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198A -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198A
KR20210132198A KR1020217032686A KR20217032686A KR20210132198A KR 20210132198 A KR20210132198 A KR 20210132198A KR 1020217032686 A KR1020217032686 A KR 1020217032686A KR 20217032686 A KR20217032686 A KR 20217032686A KR 20210132198 A KR20210132198 A KR 2021013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tea
mass
same m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682B1 (ko
Inventor
유스케 고바야시
유이치 시모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비중합체 카테킨류 0.030 ∼ 0.10 질량%
(B)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C) 아스트라갈린
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B)/(A)] 가 0.060 ∼ 2.0 이고, 성분 (C) 와 성분 (A) 의 질량비 [(C)/(A)] 가 1.0 × 10-3 ∼ 20 × 10-3 인, 음료 조성물.

Description

음료 조성물
본 발명은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Camellia 속의 차잎에 함유되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1 종으로서,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는 점에서, 음식품에의 응용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생활 습관으로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점에서, 차 음료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지만, 차 본래의 향기가 풍부하고, 단 맛이 두드러지고, 쓴 맛이나 떫은 맛이 억제된 차 음료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종래, 카페인 함유량을 저감시킨 차 음료에, 일정량의 에탄올을 함유시킴으로써, 차 본래의 단 맛이 개선된 차 음료가 얻어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 음료를, 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에탄올을 특정량 공존시킨 상태에서 가열하고, 당해 음료를 용기에 충전하여 밀봉한 후, 용기에 담긴 음료를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차의 풍미의 그윽한 향기가 풍부한 용기에 담긴 음료가 얻어진다는 보고도 있다 (특허문헌 2). 또한, 차 음료에 메틸메티오닌술포늄염을 특정량 첨가하거나, 혹은 차 음료에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특정량 첨가하여, 그 차 음료를 특정 조건에서 가열 살균함으로써, 가열 살균에 의해서 저하되는 차 음료의 향 및 맛을 보완하고, 그 향 및 맛을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용기에 담긴 차 음료가 얻어지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3).
한편, 아스트라갈린은, 감잎이나 뽕잎에 함유되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1 종으로서, 항알레르기 작용을 갖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스트라갈린의 생리 작용에 주목하여, 음식품에의 응용이 검토되고 있고, 예를 들어, 아스트라갈린에, 과당, 갈락토오스, 젖당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당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배합함으로써, 아스트라갈린의 흡수성이 향상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4). 또, 뽕잎 추출 엑기스, 현미 엑기스 및 녹차 엑기스를 혼합한 블렌드 차 음료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229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34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545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14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82632호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한 음료 조성물로 하면, 생리 효과의 증강을 기대할 수 있지만,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떫은 맛을 갖는 점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고농도화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하면서도, 떫은 맛이 억제된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비중합체 카테킨류 0.030 ∼ 0.10 질량%
(B)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C) 아스트라갈린
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B)/(A)] 가 0.060 ∼ 2.0 이고,
성분 (C) 와 성분 (A) 의 질량비 [(C)/(A)] 가 1.0 × 10-3 ∼ 20 × 10-3 인,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한 음료 조성물에,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서, 떫은 맛 물질로서 알려진 아스트라갈린과, 특정한 알코올을, 각각 일정한 양비로 함유시킴으로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하면서도, 떫은 맛이 억제된 음료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하면서도, 떫은 맛이 억제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A) 로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A) 비중합체 카테킨류」란, 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및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비갈레이트체와,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갈레이트체를 합친 총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8 종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면 된다. 또한, 성분 (A) 는, 음식품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학 합성품이어도 되고,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A) 의 함유량이 0.030 ∼ 0.10 질량% 이지만,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강화 관점에서, 0.03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4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2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0.0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8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86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함유량의 범위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035 ∼ 0.0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5 ∼ 0.088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2 ∼ 0.086 질량% 이다. 또한, 성분 (A) 의 함유량은, 상기 8 종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합계량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또, 성분 (A) 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측정법 중, 측정 시료의 상황에 적절한 분석법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측정시에는 장치의 검출역(域)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시료를 동결 건조시키거나, 장치의 분리능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시료 중의 협잡물을 제거하거나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차 음료는, 성분 (A) 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의 비율 (갈레이트체율) 이 0 ∼ 8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 6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35 ∼ 60 질량% 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40 ∼ 55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갈레이트체율」이란, 비중합체 카테킨류 8 종에 대한 상기 갈레이트체 4 종의 질량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B) 로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한다. 이들 3 종의 알코올은, 단독으로 함유해도 되고, 2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함유해도 되지만,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0.002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3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6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075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 이취 (異臭) 억제의 관점에서, 0.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12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8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06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B) 의 함유량의 범위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0020 ∼ 0.2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0 ∼ 0.15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60 ∼ 0.12 질량%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75 ∼ 0.080 질량%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75 ∼ 0.060 질량%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성분 (B) 의 함유량은,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의 합계 함유량으로 한다. 또, 성분 (B) 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C) 로서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아스트라갈린」이란, 캠퍼롤의 3 위치에 글루코오스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성분 (C) 는, 원료에서 유래하는 것이어도 되고, 새로 첨가된 것이어도 된다. 또, 성분 (C) 는, 음식품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학 합성품이어도 되고,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이어도 된다. 성분 (C) 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Kaempferol 3-beta-D-glucopyranoside (시그마 알드리치 재팬 합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0.50 질량pp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0 질량p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90 질량pp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1 질량ppm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5 질량ppm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2.5 질량pp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그리고 20 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질량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0 질량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C) 의 함유량의 범위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50 ∼ 20 질량pp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 ∼ 15 질량ppm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0 ∼ 15 질량ppm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 ∼ 15 질량ppm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15 질량ppm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8.0 질량ppm 이다. 또한, 성분 (C) 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측정법 중, 측정 시료의 상황에 적절한 분석법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측정시에는 장치의 검출역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시료를 동결 건조시키거나, 장치의 분리능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시료 중의 협잡물을 제거하거나 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B)/(A)] 가 0.060 ∼ 2.0 이지만,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0.070 이상이 바람직하고, 0.0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1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이취 억제의 관점에서,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1.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2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질량비 [(B)/(A)] 의 범위로는, 바람직하게는 0.070 ∼ 1.8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0 ∼ 1.6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 1.4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 ∼ 1.2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 1.0 이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성분 (A) 와 성분 (C) 의 질량비 [(C)/(A)] 가 1.0 × 10-3 ∼ 20 × 10-3 이지만,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1.1 × 10-3 이상이 바람직하고, 1.3 × 10-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10-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8 × 10-3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 1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2 × 10-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질량비 [(C)/(A)] 의 범위로는, 바람직하게는 1.1 × 10-3 ∼ 18 × 10-3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0-3 ∼ 15 × 10-3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0-3 ∼ 12 × 10-3 이다. 또한, 질량비 [(C)/(A)] 는, 성분 (A) 와 성분 (C) 의 함유량의 단위를 일정하게 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원하는 바에 따라서,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 미네랄, 에스테르,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과즙 엑기스, 야채 엑기스, 화밀 엑기스, 품질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이어도 되고, 고형상이어도 되며, 적절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액상인 경우, 음료의 형태는, RTD (스트레이트 음료) 뿐만 아니라, 농축 환원 음료, 젤리상, 농축 액상, 슬러리상 등의 형태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편리성의 관점에서, RTD (스트레이트 음료) 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RTD」란,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음료를 말한다. 젤리상인 경우, 용기에 구비된 빨대나 스트로로 음료를 흡인할 수 있으면, 그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고형상인 경우, 상온 (20 ℃ ± 15 ℃) 에서 고체이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상, 과립상, 정상 (錠狀), 봉상, 판상, 블록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상 음료 조성물 중의 고형분량은 통상적으로 9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상이다. 또한, 이러한 고형분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질량% 여도 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고형분량」이란, 시료를 105 ℃ 의 전기 항온 건조기로 3 시간 건조시켜 휘발 물질을 제거한 잔분의 질량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농축물 또는 고형물의 형태인 경우, 전술한 성분 (A)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RTD (스트레이트 음료) 로 했을 때, 질량비 [(B)/(A)] 및 질량비 [(C)/(A)] 가 상기 요건을 만족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차 음료여도 되고, 산성 음료여도 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차 음료」란, Camellia 속의 차잎을 차 원료로서 포함하는 음료를 말한다.
Camellia 속의 차잎으로는, 예를 들어, C. sinensis. var. sinensis (야부키타종을 포함한다), C. sinensis. var. assamica 및 이것들의 잡종에서 선택되는 차잎 (Camellia sinensis) 을 들 수 있다. 차잎은, 그 가공 방법에 의해서, 불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로 분류할 수 있다. Camellia 속의 차잎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차잎은 가열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불발효차로는, 예를 들어, 전차 (煎茶), 심증전차 (深蒸煎茶), 호우지차, 번차 (番茶), 옥로, 카부세차, 연차, 부초차, 경차 (莖茶), 봉차 (棒茶), 아차 (芽茶) 등의 녹차를 들 수 있다. 또, 반발효차로는, 예를 들어, 철관음, 색종 (色種), 황금계, 무이암차 (武夷岩茶) 등의 우롱차를 들 수 있다. 또한, 발효차로는, 다질링, 아삼, 스리랑카 등의 홍차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하기 쉬운 점에서, 차 원료로서 불발효차 또는 반발효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발효차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Camellia 속의 차잎 이외의 차 원료로서, 곡물이나 Camellia 속 이외의 차잎을 사용해도 된다. 곡물로는, 예를 들어, 보리, 밀, 율무, 호밀, 귀리, 나맥 등의 보리 ; 현미 등의 쌀 ; 대두, 흑대두, 잠두콩, 강낭콩, 팥, 결명자, 광저기, 낙화생, 완두, 녹두 등의 콩 ; 소바, 옥수수, 흰깨, 검은깨, 조, 피, 옻, 키누아 등의 잡곡을 들 수 있다. 또, Camellia 속 이외의 차잎으로는, 예를 들어, 은행나무의 잎, 감의 잎, 비파의 잎, 뽕의 잎, 구기자나무의 잎, 두충나무의 잎, 소송채, 루이보스, 얼룩 조릿대, 삼백초, 돌외, 인동덩굴, 달맞이꽃, 긴병꽃풀 <학명:Glechoma hederacea subsp. grandis> , 차풀, 김네마·실베스타, 황기차 (호두과), 첨차 (장미과), 키다치 알로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캐모마일,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레몬 글래스, 레몬 필, 레몬 밤, 로즈 힙, 로즈메리 등의 허브도 사용할 수 있다. Camellia 속 이외의 차잎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하기 쉬운 점에서, 차 음료로는 녹차 음료 또는 우롱차 음료가 바람직하고, 녹차 음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차 음료가 녹차 음료인 경우, 모든 차 원료 중에서 녹차잎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녹차 음료가 보다 바람직하고, 차 원료로서 녹차잎만을 사용하는 녹차 음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니더 추출, 교반 추출 (배치 추출), 향류 추출 (드립 추출), 칼럼 추출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추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추출 방법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차 음료인 경우, pH (20 ℃) 는 통상적으로 5 ∼ 7 이지만, 풍미 밸런스의 관점에서, 5.1 이상이 바람직하고, 5.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6.7 이하가 바람직하고, 6.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pH 의 범위로는, 바람직하게는 5.1 ∼ 6.7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 6.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6.4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H 는, 20 ℃ 로 온도를 조정하여 pH 미터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산성 음료」란, pH (20 ℃) 가 2 이상 5 미만인 음료를 말한다. 산성 음료의 pH (20 ℃) 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이러한 pH 의 범위로는, 바람직하게는 2.5 ∼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4 이다. 이와 같은 산성 음료로서, 예를 들어, 탄산 가스 및/또는 산미료를 첨가함으로써 산성화한 음료, 과즙, 과실초 또는 곡물초를 첨가한 음료, 락트 성분을 비피더스균이나 락트산균 등으로 발효시킴으로써 산성화한 음료를 들 수 있다. 산미료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말산, 글루콘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 및/또는 그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산성 음료인 경우, 탄산 산성 음료여도 되고, 비탄산 산성 음료여도 되는데,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하기 쉬운 점에서, 비탄산 산성 음료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비탄산 산성 음료로서, 과즙 음료, 야채 음료, 스포츠 음료, 젤리 음료, 유청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스포츠 음료」란, 운동이나 일상 생활 등에서 발한 등에 의해서 없어진 수분, 전해질, 미네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청량 음료수이고, 나트륨 농도가 0.010 질량% 이상인 산성 음료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스포츠 음료인 경우, 음료 조성물 중의 성분 (D) 로서 나트륨 농도를 0.010 질량% 이상 함유한다. 스포츠 음료 중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떫은 맛 억제의 관점에서, 0.01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8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20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또 짠 맛의 관점에서, 0.0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6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5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D) 의 함유량의 범위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3 ∼ 0.08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 0.060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8 ∼ 0.055 질량%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0 ∼ 0.050 질량% 이다. 또한, 성분 (D) 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RTD 인 경우, 용기에 담긴 음료여도 된다. 용기로는 통상적인 포장 용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 용기 (이른바 PET 보틀), 금속캔, 금속박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복합된 종이 용기, 병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RTD 인 경우, 가열 살균제여도 된다. 가열 살균 방법으로는, 적용되어야 할 법규 (일본에 있어서는 식품 위생법) 에 정해진 조건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 음료를 용기 포장에 충전하고, 밀전 혹은 밀봉한 후 살균하거나, 또는 자기 온도계를 부착한 살균기 등으로 살균한 것 혹은 여과기 등으로 제균한 것을 자동적으로 용기 포장에 충전한 후, 밀전 혹은 밀봉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토르트 살균법, 고온 단시간 살균법 (HTST 법), 초고온 살균법 (UHT 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열 살균은, 용기 내의 중심부의 온도를 85 ℃ 에서 30 분간 가열하는 방법,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을 갖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0 치가 0.005 ∼ 40, 바람직하게는 0.006 ∼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 ∼ 30 이 되는 조건에서 가열 살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F0 치」란, 음료 조성물을 가열 살균한 경우의 가열 살균 효과를 평가하는 값으로서, 기준 온도 (121.1 ℃) 로 규격화된 경우의 가열 시간 (분) 에 상당한다. F0 치는, 용기 내 온도에 대한 치사율 (121.1 ℃ 에서 1) 에, 가열 시간 (분) 을 곱하여 산출된다. 치사율은 치사율표 (후지마키 마사오 등,「식품 공업」, 항성사 후생각 (恒星社厚生閣), 1985년, 1049 페이지) 로부터 구할 수 있다. F0 치를 산출하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면적 계산법, 공식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니가와 등《통조림 제조학》페이지 220, 항성사 후생각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F0 치를 소정의 값이 되도록 설정하려면, 예를 들어, 미리 얻은 치사율 곡선으로부터, 적당한 가열 온도·가열 시간을 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성분 (A), (B) 및 (C),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배합하고, 성분 (A) 함유량, 그리고 질량비 [(B)/(A)] 및 질량비 [(C)/(A)] 를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분석
순수로 용해 희석한 시료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형식 SCL-10AVP,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옥타데실기 도입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충전 칼럼 (L-칼럼 ODS, 4.6 ㎜φ × 250 ㎜ 입자경 5 ㎛ : 재단법인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제조) 을 장착하고, 칼럼 온도 35 ℃ 에서 그레이디언트법에 의해서 측정한다. 이동상 A 액은 아세트산을 0.1 ㏖/ℓ 함유하는 증류수 용액, B 액은 아세트산을 0.1 ㏖/ℓ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유속은 1 ㎖/분, 시료 주입량은 10 ㎕, UV 검출기 파장은 280 ㎚ 의 조건에서 행한다. 또한, 그레이디언트 조건은 아래와 같다.
농도 구배 조건 (체적%)
시간 A 액 농도 B 액 농도
0 분 97 % 3 %
5 분 97 % 3 %
37 분 80 % 20 %
43 분 80 % 20 %
43.5 분 0 % 100 %
48.5 분 0 % 100 %
49 분 97 % 3 %
60 분 97 % 3 %
2. 에탄올의 분석
에탄올의 분석은, 다음에 나타내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서 행한다.
분석 기기는, GC-14B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를 사용한다.
분석 기기의 장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검출기 : FID
·칼럼 : Gaskuropack55, 80 ∼ 100 mesh, φ3.2 ㎜ × 3.1 m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 시료 주입구 및 검출기 250 ℃, 칼럼 130 ℃
·가스 압력 : 헬륨 (캐리어 가스) 140 ㎪, 수소 60 ㎪, 공기 50 ㎪
·주입량 : 2 ㎕
아래의 순서로 분석용 시료를 조제한다.
검체 5 g 을 칭량하여 넣고, 이것에 물을 첨가하여 25 ㎖ 로 정용한다. 그 용액을 디스크 여과하고, 시료 용액으로 한다. 조제된 시료 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제공한다.
3.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의 분석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의 분석은, 다음에 나타내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서 행한다. 분석 기기는, GCMS-QP2020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을사용한다. 분석 기기의 장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검출기 : MS
·칼럼 : InertCap WAX1 HT (30 m (길이), 0.25 ㎜ (내경), 0.25 ㎛ (막 두께))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온도 : 40 ℃ (3 분) → 20 ℃/분 → 250 ℃ (10 분)
·칼럼 압력 : 정(定)유량 모드 (49 ㎪)
·칼럼 유량 : 1 ㎖/분 (He)
·주입구 온도 : 250 ℃
·주입 방식 : 스플리트 (5 : 1)
·검출기 : MS
·이온원 온도 : 230 ℃
·이온화 방법 : EI (70 eV)
·스캔 범위 : m/z 10 ∼ 800
·정량 이온 : 프로필렌글리콜 m/z 76
글리세린 m/z 61
아래의 순서로 분석용 시료를 조제한다.
검체 5 g 을 칭량하여 넣고, 이것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여 25 ㎖ 로 정용한다. 그 용액을 0.2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 l ㎕ 을 GC/MS 에 주입한다. 정량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THF 로 희석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용액을 조제한다. 그리고, 그 용액 표품의 피크 면적과 조제 농도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함유량을 구한다. 또한, 정량은 측정되는 정량 이온의 피크 면적을 사용한다.
4. 아스트라갈린의 분석
시료 용액을 필터 (0.45 ㎛) 로 여과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형식 LC-20 Prominence,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칼럼〔Cadenza CD-C18 (입자경 3 ㎛, 4.6 ㎜φ × 150 ㎜, Imtakt)〕을 장착하고, 칼럼 온도 40 ℃ 에서 그레이디언트법에 의해서 행하였다. 이동상 C 액은 아세트산을 0.05 질량% 함유하는 완충 용액, D 액은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유속은 1 ㎖/분, 시료 주입량은 10 ㎕, UV 검출기 파장은 360 ㎚ 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또한, 그레이디언트의 조건은, 아래와 같다.
농도 구배 조건 (체적%)
시간 (분) C 액 농도 D 액 농도
0 85 % 15 %
20 80 % 20 %
35 10 % 90 %
50 10 % 90 %
50.1 85 % 15 %
60 85 % 15 %
또, 아스트라갈린의 표준품을 사용하여 농도가 이미 알려진 용액을 조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제공함으로써 검량선을 작성하고, 아스트라갈린을 지표로 하여, 상기 시료 용액 중의 아스트라갈린의 정량을 행하였다.
5. pH 측정
검체 30 ㎖ 를 50 ㎖ 의 비커에 칭량하여 넣고, pH 미터 (HORIBA 컴팩트 pH 미터, 호리바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20 ℃ 로 온도를 조정하여 측정하였다.
6. 나트륨 이온의 측정
시료 2 g 에 10 % 염산 5 ㎖ 를 첨가하고, 수욕 상에서 증발 건고한다. 또한, 10 % 염산 5 ㎖ 를 첨가하고, 가온한 후, 전체량을 메스 플라스크에 여과하고, 물로 정용한다. 1 % 염산을 사용하여, 검량선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적당한 농도에 희석하고, 20000 ppm 의 스트론튬액 2.5 ㎖ 를 첨가하고, 정용한 것을 시험 용액으로 한다. 원자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시험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된 검량선으로부터 나트륨의 정량을 행한다.
·원자 흡광 광도계 : AA-7000 (시마즈 제작소 제조)
·프레임 : 공기-아세틸렌
·측정 파장 : 589.0 ㎚
제조예 1
차 추출액 I 의 제조
전차잎 (미야자키현산, 카고시마현산) 30 g 을 90 ℃ 의 열수 2000 g 에 투입하고, 3 분간 추출을 행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액온 20 ℃ 까지 냉각시키고, 차 추출액 I 을 얻었다. 얻어진 차 추출액 I 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함유량이 80 ㎎/100 ㎖였다. 또한, 아스트라갈린은 검출되지 않았다.
참고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차 추출액 I 과, 이온 교환수를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이어서 중조로 pH 가 5.8 이 되도록 조정하고, 이어서 이온 교환수로 전체량을 100 질량% 로 조정하여 녹차 음료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녹차 음료를 용량 200 ㎖ 의 PET 보틀에 충전하여 가열 살균하였다 (포스트믹스 방식). 살균 조건은, 85 ℃, 30 분 동안 행하고, F0 치는 0.0074 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4
또한, 차 추출물 II (Teavigo, 타이요 화학사 제조,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94 질량%, 갈레이트체율 100 질량%, 이하 동일) 를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을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아스트라갈린 시약 (시그마 알드리치 재팬 합동사 제조, Kaempferol 3-beta-D-glucopyranoside, 아스트라갈린 97 질량%, 이하 동일) 을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6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1
실시예 1 ∼ 6, 비교예 1 ∼ 5 및 참고예 1 에서 얻어진 각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의「떫은 맛」에 대해서 전문 패널 4 명이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관능 시험은, 다음의 순서로 행하였다. 먼저, 참고예 1 의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표 1 에 나타내는 양의 차 추출물 II 를 배합하여「떫은 맛」의 강도를 9 단계로 조정한「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전문 패널 4 명이 각 농도의「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표 1 에 나타내는 평점으로 할 것을 합의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평점의 수치가 높은「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부터 차례로 섭취하고,「떫은 맛」의 강도를 기억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각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섭취하여,「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하고,「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중에서「떫은 맛」이 가장 가까운 것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각 전문 패널이 결정한 평점에 기초하여, 협의에 의해서「0.5」단위로 최종 평점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평점은, 수치가 작을수록,「떫은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비교예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에탄올, 아스트라갈린에 의한 떫은 맛 개선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1 ∼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한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에탄올, 아스트라갈린에 의한 떫은 맛 개선 효과가 특이적으로 발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차 추출물 II 를 표 3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0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차 추출물 II 를 표 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3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3
차 추출물 II 를 표 5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차 추출물 II 를 표 5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14 ∼ 16
차 추출물 II 에 더하여, 추가로 차 추출물 III (카테킨 수화물, Cayman Chemical 사 제조., 카테킨 98 질량%, 갈레이트체율 0 질량%, 이하 동일) 을 배합하여 표 6 에 나타내는 갈레이트체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또, 관능 평가는,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행하였다. 분석 및 관능 평가의 결과를, 실시예 8, 비교예 6, 7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16, 18
차 추출물 II 에 더하여, 추가로 차 추출물 III 을 배합하여 표 6 에 나타내는 갈레이트체율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6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가열 살균 완료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가열 살균 완료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6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8, 비교예 6, 7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15, 17, 19
차 추출물 II 에 더하여, 추가로 차 추출물 III 을 배합하여 표 7 에 나타내는 갈레이트체율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7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가열 살균 완료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가열 살균 완료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7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8, 비교예 6, 7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7 ∼ 19 및 비교예 20
에탄올을 표 7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20, 21
에탄올을 표 8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10, 비교예 10 ∼ 12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8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22 ∼ 24
에탄올 대신에, 프로필렌글리콜을 표 9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에탄올 대신에, 에탄올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표 9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9 에 나타낸다.
비교예 21
프로필렌글리콜을 표 9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9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26 ∼ 28
에탄올 대신에, 글리세린을 표 10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10 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에탄올 대신에, 에탄올 및 글리세린을 표 10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10 에 나타낸다.
비교예 22
글리세린을 표 10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에 대해서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1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2, 비교예 1 ∼ 3 및 참고예 1 의 결과와 함께 표 10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참고예 2
시판 분말 음료 (포카리 스위트, 1 ℓ 용 분말, 오오츠카 제약 주식회사) 를 이온 교환수로 전체량이 1 ℓ 가 되도록 희석하여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비탄산 산성 음료를 용량 200 ㎖ 의 PET 보틀에 충전하고, 가열 살균하여 (포스트믹스 방식)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얻었다. 살균 조건은, 85 ℃, 30 분 동안 행하고, F0 치는 0.0074 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3
또한, 차 추출물 II 를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4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5
또한, 차 추출물 II 와, 프로필렌글리콜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6
또한, 차 추출물 II 와, 글리세린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7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또한, 차 추출물 II 와, 프로필렌글리콜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또한, 차 추출물 II 와, 글리세린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2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2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2
실시예 30 ∼ 32, 비교예 23 ∼ 27 및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각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의「떫은 맛」에 대해서 전문 패널 4 명이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관능 시험은, 다음의 순서로 행하였다. 먼저, 참고예 2 의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표 11 에 나타내는 양의 차 추출물 II 를 배합하여「떫은 맛」의 강도를 10 단계로 조정한「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전문 패널 4 명이 각 농도의「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표 11 에 나타내는 평점으로 할 것을 합의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평점의 수치가 높은「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부터 차례로 섭취하고,「떫은 맛」의 강도를 기억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각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섭취하여,「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하고,「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중에서「떫은 맛」이 가장 가까운 것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각 전문 패널이 결정한 평점에 기초하여, 협의에 의해서「0.5」단위로 최종 평점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또한, 평점은, 수치가 작을수록,「떫은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참고예 3, 4
산미료 (시트르산) 이외의 표 14 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이온 교환수로 배합하고, 이어서 산미료로 소정의 pH 가 되도록 조정한 후, 이온 교환수로 전체량을 100 질량% 로 조정하여 비탄산 산성 음료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비탄산 산성 음료를 용량 200 ㎖ 의 PET 보틀에 충전하고, 가열 살균하여 (포스트믹스 방식)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얻었다. 살균 조건은, 85 ℃, 30 분 동안 행하고, F0 치는 0.0074 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비교예 28
또한, 차 추출물 II 를 표 1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비교예 29
또한, 추출물 II 를 표 1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4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3 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4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4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4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3
실시예 33, 34, 비교예 28, 29 및 참고예 3, 4 에서 얻어진 각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의「떫은 맛」에 대해서 전문 패널 4 명이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관능 시험은, 다음의 순서로 행하였다. 먼저, 참고예 3 의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표 13 에 나타내는 양의 차 추출물 II 를 배합하여「떫은 맛」의 강도를 10 단계로 조정한「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전문 패널 4 명이 각 농도의「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표 13 에 나타내는 평점으로 할 것을 합의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평점의 수치가 높은「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부터 차례로 섭취하고,「떫은 맛」의 강도를 기억한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각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를 섭취하여,「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하고,「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중에서「떫은 맛」이 가장 가까운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각 전문 패널이 결정한 평점에 기초하여, 협의에 의해서「0.5」단위로 최종 평점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또한, 평점은, 수치가 작을수록,「떫은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실시예 35 ∼ 37
식염을 표 15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3 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비탄산 산성 음료에 대해서 실시예 33 과 동일하게 분석하고, 관능 평가 3 에 기초하여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실시예 33, 비교예 28 및 참고예 3 의 결과와 함께 표 1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참고예 5
산미료 이외의 표 17 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배합 후, 10 분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산미료로 pH 3.8 이 되도록 조정하고, 내열성 용기에 충전하여 젤리 음료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젤리 음료를 가열 살균 (85 ℃, 30 분, F0 치 : 0.0074) 하여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를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 에 나타낸다.
비교예 30
또한, 차 추출물 II 를 표 17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5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 에 나타낸다.
실시예 38
또한, 차 추출물 II 와, 에탄올과, 아스트라갈린 시약을 표 17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5 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서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에 대해서 참고예 5 와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 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4
실시예 38, 비교예 30 및 참고예 5 에서 얻어진 각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의「떫은 맛」에 대해서 전문 패널 4 명이 관능 시험을 행하였다. 관능 시험은, 다음의 순서로 행하였다. 먼저, 참고예 5 의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에 표 16 에 나타내는 양의 차 추출물 II 를 배합하여「떫은 맛」의 강도를 10 단계로 조정한「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전문 패널 4 명이 각 농도의「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에 대해서, 표 16 에 나타내는 평점으로 할 것을 합의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평점의 수치가 높은「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부터 차례로 섭취하고,「떫은 맛」의 강도를 기억하였다. 이어서, 각 전문 패널이 각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를 섭취하여,「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하고,「떫은 맛 표준 용기에 담긴 젤리 음료」중에서「떫은 맛」이 가장 가까운 것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각 전문 패널이 결정한 평점에 기초하여, 협의에 의해서「0.5」단위로 최종 평점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 에 나타낸다. 또한, 평점은, 수치가 작을수록,「떫은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표 2 ∼ 10, 12, 14, 15, 17 로부터,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서 아스트라갈린과, 특정한 알코올을, 각각 일정한 양비로 함유시킴으로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강화하면서도, 떫은 맛이 억제된 음료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비중합체 카테킨류 0.030 ∼ 0.10 질량%
    (B)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및
    (C) 아스트라갈린
    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B)/(A)] 가 0.060 ∼ 2.0 이고,
    성분 (C) 와 성분 (A) 의 질량비 [(C)/(A)] 가 1.0 × 10-3 ∼ 20 × 10-3 인, 음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0.045 ∼ 0.088 질량% 인, 음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함유량이 0.0020 ∼ 0.20 질량% 인, 음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함유량이 0.50 ∼ 20 질량ppm 인, 음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 음료 또는 산성 음료인, 음료 조성물.
KR1020217032686A 2019-03-13 2020-03-05 음료 조성물 KR102400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6442 2019-03-13
JP2019046442 2019-03-13
JPJP-P-2019-107100 2019-06-07
JP2019107100 2019-06-07
PCT/JP2020/009359 WO2020184368A1 (ja) 2019-03-13 2020-03-05 飲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198A true KR20210132198A (ko) 2021-11-03
KR102400682B1 KR102400682B1 (ko) 2022-05-20

Family

ID=7242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86A KR102400682B1 (ko) 2019-03-13 2020-03-05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82866B1 (ko)
KR (1) KR102400682B1 (ko)
CN (1) CN113573591A (ko)
TW (1) TWI825287B (ko)
WO (1) WO20201843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83A1 (ko) 2021-10-06 2023-04-13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41A (ja) 2001-03-30 2002-10-08 Sunstar Inc アストラガリン含有食品
JP2007282632A (ja) 2006-03-24 2007-11-01 Shimane Pref Gov 植物乾燥エキスの製造方法
JP2015122968A (ja) 2013-12-25 2015-07-06 キリン株式会社 エタノール含有茶飲料
JP2016123416A (ja) 2014-12-26 2016-07-11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の製造方法
JP2016154500A (ja) 2015-02-25 2016-09-01 キリン株式会社 優れた香味と旨味が持続する容器詰茶飲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9597B (zh) * 2005-11-14 2012-07-25 花王株式会社 液体调味剂
CN104886679A (zh) * 2014-03-06 2015-09-09 王跃进 柿叶茶果醋饮料
CN106455636A (zh) * 2014-06-25 2017-02-22 花王株式会社 容器装饮料
JP6777572B2 (ja) * 2017-03-23 2020-10-28 花王株式会社 茶飲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41A (ja) 2001-03-30 2002-10-08 Sunstar Inc アストラガリン含有食品
JP2007282632A (ja) 2006-03-24 2007-11-01 Shimane Pref Gov 植物乾燥エキスの製造方法
JP2015122968A (ja) 2013-12-25 2015-07-06 キリン株式会社 エタノール含有茶飲料
JP2016123416A (ja) 2014-12-26 2016-07-11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の製造方法
JP2016154500A (ja) 2015-02-25 2016-09-01 キリン株式会社 優れた香味と旨味が持続する容器詰茶飲料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83A1 (ko) 2021-10-06 2023-04-13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82866B1 (ja) 2020-11-11
CN113573591A (zh) 2021-10-29
JP2020198871A (ja) 2020-12-17
KR102400682B1 (ko) 2022-05-20
WO2020184368A1 (ja) 2020-09-17
TWI825287B (zh) 2023-12-11
TW202100022A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7755A (ko) 용기음료
JP2002238519A (ja) 飲 料
JP5216629B2 (ja) 容器詰飲料
JP6648347B2 (ja) 容器詰緑茶飲料
KR102400682B1 (ko) 음료 조성물
JP6496373B2 (ja) 飲料組成物
JP2018157792A (ja) 茶飲料
JP6212675B1 (ja) 茶飲料
JP6719436B2 (ja) 加熱殺菌済容器詰茶飲料
JP7323278B2 (ja) 茶飲料
KR102400684B1 (ko) 용기에 담긴 차 음료
JP6657461B1 (ja) 1−デオキシノジリマイシンを含む容器詰飲料
JP7208070B2 (ja) 容器詰茶飲料
TWI837324B (zh) 容器裝茶飲料
JP7030170B2 (ja) 茶飲料
JP2019080589A (ja) 飲料組成物
JP6785740B2 (ja) 茶飲料
JP6289773B1 (ja) 茶飲料
JP6745258B2 (ja) 飲料組成物
JP2010088396A (ja) 容器詰玄米茶飲料
JP2020054390A (ja) 容器詰緑茶飲料
JP2020191830A (ja) 飲料組成物
JP2019118288A (ja) 飲料組成物
JP2018134069A (ja) 茶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