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045A -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045A
KR20220161045A KR1020210069440A KR20210069440A KR20220161045A KR 20220161045 A KR20220161045 A KR 20220161045A KR 1020210069440 A KR1020210069440 A KR 1020210069440A KR 20210069440 A KR20210069440 A KR 20210069440A KR 20220161045 A KR20220161045 A KR 20220161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lor layer
wood plate
dimensional shap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인
이창균
최연욱
이현석
손정일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06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045A/ko
Publication of KR2022016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wooden surfaces, leather, or linole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00Woodst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금형 사이에 우드 판재를 설치하는 우드 판재 설치 단계, 및 금형으로 우드 판재를 가공하여 우드 판재의 표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OOD PLATE HAVING 3-D SHAPE}
본 발명은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외장재로서 자동차의 콘솔박스나 계기판 주편의 패널 등에 수지성형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전자밥솥 등의 케이스나 커버 등의 가전제품에도 수지성형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데크, 기어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개성화 되는 현추세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기 위하여 우드 등의 우드 제품을 소재로 한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금형 사이에 우드 판재를 설치하는 우드 판재 설치 단계, 및 상기 금형으로 상기 우드 판재를 가공하여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상기 우드 판재를 상기 금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목재 분말을 상기 금형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 분말을 가압하여 상기 우드 판재 상에 3차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분말 성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목재 분말을 상기 금형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오목한 제1 형상이 형성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볼록한 제2 형상이 형성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1차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무늬가 형성된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무늬를 인쇄하는 패드 프린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상기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여 2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2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2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되 잉크의 농도를 부위별로 상이하게 도포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하는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그라데이션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금형으로 우드 판재를 가공하여 우드 판재에 3차원 형상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도 판재에 패드를 이용하여 프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우드 판재 설치 단계(S101),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102), 색상층 형성 단계(S103), 코팅층 형성 단계(S104)를 포함할 수 있다.
우드 판재 설치 단계(S101)는 나무로 이루어진 우드 판재(120)를 상부 금형(112)과 하부 금형(113)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우드 판재(120)는 차량용 내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니어 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형(110)은 상부 금형(112)과 하부 금형(113)을 포함하며, 상부 금형(112)에는 우드 판재(120)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대응 형상(1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110)은 프레스 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102)는 금형(110)으로 우드 판재(120)를 가공하여 우드 판재(120)의 표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3차원 형상(125)을 형성한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102)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금형(110)으로 우드 판재(120)를 가압하여 우드 판재(120)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한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102)는 우드 판재(120)에 압력을 가하면서 열을 함께 가하여 우드 판재(120) 상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형상(125)은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선,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단순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무늬, 나무결 무늬, 요철부, 단일 형상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102)에서 우드 판재(120)의 표면에는 홈으로 이루어진 3차원 형상(125)과 돌기로 이루어진 3차원 형상(125)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색상층 형성 단계(S103)는 색상을 갖는 잉크를 우드 판재(120)에 도포하여 색상층(131)을 형성한다. 색상층 형성 단계(S103)에서 색상층(131)은 스프레이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브러쉬 또는 롤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색상층 형성 단계(S103)에서 잉크는 샌딩 작업 이후에 도포될 수도 있다.
코팅층 형성 단계(S104)는 색상층(131)이 형성된 우드 판재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132)을 형성한다. 코팅층(132)은 색상층(131)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층(132)은 3차원 형상(125) 및 색상층(131)을 덮어서 우드 판재(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층 형성 단계(S104)는 1차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샌딩한 이후에 2차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금형(110)을 이용하여 우드 판재(120)의 표면에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3차원 형상(125)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저가의 우드 판재(120)에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우드 판재 설치 단계(S201),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202),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3), 샌딩 단계(S204), 2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5), 코팅층 형성 단계(S206)를 포함할 수 있다.
우드 판재 설치 단계(S201)는 나무로 이루어진 우드 판재(220)를 상부 금형(212)과 하부 금형(213)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금형(210)은 상부 금형(212)과 하부 금형(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금형(212)에는 목재 분말(265)이 삽입되는 통로(2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형(210)은 사출 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금형(212)에는 목재 분말(265)이 수용되는 홈(215)이 형성된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202)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우드 판재(220)를 가공하여 우드 판재(220)의 표면에 3차원 형상(225)을 형성한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202)는 목재 분말을 금형(210)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목재 분말(265)을 가압하여 우드 판재(220) 상에 3차원 형상(225)으로 형성하는 분말 성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202)는 목재 분말(265)을 투입하기 전에 우드 판재(22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페놀, 멜라민, 요소, 폴리우레탄, 폴리아마이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폴리에스터,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알키드, 아세틸셀룰로오스 및 니트로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목재 분말(265)을 투입하여 가압하면 3차원 형상(225)이 우드 판재(2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202)는 노즐(260)을 통해서 목재 분말(265)을 상부 금형(212) 내부로 주입할 수 있으며, 주입된 목재 분말(265)을 가압, 가열하여 우드 판재(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형상(225)은 단순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무늬, 나무결 무늬, 요철부, 단일 형상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3)는 색상을 갖는 잉크를 우드 판재(220)에 도포하여 1차 색상층(231)을 형성한다.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3)에서 1차 색상층(231)은 스프레이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브러쉬 또는 롤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3)에서 잉크는 샌딩 작업 이후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샌딩 단계(S204)는 1차 색상층(231)이 형성된 우드 판재(220)를 연마하여 표면을 가공한다.
2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5)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203)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여 2차 색상층(232)을 형성할 수 있다. 2차 색상층(232)은 우드 판재(220)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3차원 형상(225)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색상층(232)은 메탈 컬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우드 판재(220)는 강철 느낌이 나는 색, 알루미늄 느낌이 나는 색, 구리 느낌이 나는 색, 코발트 느낌이 나는 색, 크롬 느낌이 나는 색 등 다양한 금속톤이 나는 색을 가질 수 있으며, 우드 느낌 뿐만 아니라 메탈릭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코팅층 형성 단계(S206)는 2차 색상층(232)이 형성된 우드 판재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233)을 형성한다. 코팅층(233)은 2차 색상층(232)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3차원 형상(225) 및 2차 색상층(232)을 덮어서 우드 판재(2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층 형성 단계(S206)는 1차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샌딩한 이후에 2차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목재 분말(265)을 성형하여 우드 판재(220) 상에 3차원 형상(225)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차 색상층(231)과 2차 색상층(232)을 형성하여 2가지 색상을 갖는 우드 판재(220)를 제공하여 나무 느낌과 금속 느낌을 동시에 갖는 우드 판재(2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우드 판재 설치 단계(S301),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302),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303), 샌딩 단계(S304),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S305), 코팅층 형성 단계(S306)를 포함할 수 있다.
우드 판재 설치 단계(S301)는 나무로 이루어진 우드 판재를 상부 금형(312)과 하부 금형(313)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우드 판재(320)는 차량용 내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니어 합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금형(312)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1 대응 형상(314)과 홈으로 이루어진 제2 대응 형상(315)이 형성될 수 있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302)는 프레스 방식 및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우드 판재(320)를 가공하여 우드 판재(320)의 표면에 3차원 형상(324, 325)을 형성한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302)는 금형(310)으로 가압하여 우드 판재의 표면에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진 제1 형상(324)을 형성하고, 목재 분말(365)을 금형(310) 내부로 투입하여 볼록한 돌출부로 이루어진 제2 형상(325)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302)는 우드 판재를 가압하면서 노즐(360)을 통해서 목재 분말(365)을 상부 금형(312)의 통로(316) 내부로 주입할 수 있으며, 주입된 목재 분말(365)을 가압, 가열하여 우드 판재(3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303)는 색상을 갖는 잉크를 우드 판재(320)에 도포하여 1차 색상층(331)을 형성한다.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303)에서 1차 색상층(331)은 스프레이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브러쉬, 롤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샌딩 단계(S304)는 1차 색상층(331)이 형성된 우드 판재(320)를 연마하여 표면을 가공한다.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S305)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S303)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여 그라데이션 색상층(33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S305)는 잉크의 농도를 부위별로 상이하게 도포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한다.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S305)에서 잉크는 스프레이, 브러쉬, 또는 롤러에 의하여 도포될 수 있다.
코팅층 형성 단계(S306)는 그라데이션 색상층(332)이 형성된 우드 판재(32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333)을 형성한다. 코팅층(333)은 그라데이션 색상층(332)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층(333)은 3차원 형상(325) 및 그라데이션 색상층(332)을 덮어서 우드 판재(3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층 형성 단계(S306)는 1차로 코팅층을 형성하고, 샌딩한 이후에 2차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우드 판재(320)의 표면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다른 형상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우드 판재(320)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부여하여 보다 미려한 내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도 판재에 패드를 이용하여 프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우드 판재 설치 단계(S401), 3차원 형상 형성 단계(S402), 색상층 형성 단계(S403), 코팅층 형성 단계(S404), 패드 프린팅 단계(S4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은 패드 프린팅 단계(S405)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 프린팅 단계(S405)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드(170)를 이용하여 우드 판재(120)에 무늬, 모양 등을 인쇄한다. 패드 프린팅 단계(S405)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드(170)를 이용하여 인쇄하며, 패드(170)에는 무늬(171)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 프린팅 단계(S405)는 3차원 형상(125)에만 무늬를 인쇄할 수도 있다. 패드 프린팅 기법을 적용하면 평평한 대상뿐만 아니라,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의 대상물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310: 금형
112, 212, 312: 상부 금형
113: 213, 313하부 금형
120, 220, 320: 우드 판재
125, 225: 3차원 형상
131: 색상층
132, 233, 333: 코팅층
231, 331: 1차 색상층
232: 2차 색상층
260, 360: 노즐
265, 365: 목재 분말
314: 제1 형상
325: 제2 형상
332: 그라데이션 색상층

Claims (10)

  1.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된 금형 사이에 우드 판재를 설치하는 우드 판재 설치 단계; 및
    상기 금형으로 상기 우드 판재를 가공하여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오목하거나 볼록한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3차원 형상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상기 우드 판재를 상기 금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우드 판재의 표면에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목재 분말을 상기 금형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 분말을 가압하여 상기 우드 판재 상에 3차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분말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형성 단계는, 목재 분말을 상기 금형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우드 판재가 금형에 의하여 가압되어 표면에 제1 형상이 형성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제2 형상이 형성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1차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무늬가 형성된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무늬를 인쇄하는 패드 프린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상기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여 2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2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2차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1차 색상층을 형성하는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1차 색상층 형성 단계에서 도포된 색상과 다른 색상의 잉크를 도포하되 잉크의 농도를 부위별로 상이하게 도포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하는 그라데이션 색상층 형성 단계와 상기 그라데이션 색상층이 형성된 상기 우드 판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KR1020210069440A 2021-05-28 2021-05-28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KR20220161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40A KR20220161045A (ko) 2021-05-28 2021-05-28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40A KR20220161045A (ko) 2021-05-28 2021-05-28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045A true KR20220161045A (ko) 2022-12-06

Family

ID=844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440A KR20220161045A (ko) 2021-05-28 2021-05-28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803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енки, и пленка,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варианты)
US8083979B2 (en) In mold lamination of decorative products
JP2007517686A (ja) 装飾製品の金型内ラミネーション
EP3623168A1 (en) Automobile decor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070054116A1 (en) In-Mold Lamination Of A Decorative Product To A Primary Substrate
US8092733B2 (en) In mold lamination of decorative products
US1193866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ed part
KR20100021196A (ko) 자동차용 내장 판넬의 제조방법
US20170173922A1 (en) Vehicle interior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637065B2 (en) Plastics material decorative part
KR101773533B1 (ko) 리얼우드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61045A (ko) 3차원 형상을 갖는 우드 판재의 제조 방법
KR102107400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30453B2 (en) Garnish and vehicle door including the same
KR20130060485A (ko) 한지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4814A (ko) 우드 포일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 및 전자제품 마감패널용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210036280A (ko)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789612B (zh) 车辆用内装材料的制造方法及车辆用内装材料
KR102101286B1 (ko) 리얼카본 인테리어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0168B1 (ko) 자개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
KR102395269B1 (ko) 카본 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6546033U (zh) 一种汽车内饰包覆皮革及汽车内饰件
KR20170024815A (ko) 우드 포일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 및 전자제품 마감패널용 성형품 사출방법
KR100426375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5601A (ko) 리얼 우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