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094A -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 Google Patents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094A
KR20210136094A KR1020217032293A KR20217032293A KR20210136094A KR 20210136094 A KR20210136094 A KR 20210136094A KR 1020217032293 A KR1020217032293 A KR 1020217032293A KR 20217032293 A KR20217032293 A KR 20217032293A KR 20210136094 A KR20210136094 A KR 2021013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late
plates
fastening
ch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허메이
빌랄 일마츠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3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4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built up from readily-separable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16L3/0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using articulated- or supple-gui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 영역(2B)에서 각각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연속적 체인 판(2)을 포함하는 2개의 판 라인(1A, 1B)을 포함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1)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의 각 측면 부품(3)은 각각의 제2 체인 판(2)에 연관된다. 체인 판(2)은, 측면 부품(3)과는 다른 재료로 제조되고, 중첩 영역(2B)에서 관통 애퍼처(21, 22)를 갖는다. 2개의 단부 영역(3A, 3B)에서, 각각의 측면 부품은, 연속적 체인 판들의 상대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및/또는 연속적 체인 판들을 연결하도록, 연관된 체인 판(2) 및 각각의 인접하는 체인 판(2)의 중첩 애퍼처(21, 22)와 각각 계합되는 복수의 돌출부(31, 32)를 갖는다. 또한, 에너지 유도 체인을 위한 2-부품 분리 웹을 제안하며, 제1 부품(807)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핀(810)을 갖고, 제2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용 수단(812)을 갖고, 이에 따라 2개 부품(807)이 분리 웹의 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 및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2개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는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공급 라인의 동적 유도를 위한 에너지 유도 체인에 관한 것이다. 드래그 체인 또는 케이블 캐리어라고도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은 특히 원치 않는 응력으로부터 유도 라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한 평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고 2개의 이음부(run)와 이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곡률 반경의 방향 변경 영역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구성에서, 이동가능한 이음부는, 지지되지 않거나 자체-지지 관계로 긴 길이에 걸쳐 변위 또는 연장될 수 있어야 한다. 상대적으로 낮은 동적 응력 또는 낮은 변위 빈도를 포함하는 자체-지지 길이가 긴 응용분야는,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지브, 리프팅 플랫폼, 건설 기계 등이다.
에너지 유도 체인은, 통상적으로 측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체인 판들이 있는 체인 링크를 갖는다. 체인 판들은, 종방향으로 측방향 판 라인들을 형성하고 2개의 중첩 영역 중 하나와 각각 중첩되도록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다. 체인 링크들은, 공급 라인들이 유도되고 유지되는 수용 공간을 정의한다.
체인 판의 재료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특성에 매우 중요하다. 응용분야의 각 요구 사항에 따라, 통상적으로 금속, 예를 들어, 강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체인 판, 또는 더욱 빈번하게는 통상적으로 섬유 강화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물의 형태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된 체인 판이 사용된다.
금속 체인 판은, 매우 높은 인장력을 견딜 수 있고, 높은 수준의 기계적 강도, 특히, 높은 수준의 강성과 함께 높은 굽힘 강도를 갖다. 이는 긴 자체-지지 길이, 즉, 지지되지 않고 긴 자체-지지 스팬을 갖는 체인 이음부를 포함하는 응용분야에 특히 유리하지만, 금속 체인 판은, 에너지 유도 체인이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고유 중량을 갖게 하며, 대부분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체인 판에서 가능한 것과 동일한 설계 구성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다.
플라스틱 체인 판은, 구조가 가볍고, 또한, 금속에 비해 높은 탄성으로 인해 영구적 변형 없이 높은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또는 비교적 낮은 탄성 계수로 인해, 매우 긴 자체-지지 길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두꺼운 벽 두께를 사용할 때 플라스틱 체인 판으로만 구현될 수 있다.
양측 유형의 각각 원하는 이점을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 유도 체인에서 유리하게 결합되는 금속 체인 판과 플라스틱 체인 판의 특성에 대한 필요성은 이미 인식되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금속을 포함하는, 판 라인에서 힘을 전달하는 상이한 재료들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을 여기에서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이라고 칭한다.
WO 2017/136827 A1 및 US 9 803 721 B2는, 플라스틱 측면 부품을 포함하는 판 라인과 이에 더하여 강철 시트 체인 판을 포함하는 판 라인을 각 측면에 갖는 이중 판 라인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을 제안하였다.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 또는 체인 판은 크랭크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경우,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협력 맞닿음부 및 별도의 회동 핀을 위한 수용 수단을 포함하는, 측방향으로 변위된 중첩 영역들을 갖는다. 플라스틱 판의 맞닿음부는, 금속 판의 맞닿음부가 서로 맞닿기 전에 동작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강철 시트의 체인 판들은 내부 판과 외부 판으로서 교대로 배열되며, 내부 판 각각에는 소위 수 커넥터라고 하는 돌출부를 갖는 2개의 중첩 영역이 있으며, 외부 판 각각에는 소위 암 커넥터라고 하는 2개의 중첩 영역이 있다. 따라서, 각 체인 링크는 4개의 측면 부품, 즉, 2개의 플라스틱 판과 2개의 금속 판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들 판은 나사식 횡단 웹 또는 바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WO 2017/136827 A1에 개시된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다. 재료 및 조립 측면에서 복잡성과 비용은, 실질적으로 2개의 에너지 유도 체인의 총 복잡성에 해당한다. 또한, 방향-변경 호의 각각의 원하는 반경에 대해, 4개의 일치 구성요소가 각각 상응하게 필요하다. 이에 따라, 고유 중량은, 특히 긴 자체-지지 길이의 목적과 상충되는 2배의 판 수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다.
DE 100 12 298 A1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금속 체인 판들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을 개시한다. 각각의 2개의 체인 판은 플라스틱 측면 부품에 의해 자신들의 중첩 영역에서 연결된다. 중첩 영역에서, 체인 판들은 각각의 관통 애퍼처를 갖고, 이 애퍼처를 통해 각각 연결된 측면 부품의 돌출부들이 계합하여 회동 축선과 허용되는 회동 각도를 정의한다. 그 경우, 둥근 플라스틱 측면 부품의 직경은, 연결된 금속 체인 판들의 중첩 영역의 표면적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체인의 무게는 WO 2017/136827 A1에 비해 감소되지만, 플라스틱 측면 부품에 의한 체인 판들의 기계적 연결은 약한 지점을 나타낸다. 측방향 분리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칼라를 갖는 추가 금속 부시가 제안되어, 재료 및 조립에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DE 197 07 966 A1 또는 US 6 161 372 A에 개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을 사용하여 추가 해결책이 이전에 제안되었다. 그 구성은, 판 형상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코어 케이싱과 함께 이러한 판 형상 코어를 특수 체인 판을 사용한다. 코어는 코어 케이싱에 비해 높은 강도의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금속 판과 플라스틱 판의 장점은 동일한 체인 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즉, 여기서 체인 판을 2배로 늘릴 필요가 없다. 자체적으로 하이브리드 설계로 된 체인 판들은 플라스틱으로 된 2개의 상보적 연결부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DE 103 43 263 A1은, 또한, 고강도 코어를 갖는 체인 판을 제안하였다. 그러한 2개의 구조는, 첫 번째 언급한 것보다 고유 무게와 관련하여 현저히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 체인 판의 제조 비용은 비교적 높으며, 예를 들어, 추가 코팅 공정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조립 복잡성과 비용은, 일반적인 금속판과 유사하며, 즉, 플라스틱 체인 판으로 가능한 일반적인 경우보다 높다.
따라서, 전술한 기술 상태를 기본 출발점으로 취하여,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플라스틱 체인 판과 고강도 재료의 체인 판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을 제안하는 것이며, 동시에 에너지 유도 체인은, 적은 수의 개별 부품 또는 높은 수준의 모듈성 및/또는 낮은 조립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 및 청구항 17에 따른 체인 링크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달성된다. 2개의 에너지 유도 체인은, 고유 중량도 낮아야 한다.
또한, 다른 양태에서, 다른 독립적인 목적은, 횡단 바의 원치 않는 분리에 대한 보호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 유도 체인을 위한 새로운 분리 웹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에너지 유도 체인의 유형에 관계없이, 청구항 18에 따른 분리 웹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그 분리 웹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에 특히 적합하다.
제1 양태(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분류부에 설명되는 일반적인 종류의 에너지 유도 체인에 있어서, 제1 목적은, 비교적 고강도 및/또는 고강성, 특히, 비교적 큰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연속적 체인 판들에 관통 애퍼처들이 양측 중첩 영역에서 각각 제공되고, 상기 애퍼처들은 연속적 체인 판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중첩되고, 또한, 상기 제2 체인 판들 각각에 대하여, 양측 단부 영역에서 돌출부를 각각 갖는 플라스틱 측면 부품이 제공되고, 이러한 돌출부를 이용하여 2개의 각 체인 판,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관된 체인 판 및 대응하는 단부 영역에 인접하여 각각 후속하는 체인 판의 중첩되는 관통 애퍼처를 통해 측면 부품이 계합된다는 점에서 이미 달성되었다.
따라서 측면 부품의 제1 단부 영역의 돌출부들은 연관된 체인 판의 제1 중첩 영역에서 관통 애퍼처들을 통해 계합될 수 있고, 따라서 측면 부품의 제2 단부 영역의 돌출부들은 연관된 체인 판의 제2 중첩 영역에서 관통 애퍼처들을 통해 계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돌출부들이 있는 측면 부품은, 제1 중첩 영역에서 측면 부품에 연관된 체인 판을 판 라인 내에 인접하는 제1 체인 판에 연결할 수 있고, 제2 중첩 영역에서 판 라인 내에 인접하는 제2 체인 판에 연결할 수 있다. 측면 부품의 돌출부들은, 제2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를 통해 양측 중첩 영역에서, 연관된 체인 판 및 판 라인 내에서 이에 인접하는 체인 판을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측면 부품은 체인 판들을 회동가능하게 상호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연결은 판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그 경우에, 그러한 3개의 체인 판 중 2개의 각 체인 판은, 측면 부품에 연관된 체인 판이 이들의 양측 중첩 영역에서 측면 부품에 연결됨에 따라, 측면 부품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그 경우, 측면 부품은, 계합되는 2개의 중첩 영역을 통해 연관된 체인 판에 대하여 회동할 수 없다. 이는, 특히 더욱 안정적이면서 덜 민감한 링크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링크 연결은, 특히 다른 체인 판과 측면 부품의 2개의 단부 영역 중 하나의 중첩 영역인, 체인 판의 각각의 중첩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측면 부품은 2개의 연결된 체인 판 중 하나에 연관된다. 다른 체인 판은, 측면 부품의 단부 영역과 측면 부품이 연관된 하나의 체인 판 사이의 2개의 중첩 영역 중 하나에 수용될 수 있다.
판 라인 또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종방향으로 플라스틱 측면 부품의 길이 치수는 적어도 체인 피치(종방향으로 회동 또는 링크 축선 사이의 간격)이다. (측면에서 볼 때) 플라스틱 측면 부품의 베이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체인 판의 베이스 영역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플라스틱 측면 부품의 베이스 영역은 예를 들어 약간 더 작게 선택될 수 있어서, 금속 체인 판만이 접촉면 또는 지지면에 대한 좁은 측면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측면 부품의 베이스 영역은 체인 판 영역의 >50%이다.
따라서, 더 높은 강도 및/또는 더 높은 굽힘 강성의 재료를 포함하는 체인 판은, 판의 연결을 위한 중첩 영역에 관통 애퍼처 또는 암 연결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애퍼처는 수용 수단으로서만 사용되며, 이는 특히 동일한 부품의 형태로 된 그러한 체인 판을 위한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대조적으로,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은, 관통 애퍼처 또는 암 연결 영역에 의해 체인 판들을 함께 연결하는 수 연결 요소로서의 돌출 돌출부가 있는 더욱 복잡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설계 구성은, 이미 시도되고 테스트된 제조 공정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코팅 절차와 같은 특수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부품의 돌출부는, 연속적 체인 판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또는 연속적 체인 판들 사이의 힌지식 회동가능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두 가지 목적 모두를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더 높은 강도 및/또는 더 큰 탄성 계수를 갖는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체인 판에 더하여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구조는, 적어도 에너지 유도 체인 또는 각 판의 종방향 부분에, 특히, 정상 동작시 자체-지지되는 이음부의 경우 가장 높은 하중 또는 변형력에 노출되는 임계 영역에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단순화를 위해, 판 라인은, 특수 천이 부품을 피하기 위해 제안된 하이브리드 구조를 사용하여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체인 판의 높은 기계적 강도는, 금속 판을 포함하는 체인으로 달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벽 두께로 매우 긴 자체-지지 길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체인 판은, 제조 비용이 매우 저렴하지만 강도는 높은 매우 단순한 구조일 수 있다. 체인 판은, 특히 암 커넥터로만 설계될 수 있으며, 즉, 예를 들어, 조인트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돌출 부품이 없다. 이 경우, 그러한 관통 애퍼처 또는 개구의 전체 면적 비율은, 고강도 덕분에, 체인 판의 전체 베이스 영역(외부 윤곽에 의해 정의됨)의 40% 초과, 특히 40% 내지 60%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즉, 고유 중량이 더욱 감소된다.
반면에,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에너지 유도 체인 또는 체인 링크에서 기존 플라스틱 판의 바람직한 특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측면 판은, 특히 간단하고 빠르며 도구가 필요 없는 조립을 허용하는 더욱 복잡한 형상일 수 있다.
플라스틱 측면 부품에 의해 더 높은 강도 또는 강성의 재료를 포함하는 연속적 체인 판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기술에 비해 필요한 구성요소 및 조립 단계의 수도 눈에 띄게 감소시킬 수 있다.
체인 판 재료의 탄성 계수(E-계수, 탄성 계수 또는 영 계수라고도 함)는, 플라스틱 측면 판에 비해 자체-지지 길이의 감지할 수 있는 증가를 달성하도록 바람직하게 측면 부품의 재료의 탄성 계수의 적어도 3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배이어야 한다. 체인 판의 재료의 탄성 계수는, 예를 들어, > 50 MPa, 바람직하게는 > 70 MPa일 수 있다. 측면 부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유리 섬유-강화 폴리아미드는 비교시 <10 MPa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힘의 전달은, 고강도 체인 판에 의해 및 플라스틱 측면 부품의 돌출부 또는 수 커넥터에 의해서만 수행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플라스틱 돌출부만이, 해당 치수가 동작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하며, 특히 전단 작용에 저항하도록 강해야 한다. 맞닿음부 역할을 하는 애퍼처를 통해 계합되는 플라스틱 돌출부는, 또한, 금속판을 포함하는 기존 체인에 비해 동작의 개선된 부드러움을 가능하게 한다.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더욱 복잡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특히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더 저렴하고 가벼운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측면 부품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인장력이나 추력이 본체를 통해 전달되지 않아야 하거나 전달되지 않으므로, 실제 체인 판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플라스틱 판의 통상적인 이점, 특히, 예를 들어, 맞닿음부에서의 낮은 소음 수준과 래칭 또는 스냅 동작 연결과 같은 원하는 기능적 특징에 대한 높은 수준의 설계 자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것은, 개별 체인 링크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제조하고 몇 개의 작업 단계로 연결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측면 부품에 대한 증가된 비용은, 종래의 금속 판에서 일반적이듯이, 통상적인 링크 조인트 연결 및 횡단 바의 고정의 제조 비용을 미미하게 초과할 뿐이거나 이러한 제조 비용보다 저가일 수 있다. 또한, 고강성 재료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2 체인 판에 대해서만 플라스틱 측면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의 수에 수적으로 상응하는 측면 부품의 돌출부 또는 수 연결 구성요소에 더하여, 다양한 추가 기능 영역이 낮은 수준의 복잡성 및 낮은 제조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박스형 체인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횡단 바 또는 횡단 부재에 대한 연결은, 예를 들어, 측면 부품 상에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체인 판은, 예를 들어, 적은 제조 단계로 강철 스틸의 저렴한 스탬핑 부품의 형태로 특히 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전개예에서 - 적어도 에너지 유도 체인의 임계 종방향 부분에서 - 적어도 체인 판 또는 측면 부품, 바람직하게는 둘 다는 각각 구조적으로 동일한 기본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각 판 라인은 체인 판과 측면 부품이라는 2개의 상이한 구성요소로만 구성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폐쇄형 체인 링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원하는 체인 폭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횡단 바만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전개예에서 - 적어도 에너지 유도 체인의 임계 종방향 부분에서 - 회동 축선에 수직인 주 평면의 모든 체인 판 및 측면 부품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윤곽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둘레, 특히, 각각의 세장형 원형, 달걀형, 또는 타원형 둘레를 갖는다.
이들의 중첩 영역에서, 가장 단순한 실시예의 체인 판 각각은, 회동 축선 주위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원형 디스크의 섹터 형태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대략 호형 관통 애퍼처를 갖는다. 측면 부품의 돌출부는 그러한 애퍼처를 통해 계합되어,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돌출부의 단부 영역은 각각 해당 돌출부의 대응하는 맞닿음면에 맞닿아 상대적 회동 각도를 제한한다. 그 경우에, 회동 각도는, 방향 변경 호에서 최대 회동 각도를 향해 및 (직선을 형성하기 위해, 특히 자체-지지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해) 직선 위치에서 동일한 정도로 또는 동일한 돌출부가 있는 양측면에서 최소 회동 각도를 향해 양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맞닿음-돌출부는, 특히,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회동 방향에 있어서 양측면에서 애퍼처의 경계성 단부와 협력하는 2개의 맞닿음면을 가질 수 있다. 맞닿음 표면은 바람직하게 평평하고 균일한 표면의 형태이다.
방향 연결 호에서 원하는 반경의 조절은 회동 각도에 대한 제한을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의해, 특히 측면 부품 상의 대응하는 돌출부의 치수를 정함으로써 원하는 모든 반경이 달성될 수 있으며, 즉, 동일한 체인 판을 사용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상이한 각도 제한이 가능하다. 다양한 측면 부품에 의한 각도 변화 덕분에, 단일 체인 판을 동일한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전체 설계 범위에 대해 몇 개의 상이한 체인 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체인 판은 더 많은 수로 더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양측 중첩 영역의 체인 판들은 각각 원하는 회동 축선 상에서 중심 관계에 있는 원형 관통 애퍼처를 가질 수도 있다. 이어서, 플라스틱 측면 부품 상에 있는 핀형 구성의 해당 돌출부는, 연속적 체인 판들 사이의 회전형 조인트 연결을 형성하도록 애퍼처에 계합될 수 있다. 그 조인트 돌출부는, 통상적인 수용 수단-핀 회동 연결을 위한 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즉,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맞닿음면이 없다. 그러나, 회전가능한 연결은, 대안으로, 측면 부품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기 위해 맞닿음부-돌출부에 대한 적절한 호형 형상 및 맞닿음부-동작 애퍼처에 대한 대응 형상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양측 변형예에서, 측면 부품들은, 각각 조인트 연결을 제공하는 데 적절하거나 종방향으로 연속 발생하는 2개의 조인트 연결에 적절한 돌출부, 특히, 양측 단부 영역에 맞닿음-돌출부 및/또는 조인트 돌출부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측면 부품들은, 각각 동일한 구조이고/이거나 일체로 또는 일체형으로, 특히 동일한 플라스틱으로부터의 단일 재료로 제조된다.
측면 부품들은 각 판 라인의 일측면에만 독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연관된 체인 판과 관련하여 각각의 측면 부품은,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인접한 2개의 체인 판을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전개예에서, 모든 체인 판과 측면 부품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합동인 외부 윤곽을 갖는다. 이는 특히 방향 변경 호의 부품에 대한 더욱 양호한 롤링 거동을 허용한다.
체인 판은, 크랭크 구성 또는 오프셋이 없는 평평한 구성요소의 형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체인 판은, DE 197 07 96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체인 판에 비해 현저하게 더 쉽고 더 유리한 제조를 허용하는, 일체로 및 단일 재료로 또는 단 하나의 재료로부터 모놀리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부품에는 크랭크 구성 또는 측방향으로 돌출부가 없는 평평한 본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본체는, 인장력/추력을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얇은 벽 구조일 수 있다.
체인 판은, 특히, 금속 시트, 바람직하게는 강철 시트,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철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강철 또는 강철 합금의 대안으로, 체인 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70 MPa의 탄성 계수를 갖는 고강도의 체인 판은, 또한, 예를 들어, GRP 또는 CRP와 같은 복합 섬유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비산화성 재료가 선호된다. 체인 판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구성요소 두께를 갖는 평평한 구성요소의 형태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체인 판은, 평평한 스탬핑 부품의 형태로 또는 다른 기계 가공 작업 또는 예를 들어 스트립 강철 또는 강철 판으로부터의 절단에 의해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인 판의 일정한 벽 두께 또는 판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 mm 내지 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2 mm 내지 4 mm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인 판들은, 서로에 대해 교대로 측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즉, 각 판 라인에서 내부 및 외부 체인 판들이 연속적으로 교번하거나 발생하도록 배열된다. 그 경우에, 체인 판들은, 특히 배타적으로 또는 일측면에서만 이들의 중첩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즉, 각 판 라인에서는, 고강도 재료의 2개의 개별 체인 판만이 항상 중첩된다. 이에 따라, 2개의 개별 부품을 포함하는 포크형 체인 판이 사용되지 않아서, 제조 비용, 조립 비용, 및 중량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그 경우에, 측면 부품들은 각각의 제2 체인 판에서 외부에 각각 배열된다. 체인 판들의 대체 배열과 함께 함으로써, 조립을 더욱 단순화한다.
2개의 판 라인 사이의 연결이 측면 부품에 의해서만 횡단 바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즉, 2개의 대향 측면 부품이 횡단 바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경우, 특히 간단한 조립 및 저렴한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는 횡단 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돌출 고정 핀이 해당 측면 부품에 제공되는 것을 제공한다. 고정 핀은, 특히 단부 영역들 사이의 중심 영역에서 좁은 측면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핀은, 특히 자체 공지된 구조 또는 이미 존재하는 시리즈의 적절한 횡단 바에 대한 확실한 잠금 및/또는 강제 잠금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핀이 각각의 측면 부품 상에 제공되며, 특히 각각의 좁은 측면 근처에 이러한 개별 고정 핀이 있다. 고정 핀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와 동일한 측면으로 돌출하여, 측면 부품에 대해 평평한 외측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체인 링크의 2개의 외측 또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부품은, 특히 체인 링크에 대한 박스형 단면을 제공하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 대향 관계에 있는 2개의 개별 횡단 바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횡단 바는,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잠금 및 강제 잠금 연결, 특히 스냅 연결에 의해 측면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점에서, 적어도 횡단 바의 연결 영역은 전체적으로 또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횡단 바는, 대부분 또는 일체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유리하고 오래 지속되는 연결을 허용한다. 횡단 바와 측면 부품은, 동일한 플라스틱 또는 최소한 동일한 기본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도 가능하다.
측면 부품 상의 이러한 고정 핀은, 예를 들어, 입증된 견고한 래칭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횡단 바의 간단한 조립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구 사용 없이 종래의 횡단 바로 측면 부품과 연관된 체인 링크를 연결하여 박스 형상 단면의 체인 링크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횡단 바는, 특히 측면 부품의 돌출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측면 부품의 고정 핀에만 고정된다. 이는 금속판과 관련하여 통상적인 나사 연결과 관련된 비용과 노력의 증가를 방지한다. 측면 부품이 더 강한 재료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2 체인 링크에만 제공된다면, 이는 각각의 제2 체인 링크에만 횡단 바가 있는 반-일정 구조를 제공하고, 중량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 횡단 바들은, 인접한 체인 판의 횡방향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특히 인접한 외부 체인 판에 대한 내부 체인 판의 횡단 체결 수단으로서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동시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측면 부품의 고정 핀은, 각각 연관된 체인 판의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계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전개예에서, 고정 핀용 측면 판의 대응하는 개구는, 횡단 바가 해당 개구의 에지에 대해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일치하는 관계 또는 공액 관계로 치수가 정해진다. 그러한 식으로, 횡단 바는, 연관된 체인 판을 측방향으로 또는 각각의 측면 부품 상의 에너지 유도 체인의 종방향을 횡단하여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구 사용 없이 몇 가지 작업 단계를 거쳐 체인 라인을 특히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각각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단부의 횡단 바는, 체인 판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종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되는 지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연결부를 제외한 전체 체인은,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 특히 3개의 상이한 부품, 즉, 각각 동일한 부품의 형태일 수 있는 체인 판, 측면 부품, 및 횡단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조립 오류를 방지하고 제조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측면 부품을 연관된 체인 판에 측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횡단 바를 사용함으로써, 추가 커넥터 없이, 특히, 예를 들어, 나사, 리벳, 볼트, 슬리브 등과 같은 금속 커넥터 요소 없이 측면 부품을 체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이고 진동 하에서 느슨해질 수 있는 이러한 커넥터 요소는, 이 경우에 회피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재료 및 조립에 관한 비용뿐만 아니라 중량도 더 감소된다.
체인 판의 형상 안정성을 높이거나 동일한 최대 자체-지지 길이를 가진 더 작은 벽 두께의 체인 판을 사용하려면, 체인 판의 적어도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쪽 좁은 측면에서 판의 주 표면에 횡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는 강화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강화 영역은, 캐리어 플랜지와 유사한 작용으로서 특히 시트 금속 판과 관련하여 유리하고, 예를 들어, 시트 금속 트리밍, 플랜지 오버 등에 의해 평평한 기본 형상을 변환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강화 영역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적 또는 완전히 평평한 체인 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종방향과 관련하여 또는 측면도와 관련하여 각각의 판 윤곽에 따라, 강화 영역은 직선 또는 약간 곡선 구성이 될 수 있다. 체인의 종방향의 치수와 판의 주 평면에 수직인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강화 영역이 양측 각도 단부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측면 부품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첩 영역에서 체인 판의 판 두께 또는 재료 두께의 두 배 이상인 치수로 돌출되는 크기를 갖는다. 그러한 식으로,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지지되거나 중첩되는 2개의 체인 판을 통해 완전히 계합될 수 있으며, 약간의 단부 돌출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체인 링크의 내부의 불필요한 방해되는 에지를 피하기 위해, 돌출부는 판 두께의 3배 미만의 치수로 최대한 내측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치수는, 돌출부가 내부 또는 연관된 체인 판의 내부에서 같은 높이로 종단되는 치수이다.
체인 판 라인의 측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단부 영역 또는 중첩 영역에서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일부 돌출부 또는 각 돌출부에, 적어도 하나의 각 횡단 연장부가 제공되면 유리하고, 측면 부품을 대면하며 각 횡단 연장부의 뒤에서 계합하는 체인 판, 즉, 측면 부품과 이에 연관된 체인 판 사이에서 바로 인접하는 체인 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으로, 적어도 해당 체인 판이 회동 방향으로 맞닿은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의 횡방향 연장부 뒤에서 체인 판이 계합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측방향 유지 작용을 제공하고, 특히, 관통 애퍼처의 대응하는 단부 영역을 갖는 체인 판이 연관된 돌출부의 각각의 맞닿음면에 대해 지지될 때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연관된 내부 체인 판은 횡단 바를 통해 측면 부품에 대해 이미 측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에 측방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횡방향 연장부들은, 특히, 자신 뒤의 계합이 연관된 체인 판과 중첩되는 2개의 체인 판에 의해 각각 수행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체인 판과 측방향 외부 부품 사이에 외부 체인 판으로서 각각 배치된다. 이는, 라인을 위한 수용 공간에 횡방향 연장부로 돌출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체인 판은, 측면 안정화를 위해 횡단 연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계합되고, 바람직하게는 판 라인의 직선 위치에서, 즉, 특히 자체-지지된 이음부에서도 계합된다. 맞닿음 돌출부의 횡방향 연장부 뒤에도 또는 완전히 경사진 회동 위치에 대해서만 이러한 계합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횡방향 연장부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회전 조인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핀형 돌출부 상에, 예를 들어, 래칭 연결부, 스냅 연결부 등과 같이 측면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로서, 회전형 조인트 돌출부에 스냅 후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좁은 측면을 향하거나 인장력/추력의 흐름 주위에 있지 않다. 스냅 후크 등을 갖는 적합한 힌지 핀은, 바람직하게는 더 단단한 체인 판을 개질 또는 처리하지 않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측면 부품 상에 돌출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횡단 체결 작용은, 각각 인접한 체인 판과의 일종의 베요넷(bayonet) 연결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체인 판의 제조에 있어서, 체인 판의 각 중첩 영역의 관통 애퍼처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형상화된 에지 영역 및/또는 회전형 조인트 연결을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형상화된 에지 영역을 갖는 점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플라스틱 돌출부에 가해지는 전단력 또는 응력은 체인 판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더 큰 영역으로 분포될 수 있거나, 돌출부는 표면적에 대한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상응하는 재료 절약형 구성일 수 있다.
동작시, 평면에서 바람직하게 변위될 수 있는 에너지 유도 체인은, 통상적으로 제1 이음부, 제2 이음부, 및 이들 사이에 방향 변경 영역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하나의 이음부는, 예를 들어, 특수 연결 부품에 의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 위치의 연행 수단에 대하여 단부 영역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구성이고 관통 애퍼처를 갖는 연속적 체인 판이 제1 및 제2 중첩 영역에 제공되고 각각의 측면 부품이 각각의 제2 체인 판에 연관된 종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 에너지 유도 체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3분의 1에 걸쳐 연행 수단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 영역에서, 특히, 일반 동작시 자체-지지되는 이음부에서의 힘이나 하중은, 가장 높거나 연장된 상태에서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단순화를 위해, 에너지 유도 체인의 길이의 일부만을 따라서만, 단부 영역 사이의 양측 판 라인이 연속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영역 또는 연결 부품을 제외한)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체인 판 및 측면 부품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 경우, 모든 체인 판과 측면 부품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중첩 영역에 관통 애퍼처 및 제2 중첩 영역에 관통 애퍼처를 갖는 2개의 대향 배치된 금속 시트의 체인 판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용 개별 체인 링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대향 배치된 각각의 체인 판과 관련하여 측방향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측면 부품은, 회동 각도 제한 및/또는 조인트 연결을 위해 체인 판의 암형 애퍼처를 통해 계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 돌출부를 갖는 2개의 단부 영역을 각각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단부 영역 각각의 측면 부품 상에, 체인 판의 중첩 영역당 관통 애퍼처 또는 암 수용 수단의 수에 대응하는 수형 요소 또는 돌출부의 수가 제공되어, 각 단부 영역 상의 각각의 돌출부가 연관된 체인 판의 중첩 영역에서 연관된 관통 애퍼처를 통해 계합된다.
이어서, 이러한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는, 2개의 개별 체인 판(측면 부품 없음)에 의해 양측면에서 이러한 추가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즉, 각각의 제2 체인 링크만이 제안된 측면 부품을 갖는다. 그 체인 링크는, 다른 경우에는 전술한 기능부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핵심 개념으로서, 플라스틱 측면 부품은, 연관된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 또는 암형 수용 수단을 통해 또한 후속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 또는 암형 수용 수단을 통해 이러한 판들을 함께 연결하도록 양측 단부 영역에 연관된 체인 판의 2개의 중첩 영역에서 각각 계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 커넥터 요소 또는 돌출부를 갖는다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부품은, 전체적으로 3개의 연속 판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측면 부품은, 2개의 연속적 체인 판을 힌지 방식으로 연결하고/하거나 이들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이러한 연속적 체인 판의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통해 계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조립이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여, 재료를 절약하고 구성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체인 판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기계적 강도, 즉, 긴 자체-지지 길이를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각 측면 부품은, 2개의 힌지 연결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대응하는 체인 판과 함께 이들 사이에 2개의 힌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 부품의 일단부 영역은 그 경우에 제1 조인트 연결을 위한 돌출부(들)를 가질 수 있고, 측면 부품의 타단부 영역은 추가의 제2 조인트 연결부를 위한 돌출부(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조인트 연결은 3개의 영역의 협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즉, 돌출부가 있는 측면 부품의 단부 영역, 제1 체인 판 또는 측면 부품이 연관된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를 갖는 중첩 영역, 및 제2 체인 판의 관통 애퍼처가 있는 중첩 영역에 해당하며, 여기서 돌출부는 양측 체인 판의 애퍼처를 통해 각각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정확히 하나의 측면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 체인 판과 연관되고, 여기서 상기 하나의 측면 부품은 2개의 조인트 연결부의 구성 부품이고, 이를 사용하여 연관된 체인 판은 2개의 인접한 체인 판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제2 양태(체결 분리 웹)
상기 언급된 제1 양태와는 무관한 제2 양태에 따르면, 체인 링크의 2개의 대향 배치된 횡단 바 또는 횡단 부재의 원치 않는 탈착 또는 분리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분리 웹을 제안한다. 그 분리 웹은,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양태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으로 배타적이지는 않다.
종래의 횡단 웹은 체인 링크에서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횡단 웹은, 일반적으로 체인 링크의 횡단 바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고정 영역을 양측 단부에 가지며, 주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 영역으로서 공지된 분리 웹은, 통상적으로 분리 웹을 횡단 바에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제조 및 해제될 수 있는 래칭 연결부를 적어도 일 측면에 갖는다. 그러나, 공지된 래칭 연결부는, 횡단 바의 원치 않는 탈착에 대한 내구성 있는 보호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다.
본 출원인의 DE 20 2015 101 707 U1은 2개의 횡단 바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다부품 분리 웹을 기술하고 있다. DE 20 2015 101 707 U1에 개시된 분리 웹의 부품들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부품들을 서로 분리하려면, 횡단 바를 개방하거나 제거해야 한다. KR 20 0 293 663 Y1은 2-부품 분리 웹을 기술하며, 2개의 부품 각각은 하나의 횡단 바에서 다른 횡단 바로 연장된다. 각 부품은, 각 횡단 바에 대해 하나의 고정 영역의 절반과 다른 고정 영역의 절반을 형성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양측면에서 인접 관계에 있는 횡단 바와 함께 고정 효과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더욱 강한 연결을 허용하는 분리 웹을 제안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분리 웹은, 주 평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핀을 포함하는 제1 부품 및 주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오목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용 수단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2개 부품이 자신들의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2-부품 구성이라는 점에서 이미 달성된다.
분리 웹을 에너지 유도 체인의 종방향 또는 분리 웹의 주 평면에 수직으로 2개의 부품으로 분할하는 제안된 분할 기능은 횡단 바에 더욱 강한 고정을 허용하며, 이는 어렵게만 해제될 수 있거나 동작 중에 해제될 수 없다. 횡단 바는, 통상적으로 체인 링크의 구조적 높이 방향으로 대략 연결되고, 예를 들어, 래칭 계합에 의해 체인 판 또는 측면 부품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구조 덕분에, 2-부품 분리 웹이 먼저 측방향(종방향 또는 횡단 바의 연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분리된 후에 횡단 바의 분리 또는 제거가 먼저 가능하게 되어, 그 방향으로의 해제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되는 분리 웹과 횡단 바 간의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먼저 분리 웹의 2개 부품의 분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동작 중에 의도하지 않게 해제될 수 없는 신뢰성 있는 체결 동작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식으로, 분리 웹은, 체인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일반적인 기능 외에도, 체인 링크 상에 횡단 바를 체결하는 기계적 보호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2-부품 분리 웹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양측 부품은 동일한 부품들의 형태일 수 있고/있거나 각각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각 부품은, 고정 영역 및 한편으로는 체결 핀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체결 수용 수단을 갖는 본체로 각각 설계될 수 있다. 체결 핀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본체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리 웹의 연결 상태에서, 2개의 각각의 체결 핀이 대응하는 체결 수용 수단에 고정될 수 있다. 2개 부품 각각은 특히 정확히 하나의 고정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고정 영역은 1-부품 구성이다. 그 변형예는 특히 안정적이다.
횡단 바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보호는, 각 고정 영역이 횡단 바가 주 평면에 수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주변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갖는 경우에 달성된다.
분리 웹의 2개 부품의 원치 않는 분리에 대한 추가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부품은, 고정 영역의 반대측 단부 영역에서, 주 평면에서, 특히 에너지 유도 체인의 종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은, 연장부에 의해, 특히, 나사 연결부, 체결 핀 등에 의해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 웹 부품들이 함께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연장부 상의 추가 체결 수단이 체인 링크의 외부로부터 그리고 라인이 내부에 장착된 경우에도 쉽게 접근될 수 있다는 점이다.
분리 웹의 2개 부품 간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체결 핀이 체결 수용 수단에 래칭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래칭 오목부와와 래칭 설부(tongue)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래칭 또는 스냅 연결의 협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양태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분리 웹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각각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기능과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호 범위에 대한 제한 없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도면은 순전히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조립된 상태(도 1a) 및 부분 분해도(도 1b)의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의 직선 종방향 부분을 도시하고,
도 2a 내지 도 2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체인 판을 사시도(도 2a), 내부로부터의 측면도(도 2b), 평면도(도 2c), 및 외부로부터의 측면도(2d)로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을 사시도(도 3a), 내부로부터의 측면도(도 3b), 평면도(도 3c), 및 하부로부터의 측면도(도 3d)로서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체인 판의 제1 변형예를 내부로부터의 사시도(도 4a), 정면도(도 4b), 및 외부로부터의 사시도(도 4c)로서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체인 판의 제2 변형예를 내부로부터의 사시도(도 5a), 정면도(도 5b), 및 외부로부터의 사시도(도 5c)로서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체인 판의 제3 변형예를 내부로부터의 사시도(도 6a), 정면도(도 6b), 및 외부로부터의 사시도(도 6c)로서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내부와는 개별적이며(각각 도 7a와 도 7b) 연결가능 그룹의 형태(도 7c)로 된 추가 실시예의 체인 판 또는 측면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면은 독립적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순전히 예로서 도시된다.
도 8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 웹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체인 링크를 도시한다.
도 8b 내지 도 8d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웹을 사시도(도 8b), 2개의 횡단 웹에 고정된 분리 웹의 단면도(도 8c), 및 분리 웹의 정면도(도 8d)로서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 웹의 사시도(도 9a), 2개의 횡단 바에 고정된 상기 분리 웹(도 9a)의 단면도, 고정 핀의 단면도인 상세도(도 9c)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 웹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은 제1 양태에 관련된 변형예로서 다음을 차례로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측면 부품을 내부로부터의 측면도(도 11a), 내부로부터의 사시도(도 11b), 및 도 11a의 섹션 라인(XIC-XIC)을 따라 확대된 부분 단면도(도 11c)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의 부분적인 일부를 사시도(도 12a), 이에 관한 부분 확대도(도 12b)를 도시하고, 횡단 바를 위한 특수 커넥터를 평면도(도 12c) 및 측면도(도 12d)로서 도시하고, 에너지 유도 체인의 횡단 바를 평면도(도 12e) 및 단부도(도 12f)로서 도시한다.
제1 양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도 1a와 도 1b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판 라인(1A, 1B)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1)의 종방향 부분을 도시한다. 각각의 판 라인(1A, 1B)은, 2개의 구성요소, 즉, 금속, 예를 들어, 강철 시트의 체인 판(2) 및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측면 부품(3)으로 구성된다. 2개의 판 라인(1A, 1B)은, 한 쌍의 횡단 바(4)에 의해 병렬 관계로 함께 연결되고, 자신들 사이에 공급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수용 공간을 정의한다. 양측면에 사용될 수 있는 횡단 바(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DE 35 31 066 C2 또는 US 4 813 224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교시 내용은 본원에 원용된다.
에너지 유도 체인(1)은, 하프-웹 구조이며, 서로 다른 구조의, 즉, 제1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들(5A)이 2개의 체인 판(2), 2개의 측면 부품(3), 및 2개의 횡단 바(4)를 포함하고 제2 단순 또는 넌-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B)가 2개의 체인 판(2)만을 포함하는, 교번되는 체인 링크들(5A, 5B)로 설계된다. 연속적 체인 링크들(5A, 5B)은, 함께 힌지식으로 각각 연결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회동 축선(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도 1a와 도 1b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의 기응력(prestressed) 또는 직선 위치로부터 정의된 반경의 방향-변경 호(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진 위치로 회동가능하고, 에너지 유도 체인(1)이 왕복될 때 역으로 회동가능하다. 에너지 유도 체인(1)은,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연결부들(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연속적으로 교번하는 체인 링크들(5A, 5B)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체인 판(2)은 각각의 판 라인(1A, 1B)에서 교번하여, 금속 체인 판들(2)이 쌍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단부 중첩 영역(2A, 2B) 및 인접하는 체인 판(1)의 각각의 대향 중첩 영역(2A, 2B) 중 각각의 하나와 중첩된다. 이에 따라, 금속 체인 판들(2)은, 2개의 판 라인(1A, 1B)에 배열되며, 여기서는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의 내부 판과 단순 체인 링크(5B)의 외부 판으로서 교대로 배열된다. 이 경우, 체인 판들(2)은, 모든 체인 링크(5A, 5B)에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는 도 2a 내지 2d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부품들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라스틱 측면 부품(3)은, 각각의 금속의 제2 체인 판(2), 여기서는 체인 링크(5A)의 내측으로 배치된 체인 판(2)하고만 연결된다. 따라서, 체인 링크(5A)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두 가지 재료를 하이브리드 관계로 사용한다. 측면 부품들(3)은, 동일한 구조의 동일한 부품들이고, 단일 재료,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도 3a 내지 도 3d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의 대향 체인 판들(2)과 관련하여, 각각의 특수 측면 부품(3)은 체인 링크(5A)에서 연결 형상 부품으로서 연관되고 외부에 장착된다(도 1b). 각 판 라인(1A, 1B)에서, 단순 체인 링크(5B)의 2개의 인접한 금속 체인 판(2)은, 이러한 측면 부품(3)에 의해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의 체인 판(2)에 각각 연결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중첩 영역(2A, 2B)에 있는 체인 판들(2)은,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4개의 각각의 제1 관통 애퍼처(21)(이하, 맞닿음 관통 애퍼처(21)라고 지칭됨), 및 여기서는 회동형 조인트 연결 형태로 된 체인 판들(2)의 힌지식 연결 역할을 하는 각각의 제2 관통 애퍼처(22)를 갖는다.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연결 플라스틱 부품, 즉, 각각의 단부 영역(3A, 3B)에 있는 측면 부품(3)은, 체인 판(2)의 맞닿음 관통 애퍼처(21)를 통한 계합을 위한 4개의 각각의 제1 돌출부(31)(이하, 맞닿음 돌출부(31)라고 지칭됨)를 갖는다. 또한, 측면 부품(3)은, 연결될 2개의 체인 판(2)의 제2 관통 애퍼처(22)에 계합하기 위한 제2 돌출부(32)를 가지며, 이는 제2 관통 애퍼처(22)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모든 맞닿음 관통 애퍼처(21)는, 판 평면에서 원형 디스크의 부채꼴의 형태로 된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며, 각각 도 2b 및 도 2d를 참조한다. 각각의 중첩 영역(2A, 2B)에서, 맞닿음 관통 애퍼처들(21)은, 체인 링크(5A, 5B)의 회동 축선(A) 주위에 각각 균등하게 분포된다. 관통 애퍼처(21)의 호형 치수는, 원하는 회동 각도에 대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지만, d가 맞닿음 관통 애퍼처(21)의 수인 360°/d보다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여기서 d=4이어서, 체인 판(2)의 단부는 해당 중심 영역(2C)에 인장력 관점에서 고정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맞닿음 관통 애퍼처(21)와 협력하는 측면 부품(3)의 맞닿음 돌출부(31)는, 또한 동일한 블록 형상 요소의 형태로 형성되며, 여기서는 대략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베이스 표면을 갖고, 도 3b를 참조한다. 각각의 맞닿음 돌출부(31)는, 자신의 긴 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2개의 맞닿음면(31A, 31B)을 갖는다. 맞닿음면(31A, 31B)은, 각각의 호형 맞닿음 관통 애퍼처(21)의 단부에서 2개의 직선형 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들(21A, 21B) 중 각각의 하나와의 맞닿음에 의해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단부 영역(21A, 21B)은, 회동 축선(A)의 반경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반경에 대해 2개의 맞닿음면(31A, 31B) 사이의 간격의 약 절반만큼 변위되며, 도 2b를 참조한다.
도 2b 내지 도 3b 및 도 3d 내지 도 3d가 각각 체인 판(2) 및 측면 판(3)이 본체(20 및 30)를 각각 갖는 것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도에서 달걀형 또는 대략 타원형인 합동 외부 윤곽을 가지며, (체인 판(2)의 회동 축선(A-A) 사이의 라인을 연결하는) 체인 링크의 종방향(L)으로 긴 축선을 갖는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또는 체인 판(2)은, 각각 크랭크 구성 또는 양측의 주요 측면에서 오프셋이 없는 평평한 구성요소의 형태로 된다. 체인 판(2)은 전체 표면에 걸쳐 일정한 판 두께(T2)를 갖는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품(3)은,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의 내측을 향하여 장착되는 주요 측면에만 각각의 돌출부(31, 32)를 갖고, 다른 주요 측면 또는 외측에서는 평평하거나 돌출부가 없는 구성을 갖는다.
도 1b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 돌출부(31, 32)를 갖는 측면 부품(3)은, 각각의 제2 체인 판(2), 즉, 체인 링크(5A)에만 연관되어 있다. 직선 위치에서, 연관된 체인 판(2)의 하나의 중첩 영역(2A)에 있는 단부 영역들(21B)은 맞닿음 돌출부(31), 즉, 맞닿음면(31B)과 맞닿는 반면, 체인 판(2)의 다른 중첩 영역(2B)에서는, 맞닿음 관통 애퍼처(21)의 각각의 다른 단부 영역(21A)은 맞닿음 돌출부들(31)의 각각의 다른 맞닿음면(31A)과 맞닿은 상태에 있다. 각각 반대 관계에 있는 인접한 체인 판(2)의 경우, 대향 단부 영역들(21A, 21B)은 각각 대응하는 맞닿음면(31A, 31B)과 맞닿은 상태에 있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돌출부(31)는 체인 판의 대향 배치된 각각의 단부 영역(21A, 21B)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에 따라, 상대 회동 위치에 대한 제한은, 한편으로는 직선 위치(도 1a)에서 그리고 대응하게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히 경사진 위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각각 반전된 단부 영역(21A, 21B)에 의해 달성된다. 맞닿음 돌출부(31)의 플라스틱은 상응하는 압력 하중을 잘 전달할 수 있다. 2개의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 영역(21A, 21B) 간에 전단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맞닿음 돌출부(31)는, 맞닿음면(31A 및 31B) 사이의 고체 재료로부터 적어도 영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계되며,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예를 들어, 3개의 고체 영역을 갖고, 맞닿음면(31A 및 31B) 사이의 간격은, 체인 판의 판 두께(T2)의 배수인 치수, 예를 들어, 적어도 5배의 간격을 갖는다.
이에 따라, 관통 애퍼처(21, 22)(암 커넥터)만이 2개의 중첩 영역(2A, 2B)에 제공되고, 돌출부(31, 32)(수 커넥터)만이 측면 부품(3)에 제공되어, 체인 판(2)에서 연결된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체인 판(2)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처리 또는 성형 단계 없이 예를 들어 스탬핑 또는 절단 기계가공에 의해 간단한 시트 구성요소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체인 판(2)은 양측에서 평평한 수평형 일체형 본체(20)를 갖는다. 측면 부품(3)은, 본체(30) 및 모든 돌출부, 특히 돌출부(31, 32)와 함께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체인 판(2)과 측면 부품(3)은, 각각 종방향에 수직인 대칭 중심 축선(S)에 대해 대칭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동일한 체인 판(2)과 측면 부품(3)이 임의의 판 라인(1A, 1B)의 양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안정적인 회동 조인트 연결을 제공하고 인장력/추력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각 단부 영역(3A, 3B)의 측면 부품(3)은, 회동 축선(A)을 정의하는 원형-원통형 외벽이 있는 각각의 조인트 돌출부(32)를 갖는다. 조인트 돌출부(32)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재료를 절약하도록 강화 허브를 갖는 링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각 조인트 돌출부(32)는, 각각 동일하게 중첩되는 연관된 체인 판(2)과 인접 체인 판(2)의 횡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2A, 2B)에서 각각의 동축 원형 관통 애퍼처(22)를 통해 계합하고 지지하며, 도 1b를 참조한다. 따라서, 체인 판(2)에 대한 가장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회동 축선(A)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체인 판들(2) 사이의 견고한 회동 조인트 연결이 달성된다. 도 1a와 도 3b를 비교하면, 3개의 돌출부, 즉, 2개의 맞닿음 돌출부(31)와 조인트 돌출부(32)가 각각 종방향(L)의 긴 중심 축선 상에서 체인 판의 각 중첩 영역(2A, 2B)에 계합하고, 대응하는 관통 애퍼처(21, 22)에 계합하여, 측면 부품(3)이 재료를 절약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유도 체인의 변위시, 높은 인장력과 추력이 하나의 체인 판(2)으로부터 돌출부(21, 22)를 통해 다음에 따르는 체인 판(2)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장력과 추력은, 맞닿음 돌출부(31)에 의해 부분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적절하게 설정된 간극의 경우에는, 관통 애퍼처(22)와 체인 판(2) 사이에서와 같이, 전적으로 측면 판(3)의 조인트 돌출부(32)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러한 돌출부(31, 32)만이, 상응하여 충분히 강하고 적절한 크기가 되도록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측면 부품(3)의 본체(30)를 통한 힘의 흐름은 어떠한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체(30)는 비교적 얇은 벽 구조를 갖는다.
2개의 개별 측면 부품(3) 및 2개의 연관된 중첩된 측면 판(2)을 고정하여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를 제공하기 위해, 횡단 바(4)는 자신의 단부에 있어서 측면 부품(3)의 중심 영역(3C)에서 대향 배치된 2개의 고정 핀(8)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다. 각 고정핀(8)은 본체(30)와 일체로 제조되며, 돌출부(31, 32)와 마찬가지로, 본체 내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단부 영역들(3a, 3b) 사이의 중심 영역(3C)에서 강화 목적을 위해, 본체(30)는, 균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고정 핀들(8)이 각각 제공되는 재료 농축부(7)를 갖는다. 중심 영역(36)의 재료 농축부(7)는, 체인 판(2)의 대략 판 두께(T2)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간 더 큰 두께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윤곽에 대응하도록 단부에서 형상화된다. 각각의 고정 핀(8)은 대략 종방향(L)에 있는 측면 부품(3)의 2개의 길고 좁은 측면(9A, 9B) 근처에 제공된다.
고정 핀(8)은, 단면이 대략 육각형이고, 측면 부품(3)의 주 평면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해 횡단 바(4) 상의 수용 수단에 계합하는 돌출 횡단 노즈(nose)를 가지고 있다. 횡단 바(4)는 고정 핀 상의 회동 축선(A) 및 종방향(L)에 대략 수직으로 끼워진다. 이를 위해, DE 35 31 066 C2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부에서의 횡단 바(4)는 고정 핀(8)에 대한 안정적인 스냅 연결을 위한 수용 수단을 갖고, 차이점은, 고정 핀(8)이 체인 판(2)의 판 두께(T2)의 대략 두 배만큼 더 돌출된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핀(8)은 연관된 체인 판(2)의 좁은 측면(6A, 6B) 각각에서 추가 개구(23)를 통해 계합된다. 각각의 인접한 체인 판(2)은, 또한, 연관된 체인 판(2)의 각 중첩 영역(2A, 2B)과 측면 부품(3) 사이에 유지되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한다. 종방향(L) 또는 주 평면(S-L)에 수직으로 체인 판들(2)을 서로 체결하는 것은, 해당 체인 판(2)을 측방향에 있어서 측면 부품(3) 상의 내측으로 유지하기 위해 연관된 체인 판(2)의 개구(23) 주위의 에지(24)에 대해 평평한 단부를 갖는 단부에서 각각 지지되는 횡단 바(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체인 판(2)의 대향 중첩 영역(2A, 2B)과 측면 부품(3)의 단부 영역(3A, 3B) 사이에서, 넌-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B)의 인접한 체인 판들(2)이 동시에 거기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2개의 횡방향 바(4)를 체인 링크(5A)와 동시에 끼우고, 3개의 각각의 체인 판(2)을 종방향(L)에 대한 횡방향으로 서로 끼우며, 도 1b를 참조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연관된 체인 판(2)은, 횡단 바와 측면 부품(3)의 재료 농축부(7) 사이의 고정 핀(8)의 적절한 치수에 의해 클램핑되며, 즉, 체인 판(2)의 외측면이 재료 농축부(7)의 평평한 내측면에 대하여 바이어싱된다.
단부 영역(3A, 3B)이 단순 체인 링크(5B)에서 구부러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맞닿음 돌출부(31)는, 각각 인접한 체인 판(2)의 뒤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단부 영역(21a, 21b)에서 본체(30)의 에지에서 계합되는 각각의 횡방향 연장부(35)를 갖는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안정화를 위한 맞닿음 돌출부(31)에서의 횡방향 연장부(35)의 계합은, 여기서 판 라인(1A, 1B)의 더욱 중요한 직선 위치에서만 수행되며, 특히, 체인 링크(5A, 5B)가 경사지지 않을 때 자체-지지 상측 이음부에서만 수행된다. 횡방향 연장부(35)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예를 들어, 측면도(도 3a 내지 도 3b)에서 볼 때 반원 설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측면 부품(3)의 주 평면(L-S)에 평행한 블록형 맞닿음 돌출부(31)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횡방향 연장부(35)와 본체(30) 사이의 간격은 체인 판(2)의 판 두께(T2)보다 약간 더 크다. 사출 성형에 의한 측면 부품(3)의 생산에 사용되는 성형 도구를 단순화하기 위해, 성형 도구에 슬라이드 부재가 필요하지 않도록 제조 오목부(36)가 판 본체(30)의 각 횡단 연장부(35)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6c는, 측면 부품(3)과 함께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5A)의 구성을 위한 도 2a 내지 도 2d의 금속 체인 판(2)과 관련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이 설명하고, 측면 판(42, 52, 62)의 다른 기능부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체인 판(42)은, 특히 매우 긴 자체-지지 길이의 경우 본체(20)를 강화하여 원치 않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양측의 좁은 측면(6A, 6B)에 각각의 단부 강화 영역(40A, 40B)을 갖는다. 강화 영역(40A, 40B)은, 종방향(L)으로 대략 선형으로 연장되고, 단면에 있어서 대략 1/4원 호에 대응하여 휘어지며, 즉, 다른 평평한 본체(20)로부터의 플랜징 돌출 단부 판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여기서, 강화 영역(40A, 40B)의 길이는, 체인 피치 분할, 즉, 연속적인 회동 축선(A) 사이의 간격을 넘어 다소 연장된다. 각각의 좁은 측면(6A, 6B)에 강화 영역(40A, 40B)을 갖는 체인 판(42)은, 상이한 기응력 효과를 위해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180° 회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체인 판(52)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구성에 대응하는 각각의 강화 영역(50)을 하나의 좁은 측면(6A)에만, 즉, 자체-지지 이음부에서 상향으로 좁은 측면에만 갖는다. 대조적으로, 다른 좁은 측면(6B)은, 타원형 구성이고, 도 2a 내지 도 2d에서와 같이 본체(20)와 수평면 관계에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체인 판(62)은, 원하지 않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20)를 강화하기 위한 각각의 단부 강화 영역(60A, 60B)을 양쪽 좁은 측면(6A, 6B)에 다시 갖는다. 이 경우, 단면은 도 4c와 같으나, 구성은 측면 부품(3)의 달걀형 윤곽과 일치하도록 종방향(L)으로 약간 휘어진다. 좁은 측면(6A, 6B)에서 돌출되는 각각의 판은, 도 6a/도 6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 시 본체(2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자신의 단부에서 절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체인 판(42, 52, 62)은, 판 두께(T2)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자체-지지 길이의 추가 증가를 허용한다. 체인 판들은, 각도 위치설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강화 영역(40, 50, 60)과 함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a 내지 도 2d의 금속 체인 판(2)의 추가 변형예 및 도 3a 내지 도 3d의 측면 부품(3)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다른 기능부는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 7a/7c의 금속 체인 판(72)은, 각각의 중첩 영역(2A, 2B)의 모든 맞닿음 관통 애퍼처(21)를 통해 각각의 주변으로 연장되는 에지 영역(71)을 가지며, 에지 영역(71)은 금속 성형, 예를 들어, 딥 드로잉 또는 플랜징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에지 영역(71)은 맞닿음부로서 동작가능한 단부 영역(71A, 71B)을 포함하며, 맞닿음면은 도 2a 내지 도 2d와 비교하여 증가되고 형상화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의 측면 부품(73) 상에 있는 맞닿음 돌출부(31)의 맞닿음면(31A, 31B) 상에 면 압력이 각각 더 잘 분포될 수 있다. 형상화 동작은, 또한, 본질적으로 관통 애퍼처(21)에서 날카로운 에지를 피한다. 또한, 주변으로 연장되는 에지 영역(71)은 체인 판(72)에 대한 강화부로서 기능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동일한 체인 판들(72)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을 향하는 돌출 에지 영역들(71)과 함께 측면 부품들(73)에 의해 회동 관계로 교대로 연결되어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호형 함몰부들(79)이, 중첩되는 체인 판들(72)의 에지 영역(71)을 위한 측면 부품(73)에 제공된다. 에지 영역(71)의 돌출부는 측면 부품(73)의 돌출부(31)의 돌출부보다 더 작게 인지될 수 있다. 체인 판(72)과 측면 부품(73)의 다른 모든 기능부는 제1 실시예에 대응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1)에 사용하기 위한 측면 부품(13)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상응하는 측면 부품(13)은, 또한, 여기서 2개의 단부 영역(3A, 3B)을 갖는 본체(30)를 가지며, 그 사이에 재료 농축부(7)에 의해 강화되고 각각의 좁은 측면(9A 및 8B) 근처에 횡단 바를 위한 고정 핀(8)을 포함하는 중심 영역(13C)을 갖는다. 단부 영역(3A, 3B)에는, 회동 각도를 제한할 목적으로 2개의 인접한 체인 판(2)의 대응하는 관통 애퍼처(21)에 계합하기 위한 4개의 각각의 맞닿음 돌출부(131)가 제공된다. 각각의 맞닿음 돌출부(131)는 직선 위치에서 측방향 안정성을 위한 횡방향 연장부(35)를 갖는다. 측면 부품(13)은,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제조되고,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중첩된 체인 판(2)을 연결하도록 의도되고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와 비교되는 도 11a 내지 도 11c의 본질적인 차이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동시에 조인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핀형 제2 돌출부(132)는, 체인 판(2)에 래칭하기 위한 래칭 스냅 커넥터(도 12a 내지 도 12b 참조), 즉, 핀 수용 수단 또는 조인트 수용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각각의 제2 관통 애퍼처(22)를 갖는다. 따라서, 측면 부품(13)은, 조인트 연결부에서 특히 서로에 대한 체인 판(2)의 모든 각도 위치에서 연결부를 래칭함으로써 판 라인(1A, 1B) 또는 체인 링크(5A, 5B)의 측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측면에서, 조인트 돌출부(132)는, 도 11c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래칭 에지를 갖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래칭 노즈(132A, 132B)를 갖는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예에서, 조인트 돌출부(132)는, 조인트 돌출부(132)의 원호 형상의 베이스와 일체로 형상화되는 1/4원 호의 형태로 되고 회동 축선(A)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되는 4개의 래칭 노즈(132A, 132B)를 각각 형성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2개의 래칭 노즈 또는 래칭 후크만이 서로 반대 관계로, 예를 들어 높이 방향(종방향(L)에 수직으로)으로, 회동 축선(A)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있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조인트 돌출부(132)의 종방향(L)으로 지향된 영역은 도 3a 내지 3d와 유사하게 굴곡적으로 단단한 구성일 수 있다. 동시에 래칭 기능을 갖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조인트 돌출부들(132)은 사출 성형에 의해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2개의 대향하는 판 라인(12A, 12B)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12)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판 라인(12A, 12B)은, 도 2a 내지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서 중첩되고 도 11a 내지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품(13)과 중첩되는 교대 체인 판(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측면 부품(13)이 있는 체인 링크(15B)와 2개의 체인 판(2)(측면 부품(13)이 없음)만 있는 체인 링크(15A) 모두에는, 추가 측면 안정화를 제공하는 2개의 특수 횡단 바(124)가 각각 제공된다.
도 12a 내지 도 12b 및 도 12e 내지 도 12f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횡단 바(124)는, 종방향(L)으로 돌출되고 횡단 바(123)의 종방향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되는 대향 배치된 2개의 연장부 또는 날개부(124A, 124B)와 함께 양측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날개부(124A, 124B)의 평평한 외면은 횡단 바(124)의 각각의 단부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면을 갖는 날개부(124A, 124B)는, 단순 체인 링크(15A)에서 인접한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15B)의 각각의 인접한 2개의 체인 판(2)과 내부적으로 중첩되고 동일한 이들 체인 판을 측방향 내측으로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면(124C)을 형성하며, 즉, 측방향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158)에서, 측면 부품(13)의 고정 핀(8)을 위한 개구(23) 주위의 체인 판(2)의 에지 영역(24)은, 측방향 안정성을 증가시키도록 날개부(124A, 124B)의 지지면(124C)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15B)에서, 횡단 바(124)는, 체인 판(2)의 대응하는 개구(23)를 통해 각각 계합되는 측면 판(13)의 고정 핀(8)에 고정된다.
도 12a 내지 도 12f의 에너지 유도 체인(12)은, 풀 웹 구성, 즉 하이브리드 체인 링크(15B) 및 또한 넌-하이브리드 체인 링크(15A)에 횡단 바(124)가 있는 구성이다(도 12b 참조). 이와 관련하여, 도 12c 내지 도 12d는, 횡단 바(124)가 개별 체인 판(2)에 고정되게 하는 사출 성형 형태의 특수 커넥터(125)를 도시한다. 별도의 특수 커넥터(125)는 고정 단부(125A)를 가지며, 그 형상은, 특히 단면이 공지된 방식으로 횡단 바(124)의 수용 수단(124D)에 래칭하기 위한 고정 핀(8)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다(도 11a 및 도 3b 참조). 반대 관계에서, 특수 커넥터(125)는, 각각의 경우에 개구(23) 주위의 외부 에지에서 체인 판(2)의 외부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확대된 단면, 여기서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지지 단부(125B)를 형성한다. 고정 단부(125A)와 지지 단부(125B) 사이에는, 회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단면이 체인 판(2)의 개구(23)의 단면과 공액 정합 관계에 있으며 횡단 바(124)의 단부에 대한 접촉 에지를 형성하는 천이부(125C)가 있다. 판의 평면에 수직인 천이부(125C)의 치수(T12)는, 이 경우에 날개부(124a, 124B)의 지지면(124C)에 대하여 인접한 체인 판들(2)의 내면의 유격 없는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체인 판(2)의 판 두께(T2)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특수 커넥터(125)에 의해, 체인 판(2) 상에 수 커넥터 구성요소 없이 도 12a 내지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 웹 에너지 유도 체인(12)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2f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12)의 다른 기능 및 특성은 도 1a 내지 도 3d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1)의 기능 및 특성에 대응한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 또는 체인 링크는 유리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 웹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도 8a는 자체 공지된 구조의 2개의 체인 판 또는 측면 부품(802)을 갖는 에너지 유도 체인의 체인 링크(801)를 도시한다. 측면 부품들(802)은 함께 연결되고 2개의 횡단 바(803)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측면 부품(802) 및 횡단 바(803)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의해 유도되는 공급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체인 링크(801)의 수용 공간(804)을 정의한다. 예시된 예에서, 수용 공간은 분리 웹(805)에 의해 수직으로 둘로 분할된다. 이 경우, 분리 웹(805)은, 판형 구성이고 각각의 단부 측면에서 횡단 바(803) 각각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분리 웹(805)은 자신의 단부에 각각의 고정 영역(806)을 갖는다. 고정 영역들(806)은 여기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분리 웹(805)은 2-부품 구조이다. 제2 양태와 관련하여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분리 웹(805, 905, 1005)은, 2개의 동일한 부품, 즉,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형태의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제조되는 부품들(807, 907, 1007)로 구성된다. 2개의 부품(807, 907, 1007)은 여기에서 해제 가능하게 함께 연결된다.
부품(807)은 도 8b 및 도 8d에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리 웹(805)의 2개의 개별 부품(807) 각각은, 도 8d의 도면의 평면에 대응하는 주 평면을 갖는 판형 구성이다. 분리 웹(805) 자체의 폭 방향(B) 및 이에 수직인 높이 방향(H)은 주인 평면에 배치된다. 폭 방향(B)은, 분리 웹(805)이 설치된 상태에서, 체인 링크(801)의 종방향 또는 유도 라인에 해당한다. 높이 방향(H)은, 하나의 고정 영역(806)으로부터 횡단 바(803)에 수직이면서 체인 링크(801)의 종방향에 수직인 다른 고정 영역으로의 방향에 해당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고정 영역(806)은, 개구(816)를 갖고서 주변으로 연장되는 프레임(814)의 형태이다. 개구(816)는, 주 평면에 수직으로 개구(816)를 통해 도입될 수 있는 각각의 횡단 바(803)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의 실시예는 또한 고정 영역(1006)과 같은 프레임(1014)을 갖는다. 프레임(814, 1014)은 횡단 바의 원치 않는 분리 또는 해제를 특히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814, 1014)은, 반드시 완전히 주변으로 연장되는 구성일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어, 횡단 바(803)의 원격 외측면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둘러싸는 C자형 클램프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d의 각각의 부품(807)은 각각의 단부 고정 영역(806) 및 설부형 본체(808)를 갖는다. 2개 부품(807) 각각은, 함께 연결될 수 있고,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해제될 수 있다. 2개의 부품(807)으로부터 분리 웹(805)을 조립하기 위해, 부품들(807)은, 이들의 본체(808)가 주 평면에서 중첩되는 방식으로 함께 배치된다. 그 영역에서 2개의 본체(808)의 공통 벽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고정 영역(806)의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것은 에지 파괴 없이 레벨의 임의의 급격한 변화가 없는 평평한 외측면을 제공한다. 각 부품(807)은 정확히 하나의 고정 영역(806)을 갖는다.
본체(808)는, 주 평면(B-H)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원형-원통형 체결 핀(810) 및 주 평면(B-H)에 수직으로 오목한 원형-원통형 체결 수용 수단(812)을 갖는다. 체결 핀(810)은 고정 영역(806)으로부터 떨어진 본체(808)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체결 핀(812)은 높이 방향(H)에 대해 고정 영역(806)과 체결 핀(81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 핀(810)과 체결 수용 수단(812)은 높이 방향(H)으로 서로 이격된다. 여기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체결 수용 수단(812, 912, 1012)은 관통 구멍의 형태이다. 체결 핀(810) 및 체결 수용 수단(812)은 부품(807)의 대칭 축선(S)을 형성하는 라인 상에서 폭 방향(B)에 대해 배치된다. 따라서, 부품(807)은 폭 방향(B)에 수직인 주 평면에서 대칭 축선(S)에 대해 거울상 대칭 구성을 갖는다. 2개의 부품(807)이 함께 연결되어 분리 웹(805)을 제공할 때, 체결 핀(810)은, 체결 수용 수단(812)에 수용되고, 한 부품(807)의 체결 핀(810)을 향하는 다른 부품(807)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종단된다.
비대칭 부품들도, 체결 핀(810)과 체결 수용 수단(812)의 외측 윤곽이 상호 일치하는 구성 및 배치로 되는 한, 예를 들어, 주 평면에서의 높이 방향(H)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체결 핀/체결 수용 수단의 쌍의 대칭 축선(Z)에 대하여 대칭인 한, 기본적으로는 본 발명을 따른다. 체결 핀(810) 및 체결 수용 수단(812)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원통형 또는 원통형 구성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체결 핀(810) 및 체결 수용 수단(812) 각각은,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하는, 주 평면에 평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 핀(810)은 항상 확실한 잠금 연결 및/또는 강제 잠금 연결을 위해 체결 수용 수단(812)에 대하여 상보적인 구성이다.
도 9c는, 체결 핀(910)이 래칭 설부(918)와 래칭 오목부(920)의 협력에 의해 체결 수용 수단(912)에 래칭되는 분리 웹(905)의 단면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모든 실시예에 대해 래칭 연결을 갖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8b는, 예를 들어, 체결 핀(810) 상에서 바람직하게 연속적으로 외주로 연장되는 래칭 설부(818) 및 체결 수용 수단(812) 내의 바람직하게 원통형 래칭 오목부(820)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각 부품(807)은 폭 방향(B)으로 돌출되는 2개의 연장부(817)를 갖는다. 각 연장부(817)는 연결 구멍(819)을 갖는다. 연결 구멍(819)은 주 평면에 축선을 갖는다. 2개의 부품(807)이 연결되면, 2개의 연결 구멍(819)이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2개 부품(807)은,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부(817)에 의해, 예를 들어, 연결 구멍(819)에 끼워지고 그 구성을 주 평면에 수직으로 체결하는 나사, 체결 핀 등으로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연장부들(817)은,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H)에 대해 한 쌍의 체결 핀/체결 수용 수단의 대칭 축선(Z)의 일측면에 배열된다. 도 8a, 도 8b, 도 8d,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부(817, 917)는 축선(Z)과 같은 높이로 종단된다.
부품(807)은, 선택적으로 체결 핀(810)과 체결 수용 수단(812) 사이의 대칭 축선(S) 상에서 등거리에 있는 추가 관통 개구(821)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부품(807)이 연결되어 분리 웹(805)을 제공할 때, 그러한 관통 개구(821)도 도 8c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예를 들어, 관통 개구는, 연장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추가 체결 작업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10은 분리 웹의 구조적으로 동일한 부품(907, 1007)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의 부품(807)에서 이러한 수정과 관련된 차이점만을 설명하고, 다른 모든 기능부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대응한다.
도 9a 및 도 9b의 부품(907)은 고정 영역의 형상에 있어서만 부품(807)과 다르다. 고정 영역(906)은 여기서 유지 클램프(922)의 형태이다. 유지 클램프(922)는 횡방향 바(도시하지 않음)에서 함몰부의 형태로 래칭 바에 래칭식으로 계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로 대향하는 래칭 후크(924)가 존재한다. 부품(907)의 폭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연장되는 유지 클램프들(922)의 래칭 후크들(924)은, 횡단 바(803, 903)의 래칭 바(826, 926)에 래칭될 수 있고, 일반적인 래칭 연결보다 더 안정적이고 강하다.
도 10의 부품(1007)은, 연장부(817)가 있다는 점에서만 도 8a 내지 도 8d의 부품(807)과 다르다. 도 8a 내지 도 10의 2개 부품(807, 907, 1007)은, 각각 체결 핀(810, 1010) 및 체결 수용 수단(812, 1012) 상의 래칭 오목부(1020)와 래칭 설부(106)의 래칭 연결에 의해 유지된다. 체결 핀(1010)과 체결 수용 수단(1012) 사이의 관통 개구(1021)는,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한 추가적인 체결 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분리 웹(805, 905, 1005)은, 횡단 바를 체인 판에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2개 부품(807, 907, 1007)이 종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후에 높이 방향(H)으로만 분리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d
1 에너지 유도 체인
1A, 1B 판 라인
2 체인 판
2A, 2B 중첩 영역(체인 판)
2C 중심 영역(체인 판)
3 측면 부품
3A, 3B 단부 영역(측면 부품)
3C 중심 영역(측면 부품)
4 횡단 바
5A, 5B 체인 링크
6A, 6B 좁은 측면(체인 판)
7 재료 농축부
8 고정 핀
9A, 9B 좁은 측면(측면 부품)
20 본체(체인 판)
21 제1 관통 애퍼처(맞닿음 애퍼처)
21A, 21B 단부 영역(맞닿음)
22 제2 관통 애퍼처(핀 수용 수단)
23 개구
24 에지
30 본체(측면 부품)
31 제1 돌출부(맞닿음 돌출부)
31A, 31B 맞닿음면
32 제2 돌출부(핀 돌출부)
35 횡단 연장부
36 도구 개구
A 회동 축선
L 종축 방향
S 대칭 축선
T2 판 두께
도 4a 내지 도 6c
6A, 6B 좁은 측면(체인 판)
20 본체(체인 판)
42, 52, 62 체인 판
40A, 40B, 50, 60A, 60B 강화 영역
도 7a 내지 도 7c
21 맞닿음 애퍼처
71 에지 영역
71a, 71b 단부 영역(맞닿음)
72 체인 판
73 측면 부품
79 함몰부
도 8a 내지 도 10
801 체인 링크
802 측면 부품
803, 903 횡단 바
804 체인 링크의 수용 공간
805, 905 분리 웹
806, 906, 1006 고정 영역
807, 907, 1007 분리 웹의 조립부
808, 908, 1008 부품의 본체
810, 910, 1010 체결 핀
812, 912, 1012 체결 수용 수단
814, 1014 프레임
816, 1016 개구
817, 917 연장부
818, 918, 1018 래칭 설부
819, 919 연결 구멍
820, 920, 1020 래칭 오목부
821, 921, 1021 관통 개구
922 유지 클램프
924 래칭 후크
826, 926 횡단 바 상의 래칭 바
B 폭 방향
H 높이 방향
S, Z 대칭 축선
도 11a 내지 도 12f
2 체인 판
5A, 5B 체인 링크
7 재료 농화부
8 고정 핀
9A, 9B 좁은 측면(측면 부품)
12 에너지 유도 체인
12A, 12B 판 라인
13 측면 부품
13A, 13B 단부 영역(측면 부품)
13C 중심 영역(측면 부품)
15A, 15B 체인 링크
21 제1 관통 애퍼처(맞닿음 애퍼처)
22 제2 관통 애퍼처(핀 수용 수단)
23 개구
24 에지
30 본체(측면 부품)
35 횡단 연장부
124 횡단 바
124A, 124B 윙
124C 지지면
125 (횡단 바를 위한) 특수 커넥터
125A 고정 단부
125B 지지 단부
125C 천이부
131 제1 돌출부(맞닿음 돌출부)
131A, 131B 맞닿음면
132 제2 돌출부(핀 돌출부)
A 회동 축선
T12 치수

Claims (23)

  1. 측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체인 판들을 갖는 체인 링크들(5A, 5B)을 포함하는,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라인용 에너지 유도 체인(1)이며, 상기 에너지 유도 체인은 2개의 측면 판 라인(1A, 1B)을 갖고, 각 측면 판 라인은,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함께 연결된 체인 판들(2)을 포함하고, 각 체인 판은, 제1 중첩 영역(2A)과 제2 중첩 영역(2B), 및 2개의 단부 영역(3A, 3B)을 각각 갖는 플라스틱으로 된 측면 부품들(3)을 갖고, 상기 체인 판들(2)은 상이한 재료로, 특히, 상기 측면 부품들(3)보다 높은 강도 및/또는 강성의 재료로 제조되는, 에너지 유도 체인에 있어서,
    각 측면 판 라인(1A, 1B)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속적 체인 판들(2)은, 상기 제1 중첩 영역(2A)에서 관통 애퍼처(21, 22) 및 상기 제2 중첩 영역(2B)에서 관통 애퍼처(21, 22)를 갖고, 각각 2개의 연속적 체인 판들(2)의 관통 애퍼처들(21, 2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각각의 제2 체인 판(2)에 연관된 상기 일부에는, 2개의 단부 영역(3A, 3B)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31, 32)를 각각 갖는 측면 부품(3)이 존재하고, 상기 측면 부품은 자신의 2개의 단부 영역(3A, 3B)에서 복수의 돌출부(31, 32)를 각각 갖고, 각각의 단부 영역의 돌출부들(31, 32)은, 연속적 체인 판들의 상대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및/또는 상기 연속적 체인 판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관된 체인 판(2)과 각각의 인접하는 체인 판(2)의 중첩되는 관통 애퍼처(21, 22)를 통해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판(2) 및/또는 상기 측면 부품(3)은 적어도 양측 판 라인의 종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양측 중첩 영역(2A, 2B)의 체인 판들(2)은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분포된 적어도 2개의, 특히 4개의 제1 관통 애퍼처(21), 바람직하게는 호형의 제1 관통 애퍼처(21)를 각각 갖고, 상기 관통 애퍼처들의 단부 영역들(21A, 21B)은 상기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계합하는 대응 제1 돌출부(31)의 맞닿음면(31A, 31B)과 각각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중첩 영역(2A, 2B)의 체인 판들(2)은, 상기 회동 축선(A) 상에 동심으로 원형 관통 애퍼처(22)를 각각 갖고, 상기 원형 관통 애퍼처 내로 상기 측면 부품(3)의 돌출부(32)가 연속적 체인 판들(2)의 회전형 조인트 연결을 생성하도록 동축으로 계합하고, 상기 체인 판들(2)은, 바람직하게 양측 중첩 영역(2A, 2B)에서 상기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측면 부품의 대응하는 돌출부(31)의 맞닿음면(31A, 31B)과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관통 애퍼처(21)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품들(3)은 일체로 생성되고 각 측면 부품(3)이 일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판들(2)은 특히 일정한 판 두께(T2)를 갖는 금속 시트 또는 섬유 복합 재료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6항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체인 판들(2)은, 측방향으로 변위된 관계로 연속적으로 교번하여 발생하고, 일측(2A, 28)에서만 각각 중첩하고 및/또는 측면 부품들(3)은 연관된 체인 판(2) 상의 측방향으로 외부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품들(3)은, 상기 단부 영역들(3A, 3B) 사이에 대향 배치된 좁은 측면 부품(9A, 9B)을 갖는 중심 영역(3C)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중심 영역(3C)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고정 핀(8), 특히, 횡단 바(4)에 대하여 좁은 측면 부품에 배치된 2개의 고정 핀(8)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각 측면 부품(3)은 2개의 횡단 바(4)에 의해 연결되고, 각 고정 핀(8)은 각각의 연관된 체인 판(2)의 대응 개구(23)를 통해 돌출되고, 상기 횡단 바(4)는 바람직하게 연관된 체인 판(2)을 측방향으로 유지하도록 단부에서 상기 개구(23)의 에지(24)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체인 판(2)과 측면 부품(3)은, 실질적으로 합동인 외부 윤곽을 갖고 및/또는 크랭크 구성 또는 오프셋이 없는 평평한 구성요소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치 유도 체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6항 및/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판들(2) 각각은, 대향 배치된 2개의 좁은 측면 부품(6A, 6B) 및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면 부품을 갖고, 바람직하게 상기 2개의 좁은 측면 부품 각각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강화 영역(40A, 40B, 50, 60A, 60B)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31, 32)은, 상기 중첩 영역(2A, 2B)에서 체인 판(2)의 판 두께(T2)의 적어도 2배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 두께의 3배 미만인 치수로 측면 부품(3)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12항에 있어서, 각 단부 영역(3A, 3B)에서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의 단부에는, 그 뒤로 체인 판(2)이 계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연장부(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판의 각 중첩 영역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애퍼처들(7) 중 적어도 하나는, 맞닿음-동작 형상화 에지 또는 단부 영역(71A, 718) 및/또는 상기 회전형 조인트 연결을 형성하도록 기능하는 형상화 에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이음부(run), 제2 이음부, 및 이들 사이의 방향 변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음부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연결 위치의 연행 부재에 단부 영역과 함께 고정되고, 상기 종방향 부분에서는, 제1 및 제2 중첩 영역(2A, 2B)에 관통 애퍼처(21, 22)를 갖는 연속적 체인 판(2)이 제공되고, 측면 부품(3)이, 각각의 제2 체인 판에 연관되고, 상기 에너지 유도 체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3분의 1에 걸쳐 상기 연행 부재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단부 영역들 사이의 양측 판 라인(1A, 1B)은 완전히 구조적으로 동일한 체인 판(2)과 측면 부품(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
  17. 제1 중첩 영역(2A)의 관통 애퍼처(21,22) 및 제2 중첩 영역(2B)의 관통 애퍼처(21, 22)와 함께 2개의 대향 배치된 금속 체인 판(2)을 포함하는 에너지 유도 체인(1)을 위한 체인 링크(5A)로서,
    2개의 단부 영역(3A, 3B)을 갖는 각각의 플라스틱 측면 부품(3)이 각 체인 판(2)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제공되고, 각 단부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 32), 특히, 중첩 영역(2A, 2B)에서 관통 애퍼처(21, 22)의 수에 대응하는 돌출부(31, 32)의 수를 갖고, 각 돌출부(31, 32)는 연관된 체인 판(2)의 관통 애퍼처(21, 22)를 통해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링크.
  18. 특히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유도 체인을 위한 분리 웹으로서, 양측 단부에서, 상기 분리 웹(805)은 체인 링크(801)의 횡단 바(803)에 고정하기 위한 각 고정 영역(806)을 갖고 주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 구성인, 분리 웹에 있어서,
    상기 분리 웹(805)은, 상기 주 평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핀(810)을 포함하는 제1 부품(807) 및 상기 주 평면에 수직으로 오목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용 수단(812)을 포함하는 제2 부품을 갖는 2-부품 구성이고, 이에 따라 2개의 부품(807)이 상기 주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 및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19. 제18항에 있어서, 양측 부품(807)은 동일한 부품의 형태이고/이거나 일체로 되며, 각 부품은 고정 영역(806) 및 체결 핀(810)과 체결 수용 수단(812)을 갖는 본체(808)를 갖고, 상기 체결 핀은,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본체의 단부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부품(807)의 각각은 정확히 하나의 고정 영역(80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영역(806)은, 상기 주 평면(B-H)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기 횡단 바가 도입될 수 있는 개구(816)를 갖는 적어도 대부분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주변으로 연장되는 프레임(8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영역(806)의 반대측인 단부 영역의 각 부품(807)은, 연장부(807)에 의해, 특히, 나사 연결부, 체결 핀 등에 의해 상기 주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부품들을 함께 체결하기 위해, 상기 주 평면으로, 특히 상기 에너지 유도 체인의 종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장부(80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핀(810)은, 특히 래칭 설부(tongue: 818, 1018)와 래칭 오목부(820, 1020)의 협력에 의해 상기 체결 수용 수단(812)에 래칭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웹.
KR1020217032293A 2019-03-09 2020-03-09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KR20210136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1354.0 2019-03-09
DE202019101354.0U DE202019101354U1 (de) 2019-03-09 2019-03-09 Hybride Energieführungskette für große freitragende Längen sowie insbesondere hierfür gestalteter Trennsteg
PCT/EP2020/056215 WO2020182727A1 (de) 2019-03-09 2020-03-09 HYBRIDE ENERGIEFÜHRUNGSKETTE FÜR GROßE FREITRAGENDE LÄNGEN SOWIE INSBESONDERE HIERFÜR GESTALTETER TRENNSTE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094A true KR20210136094A (ko) 2021-11-16

Family

ID=6706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293A KR20210136094A (ko) 2019-03-09 2020-03-09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145964A1 (ko)
EP (1) EP3938678B1 (ko)
JP (1) JP2022524188A (ko)
KR (1) KR20210136094A (ko)
CN (1) CN113906242B (ko)
BR (1) BR112021017614A2 (ko)
CA (1) CA3131820A1 (ko)
DE (1) DE202019101354U1 (ko)
ES (1) ES2941619T3 (ko)
PL (1) PL3938678T3 (ko)
WO (1) WO2020182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2701B2 (ja) * 2019-02-28 2022-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CN115836170A (zh) * 2020-05-27 2023-03-21 易格斯有限公司 具有柔性铰接连接器的能量引导链以及侧板和用于其的铰接连接器
USD990307S1 (en) * 2021-02-18 2023-06-27 Michael Azar Liquid aging collapsible stave chain
CN114016806B (zh) * 2021-11-11 2023-08-15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一种杆/塔的链式加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1912C2 (de) * 1981-06-02 1990-08-23 Gebr. Hennig Gmbh, 8045 Ismaning Energieführungskette
DE3531066A1 (de) 1985-08-30 1987-03-12 Igus Gmbh Energiezufuehrungskette
DE19707966A1 (de) 1997-02-27 1998-09-10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Kettengliedern, die einen Kern hoher Festigkeit aufweisen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ettengliedes
DE20002820U1 (de) * 2000-02-16 2000-05-25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012298A1 (de) 2000-03-14 2001-11-29 Bethke Kunststofftechnik Gmbh Lasch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KR200293663Y1 (ko) 2002-07-30 2002-10-31 김두진 케이블베어의 간격조절장치
DE10343263A1 (de) 2003-09-17 2005-05-04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Seitenglied für ein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1004785U1 (de) * 2011-04-01 2011-07-07 igus GmbH, 51147 Energieführungskette mit deformierbaren Gelenkelementen
KR101358451B1 (ko) * 2012-04-19 2014-02-05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캐리어용 링크 결합 구조
DE202015101707U1 (de) 2015-04-07 2015-10-08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teilbarer Trennsteg hierfür
US9803721B2 (en) 2016-02-04 2017-10-31 Dynatect Manufacturing, Inc. Hybrid cable carrier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7614A2 (pt) 2021-11-09
EP3938678B1 (de) 2023-01-04
US20220145964A1 (en) 2022-05-12
CA3131820A1 (en) 2020-09-17
PL3938678T3 (pl) 2023-07-24
ES2941619T3 (es) 2023-05-24
EP3938678A1 (de) 2022-01-19
CN113906242B (zh) 2024-02-13
DE202019101354U1 (de) 2019-06-12
JP2022524188A (ja) 2022-04-28
CN113906242A (zh) 2022-01-07
WO2020182727A1 (de)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6094A (ko) 긴 캔틸레버 길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유도 체인 및 특히 이를 위해 구성된 분리 웹
US9328795B2 (en) Energy guide chain with deformable joint elements
CN202811807U (zh) 铰链及婴幼儿支撑器械
EP2149732B1 (en) Holder for an elongate article
BR102014030176A2 (pt) conjunto de instalação de módulo
CN101274702A (zh) 具有内链节和外链节的侧弯输送链
JP2001116088A (ja)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CN110537297A (zh) 用于插接式连接器的保持框架和组装保持框架的方法
CN104779532A (zh) 用于开关柜机架的支架型材以及该支架型材的紧固夹
CN104145123B (zh) 装配装置
US20100043384A1 (en) Chain Link with a Locking Device
JP2004527705A (ja) エネルギ案内鎖の鎖リンクの製造方法及び鎖リンク
RU2805598C2 (ru) Гибридн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цепь для больших консольных участков и, в частности,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щека для нее
ITMI20061039A1 (it) Anello portachiavi apribile
CN113677916A (zh) 能量引导链的多件式的链环以及用于此的横向接片和侧板
TW202202757A (zh) 具有可撓性接頭連接器的拖鏈,以及用於該拖鏈的側板和接頭連接器
JP5030362B2 (ja) コンベアのための転向装置
CN113152881B (zh) 用于浇筑含曲面混凝土墙体的模板系统
EP3762571B1 (en) Releasable connection means
US20220140590A1 (en) End fastening part of an energy chain
JPWO2020182727A5 (ko)
EP4296146A1 (en) Locking/unlocking device for vehicle mudguards and related mudguard assembly
CN113677915B (zh) 具有由塑料制成的侧向稳定的板的能量引导链
WO2021099206A1 (en) An improved holder arrangement comprising a bracket and a spac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acer
EP1519057B1 (en)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