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64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649A
KR20210133649A KR1020200052519A KR20200052519A KR20210133649A KR 20210133649 A KR20210133649 A KR 20210133649A KR 1020200052519 A KR1020200052519 A KR 1020200052519A KR 20200052519 A KR20200052519 A KR 20200052519A KR 20210133649 A KR20210133649 A KR 2021013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ound
support
displa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남슬기
이민진
유영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649A/ko
Priority to JP2021072505A priority patent/JP7139484B2/ja
Priority to US17/237,586 priority patent/US20210345028A1/en
Priority to TW112118796A priority patent/TW202334722A/zh
Priority to TW110114968A priority patent/TWI806041B/zh
Priority to CN202110465019.3A priority patent/CN113573204A/zh
Publication of KR2021013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649A/ko
Priority to JP2022142342A priority patent/JP7405922B2/ja
Priority to JP2023210710A priority patent/JP202403788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된 구조물,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구조물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 언급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할 때 음향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된 구조물,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구조물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출력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의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홀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2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의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과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다양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의 일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기술 사상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들 각각의 기술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인 음향 발생 장치로 구성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복잡한 구조들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음역대의 출력이 강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역압전 특성)를 갖는 압전 소자 또는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압전 진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압전 진동 장치를 구성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이 상승하고, 압전 진동 장치에 음향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압전 진동 장치를 구성하지 않고, 고음역대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은 전자 영상 (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 (digital imag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진동 발생 장치(또는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S1)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전방(FD) 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음향 발생 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 전방(FD)으로 음향(S1)을 출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음향 전달이 가능하며,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진동 발생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모듈,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모듈,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 등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또는 후면)은 중간 영역(MA) 및 가장자리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은 중간 영역(MA)(또는 후면 중간 영역) 및 가장자리 영역(EA)(또는 후면 테두리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후면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음향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으로 음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장치(300)는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진동시킴으로써 음압을 발생시키고 이 음압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진동시켜 음향(S1)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을 따라 반사(또는 회절)된 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음압에 따른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따라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과 나란한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고,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50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지 부재(500)는 후면 커버, 시스템 후면 커버, 시스템 하우징, 세트 커버, 후면 세트 커버, 최외곽 세트 커버, 제품 커버, 또는 최외곽 제품 커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지지 부재(500)는 진동 발생 장치(300)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거나 진동 발생 장치(300)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지 부재(5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압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음향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지지 부재(500)는 제 1 부분(510) 및 제 2 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510)은 후면 커버부일 수 있다. 제 2 부분(530)은 측면 커버부일 수 있다.
제 1 부분(5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후면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제 1 부분(5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후면 영역) 또는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5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또는 거리)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 1 부분(5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에 에어 갭(AG)이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갭(AG)은 제 1 갭일 수 있다.
제 2 부분(5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530)은 제 1 부분(5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5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또는 거리)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 2 부분(530)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압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현된 음향 가이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530)은 제 1 부분(51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 방향(Z)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530)은 음향 가이드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지지 부재(500)는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30) 사이의 제 3 부분(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분(550)은 경사부일 수 있다. 제 3 부분(550)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제 1 부분(510)으로부터 제 2 부분(530) 쪽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며, 제 1 부분(510)과 제 3 부분(550) 사이의 사잇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 부재(5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제 3 부분(55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제 1 지지 부재(500) 사이에 구현된 테두리 갭(E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갭(EG)은 제 2 갭 또는 음향 공간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 갭(EG)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과 제 1 지지 부재(500)의 제 2 부분(53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테두리 갭(EG)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제 1 지지 부재(500)의 제 2 부분(530) 사이의 최단 거리는 1~ 3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 갭(EG)이 3mm를 초과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이 증가할 수 있다. 테두리 갭(EG)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고 진동 발생 장치(3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 방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또는 회절)되면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측면 방향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사이의 방향(또는 대각선 방향)을 통해 테두리 갭(EG)으로 출력될 수 있다. 테두리 갭(EG) 쪽으로 출력된 음향은 테두리 갭(EG)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제 1 지지 부재(500)의 제 2 부분(530) 사이에서 적어도 1회 이상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두리 갭(EG)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은 테두리 음향, 에지 음향, 또는 보강 음향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테두리 갭(EG)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테두리 갭(EG)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으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패널 가이드(130), 및 제 2 지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 2 지지 부재(150) 사이에 배치된 백라이트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기판(111), 제 2 기판(113), 제 2 편광 부재(115), 및 제 1 편광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11)은 상부 기판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어레이(또는 표시부 또는 표시 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11)은 제 1 가장자리(또는 제 1 비표시부)에 마련된 패드부, 및 제 2 가장자리(또는 제 2 비표시부)에 마련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화소 어레이 및/또는 게이트 구동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 및/또는 게이트 제어 신호 라인을 통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 1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는 제 2 기판(113)의 제 1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일측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패드부는 제 2 지지 부재(150)를 향하는 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판(111)의 크기는 제 2 기판(113)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도록 제 1 기판(111)의 제 2 가장자리에 내장(또는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 구동 회로는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기판(111)에 내장되지 않고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되어 패널 구동 회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 2 기판(113)은 하부 기판 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제 1 기판(111)에 형성된 화소 영역에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화소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기판(113)은 제 1 기판(1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기판(113)은 제 1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제 2 기판(113)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합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제 1 기판(111) 및 제 2 기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각 화소마다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편광 부재(115)는 제 2 기판(113)의 하면에 부착되어 백라이트 모듈(120)로부터 입사되어 액정층으로 진행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제 1 편광 부재(117)는 제 1 기판(111)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1 기판(11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11)이 영상 표시면을 구성하므로,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 없이 전면(前面)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기판(111)이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기판(113)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상하 반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는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완충 부재(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19)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9)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각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9)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보호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완충 부재(119)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119)는 측면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유색 수지 또는 광 차단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완충 부재(119)의 상면 일부는 제 1 편광 부재(117)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완충 부재(119)와 제 1 기판(111) 간의 접합면 또는 완충 부재(150)와 제 1 기판(111) 사이의 경계부는 제 1 편광 부재(117)의 연장부에 의해 은폐되어 시청자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완충 부재(119)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은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으로 노출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1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제거하거나 베젤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또는 전면 전체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완충 부재(119)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120)은 도광판(121), 광원부, 반사 시트(123), 및 광학 시트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또는 광 가이드 부재)(12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중첩되도록 제 2 지지 부재(150)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마련된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21)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21)은 광원부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또는 출광)시킬 수 있다.
광원부는 도광판(121)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광원부는 광원용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도광판(121)의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123)는 도광판(121)의 후면을 덮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3)는 도광판(12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21)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25)는 도광판(121)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21)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광학 시트부(125)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25)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한 장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1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광의 확산과 집광 기능을 갖는 한 장의 복합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을 지지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중첩되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에 지지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130)는 가이드 프레임(131) 및 가이드 측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130)는 가이드 프레임(131)과 가이드 측부(133)의 결합 구조에 따라 "┓"자 또는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프레임(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연결되고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영역(MA)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사각 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프레임(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프레임(131)의 개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또는 표시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31)은 백라이트 모듈(120)의 최상면,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25)의 최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광학 시트부(125)의 최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측부(133)는 가이드 프레임(131)에 연결되어 제 2 지지 부재(150)의 일측 또는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측부(133)는 가이드 프레임(131)으로부터 제 2 지지 부재(150)의 측면 쪽으로 벤딩되어 제 2 지지 부재(150)의 측면들을 둘러싸거나 제 2 지지 부재(150)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가이드 측부(133)는 제 1 지지 부재(5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측부(133)는 제 1 지지 부재(500)의 제 2 부분(5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13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금속 재질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13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발생 장치(3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손실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발생 장치(3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달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130)는 제 1 연결 부재(14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패널 가이드(130)의 가이드 프레임(131)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가이드(130)에 배치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140)는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부재(140)는 패널 가이드(13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140)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폼 접착 패드 또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수지 경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140)의 전면(前面)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2 기판(113) 또는 제 2 편광 부재(115)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하부 기판(113)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140)는 하부 기판(113)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되어 제 2 편광 부재(115)의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제 2 편광 부재(115)에서 발생되는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40)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모듈(120)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140)는 패널 가이드(130)의 가이드 프레임(131)에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140)는 패널 가이드(130)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후면과 백라이트 모듈(120)의 최상면 사이에 밀폐된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함으로써 음 전달 공간(STS)에 전달되는 음압의 누설(또는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음 전달 공간(STS)은 백라이트 모듈(120)의 진동에 따라 음압이 발생되는 음압 발생 공간 또는 음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패널 진동 공간일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50)는 패널 가이드(130)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최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 부재(150)는 패널 가이드(130)를 지지할 수 있고, 백라이트 모듈(12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 부재(150)는 지지 커버, 버텀 커버, 커버 버텀, 또는 내부 커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지지 부재(150)는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 금속 합금 재질, 또는 비철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지지 부재(150)는 철(Fe),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및 전기 도금 강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기 도금 강판은 아연(Zn)을 전기적으로 도금한 전기 아연 도금 강판(Electrolytically Galvanized Steel Sheet 또는 ElectroGalvanized Coil 또는 ElectroGalvanized Iron)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지지 부재(150)가 비철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할 경우,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저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지 부재(150)가 철 금속으로 구성될 때,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으로 인하여 진동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제 2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구현하는 제 1 부분(151), 및 제 1 부분(15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부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153)은 패널 가이드(1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부분(15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백라이트 모듈(12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부분(151)은 백라이트 모듈(120)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부분 (151)은 판상 구조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부분(15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백라이트 모듈(120)을 지지하고,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151)은 반사 시트(123)의 후면과 접촉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진동을 백라이트 모듈(120)의 반사 시트(123)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15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간 영역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중간 영역(MA)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가장자리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151)은 바닥부, 후면부, 지지 플레이트, 또는 커버 플레이트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부분(153)은 제 1 부분(151)의 가장자리로부터 벤딩되어 패널 가이드(1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부분(153)은 제 1 부분(151) 상에 백라이트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백라이트 수납 공간에 수납(또는 지지)된 백라이트 모듈(120)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을 둘러쌀 수 있다. 제 2 부분(153)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 의해 제 1 부분(151)에 발생되는 음진동을 패널 가이드(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153)은 측면부, 측벽부, 지지 측벽, 또는 커버 측벽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부분(153)은 패널 가이드(1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153)은 패널 가이드(130)의 가이드 측부(13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지지 부재(150)는 제 3 부분(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55)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보강부 또는 강성 보강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3 부분(155)은 제 1 부분(151) 및 제 2 부분(1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155)은 제 1 부분(151) 및 제 2 부분(153)이 교차되는 영역(또는 연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3 부분(155)은 제 1 부분(151)의 가장자리 영역(EA)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155)은 제 1 부분(151)의 일측 또는 끝단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50)가 제 3 부분(155)을 포함할 때, 제 2 부분(153)은 제 3 부분(155)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153)은 제 3 부분(15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은 오목한 곡면 형태의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50)는 백라이트 모듈(120)과 패널 가이드(120)를 오목하게 휘어진 곡면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오목한 곡면 형태로 휘어져 패널 가이드(12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이 오목한 곡면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때, 백라이트 모듈(120)의 도광판(121)과 반사 시트(123) 사이에 내부 에어 갭이 마련됨으로써 내부 에어 갭의 울림통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발생되는 저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한 곡면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 1 부분(151)을 포함하는 제 2 지지 부재(150)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과 대응되거나 중첩되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음향 신호에 의해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으로 음향(또는 음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에 전파(또는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S1)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S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과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 사이의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과 대응되거나 중첩되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음향 신호에 의해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으로 음향(또는 음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EA) 중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전파(또는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향(S1)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S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 사이의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 음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은 구조물(310), 및 진동 발생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구조물(310)은 음 방출 서포터(sound emission supporter), 가이드 프레임, 음 방출 가이드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구조물(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지지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지지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과 구조물(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구조물(310)을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에 배치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념 폼 패드, 또는 양면 폼 패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연결 부재(40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40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구조물(3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제 2 지지 부재(150)와 구조물(310) 사이에 갇혀서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 또는 오픈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400)는 개구부 또는 오픈 영역을 갖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400)는 측면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제 2 연결 부재(400)의 일측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5kHz 이상일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의 구조물(310)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의 구조물(310)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의 구조물(310)은 제 1 구조물일 수 있고,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의 구조물(310)은 제 2 구조물일 수 있다.
구조물(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에 제 1 갭 공간(GS1)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에 제 1 갭 공간(GS1)을 마련할 수 있다. 제 1 갭 공간(GS1)은 음 발생 공간, 음압 공간, 음 방출 공간, 또는 울림통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물(310)은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조물(310)은 진동 발생기(33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S2)의 일부가 제 1 갭 공간(GS1)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310)은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구조물(310)은 지지부(311), 음향 안내부(313), 및 음향 방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1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진동 발생 모듈(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지지부(311)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경사진 지지면(또는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11)의 지지면(또는 경사면)은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에 대해 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311)의 지지면(또는 경사면)은,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진동 발생기(330)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11)의 개구부는 진동 발생기(330)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로부터 연장되어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안내부(313)는 지지부(311)에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2)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음향 안내부(313)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음향 방출부(315)로부터 지지부(311) 쪽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질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또는 세로 방향)과 나란하도록 음향 안내부(313)의 일단에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안내부(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 및 음향 방출구(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또는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음향 안내부(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을 음향 방출구(315b) 쪽으로 반사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삼각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삼각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꼭지점은 음향(S2)의 출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돌출 부분, 삼각 돌출 팁, 또는 음 방출 팁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방출구(315b)는 제 2 방향(Y)을 따라 음향 방출 가이더(315a)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구(315b)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에서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된 슬릿 또는 슬롯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비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는 해당하는 구조물(310)에 지지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하도록 구조물(310)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하도록 구조물(310)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구조물(310)에 배치되거나 결합되고,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음압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에 대해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에서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구조물(31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에 음향을 출력하거나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에 대해 경사진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구조물(31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 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또는 회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압에 따른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갭 공간(GS1) 내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또는 회절)하여 제 2 연결 부재(400)의 일측면과 음향 방출구(315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는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또는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또는 보이스 코일)과 자석을 이용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는 모듈 프레임(331), 보빈(332), 자석 부재(333), 코일(334), 센터 폴(335), 및 댐퍼(33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프레임(331)(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프레임(331)(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은 구조물(31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프레임(331)은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에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331)은 제 1 플레이트(331a), 제 2 플레이트(331b), 및 브라켓(33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31a)는 자석 부재(333)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31a)는 프레임 바디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플레이트(331b)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플레이트(331a)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31a)와 제 2 플레이트(331b)는 "U"자 형태를 갖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331a)와 제 2 플레이트(331b)는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yoke)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브라켓(331c)은 제 2 플레이트(331b)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331c)은 모듈 연결 부재에 의해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에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듈 프레임(331)은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에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모듈 연결 부재는 브라켓(331c)을 통과하여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에 체결되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와 브라켓(331c) 사이에는 완충 패드 등의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모듈 프레임(33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모듈 연결 부재는 브라켓(331c) 또는 모듈 프레임(331)을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에 지지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연결 부재는 구조물(310)의 지지부(311)와 브라켓(331c)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태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332)은 모듈 프레임(331)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332)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구조물(31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에 음향을 출력하거나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332)은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33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332)은 중공부(332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332)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환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332)은 자기력에 의해 진동, 예를 들면 상하 왕복 운동함으로써 제 1 갭 공간(GS1)에 음향을 출력하거나 음압을 발생시켜 제 2 지지 부재(15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332)은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ellipse or oval)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원 형태(oval shape)의 보빈(332)은 타원형(elliptical shape), 끝이 둥근 사각형(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또는 폭이 높이와 다른 비원형 곡선형(non-circular curved shape having a width different from its heigh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 형태의 보빈(332)에서, 장축의 직경과 단축의 직경의 비율은 1.3:1 ~ 2:1로 구성할 수 있다. 타원 형태의 보빈(332)은 원 형태의 보빈보다 고음역대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열 발생이 적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석 부재(333)는 보빈(332)의 중공부(332a)에 수용되도록 모듈 프레임(3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 부재(333)는 보빈(332)의 중공부(332a)에 삽입된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334)은 보빈(33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334)은 보빈(332)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코일(334)에 음향 신호(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34)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자석 부재(333)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빈(332) 전체가 진동, 예를 들면 제 3 방향(Z)을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334)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터 폴(335)은 자석 부재(333) 상에 배치되며, 보빈(332)의 진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폴(335)은 보빈(332)의 중공부(332a)에 삽입 또는 수용됨으로써 보빈(33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 폴(335)은 승강 가이더 또는 폴 피스(pole pieces)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336)는 모듈 프레임(331)과 보빈(3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댐퍼(336)는 모듈 프레임(331)의 제 1 플레이트(331a)와 보빈(332)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336)는 일측과 타측 사이에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빈(332)의 진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 댐퍼(336)는 복원력을 통해 보빈(332)의 진동 거리(또는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보빈(332)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332)은 댐퍼(33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336)는 스파이더(spider), 서스펜션(suspension), 또는 에지(edge)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자석 부재(333)가 보빈(332)의 중공부(332a)에 삽입된 내자 타입(또는 마이크로 타입)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자석 부재(333)가 보빈(33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외자 타입(또는 다이나믹 타입)으로 표현될 수 있다. 외자 타입의 진동 발생기(330)는 자석 부재(333)가 프레임 바디(331a)와 제 2 플레이트(331b) 사이에 마련되고, 센터 폴(335)이 보빈(332)의 중공부(332a)에 삽입되도록 제 1 플레이트(331a) 상에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내자 타입의 진동 발생기(3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보빈(332)의 상부와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 사이에 배치된 보빈 보호 부재(3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 보호 부재(337)는 보빈(332)의 중공부(332a)를 덮도록 보빈(332)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보빈(332)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보빈(33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빈 보호 부재(337)는 보빈(332)의 중공부(332a)를 덮도록 구현됨으로써 보빈(332)의 진동에 따라 제 1 갭 공간(GS1)에 발생되는 음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보빈 보호 부재(337)는 사출물 또는 금속의 금형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 보호 부재(337)는 섬유 강화재, 섬유 강화재가 포함된 복합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진동 발생기(3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섬유 강화재는 탄소 섬유 강화재(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유리 섬유 강화재(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및 그라파이트 섬유 강화재(Graphite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중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구조물(310) 사이에 방열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 부재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부재는 방열 시트 또는 방열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진동 발생 장치(300)와 동일하거나 큰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방열 부재는 제 2 지지 부재(15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윈 타입(twin type)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트윈 타입 구조는 2 어레이(two array) 구조로 표현될 수도 있다. 트윈 타입 구조의 진동 발생기(330)는 모듈 프레임(331) 상에 배치된 2개의 서브 진동부(330a, 330b)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서브 진동부(330a, 330b)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330)는 트윈 타입(twin type)의 진동 장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트윈 타입(twin type)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싱글 타입(single type) 구조로 구현되거나 2 어레이 이상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는 4 어레이 구조 또는 6 어레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의 진동 발생기(330)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으로 음향(또는 음파)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의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으로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의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의 진동 발생기(330)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의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으로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의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가 음향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진동 발생기(3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제 1 갭 공간(GS1)으로 출력되고, 제 1 갭 공간(GS1)의 음향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12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음 전달 공간(STS)으로 출력되고, 음 전달 공간(STS)의 음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1, EA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1)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제 1 갭 공간(GS1)으로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에서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음역대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기울어진 진동 발생기(33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사이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반사 영역(또는 반사 공간)이 증가되고 반사 영역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고음역대의 음향이 증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고음역대 음향의 반사 특성(또는 회절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특성이 향상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음역대 음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 발생 장치(300)의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S2)으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 발생기(33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비평행하거나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음향(S2)의 반사 영역이 증가되고 반사 영역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고음역대의 음향이 증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고음역대 음향의 반사 특성(또는 회절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특성이 향상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음역대 음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의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의 구조물(310)은 지지부(311), 음향 안내부(313), 및 음향 방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에 지지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지지부(311)는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및 개구부(3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는 제 1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330)의 제 1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와 나란하고, 진동 발생기(330)의 제 2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은 제 1 면 및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할 수 있다.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2 면은 제 1 면과 반대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으로부터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2 면은 상면, 윗면, 지지면, 또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2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대해 5도 이하의 각도(θ1)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사잇각(θ1)은 1~5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거나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제 3 지지부(311c)로부터 음향 안내부(313)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 3 지지부(311c)는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되어 제 1 지지부(311a)의 일측과 제 2 지지부(311b)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311c)는 진동 발생기(330)의 제 3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3 지지부(311c)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3 지지부(311c)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거나 증가할 수 있다.
제 3 지지부(311c)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인접한 제 1 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의 제 3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지지부(311c)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제 3 지지부(311c)로부터 음향 안내부(313)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와 제 3 지지부(311c) 사이의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311b)와 제 3 지지부(311c) 사이의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각각의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각각의 제 1 면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에 지지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각각의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의 제 1 내지 제 3 측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각각의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330)의 제 1 내지 제 3 측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진동 발생기(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할 수 있다.
개구부(311d)는 진동 발생기(330)와 중첩되고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개구부(311d)는 진동 발생기(330)의 제 1 내지 제 3 측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311d)는 경사진 진동 발생기(33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에 제 1 갭 공간(GS1)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지지부(311)는 제 3 지지부(311c)에 배치된 제 1 스토퍼(31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311e)는 제 3 지지부(311c)에 배치되어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에 지지되는 진동 발생기(330)의 배치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스토퍼(311e)는 제 3 지지부(311c)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311e)는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에 경사지게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제 3 측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진동 발생기(3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스토퍼(311e)의 양 가장자리 부분은 진동 발생기(330)의 곡면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1)에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으로부터 기울어짐으로써 진동 발생기(33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거나 제 1 방향(X)을 따라 제 3 지지부(311c)로부터 음향 안내부(313)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음향 안내부(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로부터 연장되어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주변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313)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313)의 제 1 길이는 3mm 이상에서 진동 발생기(330)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안내부(313)의 제 1 길이가 3mm 미만일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의 반사 영역(또는 반사 공간)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고음역대 음향에 대한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313)의 최상면은 진동 발생기(330)의 모듈 프레임(331)의 최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313)의 최상면은 지지부(311)에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모듈 프레임(331)의 최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고, 모듈 프레임(331)의 최상면과 일치하거나 모듈 프레임(331)의 최상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313)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 1 방향(X)을 따라 음향 방출부(315)로부터 지지부(311)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313)의 두께가 제 1 방향(X)을 따라 동일하고, 음향 안내부(313)의 최상면이 모듈 프레임(331)의 최상면과 일치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두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313)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구현되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을 덮는 제 1 지지 부재(500)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313)와 중첩되는 제 1 지지 부재(5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은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30) 사이에 경사진 제 3 부분(5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안내부(313)는 제 1 연장부(313a), 제 2 연장부(313b), 및 덮개부(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313a)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의 제 1 지지부(311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313b)는 제 1 연장부(313a)과 나란하도록 지지부(311)의 제 2 지지부(311b)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은 제 1 방향(X)을 따라 3mm 이상에서 진동 발생기(330)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가지도록 지지부(311)의 일측 또는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인접한 제 1 면, 및 덮개부(313c)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의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의 제 2 면은 제 1 면과 반대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비평행하게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덮개부(313c)는 제 1 연장부(313a)와 제 2 연장부(313b) 상에 배치되어 제 1 연장부(313a)와 제 2 연장부(313b)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덮개부(313c)에 의해 덮이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상의 제 1 연장부(313a)와 제 2 연장부(313b)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과 연결(또는 연통)된 제 2 갭 공간(GS2)일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제 1 갭 공간(GS1)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갭 공간(GS1)과 제 2 갭 공간(GS2) 각각에서 적어도 1회 이상 반사(또는 회절)되면서 음향 방출부(315) 쪽으로 진행(또는 전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덮개부(313c)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313c)의 제 1 길이는 3mm 이상에서 진동 발생기(330)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313c)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도록 구현되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을 덮는 제 1 지지 부재(500)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부(313c)와 중첩되는 제 1 지지 부재(50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은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30) 사이에 경사진 제 3 부분(5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덮개부(313c)는 제 2 스토퍼(313c1), 제 1 면(313c2), 및 제 2 면(313c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313c2)은 외측 경사면 또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 2 면(313c3)은 천정면일 수 있다.
제 2 스토퍼(313c1)는 제 2 방향(Y)을 따라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상에 배치되어 지지부(311)에 지지되는 진동 발생기(330)의 배치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의 배치 영역은 지지부(311)의 제 1 스토퍼(311e)와 음향 안내부(313)의 제 2 스토퍼(313c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스토퍼(313c1)는 지지부(311)에 경사지게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제 4 측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진동 발생기(3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스토퍼(313c1)의 양 가장자리 부분은 진동 발생기(330)의 곡면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313c2)은 제 2 스토퍼(313c1)의 최상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의 제 2 면 쪽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면(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면(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제 1 면(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이 45도를 초과할 때, 덮개부(313c)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제 2 면(313c3)은 덮개부(313c)의 아랫면이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 2 면(313c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덮개부(313c) 사이에 제 2 갭 공간(GS2)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면(313c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평행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면(313c3)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은 1~5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면(313c3)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사잇각과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예를 들면,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1 갭 공간(GS1)과 제 2 갭 공간(GS2)에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315)는 제 1 및 제 2 갭 공간(GS1, GS2)을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315)는 제 1 및 제 2 갭 공간(GS1, GS2)을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면서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예를 들면, 끝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또는 끝단 사이의 공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갭 공간(GS1, GS2)을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음향 방출부(315)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 및 음향 방출구(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면서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또는 끝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중첩되는 음향 안내부(313)의 덮개부(313c)의 천정면(313c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음향 안내부(313)의 일측 또는 끝단 사이의 공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 외부에 노출된 제 1면(OW),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인접한 제 1면(OW)의 일측 또는 끝단으로부터 경사진 제 2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OW)은 제 3 방향(Z)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제 2면(IS)을 빗면으로 하는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 1 면(OW)과 제 2면(IS) 사이의 사잇각(θ2)은, 음향 안내부(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이 원활하게 음향 방출구(315b)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45도에서 75도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 1 면(OW)과 제 2면(IS) 사이의 사잇각(θ2)은 55도에서 65도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315a)는 45도에서 75도 사이의 각도를 갖는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은 삼각 돌출 부분(또는 삼각 돌출 팁 또는 음 방출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이 음향 방출구(315b)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원활히 출력될 수 있도록,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1 면(OW)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 사이의 거리(D1)는 1±0.5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 1 면(OW)과 패널 가이드(130)의 일측 또는 측면 사이의 거리(D1)는 1±0.5mm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이 음향 방출구(315b)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원활히 출력될 수 있도록, 제 3 방향(Z)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 1 면(OW)과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최단 거리는 ±0.5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방향(Z)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제 1면(OW)과 패널 가이드(130)의 일측 또는 측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0.5mm일 수 있다.
음향 방출구(315b)는 제 2 방향(Y)을 따라 음향 방출 가이더(315a)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구(315b)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의 이격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구(315b)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와 디스플레이 모듈(100) 사이에서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된 슬릿 또는 슬롯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의 구조물(310)은 돌출부(317), 및 오목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7)는 한쌍일 수 있다. 돌출부(317)는 코너 돌기일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317)는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양측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17)는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313)의 양 끝단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3 방향(Z)을 기준으로, 한 쌍의 돌출부(317)의 길이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317)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돌출부(317) 각각의 내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과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돌출부(317) 각각의 내측면은 패널 가이드(130)의 일측 또는 측면과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317)는 음향 방출구(315b)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S2)이 제 2 방향(Y)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317)는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구(315b)의 길이를 정의할 수 있다.
오목부(318)는 한 쌍의 돌출부(317) 각각과 음향 안내부(313)의 제 1 연장부(313a)와 제 2 연장부(313b) 각각 사이에 오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318)는 패널 가이드(130)의 가이드 측부(133)를 수용함으로써 제 3 방향(Z)을 따라 유동되는 패널 가이드(130)와 구조물(310) 간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널 가이드(130)의 유동에 의해 구조물(310)의 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의 구조물(310)은 음 반사 방지 부재(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지지부(311)와 음향 안내부(313) 각각의 제 3 면(311f, 313d)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면(311f, 313d)은 내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지지부(311)와 음향 안내부(313) 각각의 내측면(311f, 313d)에 배치될 수 있다.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1 및 제 2 갭 공간(GS1, GS2)에서의 음향이 지지부(311)와 음향 안내부(313) 각각의 제 3면(311f, 313d)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향의 딥(deep)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흡음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패드, 테이프, 폼 테이프, 또는 폼 패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지지부(311)의 제 1 및 제 2 지지부(311a, 311b) 각각의 제 3면(311f) 및 음향 안내부(313)의 제 1 및 제 2 연장부(313a, 313b) 각각의 제 3면(313d)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1 지지부(311a)의 제 3면(311f)과 제 1 연장부(313a)의 제 3면(313d)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1 지지부(311a)의 제 3면(311f)과 제 1 연장부(313a)의 제 3면(313d) 중 하나 이상 또는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2 지지부(311b)의 제 3면(311f)과 제 2 연장부(313b)의 제 3면(313d)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 반사 방지 부재(319)는 제 2 지지부(311b)의 제 3면(311f)과 제 2 연장부(313b)의 제 3면(313d) 중 하나 이상 또는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2 지지 부재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지지 부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2 지지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300)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며, 제 2 지지 부재(150)는 전술한 철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홀(157)은 진동 발생 장치(300)와 중첩되도록 제 1 부분(151)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홀(157)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도록 제 1 부분(151)에 구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홀(157)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57)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자기장 영역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에 의해 왜곡되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홀(157)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과 중첩되도록 제 1 부분(151)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57)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에 구성된 진동 발생기(33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57)은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홀(157)은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57)은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보다 큰 크기를 갖는 다각 형태,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홀(157)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대한 패터닝 공정 또는 천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홀(157)은 제 1 홀, 커버 홀, 패턴 홀, 홀 패턴, 관통 홀, 또는 천공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홀(157)은 모서리 부분이 곡선 형태로 라운딩된 사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홀(157)은 메인 홀(157a) 및 서브 홀(157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홀(157a)은 모서리 부분이 곡선 형태로 라운딩될 수 있다. 서브 홀(157b)은 제 2 방향(Y)을 따라 메인 홀(157a)의 제 1 및 제 2 변 각각에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홀(157b)은 메인 홀(157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홀(157)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S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 발생 장치(300)의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S2)으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는 홀(157)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를 포함함으로써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홀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레이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구조물(3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와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구조물(310)과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구조물(31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와 중첩되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1 부분(151)에 연결되거나 결합되고 진동 발생 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을 덮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가 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때,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왜곡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플레이트(700)는 비철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기(330)의 자석 부재(333)에 포함되는 철(Fe) 계열이 아닌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및 알루미늄(Al) 합금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철(Fe)을 포함하지 않는 재질인 경우에는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제 2 지지 부재(150) 또는 플레이트(700)에 의해 왜곡되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연통 홀(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과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과 제 1 갭 공간(GS1)을 연통시킬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또는 음파)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음향 투과 영역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통 홀(710)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및 제 2 방향(Y)과 나란하고 제 1 길이보다 긴 제 2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제 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통 홀(710)은 다각 형태,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의 메인 홀(157a)과 중첩되는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서브 홀(157b)과 중첩되는 연통 홀(71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 형태의 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연통 홀(710)은 플레이트(700)에 대한 패터닝 공정 또는 천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통 홀(710)은 제 2 홀, 연결 홀, 에어 홀, 패턴 홀, 홀 패턴, 관통 홀, 또는 천공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연통 홀(710)을 포함하는 플레이트(700)는 음향 밸런스 부재일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 중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면 음향(또는 투과 음향)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면 음향(또는 반사 음향) 간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고음역대 출력(또는 방사) 특성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음향과 제 1 갭 공간(GS1)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음향 간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일부에만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절반 이하로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에 구성된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에 구성된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의 횡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연통 홀(710)의 횡단면 길이는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의 횡단면 길이의 40% 이하일 수 있다. 연통 홀(710)의 횡단면 길이가 40%를 초과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로 전달(또는 전파)되는 음향과 제 1 갭 공간(GS1)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음향 간의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아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제 3 연결 부재(600)를 매개로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을 덮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2 부분(151)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3 연결 부재(60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부(151)와 플레이트(700)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연결 부재(600)는 플레이트(700)를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에 배치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제 3 연결 부재(600)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념 폼 패드, 또는 양면 폼 패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제 3 연결 부재(60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3 연결 부재(60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진동 발생 장치(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는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플레이트(700)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구조물(310)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플레이트(7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구조물(310)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플레이트(700)에 지지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는 해당하는 구조물(310)에 배치되고 플레이트(700) 및 플레이트(700)의 연통 홀(710) 쪽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중 일부는 플레이트(700)의 연통 홀(710)과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 각각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 전달되며,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중 나머지는 플레이트(700)와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과 플레이트(700)와 구조물(310)의 음향 안내부(313) 사이의 제 2 갭 공간(GS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을 반사(또는 회절)되어 구조물(310)의 음향 방출부(315)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플레이트(700)와 구조물(310) 사이에 배치되어 구조물(310)을 플레이트(700)에 배치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400)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념 폼 패드, 또는 양면 폼 패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는 홀(157)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 및 제 2 지지 부재(150)와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00)를 포함함으로써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과 중첩되고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절반 이하로 중첩되도록 플레이트(700)에 배치된 연통 홀(710)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 중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면 음향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면 음향 간의 음향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2 지지 부재에 배치된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진동 발생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진동 발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300-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은 구조물(1310), 및 진동 발생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1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구조물(1310)은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EA)에 지지 또는 연결될 수 있다.
구조물(1310)은 지지부(311), 음향 안내부(1313), 및 음향 방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진동 발생기(3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지지부(311)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경사진 지지면(또는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기(33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다.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로부터 연장되어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주변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안내부(1313)는 지지부(311)에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2)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음향 안내부(1313)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음향 방출부(315)로부터 지지부(311) 쪽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질 수 있다.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3mm 이상 진동 발생기(330)의 전체 길이의 1.2배 이하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또는 패널 가이드의 일측 또는 측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30~60mm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또는 패널 가이드의 일측 또는 측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최단 거리(D2)가 60mm 이상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음역대 음향의 반사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방향(X)에 따른 길이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음향 안내부(313)보다 더 확장됨으로써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음향 안내부(313)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과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2 방향(Y)과 나란하도록 음향 안내부(1313)의 일측 또는 끝단에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안내부(1313)를 경유하여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 및 음향 방출구(3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의 진동 발생기(33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에 해당하는 구조물(1310)에 지지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에 대해 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지도록 지지부(311)에 지지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기(330)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에 대해 1~5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는 모듈 프레임(331), 보빈(332), 자석 부재(333), 코일(334), 센터 폴(335), 및 댐퍼(3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발생기(3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트윈 타입(twin type)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싱글 타입(single type) 구조로 구현되거나 2 어레이 이상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는 4 어레이 구조 또는 6 어레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 발생 장치(300)의 구조물(1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S2)으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에 구성된 구조물(1310)의 음향 안내부(1313)의 두께 감소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과 중첩되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의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선 VII-VII'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310)은 지지부(311), 음향 안내부(1313), 및 음향 방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1)는 제 2 연결 부재(400)를 매개로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영역에 지지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11)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지지부(311a, 311b, 311c), 및 개구부(31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지지부(311)는 제 1 스토퍼(311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1313)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주변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1313)의 제 1 길이는 3mm 이상 진동 발생기(330)의 전체 길이의 1.2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안내부(1313)의 제 1 길이가 3mm 미만일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의 반사 영역(또는 반사 공간)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고음역대 음향에 대한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음향 안내부(1313)는 제 1 연장부(1313a), 제 2 연장부(1313b), 및 덮개부(1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1313a)는 제 1 방향(X)을 따라 지지부(311)의 제 1 지지부(311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1313b)는 제 1 연장부(1313a)과 나란하도록 지지부(311)의 제 2 지지부(311b)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각각은 제 1 방향(X)을 따라 3mm 이상 진동 발생기(330)의 전체 길이의 1.2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각각은 제 1 면 및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제 2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과 비평행할 수 있다. 제 2 면은 덮개부(1313c)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각각의 제 1 면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각각의 제 2 면은 제 1 면과 반대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평행할 수 있다.
덮개부(1313c)는 제 1 연장부(1313a)와 제 2 연장부(1313b) 상에 배치되어 제 1 연장부(1313a)와 제 2 연장부(1313b)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덮개부(1313c)에 의해 덮이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상의 제 1 연장부(1313a)와 제 2 연장부(1313b)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330) 사이의 제 1 갭 공간(GS1)과 연결(또는 연통)된 제 2 갭 공간(GS2)일 수 있다. 진동 발생기(330)로부터 제 1 갭 공간(GS1)으로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갭 공간(GS1)과 제 2 갭 공간(GS2) 각각에서 적어도 1회 이상 반사(또는 회절)되면서 음향 방출부(315) 쪽으로 진행(또는 전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덮개부(1313c)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길이,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길이, 및 제 3 방향(Z)과 나란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1313c)의 두께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분(EA)의 두께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덮개부(1313c)는 제 2 스토퍼(1313c1), 제 1 면(1313c2), 및 제 2 면(1313c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1313c1)는 제 2 방향(Y)을 따라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상에 배치되어 지지부(311)에 지지되는 진동 발생기(330)의 배치 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330)의 배치 영역은 지지부(311)의 제 1 스토퍼(311e)와 음향 안내부(1313)의 제 2 스토퍼(1313c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스토퍼(1313c1)는 지지부(311)에 경사지게 지지된 진동 발생기(330)의 제 4 측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진동 발생기(3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스토퍼(1313c1)의 양 가장자리 부분은 진동 발생기(330)의 곡면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1313c2)은 제 2 스토퍼(1313c1)의 최상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연장부(1313a, 1313b) 각각의 제 2 면 쪽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면(1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X)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또는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면(1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0도 이하일 수 있다. 제 1 면(1313c2)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이 45도를 초과할 때, 덮개부(1313c)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제 1 면(1313c2)은 외측 경사면 또는 경사면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면(1313c3)은 덮개부(1313c)의 아랫면이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았다. 제 2 면(1313c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덮개부(1313c) 사이에 제 2 갭 공간(GS2)을 마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면(1313c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후면)과 평행할 수 있다. 제 2 면(1313c3)은 천정면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안내부(131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315)는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1313)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제 1 갭 공간(GS1)과 제 2 갭 공간(GS2)에서 반사(또는 회절)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S2)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방출부(315)는 음향 방출 가이더(315a) 및 음향 방출구(3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의 구조물(1310)은 돌출부(317) 및 오목부(3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돌출부는 한 쌍일 수 있다. 돌출부(317)는 코너 돌기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317)는 음향 안내부(1313)의 양측의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17)는 제 3 방향(Z)을 따라 음향 안내부(1313)의 양 끝단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오목부(318)는 한 쌍의 돌출부(317) 각각과 음향 안내부(1313)의 제 1 연장부(1313a)와 제 2 연장부(1313b) 각각 사이에 오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의 구조물(1310)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지지부(311)와 음향 안내부(1313) 각각의 제 3면(311f, 1313d)에 배치된 음 반사 방지 부재(3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2 지지 부재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지지 부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8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2 지지 부재(150)는 진동 발생 장치(300)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며, 제 2 지지 부재(150)는 전술한 철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홀(157)은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도록 제 1 부분(151)에 구성될 수 있다. 홀(157)은 금속 재질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와 중첩되도록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에 구성될 수 있다. 홀(157)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홀과 비교하여 구조물(1310)의 음향 안내부(1313)의 확장된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홀(157)은 진동 발생기(330)의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진동 발생기(330)의 전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홀(157)은 도 17에 도시된 구조물(1310)의 지지부(311)에 배치된 개구부(311d)와 동일하거나 크고. 구조물(1310)의 지지부(3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은 구조물(1310)의 음향 안내부(1313)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금속 재질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과 구조물(1310)의 음향 안내부(1313) 사이의 제 2 갭 공간(GS2)에서 반사(또는 회절)되는 고음역대의 음향이 증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중 고음역대 음향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 발생 장치(300)의 구조물(3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과 전면 방향으로 출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S2)으로 인하여 고음역대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는 홀(157)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를 포함함으로써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선 VI-VI'의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레이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9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와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300-1, 300-2) 각각과 제 2 지지 부재(150)의 제 1 부분(151)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제 2 지지 부재(15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00)가 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때,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왜곡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플레이트(700)는 비철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700)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구조물(1310)의 음향 안내부(1313)의 확장된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에 따른 플레이트(700)는 연통 홀(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과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제 2 지지 부재(150)에 배치된 홀(157)과 제 1 갭 공간(GS1)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일부에만 중첩될 수 있다. 연통 홀(710)은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절반 이하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에 따른 진동 발생기(330)의 횡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연통 홀(710)의 횡단면 길이는 보빈(332) 또는 자석 부재(333)의 횡단면 길이의 40% 이하일 수 있다. 연통 홀(710)은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연통 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영역과 중첩되는 홀(157)을 갖는 제 2 지지 부재(150), 및 제 2 지지 부재(150)와 진동 발생 장치(3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00)를 포함함으로써 제 2 지지 부재(150)에 의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자기장 왜곡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지지 부재(150)의 홀(157)과 중첩되고 진동 발생 장치(300)에 형성되는 자기장 영역의 절반 이하로 중첩되도록 플레이트(700)에 배치된 연통 홀(710)을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음향 중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면 음향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면 음향 간의 음향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300)의 음향 출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3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출력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과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에서, 굵은 실선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파수-음압 특성을 나타내며, 점선은 본 명세서에 따른 구조물 없이 연결 부재를 매개로 제 2 지지 부재의 일측 또는 측면에 3mm 미만으로 인접하면서 제 2 지지 부재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파수-음압 특성을 나타낸다. 도 21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dB)을 나타낸다. 도 21의 음압 레벨은 Audio Precision社의 APX525 Audio Analyzer (FFT Analyzer)를 이용하였고, 인가전압은 3Vrms이고, 사인 스윕(sine sweep)을 20Hz 내지 20kHz로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0.5m 이격된 위치에서 음압 레벨을 측정하였다. 사인 스윕은 단시간에 스윕을 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이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고음역대인 3kHz 이상에서의 음압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3kHz 내지 10kHz의 음역대에서의 음압이 약 10dB 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1kHz 이하에서의 음압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고음역대의 음압 특성과 음향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약 70dB 이상의 음압을 기준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150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180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주파수 대역이 약 30Hz 정도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저음역대의 음압 특성과 음향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는 고음역대의 출력이 강한 압전 진동 장치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스피커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 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차량용 장치, 극장용 장치, 극장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유기 발광 조명 장치 또는 무기 발광 조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조명 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경우, 스피커, 리시버, 및 햅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된 구조물,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구조물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진동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음향 안내부, 및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진동 발생기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출력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진동 발생기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진동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진동 발생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연결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압에 따른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과 측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진동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음향 안내부, 및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진동 발생기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음향 안내부의 길이는 3mm 이상 진동 발생기의 전체 길이의 1.2배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의 두께는 제 1 방향을 따라 음향 방출부로부터 지지부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부는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부는 삼각 돌출 팁 또는 삼각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 외부에 노출된 제1 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제 1 면의 일측으로부터 경사진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의 제 1 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제 1 지지부와 나란하고 진동 발생기의 제 2 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제 1 지지부의 일측과 제 2 지지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기의 제 3 측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부, 및 제 1 내지 제 3 지지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지지부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는 진동 발생기와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인접한 제 1 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면은 진동 발생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 각각에서,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3 지지부로부터 음향 안내부 쪽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사잇각은 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안내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제 2 지지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 및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 사이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장부는 제 1 연장부와 나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한 면(또는 외측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부의 면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사이의 사잇각은 4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은 제 1 및 제 2 지지부 각각의 제 3 면(또는 내측면)과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제 3 면(또는 내측면)에 각각 배치된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부는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 가이더, 및 음향 방출 가이더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된 음향 방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 가이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방출구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 가이더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에 노출된 제 1 면(또는 외측벽),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제 1 면으로부터 경사진 제 2 면(또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음향 안내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면은 제 1면의 끝단으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방출 가이더에서, 제 1면과 제 2 면 사이의 사잇각은 45도에서 75도 사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의 제 1 면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1±0.5mm이하이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음향 방출 가이더의 제 1 면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최단 거리는 ±0.5m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 2 지지 부재는 제 1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지 부재의 제 1 홀은 진동 발생기와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지지 부재와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지지 부재의 제 1 홀을 덮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는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제 2 지지 부재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제 2 지지 부재의 제 1 홀과 중첩된 제 2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홀은 제 1 홀과 다른 형태를 가지거나 제 1 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구조물에 배치된 모듈 프레임 상에 배치된 보빈, 보빈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마그네트, 보빈에 감겨진 코일, 모듈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연결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 2 지지 부재는 보빈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는 제 2 지지 부재의 홀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 2 지지 부재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지지 부재의 홀은 진동 발생기와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보빈의 일부와 중첩된 제 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제 2 홀은 제 2 지지 부재의 홀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에 따른 횡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제 2 홀의 횡단면 길이는 보빈의 횡단면 길이의 40% 이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모듈 130: 패널 가이드
140: 제 1 연결 부재 150: 제 2 지지 부재
151: 제 1 부분 153: 제 2 부분
157: 홀 300: 진동 발생 장치
300-1: 제 1 진동 발생 모듈 300-2: 제 2 진동 발생 모듈
310, 1310: 구조물 311: 지지부
313, 1313: 음향 안내부 315: 음향 방출부
330: 진동 발생기 332: 보빈
333: 자석 부재 400: 제 2 연결 부재
500: 제 1 지지 부재 510: 제 1 부분
530: 제 2 부분 600: 제 3 연결 부재
700: 플레이트 710: 연통 홀

Claims (30)

  1.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된 구조물;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도록 상기 구조물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진동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음향 안내부; 및
    상기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중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출력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진동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 연장된 음향 안내부; 및
    상기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상기 진동 발생기 사이의 거리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 항, 제 3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향 안내부의 길이는 3mm 이상 상기 진동 발생기의 전체 길이의 1.2배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 제 3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안내부의 두께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상기 지지부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 제 3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방출부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진동 발생기의 제 1 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와 나란하고 상기 진동 발생기의 제 2 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발생기의 제 3 측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인접한 제 1 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한 제 2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각각에서,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 지지부로부터 상기 음향 안내부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안내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 사이의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비평행한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각각의 제 3 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제 3 면에 각각 배치된 패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2 항, 제 3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방출부는,
    상기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음향 방출 가이더; 및
    상기 음향 방출 가이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된 음향 방출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방출 가이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안내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에 노출된 제 1 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경사진 제 2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방출 가이더에서,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사잇각은 45도에서 75도 사이인,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향 방출 가이더의 제 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1±0.5mm 이하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향 방출 가이더의 제 1 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최단 거리는 ±0.5mm인,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중첩된 제 1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 부재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제 1 홀을 덮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지지 부재의 제 1 홀과 중첩된 제 2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은 상기 제 1 홀과 다른 형태를 가지거나 상기 제 1 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구조물에 배치된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 상에 배치된 보빈;
    상기 보빈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 및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보빈 사이에 연결된 댐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보빈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상기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 부재는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보빈의 일부와 중첩된 제 2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에 따른 횡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홀의 횡단면 길이는 상기 보빈의 횡단면 길이의 4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52519A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519A KR20210133649A (ko)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장치
JP2021072505A JP7139484B2 (ja) 2020-04-29 2021-04-22 ディスプレイ装置
US17/237,586 US20210345028A1 (en) 2020-04-29 2021-04-22 Display apparatus
TW112118796A TW202334722A (zh) 2020-04-29 2021-04-26 顯示設備
TW110114968A TWI806041B (zh) 2020-04-29 2021-04-26 顯示設備
CN202110465019.3A CN113573204A (zh) 2020-04-29 2021-04-28 显示设备
JP2022142342A JP7405922B2 (ja) 2020-04-29 2022-09-07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3210710A JP2024037885A (ja) 2020-04-29 2023-12-14 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519A KR20210133649A (ko)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649A true KR20210133649A (ko) 2021-11-08

Family

ID=7816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519A KR20210133649A (ko) 2020-04-29 2020-04-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45028A1 (ko)
JP (3) JP7139484B2 (ko)
KR (1) KR20210133649A (ko)
CN (1) CN113573204A (ko)
TW (2) TWI8060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5224B2 (ja) * 2018-02-26 2023-03-08 太陽誘電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14979909B (zh) * 2022-05-31 2023-04-25 歌尔股份有限公司 驱动激励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7601A (en) * 1997-10-01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rc welding robot
JP3175661B2 (ja) * 1997-10-01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2005110216A (ja) 2003-07-31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6237826A (ja) 2005-02-23 2006-09-07 Pioneer Electronic Corp 平面表示機器用スピーカ装置及び平面表示装置
JP4277811B2 (ja) 2005-02-24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9081743A (ja) 2007-09-26 2009-04-16 Nec Corp 携帯電話機のステレオスピーカ配置構造及び方法
JP5084945B2 (ja) 2011-01-07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3175661U (ja) 2012-03-02 2012-05-24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音声誘導装置及び音声誘導部材
JP6015497B2 (ja) 2013-03-01 2016-10-26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83505B2 (ja) * 2013-11-25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2259805B1 (ko)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0990B1 (ko) * 2016-12-09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8042B1 (ko) * 2017-07-28 2021-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88383B1 (ko) 2017-12-13 2023-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JP2020039107A (ja) 2018-09-05 2020-03-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スピーカ装置
KR20200032629A (ko) * 2018-09-18 2020-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13319B (zh) * 2018-09-18 2021-10-0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0933562A (zh) * 2019-11-21 2020-03-27 安徽井利电子有限公司 一种适用于led显示屏的扬声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1139A (zh) 2021-11-01
TWI806041B (zh) 2023-06-21
JP7405922B2 (ja) 2023-12-26
JP7139484B2 (ja) 2022-09-20
US20210345028A1 (en) 2021-11-04
JP2022191219A (ja) 2022-12-27
TW202334722A (zh) 2023-09-01
JP2021175192A (ja) 2021-11-01
CN113573204A (zh) 2021-10-29
JP2024037885A (ja)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913792B (zh) 显示装置
JP711820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704704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740592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55892B1 (ko) 전자 기기
KR20240005566A (ko)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