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783B1 -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783B1
KR102042783B1 KR1020190043133A KR20190043133A KR102042783B1 KR 102042783 B1 KR102042783 B1 KR 102042783B1 KR 1020190043133 A KR1020190043133 A KR 1020190043133A KR 20190043133 A KR20190043133 A KR 20190043133A KR 102042783 B1 KR102042783 B1 KR 10204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ble
housing
elevating
lif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옥
노영배
유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9004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상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가이드바를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된 승하강 브라켓과,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되 승하강 브라켓이 상승하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고, 승하강 브라켓이 하강하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충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승하강 연동 지지부와, 승하강 브라켓을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의하면, 충전케이블의 지지위치를 승하강에 의해 조정하면서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어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apparatus for drawing out charging cable of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충전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 케이블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의 단부에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 인렛에 접속시킬 수 있는 충전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약 5m 정도의 길이로 제공되며 충전장치의 측부에 제공된 거치대에 감겨지거나 걸쳐놓은 정렬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을 인출하게 되면 일부는 바닥에 놓여지게 되고 바닥에 놓여진 부분은 반복 사용에 의해서 닳아지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바닥의 오염물에 의해 오염될수 있다. 특히, 충전 케이블의 손상부위가 바닥에 방치된 경우, 전기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충전케이블을 인출할 때 노약자의 경우 충전 케이블의 무게에 의해 충전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4283호에는 충전케이블을 케이블릴에 다수 회 권회할 수 있는 구조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충전 케이블의 외경이 크고 경직도가 높은 경우 케이블을 다수 회 권회하기가 용이하기 않고, 굴곡 반경이 커짐으로써 케이블 릴이 대형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충전케이블을 지지하는 부분이 인출과 인입에 대해 수직으로 하강 및 승강되면서 충전 케이블을 비권회상태로 인출 및 인입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는 수직상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가이드바를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된 승하강 브라켓과;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되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상승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상기 충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승하강 연동 지지부와; 상기 승하강 브라켓을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스프로킷과; 상기 상부 스프로킷과 하부 스프로킷 사이에 결합되어 무한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을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스프로킷 또는 상기 하부 스프로킷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연동 지지부는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메인 원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이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에 호형 궤적을 갖게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되 상기 승하강 브라켓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이 긴장 상태로 상기 메인 원판을 따라 인출 및 인입되게 상기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함께 상호 지지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메인 원판의 상사점을 따라 안착된 충전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1가이드롤러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함께 상호 지지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원판 사이로 충전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게 상기 하부징의 하부로 유입되는 충전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유입부분과, 상기 수평유입부분을 통해 유입된 충전케이블이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원판 사이를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게 상기 수평유입부분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유입부분을 갖게 형성된 가이드관;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의하면, 충전케이블의 지지위치를 승하강에 의해 조정하면서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어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메인 원판을 포함한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거치붐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거치붐대의 인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거치붐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메인 원판을 포함한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승하강 브라켓(130)과, 승하강 연동 지지부(150)와, 승하강 구동부(17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수직상으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내부에 충전케이블(10)을 수용하되 승하강에 의해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요소가 내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수용된 충전 케이블(10)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입출홈(114)이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의 하부에는 전력공급부(80)로부터 연장된 충전케이블(10)이 내부 수용공간(112)으로 진입될 수 있는 인입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력공급부(80)는 일단에 접속된 충전 케이블(1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축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충전케이블(10)의 타단에는 전기 자동차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22)가 마련된 충전 커넥터(20)가 장착되어 있다.
승하강 브라켓(13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2) 내에서 수직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연장되게 설치된 승하강 가이드바(121)를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승하강 브라켓(130)은 사각 판형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부분(131)과, 메인부분(131)의 일측에서 수평상으로 메인부분(1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아암부분(132)과, 메인부분(13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제1지지아암부분(1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지지아암부분(13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승하강 브라켓(130)의 전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단면이 원형인 승가항 가이드바(121)가 수용될 수 있게 상하부가 관통된 수용홈을 갖는 승하강 가이드 브라켓(13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승하강 브라켓(130)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체인(175)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승하강 견인브라켓(137)이 수직 중심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승하강 견인브라켓(137)은 체인(175)의 일측을 승하강 브라켓(1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적용된 것이다.
승하강 연동 지지부(150)는 승하강 브라켓(130)에 결합되며 하우징(110)의 인입구(116)를 통해 수용공간(112)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10)을 지지하되 승하강 브라켓(130)이 상승하면 하우징(110)의 입출홈(114)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10)의 길이가 짧아지고, 승하강 브라켓(130)이 하강하면 하우징(110)의 입출홈(114)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10)의 길이가 길어지게 충전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연동 지지부(150)는 메인 원판(152)과,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61)(162)를 구비한다.
메인원판(152)은 승하강 브라켓(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10)을 상부에 일부가 호형으로 감겨 안착될 수 있게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원판(152)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회전중심을 향하는 내측으로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인입된 메인 안착홈(15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161)(162)는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10)이 메인 원판(152)의 외주면의 메인 안착홈(152a)을 통해 호형 궤적을 갖게 지지되어 하우징(110)의 입출홈(1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승하강 브라켓(130)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충전 케이블(10)이 긴장 상태로 메인 원판(130)을 따라 인출 및 인입되게 충전 케이블(10)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로서 적용된 것이다.
제1가이드롤러(161)는 수직상으로 연장된 충전케이블(10)을 메인원판(152)과 함께 상호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원판(152)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승하강 브라켓(130)의 제1지지아암부분(1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롤러(161)의 외주면에도 충전케이블(10)을 일부 감싸 수용할 수 있게 회전 중심을 향하는 내측으로 서브 안착홈(16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 롤러(161)와 메인 원판(152) 사이의 이격간격은 충전 케이블(10)이 긴장 상태로 수용 지지되면서 회전에 의해 이동이 허용되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제2가이드롤러(162)는 제1가이드 롤러(161)를 통해 지지되어 메인 원판(152)의 상사점을 따라 입출홈(114)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안착된 충전케이블(10)을 메인원판(152)과 함께 상호 지지할 수 있게 제1가이드롤러(161)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메인 원판(152)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승하강 브라켓(130)의 제2지지아암부분(1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가이드롤러(162)의 외주면에도 충전케이블(10)을 일부 감싸 수용할 수 있게 회전 중심을 향하는 내측으로 서브 안착홈(162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 롤러(162)와 메인 원판(152) 사이의 이격간격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10)이 긴장 상태로 수용 지지되면서 회전에 의해 이동이 허용되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승하강 구동부(170)는 승하강 브라켓(130)을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구동부(170)는 상부 스프로킷(171), 하부 스프로킷(172), 체인(175), 제1모터(178)를 구비한다.
상부 스프로킷(171)은 하우징(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하부 스프로킷(172)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스프로킷(171)과 하부 스프로킷(172)은 동일 외경을 갖는 것이 적용된다.
체인(175)은 상부 스프로킷(171)과 하부 스프로킷(172) 사이에 결합되어 무한 회전한다. 체인(175)의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 중 일측은 승하강 견인 브라켓(137)에 대응되고, 타측은 승하강 브라켓(130)을 포함한 주위요소와 간섭되지 않게 상부 스프로킷(171)과 하부 스프로킷(172)의 외경 및 배치 위치가 결정되면 된다.
승하강 견인 브라켓(137)은 체인(175)의 일측을 승하강 브라켓(1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적용되었고, 내부 관통구에 진입된 체인(175)을 고정되게 결합하면 된다.
제1모터(178)는 상부 스프로킷(171) 또는 하부 스프로킷(172)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적용된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상부 스프로킷(171)을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181)와, 상부 스프로킷(171)에 장착된 종동기어(182)를 서브 체인(184)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하부 스프로킷(172)을 제1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관(190)은 하우징(110) 수용공간(112) 내의 인입구(116)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1가이드롤러(161)와 메인원판(152) 사이로 충전케이블(10)이 배치될 수 있게 가이드한다. 가이드관(190)은 하부징(110)의 하부의 인입구(116)로 유입되는 충전케이블(1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유입부분(190a)과, 수평유입부분(190a)을 통해 유입된 충전케이블(10)이 제1가이드롤러(161)와 메인원판(152) 사이를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게 수평유입부분(190a)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유입부분(190b)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관(190)의 수직유입부분(190b)은 제1가이드롤러(161)의 하강시 최하단 위치보다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제1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계통을 설명한다.
조작부(210)는 메인원판(152)이 하우징(110)의 설정된 상부 위치로 이동을 지시하는 인입조작신호와 메인원판(152)이 하우징(110)의 설정된 하부 위치로 이동을 지시하는 인출조작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축되면 된다.
일 예로서, 조작부(210)는 충전커넥터(212) 상에 인입출 조작키(212)가 마련되어 한번 누르면, 인입조작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인출조작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충전케이블(10)을 잡아당기는 지를 감지하는 인출 감지센서를 적용하고, 인출 감지센서에서 인출이 감지될 때마다 인입조작신호와 인출조작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은 충전 커넥터(10)를 잡아당기면 충전케이블(10)이 인출되고, 충전완료후 다시 잡아당기면 충전케이블(10)이 인입된다. 조작부(21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앞서 설명된 조작신호를 생성하도록 예시된 방식 이외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리미트스위치(220)는 메인원판(152)이 설정된 상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제어부(240)에 출력한다. 상부 리미트 스위치(220)는 메인원판(152)이 설정된 상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하부 리미트스위치(230)는 메인원판(152)이 설정된 하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제어부(240)에 출력한다. 하부 리미트 스위치(220)도 메인원판(152)이 설정된 하단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구동제어부(240)는 조작부(21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제1모터(178)를 정역회전시키며 상부 및 하부 리미트 스위치(220)(23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제1모터(17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구동제어부(240)는 메인원판(152)이 초기 상단 위치에서 대기중일 때 조작부(210)로부터 인출조작신호가 수신되면 메인원판(152)이 하강되게 제1모터(178)를 제1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동하고, 하부 리미트 스위치(220)로부터 검지신호가 수신되면 제1모터(178)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 과정에서 충전케이블(10)의 하강에 의해 메인원판(152)과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61)(162)로부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과정에서 메인원판(152)과 제1 및 제2가이드롤러(161)(162)도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제어부(240)는 메인원판(152)이 하단 위치에 대기중일 때 조작부(210)로부터 인입조작신호가 수신되면 메인원판(152)이 상승되게 제1모터(178)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동하고, 상부 리미트 스위치(220)로부터 검지신호가 수신되면 제1모터(178)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와는 다르게, 상부 리미트 스위치(220)와 하부 리미트 스위치(230) 대신에 메인 원판(152)의 상단 위치와 하단위치의 도달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충전케이블(10)이 1회 이상 감기지 않고 수직상으로의 연장길이를 메인원판(152)의 승하강에 따라 조정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의 인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충전케이블(10)이 지면에 놓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충전케이블(10) 인출시 무게 부담을 완화할 수 있으며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자가 충전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충전케이블(10)의 인출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충전부스(300) 상에 앞서 설명된 하우징(110)이 장착되어 충전 케이블(10)의 승하강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측면에 충전 커넥터(20)의 거치를 지원하되 수평상으로 진퇴되는 거치진퇴기(33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부스(300)는 조작부(310)가 마련된 충전서비스본체(320)와, 거치 진퇴기(330) 및 하우징(110)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부가 차페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거치 진퇴기(330)는 충전부스(300)에 장착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하우징(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 진퇴기(330)는 수용바디(331), 거치붐대(340) 및 수평진퇴 구동부(350)를 구비한다.
수용바디(331)는 거치붐대(340)를 하우징(11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게 거치붐대(340)와 결합된 진퇴안내부로서 적용된 것으로서, 전방이 개방되어 거치붐대(340)를 진퇴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사각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바디(331)의 개방구에 인접된 내측 하단에는 중계 가이드롤러(356)가 지지브라켓(33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브라켓(334)에 거치붐대(340)의 저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 롤러(353)가 장착되어 있다. 수용바디(331)의 개방구 맞은편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제2모터(179)의 회전축(179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롤러(347)가 장착되어 있다.
거치붐대(340)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케이블(10)의 종단에 마련된 충전커넥터(20)를 착탈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수용바디(331)의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수용바디(331)로부터 인출가능하게 연장되어 있다. 거치붐대(340)를 구분하면 수용바디(331) 내에서 진퇴되게 사각관체 형태로 형성된 내관(341)과, 내관(341)의 종단에서 수용바디(331)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연장되며 충전커넥터(20)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된 거치안착부(342)와, 내관(341)의 거치안착부(342) 맞은편에 내관(34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브라켓(343)(34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진퇴중계 와이어(360)는 거치붐대의 제1결합브라켓(343)에 일단이 접속되어, 구동롤러(347)와 중계 가이드롤러(356)를 거쳐 제2결합브라켓(344)에 타단이 결합되어 있다.
제2모터(179)는 구동롤러(347)를 회전축(179a)을 통해 회전시키며 거치붐대(340)를 수평상으로 진퇴시키는 수평진퇴 구동부(350)로서 적용되었다.
조작부(310)는 충전서비스본체(320)에 표시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축될 수 있다.
구동제어부(440)는 조작부(310)로부터 충전모드신호가 수신되면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된 메인원판(152)이 하강되게 승하강 구동부(170)인 제1모터(178)를 제어함과 아울러 거치붐대(340)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출되도록 수용바디(331)로부터 인출되게 수평진퇴 구동부(350)의 제2모터(179)를 제어한다. 또한, 구동제어부(440)는 조작부(310)로부터 충전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된 메인원판(152)이 상승되게 제1모터(178)를 제어함과 아울러 거치붐대(340)가 하우징(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되게 제2모터(179)를 제어한다.
이 경우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로 수평상으로 인출되는 거치붐대(340)로부터 충전 커넥터(20)를 분리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케이블(10)이 바닥에 닫지 않은 상태로 인출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하우징 130: 승하강 브라켓
150: 승하강 연동 지지부 170: 승하강 구동부
340: 거치붐대

Claims (5)

  1. 삭제
  2. 수직상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가이드바를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된 승하강 브라켓과;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되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상승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상기 충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승하강 연동 지지부와;
    상기 승하강 브라켓을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스프로킷과;
    상기 상부 스프로킷과 하부 스프로킷 사이에 결합되어 무한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을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스프로킷 또는 상기 하부 스프로킷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 연동 지지부는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외주면에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메인 원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이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에 호형 궤적을 갖게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되 상기 승하강 브라켓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이 긴장 상태로 상기 메인 원판을 따라 인출 및 인입되게 상기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함께 상호 지지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가이드 롤러를 통해 지지되어 상기 메인 원판의 상사점을 따라 안착된 충전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1가이드롤러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메인 원판의 외주면과 함께 상호 지지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원판 사이로 충전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유입되는 충전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유입부분과, 상기 수평유입부분을 통해 유입된 충전케이블이 상기 제1가이드롤러와 상기 메인원판 사이를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되게 상기 수평유입부분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유입부분을 갖게 형성된 가이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5. 수직상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서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가이드바를 따라 수직상으로 승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된 승하강 브라켓과;
    상기 승하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충전 케이블을 지지하되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상승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상기 충전케이블을 지지하는 승하강 연동 지지부와;
    상기 승하강 브라켓을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종단에 마련된 충전커넥터를 착탈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수평상으로 연장된 거치붐대와;
    상기 거치붐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게 상기 거치붐대와 결합된 진퇴안내부와;
    상기 거치붐대를 상기 수평상으로 진퇴시키는 수평진퇴 구동부와;
    조작부로부터 충전모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하강되게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붐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출되게 상기 수평진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충전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승하강 브라켓이 상승되게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거치붐대가 상기 하우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되게 상기 수평진퇴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KR1020190043133A 2019-04-12 2019-04-12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KR10204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33A KR102042783B1 (ko) 2019-04-12 2019-04-12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33A KR102042783B1 (ko) 2019-04-12 2019-04-12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783B1 true KR102042783B1 (ko) 2019-11-08

Family

ID=6854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33A KR102042783B1 (ko) 2019-04-12 2019-04-12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7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387A (zh) * 2020-05-28 2020-08-25 温州市委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式升降充电桩
KR20210129532A (ko) * 2020-04-20 2021-10-28 대영채비(주)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CN114604122A (zh) * 2022-04-06 2022-06-10 南京悦源电力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功率新能源充电桩
KR20220167929A (ko) * 2021-06-15 2022-12-22 (주)모던텍 취부 브래킷을 가지는 충전건이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20220167927A (ko) * 2021-06-15 2022-12-22 (주)모던텍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102522859B1 (ko) * 2022-12-19 2023-04-19 (주)모던텍 취급이 용이한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074A (ja) * 2009-08-04 2011-02-17 Kandenko Co Ltd 次世代エネルギースタンドのネットワーク及び当該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使用する次世代エネルギー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074A (ja) * 2009-08-04 2011-02-17 Kandenko Co Ltd 次世代エネルギースタンドのネットワーク及び当該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使用する次世代エネルギースタンド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532A (ko) * 2020-04-20 2021-10-28 대영채비(주)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KR102329170B1 (ko) 2020-04-20 2021-11-22 대영채비(주)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CN111572387A (zh) * 2020-05-28 2020-08-25 温州市委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式升降充电桩
CN111572387B (zh) * 2020-05-28 2020-11-24 新东港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式升降充电桩
KR20220167929A (ko) * 2021-06-15 2022-12-22 (주)모던텍 취부 브래킷을 가지는 충전건이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20220167927A (ko) * 2021-06-15 2022-12-22 (주)모던텍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102572833B1 (ko) * 2021-06-15 2023-08-30 (주)모던텍 취부 브래킷을 가지는 충전건이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KR102573464B1 (ko) * 2021-06-15 2023-09-04 (주)모던텍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CN114604122A (zh) * 2022-04-06 2022-06-10 南京悦源电力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功率新能源充电桩
KR102522859B1 (ko) * 2022-12-19 2023-04-19 (주)모던텍 취급이 용이한 충전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78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EP345978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JP5250403B2 (ja) 充電機能を備えた駐車装置
JP5367425B2 (ja) 機械式駐車場
CN109565169B (zh) 具有电缆管理单元的顶置式充电系统
JP5444034B2 (ja) 充電機能を備えた多段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84951B1 (ko) 특수차량용 싱크홀 측정 레이다 지지 장치
JPH05256038A (ja) 駐車機
KR10215369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CN207406072U (zh) 机械式立体停车设备用电动汽车充电线缆收放装置
KR102192112B1 (ko)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장치
KR10235825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KR101022041B1 (ko)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램프
KR102533136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충전케이블 이송장치
CN115417231A (zh) 一种便于快速组装的电缆放线架
CN205791615U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
KR20210004480A (ko) 전기자동차용 급속 충전 케이블 정렬장치
KR101957836B1 (ko) 전기자동차용 이동식 충전모듈
CN208329767U (zh) 一键取停双层自动停车系统
CN202954592U (zh) 一种螺杆驱动架空可组合式自动停车库
KR102625603B1 (ko) 충전위치 변경이 용이한 천정형 전기차 충전케이블 인출장치
KR10146090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CN219215387U (zh) 一种无人机检测装置
CN214455919U (zh) 一种全自动充电枪线缆收放装置
CN217535058U (zh) 一种可自动调速的电缆放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