대기하는 단계이다.
상기 골조 형성단계(S60)는 상기 구조재(13)가 상기 토대목(11) 상부로 우선 설치된 후, 상기 외부합판(14)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돌출된 부분 상단부 일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재(13) 외측으로 시공되어 벽체 골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골조 형성단계(S60)에서는 상기 외부합판(14)의 외측으로 상기 투습방수지(17)까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망 설치단계(S7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골조 형성단계(S60) 이후에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늘어트린 부분이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부려 상방으로 최대한 당긴 후 상기 외부합판(14)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P)를 통해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타측을 상기 외부합판(14)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의 설치를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은 상기 골조 형성단계(S60)는 상기 외부합판(14)의 외측에 상기 투습방수지(17)가 더 설치된 경우 상기 기초틈새차단망(15)이 상기 외부합판(14)과 상기 투습방수지(17)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콘크리트 기초부
11 토대목
12 씰실러
13 구조재
14 외부합판
15 기초틈새차단망
16 후레싱
17 투습방수지
18 레인스크린
19 버그스크린
20 외부마감재

Claims (6)

  1. 콘크리트 기초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벽체를 시공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토대목과;
    상기 토대목 하부에 부착된 씰실러와;
    스터드 벽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대목 상부로 설치되는 구조재와;
    상기 스터드 벽체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합판과;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토대목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초틈새차단망과;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으로 부착되는 투습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은, 타측이 상기 외부합판 및 상기 투습방수지의 하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는 후레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투습방수지는, 상기 외부합판에 부착된 상기 후레싱의 상단부를 측면에서 덮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지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레인스크린과;
    상기 외부합판을 따라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레인스크린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버그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5.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부 앙카에 고정되는 토대목을 준비하는 토대목 준비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하부면에 씰실러를 부착하는 씰실러 부착단계와;
    상기 토대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이 일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게 기초틈새차단망의 일측을 상기 토대목에 고정하는 차단망 부분고정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기초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토대목을 상기 기초부에 설치하는 토대목 설치단계와;
    상기 기초부와 상기 토대목 사이로 돌출된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을 하방으로 구부려 늘어트리는 차단망 설치대기단계와;
    상기 구조재 및 상기 외부합판을 설치하여 벽체 골조를 형성하는 골조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의 늘어트린 부분으로 상기 외부합판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부려 상기 외부합판에 고정시키는 차단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형성단계는,
    상기 외부합판의 외측에 투습방수지가 더 설치된 경우 상기 기초틈새차단망이 상기 외부합판과 상기 투습방수지를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
KR1020200056583A 2020-05-12 2020-05-12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KR10238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83A KR102382234B1 (ko) 2020-05-12 2020-05-12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83A KR102382234B1 (ko) 2020-05-12 2020-05-12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56A true KR20210138356A (ko) 2021-11-19
KR102382234B1 KR102382234B1 (ko) 2022-04-05

Family

ID=7871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83A KR102382234B1 (ko) 2020-05-12 2020-05-12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030B1 (ko)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내부 패널라이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부 패널라이징방법
KR102569028B1 (ko) 2022-09-22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을 이용한 목조건축 통합설계방법
KR102569029B1 (ko)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외부 패널라이징 설계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45A (ja) * 2001-10-25 2003-07-18 Misawa Homes Co Ltd 防蟻工法及び防蟻構造
JP2019210731A (ja) * 2018-06-06 2019-12-12 ダイナガ株式会社 木造建物用の防蟻被覆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木造建物の施工方法
KR102059880B1 (ko) * 2019-01-18 2019-12-30 휴센 주식회사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745A (ja) * 2001-10-25 2003-07-18 Misawa Homes Co Ltd 防蟻工法及び防蟻構造
JP2019210731A (ja) * 2018-06-06 2019-12-12 ダイナガ株式会社 木造建物用の防蟻被覆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木造建物の施工方法
KR102059880B1 (ko) * 2019-01-18 2019-12-30 휴센 주식회사 목조건물의 벽체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028B1 (ko) 2022-09-22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을 이용한 목조건축 통합설계방법
KR102569030B1 (ko)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내부 패널라이징 설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부 패널라이징방법
KR102569029B1 (ko) 2022-10-25 2023-08-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모듈패널 목조건축 외부 패널라이징 설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234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234B1 (ko) 목조건축물 벽체의 시공 구조 및 그 방법
US10196812B1 (en) Weep screed
US7707789B2 (en) Crawlspace access panel
US6088950A (en) Structural pest control system
US9074366B2 (en) Method of retrofitting a building
Peterson Subterranean Termites: Their prevention and control in buildings
US6427390B1 (en) Foundation flashing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US7726066B1 (en) Perimeter pest control system
JP2000054516A (ja) 建物の防蟻構造
JP2002235383A (ja) 建築構造物とそれに使用する水切り
CA2676326A1 (en) Weep screed with weep screed defl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0110269A (ja) 建物の防蟻構造
JP3873226B2 (ja) 土台部の外壁構造
JP3078976B2 (ja) 建築物の防蟻構造
JPH1061032A (ja) 土台部の外壁構造
JP2013019262A (ja) 防蟻システム
JP2008121214A (ja) 建物の防虫構造
JP3845228B2 (ja) 建物の防虫構造
JP5313602B2 (ja) 建物
JP3058439U (ja) 通気工法用防鼠材
JPH0751831B2 (ja) 外壁構造
JP2556081Y2 (ja) 土台保護板
JPH021388Y2 (ko)
JP3271706B2 (ja) 小屋の避雷構造
JP2001140369A (ja) 建物の防蟻構造及び防蟻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