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177A -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177A
KR20210136177A KR1020217036503A KR20217036503A KR20210136177A KR 20210136177 A KR20210136177 A KR 20210136177A KR 1020217036503 A KR1020217036503 A KR 1020217036503A KR 20217036503 A KR20217036503 A KR 20217036503A KR 20210136177 A KR20210136177 A KR 2021013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wdery mildew
nanobubble
plant
nanobub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1013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에 의해 높은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은, 나노버블수를 식물체에 시용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이다.

Description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METHOD OF CONTROLLING POWDERY MILDEW}
본 발명은,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흰가루병은, 흰가루 곰팡이과에 속하는 자낭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총칭이며, 흰가루병으로 발증하면, 잎 또는 줄기가 흰가루 분말을 뿌린 것 처럼 하얘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흰가루병의 방제에는, 종래, 아졸계 살균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살균제에는, 인간 및 식물체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에 더하여,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의 출현이라는 큰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 에는, 「유칼리잎 추출 엑기스 및 수용성 키토산을 흰가루병 감염 방지용 내지 발병 방지용의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흰가루병 방제용 액체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청구항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19011호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흰가루병 방제용 액체 조성물에 대해 검토한 결과, 수용액에 함유되는 유칼리잎 추출 엑기스 및 수용성 키토산의 농도를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을 밝혀 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에 의해 높은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식물체에 나노버블수를 시용함으로써, 흰가루병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자는,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1] 나노버블수를 식물체에 시용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2]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 및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여 희석한 농약의 살포 중, 적어도 일방을 실시하는, [1] 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3]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이 10 ∼ 500 ㎚ 인, [1] 또는 [2] 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4]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가,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5] 상기 나노버블수가,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갖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6] 상기 식물체가, 과채류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7] 상기 식물체가, 가지과 식물 또는 장미과 식물인, [6] 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8] 상기 식물체가, 피망 또는 장미인, [7] 에 기재된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에 의해 높은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나노버블 생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는, 시험구 1-1 에 있어서의 1 그루의 피망의 전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2B 는, 시험구 1-1 에 있어서의 1 그루의 피망에 있어서의 잎의 화상이다.
도 3 은, 시험구 1-2 에 있어서의 1 그루의 피망에 있어서의 잎의 화상이다.
도 4A 는, 시험 2 에 있어서, 흰가루병이 경도로 발증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장미의 잎의 화상이다.
도 4B 는, 시험 2 에 있어서, 흰가루병이 경도로 발증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장미의 잎의 화상이다.
도 5A 는, 시험 2 에 있어서, 흰가루병이 중도로 발증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장미의 잎의 화상이다.
도 5B 는, 시험 2 에 있어서, 흰가루병이 중도로 발증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장미의 잎의 화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사용하여 나타내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방제 방법」으로도 약기한다) 은, 나노버블수를 식물체에 시용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이다.
여기서, 「흰가루병」이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흰가루 곰팡이과에 속하는 자낭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총칭을 말한다.
흰가루병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보리류의 흰가루병 (Blumeria graminis), 사과의 흰가루병 (Podosphaera leucotricha), 배류의 흰가루병 (Phyllactinia mali), 포도의 흰가루병 (Uncinula necator), 감의 흰가루병 (Phyllactinia kakicola), 수박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오이의 흰가루병 (Erysiphe polygoni, Sphaerotheca cucurbitae), 멜론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호박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cucurbitae), 가지의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rum, Oidiopsis sicula), 토마토의 흰가루병 (Oidium lycopersici), 피망의 흰가루병 (Oidiopsis sicula), 딸기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aphanis), 당근의 흰가루병 (Erysiphe heraclei), 담배의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장미류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pannosa), 및 해바라기의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식물체에 나노버블수를 시용 함으로써, 흰가루병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가 얻어진다.
이것은,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흰가루병이 발증하고 있던 식물체 (피망) 에 대해 나노버블수를 살수한 시험구 1-1 에 있어서, 흰가루병의 증상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물체에 나노버블수를 시용함으로써, 나노버블수가 갖는 세정 혹은 계면 활성 작용에 의해 식물체의 경엽에 부착된 병원균을 씻어낼 수 있고, 또, 토양 혹은 배지 또는 식물체의 뿌리의 주변에 존재하고 있는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서 사용하는 나노버블수 및 임의의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나노버블수〕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서 사용하는 나노버블수는, 직경이 1 ㎛ 미만인 기포를 함유하는 물로서, 상기 기포를 혼입시킨 물이다. 또한, 「상기 기포를 혼입시킨 물」이란,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 (예를 들어, 불순물을 함유하는 정수 (井水)) 등에서 기인하여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상기 기포를 함유하는 물을 제외하려는 의도이다.
여기서,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의 직경 (입자경), 그리고, 후술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 및 기포의 개수는, 수중의 기포의 브라운 운동 이동 속도를, 나노 입자 트랙킹 해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시리즈 (NanoSight 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한 수치를 채용한다.
또한,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시리즈 (NanoSight 사 제조) 에서는, 직경 (입자경) 은, 입자의 브라운 운동의 속도를 계측하여, 그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고, 최빈 입자경은, 존재하는 나노 입자의 입자경 분포로부터, 모드 직경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이유로부터,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이 10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3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1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중에 장시간 잔존시키는 관점에서, 수소 이외의 기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공기, 산소, 질소, 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이유로부터,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식물체의 생육이 양호해지고, 또, 기포가 보다 장시간 잔존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산소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소를 함유하는 것이란, 공기 중의 산소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질소, 및 이산화탄소도 동일하다. 또한, 산소의 농도에 대해서는, 기포 중의 30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체적% 초과 10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는,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이유로부터,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포의 생성 시간과 기포의 잔존성의 밸런스가 양호해지는 이유로부터, 1 × 108 개/㎖ 보다 많고, 1 × 1010 개/㎖ 보다 적은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08 ∼ 5 × 109 개/㎖ 의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태틱 믹서법, 벤투리법, 캐비테이션법, 증기 응집법, 초음파법, 선회류법, 가압 용해법, 및 미세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방제 방법은, 상기 나노버블수를 시용하기 전에, 상기 나노버블수를 생성시키는 생성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방제 방법은, 예를 들어, 저수 탱크, 우물 또는 농업용수 등의 수원으로부터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취입하여, 나노버블수를 생성시키는 생성 공정과, 생성된 나노버블수를 시용하는 시용 공정을 갖는 방제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취입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통 또는 펌프 등을 사용하여 수원으로부터 퍼 올린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공급하는 수법, 및 수원과 나노버블 생성 장치 사이에 부설된 유로를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연결하여 유로로부터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물을 직접 보내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으로는, 의도적으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는 장치를 사용한 생성 방법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5715호의 [0080] ∼ [0100] 단락에 기재된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의도적으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는 다른 나노버블 생성 장치로는, 예를 들어, 물을 토출하는 액체 토출기와, 상기 액체 토출기로부터 토출된 물에, 기체를 가압하여 혼입시키는 기체 혼입기와, 기체를 혼입시킨 물을 내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수중에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갖는 미세 기포 생성 장치로서, 상기 기체 혼입기가, 상기 액체 토출기와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 사이에 있어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를 향해 흐르는 액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생성 장치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도 1 에 나타내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는, 그 내부에 액체 토출기 (30), 기체 혼입기 (40), 및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을 구비한다.
또, 액체 토출기 (30) 는, 펌프에 의해 구성되고, 나노버블수의 원수 (예를 들어, 우물물) 를 취입하여 토출한다. 기체 혼입기 (40) 는, 압축 가스가 봉입된 용기 (41) 와, 대략 통 형상의 기체 혼입기 본체 (42) 를 갖고, 액체 토출기 (30) 로부터 토출된 물을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 흘리면서,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 용기 (41) 내의 압축 가스를 도입한다. 이로써,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서 기체 혼입수가 생성되게 된다.
또,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은, 그 내부에 기체 혼입수가 통과함으로써, 가압 용해의 원리에 따라서 기체 혼입수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구조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5715호에 기재된 나노버블 생성 노즐과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내에 생성된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된 후,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로부터 유출되어, 도시 생략된 유로 내를 통해서 소정의 이용처를 향하여 송수된다.
이상과 같이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에서는, 기체 혼입기 (40) 가, 액체 토출기 (30) 와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사이에 있어서, 가압된 상태에서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을 향해 흐르는 물 (원수) 에, 압축 가스를 혼입시킨다. 이로써, 액체 토출기 (30) 의 흡입측 (석션측) 에서 기체를 물에 혼입시킬 때에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가스가 가압 (압축) 된 상태에서 물에 혼입되므로, 가스 혼입 지점에서의 물의 압력에 저항하여 가스를 혼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스 혼입 지점에 있어서 특히 부압을 발생시키지 않아도, 가스를 적절히 물에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체 토출기 (30) 의 석션측에, 우물 또는 수도 등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로가 연결되어 들어가 있고, 그 유로에 있어서 액체 토출기 (30) 의 상류측으로부터 액체 토출기 (30) 에 흘러드는 물의 압력 (즉, 석션측의 수압) 이 정압이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구성이 보다 유의의한 것이 된다. 즉, 액체 토출기 (30) 의 상류측의 수압 (석션압) 이 정압이 되는 경우에는, 액체 토출기 (30) 의 하류측에서 가스를 물에 혼입시키게 되기 때문에, 액체 토출기 (30) 의 하류측에서도 가스를 적절히 물에 혼입시킬 수 있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의 구성이 보다 두드러지게 된다.
또,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빗물, 수돗물, 정수, 농업용수, 및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은, 나노버블수의 발생에 제공되기 전에 다른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다른 처리로는, 예를 들어, pH 조정, 침전, 여과, 및 멸균 (살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경우, 전형적으로는, 침전, 및 여과 중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한 후의 농업용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노버블수의 식물체에 대한 시용 양태는, 식물체의 재배 방법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토경 재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살수하는 양태, 토경 재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에 의해 희석된 농약을 살포하는 양태, 양액 재배 (수경, 분무경 혹은 고형 배지경) 또는 양액 토경 재배 (관수 동시 시비 재배) 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에 의해 희석된 배양액을 배지에 공급하는 양태, 및 양액 토경 재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그것 단독으로 살수 (관수) 하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보다 간편한 조작에 의해 높은 방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 및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여 희석한 농약의 살포 중, 적어도 일방을 실시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용의 일 양태인 「살수」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배 방법이 토경 재배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식물체의 전체에 물을 살포하는 방법, 식물체의 일부 (예를 들어, 줄기 또는 잎 등) 에 물을 살포하는 방법, 및 식물체가 심어진 토양에 물을 살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재배 방법이 양액 토경 재배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수에 의한 살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노버블수의 식물체에 대한 시용 시기는, 시용 양태 및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과채류를 토경 재배하는 경우에는,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전체 기간이어도 되고, 일정 기간 (예를 들어, 파종 및 육묘기) 에만 시용해도 된다.
<농약>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여 희석하는 농약으로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지된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약제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프로피코나졸 (propiconazole), 프로티오코나졸 (prothioconazole), 트리아디메놀 (triadimenol), 프로클로라즈 (prochloraz), 펜코나졸 (penconazole), 테부코나졸 (tebuconazole), 플루실라졸 (flusilazole), 디니코나졸 (diniconazole), 브로무코나졸 (bromuconazole), 에폭시코나졸 (epoxiconazole), 디페노코나졸 (difenoconazole), 사이프로코나졸 (cyproconazole), 메트코나졸 (metconazole), 트리플루미졸 (triflumizole), 테트라코나졸 (tetraconazole), 마이크로부타닐 (microbutanil), 펜뷰코나졸 (fenbuconazole), 헥사코나졸 (hexaconazole), 플루퀸코나졸 (fluquinconazole), 트리티코나졸 (triticonazole), 비터타놀 (bitertanol), 이마잘릴 (imazalil), 플루트리아폴 (flutriafol), 시메코나졸 (simeconazole), 및 이프코나졸 (ipconazole) 등의 아졸계 살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인간 및 식물체에 대한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나노버블수 100 질량부에 대해, 0.000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5 ∼ 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상기 나노버블수는, 상기 서술한 임의의 농약 이외에, 추가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비료, 계면 활성제, 동결 방지제, 소포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및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 상기 나노버블수 중에 있어서 라디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 (예를 들어, 불순물을 함유하는 정수) 등에서 기인하여 불가피적으로 라디칼이 함유되는 것을 제외하려는 의도가 아니고, 어떠한 조작으로 생성시킨 라디칼을 혼입시키는 것을 제외하려는 의도이다.
〔식물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노버블수를 시용하는 식물체는, 흰가루병이 발증할 수 있는 식물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식물체로는, 예를 들어, 가지과 식물 (예를 들어, 가지, 페피노, 토마토 (미니 토마토를 포함한다), 타마릴로, 고추, 꽈리고추, 하바네로, 피망, 파프리카, 및 컬러 피망 등), 두릅나무과 식물 (예를 들어, 매발톱 나무 등), 박과 식물 (예를 들어, 호박, 주키니, 오이, 키와노, 월과, 여주, 동아, 차요테, 수세미, 박, 수박, 멜론, 및 참외 등), 아욱과 식물 (예를 들어, 오크라 등), 장미과 식물 (예를 들어, 장미, 및 딸기 등) 등의 과채류 ;
벼, 보리, 및 옥수수 등의 곡물류 ;
순무, 무, 이십일무, 고추냉이, 양고추냉이, 우엉, 초석잠, 생강, 당근, 염교, 연근, 및 백합 뿌리 등의 근채류 ;
귤, 사과, 복숭아, 배, 서양 배, 바나나, 포도, 체리, 수유, 산딸기, 블루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오디, 비파, 무화과, 감, 으름덩굴, 망고, 아보카도, 대추, 석류, 패션프루츠, 파인애플, 바나나, 파파야, 살구, 매실, 자두, 복숭아, 키위프루츠, 모과, 소귀나무, 밤, 미라클 프루츠, 구아바, 스타 프루츠, 및 아세롤라 등의 과수류 ;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본 발명의 방제 방법의 유용성이 높아지는 이유로부터, 과채류가 바람직하고, 가지과 식물 또는 장미과 식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피망 또는 장미가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및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 1〕
<시험 1 의 내용>
시험은,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마나미구에서 재배한 피망 (품종 : 에이스 피망) 의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이하의 구분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1-1 : 흰가루병이 발증하고 있는 피망을 30 그루 포함하는 합계 2100 그루의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2017년의 10월 ∼ 12월에 걸쳐 2 일에 1 회, 20 분간 실시하는 토양 (뿌리) 에 대한 살수에, 하기 방법으로 생성한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1-2 : 흰가루병이 발증하고 있는 피망을 200 그루 포함하는 합계 2100 그루의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2017년의 10월 ∼ 12월에 걸쳐 2 일에 1 회, 20 분간 실시하는 토양 (뿌리) 에 대한 살수에, 우물물을 사용하고,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살수량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피망의 생육 상황, 및 기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했지만, 양 시험구에서 대체로 동일해지도록 조정하였다.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주식회사 가쿠이치 제작소 아쿠아 솔루션 사업부 (현 : 주식회사 아쿠아 솔루션) 제조, 200 V, 40 ℓ/min 타입〕를 사용하여 가압 용해 방식으로 수중에 기포 (나노버블) 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하였다.
또한, 나노버블수의 생성용으로 사용한 물에는, 우물물을 사용하고,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에는, 산소 (공업용 산소, 농도 : 99.5 체적%) 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의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조건은,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LM10 (NanoSight 사 제조) 에 의한 해석 결과가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물 1 ㎖ 당의 기포의 수 : 5 × 108 개/㎖
·기포의 최빈 입자경 : 100 ㎚
<흰가루병의 방제의 평가>
각 시험구에 있어서, 시험 전부터 흰가루병을 발증하고 있던 피망의 전체 그루를 대상으로, 잎의 겉 및 안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시험구 1-1 : 어느 그루에 있어서도, 흰가루병의 증상은 개선되어 있었다 (도 2A 및 도 2B 참조). 특히, 도 2B 를 보면, 도 3 에 나타내는 잎에서 보여지는 흰색 곰팡이의 얼룩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시험구 1-2 : 어느 그루에 있어서도, 흰가루병의 증상은 개선되지 않았다 (도 3 참조).
〔시험 2〕
<시험 2 의 내용>
시험은, 2018년 4월 ∼ 2019년 1월에 걸쳐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에서 재배한 장미 (품종 : 알파·스타더스트) 의 포장에 있어서 이하의 구분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시험구는, 동일한 비닐 하우스 내로 설정되어 있다.
시험구 2-1 : 비닐 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살수에, 수돗물을 사용하고,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구 2-2 : 비닐 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살수에, 물 1 ㎖ 당의 기포수가 5 × 108 개/㎖ 로 조정된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시험구에서는, 각각, 50 그루의 장미를 재배하였다.
또, 살수의 빈도 및 양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장미의 생육 상황, 및 기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했지만, 2 개의 시험구 사이에서 대체로 동일해지도록 조정하였다.
또, 시험 2 에서는, 2 개의 시험구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농약을 살포했지만, 농약의 희석에는,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 (주식회사 아쿠아 솔루션 제조, 100 V, 10 ℓ/min 타입) 를 사용하여 가압 용해 방식으로 수중에 기포 (나노버블) 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하였다.
또한, 나노버블수의 생성용으로 사용한 물에는, 수돗물을 사용하고,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에는, 산소 (공업용 산소, 농도 : 99.5 체적%) 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의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조건은,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LM10 (NanoSight 사 제조) 에 의한 해석 결과가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물 1 ㎖ 당의 기포의 수 : 5 × 108 개/㎖
·기포의 최빈 입자경 : 100 ㎚
<흰가루병의 방제의 평가>
각 시험구에 대해, 50 그루의 각각에 대해, 식물체의 상부 영역 (지표로부터의 높이를 1 로 했을 때에 규격되는 위에서부터 1/3 의 영역) 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10 장의 잎에 있어서의, 흰가루병 발증의 정도를 재배 기간 중 (2019년 1월 16일) 에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고, 각 평가 구분에 해당하는 그루수를 조사하였다.
[평가 구분]
「발증 없음」 : 10 장의 잎 중 어느 것에도 흰가루병의 발증이 확인되지 않았다
「경도 발증」 : 10 장의 잎 중, 1 ∼ 3 장의 잎에 흰가루병의 발증을 확인할 수 있고, 흰가루병이 발증하고 있는 영역이, 잎 1 장의 표면의 면적의 1/10 이하이다
「중도 발증」 : 10 장의 잎 중, 4 장 이상의 잎에 흰가루병의 발증을 확인할 수 있고, 흰가루병이 발증하고 있는 영역이, 잎 1 장의 표면의 면적의 1/5 이상이다
각 시험구에 있어서의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 「경도 발증」의 구분에 해당하는 그루의 사진으로서, 시험구 2-1 에서 재배된 장미의 잎을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내고, 「중도 발증」의 구분에 해당하는 그루의 사진으로서, 시험구 2-1 에서 재배된 장미의 잎을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상기의 평가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나노버블수를 시용한 시험구 2-2 는, 나노버블수를 시용하지 않았던 시험구 2-1 과 비교하면, 중도 발증의 그루가 없어지고, 경도 발증의 그루수에 대해서도 절반수 이하가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험 1 및 시험 2 의 시험 결과로부터, 나노버블수에 의한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분명해졌다.
10 : 나노버블 생성 장치
30 : 액체 토출기
40 : 기체 혼입기
41 : 용기
42 : 기체 혼입기 본체
50 : 나노버블 생성 노즐

Claims (8)

  1. 나노버블수를 식물체에 시용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 및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여 희석한 농약의 살포 중, 적어도 일방을 실시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이 10 ∼ 500 ㎚ 인,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에 함유되는 기포가,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함유하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가,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갖는,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가, 과채류인,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가, 가지과 식물 또는 장미과 식물인,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가, 피망 또는 장미인,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KR1020217036503A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KR20210136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3059 2018-05-30
JP2018103059 2018-05-30
PCT/JP2019/021266 WO2019230789A1 (ja) 2018-05-30 2019-05-29 うどんこ病の防除方法
KR1020207034108A KR20200141515A (ko)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08A Division KR20200141515A (ko)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177A true KR20210136177A (ko) 2021-11-16

Family

ID=68697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03A KR20210136177A (ko)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KR1020207034108A KR20200141515A (ko)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08A KR20200141515A (ko) 2018-05-30 2019-05-29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04540A1 (ko)
EP (1) EP3804520B1 (ko)
JP (1) JP6827592B2 (ko)
KR (2) KR20210136177A (ko)
CN (1) CN112236039A (ko)
ES (1) ES2952544T3 (ko)
TW (1) TW202002757A (ko)
WO (1) WO2019230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0946A (zh) * 2020-12-30 2021-05-04 江苏大学 一种基于花卉废弃物的处理物防治温室作物病害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011A (ja) 2007-07-12 2009-01-29 Oji Paper Co Ltd うどんこ病防除剤及び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21A (ja) * 1994-12-22 1996-07-09 Idemitsu Kosan Co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2010094117A (ja) * 2008-10-16 2010-04-30 Gunjiro Higashitani 無農薬農作物栽培方法及びそれに利用する土壌改善剤
MY177649A (en) * 2009-08-06 2020-09-23 Kyowakisetsu Co Lt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11073988A (ja) * 2009-09-29 2011-04-14 Japan Techno Co Ltd 植物病害防除機能剤、及びそれを用いて植物を生育させる方法
JP5672472B2 (ja) * 2010-03-30 2015-02-18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微細気泡形成装置。
CN102640668A (zh) * 2012-04-26 2012-08-22 中国农业大学 一种防治温室气传病害的方法
CN102668932A (zh) * 2012-04-26 2012-09-19 中国农业大学 一种土壤的消毒方法
CN102765797B (zh) * 2012-07-13 2014-09-17 北京中农天陆微纳米气泡水科技有限公司 灌溉水增氧设备
CN103800925B (zh) * 2013-10-12 2016-04-2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增氧消毒装置及方法
WO2015099201A1 (ja) * 2013-12-27 2015-07-02 アクア・ゼスト株式会社 ナノバブル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394201B2 (ja) * 2014-09-03 2018-09-2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希釈農薬の調整方法及び希釈農薬
KR102368897B1 (ko) * 2016-04-15 2022-03-04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아릴페닐케톤계 살균제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의 증강 방법 및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JP2018002646A (ja) * 2016-06-30 2018-01-11 山田 修 植物用薬剤
JP6129390B1 (ja) 2016-07-28 2017-05-17 株式会社カクイチ製作所 ナノバブル生成ノズル及びナノバブル生成装置
JP2018075240A (ja) * 2016-11-10 2018-05-1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微生物の殺菌・静菌および昆虫や病害虫の防除を行う数気圧の加圧により大気に開放された水中に発生させるco2マイクロ・ナノバブル水
CN107347919A (zh) * 2017-08-14 2017-11-17 南阳市农业科学院 一种防治小麦赤霉病的复配杀菌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011A (ja) 2007-07-12 2009-01-29 Oji Paper Co Ltd うどんこ病防除剤及び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4520A1 (en) 2021-04-14
JPWO2019230789A1 (ja) 2021-02-25
ES2952544T3 (es) 2023-11-02
EP3804520A4 (en) 2021-07-28
US20210204540A1 (en) 2021-07-08
EP3804520C0 (en) 2023-08-02
JP6827592B2 (ja) 2021-02-10
KR20200141515A (ko) 2020-12-18
WO2019230789A1 (ja) 2019-12-05
CN112236039A (zh) 2021-01-15
TW202002757A (zh) 2020-01-16
EP3804520B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0571B2 (ja) 肥料吸収率の向上方法
JP7210570B2 (ja) 土壌の改良方法
KR20210136177A (ko) 흰가루병의 방제 방법
JP7370972B2 (ja) マグネシウム欠乏症の防除方法
WO2019230753A1 (ja) コナジラミ類の防除方法
JP7240393B2 (ja) ハダニ類の防除方法
WO2019230764A1 (ja) 果実の防カビ方法、及び果実の防カビ用組成物
WO2019230777A1 (ja) 収穫期の延長方法
WO2019230779A1 (ja) ヨトウムシの防除方法
JP2023096314A (ja) 紋羽病の防除方法
JPWO2019230755A1 (ja) カイガラムシの防除方法および農園芸用殺カイガラムシ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