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461A - 청소기거치대 - Google Patents

청소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461A
KR20210130461A KR1020200048695A KR20200048695A KR20210130461A KR 20210130461 A KR20210130461 A KR 20210130461A KR 1020200048695 A KR1020200048695 A KR 1020200048695A KR 20200048695 A KR20200048695 A KR 20200048695A KR 20210130461 A KR20210130461 A KR 2021013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er
opening
vacuum cleane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
이상익
현기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461A/ko
Priority to PCT/KR2021/005096 priority patent/WO2021215844A1/ko
Publication of KR2021013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가 도킹될 수 있는 제1 스테이션 및 로봇청소기가 도킹되는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은, 핸드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는,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토출되는 먼지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먼지유입부에 연통되어 제1 흡입부 및 제2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수용되는 먼지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거치대{Stand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가 구비한 먼지보관함의 먼지를 흡입하는 기능을 갖는 청소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의 거치대는, 사용이 종료된 무선 타입의 청소기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타입 청소기는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무선 청소기가 거치될 때 무선 청소기가 내장한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겸용의 거치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타입 청소기의 종류로는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가 존재한다. 핸드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직접 이동하며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청소기이다. 로봇청소기는, 기설정된 이동정보 또는 센서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청소를 진행하는 청소기이다.
청소기를 작동시켜 청소를 진행한 후, 청소기가 흡입한 먼지 및 이물질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에 보관된다. 먼지통 내부의 먼지 및 이물질은 사용자가 직접 먼지통을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해야 한다. 청소기에서 먼지통을 따로 분리하거나 청소기를 들고 외부로 나가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먼지통으로부터 재비산되는 먼지에 사용자가 노출되게 된다.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핸드청소기는 로봇청소기와 별개의 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각의 제품에 포함된 서로 다른 청소기거치대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 경우 각각의 거치대에 서로 다른 전원을 연결해야 하고, 거치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가 동시에 도킹될 수 있는 청소기거치대를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을 하나의 기기로 통합하여 공간의 효율을 높이고 설치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핸드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가 구비한 먼지보관함의 먼지를 비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와 로봇청소기를 동시에 도킹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도킹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각각 포함한다. 청소기거치대의 상부에는 핸드청소기를 도킹하고, 하부에는 로봇청소기를 도킹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제1 먼지통을 구비한 핸드청소기 및 제2 먼지통을 구비한 로봇청소기를 도킹할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가 도킹되는 제1 스테이션을 상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거치대는, 로봇청소기가 도킹되는 제2 스테이션을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대는, 흡입한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보관함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제1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제1 먼지통을 먼지보관함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제2 먼지통을 먼지보관함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거치대는, 먼지보관함에 구비되어 제1 먼지통을 먼지보관함에 연결하는 제1 개구부 및 먼지보관함에 구비되어 제2 연결부와 연통될 수 있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거치대는, 일 단이 제2 개구부에 구비되고, 타 단이 제2 연결부에 구비되며, 제2 먼지통을 먼지보관함과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청소기는, 제1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시켜 제2 연결부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먼지통 내부의 먼지는 연통부를 따라 먼지보관함으로 흡입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의 제1 개구부는, 먼지가 통과할 수 없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은, 내측면으로부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구비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은, 제2 개구부로부터 먼지보관함 내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먼지보관함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의 사용시, 로봇청소기가 도킹된 상태에서 핸드청소기가 추가로 도킹되는 제1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핸드청소기가 도킹된 상태에서 로봇청소기가 추가로 도킹되는 제2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는 제1 경우 및 제2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자동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제2 연결부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은 탈착 가능한 먼지주머니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먼지주머니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연통되며, 유입된 먼지를 필터링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제1 개폐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은 제1 개폐영역의 내부에 실장되거나, 제1 개폐영역의 내부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은, 표면에 구비된 제2 개폐영역을 열어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개폐영역은, 먼지보관함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의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먼지보관함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제2 먼지통은,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고무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청소기는, 길이조절을 위한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흡입관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은 제2 연결부를 통하여 연통부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연통부의 양 단,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먼지보관함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로봇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로봇청소기에서 먼지를 비울 때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충전과 보관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청소기거치대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동시에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하나의 전력원으로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개의 서로다른 거치대를 하나의 거치대로 통합하여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설치의 편의를 증진시킨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자동으로 로봇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여 보관하는 장점을 가진다. 사용자는 직접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을 비울 필요가 없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 먼지가 사용자를 향하여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는, 흡입한 이물질 및 먼지를 내부에서 밀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청소기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에 핸드청소기 및 로봇청소기가 도킹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에 실링부재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먼지주머니를 포함한 먼지보관함이 청소기거치대에 실장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고무막을 포함한 로봇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연결부에 흡입관이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발명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이해 및 실현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및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하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를 도킹할 수 있는 청소기거치대(1) 발명에 대하여 살펴본다.
진공청소기는,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바닥 또는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곳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장치이다. 대부분의 진공청소기는 모터와 먼지통을 포함한다. 회전하는 모터는 먼지통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고, 먼지통 내부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압력차에 의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진공청소기의 종류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이동하면서 바닥 등을 청소하는 핸드청소기(500) 및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로봇청소기(600)로 나눌 수 있다. 두 타입의 진공청소기 모두 내부에 먼지통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의 진공청소기로부터 먼지통을 분리해서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는 전원에 연결된 거치대를 이용해 충전될 수 있다. 각각의 기기는 서로다른 충전용 거치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충전용 거치대는 전원에 연결되어야 하고 부피를 차지한다. 하나 이상의 거치대를 집 안에 구비하는 것은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며, 여러 개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두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동시에 도킹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원만으로 서로 다른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이용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청소기(500)는, 흡입관(530)을 통하여 본체로부터 떨어져있는 먼지 및/또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한편 로봇청소기(600)는, 지면 위를 주행하며 본체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먼지 및/또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의 내부에는 주행을 위한 부품들이 실장되므로, 핸드청소기(500)에 비하여 부품을 구비시킬 공간이 부족하다. 청소에 필요한 흡입력 및 공간적 한계의 차이로 인해, 핸드청소기(500)에 구비되는 모터는 로봇청소기(600)에 구비되는 모터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핸드청소기(500)의 모터는 로봇청소기(600)의 모터보다 흡입력이 강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1)는 내부에 연통부(220) 및 먼지보관함(3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킹되어있는 핸드청소기(500)의 강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로봇청소기(600)에 구비된 제2 먼지통(610) 속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는 내부에 부품을 실장시킬 공간이 부족하므로, 로봇청소기(600)가 포함하는 제2 먼지통(610)은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먼지통(610)의 작은 용량 때문에, 사용자는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를 자주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할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1)에 구비된 먼지보관함(300)은, 제2 먼지통(610)보다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될 때 마다 제2 먼지통(610)의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보관함(3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먼지통(610)을 여러 번 비우는 대신, 흡입한 먼지들을 모아둔 먼지보관함(300)을 통해 모아둔 먼지들을 한번에 제거할 수 있다. 이는 먼지비움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가 포함하는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구조를 살펴본다.
도 1(a) 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 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c)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를 도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거치대(1)에는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 중 어느 하나만이 도킹되거나, 동시에 두 가지의 청소기가 도킹되는 것이 가능하다.
청소기거치대(1)의 상부는,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는 제1 스테이션(100)을 구비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는 흡입모터(540) 및 제1 먼지통(5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션(100)은, 청소기거치대(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제1 스테이션(100)에 도킹될 때, 제1 먼지통(510)은 제1 거치부(미도시)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1)의 하부는,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되는 제2 스테이션(200)을 구비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는 흡입한 먼지를 보관하는 제2 먼지통(6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200)은, 청소기거치대(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평평한 모양의 제2 거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는 제2 거치부(미도시) 위에 놓여져 제2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수 있다.
청소기거치대(1)는, 내부에 실장되는 먼지보관함(300)을 구비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은, 흡입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여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에는 핸드청소기(500)가 연결되는 제1 개구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먼지보관함(300)에는 연통부(220)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스테이션(100)은 제1 연결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제1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면, 제1 먼지통(510)은 제1 연결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션(200)은 제2 연결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제2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때, 제2 먼지통(610)은 제2 연결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연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은 청소기거치대(1)의 내부에 실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연통부(220)의 일 단은 제2 개구부(3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타 단은 제2 연결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청소기(500)가 제1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는 경우, 제1 먼지통(510)은 제1 연결부(110) 및 제1 개구부(311)를 통하여, 먼지보관함(300)과 직접 연결된다. 핸드청소기(500)의 도킹상태에서 흡입모터(540)가 작동하여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600)가 제2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는 경우, 제2 먼지통(610)은 제2 연결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연통부(220)를 따라 제2 개구부(312)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모터(540)가 작동하면,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가 제2 연결부(210) 및 연통부(220)를 따라 제2 개구부(312)를 향해 이동한다. 연통부(220)를 따라 이동하는 먼지는 제2 개구부(312)를 지나 먼지보관함(30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c) 는 실시예들에 따라 먼지보관함(300)을 포함한 청소기거치대(1)에서 공기가 흐르는 경로(P)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d)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에 핸드청소기(500) 및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되어, 공기가 흐르는 연통부(2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라, 핸드청소기(500)는 제1 연결부(110)에 연결되고, 핸드청소기(500)가 구비한 흡입모터(540)는 제2 연결부(21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흡입모터(540)가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연결부(210)측 압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먼지보관함(300)의 압력간에 압력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성된 압력차에 의하여 제2 연결부(210)쪽의 외부 공기는 제2 연결부(210)로 흡입되고, 연통부(220) 및 제2 개구부(312)를 지나 먼지보관함(3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은 먼지보관함(300)에서 필터링되며, 제1 개구부(311) 및 제1 연결부(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의 제1 개구부(311) 및/또는 제1 연결부(110)는,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이물질 및/또는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모터(540)에 의하여 제2 연결부(210)로부터 먼지보관함(300)까지 흡입된 공기는 제1 먼지통(5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먼지보관함(300) 내부에 있는 먼지 및/또는 이물질이 제1 먼지통(5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먼지통(510)으로 먼지 및/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개구부(311) 및/또는 제1 연결부(110)에 필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된 상태에서 핸드청소기(500)가 추가로 도킹되거나,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된 상태에서 로봇청소기(600)가 추가로 도킹되는 경우, 핸드청소기(500)의 흡입모터(54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는 기설정된 시간 및/또는 일정에 따라 청소를 진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안에 없거나 사용명령을 내리지 않았을 때도, 로봇청소기(600)는 자동으로 주행하며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반면 핸드청소기(500)는, 사용 중이 아니라면 상시 청소기거치대(1)에 도킹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로봇청소기(600)가 자동 청소를 끝마치고 청소기거치대(1)에 도킹되는 경우, 청소기거치대(1)는 흡입모터(540)를 작동시켜서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를 곧바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600)가 청소를 끝마치고 청소기거치대(1)에 도킹되었는데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어있지 않아 제2 먼지통(610)의 먼지가 흡입되지 않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면 곧바로 흡입모터(540)를 작동시켜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먼지보관함(30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이 포함하는 제2 개폐영역(37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이 포함하는 제2 개폐영역(37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바에 따라, 청소기거치대(1)는, 일 면에 제1 개폐영역(36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개폐영역(360)을 열어 먼지보관함(300)을 청소기거치대(1) 내에 실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개폐영역(360)을 열어 먼지보관함(300)을 청소기거치대(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먼지보관함(300) 외관의 일 면에 위치한 함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함입부는 먼지보관함(300)의 아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르면, 결합부(320)가 형성하는 함입부의 바닥면은 먼지보관함(300)의 윗측면에 닿을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320)는 먼지보관함(300)의 상단과 하단을 연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통부(220)의 일 단은 제1 개폐영역(3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거치대(1)에 결합되는 경우, 연통부(220)가 결합부(320)에 끼워져 먼지보관함(300)이 제1 개폐영역(36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청소기거치대(1) 내부에 결합 및/또는 실장될 수 있다. 이 때 연통부(220)의 일 단은 제2 개구부(312)에 구비될 수 있고 연통부(220)의 타 단은 제2 연결부(210)에 구비되어 제2 개구부(312)와 제2 연결부(210)를 연통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에 수용된 먼지는 먼지보관함(300)의 아래쪽 내측 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제2 개구부(312)를 먼지보관함(300)의 상단부에 배치하여, 내부의 먼지가 제2 개구부(312)를 통해 연통부(220)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일 면에 제2 개폐영역(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영역(370)은 힌지구조 및/또는 슬라이드 구조를 사용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영역(370)은 먼지보관함(30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된 먼지는 먼지보관함(300)의 아래쪽 내측 면에 쌓이게 되므로, 제2 개폐영역(370)을 먼지가 쌓이는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보관함(300)을 비울 때, 먼지를 간편하게 제거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내측면으로부터 제1 개구부(311) 또는 제2 개구부(312)를 향하여 연장구비된 격벽(33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모터(540)에 의하여 먼지보관함(300)이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경우, 먼지보관함(300) 내부에는 난류가 발생한다. 발생한 난류에 의하여 바닥에 보관된 먼지 및/또는 이물질이 상부로 확산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11) 또는 제2 개구부(312)를 향하여 형성된 격벽(330)을, 먼지보관함 내부에 하나 이상 포함시킬 수 있고, 격벽(330)은 먼지 및/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토출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거치대(1) 내부에 실장되는 구조를 살펴본다. 또한 먼지의 역류 및/또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350)의 구조를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먼지의 이동을 막는 실링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연통부(220)의 양 단, 제1 연결부(110), 제2 연결부(210), 제1 개구부(311) 및 제2 개구부(31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먼지보관함(300)이 실장되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개폐영역(36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폐영역(360)은 힌지구조 및/또는 슬라이드구조를 사용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도 4(a)는 실시예들에 따라 실링부재(350)를 포함하는 청소기거치대(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실시예들에 따라 실링부재(350)를 포함하는 제1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거치대(1)의 내부에 실장되어있고 핸드청소기(500)가 제1 스테이션(100)에 도킹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개구부(311)와 제1 연결부(110)에 의하여 먼지보관함(300)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보관함(300)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들이 외부로 비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1 개구부(311) 및 제1 연결부(110) 중 적어도 하나는 먼지의 이동을 막는 실링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어있지 않는 경우, 제1 연결부(110) 및/또는 제1 개구부(311)는 실링부재(350)에 의하여 닫힌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는 경우 실링부재(350)가 먼지보관함(300)의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고, 제1 먼지통(510)의 일 단을 먼지보관함(300)에 수용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제2 스테이션(200)에 도킹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연결부(210)에 의하여 연통부(220)의 내부가 외부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보관함(300) 및 연통부(220)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들이 외부로 비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10)에 구비되는 연통부(220)의 일 단 중 적어도 하나는, 먼지의 이동을 막는 실링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되어있지 않는 경우, 제2 연결부(210) 및/또는 제2 연결부(210)에 구비되는 연통부(220)의 일 단은 실링부재(350)에 의하여 닫힌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되는 경우, 실링부재(350)가 연통부(220)의 내부를 향하여 휘어져 제2 먼지통(610)을 연통부(220)에 연통시킬 수 있다.
도 4(c)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1 개폐영역(360)을 개방한 상태의 청소기거치대(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4(e)는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의 상단부 및 제2 개구부(31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f)는 도 4(e)의 B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거치대(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제2 연결부(210)에 연통부(220)의 일 단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220)의 반대쪽 타 단은 제2 개구부(312)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보관함(300) 및 청소기거치대(1)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먼지보관함(300)이 청소기거치대(1)의 내부에 안착될 때, 제2 개구부(312)와 연통부(220)의 타 단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을 통과하여 먼지가 빠져나갈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연통부(220)의 타 단 및 제2 개구부(312)에 고무실링을 구비시켜 유격을 제거하고, 먼지보관함(300)의 외부로 먼지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하는 먼지보관함(30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들에 따라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하는 먼지보관함(30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c)는 실시예들에 따라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하는 먼지보관함(300)에 핸드청소기(500) 및 제1 먼지통(510)이 직접 연결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d)는 실시예들에 따라 청소기거치대(1) 내부에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하는 먼지보관함(300)이 실장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e) 및 도 5(f)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스테이션(100)에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어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하는 먼지보관함(300)에 제1 먼지통(510)이 연결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먼지보관함(300)은, 내부에 먼지주머니(3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보관함(300)을 열어 내부의 먼지를 털어내는 과정에서, 먼지가 밖으로 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먼지보관함(300)의 먼지를 비우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기할 수 있고, 먼지가 인체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보관함(300) 내부에 먼지주머니(340)를 구비시킬 수 있다. 먼지주머니(340)는 먼지유입부(310)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링된 먼지는 먼지주머니(34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먼지보관함(30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려 할 때, 먼지주머니(340)를 묶거나 밀봉한 후 먼지보관함(300)을 개봉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주머니(340)로부터 먼지가 비산하지 않아, 깔끔하게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먼지주머니(340)는, 미세먼지가 통과할 수 없는 미세섬유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고무막(611)을 포함하는 제2 먼지통(610)의 실시예에 관하여 알아본다.
도 6(a)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2 먼지통(610)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6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라 고무막(611)을 포함하는 제2 먼지통(610)을 구비한 로봇청소기(6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먼지통(610)은, 제2 먼지통(610)에 구비된 연결홀을 개폐하는 고무막(611)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막(611)은 제2 먼지통(610) 내부 및 외부간 압력 차이에 의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청소를 진행하며 흡입한 먼지들은 제2 먼지통(610)에 보관된다. 제2 먼지통(610)은 연통부(220)와 연통될 수 있는 연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600)가 제2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는 경우, 제2 먼지통(610)에 구비된 연결홀(미도시)은 제2 연결부(210)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210)에 의하여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가 흡입될 때, 먼지는 연결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제2 연결부(210) 및 연통부(220)를 따라 먼지보관함(30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2 먼지통(610)의 먼지가 흡입되고 있지 않은 경우, 고무막(611)은 연결홀(미도시)을 밀봉하여 먼지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막는다. 제2 연결부(210)가 제2 먼지통(610)을 흡입하는 경우, 제2 먼지통(610)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210) 및 연통부(2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우 고무막(611)은 외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고무막(611)이 개방되면, 제2 먼지통(610) 내부의 먼지가 연결홀(미도시)을 빠져나갈 수 있다. 연결홀(미도시)을 빠져나간 먼지는 제2 연결부(210) 및 연통부(220)를 따라 먼지보관함(30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하 흡입관(530)을 사용하여 연통부(22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거치대(1)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연결부(210)에 흡입관(530)이 연결되어 연통부(22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청소기(500)는, 일 단이 먼지를 빨아들이고, 타 단이 핸드청소기(500)에 연결되어 제1 먼지통(510)과 연통되는 흡입관(53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관(530)의 일 단은 사람의 손이 닿기 힘든 곳 및/또는 바닥에 위치한 먼지들을 빨아들일 수 있다. 흡입관(530)의 타 단은, 빨아들인 먼지를 제1 먼지통(510)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를 통해 제2 먼지통(610)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연통부(220)의 내측 면에 먼지가 붙거나, 연통부(220)의 내부에 이물이 잔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통부(22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흡입관(530)을 제2 연결부(210)에 연결할 수 있다. 흡입관(530)의 일 단은 제2 연결부(210)에 연결되고 흡입관(530)의 타 단은 핸드청소기(500)에 연결된다. 흡입관(530)의 일 단은 흡입모터(540)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연통부(22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이하, 핸드청소기(500) 및/또는 로봇청소기(6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부를 구비한 청소기거치대(1)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거치대(1)는, 핸드청소기(5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로봇청소기(6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거치대(1)는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아웃렛에 연결되어 제1 충전부 및 제2 충전부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충전부는 제1 스테이션(100)에 구비되며 핸드청소기(500)가 도킹되었을 때 핸드청소기(500)의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부는 제2 스테이션(200)에 구비되며, 로봇청소기(600)가 도킹되었을 때 로봇청소기(600)의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청소기거치대
100 : 제1 스테이션
110 : 제1 연결부
200 : 제2 스테이션
210 : 제2 연결부
220 : 연통부
300 : 먼지보관함
311 : 제1 개구부
312 : 제2 개구부
320 : 결합부
330 : 격벽
340 : 먼지주머니
350 : 실링부재
360 : 제1 개폐영역
370 : 제2 개폐영역

500 : 핸드청소기
510 : 제1 먼지통
530 : 흡입관
540 : 흡입모터
600 : 로봇청소기
610 : 제2 먼지통
611 : 고무막

Claims (14)

  1. 제1 먼지통을 구비한 핸드청소기 및 제2 먼지통을 구비한 로봇청소기를 도킹할 수 있는 청소기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거치대의 상부에 위치하고 핸드청소기가 도킹되는 제1 스테이션;
    상기 청소기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고 로봇청소기가 도킹되는 제2 스테이션;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보관함;
    상기 제1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먼지통을 상기 먼지보관함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먼지통을 상기 먼지보관함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먼지보관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먼지통을 상기 먼지보관함에 연결하는 제1 개구부
    상기 먼지보관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 및
    일 단이 상기 제2 개구부에 구비되고 타 단이 상기 제2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먼지통을 상기 먼지보관함과 연통하는 연통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청소기는,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연결부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먼지통 내부의 먼지는, 상기 연통부를 따라 상기 먼지보관함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먼지가 통과할 수 없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보관함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구비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상기 먼지보관함 내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먼지보관함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가 도킹된 상태에서 상기 핸드청소기가 추가로 도킹되는 제1 경우; 및
    상기 핸드청소기가 도킹된 상태에서 상기 로봇청소기가 추가로 도킹되는 제2 경우; 에 대하여
    상기 핸드청소기는 제1 경우 및 제2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자동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2 연결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보관함은, 탈착 가능한 먼지주머니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먼지주머니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연통되며, 유입된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거치대는, 일 측이 개폐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제1 개폐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개폐영역 내부의 공간은, 상기 먼지보관함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보관함은, 표면에 구비된 제2 개폐영역을 열어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영역은, 상기 먼지보관함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먼지보관함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먼지통은
    압력차에 의해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고무막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막에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청소기는 길이조절을 위한 흡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흡입관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연통부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양 단,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먼지보관함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거치대는,
    상기 핸드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충전부; 및
    상기 로봇청소기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거치대.


KR1020200048695A 2020-04-22 2020-04-22 청소기거치대 KR20210130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95A KR20210130461A (ko) 2020-04-22 2020-04-22 청소기거치대
PCT/KR2021/005096 WO2021215844A1 (ko) 2020-04-22 2021-04-22 청소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95A KR20210130461A (ko) 2020-04-22 2020-04-22 청소기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461A true KR20210130461A (ko) 2021-11-01

Family

ID=7826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95A KR20210130461A (ko) 2020-04-22 2020-04-22 청소기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0461A (ko)
WO (1) WO20212158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90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823306U (zh) * 2022-01-19 2022-06-2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污水收集组件及用于清洁机器人的基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762A (ko)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테이션이 구비된 로봇청소기
KR101192540B1 (ko) * 2010-12-20 2012-10-17 (주)마미로봇 무선 청소기용 다기능 충전기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4119192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KR20180057491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90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44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283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470035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EP4052627A1 (en) Station
KR101471026B1 (ko)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RU227737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робота-пылесоса
EP4140379A1 (en) Cleaner station
EP1825798B1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or of the same
US20080104793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20210130461A (ko) 청소기거치대
EP4137027A1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same
KR20110010220A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CN110049704B (zh) 电动吸尘器
CN101534694A (zh) 手持式真空吸尘器
JP2024024017A (ja) 電気掃除機
CN111904323B (zh) 积灰底座和具有其的清洁设备总成
KR20220045717A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US20230371766A1 (en) Station for cleaner
US20230263348A1 (en) Cleaner station
US20220110496A1 (en) Cleaner system
CN218552205U (zh) 清洁系统
JP7472316B2 (ja) クリーナーステーション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KR20220046312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