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375B1 -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375B1
KR100426375B1 KR10-2003-0066951A KR20030066951A KR100426375B1 KR 100426375 B1 KR100426375 B1 KR 100426375B1 KR 20030066951 A KR20030066951 A KR 20030066951A KR 100426375 B1 KR100426375 B1 KR 10042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resin
shape
interio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483A (ko
Inventor
이환길
Original Assignee
이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길 filed Critical 이환길
Priority to KR10-2003-006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3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3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for fire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 및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 배치되게 결합되며,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Closing panel of interior materials for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석 전방이나 도어의 내측에는 내장재가 부착되는데, 이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기능은 물론, 차량의 사고시 탑승자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내부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이 탄성을 갖는 충진물을 주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완충력에 의해 탑승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데크, 기어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도어트림과 같은 내장재에 절취 형성된 설치공에서 외부로 드러나도록 설치되며,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용 내장 마감 패널이라 함은,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 오디오부 마감 패널,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 원도우스위치부 마감 패널뿐만 아니라, 차체개구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발로 밟더라도 웨저스트립이 밀려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은 물론 미관상에도 보기가 좋도록 하는 도어 스카프 등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 마감 패널은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개성화 되는 현 추세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장재 마감 패널 또한 내장재와 동일하게 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쿳션감을 갖는 합성수지 폼(foam) 등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로는 그 표면에 도금 등의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그 표면에 다양한 모양을 인쇄하기가 곤란하고 결국 미려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자동차의 실내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근자에 들어 일명 우드그레인(wood grain)이라 칭하는 박판 필름지로 이루어지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개발되어 그 표면을 다소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 실내분위기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우드그레인은 외표면에 나무와 똑같은 우드그레인 화학특수도료를 시공한 것으로서, 나무와 똑같은 색상과 무늬결을 외표면에 만들 수 있어 탑승자로 하여금 색다른 분위기를 느끼게 하여 다소 자동차 실내의 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우드그레인의 경우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모두 원목과 같은 질감만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이한 디자인 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탑승자 등이 식상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는, 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나 쿳션감을 갖는 합성수지 폼(foam)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 이러한 연질재료에는 크롬 도금 등을 수행하기가 불가능하여 자동차의 실내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우드그레인을 적용하는 경우 우드그레인의 종류가 다양하지만 모두 원목과 같은 질감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이한 디자인 감을 제공할 수 없어 자동차가 개성화 되고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에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 기호 및 욕구에 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 내부를 보다 미려하기 위하여 한정된 변형과 옵션만이 사용되는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해짐으로써 제조비용이 증가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 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을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문자나 로고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 마감 패널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레스 포밍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카프를 인서트 사출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20, 20a, 20b : 수지성형물
21, 21a : 수지성형물 본체 23, 23a : 클립
30, 30a : 금속 판형소재 31 : 테두리부
43 : 하부다이 44 : 스프링
45 : 패드 47 : 펀치(punch)
48 : 가이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 및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 배치되게 결합되며,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성형물과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가 헤밍(Hemming) 가공에 의해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성형물과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된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상기 수지성형물이 사출성형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소정 영역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문자 또는 로고의 궤적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상기 수지성형물이 사출성형될 때 수지의 일부가 상기 수지유출공으로부터 퍼져상기 금형속재의 외표면에 문자 또는 로고의 형태로 소정 두께를 가지고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는 수지성형물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배치되어 테두리부가 절곡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상기 금속 판형소재가 접촉 배치시킨 후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절곡하여 상기 수지성형물과 결합시키는 헤밍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b1)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 단계; (b2) 상기 블랭킹(blank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필요한 입체형상으로 만드는드로잉(drawing) 가공 단계; (b3) 상기 드로잉(draw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정형(整形)하도록 상기 드로잉(draw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 가공 단계; (b4) 상기 트리밍(trimm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펴는 와이핑(wiping) 가공 단계; 및 (b5)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와이핑(wip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가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배치되어 테두리부가 절곡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와이핑(wip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절단하는 캠 트리밍(cam trimming)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에 인쇄된 소정의 모양은 오프셋인쇄방법 및 스크린인쇄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가지도록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b) 상기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로 하여 상기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내측으로 사출성형되는 수지성형물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 단계; 및 (a2) 상기 블랭킹(blank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 포밍(forming)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 전에,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문자 또는 로고의 궤적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수지유출공을 형성하는 피어싱(piercing)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에 인쇄된 소정의 모양은 오프셋인쇄방법 및 스크린인쇄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는 사출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불량성형을 방지하도록 핀 포인트 게이트 (Pin Point Gate)를 사용하며, 상기 수지성형물은, 상기 수지성형물이 성형되는 캐비티의 부근에서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는 오버블록에 수지가 유입된 후 상기 캐비티에 수지가 유입되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10)은, 대시보드 즉 크러쉬패드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차내측에서 마감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1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착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20)과,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 배치되게 결합되는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구비한다.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표면에는 소정의 모양이 오프셋인쇄 또는 스크린인쇄에 의하여 인쇄되어 자동차 내부의 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수지성형물(2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가 함유된 것을 주로 사용하는데,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약 10% 정도 더 함유한 것을 사용한다. 수지성형물(20)은, 형상을 형성하는 수지성형물 본체(21)와, 수지성형물 본체(21)의 내표면에 차체와 조립을 위한 클립(23)을 구비하는데, 클립(23)은 수지성형물 본체(21)와 함께 사출성형 시에 성형된다.
한편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10)에서, 알루미늄 판형소재(30)는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수지성형물(20)에 결합된다. 즉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에 알루미늄 판형소재(30)가 접촉 배치되도록 조립한 뒤에 헤밍(hemming) 가공으로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절곡함으로써 수지성형물(20)과 알루미늄 판형소재(30)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표면에는 오프셋인쇄방법 또는 스크린인쇄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오프셋인쇄는 판에서 직접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지 않고 중개 구실을 하는 고무 블랫킹(고무 롤)에 일단 전사인쇄한 다음에 용지에 인쇄하는 방법이며, 스크린인쇄는 비단이나 화학섬유의 천을 팽팽하게 하여 스크린으로 하고 비화선부(非畵線部)가 되는 부분을 형지(型紙) 또는 아교재로 덮어씌운 다음 그 위에서 잉크를 부여하면 화선부(非畵線部)에만 잉크가 스크린을 통하여 인쇄하는 방법으로 소재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무늬는 알루미늄 판형소재(30)가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할 때 또는 헤밍(hemming) 가공으로 수지성형물(20)과 알루미늄 판형소재(30)가 결합될 때의 변형을 고려하여 형성되어 제작 이후에 모양이나 무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대시보드(dash board)부 마감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들의 주위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부착 부위에 대응되며 이러한 부착을 위하여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는 수지성형물(20)을 사출성형한다(100).
다음으로,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가공하여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소정의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을 수행하고(101), 블랭킹(blank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필요한 입체형상으로 만드는 드로잉(drawing) 가공을 수행한다(102). 그런 다음에, 드로잉(draw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정형(整形)하기 위하여 드로잉(draw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 가공을 수행하고(103), 트리밍(trimm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다시 펴는 와이핑(wiping) 가공을 수행한다(104). 와이핑(wiping) 가공을 수행하는 이유는 수지성형물(20)과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조립한 뒤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절곡하는 헤밍 가공 전에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정확한 형상과 치수로 가공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나서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고 또한 와이핑(wip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가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배치되어 테두리부(31)가 절곡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와이핑(wip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절단하는 캠 트리밍(cam trimming) 가공을 수행한다(105).
마지막으로, 수지성형물(20)의 외표면과 측면에 알루미늄 판형소재(30)를 접촉 배치시킨 후(110) 알루미늄 판형소재(30)의 테두리부(31)를 절곡하여 수지성형물(20)과 결합시키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여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10)을 제작을 완료한다(12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변속부 마감패널(10a)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기어변속부의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들의 주위에 설치되어 자동차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된다.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10a)도 요구되는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20a)과, 수지성형물(20a)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수지성형물(20a)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 배치되게 결합되는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구비한다. 전술한 대시보드부 마감 패널(10)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되어 지시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거의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10a)에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는, 수지성형물(20a)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수지성형물(20a)이 사출성형될 때에 수지성형물(20a)과 결합된다. 그리고 수지성형물(20a)은 나일론(nylon)에 유리섬유(Glass Fiber)가 약 10%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의 기어변속부 마감 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기어변속부의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들의 주위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가지도록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가공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금속 판형소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을 수행한다(100a). 그런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소정의 요구된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 포밍(forming) 가공을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다이(43)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탄성부재 즉 본 실시 예에서 스프링(44)에 의해 결합되며, 스프링(44)이 수축 시 하부다이(43)와 함께 기어변속부의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들의 주위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표면을 형성하는 패드(45) 위에 블랭킹(blanking)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배치하고 하부다이(43)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설치된 펀치(47)로 가이드(48)에 의해 안내되는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다(110a).
그런 다음에,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를 인서트로 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의 내측으로 사출성형되는 수지성형물(2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기어변속부 내장 마감 패널(10a)의 제작을 완료한다. 여기서 사출성형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출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불량성형을 방지하도록 사출 성형 시에는 핀 포인트 게이트 (Pin Point Gate)를 사용하며, 수지성형물(20a)이 성형되는 캐비티의 수지의 흐름성이 좋지 않은 일부 부근에 캐비티와 연통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는 오버블록(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수지를 캐비티 내로 주입시키면 우선 일부의 수지가 이물질 등과 혼합되어 오버블록으로 들어가서 오버블록을 채운게 되고 뒤에 주입된 수지가 캐비티를 채운 후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사출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어 스카프와 같은 자동차용 내장 마감 패널은 통상적으로 문자나 로고가 인쇄되는데 이러한 문자나 로고를 사출 성형 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카프를 인서트 사출하는 공정을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시에 문자나 로고를 동시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 단계 전에,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하고자 하는 알루미늄 판형소재(30b)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로고의 궤적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수지유출공(34)을 형성하는 피어싱(piercing) 가공 단계를 우선 수행한다. 그런 다음에 피어싱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b)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사출 성형하게 되면 수지성형물(20b)이 사출성형될 때 수지의 일부가 수지유출공(34)으로부터 퍼져 알루미늄 판형소재(30b)의 외표면에 문자 또는 로고(36)의 형태로 소정 두께를 가지고 성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자동차용 내장 마감 패널(10, 10a, 10b)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들의 주위 또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도록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20, 20a, 20b)과, 수지성형물(20, 20a, 20b)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수지성형물(20, 20a, 20b)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 배치되게 결합되며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 30a, 30b)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금속 판형소재가 알루미늄 판형소재(30, 30a, 30b)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금속 판형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 30b)를 인서트로 하여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 30b)의 내측으로 수지성형물(20a, 20b)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기 전에 가공된 알루미늄 판형소재(30a, 30b)를, 블랭킹(blanking) 가공과 프레스 포밍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블랭킹(blanking) 가공, 드로잉 가공 및 트리밍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어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외표면을 종래와 달리 미려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 분위기 및 디자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금속 판형소재에 수지유출공을 형성한 뒤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로 하여 수지성형물을 형성하게 되면 표면에 문자나 로고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 및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 사출성형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며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소정 영역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문자 또는 로고의 궤적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Insert)로 하여 상기 수지성형물이 사출성형될 때 수지의 일부가 상기 수지유출공으로부터 퍼져 상기 금형 판형소재의 외표면에 문자 또는 로고의 형태로 소정 두께를 가지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6.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갖는 수지성형물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배치되어 테두리부가 절곡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상기 금속 판형소재가 접촉 배치시킨 후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절곡하여 상기 수지성형물과 결합시키는 헤밍 가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b1)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 단계;
    (b2) 상기 블랭킹(blank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필요한 입체형상으로 만드는 드로잉(drawing) 가공 단계;
    (b3) 상기 드로잉(draw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정형(整形)하도록 상기 드로잉(draw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 가공 단계; 및
    (b5)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가 상기 수지성형물의 외표면과 측면에 접촉배치되어 테두리부가 절곡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절단하는 캠 트리밍(cam trimming)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3)단계 후에,
    (b4) 상기 트리밍(trimm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테두리부를 펴는 와이핑(wiping)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에 인쇄된 소정의 모양은 오프셋인쇄방법 및 스크린인쇄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9.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시보드(dash board), 오디오데크(audio deck), 기어변속부, 창문개폐부 등의 주위 또는 상기 차체 개구부 하단 등에 부착가능한 소정의 요구된 형상을 가지도록 외표면에 소정의 모양이 인쇄된 금속 판형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b) 문자 또는 로고를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금속 판형소재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문자 또는 로고의 궤적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수지유출공을 형성하는 피어싱(piercing) 가공 단계; 및
    (c) 상기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인서트로 하여 상기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의 내측으로 사출성형되는 수지성형물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블랭킹(blanking) 가공 단계; 및
    (a2) 하부다이와 상대 이동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 시 상기 하부다이와 함께 상기 소정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표면을 형성하는 패드 상에 상기 블랭킹(blanking) 가공된 금속 판형소재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다이에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설치된 펀치로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금속 판형소재를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 포밍(forming)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형소재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 중 어느 하나로 되며, 상기 금속 판형소재에 인쇄된 소정의 모양은 오프셋인쇄방법 및 스크린인쇄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사출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불량성형을 방지하도록 핀 포인트 게이트 (Pin Point Gate)를 사용하며, 상기 수지성형물은, 상기 수지성형물이 성형되는 캐비티의 부근에서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는 오버블록에 수지가 유입된 후 상기 캐비티에 수지가 유입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3-0066951A 2003-09-26 2003-09-26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26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51A KR100426375B1 (ko) 2003-09-26 2003-09-26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951A KR100426375B1 (ko) 2003-09-26 2003-09-26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483A KR20030086483A (ko) 2003-11-10
KR100426375B1 true KR100426375B1 (ko) 2004-04-08

Family

ID=3238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951A KR100426375B1 (ko) 2003-09-26 2003-09-26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81B1 (ko) * 2006-01-04 2008-09-1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알루미늄 시트를 이용한 멀티 패턴 부품 제조용 알루미늄인서트 성형 사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든 자동차용재떨이
KR102141425B1 (ko) * 2019-10-29 2020-08-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이너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483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803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енки, и пленка,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варианты)
EP2529912B1 (de) Funktionsträger mit Tastenfunktionen
US10926640B2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deformable outer surface with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7060215B2 (e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trim panel
US20050046075A1 (en) Two shot molding with soft bolster option
KR20100021196A (ko) 자동차용 내장 판넬의 제조방법
WO2016120287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5766211B2 (ja) 内装トリム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内装トリム部品
CN111136732B (zh) 用于制造模制件的方法
KR100426375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7758787B2 (en) Multi-shot injection molded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017404A1 (en) Method of molding a vehicle trim component
US7159914B2 (en) Decorative covering for an interior trim component
DE102017120152A1 (de) Sichtteil insbesondere für ein Bedienelement in einem Kraftfahrzeug
JP5177656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30060485A (ko) 한지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40168A1 (en) Door trim panel assembly having integrated soft-touch aesthetic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7914652B (zh) 装饰件以及包括该装饰件的车门
CN109789612B (zh) 车辆用内装材料的制造方法及车辆用内装材料
KR101866849B1 (ko)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20200056173A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 패널
KR20080009553A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EP4249325A1 (en) Interior trim part of or for a vehicle, a vehicle comprising such an interior trim pa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interior trim part
CN218839200U (zh) 一种模块化客车仪表台
US20240025238A1 (en) Quarter glass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