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80A -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780A
KR20210136780A KR1020200070993A KR20200070993A KR20210136780A KR 20210136780 A KR20210136780 A KR 20210136780A KR 1020200070993 A KR1020200070993 A KR 1020200070993A KR 20200070993 A KR20200070993 A KR 20200070993A KR 20210136780 A KR20210136780 A KR 2021013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dust collector
fluid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902B1 (ko
Inventor
오미영
Original Assignee
오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영 filed Critical 오미영
Publication of KR2021013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악취 제거 등에 활용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연속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 본체와; 반응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반응기 본체 내에 염소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면서 회전 주입하는 회전주입유닛과; 반응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주입유닛에서 주입된 염소 가스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믹서와; 반응기 본체에서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시 함께 생성된 여액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2차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버블발생유닛과; 회전주입유닛과 버블발생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 및 반응기 본체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HYBRI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VING COMPLEX STINK AND ADHESIVENESS VOLATILE ORGANIC COMPOUND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 흄(fume) 및 미스트가 복합된 형태의 복합 악취와 시스템 내에 부착되는 부착성 VOC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VOC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악취 저감 시설이나 일반 배출 시설은 내부의 환기 및 악취, 먼지 저감 등 여러 목적을 위해 공기 순환장치 및 기타 장비를 사용하여 대기 중 또는 전용 집진 및 처리 시설을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한편 공기 중 함유 물질의 특성에 의해 부착 및 유착 또는 막힘, 여러 증상에 의해 처리 설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따라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산화염소(ClO2) 가스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이산화염소는 산소에 의한 강력한 산화력으로 살균소독 및 악취제거에 뛰어난 물질로서, 유독성 무기물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의류표백,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 이산화염소는 락스류보다 산화력이 약 25배 강하고, 자극 취기가 없는 강력한 소취작용 및 살균 소독작용을 하며, 방향제나 탈취제와 달리 악취,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일부 공해물질 등을 근원적으로 산화 및 분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화 및 분해에 의하여 악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효율적인 공급 뿐만 아니라 고성능의 집진장치가 요구된다. 특히, 집단 질병 감염을 원인으로 살처분 된 동물의 사체를 매립한 장소의 경우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고도 복합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 매립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한 고도 복합 악취 및 VOC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성능의 집진장치 및 복합악취 및 VOC 제거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7029호 (2019.10.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5763호 (2007.05.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3478호 (2020.01.02)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먼지, 흄(fume) 및 미스트가 복합된 형태의 복합 악취와 시스템 내에 부착되는 부착성 VOC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VOC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자상 이물질과 악취를 포함하는 유체를 흡입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대하여 원심력으로 집진하여 상기 입자상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부로 배출하고, 상기 입자상 이물질이 1차적으로 분리된 유체를 그 상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 집진부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방전에 의하여 상기 방전관을 통과하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집진하는 전기 집진부와; 상기 전기 집진부를 통과한 유체에 대해 제습, 해리, 계면 활성, 유·수분의 분리 및 미스트 제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는, 복수의 행과 열 각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전기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중 동일한 행 또는 열로 배열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되는 입자상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전달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배출구에 연통 설치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서 회전하면서 낙하된 입자상 이물질을 이송하는 로타리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방전관 내에서 상기 방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면서 상기 방전관 내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공급원과;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상기 이산화염소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여, 상기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반응시켜 유체를 정화하는 이산화염소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공급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반응시켜 유체를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전기 집진부를 통과한 유체에 대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광학적으로 해리하는 자외선 램프와; 광화학반응에 의해 유체로부터 악취의 분리를 촉진하는 광촉매 모듈과; 흡기 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액적 및 분진을 여과하는 데미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와; 포집된 상기 유체로부터 입자상 이물질을 집진하는 것으로,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와;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와 상기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를 통하여 정화된 유체를 희석하는 희석장치와; 상기 희석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희석된 유체가 체류하면서 상호 반응하여 유체를 정화한 후 배출하는 체류 반응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반응기 본체 내에 염소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면서 회전 주입하는 회전주입유닛과; 상기 반응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주입유닛에서 주입된 염소 가스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믹서와; 상기 반응기 본체에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시 함께 생성된 여액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추가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버블발생유닛과; 상기 회전주입유닛과 상기 버블발생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 및 상기 반응기 본체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주입유닛은, 염소, 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한 염소가스를 주입하는 염소가스 주입구와, 공기를 주입하는 제1공기 주입구를 가지는 볼텍스 튜브와; 상기 볼텍스 튜브의 내벽에 형성되며, 내부에 주입된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기본체 내부로 주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텍스 튜브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염소가스 주입구와 상기 제1공기 주입구 각각은 상기 볼텍스 튜브의 일단부에 상기 볼텍스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면서도, 상기 볼텍스 튜브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 각각이 상기 볼텍스 튜브 내에서 회전되면서 주입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믹서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나선 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나선 상으로 단차지게 회전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판 각각은, 분리판 본체와; 상기 분리판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반응돌기와; 상기 분리판 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분리판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체류 반응탑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유체에 포함된 악취 정도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센서와; 상기 악취 감지센서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및 상기 체류 반응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ICT 관제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의 가동 상황을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부, 전기 집진부 및 정화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먼지, 흄(fume) 및 미스트가 복합된 형태의 복합 악취와 시스템 내에 부착되는 부착성 VOC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부로서, 열과 행으로 배열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함과 아울러 동일한 행 또는 열로 배열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이송관 및 로타리형 스크류를 포함함으로써, 집진기 내부에서 포집된 입자상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집진부를 구성하는 방전전극을 방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사이클론 집진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방전전극의 나선 구조를 따라 회전하면서 방전관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유체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의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기와 전기 집진기의 내측벽에 대해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는 이산화염소 분사부를 설치함으로써, VOC가 상기한 내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정화유닛을 통하여 VOC를 분해함으로써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희석장치 및 체류 반응탑을 포함하여,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체를 포집한 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믹서와 회전주입유닛을 구비하여, 주입되는 기체 사이의 접촉 시간을 길게함과 아울러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주입되는 기체 대비 생성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한 번 반응이 시작된 후에는 지속적으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연속 반응이 가능하며, 공기공급원을 통한 공기 주입량 조절을 통하여 가스발생량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여액 이송경로 및 배출경로를 마련함으로써, 사용 후 잔류하는 여액 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체류 반응탑은 송풍팬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 내에서 공기를 유동시킴과 아울러 저전력 자외선 램프를 채용하여 1차적으로 내부 공간에서의 세균성 물질을 살균하고, 자외선 광을 통한 해리와 TiO2 광촉매를 복합 사용하여 VOC 계열의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적인 악취 제거 과정에 사용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복합 악취에 대한 제거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가스 발생용 약액 또한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업폐수의 최소한의 발생으로 환경개선과 장비 가동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이클론 집진부와 전기 집진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6 및 도 7 각각은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볼텍스 튜브의 입구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볼텍스 튜브의 일부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를 구성하는 분리판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제1 및 제2분리판의 배치 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12 및 도 13 각각은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일부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일부가 반응기 본체 내에 배치된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5는 도 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광촉매 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믹서를 분리사시도.
도 20는 ICT 관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1 내지 도 31 각각은 ICT 관제 장치의 GUI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VOC 제거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발명의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입자상 이물질과 악취를 포함하는 오염된 유체를 흡입한 후 이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상기한 오염된 유체는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이클론 집진부와 전기 집진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집진부(110), 전기 집진부(120) 및 정화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110)는 포집부(도 5의 10)를 통하여 포집된 상태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대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집진한다. 즉, 사이클론 집진부(110)는 유입된 유체를 나선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한 입자상 이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분리된 입자상 이물질은 후술하는 이송유닛(117)을 통하여 집진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행과 열 각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111) 각각은 내부 공간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염 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111a)와, 집진된 입자상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11b)를 가진다. 이 사이클론 집진기(111)는 원심력에 의하여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입자상 이물질과 기체로 분리한 후, 분리된 입자상 이물질은 상기 배출구(111b)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하고,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 유체는 회전되면서, 상기 전기 집진부(120) 내부로 이송된다.
여기서, 사이클론 집진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X 3 행렬로 배치되는 9개의 사이클론 집진기(111)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는 복수개의 설치홀(112a)이 형성된 고정판(112)에 의하여 고정 설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는 포집부(10)를 통하여 포집된 유체가 각 사이클론 집진기(111)의 유체 유입구(111a) 내부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51)은 사이클론 집진부(110)의 유체 유입구(111a)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입자상 이물질과 악취를 포함하는 유체를 흡입하는 유체 흡입구(151a)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유체 흡입구(151a)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 각각의 내부로 진입하고, 사이클론 집진기(111)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분리 된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110)는 상기 배출구(111b)를 통하여 낙하되는 입자상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전달하는 이송유닛(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유닛(11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 중 동일한 행 또는 열로 배열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이송유닛(117)은 배출구(111b)에 연통 설치된 이송관(118)과, 이송관(118) 내에서 회전하면서 낙하된 입자상 이물질을 이송하는 로타리형 스크류(11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유닛(117)은 로타리형 스크류(119)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관(118) 내부류 유입된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집진부(120)는 사이클론 집진부(110)에서 1차적으로 처리 된 후 배출되는 유체에 대해 전기적으로 2차적으로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전기 집진부(120)는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111)에서 배출된 유체가 통과되는 방전관(122)과, 이 방전관(122) 내에 설치되는 방전전극(123)을 구비한다. 따라서, 전기 집진부는 방전에 의하여 상기 방전관(122)을 통과하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집진한다. 여기서, 상기 방전전극(123)은 방전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클론 집진부(11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방전전극(123)의 나선 구조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방전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과하는 유체에 미치는 저항을 줄여, 유체의 속도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110)의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집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전기 집진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행과 열로 배치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111)와 전기 집진기(121)를 구비하는 경우, 집진부의 구성을 병렬적으로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장소에 맞게 동시 처리 용량을 결정함과 아울러, 그에 맞게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정화유닛(130)은 전기 집진부(120)을 통과한 유체에 대해 제습, 해리, 계면 활성, 유·수분의 분리 및 미스트 제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유체를 정화한다. 이를 위하여 정화유닛(130)은 자외선 램프(131), 광촉매 모듈(133) 및 데미스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131)는 전기 집진부(120)를 통과한 유체에 대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광학적으로 해리한다. 이 자외선 램프(131)는 185nm 및/또는 245nm 파장의 광 즉, UV-A, UV-C 파장의 광을 조사하되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막대 형상의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131)는 UV-A, UV-C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UV-A 파장의 광은 UV-C에 비하여 단파장의 자외선 광을 조사함으로, 악취 제거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제거가 가능하다. 이 경우, 해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분자고리 분해가 가능하고, 계면 활성화를 통한 촉매 반응 촉진이 가능하다. 또한, UV-C 파장의 광은 세균성 살균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131)는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 중에서 희석함으로써, 유체 내의 세균성 물질을 살균한다.
광촉매 모듈(133)은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체로부터 악취의 분리를 촉진한다. 이를 위하여 광촉매 모듈(133)은 이산화티탄(TiO2) 소재의 광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데미스터(135)는 흡기 된 유체 내에 포함된 액적 및 분진을 여과하여, 잔류하는 이물질과 백연을 제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유닛(130)을 구비함으로써, 집진기에서 여과된 유체에 대해 악취 저감하고 살균 처리함으로써, 유체를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는 전기 집진기의 방전관(122)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가 정화유닛(130)을 통과하여 투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하우징(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155)은 방전관(122)의 출구 부분과, 정화유닛(130)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정화된 유체가 배기되는 유체 배기구(155a)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하우징(151)과 제2하우징(155)이 별도로 분리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하우징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기와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공급원(113)과,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는 이산화염소 분사부(115, 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염소 공급원(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집진기(111)에 설치되며,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공급한다. 한편, 이산화염소 공급원은 사이클론 집진기(111) 및/또는 전기 집진기(12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산화염소 분사부(115, 125)는 상기 이산화염소 공급원(113)에서 공급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사이클론 집진기(111) 및/또는 전기 집진기(121)의 내측벽에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집진기 내측벽에 분사함으로써, 부착성 VOC가 집진기 내측에 달라붙는 것을 근본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기(111)와 전기 집진기(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기(111) 및/또는 전기 집진기(1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공급부(116, 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상의 이산화염소를 사이클론 집진기(111) 및/또는 전기 집진기(121)에 주입합으로써, 처리되는 유체와 집진기의 내측벽 사이에 이산화염소 가스 커튼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집진되면서 통과하는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반응시켜 유체를 정화함과 아울러, 유체 내에 포함된 부착성 VOC가 집진기의 내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집진부, 전기 집진부 및 정화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먼지, 흄(fume) 및 미스트가 복합된 형태의 복합 악취와 부착성 VOC를 포함하는 유체에 대해 입자상 이물질을 집진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하고, 정화유닛(130)에 의하여 복합 악취 및 VOC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습식 또는 건식 방식으로 집진기 내부에 이산화염소 수용액 내지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부착성 VOC가 집진기의 내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포집부(10),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500), 희석장치(200, 300) 및 체류 반응탑(7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10)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에서 발생된 복합악취와 부착성 VOC를 포함하는 유체를 포집하고, 포집된 유체를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로 전달한다.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는 포집부(10)에서 포집된 유체로부터 입자상 이물질을 집진함과 아울러, 여과된 유체에 포함된 악취, 백연 및 VOC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다. 이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500)는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희석장치(200, 300) 내부로 제공한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50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반응기 본체(510), 믹서(5M), 회전주입유닛(530), 버블발생유닛(550), 배기부(560) 및 공기 공급원(570)을 포함한다. 반응기 본체(510)는 주입되는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한다. 이 반응기 본체(5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에 배기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부(560)는 염소 가스와 공기 사이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1배출경로(561)로 배출한다. 즉, 반응기 본체(510)와 배기부(560)는 서로 직경이 다르며, 동일 축상에 위치되는 이중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믹서(5M)는 반응기 본체(510) 내부 예를 들어, 반응기 본체(510)와 배기부(56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믹서(5M)는 상기 회전주입유닛(530)에서 주입된 염소 가스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주입유닛(530)은 반응기 본체(510)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반응기 본체(510) 내에 염소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면서 회전 주입한다. 버블발생유닛(550)은 반응기 본체(51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시 함께 생성되고 반응기 본체(5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여액(L1, L2)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유닛이다. 이와 같이 여액(L1, L2) 내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공기 공급원(570)은 회전주입유닛(530)과 버블발생유닛(550)에 공기를 공급하는 유닛으로서, 후술하는 공기주입구 각각에 대해 별도로 설치되는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볼텍스 튜브의 입구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볼텍스 튜브의 일부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주입유닛(530)은 볼텍스 튜브(531)와, 이 볼텍스 튜브(531)의 내벽에 형성된 회전가이드(537)를 포함할 수 있다. 볼텍스 튜브(531)의 일단부(535)에는 염소가스 주입구(535a, 535b, 535c)와 공기를 주입하는 제1공기 주입구(535d)가 형성되어 있다. 염소가스 주입구는 볼텍스 튜브(531)의 일단부의 복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염소가스 주입구(535a, 535b, 535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염소가스는 순수한 염소(Cl2) 가스 뿐만 아니라 아염소산(HCl2) 및 차아염소산(HClO)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한 염소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537)는 볼텍스 튜브(531)의 내벽에 형성되며, 내부에 주입된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기 본체(510) 내부로 주입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볼텍스 튜브(5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535)에 형성되는 상기 염소가스 주입구(535a, 535b, 535c)와 상기 제1공기 주입구(535d)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텍스 튜브(531)의 일단부(535)에 상기 볼텍스 튜브(5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면서도, 상기 볼텍스 튜브(531)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 각각이 상기 볼텍스 튜브(531) 내부로 소정 압력으로 주입시, 주입되는 기체는 회전되면서 주입된다. 이와 같이 주입된 기체는 회전가이드(537)에 의해 나선 상으로 회전되면서, 진행한 후 상기 반응기 본체(510)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볼텍스 튜브(531) 내에서 일차적으로 염소가스와 공기가 반응하면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를 구성하는 분리판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제1 및 제2분리판의 배치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 각각은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일부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믹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분리판 중 일부가 반응기 본체 내에 배치된 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믹서(M)는 반응기 본체(510)의 내부 공간에 나선 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나선 상으로 단차지게 회전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판(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분리판(520) 각각은 분리판 본체(521)와, 상기 분리판 본체(521)의 적어도 일면에 소정 높이(도 12의 h) 만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반응돌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반응돌기(523)를 분리판 본체(521) 상에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한 반응돌기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분리판 본체(521)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분리판 본체(521) 사이를 통과하는 염소가스 및 공기는 상호 접촉 시간 및 접촉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리판(520) 각각은 스페이서(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페이서(525)는 상기 분리판 본체(521)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분리판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도 12의 S) 이격되도록 한다. 즉, 이웃하는 분리판(520A, 520B) 사이의 간격 S은 반응돌기(523)의 높이(5h)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웃하는 분리판(520A, 520B) 사이에 염소가스, 공기,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 및 반응 후 생성되는 여액 등이 통과하는 채널(도 13의 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분리판 본체(521) 각각은 반응기 본체(510)의 중심에 인접하는 일단부(521a)의 폭에 비하여, 상기 반응기 본체(510)의 외측에 인접하는 타단부(521b)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520)을 배치함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반응기 본체(510) 내에 나선 상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제1분리판(520A)과 제2분리판(520B)사이에 일부가 고르게 중첩되어 배열되면서도, 상기한 채널을 형성하도록 확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믹서(M)를 구성하여, 제한된 부피를 가지는 반응기 본체(510) 내부의 공간에 나선 상의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염소 가스와 공기 사이의 반응시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응기 본체(510)는 그 상부에 제1반응공간(511)이 형성되도록, 상기 반응기 본체(510)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1지지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응공간(511)의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공기(A2)가 상기 제1반응공간(511) 내부로 유입되는 제2공기 주입구(5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블발생유닛(550)은 제2공기 주입구(510a) 상부 위치의 상기 제1반응공간(511) 내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수용되는 여액(L1)이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공기 주입구(510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여액(L1) 내부로 투과시키는 제1필터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필터부(551)는 공기 등의 기체는 투과시키고 여액과 같은 액체의 투과는 차단한다. 여기서, 제1필터부(551)의 하부에 주입되는 공기(A2)는 제1필터부(551)의 하부 전체에 채워진 후 상기 제1필터부(551)를 투과하여 상기 여액(L1)에 공급되므로, 상기 여액 내에서 공기 버블이 형성되면서 투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액(L1) 내에 포함된 염소와 반응하며서 추가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기 본체(510)는 상기 제1반응공간(511)의 하부에 제2반응공간(515)이 형성되도록, 상기 반응기 본체(510)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2지지부(5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응공간(515)의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공기(A3)가 상기 제2반응공간(515) 내부로 유입되는 제3공기 주입구(510b)가 형성된다.
상기 버블발생유닛(550)은 상기 제3공기 주입구(510b) 상부 위치의 상기 제2반응공간(515) 내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수용되는 여액(5L2)이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3공기 주입구(510b)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여액(L2) 내부로 투과시키는 제2필터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부(555)는 제1필터부(551)와 마찬가지로 제2반응공간(515) 내에 위치하는 여액(L2) 내에서 공기 버블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반응공간(515)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경로(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반응기 본체(510)는 제2반응공간(515)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구(510C)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제1반응공간(511)과 상기 제2반응공간(515)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반응공간(511) 내의 여액(L1)을 상기 제2반응공간(515)으로 이송하는 여액 이송경로(541), 상기 여액 이송경로(54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여액 이송경로(541)를 개폐하는 제1밸브(5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액 이송경로(541)를 마련함으로써 제1반응공간(511) 내의 잔류 여액이 적정량을 넘어서는 경우 제2반응공간(515)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상기 제2반응공간(515) 내의 여액(5L2)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액 배출경로(545)와, 여액 배출경로(545) 상에 형성되며, 상기 여액 배출경로(545)를 개폐하는 제2밸브(5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액 배출경로(545)를 마련함으로써, 제1 및 제2반응공간(511)(515) 내의 잔류 여액이 적정량을 넘어서는 경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반응공간(511)(515) 내의 상황을 육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반응기 본체(510)에 형성되는 투명창(W1, W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공기 공급원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일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공기 공급원(570)은 제1 내지 제3공기 주입구(535d)(510a)(510b) 모두에 대해 소정 비율로 공기를 공급하는 하나의 링블로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링블로워를 채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서,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희석장치(200, 300)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에서 정화된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500)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희석하는 장치이다. 이 희석장치는 역할에 따라 제1희석장치(200)와 제2희석장치(30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희석장치(200)는 1차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희석하는 장치로서,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희석장치(200)는 덕트 구조에 의하여 제2희석장치(300)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희석장치(300)는 관류형 정적 희석장치로 구성 가능한다. 이 제2희석장치(300)는 제1희석장치(200)에서 1차적으로 산화 희석된 유체에 대해 추가적으로 산화 시석 시킨다.
상기 체류 반응탑(700)은 상기 희석장치(200, 300)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희석된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희석된 유체가 체류하면서 상호 반응하여 유체를 정화한다.
도 16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체류 반응탑은 악취를 포함한 공기에 대해 1차적으로 정화하는 전처리부(710)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반응부(730) 및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77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는 광범위한 면적의 오픈 공간 또는 밀폐 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2 단계의 공기 정화처리를 걸쳐 악취를 제거한다.
전처리부(710)는 유체 내에 포함된 오염 물질(미스트, 더스트, 수분, 유분, 부착성 물질 등)에 기인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처리부(710)는 악취 제거 대상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에 대해 제습, 해리, 계면 활성, 유·수분의 분리 및 미스트 제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오염된 공기를 1차적으로 정화한다. 이 전처리부(710)는 전처리 하우징(711), 공기주입경로(713), 제1송풍팬(715), 유수분 분리필터(717) 및 데미스터(71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하우징(711)은 반응부(730)의 제1흡기구(731a)와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유수분 분리필터(717) 및 데미스터(719)가 내장 설치될 수 있다. 이 전처리 하우징(711)은 악취 제거 대상 공기가 유입되는 제2흡기구(711a)를 가진다. 공기주입경로(713)는 덕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2흡기구(711a)에 설치되며 제1송풍팬(715)의 동작에 의하여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처리 하우징(711) 내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1송풍팬(715)은 공기주입경로(713)의 일단에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내의 공기 즉, 악취를 내포하고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주입경로(713) 내부로 송풍한다. 이 제1송풍팬(715)은 벨마우스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수분 분리필터(717)는 전처리 하우징(7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흡기구(711a)를 통하여 그 내부로 흡기 된 공기 내에 포함된 유분과 수분을 분리한다. 이 유수분 분리필터(717)는 쉐브론 필터 형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719)는 전처리 하우징(7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기 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액적 및 분진을 여과한다. 이 데미스터(719)는 와이어 메쉬가 적층 반복되어 형성된 3차원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710)는 제1자외선 램프(721)와 광촉매 모듈(7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외선 램프(721)는 반응부(730) 내에 설치되며, 유수분 분리필터(717)와 데미스터(719)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여과된 공기에 대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광학적 해리를 촉진한다. 이 제1자외선 램프(721)는 185nm 및/또는 245nm 파장의 광 즉, UV-A, UV-C 파장의 광을 조사하되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막대 형상의 복수의 자외선 램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자외선 램프(721)는 UV-A, UV-C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UV-A 파장의 광은 UV-C에 비하여 단파장의 자외선 광을 조사함으로, 악취 제거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7VOC) 제거가 가능하다. 이 경우, 해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분자고리 분해가 가능하고, 계면 활성화를 통한 촉매 반응 촉진이 가능하다. 또한, UV-C 파장의 광은 세균성 살균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자외선 램프(721)는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 중에서 희석함으로써, 반응부(730)에 주입된 공기의 세균성 물질을 살균한다.
본 발명은 전처리부(710)는 오존 측정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자외선 램프(721) 및 후술하는 제2 및 제3자외선 램프(729)(753)에서 생산되는 오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제1 내지 제3자외선 램프(721)(729)(753)를 제어함으로써, 오존이 과생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자외선 램프(721)(729)(753)는 저전력의 무전극식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태양광 및 배터리 충전 방식 병행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에도 24시간 상시 가능이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 모듈(725)은 반응부(73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광화학 반응에 의해 공기로부터 악취의 분리를 촉진한다. 도 17을 참조하면서 광촉매 모듈(725)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광촉매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광촉매 모듈(725)은 상기 반응부 내에 설치되는 광촉매 모듈 본체(726)와, 광촉매 모듈 본체(726) 내에서 설치되는 이산화티탄(TiO2) 소재의 광촉매(727) 및 제2자외선 램프(72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자외선 램프(729)는 광촉매 모듈 본체(726)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외선 광에 의하여 광학적 해리를 촉진하는 막대 형상의 복수의 자외선 램프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촉매 모듈(725)이 반응부(730) 내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전처리 하우징(711), 공기주입경로(713) 및 송풍팬(7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 설치되거나, 이들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처리부(710)를 구성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대하여 악취 저감, 살균 처리함으로써, 후술하는 반응부에 의한 처리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응부에서의 이산화염소의 용량을 줄이더라도 종래의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처리 장치 대비 동일 내지 상승된 악취 제거 효과가 있다.
도 18은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처리부(710)는 냉동기(718) 및/또는 열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열교환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동기(718)는 전처리 하우징(711) 내에 설치되며, 전처리 하우징(711)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 휘발성 유기 화합물(7VOC) 및 유증기를 액화분리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냉동기(718)는 0 내지 -50℃ 범위의 값으로 급냉함으로써 가스 상의 악취, VOC 및 유증기를 액화시킨다.
도 16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역류방지부(770)는 상기 공기주입경로(713)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처리 하우징(711)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주입경로(713) 내에 설치된 배플(7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플(775)은 공기주입경로(713) 내에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주입경로(713)를 통하여 직진 이동하는 공기가 회전(7소용돌이)하면서 진행하도록 그 진행방향으로 바꾸어준다. 따라서, 배플(775)을 통과하여 전처리 하우징(711)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는 유속은 저하되지만, 회전하면서 진행하므로 추진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처리 하우징(711) 및 반응부(730) 내의 압력이 높더라도, 공기주입경로(713)를 통하여 주입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부(770)는 공기주입경로(713) 내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771)을 더 포함하여, 배플(775)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역류 방지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역류방지부(770)를 포함함으로써,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의 진행방향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이산화염소와의 반응을 보다 가속화 시킬 수 있다.
도 16 및 도 18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부(730)는 반응챔버(731), 이산화염소 분사부(740), 믹서(735) 및 배기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챔버(731)는 격벽(733)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공간(730a)으로 구획되며, 그 일측에 전처리부(710)가 설치되고, 타측에 배기부(75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733) 하단부는 반응챔버(731)의 내측 저면에 대해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믹서(735)에 의해 이산화염소 가스와 혼합된 공기는 격벽(733)에 의해 구분된 반응챔버(731) 내의 일 공간에 충진된 후 격벽(733) 저면의 틈을 통하여 이웃하는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공기와 이산화염소의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챔버(731)는 물탱크에 사용되는 SMC 형태의 규격의 기성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기성품은 모듈(도 16의 730M) 형태로 구성되며, 이들 모듈(730M)을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반응챔버(731)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수급이 용이하고, 사전 제작이나 현장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제품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반응챔버(731)의 하부 내측면은 폴리우레아 코팅 처리 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챔버(731)의 내부 공간 자체를 분사용 약액을 저장하는 탱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분사부(740)는 반응챔버(731) 내로 유입된 공기에 대해 이산화염소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이 이산화염소 분사부(740)는 이산화염소 약액이 저장되는 저장조(741)와, 믹서(735)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745) 및 약액 공급경로(743)를 포함한다. 약액 공급경로(743)는 저장조(741)와 노즐(745) 사이에 설치되며, 저장조(741) 내의 상기 이산화염소 약액을 노즐(745)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조(741)는 생략될 수 있으며, 저장조(741) 대신 반응챔버(731)의 내부 공간 자체를 저장탱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챔버(731)의 일측 하단에는 이산화염소 분사부(740)에 의해 분사후 반응챔버(731) 내에 잔류하는 누적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7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서(735)는 반응챔버(731)의 일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반응챔버(731) 내로 유입된 공기와 이산화염소 분사부(740)에서 분사된 이산화염소를 혼합하여, 상기 반응챔버(731) 내로 배출한다.
도 19는 도 5의 체류 반응탑의 믹서를 분리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믹서(735)는 행열로 배열된 복수의 채널(737)을 구비한 믹서 본체(736)와, 상기 복수의 채널(737) 각각에 삽입 설치되며, 통과하는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는 혼합부(739)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739)는 투입되는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통과하면서 스크램블링되거나 회전 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이나 재질로 구성된 복수의 혼합구조(739a)(73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집진장치와 체류 반응탑을 거치면서 다단으로 복합악취와 부착성 VOC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질병으로 인하여 살처분 된 동물 사체가 매장된 장소 등의 열악한 환경에 설치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악취, VOC, 백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T 관제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는 ICT 관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ICT 관제 장치는 악취 감지센서(781, 783), 제어부(785) 및 통신부(787)를 포함할 수 있다. 악취 감지센서(781)(783), 제어부(785) 및 통신부(787)를 포함할 수 있다.
악취 감지센서(781)(783)는 악취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의 공기에 포함된 악취 정도와, 전처리부(710) 및 반응부(730)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포함된 악취 정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악취 감지센서는 반응부(730)와 외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785)는 악취 감지센서(781)(783)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100),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500) 및 체류 반응탑(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85)는 외부로 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악취 제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787)는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기와 제어부(785) 사이에서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통신부(787)는 통신사의 LTE 또는 5G 휴대통신망을 통하여 서버 또는 외부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파이 등 무선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보안이 뛰어나다. 또한 통신부(787)는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외부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NB-IoT는 LTE 기술 기반으로 사물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저전력 광역 통신 표준 기술로서, 180kHz의 좁은 대역으로 최대 250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10km 이상의 광역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통신부(787)는 NB-IoT 주파수 대역을 설정함에 있어서, LTE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사용하는 인-밴드(in-band)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통신부(787)가 NB-IoT 통신하는 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라(LoRa), 원엠투엠(oneM2M),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LwM2M(Lightweight M2M) 등 글로벌 IoT 표준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 내지 도 31 각각은 도 20의 외부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ICT 관제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4 각각은 ICT 관제 장치의 메인 운용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원격 운용을 위해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한다. 이때, 원격운영 권한이 있는 관리자에게 부여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면,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운용화면이 팝업된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온/습도 정보, 운행단계, 운행모드, 펌프의 동작 상태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는 이송팬, 전기집진기, 송풍팬(탈취팬), UV자외선램프, 가스발생기, 냉동/온도조절기 및 오존제거기의 상태 등을 나타낸다. 또한 메인 운용화면에는 관리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관리자모드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이 메인 운용화면을 통하여 원격 운전 기동 또는 원격 운전 정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운용화면에는 타이머 및 이상운전 상태 등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람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 각각은 운행단계로서, 정지 단계, 대기 단계, 투입 단계 및 배출 단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운영 설정은 관리자모드를 통해 조회 및 변경이 가능하다.
원격 장비 제어를 위한 운영 모드는 [로컬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로컬모드는 탈취장비 제어판의 운영단계를 스위치에 의해 동작하는 모드이다. 자동모드는 원격자동모드의 운용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원격 자동모드 운영을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 화면에서 원격 장비 운영 버튼을 클릭하면, 원격 장비 운영 제어 팝업 창이 나타나고, 장비 가동 또는 운전 중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비 가동 버튼을 클릭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면, 원격 장비 운영 버튼의 색이 푸른색으로 변경되어 원격 장비 운영 동작 중임을 표시한다.
원격 장비 운영 상태에서 이 버튼을 클릭하면, 원격 장비 운영 제어 팝업 창이 나타나고, 운전 중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운전 정지 버튼을 클릭하여 명령을 수행시키면, 원격 장비 운영 버튼의 색이 푸른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어 원격 장비 운영이 중지되었음을 표시한다.
도 25는 관리자 모드 화면의 로컬모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로컬모드에는 1단계 내지 5단계로 동작을 구분하여 악취제거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를 선택하면, 값 변경 가능한 입력 창이 팝업 된다. 이 입력 창에 대해 값을 입력함으로써 각 단계별로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6은 관리자 모드 화면의 원격(자동)모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원격(자동)모드는 기준 암모니아 농도와 운용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분 평균 암모니아 농도와 기준 농도가 20ppm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설정된 운영 단계에서 자동으로 1단계 상승 또는 하강한 단계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7은 관리자 모드 화면의 정량펌프 설정 모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정량펌프 설정 모드는 복수의 정량펌프 각각에 대한 처리 용량과, 배출주기, 배출시간 및 배출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8은 관리자 모드 화면의 장치운영설정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화면을 통하여, 각 구성요소(이송팬, 탈취팬, 냉동/온도 조절기, 전기집진기, UV자외선램프, 오존, 펌프)에 대한 각 단계별 운영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9는 관리자 모드 화면의 알람 내역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탈취장비의 비정상에 따른 알람이 발생하면, 도 21의 메인운용 화면에 표시된 알람 박스가 활성화 된다. 이때 활성화된 알람박스를 클릭하면 현재 발생된 알람의 내역이 출력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알람 내역 화면에는 발생시간 사유 및 조치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알람 항목으로서는, 탈취를 위한 팬의 과전류 이상, 펌프의 라인 동장 이상, 탱크 수위 레벨 알람, 펌프 과전류 이상 등이 있다.
도 30은 관리자 모드 화면 중 센서데이터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센서데이터 화면에는 암모니아 농도 및 온도에 대한 센서 데이터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1은 관리자 모드 화면 중 시스템정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시스템정보 화면에는 사이트 이름, 코드 및 장치식별코드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25 내지 도 31 각각에 따른 관리자 모드 화면에는 관리자 종료 버튼이 마련되어, 값이 설정된 이후에 메인 운용화면으로 바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사의 LTE 및 5G 통신망을 하여 악취 제거장치와 서버 간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구현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인 보안 이슈, 와이파이용 액세스 포인트를 직접 설치하고 관리함에 따른 시간, 노력 및 비용 문제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악취 제거장치의 가동 상황을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 포집부
100: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110: 사이클론 집진부
111: 사이클론 집진기 117: 이송유닛
120: 전기 집진부
121: 전기 집진기
130: 정화유닛
131: 자외선 램프 133: 광촉매 모듈
135: 데미스터
151: 제1하우징 155: 제2하우징
113: 이산화염소 공급원
115, 125: 이산화염소 분사부
116, 126: 이산화염소 공급부
200: 제1희석장치
300: 제2희석장치
500: 염소가스 발생장치
510: 반응기 본체 M: 믹서
520: 분리판 521: 분리판 본체
523: 반응돌기 525: 스페이서
530: 회전주입유닛 531: 볼텍스 튜브
535a, 535b, 535c: 염소가스 주입구
535d: 제1공기 주입구 537: 회전가이드
541: 여액 이송경로 545: 여액 배출경로
550: 버블발생유닛 560: 배기부
561: 제1배출경로 565: 제2배출경로
570: 공기 공급원
700: 체류 반응탑
710: 전처리부
711: 전처리 하우징 713: 공기주입경로
715: 제1송풍팬 717: 유수분 분리필터
718: 냉동기 719: 데미스터
721: 제1자외선 램프 725: 광촉매 모듈
726: 광촉매 모듈 본체 727: 광촉매
729: 제2자외선 램프
730: 반응부
731: 반응챔버 733: 격벽
735: 믹서 737: 채널
739: 혼합부
740: 이산화염소 분사부
741: 저장조 743: 약액 공급경로
745: 노즐 747: 드레인부
750: 배기부
751: 정화 공기 배출관 755: 제3자외선 램프
770: 역류방지부
771: 제2송풍팬 775: 배플
800: ICT 관제장치
781, 783: 악취 감지센서 785: 제어부
787: 통신부

Claims (13)

  1. 입자상 이물질과 악취를 포함하는 유체를 흡입하고 정화하여 배출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대하여 원심력으로 집진하여 상기 입자상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부로 배출하고, 상기 입자상 이물질이 1차적으로 분리된 유체를 그 상부로 배출하는 사이클론 집진부와;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되는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 내에 설치되는 방전전극을 구비하여, 방전에 의하여 상기 방전관을 통과하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집진하는 전기 집진부와;
    상기 전기 집진부를 통과한 유체에 대해 제습, 해리, 계면 활성, 유·수분의 분리 및 미스트 제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는,
    복수의 행과 열 각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전기 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중 동일한 행 또는 열로 배열된 복수의 사이클론 집진기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되는 입자상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외부로 전달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배출구에 연통 설치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서 회전하면서 낙하된 입자상 이물질을 이송하는 로타리형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은,
    상기 방전관 내에서 상기 방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사이클론 집진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회전하면서 상기 방전관 내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공급원과;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상기 이산화염소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분사하여, 상기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반응시켜 유체를 정화하는 이산화염소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체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반응시켜 유체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전기 집진부를 통과한 유체에 대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광학적으로 해리하는 자외선 램프와;
    광화학반응에 의해 유체로부터 악취의 분리를 촉진하는 광촉매 모듈과;
    흡기 된 공기 내에 포함된 액적 및 분진을 여과하는 데미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9.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체를 포집하는 포집부와;
    포집된 상기 유체로부터 입자상 이물질을 집진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집진장치와;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와;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와 상기 하이브리드 집진장치를 통하여 정화된 유체를 희석하는 희석장치와;
    상기 희석장치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희석된 유체가 체류하면서 상호 반응하여 유체를 정화한 후 배출하는 체류 반응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는,
    염소 가스와 공기를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 본체와;
    상기 반응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반응기 본체 내에 염소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면서 회전 주입하는 회전주입유닛과;
    상기 반응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주입유닛에서 주입된 염소 가스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는 믹서와;
    상기 반응기 본체에서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시 함께 생성된 여액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추가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버블발생유닛과;
    상기 회전주입유닛과 상기 버블발생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 및
    상기 반응기 본체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주입유닛은,
    염소, 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한 염소가스를 주입하는 염소가스 주입구와, 공기를 주입하는 제1공기 주입구를 가지는 볼텍스 튜브와;
    상기 볼텍스 튜브의 내벽에 형성되며, 내부에 주입된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기본체 내부로 주입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볼텍스 튜브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염소가스 주입구와 상기 제1공기 주입구 각각은 상기 볼텍스 튜브의 일단부에 상기 볼텍스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면서도, 상기 볼텍스 튜브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염소가스와 상기 공기 각각이 상기 볼텍스 튜브 내에서 회전되면서 주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상기 반응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나선 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나선 상으로 단차지게 회전 배치되는 복수의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리판 각각은,
    분리판 본체와;
    상기 분리판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반응돌기와;
    상기 분리판 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분리판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반응탑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유체에 포함된 악취 정도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센서와; 상기 악취 감지센서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및 상기 체류 반응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ICT 관제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의 가동 상황을 외부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00070993A 2020-05-08 2020-06-11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91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5507 2020-05-08
KR1020200055507 2020-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80A true KR20210136780A (ko) 2021-11-17
KR102391902B1 KR102391902B1 (ko) 2022-04-28

Family

ID=7870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93A KR102391902B1 (ko) 2020-05-08 2020-06-11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874B1 (ko) * 2022-04-21 2022-08-18 윤현수 절삭유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600A (ko) * 1999-12-29 2001-07-09 박용직 싸이클로 전기 집진기
KR200298507Y1 (ko) * 2002-09-16 2002-12-20 윤해상 공기정화장치
KR20030031095A (ko) * 2003-03-31 2003-04-18 주식회사 현준파우텍 분쇄시스템
JP2003181448A (ja) * 2001-12-21 2003-07-02 Fujita Corp Voc汚染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6096530A (ja) * 2004-09-30 2006-04-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粉粒体輸送装置
KR100628522B1 (ko)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KR100725763B1 (ko) 2005-12-05 2007-06-08 주식회사 신안유브이 전계 자외선 방전등
KR20140025889A (ko) * 2012-08-23 2014-03-05 이노엔비텍(주) 공기 정화 처리장치
KR101485776B1 (ko) * 2014-06-30 2015-01-2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160026347A (ko) * 2014-08-30 2016-03-09 (주)화인스케이프 공기 청정기
KR101793957B1 (ko) * 2017-04-05 2017-11-06 주식회사 더존이엔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20180041352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이큐브 멀티 사이클론 스크러버
KR20190096711A (ko) * 2018-02-09 2019-08-20 (주) 세츠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90102644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에코노바 바이오필터탈취기 및 그 바이오필터탈취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2037029B1 (ko) 2019-05-07 2019-10-25 김진태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2063478B1 (ko) 2019-06-04 2020-01-08 주식회사 투위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600A (ko) * 1999-12-29 2001-07-09 박용직 싸이클로 전기 집진기
JP2003181448A (ja) * 2001-12-21 2003-07-02 Fujita Corp Voc汚染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298507Y1 (ko) * 2002-09-16 2002-12-20 윤해상 공기정화장치
KR20030031095A (ko) * 2003-03-31 2003-04-18 주식회사 현준파우텍 분쇄시스템
JP2006096530A (ja) * 2004-09-30 2006-04-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粉粒体輸送装置
KR100628522B1 (ko) * 2005-06-24 2006-09-26 최병학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KR100725763B1 (ko) 2005-12-05 2007-06-08 주식회사 신안유브이 전계 자외선 방전등
KR20140025889A (ko) * 2012-08-23 2014-03-05 이노엔비텍(주) 공기 정화 처리장치
KR101485776B1 (ko) * 2014-06-30 2015-01-2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160026347A (ko) * 2014-08-30 2016-03-09 (주)화인스케이프 공기 청정기
KR20180041352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이큐브 멀티 사이클론 스크러버
KR101793957B1 (ko) * 2017-04-05 2017-11-06 주식회사 더존이엔티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20190096711A (ko) * 2018-02-09 2019-08-20 (주) 세츠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90102644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에코노바 바이오필터탈취기 및 그 바이오필터탈취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2037029B1 (ko) 2019-05-07 2019-10-25 김진태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2063478B1 (ko) 2019-06-04 2020-01-08 주식회사 투위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874B1 (ko) * 2022-04-21 2022-08-18 윤현수 절삭유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902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987B2 (en) Dust arrester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particles from air
KR101317355B1 (ko)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KR102402701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US9327235B2 (en) Removal of atmospheric pollutants from gas, related apparatuses, processes and uses thereof
CN204485561U (zh) 废气处理装置
CN104114196A (zh) 用于对给定设施或装备进行消毒的移动式消毒装置和所述装置的使用方法
CN107051067A (zh) 一体化废气处理设备
CN206881395U (zh) 一体化废气处理设备
CN104197425A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103055669A (zh) 一种废气净化处理方法及装置
US11839862B2 (en) Removal of atmospheric pollutants from gas, related apparatuses, processes and uses thereof
KR20190055303A (ko)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102391902B1 (ko)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KR100925165B1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110404394B (zh) 紫外光催化氧化-Fenton高效复合有机废气处理装置及方法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CN105983334B (zh) 一种恶臭气体净化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207012785U (zh) 一种微波无极光氧、等离子、光催化组合废气治理系统
CN104524913B (zh) 一种聚烯烃木塑造粒中产生的废气的处理方法
CN206252994U (zh) 污水厂臭气处理成套系统
KR200408896Y1 (ko) 오존수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CN106422767A (zh) 一种智能废气光解除臭净化方法及其系统
CN105664694A (zh) 一种新型空气净化装置
JP2012000301A (ja) 光触媒を用いた空気浄化装置
CN212457170U (zh) 气体清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