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10A -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10A
KR20210135710A KR1020200053688A KR20200053688A KR20210135710A KR 20210135710 A KR20210135710 A KR 20210135710A KR 1020200053688 A KR1020200053688 A KR 1020200053688A KR 20200053688 A KR20200053688 A KR 20200053688A KR 20210135710 A KR20210135710 A KR 20210135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utdoor unit
heat source
auxiliary h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범수
이승훈
권영헌
윤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710A/ko
Priority to JP2022567214A priority patent/JP2023524967A/ja
Priority to PCT/KR2020/007896 priority patent/WO2021225213A1/ko
Priority to EP20934338.3A priority patent/EP4148333A4/en
Priority to DE102021204115.9A priority patent/DE102021204115A1/de
Priority to US17/241,260 priority patent/US11867418B2/en
Priority to CN202110468708.XA priority patent/CN113623723B/zh
Publication of KR2021013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1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24D19/1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system using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27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 heat pump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54Room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58Outdo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32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involving multiple heat sources in combination or as alternative hea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40/00Characterizing positions, e.g. of sensors, inlets, outlets
    • F24D2240/10Placed within or inside 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3Hot ai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열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보조열원;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보조열원에 의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는 설치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보조열원과 연결되는 제1 출력부,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사이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열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미 주거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일종인 유니터리 시스템(Unitary system)은 써모스탯(Thermostat; 온도 조절 장치), 실외기(냉방 혹은 냉/난방), 가스 퍼니스(송풍, 난방), 실내 열교환기(A-Coi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유니터리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로 냉방 혹은 냉/난방을 담당하고 실내에 지하실이나 천장부에 실내 열교환기와 가스 퍼니스가 설치되어 실내 주거공간으로 덕트라는 공기 이동통로를 이용해 처리된 공기를 이송하여 실내를 냉/난방을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니터리 시스템은 각 실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방향의 화살표로 표시된 회수부로 실내의 공기를 회수하여 다시 가스 퍼니스 내 송풍 시스템으로 보내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해 실내를 냉/난방하는 방식으로 운전된다.
통상, 유니터리 시스템은 종래의 벽걸이, 카세트 공기조화기 등과 같은 DFS(Duct Free system)와는 달리,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 보조열원, 제어기의 제조사가 다를 수 있다. 즉, 유니터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별개로 각각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제어기인 써모스탯은 사용자 선호 및 편리성 등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제조사와 다른 제조사의 제품을 적용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때 써모스탯은 쌍방향 통신이 아니라 시스템(실외기, 가스 퍼니스 등)에 접점신호를 이용해 제어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에러 등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유니터리 시스템은 실외기와 가스 퍼니스를 조합해 실외기는 냉방을 담당하고 가스 퍼니스가 난방을 담당하는 형태의 구성을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운전비용 감소 및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히트펌프 실외기와 가스 퍼니스를 병렬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히트펌프 이용한 난방으로 운전비용을 절약하고, 실외온도가 낮아 큰 난방능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스 퍼니스로 난방 운전을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 구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때, 이러한 히트펌프와 가스 퍼니스의 전환은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써모스탯이 실외기나 가스 퍼니스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히트펌프나 가스 퍼니스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했을 때 다른 난방 수단이 있음에도 난방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의 고장 등의 문제로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지 못할 때, 타 열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난방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내 열교환기의 전자식 팽창 밸브(EEV) 제어를 위해 가스/액 배관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적정한 난방이 수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가스 퍼니스)을 서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가스 퍼니스)의 고장 등의 문제로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실외온도 기반의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가스 퍼니스) 중 하나의 난방운전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열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백업(back-up)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정상적인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보조열원;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보조열원에 의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는 설치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보조열원과 연결되는 제1 출력부,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사이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보조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보조열원은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 및 상기 보조열원은 제1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는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한 제1 신호 및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제2 신호를 서로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배관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온도 센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유입 측 배관에 설치되는 유입센서;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유출 측 배관에 설치되는 유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열원은 가스 퍼니스이고, 상기 실외기는 히트펌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1 시간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하인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열원의 운전 중에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실외기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보조열원, 및 상기 실외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열원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을 시작되면 난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실외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기를 이용한 제1 난방 및 상기 보조열원을 이용한 제2 난방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실외기로 운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의 고장을 판단하여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난방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을 판단하여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난방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팬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또한,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열원에 의한 제2 난방을 중지하되, 상기 팬 동작신호는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의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1 시간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하인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열원의 운전 중에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온도 조절부, 실외기, 실내기 및 실내 열교환기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 배관온도 센서를 이용해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의 고장 등의 문제로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지 못할 때, 타 열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니터리 시스템 설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통상적인 유니터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통상적인 유니터리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세부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 열교환기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외기를 이용한 난방운전 중에서 각각 배관의 압력 및 온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모듈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미 주거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니터리 시스템(Unitary system)은 써모스탯(Thermostat; 온도 조절 장치), 실외기(냉방 혹은 냉/난방), 가스 퍼니스(송풍, 난방), 실내 열교환기(A-Coi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써모스탯은 일반적으로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례로, 써모스탯은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개폐하여 제어할 수 있다. 바이메탈은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 박판을 합친 것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기접점의 개폐에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각종 온도 센서(써미스터, 열전대, 백금 저항선, 등)을 사용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전기적으로 접점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써모스탯은 이러한 스위치 개폐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니터리 시스템 설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로 냉방 혹은 냉/난방을 담당하고 실내에 지하실이나 천장부에 실내 열교환기와 가스 퍼니스(D)가 설치되어 실내 주거공간으로 덕트라는 공기 이동통로를 이용해 처리된 공기를 이송하여 실내를 냉/난방을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니터리 시스템은 각 실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방향의 화살표로 표시된 회수부(Return)로 실내의 공기를 회수하여 다시 가스 퍼니스(D) 내 송풍 시스템으로 보내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해 실내를 냉/난방하는 방식으로 운전된다.
도 1에서, A 및 B로 표시된 부분은 환기 디퓨저(Return Air Diffuser)를 나타내며, 실내 공기를 다시 회수해 공조 시스템(유니터리 시스템)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천정에 설치된 형태이고 B는 벽면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C, E 및 F로 표시된 부분은 급기 디퓨저(Supplier Air Diffuser)를 나타낸다. 급기 디퓨저는 공조 시스템에서 냉방/난방으로 처리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바닥 취출 방식).
한편, D 부분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A-Coil)와 가스 퍼니스(Gas Furnace)를 나타낸다. 실내 열교환기(A_Coil)는 실외기(가스 퍼니스)와 연결돼 냉방을 담당하며, 가스 퍼니스는 난방을 담당한다(여기서, 가스 퍼니스에 블로워(blower; 또는 팬(fan))를 이용하여 냉/난방 공기를 이송한다).
도 1에서, G 부분은 급기 덕트(Suppler Air Duct)를 나타낸다. 즉, 공조 시스템에서 냉/난방 처리된 공기를 이송하는 덕트를 가리킨다.
도 2는 통상적인 유니터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통상적인 유니터리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니터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으로 써모스탯(Thermostat; 제어기; 10), 실외기(20; 냉방 혹은 냉/난방), 보조열원(30; 가스 퍼니스, 송풍/난방) 및 실내 열교환기(A-Coil; 40)를 포함한다.
통상, 유니터리 시스템은 종래의 벽걸이, 카세트 공기조화기 등과 같은 DFS(Duct Free system)와는 달리, 실외기(20), 실내 열교환기(40)), 보조열원(30), 제어기(10)의 제조사가 다를 수 있다. 즉, 유니터리 시스템의 각 구성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별개로 각각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제어기인 써모스탯(10)은 사용자 선호 및 편리성 등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제조사와 다른 제조사의 제품을 적용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때 써모스탯(1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쌍방향 통신이 아니라 시스템(실외기, 가스 퍼니스 등)에 접점신호를 이용해 제어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에러 등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써모스탯(10)은 통상적으로 공조 시스템과 다른 제조사에 의한 시스템(실외기, 가스 퍼니스 등)과 연계 운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R, C, Y(또는 Y1, Y2), W(W1, W2), G 신호와 같은 신호를 접점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T1, T2는 써모스탯(10)이 외기온도 정보를 받기 위해(일례로, 실외기, 가스 퍼니스의 듀얼모드 연소(Dual Fuel) 운전을 위해) 외부 온도 센서를 연결하는 포트 이다.
도 3의 ①, ② 부분은 전체가 동일 제조사에 의하여 연결될 때 자체 통신 연결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빗금친 부분은 일반적인 여러 제조사가 공통으로 제공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상의 유니터리 시스템은 실외기와 가스 퍼니스를 조합해 실외기는 냉방을 담당하고 가스 퍼니스가 난방을 담당하는 형태의 구성을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들은 하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운전비용 감소 및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히트펌프 실외기와 가스 퍼니스를 병렬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히트펌프 이용한 난방으로 운전비용을 절약하고, 실외온도가 낮아 큰 난방능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스 퍼니스로 난방 운전을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 구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때, 이러한 히트펌프와 가스 퍼니스의 전환은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써모스탯이 실외기나 가스 퍼니스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히트펌프나 가스 퍼니스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했을 때 다른 난방 수단이 있음에도 난방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크게, 실외기(200), 이 실외기(200)와 연결되는 실내 열교환기(실내기; 400), 보조열원(300), 실내 열교환기(400)가 설치된 설치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100), 그리고 이들 사이에 연결되어 실외기(200) 및 보조열원(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신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외기(200)는 냉매를 이용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일부로서,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실외기(200)는 히트펌프일 수 있다.
히트펌프란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로, 구동 방식에 따라 전기식과 엔진식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대부분이 냉방과 난방을 겸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는데, 히트펌프는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열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실외기(200)에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400)가 연결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00)는 실외기(20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냉매의 상태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400)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온의 냉매가 공급된다면 실내 열교환기(400)가 설치된 공간을 난방시킬 수 있고, 저온의 냉매가 공급된다면 실내 열교환기(400)가 설치된 공간을 냉방시킬 수 있다.
보조열원(300)은 실외기(200)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실외기(200)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보조열원(300)은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퍼니스(Furnac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열원(300)은 가스에 의하여 동작하는 가스 퍼니스(Gas Furnace)일 수 있다.
이러한 실외기(200)와 보조열원(300)은 통신부(Comm. Kit; 500)와 통신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점선은 통신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Thermostat; 100)는 이러한 실외기(200) 및 보조열원(300)에 의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는 설치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외기(200)를 이용한 난방을 수행할 수 있고, 실외온도가 낮아서 큰 난방능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열원(300)을 이용하여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외기(200)와 가스 퍼니스(보조열원; 300)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을 구성함으로써, 실외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실외기(200)만으로 난방을 수행함으로써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00)와 보조열원(300)은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통신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기(200)와 보조열원(300)의 제조사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온도 조절부(100) 및 보조열원(300)은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부(500)와 연결될 수 있고, 실외기(200)는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방식은 접점신호를 통한 통신방식일 수 있고, 제2 통신방식은 내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방식일 수 있다.
이때, 통신부(500)에는 제어부(540; 도 5 참조)가 구비되고, 이 제어부(540)는 이러한 제1 통신방식에 의한 제1 신호 및 제2 통신방식에 의한 제2 신호를 서로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세부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통신부(5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부(500)는 온도 조절부(100)가 연결되는 입력부(510)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부(500)와 온도 조절부(100)는 통신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부(500)와 온도 조절부(100)는 접점신호(R, C, G, Y, W)를 주고받을 수 있다.
위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 조절부(100)는 통상적으로 공조 시스템과 다른 제조사에 의한 시스템(실외기, 가스 퍼니스 등)과 연계 운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R, C, Y(또는 Y1, Y2), W(W1, W2), G 신호와 같은 신호를 접점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도 3에서 도시한 사항이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T1, T2는 온도 조절부(100)가 외기온도 정보를 받기 위해(일례로, 실외기(200), 보조열원(300)의 듀얼모드 연소(Dual Fuel) 운전을 위해) 외부 온도 센서를 연결하는 포트이다.
접점신호 중, R, C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포트이고, G는 송풍신호가 연결되는 신호이다. 또한, Y(Y1, Y2)는 냉방신호가 연결되는 포트이고, W(W1, W2)는 난방신호가 연결되는 포트이다.
이러한 신호 중에서, 통신부(500)와 온도 조절부(100)는 R, C, G, Y, W의 접점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500)는 보조열원(300)이 연결되는 제1 출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열원(300)과 통신부(500)는 마찬가지로, 접점신호(R, C, G, Y, W)를 주고받을 수 있다. 즉, 통신부(500)와 보조열원(300)은 R, C, G, Y, W의 접점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실외기(200)가 연결되는 제2 출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500)와 실외기(200)는 내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은, 일례로, RS485 통신일 수 있다.
즉, 통신부(500)와 실외기(200)는 동일한 제조사에 의하여 제공되어 동일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교환에 의하여, 냉방, 히트펌프를 이용한 난방을 포함하는 실외기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신호의 교환에 의하여 실외기(200)에서의 압축기(comp) 구동, 전자식 팽창밸브(EEV)의 구동, 실외기 팬의 구동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실내 열교환기(400)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00)는 실외기(2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의 흐름을 통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동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00)는 실내 열교환기(400)에 설치되거나 실내 열교환기(40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통신부(500)는 실외기(200)와 통신하여 위에서 설명한 실외기(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보조열원(300)의 온/오프(on/off) 제어, 팬 속도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실내 열교환기(400)의 온도를 감지하여 효율적인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400; A-coil)에는 실외기(20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내 열교환기(400)에는 다수의 냉매관 및 열교환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400)를 통하여 통신부(500)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400)에는 온도센서(420, 430)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00)는 본체(410)와 냉매의 유입 측 배관(420) 및 유출 측 배관(430)을 포함하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는 이러한 배관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421, 431)일 수 있다.
이러한 배관온도 센서는 실내 열교환기(400)의 유입 측 배관(420)에 설치되는 유입센서(421) 및 유출 측 배관(430)에 설치되는 유출센서(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500)에 설치되는 제어부(540)는 이러한 배관온도 센서(421, 431)를 이용하여 실외기(200) 및 보조열원(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 열교환기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Tube In)센서(421) 및 유출(Tube Out)센서(431)는 실내 열교환기(400)의 유입 측 배관(420) 및 유출 측 배관(4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실내 열교환기(400)는 보조열원(300)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00)를 이용한 난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400)의 배관 온도가 상승하고, 보조열원(300)을 이용하는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의 흐름이 없어도 보조열원(300)의 작동으로 인해 가열된 공기의 영향으로 인해 유입/유출(Tube In/Tube Out)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열원(300)의 작동 온/오프(On/Off)에 따라 배관온도 센서, 즉, 유입(Tube In)센서(421) 및 유출(Tube Out)센서(431)에서 감지한 온도가 변동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어부(540)는 온도 조절부(100)에서 난방운전을 위한 난방신호를 수신하면,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실외기(200)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지 보조열원(300)을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실외기(200) 및 보조열원(3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오류를 감지하면 다른 하나를 이용한 난방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 또는 이상의 판단은 유입(Tube In)센서(421) 및 유출(Tube Out)센서(431)에서 감지한 온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외기(200)의 오류를 감지하거나 오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보조열원(300)으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보조열원(300)의 이상을 감지하게 되거나, 이상 현상이 일정 시간이상 유지되면 실외기(200)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540)는, 실외기(200)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보조열원(300)으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40)는, 보조열원(300)의 운전 중에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실외기(200)로 운전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과정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어방법은 통신부(500), 특히, 통신부(500)에 설치된 제어부(54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난방운전을 시작되면 통신부(500)는 온도 조절부(100)로부터 난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 이때, 실외기(200)로부터 실외온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방 신호를 수신하면, 실외 온도를 기준으로 실외기(200)를 이용한 제1 난방 및 보조열원(300)을 이용한 제2 난방 중 어느 하나를 결정(판단)할 수 있다(S2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실외기(200)를 이용한 제1 난방이 수행될 수 있고(S30), 실외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으면 보조열원(300)을 이용한 제2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S40).
일례로, 실외기(200; 히트펌프)를 이용한 제1 난방이 결정되면(S31), 실외기(200)로 난방운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2).
이때, 제1 난방이 결정되면(S31) 보조열원(300)으로 팬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과정(S32)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실외기(200; 히트펌프)를 이용한 난방이 결정되면 실외기(200)에서 난방운전을 통해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00; A-Coil)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00)에서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난방을 진행하기 위하여 팬(블로워; blower)이 동작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00)에는 팬이 설치되지 않고 열교환을 위한 배관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이송을 위해서 보조열원(300)에 구비된 블로워(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보조열원(300)은 구동되지 않고, 즉, 연소과정은 발생하지 않고, 블로워만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기(200)로 운전 신호가 송신되면(S32), 실외기(200)를 통한 난방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S33).
이때,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동안 배관온도 센서(421, 431)를 통하여 배관온도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실외기(200)의 운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00)에서 수신되는 오류신호 및 배관온도 센서(421, 43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외기(200; 히트펌프)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S34).
이때, 실외기(200)의 고장의 판단은 실외기(200)의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 들어,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실외기(200)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실외기(200)의 고장의 판단은 실외기(200)의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 들어,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건, 또는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 실외기(200)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실외기(200)의 오류가 1분 이상 유지되거나,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한 배관 출구온도가 제1 온도 이하로 15분 이상 연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한 배관 출구온도가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 이하(즉, 제1 온도와 제2 온도 사이)로 30분 이상 연속적으로 유지된다면 실외기(200)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과정(S34)에서, 실외기(200)의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기(200)를 이용한 난방운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S35).
반면, 판단 과정(S34)에서, 실외기(200)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기(200)의 동작을 오프(off) 시킬 수 있다(S36).
그리고 보조열원(300)을 이용하여 난방을 진행하기 위한 난방신호를 보조열원(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S37).
다른 예로, 보조열원(가스 퍼니스; 300)을 이용한 제2 난방이 결정되면(S41), 보조열원(300)으로 난방운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2).
이와 같이, 실외기(200)로 운전 신호가 송신되면(S42), 보조열원(300)을 통한 난방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S43).
이때,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동안 배관온도 센서(421, 431)를 통하여 배관온도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보조열원(300)의 운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배관온도 센서(421, 43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보조열원(300)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S44).
이때, 보조열원(300)의 고장의 판단은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 들어,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보조열원(300)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배관온도 센서(421, 431)에서 감지한 배관 출구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15분 이상 연속적으로 유지되면 보조열원(300)의 고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과정(S44)에서, 보조열원(300)의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열원(300)을 이용한 난방운전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S45).
반면, 보조열원(300)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보조열원(300)에 의한 제2 난방을 중지할 수 있다(S46). 그러나, 이때, 팬 동작신호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200)를 이용하여 난방을 진행하기 위한 난방신호를 실외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S47).
따라서, 이와 같이, 보조열원(300)의 고장이 발생하면 실외기(200)를 이용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S48).
이상과 같이, 실외기(200) 또는 보조열원(300)의 고장 판단은 실내 열교환기(400)에 구비된 배관온도 센서(421, 431), 그 중에서 유출센서(43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외기(200)로 이용되는 히트펌프는 온도가 상승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적절한 난방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유출센서(431)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 들어, 42℃ 이상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이, 두 단계로 나누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보조열원(300)으로 이용되는 가스 퍼니스 운전 중 고장 판단은 가스 퍼니스 작동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배관 온도가 상승해야 하므로 히트펌프 백업운전 기준(제2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이때의 온도가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 온도와 유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외기를 이용한 난방운전 중에서 각각 배관의 압력 및 온도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외기(200)에서 이루어지는 난방운전에서 증기 압축식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EEV), 그리고 증발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도 9에서 도시하는 압력 그래프에서, 고압은 실외기(200)의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압력으로 응축압력에 해당한다. 그리고 저압은 증발 압력에 해당한다.
도 9에서, INV는 압축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의미한다. 또한, INV는 현재 운전하고 있는 압축기의 회전수(진동수; Hz)를 표현한다.
도 10에서, 공기3 및 공기4(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두 개의 시스템을 시험운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는 실내에서 회수되어 실내 열교환기(400)로 유입되는 회기(Return Air)의 온도를 나타낸다.
한편, 배관 Out3, 배관 Out4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시스템에서 실내 열교환기(400)에서의 배관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온도 조절부(100)와 연계되어 운전 중에,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운전이 오프(Off) 되고, 시간이 지나서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다시 운전이 온(On) 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그래프는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거동을 보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온도 조절부, 실외기, 실내기 및 실내 열교환기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 배관온도 센서를 이용해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결과, 실외기 또는 보조열원의 고장 등의 문제로 적절한 난방이 수행되지 못할 때, 타 열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온도 조절부 200: 실외기
300: 보조열원 400: 실내 열교환기
420: 유입 측 배관 421: 유입센서
430: 유출 측 배관 431: 유출센서
500: 통신부 540: 제어부

Claims (15)

  1.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보조열원;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보조열원에 의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공급되는 설치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와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보조열원과 연결되는 제1 출력부,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 사이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보조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보조열원은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 및 상기 보조열원은 제1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는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한 제1 신호 및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제2 신호를 서로 변경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배관에 설치된 배관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온도 센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유입 측 배관에 설치되는 유입센서;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유출 측 배관에 설치되는 유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원은 가스 퍼니스이고, 상기 실외기는 히트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1 시간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하인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열원의 운전 중에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실외기로 운전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0.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고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와 다른 에너지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보조열원, 및 상기 실외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보조열원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을 시작되면 난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실외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기를 이용한 제1 난방 및 상기 보조열원을 이용한 제2 난방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실외기로 운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의 고장을 판단하여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난방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운전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을 판단하여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난방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방이 결정되면 상기 보조열원으로 팬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열원에 의한 제2 난방을 중지하되, 상기 팬 동작신호는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의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오류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1 시간 유지되거나,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하인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원의 운전 중에 상기 배관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기 보조열원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00053688A 2020-05-06 2020-05-06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5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88A KR20210135710A (ko) 2020-05-06 2020-05-06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2567214A JP2023524967A (ja) 2020-05-06 2020-06-18 空気調和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PCT/KR2020/007896 WO2021225213A1 (ko) 2020-05-06 2020-06-18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0934338.3A EP4148333A4 (en) 2020-05-06 2020-06-18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E102021204115.9A DE102021204115A1 (de) 2020-05-06 2021-04-26 Klimaanlagensystem und Steuerverfahren dafür
US17/241,260 US11867418B2 (en) 2020-05-06 2021-04-27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CN202110468708.XA CN113623723B (zh) 2020-05-06 2021-04-28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88A KR20210135710A (ko) 2020-05-06 2020-05-06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0A true KR20210135710A (ko) 2021-11-16

Family

ID=7823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88A KR20210135710A (ko) 2020-05-06 2020-05-06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67418B2 (ko)
EP (1) EP4148333A4 (ko)
JP (1) JP2023524967A (ko)
KR (1) KR20210135710A (ko)
CN (1) CN113623723B (ko)
DE (1) DE102021204115A1 (ko)
WO (1) WO20212252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4714A1 (de) 1980-06-30 1982-01-28 Okal-Werk Niedersachsen Otto Kreibaum Gmbh & Co Kg, 3216 Salzhemmendorf Heizungsanlage mit einer waermepumpe
US4476920A (en) * 1982-07-02 1984-10-16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operation of a heat pump and a separate heating source
JP5103778B2 (ja) * 2006-04-17 2012-1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A2678828A1 (en) 2008-09-15 2010-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controller user interfaces
US8600559B2 (en) * 2008-10-27 2013-12-03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equipment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KR101035384B1 (ko) * 2008-12-04 201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690615B1 (ko) 2010-08-17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CA2791973A1 (en) 2011-10-07 2013-04-07 Friedrich Air Conditioning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 pump
US9651268B2 (en) 2013-03-11 2017-05-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Gas fired modular blower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ology
AU2014229103B2 (en) 2013-03-15 2016-12-08 Emerson Electric Co. HVAC system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JP6244791B2 (ja) * 2013-09-30 2017-1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6384057B2 (ja) * 2014-02-03 2018-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5858062B2 (ja) * 2014-02-03 2016-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6252211B2 (ja) * 2014-02-03 2017-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3900103B (zh) 2014-04-16 2016-01-06 上海禾森机电有限公司 一种鼓风式燃烧器的控制方法
US10712036B2 (en) * 2017-06-05 2020-07-14 Robert J. Mowris Fault detection diagnostic variable differential variable delay thermostat
CN106053998B (zh) * 2016-07-15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ptc加热器的检测方法和装置
US11054164B2 (en) 2017-06-30 2021-07-06 Robert Bosch Llc Environmental control unit including maintenance prediction
KR20200053688A (ko) 2018-11-07 2020-05-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독립식 비회로 절전기를 이용한 직관적 절전 기능을 구비한 벽면형 콘센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23723B (zh) 2024-03-08
JP2023524967A (ja) 2023-06-14
EP4148333A1 (en) 2023-03-15
DE102021204115A1 (de) 2021-11-11
US11867418B2 (en) 2024-01-09
EP4148333A4 (en) 2024-05-29
CN113623723A (zh) 2021-11-09
US20210348773A1 (en) 2021-11-11
WO2021225213A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798B2 (en) HVAC unit with hot gas reheat
US20230213252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KR101195560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5892269B2 (ja) 温調システム
KR100311859B1 (ko) 다실형 공기조화기
CN113623723B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13203221A (zh) 热泵以及其动作方法
CN113531790A (zh) 一种通讯控制电路、多联式空调器及控制方法
JPH0626689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120444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90264934A1 (en)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s
KR102369841B1 (ko) 냉난방용 비상제어시스템
US20240085042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refrigerant leakage determination system
CN111595003B (zh) 空调器的检测方法、装置和空调器
JPH11304278A (ja) 吸収冷温水機の台数制御方法
KR10245703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114902002A (zh) 通信套件
JP2014163536A (ja) 温調システム
KR100192246B1 (ko) 다실형 공기조화기의 각실 설정방법
KR10185903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8153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63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