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568A - 회전 가능 박스 계단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 박스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568A
KR20210137568A KR1020217034064A KR20217034064A KR20210137568A KR 20210137568 A KR20210137568 A KR 20210137568A KR 1020217034064 A KR1020217034064 A KR 1020217034064A KR 20217034064 A KR20217034064 A KR 20217034064A KR 20210137568 A KR20210137568 A KR 2021013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upled
motor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알. 존슨
므리야 니로이 쿠마르 바크시
아돌포 이. 밀라니
Original Assignee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filed Critical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3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Abstract

사용자가 픽업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방 베드 또는 박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 계단(12).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은, 차량의 하부측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박스 계단은 차량의 아래에 감춰진 수납 위치(34),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위치(40), 차량의 후방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위치(38), 및 모서리 진입 위치로부터 전방의,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 진입 위치(36) 사이에서 이동된다. 모터(23)는 구동 조립체(20)를 대향되는 제1 및 제2 방향들로 구동하여, 박스 계단을 수납 위치, 후방 위치, 모서리 위치, 및 박스 측면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회전 가능 박스 계단
본 발명은, 수납 위치와 몇 개의 전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는 차량용 후퇴 가능 박스 계단에 관한 것이다.
픽업 트럭은 측벽들의 쌍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일게이트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박스 또는 베드(bed)를 포함한다. 때때로,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해서 사람이 베드에 접근하여야 한다. 테일게이트가 폐쇄되어 있을 때, 개인은, 후방 범퍼를 밟고 올라가는 것 그리고 이어서 테일게이트에 도달하거나 위로 올라가는 것에 의해서, 테일게이트를 개방하지 않고도 베드에 접근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가 개방될 때, 테일게이트는 후방 범퍼 바로 위에 놓이고, 그에 따라 후방 범퍼의 대부분은 베드에 접근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계단으로서 이용될 수 없다. 또한, 일부 개인은, 테일게이트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도 후방 범퍼를 통해서 베드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은, 많은 픽업 트럭의 후방 범퍼가, 많은 개인이 편안하게 밟고 올라가기에는 너무 높은 높이에 위치된다는 사실로부터 초래된다. 또한, 현재의 설계는, 계단이 후퇴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위치에서만 박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계단이 몇 개의 상이한 박스 진입 위치를 허용하도록, 수납 위치와 몇 개의 다른 위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박스 계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픽업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방 베드 또는 박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에 관한 것이다.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은, 차량의 하부측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후방 범퍼 바로 앞의 측면 또는 후방 모서리에서 차량 프레임에 장착된다. 하우징 내에는, 모터에 커플링된 구동 조립체가 위치된다. 박스 계단이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고 피벗 조립체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박스 계단은 차량의 아래에 감춰진 수납 위치,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위치, 차량의 후방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위치, 및 모서리 진입 위치로부터 전방의,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모터는 구동 조립체를 대향되는 제1 및 제2 방향들로 구동하여, 박스 계단을 수납 위치, 후방 위치, 모서리 위치, 및 박스 측면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적용 가능 분야가 이하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구체적인 설명 및 구체적인 예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 박스 계단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 박스 계단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 박스 계단의 수직 작동기 및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의 확대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가능 박스 계단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일부가 제거된, 수직 모터 조립체 및 구동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 그 적용, 또는 이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배열체(10)는 일 실시형태에서, 박스 계단(12), 출력 샤프트(15)를 갖춘 피벗 조립체(14), 구동 아암(16), 구동 조립체(20), 수직 모터 조립체(22), 전자 제어 유닛(24), 및 장착 브라켓(26)을 포함한다. 장착 브라켓(26)은 차량의 프레임(28)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28)에 대한 장착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레임(28)은 장착 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적합한 강도를 가지는 차량의 일부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박스 계단(12)은 트레드 표면(tread surface)을 제공하는 상단 벽(30)을 갖는다. 박스 계단(1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32)에서 구동 아암(16)에 연결된다. 조인트(32)는 일반적으로 구동 아암(16)의 단부에서 수평 스냅 핏 연결(horizontal snap fit connection)로 배열된다. 스냅 핏 연결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접, 접착 또는 체결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박스 계단(12)이 조인트(33)를 중심으로 수동적으로 피벗될 수 있게 하는 또는 작동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인트(33)를 중심으로 기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조인트(33)에 의한, 조인트(32)의 대안을 도시한다. 이는, 상단 벽(30)의 대부분의 표면적이 사용자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는 위치로, 상단 벽(30)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구동 아암(16)은, 장착 브라켓(26)을 이용하여 프레임(28)에 연결된 피벗 조립체(14)의 출력 샤프트(15)에 피벗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박스 계단(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34), 측면 진입 위치(36), 모서리 위치(38), 및 후방 위치(40) 사이에서 이동한다. 4개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박스 계단(12)은 수납 위치(34)와 측면 진입 위치(36) 사이에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 위치(34)에서, 박스 계단(12)은 일반적으로 후방 범퍼(42)의 전방에서 차량(27)의 아래에 감춰지고, 그에 따라 보이지 않게 어느 정도 은폐되고 차량(27)에 대해서 더 깨끗하고 보다 통합되어 보이게 한다. 측면 진입 위치(36)에서, 박스 계단(12)은 일반적으로 차량(27)의 박스 또는 베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더 전방에 또는 차량 캡의 바로 뒤에 위치되는 박스의 부분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돕는다. 후방 위치(40)에 있을 때, 박스 계단(12)은 후방 범퍼(42)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박스의 후방 부분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돕는다. 모서리 위치(38)에 있을 때, 박스 계단(12)은,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낮아질 수 있도록 그러나 사용자가 여전히 상단 벽(30)에 서서 박스의 후방 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박스 계단(12)은, 구동 아암(16)의 일 단부에 연결된 피벗 조립체(14)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위치들 사이에서 구동 아암(16)과 함께 피벗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동 아암(16)은, 사용자가 단순히 박스 계단(12)을 파지하고 이를 희망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위치들 사이에서 수작업으로 이동된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피벗 조립체(14)는, 피벗 조립체(14)의 하우징을 통해서 연장되고 록 핀과 결합되어 출력 샤프트(15)를 미리 결정된 정지 위치에서 록킹하는 출력 샤프트(15) 상에 형성된 개구와 접촉되는, 스프링 로딩형 록킹 멈춤쇠(spring loaded locking detent)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피벗 조립체(14)의 출력 샤프트(15)는 스프링 로딩되고, 눌릴 때 박스 계단(12)이 피벗되게 하는 해제 레버 또는 버튼이 피벗 조립체(14)의 하우징 상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브라켓(26)에 연결된 수직 모터 조립체(22)의 더 상세한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 아암(16)은 피벗 조립체(14)의 출력 샤프트(15)에 연결된다. 출력 샤프트(15)는, 수직 모터 조립체(22)를 위에 연결하기 위한 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피벗 조립체(14)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벗 조립체(14)는 장착 브라켓(26)에 연결되거나 그와 함께 형성된다. 출력 샤프트(15)는, 피벗 조립체(14)의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구동 아암(16)에 연결되는 제1 단부(44)를 갖는다. 출력 샤프트(15)는 피벗 조립체(14) 및 피벗 조립체(14)에 연결된 장착 기부(46)를 통해서 제2 단부(48)까지 연장되고 커플러(18)에 연결된다. 커플러(18)는 제2 단부(48)와 구동 조립체(20)의 기어 출력 샤프트(50) 사이에 연결되고, 기어 출력 샤프트(50)와 구동 조립체(20) 사이의 오정렬을 수용하면서, 기어 출력 샤프트(50)와 구동 조립체(2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직 구동 조립체(22)는, 모터(23)에 연결된 제1 웜 기어(58) 를 포함하는 2 스테이지 웜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20)는 특정 적용예에 따라 상이한 출력비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차량의 후방 범퍼(42) 및 프레임 부재(28) 주위의 지역에서의 팩킹 요건(packaging requirement)을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터는 수직 배향을 가지며, 이는 모터(23)의 길이방향 축(A-A)이 구동 아암(16)의 길이방향 축(B-B)에 전반적으로 수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길이방향 축(AA)은 수직 모터 조립체(22)의 출력 샤프트(15)의 길이방향 축(C-C)에 평행하다. 박스 계단(12)의 이용 중에, 박스 계단에 가해지는 힘은, 출력 샤프트(15)를 길이방향 축(C-C)을 따라서 이동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클 수 있다. 박스 계단(12) 상에 가해지는 힘은 작은 진동으로부터, 출력 샤프트(15)를 이동시키거나 요동시킬 수 있는 구동 아암(16) 상에 가해지는 무거운 부하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힘은 출력 샤프트(15)와 구동 출력 샤프트(50) 사이의 이동 또는 발생 가능한 오정렬을 유발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5)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고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커플러(18)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커플러(18)는 더 강성이고, 강,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와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커플러(18)는 출력 샤프트(15), 구동 출력 샤프트(50) 및 출력 샤프트(15) 및 구동 출력 샤프트(50)에 연결된 모든 여러 구성요소 사이에서 기능적 정렬을 보전하는 기능을 한다. 선택적으로, 가요성 커플러와 독립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무 와셔(52)가 구동 조립체(20)와 장착 기부(46) 사이에 배치된다. 고무 와셔(52)는 장착 기부와 구동 조립체(20) 사이의 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 조립체(20)는, 구동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2 웜 기어(6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웜 기어(62)는 모터(23)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도 5를 또한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20) 및 수직 모터 조립체(22)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수직 모터 조립체(22)는, 모터(23)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서 구동되는 제1 웜 기어(58)를 포함한다. 제1 웜 기어(58)는 구동 조립체(20)의 제1 치형 기어(60)와 맞물림 결합된다. 제1 치형 기어(60)는 제2 웜 기어(62)에 선형적으로 연결된다. 제2 웜 기어(62)는, 기어 출력 샤프트(5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 치형 기어(64)에 맞물림 결합된다. 기어 출력 샤프트(50)는, 피벗 조립체(14)의 출력 샤프트(15)에 연결되는, 커플러(18)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다.
동작 중에, 모터(23)는 제1 웜 기어(58)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웜 기어(58)는 제1 치형 기어(60)와 맞물림 결합되어, 제1 웜 기어(58)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방향을 따른 제1 치형 기어(60)의 회전은 제2 웜 기어(62)를 제1 치형 기어(60)의 방향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는 이들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제2 웜 기어(62)의 회전은, 제2 치형 기어(64), 기어 출력 샤프트(50), 커플러(18), 출력 샤프트 및 박스 계단(12)이, 제2 치형 기어(64)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모터(23)가 제1 웜 기어(58)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1 치형 기어(60), 제2 웜 기어(62), 제2 치형 기어(64), 기어 출력 샤프트(50), 커플러(18), 출력 샤프트 및 박스 계단(12)이 또한, 전술한 그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고, 그에 의해서 박스 계단(12)을 회전시킨다.
모터(23)는 케이싱 구조물을 포함하고, 케이싱 구조물은 대향되는 제1 및 제2 방향들로 모터 샤프트(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통상적인 위치 센서 감지 및 인코딩 모터를 포함한다. 박스 계단의 위치는 많은 방식으로 ECU(24)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ECU(24)는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또는, 모터(23), 제1 웜 기어(58), 제1 치형 기어(60), 제2 웜 기어(62) 및 제2 치형 기어(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모터(23)를 온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모터(23)는 구동 조립체(20)에 고정된다. 케이싱 구조물은 복수의 체결부에 의해서 구동 하우징 부분에 고정된다. 케이싱 구조물이 일 실시형태에서 피벗 조립체(14)의 일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는데, 이는 피벗 조립체(14)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된 기어 및 모터 구성요소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전자 제어 유닛(24)은 수직 모터 조립체(22)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박스 계단(12)을 수납 위치, 캡 진입 위치, 및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전자 제어 유닛(24)은 피벗 조립체(14)로부터 먼 위치에서 차량 내에 장착된다. 전자 제어 유닛(24)은, 차량의 배선 하니스(54)에 의해서, 수직 모터 조립체(22)에, 그리고 차량의 본체 상에 통합된 스위치(5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56)는 캡 또는 차량 내에, 측면 상에, 또는 박스의 측면 벽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자 제어 유닛(24)은 피벗 조립체(14)에 또는 모터 조립체(22)에 물리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모터 조립체(22)에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웜 기어들이 역-구동되지 않을 것임이 알려져 있음에 따라, 제1 웜 기어(58), 제1 치형 기어(60), 제2 웜 기어(62), 제2 치형 기어(64)의 결과로서, 모터 조립체(22)가 차단된 후에, 박스 계단(12)은 캡 진입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웜 기어(58) 및 제2 웜 기어(62)는, 맞물림 결합의 결과로서, 캡 진입 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수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 아암(16)에 인가되는 외부 힘을 저지할 것이다. 스위치 부재(56)가 활성화되어 박스 계단(12)을 수납 위치(34)로 이동시킬 때, 스위치는 신호를 전자 제어 유닛(24)에 송신한다. 전자 제어 유닛(24)은 신호에 응답하여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여, 박스 계단(12)을 수납 위치(34)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모터(23)는 제1 웜 기어(58)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는 다시 제2 웜 기어(62) 및 최종적으로 제2 치형 기어(64) 및 기어 출력 샤프트(50)를 회전시킨다. 이는 출력 샤프트(15)를 제2 치형 기어(64)와 함께 회전시키고, 구동 아암(16)을 구동하여 차량을 향해서 내측으로 피벗시키고, 그에 따라 박스 계단(12)을 수납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어서, 박스 계단(12)이, 이러한 경우에 차량의 프레임(28) 상의 표면인 수납 정지부(29)에 접경될 때, 전자 제어 유닛(24)을 이용하여 모터(23)를 턴 오프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납 정지부(29)가 장착 브라켓(26)의 표면일 수 있다. 박스 계단(12)이 수납 정지부(29)와 접경될 때까지, 박스 계단(12)은 수납 위치를 향해서 계속 이동될 것이다. 박스 계단(12)이 수납 정지부(29)를 타격할 때, 모터 조립체(22)가 이동에 대한 저항과 직면하는 결과로서, 전류 스파이크가 모터(23) 내에서 생성된다. 전류 스파이크는 전자 제어 유닛(24)에 의해서 즉각적으로 검출될 것이다. 전류 스파이크에 응답하여, 전자 제어 유닛(24)은 모터(23)를 턴 오프시킨다.
발명에 관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그에 따라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그러한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23)

  1.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이며:
    피벗 조립체;
    상기 피벗 조립체 내에 배치된 구동 조립체;
    상기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고, 차량 아래에 감춰진 수납 위치, 차량 범퍼를 지나서 연장되는 후방 위치, 차량의 후방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위치, 및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 본체 진입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벗 조립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박스 계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 후방 위치, 모서리 위치, 및 측면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박스 계단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프레임 중 하나 상의 또는 상기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의 장착 표면 상의 수납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정지부와 결합될 수 있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를 대향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구동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수직 모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는 제1 웜 기어를 갖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제1 치형 기어, 제2 웜 기어, 및 구동 출력 샤프트에 커플링된 제2 치형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기어는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의 제1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1 치형 기어는 상기 제2 웜 기어에 연결되고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웜 기어는 상기 제2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2 치형 기어는, 상기 박스 계단에 커플링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그와 함께 회전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박스 계단의 구동 아암 사이에 연결되는 출력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회전수 이후에 상기 모터를 턴 오프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진입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8. 제7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상기 모터에 명령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신호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신호를 상기 모터에 제공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내로 그리고 그 외부로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0.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이며:
    피벗 조립체;
    상기 피벗 조립체 내에 배치된 구동 조립체;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차량 아래에 감춰진 수납 위치, 차량 범퍼를 지나서 연장되는 후방 위치, 차량의 후방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위치, 및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 본체 진입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벗 조립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박스 계단;
    상기 구동 조립체를 대향되는 제1 및 제2 방향들로 구동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미리 결정된 회전수 이후에 상기 모터를 턴 오프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진입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상기 모터에 명령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신호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신호를 상기 모터에 제공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내로 그리고 그 외부로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박스 계단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프레임 중 하나 상의 또는 상기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의 장착 표면 상의 수납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정지부와 결합될 수 있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를 대향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구동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수직 모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는 제1 웜 기어를 갖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제1 치형 기어, 제2 웜 기어, 및 구동 출력 샤프트에 커플링된 제2 치형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기어는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의 제1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1 치형 기어는 상기 제2 웜 기어에 연결되고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웜 기어는 상기 제2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2 치형 기어는, 상기 박스 계단에 커플링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그와 함께 회전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박스 계단의 구동 아암 사이에 연결되는 출력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7.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이며:
    피벗 조립체;
    상기 피벗 조립체 내에 배치된 구동 조립체;
    상기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고, 차량 아래에 감춰진 수납 위치, 차량 범퍼를 지나서 연장되는 후방 위치, 차량의 후방 모서리에 위치되는 모서리 위치, 및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 본체 진입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벗 조립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박스 계단으로서, 상기 구동 조립체가 상기 박스 계단을 수납 위치, 후방 위치, 모서리 위치 및 측면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박스 계단;
    상기 구동 조립체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박스 계단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는 구동 아암, 및
    상기 구동 조립체를 대향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들을 따라 구동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수직 모터 조립체로서,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는 제1 웜 기어를 갖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제1 치형 기어, 제2 웜 기어, 및 구동 출력 샤프트에 커플링된 제2 치형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웜 기어는 상기 수직 모터 조립체의 제1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1 치형 기어는 상기 제2 웜 기어에 연결되고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 웜 기어는 상기 제2 치형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2 치형 기어는, 상기 박스 계단에 커플링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그와 함께 회전되는, 수직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프레임 중 하나 상의 또는 상기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의 장착 표면 상의 수납 정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박스 계단이 상기 수납 정지부와 결합될 수 있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박스 계단의 구동 아암 사이에 연결되는 출력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회전수 이후에 상기 모터를 턴 오프시켜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진입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22. 제21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상기 모터에 명령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수납 위치와 상기 박스 진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신호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신호를 상기 모터에 제공하여 상기 박스 계단을 상기 박스 측면 계단 위치 내로 그리고 그 외부로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피벗 가능한 박스 계단.
KR1020217034064A 2019-03-26 2020-03-26 회전 가능 박스 계단 KR20210137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23879P 2019-03-26 2019-03-26
US62/823,879 2019-03-26
PCT/US2020/025030 WO2020198514A1 (en) 2019-03-26 2020-03-26 Rotatable box ste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568A true KR20210137568A (ko) 2021-11-17

Family

ID=7029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064A KR20210137568A (ko) 2019-03-26 2020-03-26 회전 가능 박스 계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5190A1 (ko)
EP (1) EP3924220B1 (ko)
KR (1) KR20210137568A (ko)
CN (1) CN113631425A (ko)
CA (1) CA3134956A1 (ko)
WO (1) WO2020198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89A (ko) 2018-04-13 2019-10-23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파워 박스 사이드 스텝
KR20210150393A (ko) 2019-04-09 2021-12-10 마그나 익스테리어즈 인크. 접이식 파워 발판 원격 구동부
CN116714524B (zh) * 2023-08-07 2023-10-13 宁波华翔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旋转式汽车踏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122A (en) * 1964-03-23 1967-08-29 Carlton Machine Tool Co Digital positional control device
JP2002537175A (ja) * 1999-02-23 2002-11-05 デコマ エクステリア トリ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動力踏み板
JP3771458B2 (ja) * 2000-07-31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除雪機の過負荷防止装置
US20030116938A1 (en) * 2003-02-04 2003-06-26 Scott Shields Vehicle tailgate step
US7163221B2 (en) * 2003-10-31 2007-01-16 89908, Inc. Retractable vehicle step with anti-strike/anti-pinch sensor system
US7219911B2 (en) * 2004-10-18 2007-05-22 Ventra Group Inc. Retractable vehicle step assembly
US7490889B1 (en) * 2006-11-24 2009-02-17 David Kenneth Scoggins Trailer hitch step for vehicles having a tailgate
US8714575B2 (en) * 2008-02-19 2014-05-06 Magna International Inc Automated retractable running board
US8342551B2 (en) * 2010-03-25 2013-01-01 Bradley Eugene Watson Retractable running board/box side step
US8833782B2 (en) * 2010-10-22 2014-09-16 Magna International Inc. Independent running board actuation
US9067541B2 (en) * 2011-10-31 2015-06-3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CA2897630C (en) * 2014-07-23 2021-11-23 Magna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 running board and sidestep having a linear drive
US10343610B2 (en) * 2014-07-23 2019-07-09 Magna International Inc. Compact power running board
US10618472B2 (en) * 2015-08-04 2020-04-14 T-Max (Hangzhou) Technology Co., Ltd. Vehicle and vehicle step apparatus with multiple drive motors
EP3208151B1 (de) * 2016-02-16 2018-01-17 Magna Auteca GmbH Abklappvorrichtung für einen aussenspiegel
US20170298675A1 (en) * 2016-04-15 2017-10-19 Strattec Power Access Llc Powered step assembly
US20220267090A1 (en) * 2019-05-03 2022-08-25 Oshkosh Corporation Cycloidal driv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4956A1 (en) 2020-10-01
CN113631425A (zh) 2021-11-09
EP3924220A1 (en) 2021-12-22
WO2020198514A1 (en) 2020-10-01
US20220185190A1 (en) 2022-06-16
EP3924220B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7568A (ko) 회전 가능 박스 계단
US8342551B2 (en) Retractable running board/box side step
US10378263B2 (en) Power swing door actuator with articulating linkage mechanism
CN105291994B (zh) 具有线性驱动的脚踏板和侧台阶的组合
CA2586030C (en) Step assist box-side
US7857337B2 (en) Motorized collapsible step
US6572182B2 (en) Motorized vent and escape hatch assembly
KR101912055B1 (ko) 무한 도어 체크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 시스템
CA2675785A1 (en) Power dual action rocker board
US20070267842A1 (en) Pick-up truck stowable access step assembly
US11725433B2 (en) Electronic actuated tonneau cover striker assembly
KR20230014077A (ko) 동축 회전 자동화 계단형 표면
JP3482650B2 (ja) 自動車のドア装置
JPS624031Y2 (ko)
KR20230001223U (ko) 픽업 차량용 발판
JP2001294075A (ja) 車椅子収納式車両の制御装置
JP4087752B2 (ja) 車両用フロアリフト装置
KR950002752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JP4168902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の防雨装置
JP2595917Y2 (ja) 車両の格納式ステップ装置
JPH066680U (ja) 車両用ドアの自動開閉装置
KR20200025511A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S63195041A (ja) 電動格納型ドアミラ−
JPH0379429A (ja) 自動車におけるルーフの開閉方法及び装置
JPH10217831A (ja) 車両のリフ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