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969A -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 Google Patents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969A
KR20210129969A KR1020200048145A KR20200048145A KR20210129969A KR 20210129969 A KR20210129969 A KR 20210129969A KR 1020200048145 A KR1020200048145 A KR 1020200048145A KR 20200048145 A KR20200048145 A KR 20200048145A KR 20210129969 A KR20210129969 A KR 20210129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aterial
material injection
metal film
injection product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836B1 (ko
KR102352836B9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36B1/ko
Publication of KR10235283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3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29C2045/14696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transparent decorat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29C2045/14704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ink dec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배면 증착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증착된 금속막과 부분도색층이 동시에 노출되면서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door garnish using partial painting and vehicle door garnish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배면 증착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증착된 금속막과 부분도색층이 동시에 노출되면서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외관을 향상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내장부품에 부착되는 데코레이션 부품으로서 가니쉬를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 내장부품의 고급화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가니쉬를 제작하고 있다.
종래에는 차량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리얼우드, 리얼알루미늄, 카본 직조 필름, 자개 등 다양한 천연의 소재를 사용하여 그 질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가니쉬의 경우 사출시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패턴 손상 혹은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직접적인 패턴의 인서트 사출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리얼소재를 적용하는 종래의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경우, 성형성 확보 및 성형 전후의 수축에 따른 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얼소재의 뒷면에 알루미늄 시트를 접합하여 부품화 하였으나, 이는 원가 상승 및 공정 복잡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출코어의 전면에 도금 또는 증착을 통해 금속막을 형성하여 내장부품을 보호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연출하고자 하였으나, 금속막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마모가 발생하고 금속막이 사출코어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순한 디자인만을 구현할 수 있었다.
한편, 차량용 도어 가니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19937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배면 증착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증착된 금속막과 부분도색층이 동시에 노출되면서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은 금형에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투명소재 사출품을 제작하는 (a)단계;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는 (b)단계;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금속막을 증착하는 (c)단계; 및 상기 부분도색층 및 금속막이 형성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을 금형에 인서트하고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면에 가니쉬 본체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c)단계에서 형성된 금속막이 상기 다수개의 홈을 통해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금속막이 상기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다수개의 홈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에 노출되는 상기 부분도색층 단면과 상기 금속막 단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배면 증착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증착된 금속막과 부분도색층이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동시에 노출되면서 투톤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소재 사출품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에 금속막이 형성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금속막 단면과 부분도색층 단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소재 사출품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상이어서 볼록렌즈 역할을 하며, 투명소재 사출품에 형성된 다수의 홈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홈에 형성된 금속막 자체의 단면의 높이도 변하기 때문에, 즉, 단면의 높이가 점점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과 가까워진 후 다시 멀어지기 때문에 볼록렌즈 효과와 높이차에 의한 확대 배율의 차이로 인해 금속막이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노출되어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도색층 및 금속막을 모두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형성하며, 패드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부분도색을 수행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 배면의 전체에 금속막을 증착하면 금속막이 부분도색에 의해 형성된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부분도색층과 금속막이 동시에 노출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금속막이 표출되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마스킹 작업이 없이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금속막을 증착하더라도 원하는 부위에만 금속막이 표출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킹 공정 없이도 원하는 부위에만 금속막을 증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막이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금속막이 끊어진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단절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금속막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스킹 공정을 통해 금속막을 증착하는 경우에는 금속막의 각 부분들이 서로 이격되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금속막 부분들의 박리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금속막이 마스킹 공정 없이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금속막의 박리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금속막이 부분도색층을 덮어서 감싸기 때문에 부분도색층의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차량용 도어 가니쉬가 제작되는 단계별 결과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차량용 도어 가니쉬가 제작되는 단계별 결과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은 투명소재 사출 단계(S100),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을 하는 단계(S200), 배면 증착 단계(S300) 및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소재 사출 단계(S100)에서는 홈(11) 형성을 위한 다수개의 코어가 형성된 금형에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홈(11)이 형성된 투명소재 사출품(10)을 제작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 수평 사출기 또는 수직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홈(11)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홈(1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을 하는 단계(S200)에서는 패드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의 일정 부위에 도색을 수행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서 다수개의 홈(11)을 제외한 부위에만 부분도색을 수행하여 부분도색층(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부분도색층(20)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면 증착 단계(S300)에서는 부분도색층(20)이 형성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진공 증착법을 통하여 금속막(30)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막(30)은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 형성된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다수개의 홈(11)을 포함한 투명소재 사출품(10) 배면의 모든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막(30) 중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형성된 부분은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다수개의 홈(11)을 포함하여 부분도색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증착된 금속막(30)만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에 노출된다.
한편, 상기 금속막(30) 증착에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진공 증착법을 사용하여 금속막(30)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액에 물체를 담아 금속막(30)을 입히는 도금 방식을 사용하여 금속막(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을 하는 단계(S200)에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서 다수개의 홈(11)을 제외한 부위에만 부분도색을 수행하여 부분도색층(20)을 형성한 후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금속막(30)을 증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을 하는 단계(S200)에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11)에만 부분도색을 수행한 후 다수개의 홈(11)에 형성된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금속막(30)을 증착하거나, 이외에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따라 부분도색층(20)을 다양한 부위에 형성한 후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금속막(30)을 증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부분도색층(20) 및 금속막(30)이 형성된 투명소재 사출품(10)을 금형에 인서트하고,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부분도색층(20) 및 금속막(30)이 형성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후면에 가니쉬 본체(40)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소재 사출 단계(S100)와 마찬가지로 작업 환경에 따라 수평 사출기 또는 수직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할 수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400)에서는 투명소재 사출품(10)을 금형에 인서트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할 때 투명소재 사출품(10)의 후면부와 함께 전면부 둘레에도 사출을 수행하여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 둘레부에 데코 몰딩부(41)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금속막(30) 증착 완료 후 투명소재 사출품(10)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형성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 본체(40)와 데코 몰딩부(41)가 연결되는 부분을 형성하면, 데코 몰딩부(41)가 가니쉬 본체(40)와 연결되어 데코 몰딩부(4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을 하는 단계(S200) 및 배면 증착 단계(S300)에서 부분도색층(20) 및 금속막(30)을 모두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 형성하며, 패드 인쇄(Pad Print) 공법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부분도색을 수행한 후 금속막(30)을 증착하기 때문에 부분도색에 의해 형성된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금속막(30)을 증착하기만 하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부분도색층(20)과 금속막(30)이 동시에 노출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막(30) 증착 시 별도의 마스킹 작업이 없이도 원하는 부위가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킹 공정 없이도 원하는 부위에 금속막(30)을 증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과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를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는 투명소재 사출품(10)과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의 일정 부위에 형성된 부분도색층(20)과 상기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다수개의 홈(11)을 포함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금속막(30)과 부분도색층(20) 및 금속막(30)이 형성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10)의 후면에 형성된 가니쉬 본체(40)를 포함하여 형성 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부분도색층(20)과 증착된 금속막(30)이 동시에 노출되면서 투톤 디자인이 구현된다. 즉,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에서 홈(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부분도색층(20)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홈(11)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금속막(30)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면서 서로 색상이 다른 부분도색층(20)과 금속막(30)이 번갈아가면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에 노출됨으로써 투톤 디자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의 일부 부위에 부분도색층(20)을 형성한 후 부분도색층(20)을 덮으면서 금속막(30)을 형성하되 금속막(30)을 다수개의 홈(11)을 포함한 투명소재 사출품(10)의 배면 전체에 형성하여,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금속막(30) 단면(도 3의 A부분)과 부분도색층(20) 단면(도 3의 B부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 사출품(10)에 형성된 다수의 홈(11)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홈(11)에 형성된 금속막(30, 도 3의 A부분) 자체의 단면의 높이도 변하고 투명소재 사출품(10)이 볼록렌즈 역할을 하기 때문에, 즉, 단면의 높이가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과 점진적으로 가까워진 후 다시 점진적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금속막(30)의 각각의 영역마다 볼록렌즈에 의해 확대되는 비율이 달라짐으로써 입체감이 더욱 향상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 사출품(10)의 전면으로 금속막(30)이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노출되어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고 금속막을 배면 증착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방에 가니쉬 본체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증착된 금속막과 부분도색층이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동시에 노출되면서 투톤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소재 사출품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에 금속막이 형성됨으로써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금속막 단면과 부분도색층 단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소재 사출품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상이어서 볼록렌즈 역할을 하며, 투명소재 사출품에 형성된 다수의 홈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홈에 형성된 금속막 자체의 단면의 높이도 변하기 때문에, 즉, 단면의 높이가 점점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과 가까워진 후 다시 멀어지기 때문에 볼록렌즈 효과와 높이차에 의한 확대 배율의 차이로 인해 금속막이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노출되어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도색층 및 금속막을 모두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형성하며, 패드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의 원하는 부위에 부분도색을 수행한 후 투명소재 사출품 배면의 전체에 금속막을 증착하면 금속막이 부분도색에 의해 형성된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으로 부분도색층과 금속막이 동시에 노출되어 입체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금속막이 표출되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마스킹 작업이 없이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금속막을 증착하더라도 원하는 부위에만 금속막이 표출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스킹 공정 없이도 원하는 부위에만 금속막을 증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막이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금속막이 끊어진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단절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금속막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스킹 공정을 통해 금속막을 증착하는 경우에는 금속막의 각 부분들이 서로 이격되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금속막 부분들의 박리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금속막이 마스킹 공정 없이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금속막의 박리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금속막이 부분도색층을 덮어서 감싸기 때문에 부분도색층의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투명소재 사출품
11 : 홈
20 : 부분도색층
30 : 금속막
40 : 가니쉬 본체
41 : 데코 몰딩부

Claims (3)

  1. 금형에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투명소재 사출품을 제작하는 (a)단계;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부분도색층을 형성하는 (b)단계;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금속막을 증착하는 (c)단계; 및
    상기 부분도색층 및 금속막이 형성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을 금형에 인서트하고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후면에 가니쉬 본체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c)단계에서 형성된 금속막이 상기 다수개의 홈을 통해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금속막이 상기 부분도색층을 덮으면서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다수개의 홈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명소재 사출품의 전면에 노출되는 상기 부분도색층 단면과 상기 금속막 단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KR1020200048145A 2020-04-21 2020-04-21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KR10235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45A KR102352836B1 (ko) 2020-04-21 2020-04-21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45A KR102352836B1 (ko) 2020-04-21 2020-04-21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69A true KR20210129969A (ko) 2021-10-29
KR102352836B1 KR102352836B1 (ko) 2022-01-18
KR102352836B9 KR102352836B9 (ko) 2022-12-27

Family

ID=7823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45A KR102352836B1 (ko) 2020-04-21 2020-04-21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5235A (ja) * 1988-04-28 1989-11-02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装飾板
JPH0577672A (ja) * 1991-09-18 1993-03-30 Koito Mfg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6287499A (ja) * 2005-03-31 2006-10-19 Toyoda Gosei Co Ltd 電波透過性カバー部材
JP2006287500A (ja) * 2005-03-31 2006-10-19 Toyoda Gosei Co Ltd 電波透過性カバー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5235A (ja) * 1988-04-28 1989-11-02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装飾板
JPH0577672A (ja) * 1991-09-18 1993-03-30 Koito Mfg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JP2006287499A (ja) * 2005-03-31 2006-10-19 Toyoda Gosei Co Ltd 電波透過性カバー部材
JP2006287500A (ja) * 2005-03-31 2006-10-19 Toyoda Gosei Co Ltd 電波透過性カバ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836B1 (ko) 2022-01-18
KR102352836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5898A1 (en) Method for making multicolored plastic mixed material of colored drawing
US20060244171A1 (en) In-Mold Decoration process
CN101850591A (zh) 模内装饰成型方法及模制品
CN102991253A (zh) 汽车内饰件上渐变花纹的加工方法
US20090324908A1 (en) Plastic article having decorative pattern and method for making the plastic article
US7003267B2 (en) Internal part design, molding and surface finish for cosmetic appearance
KR102352836B1 (ko) 부분도색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CN101966743B (zh) 注塑模具装置
CN201530101U (zh) 注塑模具装置
JP2008049602A (ja) 複層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複層成形品
KR102442800B1 (ko) 데코 몰딩부를 갖는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JP2012236574A (ja) 樹脂製装飾品
KR20210126899A (ko) 배면 증착을 활용한 차량용 도어 가니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도어 가니쉬
US20100096771A1 (en) Method for fabricating injection-molded product
KR20180093576A (ko) Tom 가식 성형용 고경도 가식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7439441B2 (ja) 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7140702A (ja) 樹脂成形品、樹脂成形用金型、及び、樹脂成形方法
JP5888874B2 (ja) 樹脂製装飾品
CN214694733U (zh) 一种具有立体纹理效果的洗衣机显示面板
JP2011156771A (ja) 2色成形加飾品形成金型、2色成形加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2色成形加飾品
JP7154123B2 (ja) レーダカバー
JP6732212B2 (ja) 樹脂成形品用金型、及び樹脂成形品
JP3917438B2 (ja) 表皮材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H03253437A (ja) 着色モ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68077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とそ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