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655A - 청소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청소기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655A
KR20210130655A KR1020210051190A KR20210051190A KR20210130655A KR 20210130655 A KR20210130655 A KR 20210130655A KR 1020210051190 A KR1020210051190 A KR 1020210051190A KR 20210051190 A KR20210051190 A KR 20210051190A KR 20210130655 A KR20210130655 A KR 20210130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leaner
dust
s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
이상철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스테이션 및 로봇청소기가 결합되는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토출되는 먼지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먼지유입부에 연통되어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수용되는 먼지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Station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을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의 거치대는 사용이 종료된 무선 타입의 청소기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타입 청소기는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겸용의 거치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타입 청소기의 종류로는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가 존재한다. 핸드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직접 이동하며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청소기이다. 로봇청소기는, 설정된 이동 정보 또는 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이동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하며 자율적으로 청소를 진행하는 청소기이다.
청소기를 작동시켜 청소를 진행한 후 청소기가 흡입한 먼지 및 이물질은 사용자가 직접 제거해야 한다. 청소기에서 먼지통을 따로 분리하거나 청소기를 들고 외부로 나가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먼지통으로부터 다시 비산되는 미세먼지에 사용자가 노출되게 된다.
또한, 핸드청소기는 로봇청소기와 별개의 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각의 제품에 포함된 서로 다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 경우 각각의 거치대에 서로 다른 전원을 연결해야 하고, 거치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는 바 불편한 점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두 기기가 흡입한 먼지를 하나의 먼지보관함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하나의 청소기스테이션으로 통합하여 공간의 효율을 높이고 설치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먼지 비산을 방지하고 청소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결합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각각 포함한다.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에는 핸드청소기를 결합하고, 하부에는 로봇청소기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결합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핸드청소기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스테이션 및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봇청소기가 결합될 수 있는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연통되는 먼지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수용되는 먼지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제1 흡입부와 연통되는 제1 유로, 제2 흡입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 및 제1 유로 와 제2 유로가 합류하여 먼지유입부에 연통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1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의 흡입관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션의 이격공간 양 단에는 핸드청소기가 포함하는 제1 먼지통 및 제2 먼지통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스테이션의 양 단에는 제1 흡입부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가 포함하는 제1 먼지통과 제2 먼지통은 제1 흡입부가 위치한 곳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는 Y형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Y형 유로의 양 단부 각각은, 제1 먼지통과 제2 먼지통이 결합되는 제1 흡입부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먼지보관함은, 탈착 가능한 먼지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주머니는 먼지유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주머니는 먼지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주머니는 필터링 된 먼지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일 면에 구비된 개폐영역 내부에 먼지보관함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먼지유입부, 제1 흡입부, 제2 흡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로봇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유로전환부는, 연통 홀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의 사이에 상기 연통 홀이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 홀은, 상기 제1 유로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연통 홀의 위치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의 사이를 벗어나 일방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유로전환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폐쇄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링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의 단부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흡입모터의 작동 중,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링크부가 고정 결합되는 링크 하우징; 상기 실링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하우징은, 상기 링크부의 회전 가능 영역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이물질을 처리하는 제2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 또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에서 먼지비움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기기의 충전과 보관을 함께 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동시에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하나의 전력원으로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개의 서로 다른 거치대를 하나의 거치대로 통합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설치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흡입부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여 보관하는 장점을 가진다. 사용자는 직접 청소기의 먼지통을 비울 필요가 없으며,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 먼지가 사용자를 향해 비산되는 것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가 포함하는 서로 다른 먼지통을 하나의 기기를 통해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흡입한 이물질 및 먼지를 거치대의 내부에서 밀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청소기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중에 어느 하나의 먼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먼지통 비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또는 로봇청소기중에 어느 하나의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반대 유로를 폐쇄하여, 먼지가 다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서 걸릴 염려가 있는 길이가 긴 이물질들을 처리하여,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가 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 1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스테이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유로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먼지보관함이 실장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에, 먼지주머니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발명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이해 및 실현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및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하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를 결합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1) 발명에 대하여 살펴본다.
진공청소기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바닥 또는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곳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장치이다. 진공청소기는 모터와 먼지통을 포함한다. 회전하는 모터는 먼지통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고, 먼지통 내부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압력차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진공청소기의 종류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이동하면서 바닥 등을 청소하는 핸드청소기(500) 및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로봇청소기(600)로 나눌 수 있다. 두 타입의 진공청소기 모두 내부에 먼지통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의 진공청소기로부터 먼지통을 분리해서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는 전원에 연결된 거치대를 이용해 충전될 수 있다. 각각의 기기는 서로 다른 충전용 거치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충전용 거치대는 전원에 연결되어야 하고 부피를 차지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거치대를 집 안에 구비하는 것은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며, 여러 개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두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원만으로 서로 다른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내부에 유로구조 및 먼지보관함(300)을 구비하여, 각각의 진공청소기가 구비한 먼지통의 내부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하나의 먼지보관함(30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청소기가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먼지통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가 포함하는 구성요소 및 구성들간 결합구조를 살펴본다.
도 1(a) 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어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 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어있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c) 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어있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에는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 중 어느 하나만이 결합되거나, 동시에 두 가지의 청소기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상부는,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되는 제1 스테이션(10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0)은,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포함하는 먼지통은 제1 흡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흡입부(110)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통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먼지통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부는,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는 제2 스테이션(20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200)은, 로봇청소기(600)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포함하는 먼지통은 제2 흡입부(2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흡입부(210)에 의하여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먼지통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먼지통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될 때,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이 위치한 부분이 제1 스테이션(100)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흡입관(520)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200)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부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된 평평한 구조를 포함하며, 로봇청소기(600)는 그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의 구조를 알아본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유로구조와 배기경로(P)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유로구조와 배기경로(P)를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흡입한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보관함(300) 및 제1 흡입부(110) 및/또는 제2 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토출되는 먼지유입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은 먼지유입부(310)와 연통되며, 제1 흡입부(110) 및 제2 흡입부(210)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먼지보관함(3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모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모터(800)는 팬 모터일 수 있다. 흡입모터(800)는 전원을 공급받아 팬을 회전시키며, 팬의 회전이 만드는 공기의 유동은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흡입부(110)와 연통되는 제1 유로(111) 및 제2 흡입부(210)와 연통되는 제2 유로(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가 합류하여 먼지유입부(310)에 연통되는 제3 유로(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111)의 일 단은 제1 흡입부(110)와 연통되며 핸드청소기(500)의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 제1 유로(111)의 타 단은 제3 유로(311)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211)의 일 단은 제2 흡입부(210)와 연통되며 로봇청소기(600)의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 제2 유로(211)의 타 단은 제3 유로(311)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따라 흡입된 먼지는 제3 유로(311)의 일 단에서 합류한다. 제3 유로(311)의 타 단은 먼지유입부(310)에 연통되고, 흡입된 먼지는 먼지유입부(310)를 통과하여 먼지보관함(300) 내부로 수용된다.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같이 흡기된 공기(P)는, 포함한 먼지를 필터링하고 난 후 청소기 스테이션(1)의 일 면을 통해 배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는,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가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에서 동시에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흡입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청소기의 먼지통에 충분한 흡입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흡입 과정을 완료한 이후에도 먼지 및 이물질이 먼지통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다.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 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제1 흡입부(110)와 제2 흡입부(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흡입모터(800)가 제공하는 흡입력을 한 쪽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1 유로(111)를 개폐한다는 서술은 제1 흡입부(110)를 개폐한다는 서술과 동일한 뜻으로, 서로 혼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유로(211)를 개폐한다는 서술은 제2 흡입부(210)를 개폐한다는 서술과 동일한 뜻으로, 서로 혼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이 제2 흡입부(210)를 폐쇄하고 핸드청소기(500)의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제1 흡입부(110)에서 더 빠르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흡입부(110)를 폐쇄하고 로봇청소기(600)의 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제2 흡입부(210)에서 더 빠르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핸드청소기(500)만이 결합되어있는 경우 제1 흡입부(110)를 개방하고 제2 흡입부(210)를 폐쇄한 채로 핸드청소기(500)의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600)만이 결합되어있는 경우 제2 흡입부(210)를 개방하고 제1 흡입부(110)를 폐쇄한 채로 로봇청소기(600)의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모두 결합되어있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흡입부(110)를 개방하고 제2 흡입부(210)를 폐쇄한 채로 핸드청소기(500)의 먼지를 빨아들이거나, 제2 흡입부(210)를 개방하고 제1 흡입부(110)를 폐쇄한 채로 로봇청소기(600)의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가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역류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먼지의 일부가 외부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내부에 잔존하는 먼지가 대류에 의해 외부공간으로 날아갈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내공간에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청소기 스테이션(1)은 유로를 폐쇄하는 실링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유입부(310), 제1 흡입부(110), 제2 흡입부(210) 중 적어도 하나는 먼지가 통과할 수 없게 하는 실링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되어있는 경우 제1 흡입부(110)의 실링부재(350)는 열릴 수 있고,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어있는 경우 제2 흡입부(210)의 실링부재(350)가 열릴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개폐할 수 있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400)는 전술한 실링부재(350)와 함께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양 구성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유로전환부(400)의 구성을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가 제2 유로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는 전후방 이동, 즉 슬라이딩(Sliding)을 통해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은 핸드청소기(500) 또는 로봇청소기(600)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진입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후방은 전방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도 3에서 유로전환부(400)가 제2 유로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111)와 연결되는 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제1 유로(111), 제2 유로(211), 제3 유로(311) 및 유로전환부(400)가 배치되는 설계에 따라서, 이동되는 방향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유로전환부(400)는 하우징(410), 개폐부(420), 회전 디스크(430), 마이크로 스위치(480), 전환 모터(4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상부 하우징(411)과 하부 하우징(412)이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에, 유로전환부(400)의 구성들이 외부 간섭없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420)에는 제1 유로(111)를 개방할 수 있는 연통 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홀(421)의 형상은 제1 유로(111)와 제3 유로(311)를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연통 홀(421)은, 제1 유로(111)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적인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111)의 형태가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11)에서 제3 유로(311)로 안내되는 기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420)의 일측에는, 소정의 너비로 개방된 상태가 연장되는 걸림 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422)은 후술할 회전 디스크(430)의 걸림돌기(432)가 끼워져 결합되는 공간으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개폐부(420)는 하부 하우징(412)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412)의 일 측면에는, 개폐부(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4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20)는 슬라이딩 가이드(413)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420)는 슬라이딩 가이드(4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부(42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111)를 개방한 상태(도 3 및 도 5 참조)에서 제2 유로(211)를 개방한 상태(도 4 및 도 6 참조)로 변경될 때, 개폐부(420)는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유로(2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유로(111)를 개방한 상태로 전환될 때, 개폐부(420)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420)는 제1 유로(111) 또는 제2 유로(2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통 홀(421)은 제2 유로(211)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폐부(420)가 후방으로 최대 이동된 상태에서 제2 유로(211)와 연통 홀(421)이 만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211)를 통해 흡입된 기체가 제3 유로(31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연통 홀(421)을 제외한 개폐부는 제1 유로(111)와 제3 유로(311)를 밀폐할 수 있다.
회전 디스크(430)는 개폐부(4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430)는 개폐부(420)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개폐부(420)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디스크(430)는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후술할 전환 모터(49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디스크(430)는 디스크 바디(431)와 걸림돌기(4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바디(431)는 대략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소정의 높이로 연장 형성되는 원반(disk)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회전에 의해 주변 구성들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걸림돌기(432)는 디스크 바디(431)의 상부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432)는 개폐부(420)의 걸림 홈(422)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432)는 회전 디스크(430)가 회전할 때, 개폐부(420)를 걸어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디스크(430)의 회전 운동을 개폐부(4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바디(431)가 회전하면, 걸림돌기(432)는 디스크 바디(4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한다. 이때, 걸림돌기(432)는 걸림 홈(422)에 결합된 상태인 바, 디스크 바디(431)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부(420)를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420)는 직선운동 가능하며, 나아가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개폐부(420)와 회전 디스크(430)의 회전 및 위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개폐부(420) 및 회전 디스크(430)의 상측에 구비되나, 설계 변경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480)의 배치되는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개폐부(4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일측 단부는, 고정된 외팔보 형상의 핸들(48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81)이 가압되면 위치가 변경되며,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후술할 전환 모터(490)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전술한 핸들(481)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전환 모터(49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의 구체적인 구성은 업계에 공지된 사항으로 자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개폐부(420)의 위치를 인식하여 전환 모터(490)의 전원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선택적으로 채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전환 모터(490)는 하부 하우징(4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환 모터(490)는 개폐부(420)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샤프트(491) 및 모터 하우징(49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91)는 전환 모터(490)의 회전축으로, 전환 모터(490)의 작동 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전환 모터(490)가 반대로 작동하면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일방향과 타방향은 각각 시계방향(clockwise) 및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
모터 하우징(493)은 전환 모터(490)를 외부 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493)은 하부 하우징(41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의 하측에 전환 모터(490)가 구비될 수 있다.
전환 모터(490)는 회전 디스크(43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 모터(490)에 구비된 샤프트(491)가 회전 디스크(430)에 결합될 수 있다. 전환 모터(490)가 작동하면 샤프트(491)는 회전하면서, 결합된 회전 디스크(43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전환 모터(490)의 회전 작동은 마이크로 스위치(4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 모터(49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디스크(430)가 함께 회전하며 개폐부(4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420)의 위치가 일방 한계지점에 도달하면, 걸림돌기가 마이크로 스위치(480)의 핸들에 접촉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핸들(481)을 통해 압력이 가해짐을 인식하면, 개폐부(420)가 한계영역까지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전환 모터(490)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 개폐부(420)를 반대로 이동시키는 전환 모터(490)와 마이크로 스위치(480)의 제어 방식 역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부(420)에 의해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는 제3 유로(3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도 5의 상태를 서술상의 편의를 위해 제1 유로(111) 개방상태, 그리고 도 6의 상태를 제2 유로(211) 개방상태로 부를 수 있다.
제1 유로(111) 개방상태에서는, 흡입모터(800)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제1 유로(111), 제3 유로(3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먼지보관함(300)에 안내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420)는 제2 유로(211)와 제3 유로(311)를 차단하여, 제2 유로(211)에서 제3 유로(3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유로(211) 개방상태에서는, 흡입모터(800)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로봇청소기(600)의 먼지통(610)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제2 유로(211), 제3 유로(3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먼지보관함(300)에 안내된다. 이때, 개폐부(420)는 제1 유로(111)와 제3 유로(311)를 차단하여, 제1 유로(111)에서 제3 유로(3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가 제3 유로(311)와 동시에 개방되어 흡입모터(800)의 흡입력이 부족하여, 먼지 비움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111)를 개방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유로전환부(400)가 제1 유로(111)를 개방한 상태를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유로전환부(400)가 제2 유로(211)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제2 유로(2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유로전환부(400)가 제2 유로(211)를 개방한 상태를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는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400)는 실링부(450), 링크부(460), 링크 하우징(470), 마이크로 스위치(480) 및 전환 모터(4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제1 유로(111) 또는 제2 유로(211)에 결합하여 제3 유로(311)와 연통되지 않도록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유로전환부(400)는 실링부(450)를 선택적으로 제1 유로(111) 또는 제2 유로(211)에 결합하여, 실링부(450)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111)와 제2 유로(211)로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450)의 일측은 후술할 제2 링크(462)와 연결되어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의해 제1 유로(111)의 제3 유로(311) 측 단부와 제2 유로(211)의 제3 유로(311)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링크부(460)는 실링부(450)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1 링크(461), 제2 링크(462) 및 링크 봉(4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461)는 전환 모터(490)의 샤프트(491)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링크(462)는 일측은 실링부(450)와 연결되며 타측은 링크 봉(463)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링크 봉(463)은 제1 링크(461)와 제2 링크(462)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일측은 제1 링크(461)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2 링크(462)와 결합되어, 제1 링크(461)가 회전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며, 제2 링크(46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샤프트(491)와 함께 제1 링크(461)가 회전되면, 제1 링크(461)에 연결된 링크 봉(463)이 함께 이동하며, 링크 봉(463)에 연결된 제2 링크(462)가 회전하게 된다. 제2 링크(462)는 회전하며, 실링부(450)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 하우징(470)은 제1 링크(461), 마이크로 스위치(480)와 같은 구성들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외부의 간섭에서, 상기 결합된 구성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 하우징(470)은, 제1 링크(461)의 회전 한계를 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를 가지고 돌출되는 구획부재(471, 4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471, 472)는 제1 링크(461)의 회전 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링크(4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461)가 구획부재(472)에 접촉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제1 링크(461)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0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링크(46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는 제1 링크(461)가 좌측 구획부재(471)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링크(461)의 회전 가능 영역은 두개의 구획부재(471, 472)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유로전환부(400)는 마이크로 스위치(480) 및 전환 모터(4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 차이점이 있는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 외의 서술은 제1 실시예의 서술을 차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링크 하우징(47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한 쌍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전환 모터(49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80)의 핸들(481)에 제1 링크(461)와 연결된 접촉단부(464)가 접촉될 수 있다. 접촉단부(464)에 의해 핸들의 위치가 기준 위치를 넘어서게 이동하면, 마이크로 스위치(480)는 전환 모터(490)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460)의 회전이 시작 또는 종료될 수 있다.
전환 모터(490)는 샤프트(492) 및 모터 하우징(493)을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492)는 제1 링크(461)에 결합되며, 전환 모터(490)의 작동 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461)는 샤프트(49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모터 하우징(493)은 링크 하우징(47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하우징(470)과 모터 하우징(493)의 결합되는 면적에는 소정의 너비로 개방된 구역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구역을 통하여, 제1 링크(461)와 샤프트(492)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11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유로가 전환되는 구조를 서술한다.
도 8의 상태를 서술상의 편의를 위해 제1 유로(111) 개방상태, 그리고 도 11의 상태를 제2 유로(211) 개방상태로 부를 수 있다.
제1 유로(111) 개방상태에서는, 흡입모터(800)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511, 512)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제1 유로(111), 제3 유로(3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먼지보관함(300)에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450)는 제2 유로(211)에 결합되어, 제2 유로(211)와 제3 유로(311)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211)에서 제3 유로(3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유로(211) 개방상태에서는, 흡입모터(800)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로봇청소기(600)의 먼지통(610)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제2 유로(211), 제3 유로(3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먼지보관함(300)에 안내된다. 이때, 개폐부(420)는 제1 유로(111)와 제3 유로(311)를 차단하여, 제1 유로(111)에서 제3 유로(311)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드청소기(500)의 동력원은 수평 사이클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은, 제1 먼지통(511) 및 제2 먼지통(512)을 흡입관(52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먼지통을 구비한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3(a) 및 도 13(b)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1 먼지통(511) 및 제2 먼지통(512)을 포함하는 핸드청소기(500)가 제1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스테이션(100)은 핸드청소기(500)의 흡입관(520)이 위치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0)에서 이격공간이 위치한 부분의 양 단은 각각 제1 먼지통(511)및 제2 먼지통(512)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520)은 상기 이격된 공간이자 제1 먼지통(511) 및 제2 먼지통(512)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션(100)에 위치한 이격공간의 양 단은 제1 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0)의 양 단에 구비된 제1 흡입부(110)는, 각각 제1 먼지통(511) 및 제2 먼지통(512)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스테이션(100)은 핸드청소기(500)의 흡입관(520)이 위치할 수 있는 이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0)에서 이격공간이 위치한 부분의 양 단은 핸드청소기가 거치될 수 있는 제1 거치부(121) 및 제2 거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121)와 제2 거치부(122)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될 때, 제1 먼지통(511)은 제1 거치부(121)에 안착되고, 제2 먼지통(512)은 제2 거치부(122)에 안착되며, 흡입관(520)은 상기 이격된 공간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치부(121) 및 제2 거치부(122)는 각각 제1 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100)의 양 쪽에 구비된 제1 흡입부(110)는, 각각 제1 먼지통(511) 및 제2 먼지통(512)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유로(111)는 Y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Y형을 갖는 제1 유로(111)의 단부는 제1 스테이션(100)이 포함하는 이격공간의 양 쪽에 구비된 제1 흡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111)의 나머지 단부는 제3 유로(311)에 연결될 수 있다. Y형을 갖는 제1 유로(111)의 각 단부에서 흡입된 먼지는 하나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며, 제1 유로(111)로부터 토출되어 제3 유로(311)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또한, Y형을 갖는 제1 유로(111)의 단부는 각각 제1 거치부(121) 및 제2 거치부(122)에 구비된 제1 흡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111)의 나머지 단부는 제3 유로(311)에 연결될 수 있다. Y형을 갖는 제1 유로(111)의 각 단부에서 흡입된 먼지는 하나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며, 제1 유로(111)로부터 토출되어 제3 유로(311)를 따라 흐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유로(111)는 대략적으로 선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 유로(111)의 일측 단부는 제1 흡입부(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단부는 제3 유로(31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처리부(112) 및 제2 처리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2)와 제2 처리부(212)는 실시예에 따라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이 핸드청소기 또는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서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남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생물 번식과 같은 위생상 문제점이나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육안으로 확인되어 심미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청소기(500)의 먼지통(511, 512)에서 제1 흡입부(110)로 흡입되지 않고 남은 미세 먼지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이물질은, 먼지통(511, 512)과 제1 흡입부(110) 사이에 걸려진 형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통(511, 512)의 커버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600)의 먼지통(610)에서 제2 흡입부(212)로 흡입되지 않고 남은 미세 먼지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이물질은, 로봇청소기(600)의 먼지통(610)과 제2 흡입부(212) 사이에 걸려진 형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흡입부(110) 및 제2 흡입부(210)에 제1 처리부(112) 및 제2 처리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처리부(112) 및 제2 처리부(212)는 칼날(Blad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처리부(112) 및 제2 처리부(212)는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길이가 긴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된 이물질은 보다 용이하게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처리부(112) 및 제2 처리부(212)는 톱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이물질들은 흡입력에 의해 제1 처리부 및 제2 처리부를 통과하며, 절단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가 먼지를 흡입하며 함께 흡기한 공기가 배출되는 구조를 살펴본다.
도 14(a)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유로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들에 따라 Y형 구조를 가진 제1 유로(111)를 구비한 청소기 스테이션(1)를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모터(800)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모터(800)는 유로를 통하여 제1 흡입부(110) 및/또는 제2 흡입부(21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모터(800)는 먼지보관함(300) 내부에 낮은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 및/또는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모터(800)가 작동하게되면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먼지보관함(300)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먼지통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유로를 따라 먼지보관함(3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모터(800)가 먼지를 흡입할 때, 외부의 공기가 먼지보관함(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흡기된 공기가 포함하는 먼지를 제거한 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부(900)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배기부(900)는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청소기로부터 흡입된 공기에는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먼지보관함(300)에 수용되지 않고 배기부(900)를 통과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1)은, 먼지보관함(300)으로부터 배기부(900)까지 유체가 흐르는 배기경로(P)에 먼지를 필터링하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를 필터링하는 부재는, 미세섬유 구조를 적용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의 필터 및/또는 먼지를 대전시켜 집진판에 먼지를 모으는 방식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를 필터링하는 부재는, 흡입모터(800)의 내부 또는 배기부(9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에 구비된 구조를 살펴본다.
도 15(a)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에 실장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b)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이 실장되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일 면은 개폐영역(360)을 포함할 수 있고 개폐영역(360)의 내부에는 먼지보관함(300)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영역(360)을 열고 닫음에 따라 먼지보관함(300)을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에 실장시키거나, 먼지보관함(300)을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먼지보관함(300) 및 먼지주머니(34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6(a)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b)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에 결합된 먼지주머니(34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먼지유입부(310)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흡입부(110) 및 제2 흡입부(210)가 먼지를 흡입하고, 흡입된 먼지는 각각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211)를 따라 흐른 후 제3 유로(311)의 일 단에서 합쳐진다. 제3 유로(311)의 타 단은 먼지유입부(310)와 연통되며, 흡입된 먼지들은 제3 유로(311)에서 토출되어 먼지유입부(310)를 통과해 먼지보관함(300) 내부로 이동한다. 이동된 먼지들은 먼지보관함(300)에 보관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내부에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을 열어 내부의 먼지를 털어내는 과정에서, 먼지가 밖으로 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먼지보관함(300)의 먼지를 비우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기할 수 있고, 먼지가 인체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보관함(300) 내부에 먼지주머니(340)를 구비시키고, 먼지주머니(340)는 먼지유입부(310)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된 먼지는 먼지주머니(34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려 할 때, 먼지주머니(340)를 묶거나 밀봉한 후 먼지보관함(300)을 개봉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주머니(340)의 외부로 먼지가 비산하지 않아, 깔끔하게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먼지주머니(340)는, 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없는 미세섬유재질 또는 비닐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충전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실시예에 관하여 알아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핸드청소기(5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로봇청소기(6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아웃렛에 연결되어 제1 충전부 및 제2 충전부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충전부는 제1 스테이션(100)에 구비되며 핸드청소기(500)가 결합되었을 때 핸드청소기(500)의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부는 제2 스테이션(200)에 구비되며, 로봇청소기(600)가 결합되었을 때 로봇청소기(600)의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청소기 스테이션
100 : 제1 스테이션
110 : 제1 흡입부
111 : 제1 유로
121 : 제1 거치부
122 : 제2 거치부
200 : 제2 스테이션
210 : 제2 흡입부
211 : 제2 유로
300 : 먼지보관함
310 : 먼지유입부
311 : 제3 유로
340 : 먼지주머니
350 : 실링부재
360 : 개폐영역

400: 유로전환부
410: 하우징
420: 개폐부
421: 연통 홀
422: 걸림 홈
430: 회전 디스크
450: 실링부
460: 링크부
480: 마이크로 스위치
490: 전환 모터

500 : 핸드청소기
511 : 제1 먼지통
512 : 제2 먼지통
520 : 흡입관
600 : 로봇청소기
800 : 흡입모터
900 : 배기부
F: 흡입유로
P : 배기경로

Claims (17)

  1.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와 결합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핸드청소기가 결합되는 제1 스테이션;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봇청소기가 결합되는 제2 스테이션;
    상기 제1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상기 핸드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2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연통되는 먼지유입부를 포함하며, 먼지가 수용되는 먼지보관함; 및
    상기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2 흡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모터;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1 흡입부와 연통되는 제1 유로;
    상기 제2 흡입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가 합류하여 상기 먼지유입부에 연통되는 제3 유로;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상기 핸드청소기 및 상기 로봇청소기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전환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흡입관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양 단에는 상기 핸드청소기의 흡입관 양측에 구비된 제1 먼지통 및 제2 먼지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양 단은 상기 제1 흡입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양 단에 구비된 제1 흡입부에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Y형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보관함은
    상기 먼지유입부에 연통되며, 탈착이 가능한 먼지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주머니는
    상기 먼지유입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보관함이 실장되고 일 측이 개폐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유입부, 상기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2 흡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핸드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상기 로봇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연통 홀이 구비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의 사이에 상기 연통 홀이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2. 제 11항에 있어,
    상기 연통 홀은,
    상기 제1 유로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유로가 개방될 때, 상기 연통 홀의 위치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3 유로의 사이를 벗어나 일방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폐쇄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링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의 단부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흡입모터의 작동 중,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링크부가 고정 결합되는 링크 하우징;
    상기 실링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환 모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하우징은,
    상기 링크부의 회전 가능 영역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부에서 흡입되는 이물질을 처리하는 제2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는 칼날 또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KR1020210051190A 2020-04-22 2021-04-20 청소기 스테이션 KR20210130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8696 2020-04-22
KR1020200048696 2020-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55A true KR20210130655A (ko) 2021-11-01

Family

ID=7826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190A KR20210130655A (ko) 2020-04-22 2021-04-20 청소기 스테이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32447A1 (ko)
EP (1) EP4140379A1 (ko)
JP (1) JP7472316B2 (ko)
KR (1) KR20210130655A (ko)
CN (1) CN115426929B (ko)
AU (1) AU2021258977B2 (ko)
WO (1) WO202121584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90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WO2023171946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1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8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7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4014679A1 (ko) * 2022-07-13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4072087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2742A1 (en) * 2021-03-11 2022-09-15 Techtronic Cordless Gp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KR20230133586A (ko) *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305A (ja) 2006-12-19 2008-07-03 Yanmar Co Ltd 切り換え装置
KR101330734B1 (ko) 2007-08-24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DE102010000607B4 (de) * 2010-03-02 2022-06-1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ls Basisstation für ein selbsttätig verfahrbares Saug- und/oder Kehrgerät einsetzbarer Haushaltsstaubsauger
KR101192540B1 (ko) 2010-12-20 2012-10-17 (주)마미로봇 무선 청소기용 다기능 충전기
DE102011054162A1 (de) * 2011-10-04 2013-04-0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ystem aus einem selbsttätig verfahrbaren Reinigungsgerät und einer Basisstation sowie verfahrbares Reinigungsgerät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Schmutzbehälters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4119192A1 (de)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US9462920B1 (en) 2015-06-25 2016-10-11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JP6660738B2 (ja) 2016-01-12 2020-03-1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EP3406176B1 (en) 2016-01-20 2021-12-29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eat for dust collector
WO2017124624A1 (zh) * 2016-01-20 2017-07-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充电座
JP6993937B2 (ja) * 2018-06-22 2022-01-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ES2956793T3 (es) 2019-04-18 2023-12-28 Vorwerk Co Interholding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un sistema de limpieza, estación base y dispositivo de filtració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90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WO2023171946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1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8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3171947A1 (ko) * 2022-03-11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WO2024014679A1 (ko) * 2022-07-13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24072087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42A1 (ko) 2021-10-28
JP2023522461A (ja) 2023-05-30
EP4140379A1 (en) 2023-03-01
AU2021258977A1 (en) 2022-11-03
JP7472316B2 (ja) 2024-04-22
US20230132447A1 (en) 2023-05-04
CN115426929A (zh) 2022-12-02
CN115426929B (zh) 2024-02-13
AU2021258977B2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655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102609722B1 (ko) 청소기
KR102470035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EP1929917B1 (en) Vacuum cleaner
JP6660738B2 (ja) 電気掃除装置
US2008023590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80168616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60138813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US20230092045A1 (en) Cleaner
KR20210130461A (ko) 청소기거치대
KR20220010288A (ko) 청소기
CN214906373U (zh) 吸入口体以及电动吸尘器
JP2008043792A (ja) 電気掃除機
US20220322900A1 (en) Cleaner
US20230329495A1 (en) Cleaner
KR20220140313A (ko) 청소기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JP2001000368A (ja) 電気掃除機
KR20230089401A (ko) 청소기용 먼지 수거장치
KR20220132273A (ko) 청소기
CN112401745A (zh) 吸尘器
KR100936066B1 (ko) 진공 청소기
JP2010022575A (ja) 電気掃除機
JP2006212339A (ja) 電気掃除機
WO2006004126A1 (ja) 電気掃除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