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532A -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532A
KR20210129532A KR1020200047709A KR20200047709A KR20210129532A KR 20210129532 A KR20210129532 A KR 20210129532A KR 1020200047709 A KR1020200047709 A KR 1020200047709A KR 20200047709 A KR20200047709 A KR 20200047709A KR 20210129532 A KR20210129532 A KR 20210129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cable
electric vehicle
angle adjusting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170B1 (ko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대영채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채비(주) filed Critical 대영채비(주)
Priority to KR102020004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모듈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모듈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이 거치되고, 선회동작 및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수단;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와, 상기 캠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캠공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캠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 및 상기 각도조절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 상부는 상기 작동수단의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 하부는 상기 작동수단의 승하강동작 및 선회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장치에 충전케이블의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도입하여 충전케이블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height and angle adjustment means of charging cab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장치에 충전케이블의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도입하여 충전케이블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차 충전장치의 충전케이블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 많은 배선들이 내장되어 있어 유연성일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다는 점에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충전장치로부터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건이나 충전케이블을 전기차의 정차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힘을 가하는 경우 충전케이블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충전케이블은 고전압, 고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케이블이 뒤틀리거나 하여 파손이 있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차량이 충전을 위해 정차하는 위치를 특정된 위치나 방향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많은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차량마다 충전 소켓의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의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그 불편함으로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을 보장하면서 충전케이블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7818(2017.05.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차 충전장치에 충전케이블의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도입하여 충전케이블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의 제2 가이드공은 수직 장공 형태의 제1 가이드공과 이어져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 즉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이드바의 승강 시, 제2 가이드공으로부터 제1 가이드공으로의 진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는 충전모듈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모듈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이 거치되고, 선회동작 및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수단;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와, 상기 캠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캠공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캠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 및 상기 각도조절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 상부는 상기 작동수단의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 하부는 상기 작동수단의 승하강동작 및 선회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공과, 상기 제1 가이드공의 하부와 이어지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플레이트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수단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가이드바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을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인출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의 구동롤러와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롤러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블록과 결합되는 구동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부와 하부에 제1 및 제2 고정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지지부재 상단에는 상기 제1 고정브래킷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의 지지부재 하부에는 상기 제2 고정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고정브래킷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플레이트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는 제1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작동수단의 지지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2 브래킷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케이블인출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작동수단의 승하강 동작 시, 상기 케이블인출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안내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는 전기차 충전장치에 충전케이블의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수단을 도입하여 충전케이블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의 제2 가이드공은 수직 장공 형태의 제1 가이드공과 이어져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 즉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이드바의 승강 시, 제2 가이드공으로부터 제1 가이드공으로의 진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각도조절수단에 의한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작동수단(20)과, 각도조절수단(30) 및 케이싱(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0)은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충전모듈이 내장된다. 이 경우 충전스테이션은 통상적인 충전소나, 아파트, 물류 차량기지, 공용주차장의 충전소가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는 작동수단(20), 각도조절수단(30) 및 케이싱(40)이 하나의 모듈로서 설치된다. 이 경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작동수단(20), 각도조절수단(30) 및 케이싱(40)의 장착을 위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고정브래킷(11)과 제2 고정브래킷(13)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베이스프레임 상단, 즉 케이싱의 후방에는 구성품의 노출을 방지하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후방케이싱(15)이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20)은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배치되어 충전케이블(CC)이 거치되고, 선회동작 및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작동수단(20)은 지지부재(21), 가이드블록(22)과, 케이블인출부(23)와, 구동롤러(24)와, 구동모터(25)와, 구동벨트(26) 및 제1 브래킷(27)으로 구성된다.
먼저 작동수단(20)의 지지부재(21)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면에 상하로 가이드레일(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21)의 상단과 하부에는 제1 회전부(28)와 제2 회전부(29)가 구비되는데, 각 회전부(28)(29)는 작동수단(20)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부(28)는 도 4의 (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1)의 상단에는 제1 연결체(28c)가 구비되고, 제1 연결체(28c)에는 제1 고정브래킷(11)에 형성되는 제1 삽입공(11a)에 삽입되는 제1 회전축(28a)이 구비된다. 제1 삽입공(11a)에는 내장되어 제1 회전축(28a)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28b)이 구비된다.
제2 회전부(2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1)의 하부 측면에 블록체(29a)가 구비되고, 이 블록체(29a) 하부에는 제2 회전축(29b)이 구비된다. 제2 회전축(29b)은 제2 고정브래킷(13)에 형성되는 제2 삽입공(13a)에 삽입되어 제2 삽입공(13a)에 내장된 제2 베어링(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부재(21)는 제1 및 제2 회전부(28)(29)의 각 회전축(28a)(29b)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동수단(20)의 가이드블록(22)은 지지부재(21)의 가이드레일(21a)에 결합되어 상하로 가이드레일(21a)을 타고 활주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블록(22)에는 충전케이블(CC)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 케이블인출부(23)가 구비되고, 이 케이블인출부(23)에 의하여 충전케이블(CC)은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케이블인출부(23) 전면에는 케이싱(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수단(20)의 구동롤러(24)는 지지부재(21)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각 구동롤러(24)는 구동벨트(26)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구동벨트(26)에는 가이드블록(22)이 연결부재(22a)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작동수단(20)의 구동모터(25)는 구동롤러(24) 중 어느 하나의 구동롤러(24)에 구동축이 연결되는데, 배치 구조상 첨부된 도 2의 도시와 같이 지지부재(21)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동모터(25)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구동롤러(24)와 구동벨트(26)를 회전시켜 가이드블록(22)의 승하강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작동수단(20)의 제1 브래킷(27)은 가이드블록(22)에 구비되어 각도조절수단의 가이드바(35)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수단(20)의 선회동작을 제1 회전부(28)와 제2 회전부(29)에 의하여 구현되고, 승하강동작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 가이드블록(22), 케이블인출부(23) 및 제1 브래킷(27)을 구동모터(25)의 구동으로 구현된다.
한편 전기차 충전장치의 충전케이블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 많은 배선들이 내장되어 있어 유연성일 떨어질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다는 점에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충전장치로부터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건이나 충전케이블을 전기차의 정차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힘을 가하는 경우 충전케이블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충전모듈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케이블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충전 편의성과 충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각도조절수단을 도입하고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수단(30)은 캠구조를 이용하여 작동수단(20)의 선회동작 및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도조절수단(30)은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31)와, 캠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캠공(33)과, 작동수단(20)과 연결되어 캠공(33)에 수용되는 가이드바(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각도조절수단의 캠플레이트(31) 상부와 하부에는 제1 및 제2 고정브래킷(11)(13)에 장착을 위한 상부브래킷(37)과 하부브래킷(39)이 구비되어 각 고정브래킷(11)(13)에 볼트체결 내지 용접접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캠플레이트(31)는 대략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캠플레이트(31)의 곡률은 작동수단(20)의 선회동작 시, 가이드바(35)가 곡률을 따라 회동하도록 하여 캠공(33)으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각도조절수단의 캠공(33)은 상부 부분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의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공(33a)과, 하부 부분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공(33a)의 하부와 이어지고, 학장된 공간을 갖는 제2 가이드공(33b)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가이드공(33a)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공(33b)의 확장 공간은 첨부된 도 6의 도시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단부터 확장된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다가 수직형태로 박스형 공간이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어느 경우이거나 제2 가이드공은 하단부에서 공간 폭이 가장 넓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수단(20)에 의한 승하강동작 시, 가이드바(35) 역시 가이드블록(22)과 함께 승하강을 하게 되는데, 가이드바(35)가 제1 가이드공(33a)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하강동작만이 구현되고, 가이드바(35)가 제2 가이드공(33b)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하강동작 뿐만 아니라 일정 각도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제2 가이드공(33b)이 하방으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고, 그 하단에서는 원호의 길이에 따라 회동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각도는 대략 20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회전각도는 증감이 가능하다.
즉 작동수단(20)에 의하여 가이드바(35)가 캠공(33)의 상단, 즉 제1 가이드공(33a)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작동수단(20)의 회동은 제한되나, 작동수단(20)에 의하여 가이드바(35)가 제2 가이드공(33b)의 최하단으로 하강한 경우에는 제2 가이드공(33b)의 원호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작동수단(20)의 선회동작은 제1 및 제2 회전부(28)(29)에 의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바(35)는 제1 가이드공(33a)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작동수단(20)의 회동이 제한된다. 반대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바(35)가 제2 가이드공(33b)의 최하단으로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충전케이블(CC)이나 충전건을 전기차의 충전소켓 위치로 움직이는 경우 작동수단(20)은 회동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가 가능하여 충전케이블(CC)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작동수단(20)의 선회동작은 사용자 충전건을 움직이는 경우 제1 및 제2 회전부(28)(29)에 의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충전이 종료되면 작동수단(20)의 구동으로 각도조절수단의 가이드바(35)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가이드바(35)가 제2 가이드공(33b)으로부터 제1 가이드공(33a)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가이드공(33b)으로부터 제1 가이드공(33a)으로 가이드바(35)의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제2 가이드공(33b)의 형상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제2 가이드공(33b)의 상단과 제1 가이드공(33a)의 하단이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가이드공(33b)으로부터 상승하는 가이드바(35)는 제1 가이드공(33a)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는 충전이 종료되는 지점은 충전케이블(CC)의 선회된 위치에 따라 제2 가이드공(33b)의 하단 어느 지점에서라도 종료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 승강하는 가이드바(35)는 상승하면서 제2 가이드공(33b)의 양측면, 즉 경사면를 타고 제1 가이드공(33a)으로 자연스럽게 진입이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공(33b)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40)은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작동수단(20)과 각도조절수단(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40)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작동수단(20)과 각도조절수단(30)이 내장된다. 케이싱(40)의 상부에는 제1 지지체(41)가 구비되어 작동수단(20)의 지지부재(21)가 제2 브래킷(47)에 의하여 장착되고, 케이싱(40)의 하부에는 제2 고정브래킷(13)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림 형태의 제2 지지체(4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지지체(41) 상부에는 덮개(49)가 장착되어 있고, 제1 지지체(41)와 덮개(49)는 케이싱(40)과 함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싱(40)의 전반구에는 케이블인출부(23)의 돌출부(23a)가 외부로 노출시키고, 작동수단(20)의 승하강 동작 시, 케이블인출부(23)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안내부(45)가 형성된다. 이 경우 케이싱(40)의 후반구에는 제1 고정브래킷(11)의 배치공간을 확보하고, 케이싱(4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싱은 작동수단(20)과 각도조절수단(30)에 의하여 충전케이블(CC)의 승하강동작과 선회동작이 가능한데, 특히 선회동작의 경우에는 작동수단(20)에 의하여 케이블인출부(23)가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케이블인출부의 돌출부(23a)가 케이싱의 안내부(45)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충전케이블(CC)의 이동에 의하여 케이싱도 자연스럽게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작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스트로크는 대략 300mm 정도로 설정되고, 하단점에서 수동에 의한 회동각도는 대략 25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는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한 사항으로 설계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하 구동을 위한 작동수단의 구동모터는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C : 충전케이블
10 : 베이스프레임
11 : 제1 고정브래킷 11a : 제1 삽입공
13 : 제2 고정브래킷 13a : 제2 삽입공
15 : 후방케이싱
20 : 작동수단
21 : 지지부재 21a : 가이드레일
22 : 가이드블록 23 : 케이블인출부
23a : 돌출부 24 : 구동롤러
25 : 구동모터 26 : 구동벨트
27 : 제1 브래킷 28 : 제1 회전부
28a : 제1 회전축 28b : 제1 베어링
28c : 제1 연결체
29 : 제2 회전부 29a : 제2 연결체
29b : 제2 회전축
30 : 각도조절수단
31 : 캠플레이트 33 : 캠공
33a : 제1 가이드공 33b : 제2 가이드공
35 : 가이드바 37 : 상부브래킷
39 : 하부브래킷
40 : 케이싱
41 : 제1 지지체 43 : 제2 지지체
45 : 안내부 47 : 제2 브래킷
49 : 덮개

Claims (8)

  1. 충전모듈이 장착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모듈에 연결된 충전케이블(CC)이 거치되고, 선회동작 및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수단(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는 캠플레이트(31)와, 상기 캠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캠공(33)과, 상기 작동수단(20)과 연결되어 상기 캠공(33)에 수용되는 가이드바(35)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3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20) 및 상기 각도조절수단(30)이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33) 상부는 상기 작동수단(20)의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33) 하부는 상기 작동수단(20)의 승하강동작 및 선회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공(33)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공(33a)과,
    상기 제1 가이드공(33a)의 하부와 이어지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공(3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플레이트(31)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20)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가이드레일(21a)이 구비되는 지지부재(21)와,
    상기 지지부재(21)의 가이드레일(21a)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가이드바(35)가 연결되는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가이드블록(22)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CC)을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케이블인출부(23)와,
    상기 지지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롤러(24)와,
    상기 지지부재(21)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롤러(24) 중 어느 하나의 구동롤러(24)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5)와,
    상기 구동롤러(24)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블록(22)과 결합되는 구동벨트(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부와 하부에 제1 및 제2 고정브래킷(11)(1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20)의 지지부재(21) 상단에는 상기 제1 고정브래킷(11)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2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부(28)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20)의 지지부재(21) 하부에는 상기 제2 고정브래킷(13)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2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부(2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브래킷(11)(13)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캠플레이트(31)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0)의 상부에는 제1 지지체(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체(41)와 상기 작동수단(20)의 지지부재(21)를 연결하기 위한 제2 브래킷(4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0)에는 상기 케이블인출부(23)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작동수단(20)의 승하강 동작 시, 상기 케이블인출부(23)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안내부(4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KR1020200047709A 2020-04-20 2020-04-20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KR10232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09A KR102329170B1 (ko) 2020-04-20 2020-04-20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709A KR102329170B1 (ko) 2020-04-20 2020-04-20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32A true KR20210129532A (ko) 2021-10-28
KR102329170B1 KR102329170B1 (ko) 2021-11-22

Family

ID=7823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709A KR102329170B1 (ko) 2020-04-20 2020-04-20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0881A (zh) * 2022-07-04 2022-08-09 东阳市光明电力建设有限公司 适用于充电设备的数据自动处理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999A (en) * 1993-01-15 1994-04-26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JP2012038448A (ja) * 2010-08-04 2012-02-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
KR101447653B1 (ko) * 2013-07-12 2014-10-08 현준테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접속장치
KR101737818B1 (ko) 2016-11-16 2017-05-22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장치
WO2018184761A1 (de) * 2017-04-03 2018-10-11 Audi Ag Roboter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ladeverbindung zwischen einer ladevorrichtung und einer energiespeichereinheit eines kraftfahrzeugs
CN110395135A (zh) * 2019-08-12 2019-11-01 深圳市智引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机械手
KR102042783B1 (ko) * 2019-04-12 2019-1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KR102044255B1 (ko) * 2016-12-13 2019-11-1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999A (en) * 1993-01-15 1994-04-26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JP2012038448A (ja) * 2010-08-04 2012-02-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
KR101447653B1 (ko) * 2013-07-12 2014-10-08 현준테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접속장치
KR101737818B1 (ko) 2016-11-16 2017-05-22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장치
KR102044255B1 (ko) * 2016-12-13 2019-11-1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충전 장치
WO2018184761A1 (de) * 2017-04-03 2018-10-11 Audi Ag Roboter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ladeverbindung zwischen einer ladevorrichtung und einer energiespeichereinheit eines kraftfahrzeugs
KR102042783B1 (ko) * 2019-04-12 2019-1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CN110395135A (zh) * 2019-08-12 2019-11-01 深圳市智引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机械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0881A (zh) * 2022-07-04 2022-08-09 东阳市光明电力建设有限公司 适用于充电设备的数据自动处理生成方法及系统
CN114880881B (zh) * 2022-07-04 2022-09-23 东阳市光明电力建设有限公司 适用于充电设备的数据自动处理生成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170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759B1 (ko) 전기자동차용 전자동 초급속충전장치
KR102329170B1 (ko)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CN103328317B (zh) 移动设备和在移动设备之间的对接方法
CN205526989U (zh) 一种电力设施规划用电缆线放线装置
CN105692320A (zh) 一种电力设施规划用电缆线放线装置
WO2007011159A1 (en) Apparatus for lifting a golf ball in a holecup
JP5019728B2 (ja) リヤスポイラ装置
KR20230138862A (ko) 충전 스테이션
ES2349010T3 (es) Disposicion de suspension de ascensor.
KR20230071103A (ko) 와이어 권선 장치
KR102337851B1 (ko)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KR102476780B1 (ko) 가이드롤러 일체형 디스크드럼 무대구동장치
JP2019173276A (ja) 電動式駐輪装置
KR101508548B1 (ko) 상하 층간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골프공 티업장치
CN110169771B (zh) 可倾斜磁共振装置
CN111565641B (zh) X射线摄像装置
CN111746356B (zh) 轨道车辆的充电装置及充电系统
JP4896462B2 (ja) リヤスポイラ装置
KR101652280B1 (ko) 자전거 주차장치
CN220923857U (zh) 一种任意角度调整充电枪方向的充电桩
CN107477828A (zh) 格栅升降装置及包括其的天井式空调器
CN215732174U (zh) 一种5g天线云台装置
KR950009901Y1 (ko) 2단 주차기
CN114475302A (zh) 充电桩和充电系统
JPH07217244A (ja) 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