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300B1 -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300B1
KR102291300B1 KR1020210029901A KR20210029901A KR102291300B1 KR 102291300 B1 KR102291300 B1 KR 102291300B1 KR 1020210029901 A KR1020210029901 A KR 1020210029901A KR 20210029901 A KR20210029901 A KR 20210029901A KR 102291300 B1 KR102291300 B1 KR 10229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gas
odorous substances
odor
mix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새롬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롬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새롬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21002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10), (b)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S20), (c)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S30 단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31), (e) 응축수와 분리된 혼합기체를 충진층을 통과시키면서 이산화염소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S40), (f) 상기 S40 단계 이후, 혼합기체를 가열하여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단계(S50), (g) 이산화염소가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REMOVING METHOD OF BAD ORDOR AND EXESSIVE CHLORINE DIOXIDE IN BAD ORDOR SUBSTANCE CONTAINING STEAM AND REMO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에 대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여 청정한 기체상태로 배출하도록 한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등의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
또한 "지정악취물질"이라 함은,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하며, 기기분석법으로 측정하여 그 농도를 ppm(part per million)으로 표시한다.
상기 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은, 악취방지법 시행규칙 별표 3에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
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기준
구분 배출허용기준
(ppm)
엄격한 배출허용 기준의 범위(ppm) 적용시기
공업지역 기타 지역 공업지역
암모니아 2 이하 1 이하 1 ~ 2 2005년
2월 10일부터
메틸메르캅탄 0.004이하 0.002 이하 0.002 ~ 0.004
황화수소 0.06 이하 0.02 이하 0.02 ~ 0.06
다이메틸설파이드 0.05 이하 0.01 이하 0.01 ~ 0.05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0.03 이하 0.009 이하 0.009 ~ 0.03
트라이메틸아민 0.02 이하 0.005 이하 0.005 ~ 0.02
아세트알데하이드 0.1 이하 0.05 이하 0.05 ~ 0.1
스타이렌 0.8 이하 0.4 이하 0.4 ~ 0.8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1 이하 0.05 이하 0.05 ~ 0.1
뷰틸알데하이드 0.1 이하 0.029 이하 0.029 ~ 0.1
n-발레르알데하이드 0.02 이하 0.009 이하 0.009 ~ 0.02
i-발레르알데하이드 0.006이하 0.003 이하 0.003 ~ 0.006
톨루엔 30 이하 10 이하 10 ~ 30 2008년
1월
1일부터
자일렌 2 이하 1 이하 1 ~ 2
메틸에틸케톤 35 이하 13 이하 13 ~ 35
메틸아이소뷰틸케톤 3 이하 1 이하 1 ~ 3
뷰틸아세테이트 4 이하 1 이하 1 ~ 4
프로피온산 0.07 이하 0.03 이하 0.03 ~ 0.07 2010년
1월
1일부터
n-뷰틸산 0.002이하 0.001 이하 0.001 ~ 0.002
n-발레르산 0.002이하 0.0009 이하 0.0009~0.002
i-발레르산 0.004이하 0.001 이하 0.001 ~ 0.004
i-뷰틸알코올 4.0 이하 0.9 이하 0.9 ~ 4.0
그리고 "악취배출시설"이란, 악취를 유발하는 시설, 기계, 기구, 그 밖의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복합악취"란,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는데, 이 복합악취는 관능법으로 측정하여 배수로 나타낸다.
상기 복합악취의 배출허용기준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규정되어 있다.
복합악취의 배출허용기준
구분 배출허용기준
(희석배수)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범위
(희석배수)
공업지역 기타 지역 공업지역 기타 지역
배출구 1000 이하 500 이하 500 ~ 1000 300 ~ 500
부지경계선 20 이하 15 이하 15 ~ 20 10 ~ 15
상기한 악취를 제거하는 방식으로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 세정탑을 이용하는 습식 처리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아래의 [표 3]은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처리와 세정탑에 의한 악취처리 방식을 비교한 것이다.
이산화염소에 의한 악취처리와 세정탑에 의한 악취처리의 비교표.
구분 이산화염소에 의한
악취처리
세정탑에 의한
악취처리
암모니아 0 0
메틸메르캅탄 0 0
황화수소 0 0
다이메틸설파이드 0 0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0 0
트라이메틸아민 0 0
아세트알데하이드 0 0
프로피온알데하이드 0 X
뷰틸알데하이드 0 X
n-발레르알데하이드 0 X
i-발레르알데하이드 0 X
스타이렌 * X
톨루엔 * X
자일렌 * X
메틸에틸케톤 * X
메틸아이소뷰틸케톤 * X
뷰틸아세테이트 * X
프로피온산 * 0
n-뷰틸산 * 0
n-발레르산 * 0
i-발레르산 * 0
i-뷰틸알코올 * X
(0: 제거효율 우수, *: 제거효율 보통, X: 제거효율 아주 미흡)
위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이산화염소는 지정악취물질 22가지 전부를 저감시킬 수가 있는 반면, 세정탑에 의한 습식처리방식은 일부 지정악취물질의 악취를 제거할 수가 없다.
즉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세정탑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는 악취 제거방식은, 기체상의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탁월하지만,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경우에는 악취제거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증기가 포함된 악취물질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투입하게 되면, 이산화염소 가스가 증기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로 되어 악취제거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를 과잉으로 공급하게 되는 경향이 되고, 이렇게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가스는 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 측정시 희석배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악취에 대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가축분뇨 처리장,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들은 대부분 증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및 반응을 촉진하여 악취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기가 포함된 악취물질에서 응축수를 분리하여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10), (b)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S20), (c)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S30 단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31), (e) 응축수와 분리된 혼합기체를 충진층을 통과시키면서 이산화염소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S40), (f) 상기 S40 단계 이후, 혼합기체를 가열하여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단계(S50), (g) 이산화염소가 제거된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10 단계에서,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을 이용하여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및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 단계에서, 그물망 형태로 구성된 응축판을 이용하여 혼합기체에 포함된 증기를 액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0 단계에서, 충진층의 하부에서 2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고, 충진층의 상부에서 3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혼합 및 응축부와, 상기 혼합 및 응축부를 통과한 혼합가스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추가로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와,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한 후 연도로 배출하는 가열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및 응축부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기체흐름 방해판과,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의 하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되는 냉각파이프와, 상기 냉각파이프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응축판과, 상기 응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은, 판상의 형태로서 복수의 방해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판은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는, 응축수가 일측으로 모이도록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고, 응축수 유출구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는, 응축수가 제거된 혼합가스가 통과되도록 하는 충진층과, 상기 충진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이산화염소주입구와, 상기 충진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이산화염소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층은, 일정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및 배출부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을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하는 가열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에 의해,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및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장치와 응축판에 의해 증기가 포함된 악취물질에서 응축수를 분리하여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합기체가 내산성 충진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장치에 의해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여 배기가스가 청정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물질 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물질 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악취저감 및 이산화염소 제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10), (b)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S20), (c)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S30 단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31), (e) 응축수와 분리된 혼합기체를 충진층을 통과시키면서 이산화염소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S40), (f) 상기 S40 단계 이후, 혼합기체를 가열하여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단계(S50), (g) 이산화염소가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 단계에서는,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을 이용하여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즉 기체의 흐름이 방해판에 의해 180도 전환되도록 하여 혼합 및 반응을 촉진시킨다.
상기 S20 단계에서는,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혼합기체를 -10℃ ∼ 5℃ 범위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S30 단계에서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된 응축판을 이용하여 혼합기체에 포함된 증기를 액화시킨다.
이렇게 분리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후 일정 수위가 되면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된다.
상기 S40 단계에서는, 충진층의 하부에서 2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고, 충진층의 상부에서 3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잔존하는 악취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S50 단계에서는, 가열장치에 의해 혼합가스를 100℃ ~ 300℃로 가열하여 과잉으로 투입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혼합 및 응축부(A)와, 상기 혼합 및 응축부(A)를 통과한 악취가스와 이산화염소가 혼합된 기체(이하 간단히 '혼합가스'라 한다)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추가로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와,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한 후 연도(14)로 배출하는 가열 및 배출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합 및 응축부(A)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기체흐름 방해판(4)과,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4)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각파이프(5)와, 상기 냉각파이프(5)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응축판(6)과, 상기 응축판(6)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저장탱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4)은, 판상의 형태로서 복수의 방해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4)의 하부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냉각파이프(5)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파이프(5)는 냉각장치(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혼합기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혼합가스를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장치는 증기압축식 냉매 사이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냉각파이프(5)의 하부에는 그물망 형태의 응축판(6)이 복수로 구비되어 응축수가 쉽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응축판(6)의 하부에는 응축수 저장탱크(7)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7)는, 응축수가 일측으로 모이도록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데, 응축수 저장탱크의 경사는 높이 대 길이의 비가 1 : 100 ~ 3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7)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수 유출구(8)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는, 응축수가 제거된 혼합가스가 통과되도록 하는 충진층(10)과, 상기 충진층(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이산화염소주입구(9)와, 상기 충진층(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이산화염소주입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층(10)은, 일정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및 배출부(C)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12)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12)을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하는 가열파이프(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파이프(13)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가열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가열되어 과잉으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한다. 상기 가열파이프(13)는 다양한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제거장치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거장치는 2조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악취를 저감시키고 과잉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가스를 제거장치의 혼합 및 주입구(A) 왼쪽 상부에 구비된 악취가스 주입구(2)를 통해 주입하고,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1 이산화염소 주입구(3)를 통해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가 서로 혼합되어 반응하면서 1차적으로 악취가 제거된다.
이때 상기 혼합가스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4)에 의해 기체의 흐름이 변화된다. 이로써 혼합 및 반응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가스는, 냉각파이프(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응축판(6)을 통과하면서 증기성분이 응축된다.
이렇게 응축된 응축수는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응축수 저장탱크(7)에 저장되고, 일정 수위가 되면 U자형으로 구성된 응축수 유출구(8)를 통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응축수는 재활용수로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응축수가 제거된 혼합가스는, 건조가스 상태가 되어 혼합 및 응축부(A) 와 연결된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로 공급된다.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하부의 제2 이산화염소주입구(9)를 통해 2차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와 반응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충진층(10)을 통과한 후에는 제3 이산화염소주입구(11)를 통해 3차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와 다시 반응하면서 다시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혼합가스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일정 크기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된 충진층(10)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혼합 및 반응을 더욱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를 통과한 혼합가스는 가열 및 배출부(C)로 공급된다.
상기 가열 및 배출부(C)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수평으로 구비된 기체흐름 방해판(12)를 통과하면서 미반응한 악취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이산화염소만 남게 된다.
이어서 상기 혼합가스는, 가열파이프(13)와의 열교환에 의해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가 제거되고, 이렇게 처리된 청정가스는 연도(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방식은, 가스상태의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게 되면, 증기에 의해 액상의 이산화염소수가 생성되어 악취제거 효율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기가 포함된 악취물질에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반응시킨 후, 냉각장치에 의해 증기를 응축수로 변환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가 기체흐름 방해판을 통과하면서 충분히 혼합 및 반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응축수를 깨끗하게 만들어 재활용수로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응축수가 제거된 혼합가스를 충진층을 통과시키면서 2차 및 3차에 걸쳐 이산화염소 가스를 추가로 공급한다. 이로써 충분한 반응에 의해 악취물질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혼합가스가 충진층을 통과하도록 한 후 다시 기체흐름 방해판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잔존 악취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과잉으로 투입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가열장치에 의해 제거하여 청정한 가스만을 연도를 통해 대기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악취 저감장치 2: 악취가스 주입구
3: 제1 이산화염소 주입구 4: 기체흐름 방해판
5: 냉각파이프 6: 응축판
7: 응축수 저장탱크 8: 응축수 유출구
9: 제2 이산화염소주입구 10: 충진층
11: 제3 이산화염소주입구 12: 기체흐름 방해판
13: 가열파이프 14: 연도
A: 혼합 및 응축부 B: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
C: 가열 및 배출부

Claims (12)

  1.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 1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10),
    (b)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S20),
    (c) 증기를 포함한 혼합기체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S30),
    (d) 상기 S30 단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31),
    (e) 응축수와 분리된 혼합기체를 충진층을 통과시키면서 이산화염소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S40),
    (f) 상기 S40 단계 이후, 혼합기체를 가열하여 과잉으로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단계(S50),
    (g) 이산화염소가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S40 단계에서, 충진층의 하부에서 2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고, 충진층의 상부에서 3차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에서,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을 이용하여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에서, 그물망으로 구성된 응축판을 이용하여 혼합기체에 포함된 증기를 액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4. 삭제
  5.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에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과잉으로 투입되는 이산화염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악취물질과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고 증기를 응축시키는 혼합 및 응축부(A)와,
    상기 혼합 및 응축부(A)를 통과한 혼합가스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추가로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와,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를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한 후 연도(14)로 배출하는 가열 및 배출부(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산화염소 추가공급부(B)는,
    응축수가 제거된 혼합가스가 통과되도록 하는 충진층(10)과,
    상기 충진층(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이산화염소주입구(9)와,
    상기 충진층(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 이산화염소주입구(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및 응축부(A)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기체흐름 방해판(4)과,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4)의 하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는 냉각파이프(5)와,
    상기 냉각파이프(5)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응축판(6)과,
    상기 응축판(6)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저장탱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4)은, 판상의 형태로서, 복수의 방해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판(6)은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탱크(7)는, 응축수가 일측으로 모이도록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고,
    응축수 유출구(8)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10. 삭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층(10)은, 일정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재질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배출부(C)는, 수평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기체흐름 방해판(12)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기체흐름 방해판(12)을 통과한 혼합가스를 가열하는 가열파이프(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를 포함한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KR1020210029901A 2021-03-08 2021-03-08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229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01A KR102291300B1 (ko) 2021-03-08 2021-03-08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01A KR102291300B1 (ko) 2021-03-08 2021-03-08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300B1 true KR102291300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01A KR102291300B1 (ko) 2021-03-08 2021-03-08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3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98B1 (ko) * 2008-12-02 2009-11-17 주식회사 이엔아이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6506B1 (ko) * 2010-06-14 2011-04-01 임병산 이중 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102000731B1 (ko) * 2019-04-26 2019-07-16 김진태 단일 반응조로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63478B1 (ko) * 2019-06-04 2020-01-08 주식회사 투위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98B1 (ko) * 2008-12-02 2009-11-17 주식회사 이엔아이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26506B1 (ko) * 2010-06-14 2011-04-01 임병산 이중 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KR102000731B1 (ko) * 2019-04-26 2019-07-16 김진태 단일 반응조로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63478B1 (ko) * 2019-06-04 2020-01-08 주식회사 투위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악취제거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102202651B1 (ko)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가열필터와 산,알카리용액을 사용하는 악취저감 시스템
KR101866818B1 (ko) 가축 분뇨 발효기에서 발생되는 고온습기 악취가스제거장치
KR102291300B1 (ko) 증기를 포함하고 있는 악취물질의 악취저감 및 과잉 이산화염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5175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fluid use and odor control in in-vessel composting systems
CN201613106U (zh) 填料式喷淋洗涤污水除臭装置
JP2539103B2 (ja) 燃焼排ガスの脱炭酸ガス装置及び方法
CN207680350U (zh) 一种造纸厂烘干部废气脱白除臭循环一体化设备
KR20110004607A (ko) 악취가스 탈취장치
CN201701849U (zh) 垂直流多级化学洗涤器
CN110813060A (zh) 一种死亡动物化制废气除臭系统
CN206935087U (zh) 一种uv光解废气净化设备
CN109772125A (zh) 一种造纸厂烘干部废气脱白除臭循环一体化设备
KR101889395B1 (ko) 산성, 알칼리성, 중성화합물 악취와 향 물질이 동시에 발생하는 냄새 및 악취제거 복합시스템
KR20070045572A (ko)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성가스 및 백연의 처리 방법과장치
KR20040059613A (ko) 가축사육장의 악취가스 제거장치
JP3560466B2 (ja) 生ごみ処理方法、及び、生ごみ処理装置
JP3510539B2 (ja) 堆肥化装置の臭気処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2491369B1 (ko) 가축퇴비제조시 발생되는 가축분뇨 악취방지 시스템의 퇴비부숙촉진장치
CN215654600U (zh) 一种处理垃圾恶臭气体的一体化装置
CN212198937U (zh) 一种采用膜工艺的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2491368B1 (ko) 가축퇴비제조시 발생되는 가축분뇨 악취방지 시스템
CN218422037U (zh) 一种VOCs治理装置
KR100446887B1 (ko) 악취 물질 제거용 죽초액 함유 조성물 및 장치
CN216295326U (zh) 一种垃圾集中处置用环保型中转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