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26A -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726A
KR20210136726A KR1020200055396A KR20200055396A KR20210136726A KR 20210136726 A KR20210136726 A KR 20210136726A KR 1020200055396 A KR1020200055396 A KR 1020200055396A KR 20200055396 A KR20200055396 A KR 20200055396A KR 20210136726 A KR20210136726 A KR 2021013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mobile terminal
ticket
charging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섭
양찬모
Original Assignee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래픽 (주) filed Critical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to KR102020005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726A/ko
Priority to US17/082,704 priority patent/US20210350341A1/en
Publication of KR2021013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95Proximity-based methods, e.g. position inferred from reception of particula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comprising adaptations for scanning a record carrier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screen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이 개시된다. 모바일 단말기가 교통수단에 인접하게 되면, 과금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발행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교통수단 내의 검지기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일회용 승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과금서버로 전송한다. 과금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과금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Method for collecting transportation fare with location-based mobile onetime tickets}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버스 또는 기차 등과 같은 대중 교통의 요금에 대한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로 일회용 티켓을 발행하여 이 티켓을 통해 교통 요금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버스 또는 기차 등과 같은 대중 교통의 요금에 대해 과금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대중 교통 요금에 대한 과금 방식은 크게 카드 기반 시스템(Card-based System)과 계좌 기반 시스템(Account-based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Card-based System 은 스마트 카드와 같은 IC 카드 내에 직접 현금을 충전하여 요금 지불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카드 충전기에 현금을 지불하고 충전을 하면 충전한 금액이 미리 선불로 카드에 입력되어, 카드를 이용하여 교통 요금 지불 시마다 선 충전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이다. 버스나 지하철의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기에 카드를 접근시키면 교통 요금의 차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Casd-based system 은 사용자가 만약 카드를 분실하면 이는 현금을 분실한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카드에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충전기가 지하철의 역사나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은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따라서 별도의 충전기를 제작에 따른 비용이 소모되고 충전기 설치 장소가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Account-based System 은 스마트 카드에 연결되어 있는 계좌에 사용자가 미리 입금을 하거나 이러한 스마트 카드에 다시 신용카드를 연결하여 신용카드에 의해 결제를 하는 방식이다. Account-based System 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Card-based System 에서 발생하는 단점이 없으나, 교통수단에 탑승하기 위하여 검지기에 카드를 인식시킬 때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카드의 유효성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하므로 만약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중 교통에 탑승할 수 있는 티켓을 QR 코드와 같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에 발행하여 주고 사용자가 대중 교통에 탑승할 때 모바일 단말기를 검지기에 접근시켜 QR 코드를 인식시키는 방식으로 교통 요금을 결제하는 방안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종이 형태의 티켓을 발행하는 번거로움이나 낭비가 없고, 또한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다니는 불편함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QR 코드 방식은 종이 티켓을 QR 코드로 변경한 정도의 역할 밖에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주로 탑승할 교통 수단 및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한 탑승 구간 등이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주로 티켓을 예매하는 데에 적용되고, 예컨대 지하철 요금이 탑승 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방식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현재 상용화된 방식은, 다양한 종류의 교통 수단이 존재하고 각 교통 수단마다 다양한 방식의 요금 체계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컨대 요금 체계가 변경되는 등의 상황 발생 시 과금 시스템 전체에 대해 많은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스마트 카드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과금을 하는 지하철 요금의 체계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종류의 과금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지하철 운영사는 변경된 요금 체계에 따라 스마트 카드나 모바일 단말기의 검지 시스템을 새로이 변경하거나 탑승 구간에 따른 요금 체계를 모든 시스템에 대해 변경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교통요금 처리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티켓이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티켓 사용시 교통수단의 특성(운임정책, 예약유무, 인증방식 등)에 관계없이 일괄적인 방법으로 처리되어 모든 교통수단에서 사용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화된 모바일 티켓을 발행하여 모바일을 소지한 모든 사용자는 물리적 티켓 소지 없이 모바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익숙하고 일괄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교통 운영사에게는 기존 수행했던 카드 발행/관리/인증 및 요금 정산을 본 발명시스템이 대신해 주어 교통운영사의 운영 비용을 절감 해주어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위한 교통 티켓팅 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마련된 검지기와 통신을 하는 과금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으로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소정 거리 내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인접 위치됨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c)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2)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과금서버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신호발생기 ID 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은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어 발행된다. 일 예로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에는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해 부여된 고유번호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다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2)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과금서버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 ID 일 수 있다.
상기 과금서버는, 상기 c) 단계 또는 상기 f)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은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어 발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에는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해 부여된 고유번호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된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GPS 장치를 통해 산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에는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이 부여된 티켓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사용 시간에 제한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QR 코드 티켓, NFC 티켓, 블루투스 티켓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과거에 승차한 이력을 반영하여 발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와 같은 별도의 교통 요금 결제 수단을 소지하지 않고도 모바일 단말기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회용 티켓은 발행된 위치를 벗어나서 사용되거나 사용 유효시간이 경과된 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승인이 되지 않으므로 타인에 의하여 불법적으로 복제되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회용 티켓은 보호해야 할 민감한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티켓을 안전하게 담기 위한 예컨대 별도의 IC chip 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수단의 요금 체계가 변경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대중 교통의 운영자가 자신의 시스템을 변경할 필요 없이 과금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lobal FPaas(Fare Payment as a Service)가 가능하게 된다. FPaas 는 교통운영사들이 그들이 직접 AFC(automatic fare collection)시스템을 운영하지 않고 외부 요금 처리대행사를 통하여 교통요금처리를 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smart card 를 이용한 FPaaS 는 기술적으로 확장성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offline 인증 시스템 방식으로 과금 처리를 하되, 기존 offline 시스템의 단점인 카드 리더기에서의 카드 list 및 요금 처리 로직의 업데이트 부담이 없다.
나아가 본 발명은 Global FPaas 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위치에서 운영하든지 관계없이 교통운영사가 요금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가능하고, 사용자는 어느 위치의 교통 서비스를 사용하든지 관계없이 항상 사용자 모바일로 티켓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가입한 교통수단 운영사 또는 사용자가 증가하더라도 시스템 운영 performance 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요금 과금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도 1 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이 지하철 승차를 위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이 버스 승차를 위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도 4 의 버스 내의 비콘이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4 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기술하고, 그 후 각 교통수단별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요금 과금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과금 시스템은 과금서버(10), 모바일 단말기(20), 비콘(30), 및 검지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과금서버(10)는 본 발명의 주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비콘 ID 와 위치정보의 수신,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한 일회용 티켓의 발행, 검지기(40)가 일회용 티켓을 검지한 결과의 수신,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한 교통 요금의 정산 등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이다. 모바일 단말기(20)는 과금서버(10)에 대해 통신하는 기능, 비콘(3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검지기(40)에 대해 NFC(Near Field Comminication), 블루투스, QR코드 스캔 등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20)의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20) 내에 설치된 각종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비콘(30)은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발생기의 기능을 한다. 모든 비콘(30)은 자신의 고유한 비콘 ID 를 가지고 있으며, 비콘 ID 는 본 발명에서의 신호발생기 ID 에 해당된다. 비콘(30)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는 비콘 ID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비콘 ID 와 위치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비콘(30)은 교통수단 내에 설치되거나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교통수단이 예컨대 버스인 경우에는 비콘(30)은 교통수단 내에 설치되며, 교통수단이 예컨대 지하철인 경우에는 지하철역 내부 또는 지하철역에 인접한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콘(30)은 신호발생기의 일 예이며,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거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면 비콘(30) 외에도 다양한 장치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검지기(4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을 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과금서버(10)로부터 발행된 일회용 티켓을 인식하여 검지한다. 검지기(40)는 또한 그 내부에 별도의 외부 통신망에 대해 통신을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과금서버(10)와 통신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일회용 티켓에 대한 검지 결과를 과금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지기(40)는 교통수단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사용자가 진입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컨대 교통수단이 버스인 경우에는 검지기(40)는 교통수단 내의 출입문 근처에 설치되며, 교통수단이 지하철인 경우에는 검지기(40)는 탑승객이 외부에서 지하철 승강장으로 진입하거나 승강장으로부터 외부로 진출하기 위한 진입/진출 게이트 근처에 설치된다. 또한 검지기(40)는 비콘(30)이 교통수단 내에 설치된 경우에는 비콘(30)과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검지기(40)는 비콘(30)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는 도 1 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의 각 단계별로 기술한다.
S10 단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를 소지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는 주변에 있는 비콘(30)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비콘(30)은 대략 수 미터 내지 수십 미터의 브로드캐스팅 영역을 갖는다. 모바일 단말기(20)가 비콘(30)의 브로드캐스팅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는 비콘(3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나,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가 어떤 비콘(30)에 인접하게 되거나 사용자가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스가 정류장을 향해 접근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20)는 해당 비콘(3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비콘(30)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에는 비콘 ID 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비콘(30)의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위치정보는 일회용 티켓이 발행되는 경우 이 일회용 티켓의 사용이 허용되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는 비콘(30)의 위치일 수도 있고 교통수단의 위치일 수도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20)의 위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로서 이 세 가지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세 가지 위치는 동일한 가치를 갖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비콘(30)의 위치정보는 비콘(30)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비콘 ID 자체일 수 있다. 과금서버(40)는 각각의 비콘 ID 에 대해 그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칭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콘 ID 를 수신하는 경우 매칭 데이터를 조회하여 비콘(3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비콘(30)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예컨대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콘(30)의 위치는 교통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비콘(30)은 교통수단 내에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위치 인식 수단을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다. 일 예로서, 버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기(40)는 버스 정류장의 식별정보인 정류장 ID 를 각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받으며, 검지기(40)는 이 정류장 ID 를 버스 내의 비콘(3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버스 내의 비콘(30)은 정류장 ID 를 모바일 단말기(20)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게 된다. 과금서버(40)는 각각의 정류장 ID 에 대해 그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칭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류장 ID 를 수신하는 경우 매칭 데이터를 조회하여 해당 정류장 ID 의 위치를 토대로 비콘(3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스 내에 GPS 장치가 설치되고 이 GPS 장치는 버스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비콘(30)에 전송한다. 비콘(30)은 자신의 비콘 ID 와 함께 GPS 장치로부터 수신한 버스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S20 단계
비콘(3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0)는 자신이 신호를 수신한 비콘(30)의 비콘 ID 와 위치정보를 과금서버(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가 특정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비콘(30)이 모바일 단말기(20)로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과금서버(10)에 전송할 위치정보로서 자신이 스스로 파악한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 자신의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GPS 장치에 의해 산정되거나, 모바일 단말기(20)에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여 모바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다른 통신 AP(Access Point)의 식별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가 파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S30 단계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 현재 위치에서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티켓을 발행한다. 일회용 티켓은 예컨대 QR 코드 형태로 발행될 수 있고, 그 외에도 검지기(40)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발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일회용 티켓은 QR 코드 티켓, NFC 티켓, 블루투스 티켓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회용 티켓에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전송한 비콘 ID 및 비콘(3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일회용 티켓에는 동 티켓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 제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일회용 티켓의 이용 시간은 발행 시점으로부터 5분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일회용 티켓을 발행하는 데 있어서,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과거 탑승 이력, 예컨대 사용자가 구매한 교통상품의 내역과 그 내역 하에 수행된 탑승 이력을 반영하여 일회용 티켓을 발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일회용 티켓은 사용자의 탑승 구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티켓으로서 발행될 수 있다. 즉, 과금서버(10)에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과거 발행되고 사용된 일회용 티켓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만약 모바일 단말기(20)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과거에 이용한 기록이 모두 A 정류장까지라면, 과금서버(10)는 현재 위치로부터 A 정류장까지 탑승 가능한 일회용 티켓을 발행할 수 있다.
S40 단계
일회용 티켓을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는 해당 교통수단에 탑승하고, 해당 교통수단 내에 마련된 검지기(40)에 모바일 단말기(20)를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검지기(40)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발행된 일회용 티켓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식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티켓은 교통수단의 탑승을 위해 실행된다. 이때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이 검지기(40)가 설치된 교통수단의 비콘(30)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티켓인지 그리고 그 위치정보가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되는 경우에 탑승 허용 티켓으로 인식한다. 또한, 일회용 타켓에 유효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이 실행된 시점이 유효 시간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다른 비콘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거나 위치정보가 불일치하거나 또는 유효 시간이 도과된 일회용 티켓인 것으로 확인된다면,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을 승인하지 않고 탑승 거부 메세지를 표시한다.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의 복제 여부나 티켓 정보에 대한 위조 여부도 추가 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50 단계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을 승인하면 검지한 결과를 과금서버(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과금서버(10)는 자신이 발행한 일회용 티켓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해당 교통수단에 탑승하였음을 알게 된다.
S60 단계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탑승 요금을 정산한다. 탑승 요금의 정산은,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선불로 충전되어 있는 충전금에서의 차감,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에 연동되어 있는 신용카드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 수행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가 교통수단을 위해 설치된 비콘(30)에 인접하면 과금서버(10)가 자동으로 일회용 티켓을 발행하여 준다. 만약 모바일 단말기(20)가 교통수단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일회용 티켓의 유효 시간이 경과되면 일회용 티켓은 자동으로 소멸된다. 그리고, 만약 일회용 티켓이 발행된 후에 모바일 단말기(20)가 티켓이 발행된 비콘(30)이 아닌 다른 비콘(30)에 근접하게 되면, 위에 기술한 프로세스가 다시 수행되어 새로 접근된 비콘(30)에 대해 일회용 티켓이 새로이 발행된다. 이때 이전에 발행된 일회용 티켓은 취소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를 소지하고 교통수단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일회용 티켓을 발부받을 수 있다. 또한 교통수단 운영사의 입장에서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발행된 일회용 티켓을 검지기(40)를 통해 검지하여 과금서버(10)로 통지하는 프로세스만 수행하면 교통 요금의 결제를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되고, 교통 요금은 사후에 과금서버(10)에 대해 정산된다. 또한 만약 교통 수단의 요금 체계가 변경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교통수단의 운영사는 예컨대 기존에 Card-based System 에서 스마트 카드에 대해 과금할 금액을 변경하는 등과 같은 검지기(40)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변경을 가하는 수정 작업이 불필요하며, 단지 변경된 요금 체계에 대해 과금서버(10)에 통지하는 작업만으로도 변경된 요금체계를 즉각 반영할 수 있다. 즉, 변경된 요금체계의 적용은 과금서버(10)가 발행하는 일회용 티켓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는 금액의 변경만으로도 손쉽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회용 티켓은 유효 시간의 제한이 있고 또한 비콘(30) 등을 통해 파악된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교통수단 내의 검지기(40)는 일회용 티켓 내의 유효 시간을 판독하여 일회용 티켓이 사용가능한 시간 내에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회용 티켓 내의 위치정보 및/또는 비콘ID 등을 판독하여 교통수단 자신에 대해 승차 권한을 부여하도록 발행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의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발행된 일회용 티켓의 위조 사용이나 잘못된 사용 등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과 같은 구체적인 교통수단에 대해 적용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이 지하철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30)이 고정식인 경우에는 비콘(30)의 위치는 비코 ID 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파악할 수 있으나, 비콘(30)이 이동식인 경우에는 비콘(3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위치 파악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하철의 경우 비콘(30)이 지하철 차량에 탑재되도록 하여 이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하철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은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출입 게이트를 지나가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하철의 경우 비콘(30)은 지하철역 주변의 특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콘(30)은 승강장으로 향하는 출입 게이트 인근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지하철 역으로 들어가기 위한 계단의 중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지하철의 경우 통상적으로 탑승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요금 체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하철을 이용한 거리에 부합되는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한 구간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일회용 티켓을 일회용 승차 티켓과 일회용 하차 티켓으로 분리하여 발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지하철 승차를 위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지하철을 탑승하고자 하는 지하철역인 지하철역1(SS1)에는 비콘1(30-1)과 검지기1(40-1)이 설치되어 있다. 비콘1(30-1)은 지하철역1(SS1) 바로 옆이나 출입 게이트 부근 등의 위치에 설치되며, 검지기1(40-1)은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승차 여부, 즉 출입 게이트 통과 여부를 체크한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하여 이동 후 하차하고자 하는 지하철역인 지하철역2(SS2)에는 비콘2(30-2)와 검지기2(40-1)가 설치되어 있다. 비콘2(30-2)도 지하철역2(SS2) 바로 옆이나 출입 게이트 부근 등의 위치에 설치되며, 검지기2(40-2)는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하차 여부, 즉 출입 게이트 통과 여부를 체크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를 소지하고 지하철역1(SS1)에 접근하면, 출입 게이트에 도달하기 전에 비콘1(30-1)과 모바일 단말기(20) 및 과금서버(10) 사이에서 전술한 도 2 의 S10 내지 S30 단계의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일회용 티켓이 발행된다. 이때 발행되는 티켓은 승차만이 허용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이다. 모바일 단말기(20)가 지하철역1(SS1)의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면 검지기1(40-1)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가 검지되어 도 2 의 S40 및 S50 단계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과금서버(10)는 자신이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발행하여 준 일회용 승차 티켓이 실제로 사용되어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하철역1(SS1)에서 지하철에 승차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사용자가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여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인 지하철역2(SS2)에 도달하면 비콘2(30-2)와 모바일 단말기(20) 및 과금서버(10) 사이에서 전술한 도 2 의 S10 내지 S30 단계의 프로세스가 수행되어 일회용 티켓이 다시 발행된다. 이때 발행되는 티켓은 현재 위치에서 지하철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차 티켓이다.
이러한 S10 내지 S3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과금서버(10)는 일회용 티켓을 발행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면, 즉 모바일 단말기(20)가 비콘2(30-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사실을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통지받으면, 먼저 해당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기 실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기 실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이 존재하면 과금서버(10)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고, 기 실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과금서버(10)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발행한다.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비콘2(30-2)와의 통신 사실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가 승차를 하고자 하는지 하차를 하고자 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기 발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이 존재한다면 과금서버(10)는 사용자가 현재 승차 중인 교통수단에서 하차를 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 발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과금서버(10)는 사용자가 현재 모바일 단말기(20)의 위치에 있는 교통수단에 승차를 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회용 하차 티켓은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어 발행된다. 일 예로서, 과금서버(10)는 일회용 하차 티켓에 대해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해 부여된 고유번호를 부가함으로써 대응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응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과금서버(10)는 사용자가 승차한 지점과 그에 대응한 하차 지점을 파악하여 승차 구간을 오류 없이 확인할 수 있다.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받은 모바일 단말기(20)가 지하철역2(SS2)의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면, 검지기2(40-2)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가 검지되어 도 2 의 S40 및 S50 단계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과금서버(10)는 자신이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발행하여 준 일회용 하차 티켓이 실제로 사용되어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지하철역2(SS2)에서 하차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과금서버(10)는 사용자가 지하철을 이용한 구간이 지하철역1(SS1)에서 지하철역2(SS2)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고, 도 2 의 S60 단계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해당 구간에 대한 요금을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정산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에 의하면, 지하철과 같이 탑승 구간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대해서 탑승 구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되는 요금의 과금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콘 ID 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그 위치정보의 파악이 가능하다. 이때의 위치정보는 반드시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일 필요는 없고, 지하철역에 대한 식별정보이어도 무방하다. 즉 과금서버(10)는 비콘 ID 와 해당 비콘이 설치된 지하철역에 대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비콘 ID 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과금서버(10)는 사용자가 어느 역에서 탑승하여 어느 역에서 하차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과금서버(10)는 해당 구간에 대한 요금표를 조회하여 정확한 교통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한편, 지하철역1(SS1)로부터 지하철역2(SS2)를 향해 지하철이 이동하는 동안, 지하철은 그 중간에 있는 다른 지하철역들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20)가 중간 지하철역의 비콘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2 의 S10 내지 S30 단계의 과정이 수행되어 의도치 않은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의도치 않은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더라도 이 일회용 하차 티켓이 해당 중간 지하철역의 출입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기를 통과하지 않는 이상 동 일회용 하차 티켓은 실행되지 않으므로, 의도치 않은 일회용 하차 티켓의 발행에 따른 오정산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하철이 더 이동하여 또 다른 지하철역에 도달하면 동 지하철역의 비콘과의 통신에 의해 또 다른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고, 이와 동시에 기존에 발행된 일회용 하차 티켓은 소멸 또는 무효화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는 중에 사용자가 종국적으로 지하철역2(SS2)에 도달하면, 지하철역2(SS2)에 대해 발행된 일회용 하차 티켓이 검지기2(40-2)에 의해 실행되고, 이에 따라 S40 내지 S60 단계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이 버스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버스의 경우 탑승 구간에 무관하게 동일한 금액을 과금하는 정액 요금제인 경우가 있고 탑승 구간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는 구간 요금제인 경우가 있다. 정액 요금제인 경우에는 탑승 구간에 대한 파악이 불필요하므로, 도 2 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차량 탑승 전에만 한 번 적용함으로써 정확한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그러나 구간 요금제인 경우에는 탑승 구간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간 요금제인 경우에는 전술한 도 3 의 제 1 실시예에서 기술한 일회용 승차 티켓의 발행 및 일회용 하차 티켓의 발행의 방식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다만, 버스의 경우 비콘이 차량 내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차량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스에서 하차하는 지점의 위치정보가 별도의 수단에 의해 정확하게 파악되어야만 정확한 과금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동안 차량 내의 비콘이 아닌 다른 외부의 비콘에 모바일 단말기(20)가 의도치 않게 접근하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는 실시예 1 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다른 변형된 방식의 적용이 필요하다.
도 4 는 본 발명이 버스 승차를 위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20)가 버스 내의 비콘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버스(B) 내에는 비콘B(30-B) 및 검지기B(40-B)가 구비되어 있다. 비콘B(30-B)와 검지기B(40-B)는 버스(B) 내에서 버스(B)와 함께 이동한다. 버스 정류장(BS)에는 또 다른 비콘인 비콘BS(30-BS)가 설치되어 있다. 비콘BS(30-BS)는 버스정류장의 식별정보인 정류장 ID 를 브로드캐스팅하며, 버스(B) 내의 검지기B(40-B)는 비콘BS(30-BS)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검지기B(40-B)는 버스정류장의 비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별도로 구비한다.
버스(B)가 버스 정류장(BS)에 접근함에 따라, 버스(B) 내의 검지기B(40-B)는 비콘BS(30-BS)의 신호를 수신하여 정류장 ID 를 취득한다. 검지기B(40-B)는 정류장 ID 를 비콘B(30-B)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비콘B(30-B)는 정류장 ID 정보를 수신한다.
도 5 는 도 4 의 버스 내의 비콘이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콘이 브로드캐스팅하는 데이터는 도 5 와 같이 비콘 ID, 고유정보, 및 추가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각 필드 중 추가정보를 수록하는 공간에 정류장 ID 가 기록된다. 이에 따라 비콘B(30-B)는 자신의 비콘 ID 와 함께 정류장 ID 를 브로드캐스팅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과금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버스에 탑승하고자 버스 정류장(BS)에 서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버스(B)가 버스 정류장(BS)에 다가옴에 따라 비콘B(30-B)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도 2 의 S10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버스(B)의 검지기B(40-B)는 버스정류장의 비콘BS(30-BS)로부터 정류장 ID 를 수신하여 비콘B(30-B)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비콘B(30-B)는 정류장 ID 를 포함하는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송출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는 비콘B(30-B)로부터 자신의 비콘 ID 를 수신함과 아울러 정류장 ID 를 위치정보로서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기(20)는 비콘 ID 와 정류장 ID 를 과금서버(10)에 전송함으로써 도 2 의 S20 단계를 수행한다. 과금서버(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 일회용 승차 티켓을 발행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발행된 일회용 승차 티켓은 사용자가 승차함에 따라 버스(B) 내의 검지기B(40-B)에 의해 승인되고, 검지기B(40-B)는 검지 결과를 과금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도 2 의 S30 내지 S50 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버스(B)의 이동 중에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는 프로세스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버스(B)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20)가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이 버스(B)의 이동 중에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탑승 중에 비콘B(30-B)로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는 비콘B(30-B)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도 5 의 추가정보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류장 ID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도 2 의 S20 단계와 같은 비콘 ID 및 위치정보를 과금서버(1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는 프로세스, 및 발행된 일회용 하차 티켓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비콘B(30-B)로부터 전송되는 정류장 ID 가 변경됨에 따라 기 발행된 일회용 하차 티켓이 취소되고 새로운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는 프로세스 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버스(B)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0)가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이 탑승 중에 계속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일회용 승차 티켓 및 일회용 하차 티켓의 발행과 실행 및 그에 따른 탑승 거리의 산정과 과금이 이루어진다.
도 6 은 도 4 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20)가 버스 내의 비콘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버스(B) 내에는 비콘B(30-B)와 검지기B(40-B) 외에 별도의 GPS 장치(G)가 구비되어 있다. GPS 장치(G)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여 비콘B(30-B)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비콘B(30-B)는 버스(B)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정보는 도 5 와 같은 방식으로 비콘 데이터의 추가정보 필드에 기록된다. GPS 장치(G)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는 먼저 검지기B(40-B)에 전송되어 검지기B(40-B)에 의해 비콘B(30-B)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4 또는 도 6 의 구성에 따라 비콘B(30-B)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비콘 ID 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한다.
한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스스로 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20)가 GPS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자신의 GPS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 경우, 비콘B(30-B)가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모바일 단말기(20)는 비콘B(30-B)로부터 비콘 ID 만을 전송받고 비콘 ID 를 자신이 산출한 위치정보와 함께 과금서버(1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20) 자신의 위치는 GPS 장치 외에도 WiFi 통신망의 최근접 AP(Access Point)에 대한 식별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버스(B) 내의 GPS 장치(G)에 의해 위치정보를 얻거나 모바일 단말기(20)가 스스로 위치정보를 얻는 방식에서는 버스(B)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정류장 ID 를 위치정보로 사용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일회용 하차 티켓이 불필요하게 수시로 발행될 수 있는 문제 및 정류장 단위의 이동 구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일정한 조건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의 일 예로서, 일회용 하차 티켓이 일정한 거리 단위 또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발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거리가 200미터 이상 변경되는 경우에 버스(B)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매 1분마다 버스(B)의 위치를 파악하여, 버스(B)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다음 정류장의 위치를 하차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 의 S60 단계에서의 정산과 관련하여, 모바일 단말기(20)가 별도의 요금제로 약정되는 경우 과금서버(10)는 이 약정을 토대로 정산을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는 정해진 기간, 횟수, 및 구간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약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개월 동안 60회까지 A역부터 B역 사이의 구간에 대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하에 그에 대응하는 요금을 선불로 충전하여 약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정이 존재하는 경우, 과금서버(10)는 해당 기간, 횟수, 구간의 범위 내에서 일회용 승차 티켓 및 일회용 하차 티켓이 발행되는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에 대한 체크만 하고 별도로 추가 과금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간, 횟수, 구간 중 하나가 약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정과는 무관한 별개의 승차로 간주하고, 그에 상응하는 별도의 과금을 한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과금서버(10)는 별도의 약정 요금제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 해당 요금제에 따른 과금과 별도의 과금을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마련된 검지기와 통신을 하는 과금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으로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소정 거리 내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인접 위치됨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c)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과금서버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신호발생기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은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어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에는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해 부여된 고유번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다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과금서버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 I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g) 상기 c)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g) 상기 f)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은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어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에는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해 부여된 고유번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된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GPS 장치를 통해 산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에는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는,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g) 상기 f)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이 부여된 티켓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사용 시간에 제한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QR 코드 티켓, NFC 티켓, 블루투스 티켓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과거에 승차한 이력을 반영하여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7.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마련된 검지기와 통신을 하는 과금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으로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소정 거리 내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로서, a-1)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a)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인접 위치됨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행하여 주는 단계;
    c)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로서,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다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d)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28.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마련된 검지기와 통신을 하는 과금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으로서,
    a)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소정 거리 내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로서, a-1)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되어 있는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식별 정보인 신호발생기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a)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인접 위치됨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의 승차 권한을 부여하는 일회용 승차 티켓을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발행하여 주는 단계;
    c)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를 상기 과금서버가 확인하는 단계로서, d-1) 상기 교통수단의 이동 중에 상기 교통수단 내에 마련된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d-2)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호발생기의 ID 를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GPS 장치를 통해 산출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상기 교통수단에 인접한 정류장 ID, 및 상기 교통수단의 GPS 장치에 의해 산출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d) 단계;
    e)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하차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일회용 승차 티켓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일회용 하차 티켓을 발행하여 주는 단계; 및
    f) 상기 검지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일회용 하차 티켓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상기 과금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검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의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과금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교통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요금 과금 방법.
KR1020200055396A 2020-05-08 2020-05-08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KR2021013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96A KR20210136726A (ko) 2020-05-08 2020-05-08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US17/082,704 US20210350341A1 (en) 2020-05-08 2020-10-28 Method for collecting transportation fare with location-based mobile onetime tick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96A KR20210136726A (ko) 2020-05-08 2020-05-08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26A true KR20210136726A (ko) 2021-11-17

Family

ID=7841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96A KR20210136726A (ko) 2020-05-08 2020-05-08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50341A1 (ko)
KR (1) KR20210136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90B1 (ko) * 2022-07-05 2023-04-10 이동규 태그리스 방식의 대중교통 승하차 인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90B1 (ko) * 2022-07-05 2023-04-10 이동규 태그리스 방식의 대중교통 승하차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0341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831B2 (en)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EP1782388B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tickets in such a system
JP3806757B2 (ja) 切符を登録する方法とシステム
US20120254040A1 (en)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KR10153984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1368B1 (ko) 주차료 자동정산 시스템
KR10186118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요금소 기반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CN103679825A (zh) 用于电子地处理交通违反行为的方法和用于其的车载单元
CZ20033545A3 (cs) Dvojitý mýtní systém
KR20050080186A (ko) 전파식별방식을 이용한 주차안내 및 관리방법
JP2018206355A (ja) 取引を促進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リーダ
KR101680298B1 (ko) 노상 주차장에서의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6127493A (ja) 車両用決済支援装置及び金融取引処理装置
KR20210136726A (ko) 위치 기반의 모바일 일회용 티켓을 이용한 교통 요금 과금 방법
KR100645232B1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KR20160105200A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150824A1 (en) A method of collecting travel fares in a transport system
JP4630428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icカード、料金収受方法
KR101917833B1 (ko) 버스 요금 처리 시스템
KR100426610B1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KR101821791B1 (ko) 통행료 결제를 위한 차량과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정보 정합시스템
KR102620265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JP2023026882A (ja) 駐車場決済管理装置、駐車場決済管理システム、駐車場決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48403B1 (ko) 택시 요금 결제 방법
JP2002074435A (ja) サーバ及び料金徴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