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409A -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 Google Patents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409A
KR20210131409A KR1020217030946A KR20217030946A KR20210131409A KR 20210131409 A KR20210131409 A KR 20210131409A KR 1020217030946 A KR1020217030946 A KR 1020217030946A KR 20217030946 A KR20217030946 A KR 20217030946A KR 20210131409 A KR20210131409 A KR 2021013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combustion
air supply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051B1 (ko
Inventor
다카미치 마츠시타
미키오 가시와
노부츠구 단노
Original Assignee
에코 리서치 인스티튜트 엘티디.
닛타이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 리서치 인스티튜트 엘티디., 닛타이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코 리서치 인스티튜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3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23C6/04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with fuel supply in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03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comple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2Pneumatic feeding arrangements, i.e. by air bl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23L9/06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by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fire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06041Staged supply of oxid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19Mixing tubes and burner heads

Abstract

[과제] 미연분량 계측 장치 등의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연소실 내로의 공기의 분사 방향을 가변으로 하지 않고, 연소실 내의 피연소물을 효율적으로 회화할 수 있는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는 연료 공급 장치(10)와, 1차 연소실(20)과, 2차 연소실(50)과,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와, 사이클론 집진기(60)를 구비한다.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는 경사부(23a)가 형성되고, 경사부(23a)는 저부 공기 공급구(31)와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를 가진다.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과, 회송출 장치(35)를 구비한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은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측면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34a)가 복수 마련된다. 분체 연료(F)의 연소 중에 이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강한 풍압의 공기를 분사하고, 분체 연료(F)를 교반시켜 양호한 연소 상태를 얻는다.

Description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본 발명은 분체(粉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 장치, 및 그 연소 장치에 있어서의 연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분탄(微粉炭)을 연료로 하여 연소를 행하고, 연소열을 회수하여 발전 플랜트 등에 과열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보일러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화로와, 고체 연료와 연소용 공기를 혼합한 미분탄 혼합기를 화로 내로 분사하기 위해서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3대의 연소 버너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해당 보일러는 연소 버너보다 연직 방향의 하방에서 연소용 공기를 화로 내로 분사하는 노저(爐底) 공기 노즐과, 노저 공기 노즐에 의한 연소용 공기의 분사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수평 방향 조정 장치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보일러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화로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를 촉진하여 미연분(未燃分)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보일러는, 공보의 단락 0027이나 0051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연료로서 주로 석탄을 분쇄한 미분탄을 미분 연료(고체 연료)로서 이용하고 있다.
한편으로, 본원 발명자 등은,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탄화 연료 제조 장치 및 탄화 연료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주로 재이용을 위해서 회수된 합성 수지 등을 원료로 하여 질 높은 탄화 연료를 제조하는 것을 행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탄화 연료 제조 장치 및 탄화 연료 제조 방법에 의하면, 회수된 합성 수지의 질이 나빠서, 재생에 적합하지 않은 합성 수지라도, 석탄에 가까운 칼로리를 가지는 탄화 연료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수되었지만 재이용이 어려운 합성 수지나, 매립 처분밖에 할 수 없는 합성 수지에 대해서도, 질 높은 연료로서 재생할 수 있으므로, 합성 수지의 재자원화와 매립 처분장의 부담 경감 등의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45976호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공보 WO2008/074189호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보일러는, 종장(縱長)의 화로에 있어서, 세로 방향에 3개소의 연소 버너를 설치하여, 미분탄이 화로 내에서 연소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미연(未燃)물은 화로의 저부에 퇴적된다.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이 화로의 저부에 퇴적된 미분탄에 대해서, 노저 공기 노즐로부터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여, 노저 내의 미연물의 소각을 행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보일러에서는, 해당 공보의 도 9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노저에 재나 미연분을 저장하는 호퍼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보일러에서는, 이 호퍼에 저장된 재나 미연분을 호퍼 저부에 설치한 미연분량 계측 장치와 미연분 분석 장치에서 분석하여, 노저 공기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여, 미연분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이, 미연분량 계측 장치나 미연분 분석 장치, 혹은 공기 노즐의 분사 방향을 가변으로 하는 구성은, 대형의 플랜트이면, 기술적 또는 코스트의 면에서 대응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소형의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설치 코스트가 커진다. 또, 이들 계측 장치나 노즐의 가변 기구에 대해서는, 그날그날의 메인터넌스도 필요하여, 런닝 코스트도 상승한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미연분량 계측 장치나 미연분 분석 장치를 마련하지 않고, 또, 연소실 내로의 공기의 분사 방향을 가변으로 하지 않고, 연소실 내의 피연소물을 효율적으로 회화(灰化: 태워서 재로 만듦)시킬 수 있는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는, 분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 장치로서,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1차 연소실과,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연소실은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구와, 내부의 상기 분체 연료에 착화(着火)하는 착화 버너가 마련되고, 상기 1차 연소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저부 공기 공급구와, 상기 경사부의 하방 위치에 마련된 회출구(灰出口)와. 통 모양이고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단이 상기 회출구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연소실에는, 내부를 가열하여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연소 가스에 착화하는 2차 버너와, 내부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구가 마련되고,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2차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연료 공급 장치, 상기 착화 버너, 상기 2차 버너,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소정량 퇴적시키고,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에 상기 착화 버너에 의해서 착화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2차 버너를 작동시켜 상기 2차 연소실 내를 가열하여,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도 적은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하여 상기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버너로서 작동시키고,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및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상기 가연성 가스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양의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서는, 퇴적된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1차 연소실에 고정된 1차 공기 공급구,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있고, 1차 공기 공급구, 저부 공기 공급구뿐만 아니라,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도 공기를 분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분체 연료의 완전 연소를 행할 수 있으므로, 미연 성분의 분석이나 1차 공기 공급 노즐의 각도 등의 변경이 불필요해진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서는, 상기 1차 연소실 내의 상기 분체 연료의 욱화 연소 및 회화를 행할 때,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 분체 연료의 성분에 따라서는, 1차 연소실 내의 분체 연료의 욱화(
Figure pct00001
: 불이 일어남) 연소 및 회화를 행할 때, 1차 연소실 및 2차 연소실 내에서 흰 연기가 발생하여, 2차 연소실보다도 하류에 설치되는 사이클론 집진기 및 버그 필터 등의 장치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원 발명자 등이 열심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욱화 연소 및 회화를 행할 때 흰 연기가 발생했을 경우, 조연(助燃) 버너나 2차 버너를 이용하여 1차 연소실 및 2차 연소실 내를 가열하는 것 같은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이 흰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지견 했다. 따라서, 1차 연소실 내의 분체 연료의 욱화 연소 및 회화를 행할 때, 1차 연소실 및 2차 연소실 내에서 흰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면 된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및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분체 연료를 교반 가능한 분사량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해당 제어에 의해,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인 공기에 의해 분체 연료가 교반되므로, 분체 연료가 노저의 벽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체 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용 호퍼와, 상기 연료용 호퍼 내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적어도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호퍼용 분사 노즐과,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분체 연료를 하방으로 송출하는 연료 송출 장치와, 상기 분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용 블로어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할 때, 상기 연료용 블로어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료 송출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에서 상기 분체 연료와 상기 연료용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상기 1차 연소실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해당 구성에 의하면,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연료용 호퍼 내의 분체 연료를 연료 송출 장치로 원활히 송출할 수 있어, 안정되게 혼합관으로부터 1차 연소실 내로 분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방법은,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의해서 분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 방법으로서, 연료 투입 행정, 착화 행정, 가스화 연소 행정, 직접 연소 행정, 및 욱화·회화 행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체 연료 연소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1차 연소실과,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연소실은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구와, 내부의 상기 분체 연료에 착화하는 착화 버너가 마련되고, 상기 1차 연소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저부 공기 공급구와, 상기 경사부의 하방 위치에 마련된 회출구와, 통 모양이고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단이 상기 회출구를 향해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연소실에는, 내부를 가열하여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연소 가스에 착화하는 2차 버너와, 내부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구가 마련되고,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2차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연료 공급 장치, 상기 착화 버너, 상기 2차 버너,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연료 투입 행정에서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소정량 퇴적시키고, 상기 착화 행정에서는, 상기 2차 버너에 의해서 상기 2차 연소실 내를 가열하여, 상기 2차 연소실 내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에 상기 착화 버너에 의해서 착화를 행하고, 상기 가스화 연소 행정에서는,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도 적은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해 상기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가연성 가스를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도입하고,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고,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서는,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버너로서 작동시키고,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도입하고,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고, 상기 욱화·회화 행정에서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잔존하는 상기 분체 연료를 욱화 연소시켜 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방법은, 연료 투입 행정, 착화 행정, 가스화 연소 행정, 직접 연소 행정, 및 욱화·회화 행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스화 연소 행정에 있어서, 1차 공기 공급구,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기를 공급하여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있고, 1차 공기 공급구, 저부 공기 공급구뿐만 아니라,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도 공기를 분사하고 있다. 따라서,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저부의 내부에 퇴적된 분체 연료에 대해서, 공기가 분사되므로, 종래의 소각 방법에 비해, 분체 연료를 확실히 연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방법에서는, 상기 욱화·회화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켜도 된다. 해당 처리에 의해, 분체 연료의 욱화·회화시 흰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화 연소 행정, 및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분체 연료를 교반 가능한 분사량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해당 제어에 의해, 1차 연소실의 저부에 퇴적된 분체 연료를 교반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소각 방법에 비해, 분체 연료를 확실히 연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용 호퍼와, 상기 연료용 호퍼 내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적어도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호퍼용 분사 노즐과,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분체 연료를 하방으로 송출하는 연료 송출 장치와, 상기 분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용 블로어를 가지고, 상기 연료 투입 행정 및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연료용 블로어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료 송출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에서 상기 분체 연료와 상기 연료용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상기 1차 연소실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해당 제어에 의하면, 연료 투입 행정 및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연료용 호퍼 내의 분체 연료를 연료 송출 장치로 원활히 송출할 수 있어, 안정되게 혼합관으로부터 1차 연소실 내로 분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수된 합성 수지나 폐플라스틱 등을 원료로 하는 탄화 연료와 같은 분체 연료라도, 양호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의 1차 연소실의 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인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분체 연료 연소 방법으로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의 1차 연소실의 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체 연료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탄화 연료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는 분말 상태의 차(char)를 이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이, 분체 연료(F)에 의한 발전 시스템(2)에 이용되는 연소 장치이다. 발전 시스템(2)은 분체 연료 연소 장치(1)에 더하여, 보일러(3), 집진 장치(4), 발전 장치(5), 연돌(煙突: 굴뚝(6) 및 이것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연료 연소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이, 연료 공급 장치(10)와, 1차 연소실(20)과, 2차 연소실(50)과,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와, 사이클론 집진기(60)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클론 집진기(60)의 출구는 보일러(3)에 접속되어 있다.
1차 연소실(20)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이고, 그 상방에 위치하는 천정부(21)와, 천정부(21)의 하방에 위치하는 몸통부(22)와, 몸통부(22)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천정부(21)에는, 1차 연소실(20) 내에서 발생한 가연성 가스 혹은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1차 배기구(24)가 마련되어 있다. 또, 1차 배기구(24)에는, 1차 연소실(20) 내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덧붙여, 1차 배기구(24)는, 도 1과 같이, 천정부(21)의 천판(天板)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몸통부(22)에는 연료 공급 장치(1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연료 공급 장치(10)는 분체 연료(F)가 투입되는 연료용 호퍼(11)와, 분체 연료(F)와, 연소용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관(12)과, 연료용 호퍼(11)에 투입된 분체 연료(F)를 임의의 공급량으로 혼합관(12)에 공급하는 연료 송출 장치(13)와, 연소용 공기를 혼합관(12)에 공급하는 연료용 블로어(14)와, 혼합관(12)의 선단부에 있는 버너구(15)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용 호퍼(11)에는, 그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호퍼용 분사 노즐(16)이 마련되어 있다. 호퍼용 분사 노즐(16)은 원통 모양의 부재이며, 상하 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측면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16a)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호퍼용 분사 노즐(16)의 하단부는, 연료용 호퍼(11)의 개구부(11a)를 향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 호퍼용 분사 노즐(16)에는, 에어 컴프레서(70), 연료용 전자(電磁) 밸브(17) 및 연료용 공기 공급관(16b)으로 이루어지는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18)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공급 장치(10)의 연료 송출 장치(13)는, 원통 모양의 케이스(13a)의 내부에서 로터리 밸브(13b)가 회전하여 분체 연료(F)의 송출을 행한다. 연료의 시간당 송출량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인버터 제어하여, 로터리 밸브(13b)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연료 공급 장치(10)의 연료용 블로어(14)도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인버터 제어함으로써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연료 송출 장치(13)의 분체 연료(F)의 송출량과, 연료용 블로어(14)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버너구(15)로부터 취출(吹出)되는 연료의 공연비를 변경할 수 있다.
연료 공급 장치(10)는 1차 연소실(20) 내에서 연소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버너구(15)로부터 분체 연료(F)와 연소용 공기가 1차 연소실(20) 내에 공급되면, 버너구(15)의 근방에서 분체 연료(F)가 착화하고, 그 다음은 버너로서 연소가 행해진다.
또, 몸통부(22)의 둘레벽에는, 1차 연소실(20) 내에 1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구(26)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 1차 공기 공급구(26)에는 몸통부(22)의 외측에 마련된 1차 공기 공급 장치인 1차 공기용 블로어(27)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또, 몸통부(22)의 상방 위치에는, 수증기 도입구(28) 및 벤트(vent) 가스 도입구(29)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도입구로부터는, 필요에 따라서 1차 연소실(20) 내에 수증기 및 벤트 가스를 도입할 수 있다. 수증기로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연료 제조 장치에 의한 연료 제조 시에 회수된 냄새 성분을 함유하는 수증기 등을 도입 가능하다. 벤트 가스로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연료 제조 장치에 의한 연료 제조 시에 회수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몸통부(22)에는, 1차 연소실(20) 내의 연소를 보조하는 조연 버너(30)와, 이 조연 버너(30)에 공기를 공급하는 조연용 전자(電磁) 밸브(30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연 버너(30)에는, 연료로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연료 제조 장치에 의한 연료 제조 시에 회수된 벤트 오일 등이 이용된다.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는, 몸통부(22)의 벽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23a)가 형성되고, 경사부(23a)의 하방에는 회출구(23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23a)에는 내부에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는 저부 공기 공급구(31)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 저부 공기 공급구(31)에는, 1차 공기용 블로어(27)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또, 저부(23)에는, 경사부(23a)의 내부에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와, 저부(23) 내에 투입된 분체 연료(F)에 착화하는 착화 버너(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착화 버너(33)에서 사용되는 연료는, 등유 혹은 중유 등이 이용된다.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과, 회송출 장치(35)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부재이고, 경사부(23a)의 거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은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측면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34a)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의 하단부는, 회출구(23b)를 향해서 마련되어 있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에는, 분사 공기 공급 장치(36)로서, 에어 컴프레서(70) 및 저부용 전자 밸브(37), 및 저부 공기 공급관(38)이 접속되어 있다. 이 분사 공기 공급 장치(36)로부터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 분사용 공기가 공급된다.
회송출 장치(35)는 원통 모양의 케이스(35a)의 내부에서 로터리 밸브(35b)가 회전하여 재의 송출을 행한다. 또, 회송출 장치(35)에는, 케이스(35a)의 하방 부분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 노즐(39)이 마련되어 있다. 이 살수 노즐(39)로부터 물이 분사되면, 케이스(35a) 내의 재가 냉각됨과 아울러, 재가 물에 의해서 집결되어, 주위로 비산(飛散)되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한다.
회출구(23b)의 하방에는, 회받이 용기(40)가 배치되어 있어, 회출구(23b)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모아둘 수 있다. 이 회받이 용기(40)는 포크리프트 등의 이동 수단에 의해, 회출구(23b)의 하방 위치로부터 재의 회수 장소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체 연료 연소 장치(1)에는, 그 외에, 조연 버너(30)에 연료인 벤트 오일을 공급하는 벤트 오일 탱크(71), 살수 노즐(39)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탱크(72) 등이 마련되어 있다.
2차 연소실(50)은 원통 모양의 연소실이며, 1차 연소실(20)의 연소 가스가 도입되는 1차 배기구(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1차 배기구(24)의 접속부 근방에는, 연소 가스에 착화를 행하는 2차 버너(51)가 마련되어 있다. 또, 2차 연소실(50)의 둘레벽에는, 2차 연소를 행하게 하기 위한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구(52)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 2차 공기 공급구(52)에는, 2차 공기 공급 장치인 2차 공기용 블로어(53)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2차 연소실(50)의 하류 측에는 2차 배기구(54)가 마련되고, 사이클론 집진기(60)에 접속되어 있다. 이 2차 배기구(54)에는, 2차 연소실(50)의 연소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센서(55)가 마련되어 있다. 또, 사이클론 집진기(60)의 하방에는, 사이클론용 회수 장치(61)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클론용 회수 장치(61)는 로터리 밸브(62)와, 스크류 컨베이어(6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사이클론용 회수 장치(61)에 의해서, 사이클론 집진기(60)에서 회수된 분진은, 재차 1차 연소실(20) 내로 되돌려져 연소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발전 시스템(2)에 있어서의 보일러(3)는, 사이클론 집진기(60)에 의해서 집진 처리가 행해진 배기 가스의 열로 과열 증기나 포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일러(3)는 약 600℃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회수를 행하여, 배기 가스의 출구 온도를 약 200℃까지 하강시키고 있다.
발전 장치(5)는 보일러(3)에 의해서 발생한 증기로 도시하지 않은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는 장치이다. 이 발전 장치(5)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보일러(3)에 의해서 발생한 증기는, 이와 같이 발전 장치(5)에 이용되는 것 외, 난방 설비 등의 부대 설비에도 이용할 수도 있다.
보일러(3)의 하류 측에는 집진 장치(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집진 장치(4)는, 일반적으로 넓게 이용되고 있는 버그 필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버그 필터의 앞에 가스의 온도를 강하시키는 장치 등도 필요에 따라서 설치한다. 그 외, 집진 장치(4)로서는, 원심식 집진기, 전기식 집진기, 혹은 중력식 집진 장치 등의 다른 집진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발전 시스템(2)의 규모나 연소시키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집진 장치(4) 자체를 생략할 수 있다.
연돌(6)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팬이 마련되어 있고,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로부터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연돌(6)까지 흡인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 흡인 팬도 인버터 제어에 의해서 구동되며, 제어 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회전수가 제어된다.
제어 장치(7)는, 이른바 제어반으로 불리는 것이며, 각종 조작 스위치와, 각 장치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와, 각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다(각각 도시 생략). 제어 장치(7)의 컴퓨터는, CPU, 기억 장치, 통신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고(각각 도시 생략), 기억 장치에는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2)의 운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의 연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 방법은, 연료 투입 행정, 착화 행정, 가스화 연소 행정, 직접 연소 행정, 및 욱화·회화 행정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 행정은, 제어 장치(7)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 방법에서는, 우선 연료 투입 행정이 행해진다. 연료 투입 행정에 있어서는, 연료 공급 장치(10)를 이용하여 1차 연소실(20) 내에 분체 연료(F)를 소정량 퇴적시킨다. 분체 연료(F)의 양은, 1차 연소실(20)의 약 1/3의 용적이 채워지는 정도로 하고 있다. 이 소정량으로서는, 분체 연료 연소 장치(1)의 운전 효율을 고려하면, 1차 연소실(20)의 약 1/4~1/2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분체 연료(F)의 성질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연료 투입 행정에 있어서는, 우선, 연료 공급 장치(10)의 연료용 호퍼(11)에 분체 연료(F)를 투입한 상태에서 연료 공급 장치(10)를 시동시킨다. 이 분체 연료(F)의 연료용 호퍼(11)로의 투입은,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해도 되고, 컨베이어 등을 수동으로 조작해서 행해도 된다.
연료 공급 장치(10)가 제어 장치(7)에 의해 시동되면, 로터리 밸브(13b)가 회전하여, 연료용 호퍼(11) 내의 분체 연료(F)가 로터리 밸브(13b)에 의해서 케이스(13a)의 하방으로 반송된다. 이 때, 연료용 호퍼(11)에서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18)로부터 호퍼용 분사 노즐(16)로 분사용 공기가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연료용 호퍼(11) 내의 분체 연료(F)가 브릿지 등을 일으키는 일 없이 로터리 밸브(13b)에 의해서 케이스(13a)의 하방으로 반송된다.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18)를 작동시키는 타이밍은, 분체 연료(F)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10분마다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18)를 작동시켜도 되고, 연료용 호퍼(11)에 분체 연료(F)를 추가할 때마다 작동시켜도 된다.
한편으로, 연료용 블로어(14)의 운전도 개시되어, 혼합관(12)에 공기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혼합관(12)의 내부에서 분체 연료(F)와 공급된 공기가 혼합되어, 버너구(15)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방출된다.
이 때, 1차 연소실(20) 내에서는 착화 버너(33)나 조연 버너(30)는 작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 공급 장치(10)로부터 방출된 분체 연료(F)는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 퇴적된다. 이 연료 공급 장치(10)의 운전을 1차 연소실(20)의 약 1/3의 용적이 채워질 때까지 계속하고, 소정의 양까지 분체 연료(F)가 공급된 후, 연료 공급 장치(10)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에 착화 행정이 행해진다. 착화 행정에 있어서는, 우선 2차 연소실(50)의 2차 버너(51)의 연소를 개시하여, 2차 연소실(50)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2차 연소실(50)의 온도가 소정 온도(800℃ 등)가 된 후, 착화 버너(33)를 작동시켜 1차 연소실(20) 내에 퇴적되어 있는 분체 연료(F)에 착화한다. 이 때, 제1 온도 센서(25)에 의해 1차 연소실(20) 내에 있어서의 퇴적된 분체 연료(F)로의 착화가 확인되었을 때는, 착화 버너(33)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가스화 연소 행정에 대해 설명한다. 가스화 연소 행정에서는, 1차 연소실(20) 내에서, 연료 투입 행정에서 투입된 분체 연료(F)의 일부가 연소되어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1차 연소실(20)에는, 1차 공기용 블로어(27), 1차 공기 공급구(26) 및 저부 공기 공급구(31)로부터 1차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가스화 연소 행정에 있어서, 1차 연소실(20) 내에 도입되는 1차 연소용 공기는, 분체 연료(F)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도 적은 공기량이 공급된다. 따라서, 1차 연소실(20) 내에서는, 분체 연료(F)의 일부가 연소되어, 주위의 분체 연료(F)를 가열하면서 조금씩 연소 범위를 넓혀 가기 때문에, 분체 연료(F)로부터 가연성 가스가 발생한다.
이 때,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의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는 단속적으로 공기가 1차 연소실(20) 내에 공급된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는, 상하 단부 및 분사구(34a)로부터 공기가 분사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미소의 공기량의 분사를 행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분사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5분간은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의 주위의 분체 연료(F)가 풍압에 의해 이동하지 않는 양의 공기를 분사하고, 5분마다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의 주위의 분체 연료(F)가 교반 가능한 세기로 공기의 분사를 행한다.
혹은, 5분마다와 같은 정기적인 분사뿐만 아니라, 통상은 약한 풍압으로의 공기의 분사를 행하고, 1차 연소실(20) 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가 되었을 때 분체 연료(F)가 교반되는 세기로 공기의 분사를 행해도 된다. 이 단속적인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의 상하의 개구 부분, 및 측면에 마련된 분사구(34a)로부터의 공기의 분사에 의해,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 퇴적되어 있는 분체 연료(F)가 교반되어 양호한 연소가 행해진다.
가스화 연소 행정에 있어서, 가열된 2차 연소실(50) 내에 1차 연소실(20)로부터의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면, 2차 버너(51)에 의해서 가연성 가스가 착화하여, 2차 연소실(50) 내에서 완전 연소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차 연소실(50) 내의 연소 온도가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이 되도록 제어를 행하고 있다. 덧붙여, 2차 버너(51)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작동을 정지하지만, 그 후도 2차 연소실(50) 내에서는 1차 연소실(20)로부터의 가연성 가스에 의해서 연소가 계속된다.
이 가스화 연소 행정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2차 연소실(50) 내의 연소 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2차 연소실(50) 내의 연소 온도의 제어는, 2차 공기용 블로어(53)에 의해 가연성 가스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일정량의 2차 공기를 공급한 상태에서, 1차 공기용 블로어(27)에 의한 1차 공기의 양의 조절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 때, 조연 버너(30)에 의한 연소를 제어하여 2차 연소실(50) 내의 연소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 수증기 도입구(28)로부터의 수증기의 공급, 및 벤트 가스 도입구(29)로부터의 벤트 가스의 도입이 있었을 경우에도, 1차 공기용 블로어(27)에 의한 1차 공기의 양의 조절로 2차 연소실(50) 내의 연소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2차 연소실(50) 내에서 완전 연소된 후의 배기 가스는, 2차 배기구(54)로부터 배출되어 사이클론 집진기(60)를 거쳐 보일러(3)에 도입된다. 사이클론 집진기(60)에서는, 배기 가스 중의 분진을 분리하여 사이클론 집진기(60)의 저부에 낙하시킨다. 이 저부로 낙하된 분진은, 사이클론용 회수 장치(61)의 로터리 밸브(62) 및 스크류 컨베이어(63)에 의해서, 1차 연소실(20) 내로 되돌려져 연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분진이 제거된 배기 가스는, 2차 배기구(54)에 있어서는 고온이지만, 보일러(3)에 의해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내려가, 집진 장치(4) 및 연돌(6)을 통해서 외기로 방출된다.
보일러(3)에서는, 연소 후의 배기 가스의 열에 의해서 증기가 생성되고, 이 증기를 이용하연 발전 장치(5)에 의해 발전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체 연료(F)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탄화 연료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회수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는 차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전 장치(5)에서는, 연료인 분체 연료(F)는 회수 플라스틱이 원료이며, 그 회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환경 부하가 작은 발전을 행할 수 있다.
이 가스화 연소 행정을 소정 시간 계속하면, 1차 연소실(20) 내에 퇴적된 분체 연료(F)가 가스화 연소로부터 직접 연소로 서서히 전환된다. 이 연소 상태의 전환은, 1차 연소실(20) 내의 온도와, 2차 연소실(50) 내의 온도 조건에 의해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1차 연소실(20) 내의 온도가 현상 유지나 상승 경향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2차 연소실(50)의 온도가 하강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에서 가스화 연소로부터 직접 연소로 서서히 전환되는 것을 검지한다. 제어 장치(7)의 제어에 의해, 2차 연소실(50)의 연소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1차 공기용 블로어(27)에 의한 1차 공기의 양의 조절을 행하고 있다.
1차 연소실(20) 내에서의 분체 연료(F)의 연소가 진행되면, 분체 연료(F)가 서서히 줄어 가기 때문에, 제어 장치(7)는 가연성 가스를 늘리기 위해서 1차 공기용 블로어(27)의 회전수를 높게 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가 진행되면, 1차 연소실(20) 내에서 감소한 분체 연료(F)의 양과, 증가한 1차 공기의 양이 적정한 공연비에 가까워져, 완전 연소에 가까워져 가기 때문에, 2차 연소실(50)로 이송되는 가연성 가스의 양이 줄어, 2차 연소실(50) 내의 온도 저하가 시작된다. 이러한 2차 연소실(50) 내의 온도 저하가 검지되면, 제어 장치(7)는 연소 상태가 전환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 방법에 있어서는, 가스화 연소 행정이 종료되면 직접 연소 행정으로 이행한다. 직접 연소 행정에서는,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 퇴적한 분체 연료(F)가 직접 연소에 의해 연소를 계속한다. 이 때, 저부 공기 공급구(31)로부터 공기가 공급됨과 아울러,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도 단속적으로 공기가 분사되고 있다.
또,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는, 연료 공급 장치(10)로부터 분체 연료(F)의 공급이 행해진다. 연료 공급 장치(10)로부터 분체 연료(F)가 공급되면, 1차 연소실(20) 내는 분체 연료(F)의 착화 온도를 초과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버너구(15)로부터 분사된 분체 연료(F)가 착화되어, 연속하여 연소를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는, 연료 공급 장치(10)는 분체 연료용 버너로서 작동한다.
연료 공급 장치(10)로부터 분사된 분체 연료(F)는, 이와 같이 연소하면서 1차 연소실(20) 내에 공급되고, 연소된 성분은 연소 가스로서 2차 연소실(50)에 배출되고, 연소가 다 되지 않은 부분은 1차 연소실(20) 내에 연소하면서 퇴적된다. 또, 1차 연소실(20) 내에 공급된 분체 연료(F)는, 1차 공기 공급구(26) 및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에 의해서 연소가 계속되어, 서서히 회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연소 방법에 있어서는, 직접 연소 행정이 종료되면 욱화·회화 행정으로 이행한다. 직접 연소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 연료 공급 장치(10)에 의한 분체 연료(F)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1차 연소실(20) 내에서의 연소는,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 퇴적되는 분체 연료(F)만이 되고, 직접 연소로부터 서서히 욱화 연소로 이행하여, 욱화 연소가 계속되면 분체 연료(F)는 서서히 회화된다.
이 때,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의 공기의 분사를 정지시켜, 1차 공기 공급구(26) 및 저부 공기 공급구(31)로부터의 공기의 공급만을 행한다. 이와 같이,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의 공기의 분사를 정지시킴으로써, 2차 연소실(5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흰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욱화·회화 행정에 있어서, 분체 연료(F)가 욱화 연소로 이행함으로써, 잔존하는 분체 연료(F)가 서서히 회화되어 최종적으로 거의 재가 된다. 1차 연소실(20) 내의 분체 연료(F)가 회화된 것은, 1차 연소실(20) 내의 온도를 제1 온도 센서(25)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회화된 분체 연료(F)의 재는,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의 회송출 장치(35)에 의해서 1차 연소실(20)의 외부로 송출된다. 회송출 장치(35)에 있어서는, 로터리 밸브(35b)를 회전시켜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에 있는 재를 회출구(23b)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그 때, 단속적으로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로부터 공기가 강하게 분사되어, 저부(23)에 퇴적되는 재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킨다.
회출구(23b)로부터 배출된 재에는, 케이스(35a)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 살수 노즐(39)로부터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케이스(35a) 내의 재의 온도가 저하됨과 아울러 물에 의해서 재가 집결되어, 주위로 비산되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한다. 회출구(23b)의 하방에는, 회받이 용기(40)가 배치되어 있어, 회출구(23b)로부터 배출되는 재를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포크리프트 등으로 재의 회수 장소로 운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2)은, 고정된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 및 저부 공기 공급구(31)로부터의 1차 공기의 공급에 의해서, 분체 연료(F)의 완전 연소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과 같이, 미연 성분의 분석을 행할 필요가 없고, 1차 공기를 공급할 때 각도를 변화시킬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에서는, 공기 공급 회출 장치(32)의 저부 공기 분사 노즐(34)에 의해서, 1차 연소실(20)의 저부(23)의 분체 연료(F)에 단속적으로 공기를 분사하고 있기 때문에, 분체 연료(F)가 노저에 퇴적되지 않고, 확실히 연소·회화되어, 1차 연소실(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체 연료 연소 장치(1)는, 분체 연료(F)를 확실히 연소시켜, 발전 장치(5) 등에 의한 에너지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1 … 분체 연료 연소 장치 2 … 발전 시스템
3 … 보일러 4 … 집진 장치
5 … 발전 장치 6 … 연돌(굴뚝)
7 … 제어 장치 10 … 연료 공급 장치
11 … 연료용 호퍼 11a … 개구부
12 … 혼합관 13 … 연료 송출 장치
13a … 케이스 13b … 로터리 밸브
14 … 연료용 블로어 15 … 버너구
16 … 호퍼용 분사 노즐 16a … 분사구
17 … 연료용 전자 밸브 18 …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
20 … 1차 연소실 21 … 천정부
22 … 몸통부 23 … 저부
23a… 경사부 23b … 회출구
24 … 1차 배기구 25 … 제1 온도 센서
26 … 1차 공기 공급구 27 … 1차 공기용 블로어
28 … 수증기 도입구 29 … 벤트 가스 도입구
30 … 조연 버너 31 … 저부 공기 공급구
32 … 공기 공급 회출 장치 33 … 착화 버너
34 … 저부 공기 분사 노즐 34a … 분사구
35 … 회송출 장치 35a … 케이스
35b … 로터리 밸브 36 … 분사 공기 공급 장치
37 … 저부용 전자 밸브 38 … 저부 공기 공급관
39 … 살수 노즐 40 … 회받이 용기
50 … 2차 연소실 51 … 2차 버너
52 … 2차 공기 공급구 53 … 2차 공기용 블로어
54 … 2차 배기구 55 … 제2 온도 센서
60 … 사이클론 집진기 61 … 사이클론용 회수 장치
62 … 로터리 밸브 63 … 스크류 컨베이어
70 … 에어 컴프레서 71 … 벤트 오일 탱크
72 … 워터 탱크

Claims (8)

  1. 분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 장치로서,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1차 연소실과,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연소실은,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구와, 내부의 상기 분체 연료에 착화하는 착화 버너가 마련되고,
    상기 1차 연소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저부 공기 공급구와, 상기 경사부의 하방 위치에 마련된 회출구와, 통 모양이고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단이 상기 회출구를 향해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연소실에는, 내부를 가열하여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연소 가스에 착화하는 2차 버너와, 내부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구가 마련되고,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2차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연료 공급 장치, 상기 착화 버너, 상기 2차 버너,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소정량 퇴적시키고,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에 상기 착화 버너에 의해서 착화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2차 버너를 작동시켜 상기 2차 연소실 내를 가열하고,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도 적은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하여 상기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버너로서 작동시키고,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및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상기 가연성 가스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양의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소실 내의 상기 분체 연료의 욱화 연소 및 회화를 행할 때,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가스화 연소를 행할 때, 및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를 행할 때,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분체 연료를 교반 가능한 분사량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용 호퍼와, 상기 연료용 호퍼 내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적어도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호퍼용 분사 노즐과,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분체 연료를 하방으로 송출하는 연료 송출 장치와, 상기 분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용 블로어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할 때, 상기 연료용 블로어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료 송출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에서 상기 분체 연료와 상기 연료용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상기 1차 연소실로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로부터 연소실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는 분체 연료 연소 장치.
  5. 분체 연료 연소 장치에 의해서 분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 방법으로서,
    연료 투입 행정, 착화 행정, 가스화 연소 행정, 직접 연소 행정, 및 욱화·회화 행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체 연료 연소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에서 연소시키는 1차 연소실과,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연소시키는 2차 연소실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연소실은 상기 분체 연료를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구와, 내부의 상기 분체 연료에 착화하는 착화 버너가 마련되고,
    상기 1차 연소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저부 공기 공급구와, 상기 경사부의 하방 위치에 마련된 회출구와, 통 모양이고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단이 상기 회출구를 향해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저부 공기 분사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2차 연소실에는, 내부를 가열하는 2차 버너와, 내부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구가 마련되고,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1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2차 공기 공급구에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연료 공급 장치, 상기 착화 버너, 상기 2차 버너,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2차 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연료 투입 행정에서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소정량 퇴적시키고,
    상기 착화 행정에서는, 상기 2차 버너에 의해서 상기 2차 연소실 내를 가열하고, 상기 2차 연소실 내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에 상기 착화 버너에 의해서 착화시키고,
    상기 가스화 연소 행정에서는, 상기 퇴적된 상기 분체 연료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보다도 적은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하여 상기 1차 연소실 내에서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가연성 가스를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도입하여,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가연성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고,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서는, 상기 1차 공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의 직접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상기 1차 공기 공급구, 상기 저부 공기 공급구, 및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를 버너로서 작동시키고, 상기 1차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상기 2차 연소실 내에 도입하고, 상기 2차 공기 공급구로부터 2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고,
    상기 욱화·회화 행정에서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상기 1차 연소실 내에 잔존하는 상기 분체 연료를 욱화 연소시켜 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욱화·회화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화 연소 행정, 및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저부 공기 분사 노즐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분체 연료를 교반 가능한 분사량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공기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연료 연소 방법.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분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용 호퍼와, 상기 연료용 호퍼 내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적어도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호퍼용 분사 노즐과,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분체 연료를 하방으로 송출하는 연료 송출 장치와, 상기 분체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용 블로어를 가지고,
    상기 연료 투입 행정 및 상기 직접 연소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연료용 블로어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료 송출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에서 상기 분체 연료와 상기 연료용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상기 1차 연소실로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호퍼용 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호퍼용 분사 노즐로부터연소실에 상기 분체 연료를 공급 하는 분체 연료 연소 방법.
KR1020217030946A 2019-02-28 2020-02-27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KR102540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6448 2019-02-28
JP2019036448A JP6989876B2 (ja) 2019-02-28 2019-02-28 粉体燃料燃焼装置及び燃焼方法
PCT/JP2020/008123 WO2020175639A1 (ja) 2019-02-28 2020-02-27 粉体燃料燃焼装置及び燃焼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409A true KR20210131409A (ko) 2021-11-02
KR102540051B1 KR102540051B1 (ko) 2023-06-08

Family

ID=7223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946A KR102540051B1 (ko) 2019-02-28 2020-02-27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20441A1 (ko)
EP (1) EP3933264A4 (ko)
JP (1) JP6989876B2 (ko)
KR (1) KR102540051B1 (ko)
CN (1) CN113544433B (ko)
BR (1) BR112021017044A2 (ko)
CA (1) CA3130559C (ko)
TW (1) TWI740396B (ko)
WO (1) WO20201756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3406A (ja) * 1985-03-18 1986-09-22 Takuma Co Ltd 蒸気ボイラ
JP2004347270A (ja) * 2003-05-23 2004-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装置及び方法
JP2012017872A (ja) * 2010-07-06 2012-01-26 Sakae Murata 焼却装置
JP2017145976A (ja) 2016-02-15 2017-08-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ボイラ
WO2018074189A1 (ja) 2016-10-17 2018-04-26 ジェイアンドジー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炭化燃料製造装置及び炭化燃料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5592B1 (ko) * 1958-01-10 1960-01-30
JPS5380836A (en) * 1976-12-27 1978-07-17 Hokkaido Sugar Co Method of dustless combustion and combustion furnace therefor
JPS56916A (en) * 1979-06-15 1981-01-08 Hokkaido T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ot blast for incineration of chaff
DE3130813A1 (de) * 1981-08-04 1983-03-24 Imai, Takeshi, São Paulo Vorrichtung zum vergasen von kohle, insbesondere vonholzkohle
JP2951493B2 (ja) * 1992-11-19 1999-09-20 株式会社マルコシエンジニアリング 高分子系廃棄物用乾留ガス化炉
JP3017661B2 (ja) * 1994-07-13 2000-03-13 株式会社キンセイ産業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JP2957941B2 (ja) * 1996-03-01 1999-10-06 有限会社伊勢工業所 焼却装置
JP2005291539A (ja) * 2004-03-31 2005-10-20 Babcock Hitachi Kk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及び混焼方法と装置
JP4830140B2 (ja) * 2006-03-31 2011-12-07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燃焼制御方法及び焼却装置
JP2008139010A (ja) * 2006-11-09 2008-06-19 Kokubun Nojo Kk 燃焼装置
JP2008286451A (ja) * 2007-05-16 2008-11-27 Kiyomi Yoshimura バイオマス燃料の燃焼装置
JP5380836B2 (ja) 2007-12-25 2014-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媒体加熱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加熱方法
CN201262392Y (zh) * 2008-07-29 2009-06-24 新疆电力科学研究院 一种煤粉锅炉防结焦的二次风燃烧器
JP5437734B2 (ja) * 2009-08-07 2014-03-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燃焼式排ガス処理装置
CN201539876U (zh) * 2009-08-23 2010-08-04 宁波市镇海捷登应用技术研究所 一种炉子的助燃装置
JP5774879B2 (ja) * 2011-03-07 2015-09-09 株式会社御池鐵工所 炉床構造及び燃焼炉
JP3168444U (ja) * 2011-04-01 2011-06-09 大沼 上 薪ストーブ
KR101220200B1 (ko) * 2011-05-02 2013-01-09 류승우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399977B1 (ko) * 2012-08-20 2014-05-28 김상권 클링커 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CN103267280B (zh) * 2013-05-30 2017-03-15 重庆富燃科技股份有限公司 采用富氧微油燃烧方式降低煤粉锅炉氮氧化物的方法
RU2534652C1 (ru) * 2013-08-13 2014-12-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иО-КОТЭС"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кавитационного водоуглеродного топлива из нефтяного кокса в топке кипящего слоя инер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х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3462010U (zh) * 2013-09-11 2014-03-05 湖南人文科技学院 冷轧废矿物油气化炉
JP6198572B2 (ja) * 2013-10-29 2017-09-20 日工株式会社 固形燃料を主燃料とする熱風発生炉
CN203668319U (zh) * 2013-12-04 2014-06-25 汪稚昊 一种生物质气化装置
JP6158062B2 (ja) 2013-12-11 2017-07-05 高圧ガス工業株式会社 発電デバイス
JP6526499B2 (ja) * 2015-06-29 2019-06-05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バーナ
CN107543146B (zh) * 2016-06-24 2020-06-23 荏原环境工程株式会社 燃烧装置以及锅炉
JP2018087656A (ja) * 2016-11-29 2018-06-07 有限会社長岡鉄工所 焼成炭化装置
JP2018179336A (ja) * 2017-04-06 2018-11-15 株式会社Ihi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 燃焼装置
CN207196473U (zh) * 2017-09-22 2018-04-06 郑州三众耐磨技术有限公司 具有一定防磨作用的cfb锅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3406A (ja) * 1985-03-18 1986-09-22 Takuma Co Ltd 蒸気ボイラ
JP2004347270A (ja) * 2003-05-23 2004-12-09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装置及び方法
JP2012017872A (ja) * 2010-07-06 2012-01-26 Sakae Murata 焼却装置
JP2017145976A (ja) 2016-02-15 2017-08-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ボイラ
WO2018074189A1 (ja) 2016-10-17 2018-04-26 ジェイアンドジー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炭化燃料製造装置及び炭化燃料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0559A1 (en) 2020-09-03
KR102540051B1 (ko) 2023-06-08
CN113544433B (zh) 2024-03-26
EP3933264A1 (en) 2022-01-05
WO2020175639A1 (ja) 2020-09-03
US20220120441A1 (en) 2022-04-21
JP2020139702A (ja) 2020-09-03
CN113544433A (zh) 2021-10-22
TW202037847A (zh) 2020-10-16
JP6989876B2 (ja) 2022-01-12
CA3130559C (en) 2024-01-16
BR112021017044A2 (pt) 2021-11-16
TWI740396B (zh) 2021-09-21
EP3933264A4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9062B (zh) 全尺度电子电器废弃物连续热解焚烧装置
JP4548785B2 (ja) 廃棄物ガス化溶融装置の溶融炉、並びに該溶融炉における制御方法及び装置
US47577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le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incinerator
WO2009014295A1 (en) Multirole combustion equipment for solid fuel combustion of cycle resource
CN103776028B (zh) 适用于w型火焰锅炉的微油点火系统及其方法
CN105889936A (zh) 一种生活垃圾焚烧炉
KR101957785B1 (ko) 선회식 연소기
CN206919025U (zh) 一种组合式焚烧装置
CN102242935A (zh) 一种新型垃圾与生物质燃料焚烧炉及焚烧方法
RU8172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ямоточной газификации водоугольной суспензии
CN201028530Y (zh) 采用“v”型多孔炉排和旋风分离燃烬装置的自热式热解气化焚烧炉
KR102540051B1 (ko) 분체 연료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JP5410694B2 (ja) 可燃性廃棄物の処理装置
CN214426014U (zh) 一种高氮高硫胶状沥青质危废气化焚烧系统
US4331085A (en) Exit gas control for flame stabilization and performance tuning of starved-air auger combustor
CN203687026U (zh) 一种适用于w型火焰锅炉的微油点火系统
CN107937039A (zh) 一种耦合燃煤机组的生物质气化炉启停工艺
JP5490956B1 (ja) 焼却装置
JP2001012716A (ja) 乾留ガス化燃焼装置の燃焼制御システム
KR20010087126A (ko) 연소용 가스를 생성하도록 폐기물을 태우고 승화시켜 그연소로부터 발생된 열을 사용하는 소각 장치 및 소각 방법
JP4387213B2 (ja) 微粉木炭燃焼装置及び微粉木炭燃焼方法
KR101335621B1 (ko) 분체연료연소장치
JP4393977B2 (ja) 難燃性炭素粉を燃焼するバーナ構造とそのバーナによる燃焼方法
KR102492110B1 (ko) 폐플라스틱 하향식 소각시스템
CN218348670U (zh) 危险废物处理系统的燃烧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