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97B1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97B1
KR101793497B1 KR1020160006879A KR20160006879A KR101793497B1 KR 101793497 B1 KR101793497 B1 KR 101793497B1 KR 1020160006879 A KR1020160006879 A KR 1020160006879A KR 20160006879 A KR20160006879 A KR 20160006879A KR 101793497 B1 KR101793497 B1 KR 10179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hoto
lamp
air
oxid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189A (ko
Inventor
정대훈
Original Assignee
정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훈 filed Critical 정대훈
Priority to KR102016000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호퍼(저장조) 상부 빈 공간을 반응 챔버로 이용하여 UV 광산화 램프로 185nm자외선을 방출하고 물 분자와 반응하여 OH 라디컬을 생성하고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호퍼(저장조) 상단 외부로 전기안정기 접속단자를 노출하며 호퍼 게이트에 이격되어 상기 호퍼(저장조) 장치 안쪽에 설치 되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상기 호퍼게이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UV 광산화 램프; 상기 UV 광산화 램프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내는 물 분사 노즐; 상기 UV 광산화 램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 및 상기 호퍼게이트의 공기를 흡입하여 스크러버스텍으로 배출하는 에어석션 덕트를 구성한다. 따라서 설치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ODOR REMOVAL OF ORGANIC WASTE UNI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저장조) 상부 빈 공간을 반응 챔버로 이용한다. UV 광산화 램프로 자외선을 방출하고 물 분자와 반응하여 라디컬을 생성하고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는 대량 발생하는 유기성 쓰레기로 전 국토가 몸살을 격고 있다. 가정과 음식점의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료, 하수슬러지, 도축부산물 등 대량 발생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거 후 전문 처리시설로 운반된다.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고농도 악취가 발생되며 주변 지역사회에 민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발생된 민원을 최대한 해결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설비가 필요하다. 제작 설치가 용이하며 경제적이며 장치 구성이 간결해 유지 보수가 편리해야 한다. 특히 악취제거 효율이 좋은 유기성 폐기물 악취제거 장치가 요구된다.
출원번호: 20-2011-0004514,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출원번호: 10-2006-0069153, 음식물 쓰레기용 호퍼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산소이온, 오존, 라디컬을 생성하여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광산화 제거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래서 저장 호퍼(저장조) 를 대용량 반응 챔버로 이용하고자 한다. 내부에 UV 광산화 램프, 물 분사 노즐 및 초음파 가습기를 설치하여 악취 제거장치 챔버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기존공간을 활용하고 효율적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UV 광산화 램프에서 방출되는 185nm 자외선과 안개상태 물 분자가 반응하여 OH 라디칼을 만들도록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UV 광산화 램프의 이온방출 과정에서 램프 표면에 부착되는 소금기를 물 분사 노즐로 씻어내어 광 투과 효율을 유지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 저장조 상단 외부로 전기 접속단자를 노출하며 호퍼 게이트에 이격되어 호퍼 저장조 장치 안쪽에 설치되서 방출되는 UV광선은 호퍼 게이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UV 광산화 램프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내는 물 분사 노즐, UV 광산화 램프에서 방출되는 185nm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 및 호퍼(저장조) 의 광산화 혼합가스를 흡입하여 스크러버스텍으로 배출하는 에어 석션 덕트를 포함하고, UV 광산화 램프, 물 분사 노즐 및 초음파 가습기는 호퍼 장치 위 빈 공간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UV 광산화 램프는 185nm, 253.7nm 자외선을 방출한다.
또한, UV 광산화 램프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세척수가 아래로 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물 분사 노즐은 일정 주기 간격으로 동작하고 정지를 반복한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로 미세 물 분자를 분사하고 물 분자는 오존과 결합하여 라디칼이 생성되고 악취입자 및 병원균, 바이러스를 빠르게 산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호퍼(저장조) 상부 빈 공간이 반응 챔버로 이용되므로 별도의 반응 챔버를 새로 제작하거나 별도의 공간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첨가되는 약품 및 화학물질이 없는 장점이 있다.
2차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악취는 물과 이산화탄소로 최종 방출된다.
악취 민원 해소 및 작업장 내부 병원균 및 바이러스 저감 효과가 있으며 시설 내부 근무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광산화 램프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흡입 덕트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상단에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가 설치되는 UV 광산화 램프(110); UV 광산화 램프(110)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내는 물 분사 노즐(120);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방출되는 185nm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130); 및 호퍼 게이트(11)의 광산화 혼합가스를 흡입하여 스크러버스텍으로 배출하는 에어 석션 덕트(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 악취 제거 호퍼 챔버장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구성 요소 차례대로 설명한다.
UV 광산화 램프(110)는 자외선을 방출한다. UV 광산화 램프(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저장조인 호퍼 장치 내 안쪽 빈 공간에 설치된다. UV 광산화 램프(110)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상단에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가 설치된다.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UV 광산화 램프(110)를 동작시킨다.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는 상단에 배치되어 호퍼 덮개(13)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는 UV 광산화 램프(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여 UV 광산화 램프(1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는 호퍼 덮개(13) 외부로 노출되어 습기나 오염물질이 묻지 않도록 한다.
UV광산화 램프(110)는 공기 정화를 위해 계속 동작한다.
물 분사 노즐(120)은 UV 광산화 램프(110)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낸다.
물 분사 노즐(120)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UV 광산화 램프(110)를 청소한다.
초음파 가습기(130)는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방출되는 185nm 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간헐적으로 분사한다. 초음파 가습기(130)는 물 분자 분사로 수증기와 같은 효과를 낸다.
에어 석션 덕트(140)는 호퍼 게이트(11)의 공기를 흡입하여 스크라바 팬 스텍으로 배출한다. 에어 석션 덕트(140)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호퍼 장치 덮개 중앙에 위치한다. 에어 석션 덕트(140)는 호퍼 게이트(11)를 통해 밖으로 유기성 폐기물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호퍼 내부를 음압상태로 유지한다. 호퍼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이송하고 연결된 석션 덕트를 통해 다른 장치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집 이동하면서 기 발생된 산소이온, 오존, 라디칼 등과 접촉하여 악취를 산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UV 광산화 램프(110)가 동작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초음파 가습기(130)가 물 분자를 분사하여 라디칼을 생성하고, 물 분사 노즐(120)이 UV 광산화 램프(110)에 흡착된 소금기를 씻어 내고, 에어 석션 덕트(140)가 호퍼 게이트(11)의 공기를 흡입한다. UV 광산화 램프(110)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 광산화 램프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UV 광산화 램프(110)가 설치되는 위치, 설치 형태 및 동작을 설명한다.
UV 광산화 램프(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UV 광산화 램프(110)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상단에 전기 접속단자(12)를 노출하며 설치된다. UV 광산화 램프(110)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호퍼(저장조) 게이트(11)로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과 닿지 않도록 한다. UV 광산화 램프(110)는 호퍼 장치 안쪽 빈공간에 설치된다.
설치 형태를 살펴보면, UV 광산화 램프(110)는 185, 234.7 나노 미터 자외선을 방출한다.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은 눈에 닿으면 각막과 망막을 손상시키므로 호퍼게이트(11)에 이격되어 호퍼 장치(10) 안쪽 구석에 설치된다.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호퍼게이트(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UV광산화 램프(110)에서 동시 발생되는 2가지 파장을 이용하여 악취제거 소독능력을 이용한다.
동작을 살펴보면, UV 광산화 램프(110)는 185, 253 나노미터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먼저, 185nm 자외선은 산소에 흡수되어 산소이온 및 오존을 발생한다.
오존은 호퍼(저장조) 내부 수증기와 반응하여 OH 라디칼을 발생한다.
* O3 + H2O = OH 라디칼(수산기)
* H2O(안개상태) + 185nm = OH라디칼(수산기)를 형성한다.
라디칼은 악취와 반응 속도가 빠르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 된다.
그리고 254nm는 강력한 살균선으로 호퍼내부 부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빠르게 사멸시키고 기 발생된 오존에 흡수되어 수산기(OH 라디칼)을 만들어 살균 및 악취 제거가 연속된다. * O3 + 254nm = OH라디칼
UV 광산화 램프(11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흡착된 물이 아래로 떨어지게 구성된다. UV 광산화 램프(110)는 가로로 설치되지 않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단 전기 접속단자(12)에 물기에 누전이 되지 않도록 하고 물기가 묻었을 때 물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물 분사 노즐(120)의 설치 형태와 동작을 설명한다.
동작을 살펴보면, 물 분사 노즐(120)은 UV 광산화 램프(110)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낸다. 설치 형태는, 물 분사 노즐(120)은 UV 광산화 램프(110)를 따라 다수 개의 노즐을 배치한다.
물 분사 노즐(120)은 일정 주기로 세팅된 타이머 동작으로 물 분사 동작과 정지를 반복하거나 수동으로 기동/정지를 할 수 있다.물 분사 노즐(120)은 일정 시간 동안 물 분사로 램프표면의 소금기를 제거하여 광 투과효율을 높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초음파 가습기(130)의 동작과 효과를 설명한다.
동작을 살펴보면, 초음파 가습기(130)는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분사한다. 초음파 가습기(130)의 운전은 트윈타이머로 정기적 온/오프한다. 설치 위치는, UV광산화램프(110) 주변에 안개분무 또는 초음파 가습 분사구가 설치된다.
초음파 가습기(130) 동작에 의해 미세 수증기와 오존이 만나 OH 라디칼을 발생한다.
오존은 수증기와 잘 반응하는 특성을 가진다.
O3+H2O=-OH 그리고 물분자는 185nm를 흡수하여 OH라디칼을 만들어낸다.
악취물질 + OH라디칼 = CO2+ H2O 악취물질과 라디칼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발생한다.
초음파 가습기(130)는 UV 광산화 램프(110) 표면의 부착 소금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130)와 반응한 OH 라디칼은 저렴한 비용으로 악취가스를 산화시키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저감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석션 덕트가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에어 석션 덕트(140)의 동작과 설치 위치를 설명한다.
동작을 살펴보면, 에어 석션 덕트(140)는 호퍼게이트(11)의 공기를 흡입하여 스크러버스텍으로 배출한다. 설치 위치는, 에어 석션 덕트(140)는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호퍼 장치 덮개 중앙에 위치한다.
에어 석션 덕트(140)에 흡입된 공기는 라디칼과 유기성 폐기물 악취입자가 혼합되어 공기 정화가 발생한다. 에어 석션 덕트(140)를 거친 공기는 팬, 스크라바스텍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최종 배출구 측정 결과 암모니아 농도는 환경 기준이 50ppm이며 기존 80ppm 에서 6.68ppm으로 떨어졌다(인도페놀법). 암모니아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어 악취 제거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악취가 획기적으로 저감되어 주변지역 민원억제와 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호퍼(저장조) 게이트 12: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
110: UV 광산화 램프 120: 물 분사 노즐
130: 초음파 가습기 140: 에어 석션 덕트

Claims (2)

  1. 저장조인 호퍼 상단 외부로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를 노출하며 호퍼 게이트(11)에 이격되어 상기 호퍼 장치 안쪽에 설치되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상기 호퍼 게이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UV광산화 램프(110);
    상기 UV 광산화 램프(110)에 흡착되는 소금기를 씻어내는 물 분사 노즐(120);
    상기 UV 광산화 램프(11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반응하는 물 분자를 분사하는 초음파 가습기(130); 및
    상기 호퍼게이트(11)의 공기를 흡입하여 스크러버스텍으로 배출하는 에어석션 덕트(140)를 포함하고,
    상기 UV광산화 램프(110), 상기 물 분사 노즐(120) 및 상기 초음파 가습기(130)는 반응챔버로 이용되는 상기 호퍼 상부 빈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UV 광산화 램프(110)는 185nm, 254nm 자외선을 방출하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흡착된 물이 아래로 떨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전기 안정기 접속단자(12)는 외부에, 상기 UV 광산화 램프(110)는 호퍼 내부에 설치되어 호퍼 내부 빈공간을 반응챔버로 이용하여 악취제거 효율을 높이고,
    상기 물 분사 노즐(120)은 상기 UV 광산화 램프(110)를 따라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동작하고 정지를 반복하고,
    상기 에어 석션 덕트(140)는 상기 호퍼 게이트(11)를 통해 밖으로 유기성 폐기물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를 흡입하여 호퍼 내부를 음압상태로 유지하고, 호퍼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이송하고 연결된 에어 석션 덕트(140)를 통해 다른 장치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집 이동하면서 기 발생된 산소이온, 오존, 라디칼과 접촉하여 악취를 산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185nm 자외선은 산소에 흡수되어 산소이온 및 오존을 발생하고,
    상기 오존은 호퍼 내부 수증기와 반응하여 OH 라디칼을 발생하고,
    * O3 + H2O = OH 라디칼
    * H2O(안개상태) + 185nm = OH 라디칼을 형성하고,
    라디칼은 악취와 반응 속도가 빠르고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 되고,
    그리고 상기 254nm 자외선은 강력한 살균선으로 호퍼내부 부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고 기 발생된 오존에 흡수되어 OH 라디칼을 만들어 살균 및 악취 제거가 연속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2. 삭제
KR1020160006879A 2016-01-20 2016-01-20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10179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79A KR101793497B1 (ko) 2016-01-20 2016-01-20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79A KR101793497B1 (ko) 2016-01-20 2016-01-20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189A KR20170087189A (ko) 2017-07-28
KR101793497B1 true KR101793497B1 (ko) 2017-11-03

Family

ID=5942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879A KR101793497B1 (ko) 2016-01-20 2016-01-20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4870A (ja) * 2018-11-06 2020-05-2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気体処理装置
CN109603429B (zh) * 2018-11-14 2021-03-05 惠州宇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原料空气预处理方法
JP2021023708A (ja) * 2019-08-08 2021-02-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ガス処理装置、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ガス処理方法
KR102213503B1 (ko) * 2019-09-09 2021-02-08 주식회사 상운테크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40Y1 (ko) 2002-02-22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공기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40Y1 (ko) 2002-02-22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공기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189A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55B1 (ko)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KR10216079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0542085B1 (ko)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2402701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20070046281A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20140068537A (ko)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
JP2008036513A (ja) ガス処理ユニットおよび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20150061810A (ko) Uv led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20120021828A (ko) 광산화 공정을 이용한 축산분뇨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636421B1 (ko) 순환형 대기처리장치
KR20180132290A (ko) 가습과 자외선에 의한 살균 및 광촉매와 전기집진기능을 겸비한 공기살균기
JP2016087075A (ja) 空気清浄装置
CN210145155U (zh) 一种光触媒杀菌除臭器
KR20110004617A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KR100550088B1 (ko) 광촉매 필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10934400U (zh) 一种多功能复合型离子除臭机
KR20030072095A (ko) 광촉매 멸균장치를 부가한 음이온 공기청정기
JP2006204683A (ja) 化学汚染物質、特定悪臭成分や細菌類などの分解除去装置
KR20010035168A (ko) 탈취기
WO2020095835A1 (ja) 気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