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626A -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Google Patents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7626A KR20210137626A KR1020200055645A KR20200055645A KR20210137626A KR 20210137626 A KR20210137626 A KR 20210137626A KR 1020200055645 A KR1020200055645 A KR 1020200055645A KR 20200055645 A KR20200055645 A KR 20200055645A KR 20210137626 A KR20210137626 A KR 202101376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knurled
- door trim
- main body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트림에 마련되어 있는 부품을 인출시켜 컵홀더 형태로 유지시킨 후 거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도어트림의 외관에 변화를 주지 않아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여 디자인을 해치지 않고, 필요시에는 거치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속도, 안전성, 에너지 효율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의 자동차 관련 기술은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의 인테리어는 차량의 고급화를 각인시키는 중요한 요소인데, 그 중 자동차의 도어 내부의 도어트림은 운전자 뿐 아니라 탑승한 동승자의 감성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도어트림에 컵홀더와 같은 추가 구성을 장착하는 것은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마이너스 요소이기 때문에, 편의성과 디자인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자동차의 도어트림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20328호(2012.03.08. '자동차의 도어트림 구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도어트림의 마감재 일정 부분을 이용하여 컵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깔끔한 외관이 유지되도록 하여 편의성과 디자인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형성되며 레일수단을 갖는 본체; 및 복수의 마디블록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레일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마디블록 중 일정 지점의 마디블록이 실내측으로 인출되어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는 마디형마감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디형마감재의 복수 마디블록 중 일측의 마디블록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의 마디블록은 상기 본체의 레일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디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마디형마감재의 복수 마디블록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측면에는 소음 저감용 코팅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마디형마감재가 본체의 외형과 일체를 이루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컵 등을 거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마디형마감재를 인출시켜 컵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마디형마감재를 인출시키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거치공간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컵부터 대용량의 컵까지 자유자재로 거치시킬 수가 있다.
특히 마디형마감재의 마디블록 중 한쪽은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슬라이딩 되는 마디블록에 스톱블록 등의 규제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원하는 크기로 거치공간을 만들고 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마디형마감재가 컵홀더 형태를 항시 유지할 수가 있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더불어 마디형마감재에서 본체와 접촉하게 되는 측면에는 고무재질의 코팅재가 마련되어 있어서 컵홀더 용도로 활용할 시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여 홀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마디형마감재가 본체에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는 래틀 소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에서 실내측으로 인출되는 마디블록들의 접촉면에 경사면을 형성시키면, 마디블록을 실내 측으로 돌출시켜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고자 할 시, 마디형마감재를 길이 방향으로 미는 힘이 경사면에서는 실내 공간으로 미는 힘으로 전환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마디블록의 돌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마디형마감재의 각 마디블록과 본체에 자석을 설치해 놓음으로써 마디형마감재를 홀더로 사용하지 않을 시 자력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 여지를 완전히 없애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본체와 마디형마감재가 분리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의 규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일부 인출되어 컵홀더 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추가 인출되어 컵홀더 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본체와 마디형마감재가 분리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의 규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일부 인출되어 컵홀더 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추가 인출되어 컵홀더 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본체와 마디형마감재가 분리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본체와 마디형마감재가 분리된 상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 마디형마감재의 규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는 본체(10) 및 마디형마감재(20)를 포함한다.
먼저 도어트림(1)이란 차량의 도어 안쪽에서 잠금장치, 스피커, 윈도우 등의 구성들을 덮어주는 부분을 말하며 사고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탑승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부품이다. 이러한 도어트림(1)에는 풀핸들, 윈도우조작스위치, 암레스트, 맵포켓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장식을 위해 가니쉬(garnish)가 설치되기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다루어지는 본체(10)란 마디형마감재(20)가 지지되는 구조물을 말하는데, 이러한 본체(10)는 도어트림(1)에서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특정 부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는 가니쉬의 일부분이 될 수도 있고, 암레스트의 일부분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레스트 상단에서 실내쪽으로 돌출된 모서리 영역이 본체(10)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토록 한다.
본체(10)에는 마디형마감재(20)가 장착되는 장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의 장착홈(11)에 장착되면, 마디형마감재(20)가 장착홈(11)의 공간을 채워주기 때문에 본체(10)와 마디형마감재(20)가 일체화된 느낌을 주게된다. 즉 본체(10)와 마디형마감재(20)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의 장착홈(11)에 장착되면, 마디형마감재(20) 자체가 장식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본체(10)를 이루는 암레스트 외형만 노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디형마감재(20)는 본체(10)와 동일한 색상을 갖고, 동일한 질감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에는 마디형마감재(2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레일수단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홈(11)의 일정 영역에 슬라이딩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홈(14)의 위쪽으로 마디형마감재(20)의 슬라이딩바(26)를 구속하는 가이드턱(13)이 돌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14)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홈(15)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
마디형마감재(20)는 전체 형태가 본체(10)에서 장착홈(11)의 부피만큼의 구조물을 떼어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마디형마감재(20)는 단일의 부품이 아닌 복수의 마디블록(21,22,23,24,25)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제작된다. 즉 마디형마감재(20)는 제1마디블록(21),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제4마디블록(24) 및 제5마디블록(25)이 연결수단(40)(도5 내지 도7 참조)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접철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마디블록(21,22,23,24,25)을 도시하고 설명하겠지만 설계하기에 따라 마디블록(21,22,23,24,25)의 개수는 더 많을 수도 있다.
연결수단(40)은 마디블록(21,22,23,24,25)들을 서로 연결하면서도 접힘이 가능토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이 한쪽 마디블록에 고정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마디블록에 고정되는 탄성밴드가 연결수단(40)으로 적용된 예시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연결수단(40)으로 힌지 구조가 적용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의 장착홈(11)에 장착될 시, 전체 마디블록(21,22,23,24,25)들이 장착홈(11)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마디블록 중 제1마디블록(21)은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2 내지 제4마디블록(22,23,24)은 본체(10)에 고정되지 않는다. 제1마디블록(21)이 본체(10)에 고정되는 방식은 본드를 이용한 접착 방식, 볼트를 이용한 고정방식, 끼움 후크를 이용한 고정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마디형마감재(20)에서 제1마디블록(21)의 반대편 끝에 위치한 제5마디블록(25)은 본체(10)의 장착홈(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5마디블록(25)의 저면에는 단턱진 구조의 슬라이딩바(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를 참조하면,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바(26) 하단이 본체(10)의 슬라이딩홈(14)에 안착되고, 그 상부의 가이드턱(13)에 의해 슬라이딩홈(14)이 구속되면, 제5마디블록(25)이 가이드턱(13)과 슬라이딩홈(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바(26)가 슬라이딩홈(14)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홈(14)의 전방 끝 부분에는 가이드턱(13)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바(26)를 위에서 아래로 진입시켜 슬라이딩홈(14)에 안착되도록 한 후, 제5마디블록(25)을 후방으로 밀어넣어 슬라이딩바(26)가 비로소 가이드턱(13)에 구속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제5마디블록(25)과 본체(10)에는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규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바(26) 저면의 일 지점에는 스프링안착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안착홈(27)에는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안착홈(27)의 입구에는 스프링(32)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스톱블록(33)이 설치되어 있다. 스톱블록(33)은 하방으로 노출된 부분이 둥근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스톱블록(33)이 구슬 형태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슬라이딩홈(14) 바닥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5)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블록(33)이 스프링(32)의 탄성력으로 돌출되었을 시 진입하는 공간이 된다. 즉 제5마디블록(25)이 슬라이딩 이동을 하다가 스톱블록(33)이 걸림홈(15)과 마주하게 되면,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블록(33)이 돌출하면서 걸림홈(15)에 안착된다. 이러한 걸림홈(15) 역시 스톱블록(33)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둥근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7을 참조하면 마디형마감재(20)의 외부 측면에서 본체(10)와 접촉하게 되는 측면에는 코팅재(50)가 형성되어 있다. 코팅재(50)는 차량 운행시 마디형마감재(20)와 본체(10)의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래틀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고무재질의 코팅재(50)가 마디형마감재(20)에 도포될 수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마디형마감재(20)가 아닌 본체(10)에 코팅재가 도포되어 래틀 소음에 대비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마디형마감재(20)에 코팅재(50)가 도포되어 있을 경우, 마디형마감재(20)가 컵홀더 기능을 수행할 시 미끄러움을 방지하여 홀더 기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구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가 거치 기능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형마감재(20)를 본체(10) 방향으로 완전히 밀어 넣는다. 이 경우 본체(10)의 장착홈(11) 영역 전체가 마디형마감재(20)로 채워지게 되고, 마디형마감재(20)의 외형은 본체(10)의 외형과 어우러져 일체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깔끔한 본체(10) 외관을 유지하여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다.
더불어 마디형마감재(20)를 본체(10)에 밀어 넣은 경우에는 차량 주행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여 별도 구성인 본체(10)와 마디형마감재(20) 사이에서 래틀 소음이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형마감재(20)에서 본체(10)와 접촉하는 측면에는 고무재질의 코팅재(50)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래틀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탑승자가 컵을 거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형마감재(20)의 중간 부분, 더욱 정확하게는 제2마디블록(22)이나 제3마디블록(23)을 파지한 후 실내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때 제1마디블록(21)은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으며, 제5마디블록(25)은 본체(10)의 레일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마디블록(22) 및 제3마디블록(23)의 인출에 따라 제1마디블록(21)은 고정된 상태로 제5마디블록(25)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에 밀착되어 있는 도1의 상태에서 제5마디블록(25)의 스톱블록(33)은 슬라이딩홈(1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5) 중 가장 후방에 있는 걸림홈(15)에 진입한 상태이다. 하지만 탑승자가 제2마디블록(22) 또는 제3마디블록(23)을 잡아 당기면, 스톱블록(33)의 둥근 밑바닥이 걸림홈(15)의 측면에 밀리면서 슬라이딩바(26)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27)을 향해 상승하게 된다. 즉 스톱블록(33)이 걸림홈(15)에서 이탈하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 탑승자가 제2마디블록(22)이나 제3마디블록(23)을 추가로 잡아 당기면, 스톱블록(33)은 슬라이딩홈(14)의 평탄한 바닥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되고, 최후방의 걸림홈(15)의 바로 전방에 있는 걸림홈(15)과 마주하게 되면, 다시 스톱블록(33)이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하면서 걸림홈(15)에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5의 상태이며, 제5마디블록(25)은 스톱블록(33)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되어 외력이 없을 경우 전방이나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2마디블록(22) 및 제3마디블록(23)이 실내 방향으로 인출될 때, 각 마디블록(21,22,23,24,25)들은 서로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접히게 되며, 이때 마디블록(21,22,23,24,25)들 사이는 연결수단(4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디블록(22)과 제3마디블록(23)이 인출되면서 본체(10)와의 사이에 거치공간(A)이 형성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거치공간(A)에 컵을 거치시켜 컵홀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마디블록(21,22,23,24,25)의 내측면, 즉 본체(10)를 향하는 거치공간(A) 측면에는 고무재질 등의 코팅재(50)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코팅재(50)에 의해 미끄러움 현상이 방지되어 홀더 기능이 향상된다.
한편 용량이 상대적으로 더 큰 컵을 거치시키고자 한다면, 마디블록(21,22,23,24,25)을 추가로 잡아당겨 도6에 도시된 바와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및 제4마디블록(24)까지 이용하여 넓은 단면적을 갖는 거치공간(A)을 만들어주면 된다. 이 경우 제5마디블록(25)의 스톱블록(33)은 슬라이딩홈(14)에서 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5)에 걸림으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탑승자가 마디형마감재(20)를 이용한 컵홀더의 기능을 모두 사용하고 나면, 암레스트에서 돌출된 마디형마감재(20)를 밀어주면 된다. 이렇게 외력이 가해지면 스톱블록(33)이 걸림홈(15)에 밀리면서 상승하여 고정이 해제되어 제5마디블록(25)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1 및 도7과 같이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면, 다시 암레스트의 외관이 깔끔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마디블록(21,22,23,24,25)으로 이루어진 마디형마감재(20)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구조의 거치공간(A)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며, 마디블록(21,22,23,24,25)의 길이를 더 짧게 형성시키고 개수를 늘린다면 원형에 가까운 거치공간(A)을 구현해 내는 것도 가능하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 역시 본체(10) 및 마디형마감재(20)를 포함하여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도8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는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서 제5마디블록(25)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슬라이딩홈(14)의 바닥면 중 일 지점에 스프링안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안착홈(16)에 스프링(17)과 스톱블록(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바(26) 저면에는 스톱블록(18)의 상부 둥근면이 진입할 수 있는 형태로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5마디블록(25)에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5마디블록(25)이 슬라이딩 이동하다가 슬라이딩바(26)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34) 중 특정 지점의 걸림홈(34)이 본체(10)에 마련된 스톱블록(18)의 위치와 마주하게 되면, 스톱블록(18)이 돌출하면서 걸림홈(34)에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5마디블록(25)의 이동이 제한된다. 반면 제5마디블록(25)에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홈(34)의 둥근 측면이 스톱블록(18)의 상부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톱블록(18)이 스프링(17)을 압축시키면서 스프링안착홈(16)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5마디블록(25)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다음 위치의 걸림홈(34)에 스톱블록(18)이 진입하게 되면 다시 이동이 제한된다.
즉,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는 스프링(32)과 스톱블록(33)이 제5마디블록(25)에 마련되어 있고 본체(10)의 슬라이딩홈(14) 바닥에 스톱블록(33)이 진입하는 걸림홈(15)이 형성된 예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8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에서는 스프링(17)과 스톱블록(18)이 슬라이딩홈(14)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5마디블록(25)의 슬라이딩바(26) 저면에 스톱블록(18)이 진입하는 걸림홈(34)이 형성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는 본체(10) 및 마디형마감재(20)를 포함한다. 다만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와의 차이점은 마디형마감재(20)의 각 마디블록(21,22,23,24,25)이 마주하는 경계에 경사면(22',23',24')을 형성시켰다는 점이다.
즉 도9의 (a)와 같이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및 제4마디블록(24)이 실내측으로 인출되어 홀더 구조가 이루어진 상태를 참조하면, 실내측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제3마디블록(23)은 실외측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마디블록(22)과 제4마디블록(24)에서 제3마디블록(23)과 마주하는 접촉면 역시 제3마디블록(23)의 양측 경사면(23')에 대응하는 형태로 경사면(22',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및 제4마디블록(24)이 서로 접촉하는 면에 경사면(22',23',24')을 형성시킨 이유는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제3마디블록(23)이 원활하게 실내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9의 (a)와 같이 제2 내지 제4마디블록(22,23,24)을 인출시켜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탑승자가 제3마디블록(23)을 파지한 후 실내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방식일 수도 있겠지만, 본체(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5마디블록(25)을 제1마디블록(21)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식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각 마디블록(21,22,23,24,25)이 접촉하는 면이 마디형마감재(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형태라면, 제5마디블록(25)을 제1마디블록(21) 방향으로 밀더라도 제3마디블록(23)이 실내 방향으로 힘을 전달 받을 수 없어서 인출이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도9의 (b)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및 제4마디블록(24)이 접촉하는 면에 경사면(22',23',24')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5마디블록(25)을 제1마디블록(21) 방향으로 밀어낼 시 제4마디블록(24)과 제3마디블록(23)이 접촉하고 있는 경사면(23',24')에서는 제3마디블록(23)을 실내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힘의 방향이 전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제5마디블록(25)을 제1마디블록(21)으로 밀어내는 동작에 의해서도 도9의 (a)와 같이 제3마디블록(23)을 원활하게 실내 방향으로 돌출시켜 홀더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는 본체(10) 및 마디형마감재(20)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구성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도어트림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10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마디형마감재(20)의 마디블록(21,22,23,24,25)들 내측에 마감재자석(29)이 내장 설치되어 있고, 본체(10)에서도 마디형마감재(20)가 밀착되었을 시 마감재자석(29)이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본체자석(19)이 내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형마감재(20)가 홀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본체(10)의 장착홈(1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마디형마감재(20)에 설치된 마감재자석(29)과 본체(10)에 설치된 본체자석(19) 간의 인력에 의해,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의 장착홈(11)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마감재자석(29)은 마디형마감재(20)의 각 마디블록(21,22,23,24,25)을 사출성형 할 시 금형 내에 미리 위치시킴으로써 마감재자석(29)이 내장된 마디블록(21,22,23,24,25)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마디블록(21,22,23,24,25)에 홈을 형성시킨 후 마감재자석(29)을 안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자석(19) 역시 본체(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본체(10)에 본체자석(19)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시킨 후 안착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마감재자석(29)은 모든 마디블록(21,22,23,24,25)에 구비되지 않고 실내측으로 인출되어 본체(10)에서 이격되는 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마디블록(21)은 본체(10)의 장착홈(11)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5마디블록(25)은 본체(10)의 슬라이딩홈(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만 하기 때문에, 제1마디블록(21) 및 제5마디블록(25)은 본체(10)의 장착홈(1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마디블록(21) 및 제5마디블록(25)에는 마감재자석(29)을 설치하지 않고, 본체(10)의 장착홈(11)에서 수시로 이탈하거나 밀착되어 진동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제2마디블록(22), 제3마디블록(23) 및 제4마디블록(24)에만 마감재자석(2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의 외형과 일체를 이루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컵 등을 거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엔 마디형마감재(20)를 인출시켜 컵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마디형마감재(20)를 인출시키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거치공간(A)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컵부터 대용량의 컵까지 자유자재로 거치시킬 수가 있다.
특히 마디형마감재(20)의 마디블록(21,22,23,24,25) 중 한쪽은 본체(10)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슬라이딩 되는 마디블록에 스톱블록(33) 등의 규제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원하는 크기로 거치공간(A)을 만들고 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마디형마감재(20)가 컵홀더 형태를 항시 유지할 수가 있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더불어 마디형마감재(20)에서 본체(10)와 접촉하게 되는 측면에는 고무재질의 코팅재(50)가 마련되어 있어서 컵홀더 용도로 활용할 시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여 홀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 사용시 마디형마감재(20)가 본체(10)에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는 래틀 소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10)에서 실내측으로 인출되는 마디블록들(22,23,24)의 접촉면에 경사면(22',23',24')을 형성시키면, 마디블록(22,23,24)을 실내 측으로 돌출시켜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고자 할 시, 마디형마감재(20)를 길이 방향으로 미는 힘이 경사면(22',23',24')에서는 실내 공간으로 미는 힘으로 전환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마디블록(22,23,24)의 돌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마디형마감재(20)의 각 마디블록(21,22,23,24,25)과 본체(10)에 자석(19,29)을 설치해 놓음으로써 마디형마감재(20)를 홀더로 사용하지 않을 시 자력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 여지를 완전히 없애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도어트림
10 : 본체
11 : 장착홈
13 : 가이드턱
14 : 슬라이딩홈
15 : 걸림홈
16 : 스프링안착홈
17 : 스프링
18 : 스톱블록
19 : 본체자석
20 : 마디형마감재
21 : 제1마디블록
22 : 제2마디블록
22' : 경사면
23 : 제3마디블록
23' : 경사면
24 : 제4마디블록
24' : 경사면
25 : 제5마디블록
26 : 슬라이딩바
27 : 스프링안착홈
29 : 마감재자석
32 : 스프링
33 : 스톱블록
34 : 걸림홈
40 : 연결수단
50 : 코팅재
A : 거치공간
10 : 본체
11 : 장착홈
13 : 가이드턱
14 : 슬라이딩홈
15 : 걸림홈
16 : 스프링안착홈
17 : 스프링
18 : 스톱블록
19 : 본체자석
20 : 마디형마감재
21 : 제1마디블록
22 : 제2마디블록
22' : 경사면
23 : 제3마디블록
23' : 경사면
24 : 제4마디블록
24' : 경사면
25 : 제5마디블록
26 : 슬라이딩바
27 : 스프링안착홈
29 : 마감재자석
32 : 스프링
33 : 스톱블록
34 : 걸림홈
40 : 연결수단
50 : 코팅재
A : 거치공간
Claims (4)
- 차량의 도어트림에 형성되며 레일수단을 갖는 본체; 및
복수의 마디블록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레일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마디블록 중 일정 지점의 마디블록이 실내측으로 인출되어 홀더 구조를 형성시키는 마디형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형마감재의 복수 마디블록 중 일측의 마디블록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의 마디블록은 상기 본체의 레일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형마감재의 복수 마디블록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측면에는 소음 저감용 코팅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645A KR102377159B1 (ko) | 2020-05-11 | 2020-05-11 |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KR1020220032813A KR102419915B1 (ko) | 2020-05-11 | 2022-03-16 | 소음감소 및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645A KR102377159B1 (ko) | 2020-05-11 | 2020-05-11 |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2813A Division KR102419915B1 (ko) | 2020-05-11 | 2022-03-16 | 소음감소 및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626A true KR20210137626A (ko) | 2021-11-18 |
KR102377159B1 KR102377159B1 (ko) | 2022-03-22 |
KR102377159B9 KR102377159B9 (ko) | 2022-12-27 |
Family
ID=787173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645A KR102377159B1 (ko) | 2020-05-11 | 2020-05-11 |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KR1020220032813A KR102419915B1 (ko) | 2020-05-11 | 2022-03-16 | 소음감소 및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2813A KR102419915B1 (ko) | 2020-05-11 | 2022-03-16 | 소음감소 및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7715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1749A (ko) * | 1996-10-31 | 1998-07-25 | 양재신 | 차량용 컵 홀더 |
KR20050100432A (ko) * | 2004-04-14 | 2005-10-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드링크 홀더 |
KR20090097776A (ko) * | 2008-03-12 | 2009-09-1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컵 홀더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6274Y1 (ko) * | 1996-03-18 | 1999-03-20 | 이관기 | 컵홀더기능을 가지는 맵포켓 |
-
2020
- 2020-05-11 KR KR1020200055645A patent/KR1023771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3-16 KR KR1020220032813A patent/KR1024199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1749A (ko) * | 1996-10-31 | 1998-07-25 | 양재신 | 차량용 컵 홀더 |
KR20050100432A (ko) * | 2004-04-14 | 2005-10-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드링크 홀더 |
KR20090097776A (ko) * | 2008-03-12 | 2009-09-1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컵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7159B9 (ko) | 2022-12-27 |
KR102377159B1 (ko) | 2022-03-22 |
KR20220039686A (ko) | 2022-03-29 |
KR102419915B9 (ko) | 2022-12-27 |
KR102419915B1 (ko) | 202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3038B2 (en) | Deployable center console | |
CN108263291B (zh) | 车门 | |
KR102419915B1 (ko) | 소음감소 및 홀더 기능을 갖는 도어트림 구조 | |
CN204340890U (zh) | 用于车门的储物盒、车门和车辆 | |
KR101092782B1 (ko) | 자동차용 콘솔 박스 | |
JP5208557B2 (ja) |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の高さ切替構造 | |
US7624960B2 (en) | Compression rail for sliding cup holder tray | |
JP4778727B2 (ja) |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 |
KR100350274B1 (ko)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 |
CN114274883A (zh) | 一种汽车座椅储物盒结构、汽车座椅及汽车 | |
KR101292504B1 (ko) | 자동차용 멀티 트레이 | |
JP4140697B2 (ja) | 車両用内装材 | |
KR101600749B1 (ko) |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고정장치 | |
KR101610547B1 (ko) | 원터치 슬라이딩 차일드 앵커구조 | |
JP2002321565A (ja) | 車両用物入れ装置 | |
JPH0316725Y2 (ko) | ||
KR0140400Y1 (ko) | 자동차용 콘솔박스 | |
JPH0834240A (ja) | サンシェードの停止、係止装置 | |
JPH11227541A (ja) | 車両用ピラートリム | |
KR100427494B1 (ko) |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 |
JP4192056B2 (ja) | ヘッドレスト収納構造 | |
KR20020051745A (ko) |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 |
KR20200134830A (ko) | 루프 수납식 선바이저 | |
JPH0646735Y2 (ja) | サンルーフシェードのロック構造 | |
KR20030013823A (ko)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슬라이드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