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181A -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181A
KR20210130181A KR1020217029606A KR20217029606A KR20210130181A KR 20210130181 A KR20210130181 A KR 20210130181A KR 1020217029606 A KR1020217029606 A KR 1020217029606A KR 20217029606 A KR20217029606 A KR 20217029606A KR 20210130181 A KR20210130181 A KR 20210130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boarding
ride
ride vehicle
at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스 카를로스 알라르콘
스티븐 씨 블럼
마이클 데이비드 이세 러셀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3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00Transferring passengers, articles, or freight to and from moving trains; Slipping or coupling vehicles from or to moving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놀이기구 차량은 턴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의 제 1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어트랙션 경로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시스템의 제 2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어트랙션 경로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3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4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Description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모든 목적으로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19년 2월 22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2/809,323 호에 대한 우선권과 혜택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놀이 공원의 어트랙션에서 유연한 승객 탑승 및 하차 시간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놀이 공원의 어트랙션의 놀이기구 차량에 승객들을 탑승시키는 효율성을 높이는 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어트랙션은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서 하차할 때 및/또는 새로운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할 때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 구역을 따라 계속 이동하는 탑승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승객들은 놀이기구 차량에서 하차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및/또는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즉,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 구역의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탑승 승객이 놀이기구 차량 내에 완전히 탑승 및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어트랙션 및/또는 탑승 구역을 통한 모든 놀이기구 차량의 움직임은 탑승 승객에게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할 추가 시간을 주기 위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각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구역에서 탑승 승객이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할 수 있는 추가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완전히 정지할 수 있다. 어트랙션을 통과하는 놀이기구의 움직임을 늦추거나 정지시키는 것은 어트랙션의 처리량에 해로울 수 있으며, 이는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고, 놀이공원의 수익을 감소시킬 수 있다.
원래 청구된 주제와 범위가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주제의 가능한 형태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실제로, 주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attraction loading system)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차량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시스템은 또한, 놀이기구 차량을 어트랙션 경로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1 트랙 스위치와,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어트랙션 경로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3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4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2 트랙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탑승 경로의 제 1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탑승 경로의 제 2 위치를 향해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는 것; 놀이기구 차량의 점유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놀이기구 차량의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을 탑승 경로를 따른 제 2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또는 어트랙션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시스템은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를 포함하며,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또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1 트랙 스위치 ― 제 1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 또는 어트랙션 경로 중 하나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됨 ―; 및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2 트랙 스위치 ― 제 2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 또는 어트랙션 경로 중 하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탑승 및/또는 하차 영역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시스템은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 ―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탑승 경로에 연결된 어트랙션 경로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차량의 제 1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 경로로부터 상기 어트랙션 경로 상으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제 2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탑승 경로를 재-루프하도록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탑승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탑승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탑승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탑승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요소들을 소개할 때, 관사 "a", "an" 및 "the"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구성되는",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나열된 요소 이외의 추가 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인용된 특징부를 또한 포함하는 추가 실시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의 가변적인 양의 이용 가능한 탑승 시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탑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는 다른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 구역을 통해 그리고 어트랙션을 통해 공칭 속도로 계속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특정 놀이기구 차량으로의 가변 승객 탑승 시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탑승 시스템은 중심 수직 축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을 갖는 탑승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 구역은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제 1 반경방향 위치(예를 들어, 중심 수직 축에 대해)에서 점유한 놀이기구 차량(예를 들어, 승객들-점유한 차량)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반경방향 위치는 제 1 트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 및 턴테이블은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제 1 반경방향 위치로부터 제 2 반경방향 위치까지(예를 들어, 중심 수직 축에 대해) 연동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반경방향 위치는 제 1 트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의 회전 속도는, 놀이기구 차량과 턴테이블 사이의 상대 이동이 실질적으로 감지할 수 없도록,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환언하면, 턴테이블의 에지는 놀이기구 차량과 턴테이블 사이에 정적 물리적 인터페이스 또는 가상 커플링을 생성하기 위해 놀이기구 차량의 에지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승객들은 놀이기구 차량에서 턴테이블 상으로 하차할 수 있다. 일단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서 하차하면, 새로운 승객들이 턴테이블에서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트랙션을 통해 사용자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턴테이블 및 놀이기구 차량은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을 하차 및 탑승할 때 공칭 속도로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은 놀이기구 차량이 제 2 반경방향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턴테이블과 연동해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이 제 2 반경방향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한 승객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면, 놀이기구 차량은 어트랙션 경로를 따라 안내되어 어트랙션의 놀이기구 사이클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 차량이 비어 있고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이 제 2 반경방향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승객이 여전히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면, 놀이기구 차량은 턴테이블을 제 1 반경방향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해 계속 회전하도록(예를 들어, 탑승 경로를 통해 재-루프) 지시될 수 있다. 승객은, 놀이기구 차량 주행이 제 2 반경방향 위치로부터 제 1 반경방향 위치로, 그리고 다시 한번 제 1 반경방향 위치로부터 제 2 반경방향 위치로 재-루프될 때에,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하는 것을 계속 시도할 수 있다. 승객이 놀이기구 차량에 성공적으로 탑승하고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이 제 2 반경방향 위치에 도달하면, 놀이기구 차량은 어트랙션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놀이기구 차량이 다른 놀이기구 차량의 점유 상태에 관계없이 탑승 구역을 통해 공칭 속도로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보다 느린 탑승 승객들은 다른 승객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승객들은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하기 위해 증가된 양의 이용 가능한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탑승 시스템(12)의 탑승 구역(10)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구역(10)은 전체 놀이기구 시스템(14)(예를 들어, 어트랙션)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들은 탑승 구역(10)에서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할 수 있고, 놀이기구 시스템(14)의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할 수 있고, 놀이기구 차량(16)으로부터 하차하기 위해 탑승 구역(10)에 다시 도착할 수 있다.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승객들은 가상 현실, 대체 현실, 환경 상호작용, 다중 놀이기구 경로, 워터 특징부, 특수 효과 등과 같은 다양한 경험에 노출될 수 있다. 어트랙션 경로(18)와 같은 놀이기구 시스템(14)의 부분들은 탑승 시스템(12)의 일 양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순화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탑승 시스템(12)은 턴테이블(20), 입구 램프(22), 제 1 트랙 스위치(24), 제 2 트랙 스위치(26) 및 가변 속도 구역(28)을 포함한다. 턴테이블(20)은 축(40)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현재 도시된 실시예에서, 턴테이블(20)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시계 방향(41)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턴테이블(20)은 놀이기구 시스템(14)의 테마에 대응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턴테이블(20)은 회전 부분(44) 내에 배치된 고정 부분(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부분(44)은 고정 부분(42)이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고정 부분(4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구 램프(22)는 계단, 실질적으로 평평한 각진 표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각진 경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입구(50)에서 탑승 구역(10)에 진입하고, 턴테이블(20)의 중간 부분(예를 들어, 고정 부분(42))을 향해 입구 램프(22)를 하강하여,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탑승 구역(10)을 떠나기 위해 입구(50)를 향해 입구 램프(22)를 올라갈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6)은 어트랙션 경로(18)의 단부에 위치된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탑승 구역(10)에 진입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놀이기구 차량(16)의 속도는 증가될 수 있고 및/또는 놀이기구 차량(16)이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주행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6)의 속도는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에 갭(예를 들어, 기포)을 생성하도록 또는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의 갭을 제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은,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이 주행 시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이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가변 속도 구역(28)으로부터, 놀이기구 차량(16)은 턴테이블(20)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56)에 진입할 수 있다. 제 1 트랙 스위치(24)는, 일 구성에서, 어트랙션 경로(18)로부터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허용하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탑승 경로(16)를 따라 재-루프된 놀이기구 차량(16)이 다른 구성에서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통해 탑승 경로(16)를 계속 따라가는 것으로 허용하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승객들은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고, 하차할 수 있다. 탑승 경로(56)는 트랙 또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놀이기구 차량(16)이 따라 주행하는 트랙없는 놀이기구 시스템을 위한 가상 경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 경로(56)는 턴테이블(20)과 연동하여(즉, 함께 또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놀이기구 차량(16)이 따라 주행하는 경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경로(56)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놀이기구 차량(16)은 턴테이블(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턴테이블(20)의 둘레를 따른 복수의 놀이기구 차량의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의 위치 및 배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환언하면,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경로(56)를 통해 주행하는 동안 그리고 놀이기구 차량(16)에 대한 턴테이블(20)의 배향(예를 들어, 시트가 턴테이블(20)의 중앙을 향하거나 또는 에지측을 따름)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도록 턴테이블(20)이 그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턴테이블(20)의 원주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형인 턴테이블(20)을 갖는 현재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놀이기구 차량의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은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를 따라 주행할 때 턴테이블(20)의 축(40)을 연속적으로 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턴테이블(20)의 회전 속도 뿐만 아니라 탑승 경로(56)의 차량의 속도는 어트랙션 경로(18)의 놀이기구 차량(16)의 평균 속도보다 낮다.
가변 속도 구역(28)으로부터,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경로(56)에 진입하기 위해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횡단할 수 있다. 실제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트랙 스위치(24)는 가변 속도 구역(28)으로부터 탑승 경로(56)까지 제 1 방향(58)(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을 따라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하는 것과 같이 제 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트랙 스위치(24)는 탑승 경로(56)를 따라 계속하도록 탑승 경로(56)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제 2 방향(60)(예를 들어, 시계 방향)을 따라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하는 것과 같이 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트랙 스위치(26)는 탑승 경로(56)로부터 어트랙션 경로(18)의 시작부를 향해 제 3 방향(62)(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을 따라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제 3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트랙 스위치(26)는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향해 탑승 경로(56)를 따라 더 이동하도록 제 4 방향(64)(예를 들어, 시계 방향)을 따라 놀이기구 차량(16)이 안내하는 것과 같이 제 4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구역(10)에 진입하고, 제 1 트랙 스위치(24)로부터 제 2 트랙 스위치(26)(예를 들어,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65))를 향해 시계 방향(41)으로 탑승 경로(56)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를 따라 주행할 때, 승객들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일단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으로부터 하차하면, 새로운 승객들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새로운 승객들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주요 부분(65)을 따라 이동할 때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2 트랙 스위치(26)에 도달하기 전에 새로운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한 경우,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를 통해 탑승 경로(56)로부터 어트랙션 경로(18)까지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2 트랙 스위치(26)에 도달하기 전에 새로운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하지 않은 경우,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를 통해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향한 탑승 경로(56)(예를 들어,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를 따라)를 따라 탑승을 계속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은 입구 램프(2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승객들과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는 것을 계속 시도하는 동안 입구 램프(22) 아래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22)는, 램프(22) 아래의 클리어런스가 제 2 트랙 스위치(26)의 위치로부터 제 1 트랙 스위치(24)까지 진입 램프(22) 아래로 주행하는 탑승 차량(16) 및 임의의 탑승하지 못한 승객들의 클리어런스를 허용하기에 충분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새로운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할 때까지 이러한 방식으로 탑승 경로(56)를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고 그리고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2 트랙 스위치(26)에 도달하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경로로부터 어트랙션 경로(18)까지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들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턴테이블(20)을 사용하는 트랙 기반 탑승 시스템(12)을 참조하여 논의되지만, 다른 탑승/하차 장치가 본 기술과 연관되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트랙없는 탑승 시스템(12)은 사전 프로그래밍된 또는 가변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트랙없는 차량(16)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2)은, 불규칙한 탑승 영역(예를 들어, 반도, 세장형 또는 다른 형상)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그리고 트랙 기반 또는 트랙없는 차량(16)이 따라서 주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된 탑승 경로(56)에 대해 이동하는 컨베이어(72)를 갖는 탑승 스테이션(70)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 경로(56)는, 승객들이 컨베이어(72) 상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72)의 방향과 정렬된다. 놀이기구 차량(16)은 컨베이어(72)의 속도와 대략 동일한 속도로 탑승 경로(16)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탑승을 위해 추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는 승객들을 수용하기 위해, 차량은 승객 탑승을 위해 재-루프되도록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상으로 제 2 트랙 스위치(26)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어트랙션 경로(18)로의 이동 백(movement back) 및/또는 탑승 경로(56)로의 재-루핑 백(re-looping back)은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개별 놀이기구 차량(16)의 차량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탑승 시스템의 제어기(도 4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개별 놀이기구 차량은 제어 신호의 지시에 따라 어트랙션 경로(18)에 진입하거나 또는 탑승 경로(56)로 재-루프된다.
이를 염두에 두고, 도 3은 탑승 시스템(12)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탑승 프로세스(80)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따라서, 하기의 논의는 도 3과 병행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논의는 탑승 프로세스(80)를 통한 특정 놀이기구 차량(16)의 진행을 참조한다.
블록(82)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어트랙션 경로(18)로부터 탑승 구역(10)에 진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한 후, 놀이기구 차량(16)은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주행하고,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횡단할 수 있다.
블록(84)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통해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제 1 트랙 스위치(24)는 가변 속도 구역(28)으로부터 제 1 방향(58)으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제 1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탑승 경로(56)로 통과시킨 후, 어트랙션 경로(18)를 주행하여 어트랙션을 완료한 놀이기구 차량에 존재하는 승객들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계속 이동하는 동안 제 1 놀이기구 차량(16)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 차량(16)의 승객들은 대안적으로 아직 어트랙션 경로(18)에 진입하지 않고 그리고 불완전하게 탑승된 놀이기구 차량(16)에 있는 탑승 스테이지의 승객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블록(88)에서, 놀이기구 오퍼레이터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계속 이동하는 동안 새로운 승객(들)을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탑승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계속 탑승하는 동안 제 1 트랙 스위치(24)로부터 제 2 트랙 스위치(26)까지 탑승 경로(56)를 따라 계속될 수 있다. 블록(90)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에 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90)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은 제 2 트랙 스위치(26)에 접근할 수 있다. 블록(92)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2 트랙 스위치(26)에 접근함에 따라, 제어기 및/또는 오퍼레이터는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주행할 때(예를 들어, 블록(84, 86, 88, 및 90) 동안), 오퍼레이터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을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을 관찰할 수 있다.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하면, 오퍼레이터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의 점유 상태(예를 들어, 완전히 탑승됨, 비어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탑승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탑승 시스템(12)에 탑승 확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재-루핑은, 완전히 탑승된 차량이 항상 어트랙션 경로로 이동하고, 빈 차량이 항상 재-루프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탑승된 놀이기구 차량이 여전히 탑승하기 위해 시도하는 승객들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재-루프되거나 또는 차량(16)에 빈 좌석이 있더라도 이용 가능한 모든 승객들이 탑승했다는 신호에 기초하여 어트랙션 상으로 이동되도록 규칙-기반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점유 상태는 어트랙션 경로에 진입하도록 허용된 차량과 관련된 제 1 상태 또는 탑승 경로(56)에 재-루프되도록 지정된 차량과 관련된 제 2 상태일 수 있다. 탑승 확인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제어 패널의 버튼을 누르는 것, 키를 이용하는 것, 근거리 통신 장치(예: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것,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의 탑승 확인은 자동일 수 있고, 제 1 놀이기구 차량(16) 내의 승객들의 센서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제어기(예를 들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의 어트랙션 제어기 및/또는 각각의 제어기)는 탑승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탑승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3 방향(62)에서 어트랙션 경로(18)로 주행되도록 제 2 트랙 스위치(26)를 제 3 위치로 조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블록(92)에서,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하고 그리고 제어기가 탑승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를 통해 어트랙션 경로(18)를 향해 안내된다(블록(94)). 다음에,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하고, 결국 탑승 구역(10)에 다시 도착할 수 있다(블록(82)).
그러나, 블록(90)에서, 제어기 및/또는 오퍼레이터가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되었다고 결정하면, 블록(96)에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로부터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향해 탑승 경로(56)를 따라(예를 들어,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 시스템(12)은,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의 탑승을 확인하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자연스럽게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을 따라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트랙 스위치(26)는 자연스럽게 제 4 방향(64)으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을 안내하기 위해 제 4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어기에 의해 탑승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 2 트랙 스위치(26)는 제 4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을 따라 주행한 후,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다시 한번 안내될 수 있다(블록(84)). 제어기는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 상으로 재-루프되도록 놀이기구 차량(16)의 병합을 관리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블록(98)).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이동하는 놀이기구 차량(16)은 일반적으로 탑승 경로(56)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놀이기구 차량(16)이 또한 제 2 트랙 스위치(26)로부터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안내된다고 가정하면, 놀이기구 차량(16)은 또한 일반적으로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96)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승객들이 제 1 놀이기구 차량(16)에 성공적으로 탑승하지 못한 경우,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안내되는 것과 반대로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제 2 트랙 스위치(26)로부터 2차 부분(66)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을 따라 주행하는 놀이기구 차량(16)이 제 1 트랙 스위치(24)에 도달하면, 제 1 트랙 스위치(24)는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을 따라 계속되도록 제 2 방향(60)을 따라 안내하도록 제 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2차 부분(66)으로부터 제 1 트랙 스위치(24)에 도달하면, 놀이기구 차량(16)은 블록(84)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탑승 경로(56)를 따라 다시 한번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장된 간격(예를 들어, 갭, 버블, 공간)은, 탑승 경로(56)를 따라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에 배치되고, 어트랙션 경로(18) 대신에 제 1 트랙 스위치(24)로 안내되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으로 인해서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하는 2개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에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100)에서, 연장된 간격으로 어트랙션 경로(18)를 따라 주행하는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이 가변 속도 구역(28)에 도달하는 경우,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의 연장된 간격은 정규화될 수 있다. 즉,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의 간격은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주행하는 다른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이것은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주행하는 하나 이상의 놀이기구 차량(16)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공간의 조정은 또한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으로부터 탑승 경로(56)의 주요 부분(65)까지 다가오는 차량(16)의 재-루핑과 조화될 수 있다.
블록(100)에서,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주행하는 제 2 놀이기구 차량(16)의 속도는 제 1 트랙 스위치(24)를 향해 2차 부분(66)을 따라 주행하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을 위한 공간을 생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놀이기구 차량(16)은 탑승 경로(56)로 이동하기 전에 어트랙션 경로(18)로부터 가변 속도 구역(28)에 도달할 수 있다. 가변 속도 구역(28)에 있는 동안, 놀이기구 차량(16)은 일정한 간격으로 탑승 경로(56)로 이행하기 위해 공칭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을 따라 제 2 트랙 스위치(26)로부터 안내되면(예를 들어, 수신된 확인 신호가 없기 때문에), 가변 속도 구역(28) 내의 하나 이상의 차량(16)(예를 들어, 제 2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는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의 간격을 대략 두배로 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트랙 스위치(26)로부터 주행하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은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 경로(56)로 이행함에 따라 가변 속도 구역(28)의 한쌍의 인접한 놀이기구 차량(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제로, 제 2 트랙 스위치(24)로부터 2차 부분(66)을 따라 안내되는 제 1 놀이기구 차량(16)의 동작은 블록(98)에서 병합을 관리하는 제어기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탑승 시스템(12)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시스템은 모터(108) 및 턴테이블 제어기(110)를 통해 턴테이블(20)의 회전을 구동하는 턴테이블 조립체(106)를 포함한다. 턴테이블 제어기(110)는 중앙 놀이기구 제어기(120)에 결합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무선 광역 통신망[WWAN], 근거리 통신[NFC])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제어기(120)는 프로세서(124) 및 메모리(126)를 포함한다. 탑승 시스템(12)의 다른 개시된 구성요소는 또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기반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중앙 놀이기구 제어기(120)는 또한 차량 이동, 가변 차량 이동(예를 들어, 가변 속도 구역(28)을 통해), 재-루핑 동안 탑승 경로(56)의 2차 부분(66)으로부터 병합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어트랙션 경로(18)와 탑승 경로(56) 사이에서 놀이기구 차량(16)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트랙 스위치(24) 및 제 2 트랙 스위치(26) 및 이들 각각의 제어기(130, 132)와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120)는, 제 2 트랙 스위치(26)에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놀이기구 차량(16)이 어트랙션 경로(18) 상으로 이동되는 것과 연관된 점유 상태를 갖는다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놀이기구 차량 또는 놀이기구 차량들(16)이 제 2 트랙 스위치(26)에 접근함에 따라, 제 2 트랙 스위치(26)는 어트랙션 경로 위치로 전환(또는 유지)하라는 신호를 수신한다. 다른 예에서, 놀이기구 시스템(14)이 작동중이고 그리고 탑승 경로(56)를 횡단하는 놀이기구 차량(16)이 탑승하지 않은채 유지될 때, 제 2 트랙 스위치(26)는 놀이기구 차량(16)을 재-루프하기 위해서 일정 위치로 이동(또는 유지)하도록 제어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기(120)는 놀이기구 시스템(14)의 모든 차량(16), 및 탑승 경로(56) 또는 어트랙션 경로(18)의 어느 하나 상의 그들 각각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어트랙션 경로(18)에서 원하는 또는 고정된 수의 차량(16)을 유지하기 위해 빈 차량(16)의 재-루핑 또는 유지보수 또는 보지 경로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120)는 어트랙션 경로(18) 상으로의 차량(18)의 진입을 기록할 수 있고, 공간이 이용 가능할 때까지 차량(16)이 재-루프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어트랙션 경로(18)에 너무 많은 차량(16)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120)는 디스플레이(142)를 포함할 수 있는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오퍼레이터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퍼레이터는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이 탑승 시스템(12)을 작동시키기 위해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중앙 제어기(120)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는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들을 위한 가변 탑승 시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는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 하차 및 탑승하는 동안 턴테이블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차량을 갖는 탑승 구역을 구비하는 어트랙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승객들은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 구역을 통과할 때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기 위한 일정 양의 시간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승객이 놀이기구 차량에 일정 양의 시간 이상을 사용한다면, 승객과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구역의 시작부로 재-루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놀이기구 차량의 재-루핑은 탑승 구역을 통해 또는 어트랙션을 통해 다른 놀이기구 차량의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객들은, 다른 놀이기구 차량의 움직임을 크게 방해하지 않고 그리고 전체 놀이기구 시스템(14)이 정상 작동을 계속하도록 허용하면서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기 위한 증가된 또는 가변적인 양의 시간을 갖게 된다. 어트랙션을 통한 놀이기구 차량의 중단없는 진행은 어트랙션이 어트랙션을 통해 많은 양의 손님을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어트랙션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개시의 특정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 의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정신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의 특정 요소는 서로 결합되거나 교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입증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질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에 참조되고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말미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 범위가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U.S.C.112(f)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지정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 범위의 경우, 이러한 구성요소는 35U.S.C.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1)

  1.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attraction loading system)에 있어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
    턴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차량;
    놀이기구 차량을 어트랙션 경로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 2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1 트랙 스위치; 및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어트랙션 경로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3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4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2 트랙 스위치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탑승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턴테이블의 에지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와 정렬된 속도로 탑승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내에 동축으로 위치되고,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 고정 플랫폼을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플랫폼에 연결되는 승객 진입 경로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놀이기구 차량에 대한 놀이기구 차량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어트랙션 경로에서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제어기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션 경로의 단부에 배치된 가변 속도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놀이기구 차량은 가변 속도 구역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가변 속도 구역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까지 안내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가변 속도 구역에 있는 동안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여, 가변 속도 구역 내의 제 2 놀이기구 차량에 대해서 놀이기구 차량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상기 가변 속도 구역 내에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과 상기 제 2 놀이기구 차량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가변 속도 구역 내에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 2 놀이기구 차량의 제 2 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둘 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상기 가변 속도 구역 내에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과 상기 제 2 놀이기구 차량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가변 속도 구역 내에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 2 놀이기구 차량의 제 2 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둘 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놀이기구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이 상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하는 동안 상기 놀이기구 차량과 관련된 탑승 확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놀이기구 제어기가 탑승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2 트랙 스위치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어트랙션 경로까지 안내하도록 제 3 위치에 제 2 트랙 스위치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확인 신호의 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까지 안내하도록 제 4 위치에 제 2 트랙 스위치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13. 승객들을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탑승 경로의 제 1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탑승 경로의 제 2 위치를 향해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는 것;
    놀이기구 차량의 점유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놀이기구 차량의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을 탑승 경로를 따른 제 2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또는 어트랙션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점유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지 또는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기구 차량을 제 2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승객들이 놀이기구 차량에 탑승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놀이기구 차량을 제 2 위치에서 어트랙션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을 제 1 위치에서 탑승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것은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을 따라 또는 어트랙션 경로의 가변 속도 구역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을 따라 안내하도록 제 2 트랙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에 있어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 ―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 ―;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1 트랙 스위치 ― 제 1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 또는 어트랙션 경로 중 하나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됨 ―; 및
    탑승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 2 트랙 스위치 ― 제 2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 또는 어트랙션 경로 중 하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놀이기구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놀이기구 제어기는, 탑승 경로를 따른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가 턴테이블의 회전 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탑승 경로를 따른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어트랙션 경로의 단부에 배치된 가변 속도 구역 ― 상기 제 1 트랙 스위치는 놀이기구 차량을 탑승 경로의 2차 부분 또는 어트랙션 경로의 가변 속도 구역 중 어느 하나로부터 탑승 경로의 주요 부분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탑승 경로의 2차 부분을 따라 배치된 제 2 놀이기구 차량의 존재에 기초하여 가변 속도 구역을 통한 놀이기구 차량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놀이기구 제어기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21.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탑승 및/또는 하차 영역;
    상기 컨베이어의 둘레에 배치된 탑승 경로 ― 놀이기구 차량은 탑승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 ―;
    상기 탑승 경로에 연결된 어트랙션 경로; 및
    차량의 제 1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 경로로부터 상기 어트랙션 경로 상으로 상기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놀이기구 차량의 제 2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탑승 경로를 재-루프하도록 놀이기구 차량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어트랙션 탑승 시스템.
KR1020217029606A 2019-02-22 2020-02-18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0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9323P 2019-02-22 2019-02-22
US62/809,323 2019-02-22
US16/741,400 2020-01-13
US16/741,400 US11584406B2 (en) 2019-02-22 2020-01-13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PCT/US2020/018540 WO2020172107A1 (en) 2019-02-22 2020-02-18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181A true KR20210130181A (ko) 2021-10-29

Family

ID=7214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606A KR20210130181A (ko) 2019-02-22 2020-02-18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584406B2 (ko)
EP (1) EP3927445A1 (ko)
JP (1) JP2022521329A (ko)
KR (1) KR20210130181A (ko)
CN (1) CN113423481A (ko)
CA (1) CA3129161A1 (ko)
SG (1) SG11202108134SA (ko)
WO (1) WO2020172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4406B2 (en) * 2019-02-22 2023-02-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DE202020101431U1 (de) 2020-03-16 2021-06-17 Hereus Establishment Fahrgeschäft
DE102021118616A1 (de) * 2021-07-19 2023-01-19 Mack Rides Ip Gmbh & Co. Kg Vergnügungspark-Fahrgeschäft, insbesondere Achterbah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635A (en) 1965-04-16 1968-10-08 Walt Disney Prod Boat amusement ride
US3865041A (en) * 1973-04-16 1975-02-11 Arrow Dev Co Rotary platform vehicle passenger loading system
US4362456A (en) * 1978-11-06 1982-12-07 Barry Leonard D Rotary loader and storage system
US4543886A (en) * 1983-03-09 1985-10-01 Intamin Inc. Amusement ride including a rotating loading terminal
AT409253B (de) 2000-07-20 2002-07-25 Innova Patent Gmbh 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anlage
US7758435B2 (en) * 2005-09-02 2010-07-20 Water Ride Concepts, Inc. Amusement water rides involving interactive user environments
US7484460B2 (en) * 2005-09-30 2009-02-03 Universal City Studios Lllp Amusement ride track with motion base
CN101314357A (zh) 2007-05-31 2008-12-03 上海市静安区青少年活动中心 一种列车不停站实现上下乘客的系统
US7784405B2 (en) * 2008-04-24 2010-08-31 Disney Enterprises, Inc. Vehicle transfer during operation of an omnimover ride
KR100988364B1 (ko) 2008-09-23 2010-10-18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US8960097B2 (en) 2008-09-30 2015-02-24 Disney Enterprises, Inc. Dynamic loading system for a ride vehicle
DE202008016678U1 (de) * 2008-12-17 2009-03-12 Rofa Rosenheimer Förderanlagen GmbH Weiche für eine Elektropalettenbahn
KR101062917B1 (ko) 2010-11-19 2011-09-07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분기장치
US8517847B2 (en) 2011-09-06 2013-08-27 Disney Enterprises, Inc. Omnitable ride system
US8578857B2 (en) 2011-12-08 2013-11-12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passenger loading separated from vehicle insertion into simulators
US9365364B1 (en) * 2013-07-19 2016-06-14 RWM Technologies, LLC Controlled acceleration and transfer of items via a rotating platform
CA2984755C (en) * 2015-05-04 2023-10-03 Vekoma Rides Engineering B.V. Amusement ride with speed trim system
US10099149B2 (en) * 2015-10-02 2018-10-16 Universal City Studios Llc Amusement park ride tunnel
CN107715457B (zh) 2017-11-10 2022-03-08 广东金马游乐股份有限公司 一种游乐设备的旋转式多发站系统
CN107670286A (zh) 2017-11-10 2018-02-09 中山市金马科技娱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游乐设备的换轨式多发站系统
US11584406B2 (en) * 2019-02-22 2023-02-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US11524710B2 (en) * 2019-03-29 2022-12-13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US11787447B2 (en) * 2019-03-31 2023-10-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4406B2 (en) 2023-02-21
WO2020172107A1 (en) 2020-08-27
US20200269888A1 (en) 2020-08-27
JP2022521329A (ja) 2022-04-06
CA3129161A1 (en) 2020-08-27
CN113423481A (zh) 2021-09-21
US20230166779A1 (en) 2023-06-01
EP3927445A1 (en) 2021-12-29
SG11202108134SA (en)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181A (ko) 탑승 턴테이블 시스템 및 방법
JP2023065453A (ja) 自律輸送技術
KR102110264B1 (ko) 무궤도 차량의 승하차 및 노선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0650781B (zh) 可变的载具乘坐设施转向器
CA3136373C (en) Coaster transportation system
CN101279604A (zh) 悬挂式磁动力微型无人驾驶车及其轨道
EP3946660B1 (en)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JP2022545503A (ja) ゲートシステム、および乗車プラットフォーム(loading platform)を回転させるための方法
JP6605650B2 (ja) 無軌道車両の乗車、降車、及びルーティングを管理す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使用するシステム
RU2021127623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посадочного поворотного стола
JPS5842210Y2 (ja) 乗客輸送用スキ−リフトのタ−ミナル構造
JP2020199220A (ja) 遊戯乗物装置
NL1043084A (en) Panoramic spiral with uncoupled tracks
JPH04135966A (ja) 索道交通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