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78B1 -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78B1
KR102063478B1 KR1020190065898A KR20190065898A KR102063478B1 KR 102063478 B1 KR102063478 B1 KR 102063478B1 KR 1020190065898 A KR1020190065898 A KR 1020190065898A KR 20190065898 A KR20190065898 A KR 20190065898A KR 102063478 B1 KR102063478 B1 KR 10206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inner tube
reactor
gas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위
Priority to KR102019006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5/00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응조 내부에서 이산화염소가스와 악취가스가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후처리 설비 없이 과잉 이산화염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 외벽(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악취가스를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악취가스 주입관(2)과,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과, 반응조 외벽(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관과, 상기 내관과 내관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방해판과, 반응조의 최상부 내관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기(15)와, 반응조 지붕(1b)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정화된 청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청정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MALODOR USING CHLORINE DIOXIDE GAS AND REMOVING EXCESSIVE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의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인믹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완전히 혼합되도록 하여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하고,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청정기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ClO2)는 독특한 냄새를 가진 녹색의 가스로서, 냉각하면 황적색의 액체로 변한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발생기 산소에 의한 강력한 산화력으로 살균소독은 물론, 악취제거에 아주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19세기 초에 개발되었는데, 초창기에는 매우 불안정한 기체라는 이유로, 펄프나 가죽의 표백, 살균제 및 방부제 등에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제조방법 및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독성 무기물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의류표백,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일반적인 염소계 물질인 락스류보다 산화력이 약 2.5배 강하고, 자극 취기가 없는 강력한 소취작용 및 살균 소독작용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방향제나 탈취제와 달리, 악취,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일부 공해물질 등을 근원적으로 산화 및 분해하기 때문에, 쾌적하고 건강에 좋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중의 망간, 철분 등의 중금속을 산화, 침전시키며, 용존산소를 증가시켜 신선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종래의 염소계 물질과 달리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 클로로아민, 클로로페놀 등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산소계 산화제이기 때문에, 희석하여 사용하면 인체나 동물에 해가 없고, 기존의 염소계 살균 소독제에 비해 부식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식품 제조공장, 정수장, 하수 종말처리장 등에서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약 8~10%로 희석하여 소독 및 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염소는, 케이크 및 카스텔라 제조용 소맥분 이외의 식품에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FAO/WHO 전문위원회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1일 허용섭취량(ADI)을 소맥분일 경우 30.0mg/kg으로 권고하고 있는데, 상기 이산화염소가 공기 중에서 45ppm 노출되면 눈이나 코에 자극이 심하게 되고, 350ppm 이상 노출되면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다음과 같은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악취물질 냄새의 특성 악취 원인 물질
황화합물 양파, 양배추 썩는 냄새 메틸머캅탄(CH3SH), 이황화메틸
계란 썩는 냄새 황화수소(H2S)
질소화합물 분뇨냄새 암모니아(NH3), 에틸아민(CH3CH2NH2)
생선 썩는 냄새 메틸아민(CH3NH2), 트라이메틸아민((CH3)N)
알데히드류 자극적이며 시큼하고 타는듯한 냄새 아세트알데히드(CH3CHO), 프로피온알데히드 등
곰팡이류 곰팡이과 균류에 대한 악취제거
세균류 악취를 발생시키는 세균류에 대한 악취제거
그리고 이산화염소는 세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살균력이 있다.
살균가능 주요 세균 측정농도
(ppm)
소멸시간 소멸율
장염 비브리오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
바실러스 세레오스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
시겔라 플렉스네라군 (이질/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
리스테리아균(식중독) 10 60초(10초 이내) 99.9%
대장균(식중독) 1 10초 미만 99.9%
황색포도상구균 1 10초 미만 99.9%
또한 이산화염소는 다음과 같이 세균-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살균가능 주요 바이러스 측정농도
(ppm)
소멸시간 소멸율
살모넬라 1 10초 미만 99.9%
쉬겔라 1 10초 미만 99.9%
녹농균 1 30초 미만 99.9%
슈퍼박테리아 1 제균 99.9%
신종플루(H1N1) 3 멸균 99.9%
병원성대장균(O-157/식중독균) 1 60초(10초 이내) 99.9%
상기 이산화염소를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아염소산나트륨과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 또는 황산(무기산)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산하는 경우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ClO2 + NaClO + 2HCl -> 2ClO2 + 3NaCl + H2O
2NaClO2 + NaClO + 2H2SO4 -> 2ClO2 + NaCl + Na2SO4 + H2O
그리고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산하는 경우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ClO3 + 4HCl -> 2ClO2 + 2NaCl + Cl2 + 2H2O
그리고 염소산나트륨과 염소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산하는 경우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ClO3 + Cl2 -> 2ClO2 + 2NaCl
그리고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 또는 황산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산하는 경우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5NaClO2 + 4HCl -> 4ClO2 + 5NaCl + 2H2O
2NaClO2 + 2H2SO4 -> 4ClO2 + NaCl + 2Na2SO4 + 2H2O
위와 같이 생산된 이산화염소가스는, 악취물질에서 발생하는 악취(이하 '악취가스'라 한다)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종래의 악취 제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악취 제거장치는, 하부 혼합부(121)와, 상기 하부 혼합부(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라인믹서부(122)와, 상기 라인믹서부(1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저장부(123)와, 상기 상부 저장부(123)의 단부에 구비되는 처리가스 배출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혼합부(121)는, 혼합조로 공급되는 악취가스 및 이산화염소가스가 혼합되면서 악취가 제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그 하부에는 악취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악취가스 주입관(121a)과, 이산화염소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121b)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믹서부(111)에는 원통형의 라인믹서(Line Mixer)가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라인믹서는 파이프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별도의 동력공급이 없이 유체를 혼합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악취 제거장치는, 하부 혼합부(121)의 하부에서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를 수평방향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혼합부(121)에서 상기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의 혼합성이 낮고,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채 상기 라인믹서부로 공급되어 반응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즉 라인믹서 내부에서는 두 기체가 잘 혼합이 되나, 라인믹서로 유입되기 전에는 두 기체가 완전히 혼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악취 제거장치는, 각각의 라인믹서(122a)로 유입되는 혼합가스의 부피비율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의 반응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반응조 내부에서 악취가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악취가스보다 이산화염소가스의 양을 더 많이 공급해야 한다.
즉 악취가스보다 이산화염소가스를 과잉으로 공급해야만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이산화염소를 과잉으로 공급하게 되면, 과잉 이산화염소가스가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악취 제거방식에서는,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기체를 세정탑 등과 같은 별도의 후처리 설비에서 정화한 후에 대기 중으로 배출하고 있다.
KR 10-0713615 B1 KR 10-0762221 B1 KR 20-2018-0002222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반응조 내부에서 이산화염소가스와 악취가스가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조 내부에서 이산화염소가스와 악취가스가 충분히 반응하도록 하여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응조 내부에서 악취 제거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대기 중으로 청정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고가의 라인믹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 제거과정에서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를 완벽하게 처리하여 대기 중으로 청정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 설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 외벽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악취가스를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악취가스 주입관과,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과, 반응조 외벽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관과, 상기 내관과 내관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방해판과, 반응조의 최상부 내관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기와, 반응조 지붕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정화된 청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청정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은, 반응조 외벽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최하부 내관과 반응조 외벽 사이의 공간으로 악취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은,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악취가스보다 먼저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관의 하단은 반응조 바닥판 또는 방해판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내관의 상단은 지지판에 의해 내관과 반응조 외벽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관 중 최하부 내관의 길이는 상부의 내관들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의 방해판은, 하부에 구비되는 내관 출구의 내경 및 상부에 구비되는 내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의 방해판은, 수평으로 구비되는 방해판 지지대에 의해 반응조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의 방해판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방해판 지지대에 의해 하부에 구비되는 내관 지지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기는 최상부 내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염소가스와 악취가스가 완전히 혼합되도록 하여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악취가스를 청정 공기로 정화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취가스보다 많이 투입되는 과잉의 이산화염소를 자외선에 의해 제거하여 대기 중으로 청정 공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악취 제거장치에서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배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후처리 설비가 필요 없으므로 악취 제거장치의 제작비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의 반응조로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과잉의 이산화염소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고가의 라인믹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응조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반응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처리장치의 운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반응조 내부에 내관이 4개, 방해판이 3개 구비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 외벽(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악취가스를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악취가스 주입관(2)과,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과, 반응조 외벽(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관과, 상기 내관과 내관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방해판과, 반응조의 최상부 내관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기(15)와, 반응조 지붕(1b)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정화된 청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청정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반응조 외벽(1)의 내부에 복수의 내관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된다.
도 2에는 반응조 내부에 제1 내관(4), 제2 내관(7), 제3 내관(10) 및 제4 내관(13)이 구비되고, 상기 내관들 사이에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내관 및 방패판의 개수는 반응조의 크기 및 처리용량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은, 반응조 외벽(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최하부 내관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으로 악취가스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은, 반응조 외벽(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서로 혼합되면서 반응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악취가스보다 이산화염소가스를 먼저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악취가스가 이산화염소와 혼합되지 않은 해 반응조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관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하단은 반응조 바닥판(1a) 또는 방해판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단은 지지판에 의해 내관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관 중 최하부 내관인 제1 내관(4)의 길이는, 그 상부의 제2 내관(7), 제3 내관(10), 제4 내관(13)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반응조의 하부에서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충분히 혼합 및 반응한 후 상부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의 반응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은, 그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출구(4a), 제2 출구(7a) 및 제3 출구(10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출구(4a), 제2 출구(7a) 및 제3 출구(10a)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는, 곧바로 제2 내관(7), 제3 내관(10) 및 제3 내관(13)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에 먼저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충분히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은, 그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 내관(7), 제3 내관(10) 및 제3 내관(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은,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1 방해판 지지대(6a), 제2 방해판 지지대(9a) 및 제3 방해판 지지대(12a)에 의해 반응조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해판(6), 제2 방해판(9) 및 제3 방해판(12)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직으로 설치되는 방해판 지지대에 의해 제1 지지판(5), 제2 지지판(8) 및 제3 지지판(10)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반응조의 상부에 투시창(도시 생략)을 설치하여, 반응조 내부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외선 발생기(15)는, 최상부 내관인 제4 내관(13)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내관(13)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기(15)에 의해, 반응조 내부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이산화염소가스는 자외선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광학적 분해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산화염소가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외선 발생기(15) 의해 과잉의 이산화염소를 분해한 후에 대기 중으로 방출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의 작용 효과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반응조의 내부에 내관이 4개, 내관들 사이에 방해판이 3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을 통해 이산화염소가스를 주입하고, 이어서 악취가스 주입관(2)을 통해 악취가스를 주입한다.
그러면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는, 제1 지지판(5) 및 제1 내관(4)의 외주면에 부딪힌 다음 하부로 유동하면서 서로 혼합되고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혼합되는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이하 '혼합 기체'라 한다)는, 반응조의 바닥판(1a)에 부딪히면서 흐름이 바뀌게 되고, 이어서 제1 내관(4)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를 향해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내관(4)을 통과하여 상부로 유동한 혼합 기체는, 제1 방해판(6)에 부딪혀 다시 흐름이 바뀌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기체는, 제1 방해판(6)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유동한다.
상기 혼합 기체는, 제2 지지판(8)에 부딪히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 후, 제2 내관(7)의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제2 내관(7)을 통과하여 상부로 유동한 혼합 기체는, 제2 방해판(9)에 부딪히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 후, 제2 방해판(9)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유동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 기체는, 제3 지지판(11)에 부딪히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 후, 제3 내관(10)의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제3 내관(10)을 통과하여 상부로 유동한 혼합 기체는, 제3 방해판(12)에 부딪히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 후, 제3 방해판(12)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유동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 기체는, 반응조 지붕(1)에 부딪히면서 다시 혼합되고 반응한 후, 제4 내관(13)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혼합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과잉의 이산화염소는, 자외선 발생기(15)에 의해 분해된다.
이에 따라 악취가 제거되는 동시에 반응조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과잉의 이산화염소도 제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복수의 내관 및 방해판의 구조에 의해, 단일의 반응조에서 고가의 라인 믹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완전히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의 단일 반응조에 의해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후처리 설비 없이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악취 처리장치의 제작비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가 있고,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반응조 외벽 1a: 바닥판
1b: 지붕 2: 악취가스 주입관
3: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 4: 제1 내관
4a: 제1 출구 5: 제1 지지판
6: 제1 방해판 6a: 제1 방해판 지지대
7: 제2 내관 7a: 제2 출구
8: 제2 지지판 9: 제2 방해판
9a: 제2 방해판 지지대 10: 제3 내관
10a: 제3 출구 11: 제3 지지판
12: 제3 방해판 12a: 제3 방해판 지지대
13: 제4 내관 14: 배출구
15: 자외선 발생기

Claims (9)

  1.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응조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 외벽(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악취가스를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는 악취가스 주입관(2)과,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에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과,
    반응조 외벽(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내관과,
    상기 내관과 내관 사이에 구비되는 원형의 방해판과,
    반응조의 최상부 내관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기(15)와,
    반응조 지붕(1b)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정화된 청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청정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하고,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은,
    반응조 외벽(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최하부 내관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으로 악취가스를 공급하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주입관(3)은,
    상기 악취가스 주입관(2)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이산화염소가스를 악취가스보다 먼저 반응조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내관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관의 하단은 반응조 바닥판(1a) 또는 방해판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내관의 상단은 지지판에 의해 내관과 반응조 외벽(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관 중 최하부 내관의 길이는 상부의 내관들보다 길게 형성되어, 반응조의 하부에서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스가 충분히 혼합 및 반응한 후 상부로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원형의 방해판은, 하부에 구비되는 내관 출구의 내경 및 상부에 구비되는 내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수평으로 구비되는 방해판 지지대에 의해 반응조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자외선 발생기(15)는, 최상부 내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반응조 내부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65898A 2019-06-04 2019-06-04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KR10206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8A KR102063478B1 (ko) 2019-06-04 2019-06-04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8A KR102063478B1 (ko) 2019-06-04 2019-06-04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478B1 true KR102063478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98A KR102063478B1 (ko) 2019-06-04 2019-06-04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79A (ko) 2019-12-18 2021-06-28 오미영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2291300B1 (ko) * 2021-03-08 2021-08-20 (주)새롬환경기술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6780A (ko) 2020-05-08 2021-11-17 오미영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15B1 (ko) 2006-04-05 2007-05-02 유림엔마텍(주)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762221B1 (ko) 2006-08-03 2007-10-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축분 퇴비화시설에서의 악취제거장치
JP2008284547A (ja) *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KR101396537B1 (ko) * 2013-05-02 2014-05-20 (주)리엔텍엔지니어링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537029B1 (ko) * 2013-06-18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엠아이 이산화염소가스 처리구조, 이산화염소가스 처리장치, 멸균장치 및 환경정화장치
KR101730031B1 (ko) * 2016-02-26 2017-04-25 정재억 아토마이징 장치
KR20180002222U (ko) 2017-01-12 2018-07-20 김창곤 이산화염소 초미립자를 이용한 청소차의 악취제거 및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15B1 (ko) 2006-04-05 2007-05-02 유림엔마텍(주)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762221B1 (ko) 2006-08-03 2007-10-0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축분 퇴비화시설에서의 악취제거장치
JP2008284547A (ja) * 2007-04-19 2008-11-27 Imex Co Ltd 脱臭装置
KR101396537B1 (ko) * 2013-05-02 2014-05-20 (주)리엔텍엔지니어링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537029B1 (ko) * 2013-06-18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엠아이 이산화염소가스 처리구조, 이산화염소가스 처리장치, 멸균장치 및 환경정화장치
KR101730031B1 (ko) * 2016-02-26 2017-04-25 정재억 아토마이징 장치
KR20180002222U (ko) 2017-01-12 2018-07-20 김창곤 이산화염소 초미립자를 이용한 청소차의 악취제거 및 소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79A (ko) 2019-12-18 2021-06-28 오미영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20210136780A (ko) 2020-05-08 2021-11-17 오미영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악취와 부착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291300B1 (ko) * 2021-03-08 2021-08-20 (주)새롬환경기술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478B1 (ko)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KR101833534B1 (ko) 양액 재배 시스템과 제균 정화용 수처리 장치
US7972564B2 (en)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EP1986703B1 (en) System for removal of airborne contaminants
KR101793957B1 (ko) 이산화염소가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037029B1 (ko)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WO20070797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otocatalytic removal of organic halogens by reduction
CA2475443C (en) Method for sterilisation and clea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particular in swimming and bathing pool uni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same
CN103503922A (zh) 一种用于医院污水消毒的消毒粉剂
KR102002501B1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제거방법
KR102002506B1 (ko)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11198968B2 (en) Washing systems
KR101615515B1 (ko) 촉매산화 복합 탈취기
KR20190066102A (ko) 반응 가스의 연속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91292B1 (ko) 이산화염소 제조시 발생되는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552978B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CN210012589U (zh) 一种二氧化氯复合消毒剂发生器
KR200416967Y1 (ko) 상수도관의 오염 및 부식 방지장치
JP2006204683A (ja) 化学汚染物質、特定悪臭成分や細菌類などの分解除去装置
JP2731125B2 (ja) オゾンの除去方法
KR200344145Y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KR102043235B1 (ko) 정화조 시스템
CN218909872U (zh) 一种气态二氧化氯发生器
CN2726606Y (zh) 一种电解式强氧化混合气体消毒机
KR200369345Y1 (ko) 가축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