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400A -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400A
KR20210131400A KR1020217030691A KR20217030691A KR20210131400A KR 20210131400 A KR20210131400 A KR 20210131400A KR 1020217030691 A KR1020217030691 A KR 1020217030691A KR 20217030691 A KR20217030691 A KR 20217030691A KR 20210131400 A KR20210131400 A KR 2021013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ollection
base station
reservation perio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아키 아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1013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2Coding or decoding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roadside individual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이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1 내지 106)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108)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을 수신하는 수신부(109)와,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갖는다.

Description

정보 수집 단말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9-067323호에 기초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출원은,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ow Power Wide Area(LPWA)) 방식을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를 비롯한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종래의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와 같은 이용 형태의 제약을 넘어서,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새로운 부가 가치를 만들어 내는 IoT(Internet of Things)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물의 대부분은, 손이 닿기 어려운 장소에 있고, 장기에 걸쳐 소량의 데이터만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이 요청을 받아들여,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제창하는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나, 보다 소량의 데이터 통신에 최적화한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또한, Sigfox사가 개발한 SIGFOX(등록 상표)나, Semtech사가 개발한 LoRa(등록 상표) 등의 사양이 책정되어 있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에 관하여, 차량 탑재 배터리의 소모를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통신 기능을 갖는 차량 탑재용 기기에 관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사용을 준비하여 대기하고 있는 준비 상태에 있는 경우에, 필요가 없는 회로에의 전원 공급을 행하지 않아, 차량 탑재용 기기의 소비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62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55347호 공보
LPWA 방식을 사용한 통신 장치는, 소비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데이터양이나 통신 빈도를 최대한 낮추고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에서는, 전파 발신 총시간 제한이 마련되어 있어, 무제한으로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하여 응답(ACK)이나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소비 전력 저감의 요청은 종래에 비해 극히 높은 레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동체에 탑재되고, LPWA 방식을 사용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한 정보 수집 단말 장치는,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이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의한 정보 수집 방법은,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가 행하는 정보 수집 방법이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의한 정보 수집 프로그램은,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정보 수집 프로그램이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한다.
본 개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에 의하면,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에, 이동체의 이용자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하고,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함으로써, 이동체가 이용되지 않는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기기의 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는,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소비 전력 모드의 상태 천이도이며,
도 4는,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포맷이며,
도 5는, 실시 형태의 정보 수취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6은, 실시 형태의 정보 수취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이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더블 쿼테이션 내의 어구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어구를 의미하고, 동일하게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 종속항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의 구성 및 방법, 그리고 청구범위에 기재가 없고 실시 형태에만 기재된 구성 및 방법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의 구성 및 방법이다. 청구범위의 기재가 실시 형태의 기재보다도 넓은 경우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 및 방법도,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의 예시라는 의미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의 구성 및 방법이다. 어느 경우이든, 청구범위의 독립항에 기재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 및 방법이 된다.
실시 형태에 기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갖는 경우의 효과이며, 반드시 본 발명이 갖는 효과는 아니다.
복수의 실시 형태가 있는 경우, 각 실시 형태에 개시된 구성은 각 실시 형태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고, 실시 형태에 걸쳐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 형태에 개시된 구성을,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 각각에 개시된 구성을 모아서 조합해도 된다.
본 개시에 기재한 지견이나 과제는 공지된 과제가 아니라, 본 발명자가 독자적으로 지견한 것이며, 본 개시의 구성 및 방법과 함께 발명의 진보성을 긍정하는 사실이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가 상정하는 기기의 사용 양태의 개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인 자동차로서, 렌탈, 또는 카 셰어링에서 사용하는 자동차나, 사업자가 사업에 사용하는 트럭, 덤프카, 또는 상용차를 상정하고 있다. 이들 자동차는, 불특정 다수인 또는 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므로, 사용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사용 기간의 예약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약에서 정한 사용 기간을 예약 기간이라고 칭한다.
도 1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가 상정하는 기기의 사용 양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자동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스마트폰이나 PC를 사용하여, 예약 서버에 대하여 자동차의 예약을 행한다(A). 예약 시, 희망하는 예약 기간, 예를 들어 사용 개시 일시 및 사용 종료 일시, 혹은 사용 개시 일시 및 사용 시간을 입력한다. 예약 서버에 입력된 예약 기간은, 기지국 장치(200)를 경유하여, LPWA 방식으로 자동차에 탑재된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 송신된다(B).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LPWA 방식은, 상향 통신을 기점으로 통신이 행하여지므로,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 메시지(ACK)에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하고 있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이용자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이나 자동차의 키를 인식하고, 이들과 접속한다(C).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위치 정보를 비롯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LPWA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다(D). 또한, 데이터와 함께,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도 송신하고 있다. (D)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정보 수집 서버에 백본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축적되어, 분석에 제공된다(E). 예를 들어, 자동차의 이동 상황, 급브레이크나 급선회 등의 운전 상황, 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사고 상황, 트럭의 화물칸의 냉동고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 등 여러가지 데이터가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분석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예약 기간 중에 이용자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한다(C). 또한, 예약 기간 및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접속의 유무에 기초하여, (D)의 상향 통신이나 (B)의 하향 통신을, 소비 전력을 억제하면서 실행한다.
이상은 본 실시 형태의 개요이며, 본 개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구성
도 2를 사용하여,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주로 자동차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청구범위에서 한정이 없는 한, 차량 탑재 용도 이외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도 포함하는 것이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자동차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어,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와 통신을 행한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LPWA 방식, 예를 들어, Sigfox사가 개발한 SIGFOX(등록 상표)나, Semtech사가 개발한 LoRa(등록 상표)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들 통신 방식은,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부터 기지국 장치(200)에의 상향 통신을 기점으로 통신이 개시되는 특징을 갖는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차량 탑재 통신 장치, 차량 탑재 통신 기기, 운행 관리 시스템, 차량 탑재 감시 장치, 또는 드라이브 레코더라고도 불리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이동체"란, 이동 가능한 물체를 말하며, 이동 속도는 임의이다. 또한 이동체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도 당연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자동 이륜차, 자전거, 보행자, 선박, 항공기, 및 이들에 탑재되는 사물을 포함하고, 또한 이들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이란, 저소비 전력 또한 휴대 전화 레벨의 통신 거리를 갖는 무선 통신 방식의 총칭이며, 그 방식은 묻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0)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수집 서버 및 예약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예약 서버로부터 수신한 예약 기간을,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수집 서버로 송신한다. 정보 수집 서버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수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용한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위성 항법 시스템(이하, GPS)(101), 언테더드 추측 항법 장치(이하, UDR)(102), 온도계(103), 습도계(104), 가속도 센서(이하, G 센서)(105), 외부 인터페이스(이하, 외부 I/F)(106), RAM(107), 송신부(108), 수신부(109),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부(이하, BLE)(110), CPU(111), 전원(112), 안테나(A1)를 갖는다.
GPS(101)는,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자동차의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로 이루어진다.
UDR(102)은, 언테더드 추측 항법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위치 정보나 속도 정보를 수집한다. UDR(102)에는, 자이로 센서 및 G 센서가 실장되어 있고, 탑재된 자동차의 가감속이나 선회 각속도의 거동을 시간축 상에서 적분함으로써, GPS(101)로는 정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이동 거리나 진행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온도계(103) 및 습도계(104)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객실 내나 화물실 내에 설치되어, 객실 내나 화물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수집한다.
G 센서(105)는 자동차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G 센서(105)의 측정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의 가감속, 기울기, 자동차의 진동이나 자동차에 대한 충격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GPS(101), UDR(102), 온도계(103), 습도계(104), G 센서(105)는 "데이터 수집부"의 예이다. 물론, 수집하는 데이터에 따라서 이밖의 센서나 디바이스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GPS(101), UDR(102), G 센서(105)는 자동차의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 또는 디바이스이므로, "이동 검출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는, 수집하는 데이터에 착안한 것인 한편, "이동 검출부"는, 이동을 검출한다고 하는 기능에 착안한 것이므로, 하나의 센서 또는 디바이스가, "데이터 수집부" 및 "이동 검출부"의 양쪽에 상당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이동을 검출한다"란,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이동의 사실을 직접 검출하는 경우 외에, 속도나 가속도 등 이동의 사실을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외부 I/F(106)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외부에 마련된 센서 혹은 디바이스, 또는 다른 통신 단말 장치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GPS(101), UDR(102), 온도계(103), 습도계(104), G 센서(105)가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외부 I/F(106)에 접속하여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외부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외부 I/F(106)는, 접속하는 센서 혹은 디바이스, 또는 장치, 그리고 이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 또는/및 "이동 검출부"에 상당하게 된다.
또한, 외부 I/F(106)를 통하여, 자동차에 마련된 센서 등과 접속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엔진, 핸들, 브레이크 등의 제어를 행하는 구동계 전자 제어 장치, 미터나 파워 윈도우 등의 제어를 행하는 차체계 전자 제어 장치, 또는 장해물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안전 제어계 전자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센서이며 자동차에 탑재된 것이어도 된다.
무엇보다, 자동차에 마련되는 센서 등과 접속하지 않도록 하면, 전문적인 사업자에 의한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 상에 적재하는 전지 구동의 장치로서 실현할 수 있다.
RAM(107)은, GPS(101), UDR(102), 온도계(103), 습도계(104), G 센서(105), 외부 I/F(106)에 접속된 센서나 장치로 수집한 데이터나 검출 결과를 CPU(111)를 통하여 보존한다.
RAM(107)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상정하고 있지만, 하드 디스크(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원이 OFF가 되어도 데이터는 소거되지 않고 보존할 수 있다.
송신부(108)는 LPWA 방식을 사용하여, CPU(111)를 통하여 RAM(107)으로부터 판독한 송신 대상인 데이터를 안테나(A1)로부터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대상인 데이터 외에, 기지국 장치(200)에 대한 응답 요구 메시지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대상인 데이터와 "함께"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혹은, 이상 통지와 "함께"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지시를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들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부터 기지국 장치(200)에의 통신을 상향 통신(도면에 도시하는 UL)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함께"란, 동시인 경우 외에,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송신부(108)는 예약 기간 외와 예약 기간 중에서, 데이터의 송신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08)는 예약 기간 외와 예약 기간 중에서는, 송신하는 데이터나 응답 요구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거나, 혹은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요구할 것인지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수신부(109)는 LPWA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혹은,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지시를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들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의 통신을 하향 통신(도면에 도시하는 DL)이라고 칭한다.
BLE(Bluetooth Low Energy)(110)("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상당)는 저소비 전력의 통신 모드를 구비한 Bluetooth(등록 상표)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차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이나 자동차의 키 간에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BLE(110)가 센트럴(마스터라고도 함), 휴대 단말 장치가 페리페랄(슬레이브라고도 함)이 되고, BLE(110)가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 여기에서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행함과 함께,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 여기에서는 페어링을 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란, 약 20m 이하의 도달 거리를 커버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말하며, 예를 들어, ZigBee(등록 상표), Bluetooth(등록 상표), FeliCa(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캔"이란, 휴대 단말 장치의 존재를 인식하는 동작을 말하며, 그 방법은 묻지 않는다.
또한, "접속"이란, 통신이 가능할 정도로 관련지어져 있으면 되고, 실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는 없다.
CPU(111)는, 내부 버스로 접속된 GPS(101), UDR(102), 온도계(103), 습도계(104), G 센서(105), 외부 I/F(106), RAM(107), 송신부(108), 수신부(109), BLE(110)를 제어한다. 특히, 수신부(109)로 수신한 데이터 등을 해석함과 함께,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 등의 종류나 송신 방법을 결정한다. 즉, "송신부", 및 "수신부"의 기능은, 송신부(108)와 CPU(111), 수신부(109)와 CPU(111)로 실현하고 있다.
나아가, CPU(111)는, 예약 기간 및 BLE(110)와 휴대 단말 장치의 접속의 유무에 기초하여, 소비 전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실현하고 있다.
전원(112)은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은, 예를 들어 차량 탑재 배터리로부터 시거 소켓을 통하여 공급해도 되고, 일차 전지나 이차 전지를 사용해도 된다.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위하여 케이블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를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적재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3. 소비 전력 모드
도 3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채용할 수 있는 소비 전력 모드를 설명한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는, 슬립 모드가 되어 있다. 슬립 모드는, 타이머나 외부로부터의 인터럽트로 다음에 설명하는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나 통상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 타이머나 인터럽트를 검출하기 위한 파트에만 전력이 공급되고, GPS(101)나 UDR(102), CPU(111) 등 소비 전력이 높은 파트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혹은 이들 파트에 공급하는 클럭의 주파수를 낮추도록 하고 있다.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이 도래하면, 슬립 상태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 이행한다.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는, BLE(110)가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애드버타이징을 수신하는 모드이다.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에서는, BLE(110) 및 애드버타이징 스캔에 필요한 파트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의 도래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로 검출하지만, 외부로부터의 인터럽트로 검출해도 된다.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에서 BLE(110)가 휴대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실행하여 페어링이 완료되면,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통상 모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GPS(101) 등의 센서나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되어, 적시에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드이다. 통상 모드일지라도, 사용하고 있지 않은 파트에의 전력 공급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기 통신 시각이 도래하거나 각종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슬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정기 통신 시각의 도래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로 검출한다. 또한, 각종 이상의 발생은, 이상 신호에 의한 인터럽트로 검출한다.
이들과 반대로, 페어링이 종료되었을 때는, 통상 모드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정기 통신의 종료나 이상 발생에 수반하는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는, 통상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하면,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4. 데이터의 포맷
(1) 상향 통신
도 4를 사용하여,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의 포맷을 설명한다.
송신부(108)로부터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되는 프레임의 포맷은, 데이터 ID, 통신 시퀀스 번호, 리퀘스트 정보, 데이터 세트로 구성된다. 또한, 이외의 데이터나 신호를 포함해도 된다.
데이터 ID는, 송신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또한, 복수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종류 및 순서가 정해진 데이터 세트를 식별하는 식별자로 해도 된다.
통신 시퀀스 번호는, 정의된 일정 기간, 예를 들어 1일 중 0시부터 24시의 사이에 송신되는 데이터 세트의 송신순을 나타낸다.
리퀘스트 정보는,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 및 응답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는,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요구하는 플래그이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3바이트째의 상위 1비트에, 응답 메시지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1, 응답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 내용은,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는 데이터의 내용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하위 3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약 기간: 100b
차량 이동 검출 시에 있어서의 제어 내용: 101b
정기 상향 통신의 변경 후의 데이터 송신 간격: 110b
BLE(110)가 실행하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의 변경 후의 빈도: 111b
(2) 하향 통신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되고 수신부(109)로 수신하는 프레임의 포맷은, 데이터 ID, 통신 시퀀스 번호, 데이터 세트로 구성된다. 또한, 이외의 데이터나 신호를 포함해도 된다.
데이터 ID는, 하향 통신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응답 메시지 플래그, 및 응답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상향 통신에 있어서의 리퀘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다.
응답 메시지 플래그는, 예를 들어 하향 통신이 응답 메시지일 경우에는 1, 응답 메시지가 아니라 기지국 장치(200)가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프레임일 경우에는 0으로 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 내용은,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특정하는 식별자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향 통신의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다.
통신 시퀀스 번호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세트의 송신순을 나타낸다.
5.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동작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BLE(110)에 의한 페어링의 개시 전까지의 플로, 도 6은, BLE(110)에 의한 페어링의 개시 후부터의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슬립 모드에 있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정기 송신 시간이 도래한 경우(S101: "예"), 통상 모드로 이행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부(108)로부터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다(S102). 정기 송신 기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 시점에서는 아직 자동차는 이용되지 않고 정지해 있으므로, 비교적 긴 송신 간격, 예를 들어 1시간마다 송신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시간대에 따라 다른 송신 간격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야간은 낮에 비하여 긴 송신 간격으로 해도 된다.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에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1을 세트함과 함께, 응답 메시지 내용으로서 예약 기간(100b)을 지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예약 서버에 신규로 예약 기간이 설정된 경우, 혹은 예약 서버에 유지하고 있는 예약 기간이 변경된 경우,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예약 기간을 포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정기 송신 시 이외에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를 기동하여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어,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슬립 모드에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수신부(109)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03: "예"). CPU(111)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예약 기간을 설정 또는 재설정한다(S104). 설정 또는 재설정이 완료되면,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예약 기간의 신규 설정이나 예약 기간의 변경 또는 취소가 없으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보내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수신부(109)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 두절이라고 판단하여 재송 요구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두절의 원인으로서, 상향 통신의 두절에 의해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 및 하향 통신의 두절에 의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가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에 전해지지 않은 경우를 들 수 있다.
UDR(102) 또는 G 센서(105)는 자동차가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S105), 이동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통상 모드로 이행하고, 자동차가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S106).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에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1을 세트함과 함께, 응답 메시지 내용으로서 차량 이동 검출 시에 있어서의 제어 내용(101b)을 지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예약 기간 외 또한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가 이동한 사실을 통지할 수 있음과 함께, 그 때의 제어 내용을 어떻게 변경할지의 지시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신부(109)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07: "예"). CPU(111)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어 내용에 따라서 제어 내용을 변경한다(S108). 예를 들어, 정기 송신 간격을 단축하는, 음성이나 영상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S108 이후에는, 자동차가 이용된 것과 동일시 하여, 도 6에서 도시하는 통상 모드에서 처리를 행한다.
또한, S108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아직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와 접속이 되어 있지 않다. 자동차의 이동이 이용자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BLE(110)가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BLE(110)는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해도 된다.
자동차가 이동한 것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S105: "아니오"),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이 도래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109).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이 도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를 계속하고(S109: "아니오"),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이 도래한 경우에는(S109: "예"),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 이행하고, BLE(110)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개시한다(S110).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의 도래에 의해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존재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만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행하게 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 시에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ON으로, 슬립 모드 시에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OFF로 하는 대신,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 시에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고빈도로 실행하고, 슬립 모드 시에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저빈도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에 있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정기 송신 시간이 도래한 경우(S111: "예"), 통상 모드로 이행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부(108)로부터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다(S112).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정기 송신 기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에는,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0을 세트한다. 이미 예약 기간의 개시 시각이 도래해 있어, 예약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당연히,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1을 세트해도 된다. 예약 기간의 개시 후에 예약 기간의 변경이나 캔슬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이들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 비하여 짧은 송신 간격, 예를 들어 5분 마다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송신 후에는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 이행한다.
BLE(110)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검출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와 접속, 즉 페어링을 행한다(S113: "예"). 페어링 후에는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BLE(110)에 의해 페어링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S113: "아니오"),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114).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를 계속하고(S114: "아니오"),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한 경우에는(S114: "예"), BLE(110)는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정지하고(S115),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의 도래에 의해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정지함으로써, 이용자의 존재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만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행하게 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S113 후에, S105와 마찬가지로, 자동차가 이동했는지 여부의 검출을 행해도 된다. 자동차의 이동을 검출한 경우에는, S106 내지 S108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 모드에 있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는 정기 송신 시간이 도래한 경우(S116: "예"),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부(108)로부터 기지국 장치(200)로 송신한다(S117). 정기 송신 기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 시점에서는 이미 자동차는 이용되고 있으므로, 사용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송신 간격, 예를 들어 15분마다 송신하도록 설정한다.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에는,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0을 세트한다. 이미 자동차는 이용에 제공되고 있어, 이 이용에 있어서의 예약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 이용자의 예약에 대해서는, 이 이용이 종료한 시점에서 취득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약 기간 이외의 정보나 기지국 장치(200)로부터의 지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응답 메시지 요구 플래그에 1을 세트함과 함께, 응답 메시지 내용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수집 서버나 예약 서버로부터의 제어 명령의 요구를 포함하게 해도 된다.
BLE(110)는, 페어링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118). 페어링이 계속되고 있으면 통상 모드를 계속하고(S118: "예"), 페어링이 계속되고 있지 않으면(S118: "아니오"), UDR(102) 또는 G 센서(105)는 자동차가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119).
자동차가 이동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송신부(108)는 자동차가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S120).
송신부(108)로부터 송신하는 프레임에는, 응답 메시지 필요 여부 플래그에 1을 세트함과 함께, 응답 메시지 내용으로서 차량 이동 검출 시에 있어서의 제어 내용(101b)을 지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와 페어링을 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가 이동한 사실을 통지할 수 있음과 함께, 그 때의 제어 내용을 어떻게 변경할지의 지시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신부(109)는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21: "예"). CPU(111)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어 내용에 따라서, 제어 내용을 변경한다(S122). 예를 들어, 정기 송신 간격을 단축하는, 음성이나 영상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전지가 소모된 결과 BLE(110)와의 접속이 단절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동차의 이용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통상 모드인채로 처리를 행한다.
자동차가 이동한 것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S119: "아니오"),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로 이행하고,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123).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가 일시적으로 자동차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되돌아 올 경우에 대비하여 애드버타이징 스캔 모드를 계속하고(S123: "아니오"), 예약 기간 종료 시각이 도래한 경우에는(S123: "예"), 이용자가 자동차의 이용을 종료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애드버타이징 스캔을 정지해서(S124),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플로에 있어서, 후단의 처리 또는 판단이 전단의 처리 또는 판단의 결과를 전제로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순서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에 의한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로 실행되는 정보 수집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통신 프로토콜의 임의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로서 실현할 수 있고, 반드시 애플리케이션 레벨이라고는 할 수 없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경우, 통신 방식의 상위층 통신 프로토콜은 유지하면서, 상위층의 결점을 보충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에 의하면, 기지국 장치(200)에 대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 송신하고, 이에 대해 기지국 장치(200)로부터 예약 기간을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예약 기간의 수신을 위하여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를 별도 기동할 필요가 없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약 기간 중에는 응답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고, 예약 기간 외에만 응답 메시지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수신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밖에, 예약 기간이나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의 유무에 기초하여 처리 내용을 변경하고 있으므로, 필요 최소한의 전력 소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총괄)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용어는 예시이므로, 동의미의 용어, 혹은 동의미의 기능을 포함하는 용어로 치환해도 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 사용한 블록도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구성을 기능마다 분류 및 정리한 것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또한, 기능을 나타낸 것인 것으로부터, 이러한 블록도는 방법의 발명의 개시로서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실시 형태에 기재한 처리, 플로, 및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 있는 기능 블록에 대해서는, 하나의 스텝에서 다른 스텝의 결과를 이용하는 관계에 있는 등의 제약이 없는 한, 순서를 교체해도 된다.
각 실시 형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제1" "제2"의 용어는, 동종의 2 이상의 구성이나 방법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고, 순서나 우열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즉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정보 수집 단말 장치를 보행자가 소지하는 것을 전제로 본 개시를 적용해도 된다.
정보 수집 단말 장치의 예로서, 부품이나 반완성품으로서는, 반도체, 전자 회로, 모듈, 혹은 ECU(일렉트로닉 컨트롤 유닛)를 들 수 있다. 또한 완성품으로서는, 드라이브 레코더,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를 들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는,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 본 개시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것을 실행 가능한 전용 또는 범용 CPU 및 메모리 등을 갖는 범용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전용이나 범용의 하드웨어의 비전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예를 들어, 외부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CD/BD 등), 또는 내부 기억 장치(RAM, ROM 등))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를 통하여, 혹은 기록 매체를 통하지 않고 서버로부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전용 또는 범용의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항상 최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수집 단말 장치는, 자동차의 예약에 한하지 않고, 이동을 수반하는 사물의 이용을 예약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탈용의 휴대 전화에 본 개시를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이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1 내지 106)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108)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을 수신하는 수신부(109)와,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갖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예약 기간 외에는, 상기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상기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예약 기간 중에는, 상기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상기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검출하는 이동 검출부(101, 102, 105)를 더 갖고,
    상기 예약 기간 외의 경우 혹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한, 상기 이동 검출부가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검출한 경우, 상기 송신부는 이상 통지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지시를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이상 통지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지시를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기 데이터의 송신 간격을 짧게 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기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의 유무에 기초하여, 소비 전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111)를 더 갖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자동차이며,
    상기 예약 기간은, 상기 자동차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정보 수집 단말 장치.
  8.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행하는 정보 수집 방법이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S102),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S103),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S109, S110, S113),
    정보 수집 방법.
  9. 이동체에 탑재되고, 저소비 전력 광역 무선 통신(LPWA) 방식으로 기지국 장치(200)와 통신을 행하는 정보 수집 단말 장치(100)가 실행하는 정보 수집 프로그램이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용을 예정하는 기간인 예약 기간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S102),
    상기 데이터의 송신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예약 기간을 포함하여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S103),
    상기 예약 기간 중에,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유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스캔함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는(S109, S110, S113),
    정보 수집 프로그램.
KR1020217030691A 2019-03-29 2019-12-25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 KR20210131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7323A JP7131461B2 (ja) 2019-03-29 2019-03-29 情報収集端末装置
JPJP-P-2019-067323 2019-03-29
PCT/JP2019/050748 WO2020202675A1 (ja) 2019-03-29 2019-12-25 情報収集端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400A true KR20210131400A (ko) 2021-11-02

Family

ID=7266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691A KR20210131400A (ko) 2019-03-29 2019-12-25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15031A1 (ko)
EP (1) EP3952258A4 (ko)
JP (1) JP7131461B2 (ko)
KR (1) KR20210131400A (ko)
CN (1) CN113647082A (ko)
WO (1) WO202020267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288A (ja) 2002-05-22 2003-12-05 Denso Corp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06155347A (ja) 2004-11-30 2006-06-15 Suzuki Motor Corp 車両共同利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8601B2 (ja) * 2012-11-09 2016-12-07 Kddi株式会社 ウェイクアップ機能を備えた解施錠制御用無線端末、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7949B2 (ja) * 2014-10-01 2018-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用の車載装置
WO2016051692A1 (ja) * 2014-10-01 2016-04-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用の車載装置
JP6784198B2 (ja) * 2017-03-09 2020-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施解錠システム、キーユニット
EP3432644B1 (en) * 2017-07-18 2020-09-02 Deutsche Telekom AG Secure devices and methods for lpwa communication networks
JP6930276B2 (ja) * 2017-08-09 2021-09-01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管理ユニット、センサ装置、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センシング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288A (ja) 2002-05-22 2003-12-05 Denso Corp 車載通信システム
JP2006155347A (ja) 2004-11-30 2006-06-15 Suzuki Motor Corp 車両共同利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2258A4 (en) 2022-06-08
JP2020167557A (ja) 2020-10-08
JP7131461B2 (ja) 2022-09-06
EP3952258A1 (en) 2022-02-09
CN113647082A (zh) 2021-11-12
US20220015031A1 (en) 2022-01-13
WO2020202675A1 (ja)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049B1 (ko) 보행자의 안전과 연관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165173B2 (ja) 携帯型ワイヤレスユーザデバイスによる安全メッセージの送信および/または受信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812354B2 (en) Emergency call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N104584593A (zh) 用于传达安全消息信息的方法和装置
JP5211784B2 (ja) 通信システム
JP6265458B2 (ja) 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車両用無線通信方法
JP2013009027A (ja) 歩行者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2064802A1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JP2008015750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CN114424026A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31400A (ko) 정보 수집 단말 장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 수집 프로그램
WO2018216515A1 (ja) 車両通信システム
WO2020225983A1 (ja) 情報収集端末装置
CN112312356B (zh) 车载通信装置
WO2023119707A1 (ja) 通信装置
US11122489B2 (en) On-board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3223309B (zh) 车载通信装置、通信方法及记录有通信程序的记录介质
JP7111077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装置
TWI626463B (zh) 使用車載裝置與手持通訊設備自動記錄車輛行駛記錄的系統
US117438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ppression
JP2020182072A (ja) 通信装置
JP2020174273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