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27A -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927A KR20220167927A KR1020210077263A KR20210077263A KR20220167927A KR 20220167927 A KR20220167927 A KR 20220167927A KR 1020210077263 A KR1020210077263 A KR 1020210077263A KR 20210077263 A KR20210077263 A KR 20210077263A KR 20220167927 A KR20220167927 A KR 20220167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harging gun
- electric vehicle
- charging
- grab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상기 정렬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전기차에 충전을수행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상기 전기차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복수의 전기 차량 등의 커넥터에 충전 건을 자동으로 착탈하면서 충전 작업을 수행하는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전기 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 진행 단계에 불과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물론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합되는 충전 시스템이 보급화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전기차의 충전시, 전기차에 마련된 커넥터에 자동으로 충전 건을 자유자재로 접속 및 분리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치를 이동하면서 복수의 전기 차량 등의 커넥터에 충전 건을 자동으로 착탈하면서 충전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상기 정렬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전기차에 충전을수행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상기 전기차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대의 오토 핸들 장치와 충전 건을 통해 이동하면서 복수의 전기차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의 동작을 구현하는 정렬부,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동시키고 동작을 제어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이송부에는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 및 직선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해주는 LM 가이드가 마련되어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전기차에 충전 요청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충전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토 핸들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기차에 충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노약자 또는 교통 약자, 여성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측면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핸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에 의해 충전하기 위한 충전 건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거치대에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충전 건을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그랩부에 의해 거치대에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모습을 단계별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클램핑된 충전 건을 전기차의 커넥터에 충전하기 위해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전기차의 커넥터에 충전 건을 접속하여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측면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핸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에 의해 충전하기 위한 충전 건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거치대에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하기 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충전 건을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그랩부에 의해 거치대에 거치된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모습을 단계별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클램핑된 충전 건을 전기차의 커넥터에 충전하기 위해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그랩부에 의해 전기차의 커넥터에 충전 건을 접속하여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100)는 그랩부(110), 그랩부(110)를 자유자재로 이동시키는 정렬부(120), 그랩부(110) 및 정렬부(120)를 이송시키고 동작을 제어하는 이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는 승용차, 승합차, 버스, 트럭, 전기 오토바이, 전기 드론, 헬기와 같이 비행하는 플라잉 카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일 수 있고, 도는 전기 선박 등이 될 수 있으며, 전기 충전을 위한 커넥터는 전기차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충전하기 위한 전기차는 복수인 경우로서, 제1 전기차(10), 제2 전기차(11) 및 제3 전기차(1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전기차가 단수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전력 모듈은 전기차(10)에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키오스크(30) 또는 키오스크(30)와 별개로 마련되는 메인 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키오스크(30)에는 전기차(1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50)이 마련될 수 있다. 키오스크(30)는 충전 케이블(50)을 통해 전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50)의 끝에는 전기차(10)의 커넥터(11)에 연결되는 충전 건(20)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게 형성되거나, 그랩부(110)에 의해 클램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전기차(10)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건(20)은 전기차(10)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의 거치대(6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키오스크(30)에 마련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30)가 밀집된 경우, 각 키오스크(30)를 제어하고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기 1대가 마련될 수 있다. 각 키오스크(30)에는 충전 건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키오스크(30)는 1대로 운영될 수 있다. 키오스크(30)를 1대로 운영하는 경우에는 설치 공간을 절약하고 설치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복수의 키오스크(30)로 운영할 수 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키오스크(30)를 통해 주차한 복수의 전기차중 충전 요청 순서에 따라 충전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이송부(130)는 키오스크(30)를 통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에 따라 결정된 충전 순위에 맞춰 상기 그랩부(110)를 이송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전기차가 복수의 키오스크(30)에 대해 각각 충전을 요구하는 경우, 이송부(130)는 각 키오스크(30)에 충전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각 키오스크(30)에 부여된 충전 순서에 맞춰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충전 순위는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를 통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 예를 들어 키오스크에 마련된 충전 버튼을 조작한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대의 전기차가 충전을 요구하는 상황인 경우, 일측에서 반대측으로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로 가정할 수 있다.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를 이용해 충전을 요구한 순서에 따라 충전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의 순서로 충전이 요구된 경우, 이송부(130)는 제1 전기차, 제2 전기차, 제3 전기차, 제4 전기차의 순서로 그랩부(110)를 움직일 수 있다.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 이송부(130)는 충전 순위를 기본으로 하고, 설정 조건 만족시 충전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전력 모듈에서 제공 가능한 제공 전력량은 설정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공 전력량 중 기 연결된 차량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외한 여유 전력량이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에서 요구한 전력량이 여유 전력량보다 크면, 후순위 차량에 여유 전력량이 먼저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송부(130)는 대기 차량 중 선순위 차량이 아닌 후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를 이송할 수 있다. 그랩부(110)는 후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집어서 후순위 차량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모듈은 70kWh의 제공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이 급속 충전을 요구한 경우, 이송부(130)는 제1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뽑아 전기차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급속 충전으로 인해, 여유 전력량은 20kWh가 된다. 제2 순위 차량이 중속 충전을 요구하고, 제3 순위 차량이 완속 충전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여유 전력량은 제2 순위의 중속 충전을 충족하지 못하고, 제3 순위의 완속 충전을 충족할 수 있다. 이때, 제1 순위 차량에 대한 충전 건(20) 연결이 완료되면, 이송부(130)는 제3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를 이송할 수 있다. 제3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뽑아 제3 순위 차량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후 또는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기 직전에 이송부(130)는 제2 순위 차량에 대면되는 키오스크(30)로 그랩부(110)를 이송할 수 있다. 해당 위치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해당 키오스크(30)에 거치된 충전 건을 뽑아 제2 순위 차량에 꽂을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송부(130)는 그랩부(110)를 제1 순위 차량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순위 차량으로 이송된 그랩부(110)는 제1 순위 차량에 연결된 충전 건(20)을 빼내어 대면되는 키오스크(30)의 거치대(32)에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30)와 충전 건(20)은 복수로 운영하지 않고 단수(1대)로 운영하면서 앞서 설명한 복수의 키오스크(30)를 운영하는 방식처럼 오토 핸들 장치(100)를 충전 순위 및 충전 속도(급속,중속,완속)에 따라 적절히 파악하는 파악부를 마련하고, 이러한 파악부를 통해 복수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기차(10)(11)(12)의 전방에는 커넥터(15)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커넥터(15)를 밀폐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마개부(16)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하면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15)의 위치는 전기차의 전방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기차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전기차의 전방, 후방 또는 측면중 어느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7)는 전기차의 전방에 마련된 패널과 매칭되는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커버부(17)를 개방하고, 마개부(16)를 커넥터(15)로부터 분리한 다음, 오토 핸들 장치(100)에 의해 사람에 의한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충전 건(20)을 접속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측면에서 본 확대도이다.
정렬부(120)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x축, y축, z축)을 갖는 3차원 공간에서 6자유도 중 적어도 3개의 자유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직선 이동 자유도, y축 직선 이동 자유도, z축 직선 이동 자유도, x축 중심 회전 자유도, y축 중심 회전 자유도, z축 중심 회전 자유도 중 3개 이상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렬부(120)는 그랩부(110)를 자유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렬부(120)는 제1 아암(121), 제2 아암(122), 제3 아암(123), 제4 아암(124), 제5 아암(125), 제6 아암(126), 제7 아암(127), 제8 아암(1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아암(121) 내지 제8 아암(128)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이웃한 아암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120)는 자유자재로 방향 및 길이를 변경하면서 충전 건(20)을 원하는 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는 6축 관절 로봇의 구조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130)는 베이스 부재(131), 베이스 부재(13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정렬부(12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32), 베이스 부재(131)의 하부에 마련되는 LM 가이드(140), 오토 핸들 장치(100)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150)이 갖추어질 수 있다.
LM 가이드(140)는 가이드 블록(141), 가이드 블록(141)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1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41)에는 복수의 볼(ball)(미도시)이 마련되어서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수단(150)은 모터(151), 모터(15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152), 피니언(152)과 맞물리고 가이드 레일(142)의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고정되는 랙(15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1)는 효율적인 제어를 위한 정역 구동이 가능한 서보 모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동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구조가 아닌 리드 스크류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131)의 양측 하부에는 가이드 블록(141)이 결합되고, 2개의 가이드 레일(142)의 사이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를 마련하며, 리드 스크류는 이동 블록과 결합되고, 이동 블록은 베이스 부재(131)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로서, 모터의 구동으로 리드 스크류가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와 결합된 이동 블록이 이동하며, 이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베이스 부재(131)가 동시에 이동하고, 베이스 부재(131)의 양측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 블록(141)도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부(130)에 의해 충전 건(20)을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속하여 전기를 충전하도록 하는 오토 핸들 장치로서, 오토 핸들 장치의 정렬부(120)를 통해 거치대(6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그랩부(110)를 통해 클램핑하고, 해당 위치에 주차한 전기차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를 따라 안정되고 원활하게 이동한 다음, 충전 건(20)을 해당 전기차의 커넥터에 접속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차(10)에 전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거치대(6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오토 핸들 장치(100)는 구동 수단(150)을 구동시켜서 이동하여 거치대(60)에 접근할 수 있다.
구동 수단(150)을 이루는 모터(151)를 가동시키면, 모터의 축에 구비된 피니언(152)이 회전하고, 이때 피니언(152)은 일측면에 마련된 랙(153)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의 랙(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니언(152)은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이송부(130)는 이동 경로상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치대(60)의 위치까지 도달한 다음, 정렬부(120)에 의해 그랩부(110)는 y축 방향을 따라 거치대(60)에 마련된 충전 건(2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송부(130)는 LM 가이드(1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동 수단(150)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레일(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블록(141)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이드 블록(141)과 결합한 이송부(130)는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거치대(60)에 접근한 상태에서, 오토 핸들 장치(100)의 정렬부(120)가 움직여서 그랩부(110)를 거치대(60)에 거치된 충전 건(20)에 접근시킬 수 있고, 충전 건(20)에 접근한 그랩부(110)는 충전 건(20)을 클램핑하며, 정렬부(120)의 이동에 의해 주차된 상태의 제1 전기차(10)에 마련된 커넥터(15)에 대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토 핸들 장치(100)는 충전 건(20)을 클램핑하기 위해 거치대(60)의 충전 건(20)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위치에 그랩부(110)를 정렬시키고, 전기차에 충전하기 위해 전기차의 커넥터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위치로 그랩부(110)를 정렬시킬 수 있다.
그랩부(110)는 구동 부재(111), 구동 부재(111)의 양측면에 마련되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한쌍의 클램핑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고, 클램핑 부재(112)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핀(11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부재(111)는 클램핑 부재(112)가 구동 부재(111)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거나 근접되게 하는 액츄에이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111)와 클램핑 부재(112)의 사이에는 신축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로드(111a)가 하나 이상 갖추어질 수 있다.
충전 건(20)에는 그랩부(110)가 확실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취부 브래킷(40)이 구비될 수 있다.
취부 브래킷(40)은 2개의 분할된 제1 브래킷(41)과 제2 브래킷(42)을 포함하고, 제1 브래킷(41)과 제2 브래킷(42)의 사이에 충전 건(20)을 삽입하고 클램핑할 수 있다. 제1 브래킷(41)과 제2 브래킷(42)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건(20)에는 취부 브래킷(40)을 필요시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제1 브래킷(41)의 측면에는 그랩부(110)가 클램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41a)이 형성되고, 제2 브래킷(42)의 측면에는 거치대(60)에 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구동 부재(61), 구동 부재(61)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구동 부재(61)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되게 신축 이동하는 이동 부재(62), 이동 부재(62)에 고정되고 충전 건(20)을 취부하는 취부 브래킷(4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쌍의 지지 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63)에는 예를 들어 박스 형태의 케이싱을 덮을 수 있고, 케이싱의 내부에는 각종 전선 및 그랩부(110)와 정렬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 기기류를 내장하는 커버 역할을 하여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구동 부재(61)는 구동 부재(61)의 양측에 마련되는 이동 부재(62)가 멀어지거나 근접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61)와 이동 부재(62)의 사이에는 신축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로드(61a)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지지 부재(63)는 그 사이에 삽입 공간(63a)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지지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지지 부재(63)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핀(6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래킷(41)의 결합홈(41a)에는 충전 건(20)의 거치를 위해 지지 부재(63)의 삽입핀(64)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브래킷(42)의 삽입홈(42a)에는 그랩부(110)에 마련되고 간격 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클램핑 부재(112)에 형성된 걸림핀(11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에는 전기차의 커넥터(15)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랩부(110) 또는 정렬부(120)에는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차의 커넥터(15)를 촬영하는 촬영부(70), 촬영부(70)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전기차의 커넥터(15) 위치를 파악하는 파악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70)의 일측에는 촬영시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부(8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조명부(80)는 LED 광원을 가지는 램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60)에 구비된 충전 건(20)을 취부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경우, 이송부(130)의 작동으로 오토 핸들 장치(100)의 정렬부(120)를 거치대(60)의 위치까지 접근시키는 제1 과정, 정렬부(120)의 동작에 의해 정렬부(120)의 단부에 마련된 그랩부(110)를 통해 거치대(60)에 거치된 충전 건(20)을 클램핑하는 제2 과정, 충전 건(20)을 클램핑한 후 해당 전기차(10)(11)(12)의 커넥터(15)에 충전 건(20)을 접속하여 전기 충전을 수행하는 제3 과정, 충전 완료후 전기차의 커넥터(15)로부터 충전 건(20)을 분리하는 제4 과정, 커넥터(15)로부터 분리한 충전 건(20)을 다시 다음 전기차에 접속하기 위해 이동하는 제5 과정, 다음 전기차의 커넥터(15)에 충전 건(20)을 접속하여 전기 충전을 수행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과정에서, 이송부(130)의 구동 수단(150)인 모터(151)를 작동시키면, 모터(151)의 축과 연결된 피니언(152)이 랙(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31)와 지지 부재(132)에 의해 마련된 정렬부(120)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31)의 하부 일측에는 LM 가이드(140)가 마련되어 있고, 오토 핸들 장치(100)의 이송시, 가이드 블록(141)이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구동 수단(150)의 작동에 의한 오토 핸들 장치(100)의 이송 동작이 아무런 지장 없이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충전 건(20)을 클램핑하기 위해 그랩부(110)를 거치대(60)에 거치된 충전 건(20)에 접근하여 클램핑할 때, 클램핑 부재(112)를 벌린 상태에서 구동 부재(111)의 측면쪽으로 로드(111a)를 수축시켜서 좁히면, 충전 건(20)에 마련된 제1 브래킷(4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1a)안에 클램핑 부재(112)의 걸림핀(113)을 삽입하여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클램핑 부재(112)에 의해 취부 브래킷(40)의 제1 브래킷(41)의 양쪽 측면에 걸림핀(113)에 의한 걸림 상태에서, 제2 브래킷(42)의 양측면에 대면되면서 클램핑하고 있는 이동 부재(62)를 이격되게 이동시켜서 클램핑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동 부재(62)에 의한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면, 클램핑 부재(112)에 의해 걸림된 취부 브래킷(40)을 분리함으로써, 충전 건(20)이 거치대(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과정에서, 분리된 충전 건(20)을 해당 전기차의 커넥터(15)에 접근하여 정렬부(12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충전 건(20)을 접속시키고, 클램핑 부재(112)를 벌려서 취부 브래킷(4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전기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 4과정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오토 핸들 장치(100)의 정렬부(120)가 작동하여 그랩부(110)를 통해 다시 취부 브래킷(40)을 클램핑하고, 충전 건(20)을 커넥터(15)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5 과정 및 제 6 과정에서 제1 전기차(10)의 충전 작업을 완료하면, 오토 핸들 장치(100)를 이송부(130)에 의해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이동시켜서 제2 전기차(11) 위치까지 도달시키고, 이 상태에서 충전 건(20)을 제2 전기차(11)의 커넥터에 접속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충전 건(20)을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며, 이어서 제3 전기차(12)로 이동하여 충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기차 사용자(운전자)는 본인 소유의 디스플레이 장치 즉,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등)에 충전 관리 앱을 설치하고, 이러한 충전 관리 앱에 접속하여 충전 정보 및 충전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제공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오스크(30) 또는 메인 표시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 수단이 전기차) 또는 전기차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 수단을 통해 설치된 충전 관리 앱에 접속하고 충전 모드의 선택 및 결제가 원격으로 이루어지면, 전기차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충전 모드 선택, 충전 건(20) 연결, 비용 결제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전기차에서 내리지 않고 전기차 내에 머문 상태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전기차에서 하차하고 이러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마치, 일반 차량에 휘발유를 주유하기 위해 주유소에 가는 경우, 차에서 내리지 않고, 주유 및 비용 결제를 하는 것처럼 진행할 수 있다.
10... 제1 전기차
11... 제2 전기차
12... 제3 전기차
15... 커넥터 16... 마개부
17... 커버부
20... 충전 건 30... 키오스크
40... 취부 브래킷 41... 제1 브래킷
41a... 결합홈 42... 제2 브래킷
42a... 삽입홈 50... 충전 케이블
60... 거치대 61... 구동 부재
61a... 로드
62... 이동 부재 63... 지지 부재
63a... 삽입 공간 64... 삽입핀
70.... 촬영부 80... 조명부
100... 오토 핸들 장치 110... 그랩부
111... 구동 부재 111a... 로드
112... 클램핑 부재 113... 걸림핀
120... 정렬부 121... 제1 아암
122... 제2 아암 123... 제3 아암
124... 제4 아암 125...제5 아암
126... 제6 아암 127... 제7 아암
128... 제8 아암
130... 이송부 131... 베이스 부재
132... 지지 부재
140... LM 가이드 141... 가이드 블록
142... 가이드 레일
150... 구동 수단 151... 모터
152... 피니언 153... 랙
12... 제3 전기차
15... 커넥터 16... 마개부
17... 커버부
20... 충전 건 30... 키오스크
40... 취부 브래킷 41... 제1 브래킷
41a... 결합홈 42... 제2 브래킷
42a... 삽입홈 50... 충전 케이블
60... 거치대 61... 구동 부재
61a... 로드
62... 이동 부재 63... 지지 부재
63a... 삽입 공간 64... 삽입핀
70.... 촬영부 80... 조명부
100... 오토 핸들 장치 110... 그랩부
111... 구동 부재 111a... 로드
112... 클램핑 부재 113... 걸림핀
120... 정렬부 121... 제1 아암
122... 제2 아암 123... 제3 아암
124... 제4 아암 125...제5 아암
126... 제6 아암 127... 제7 아암
128... 제8 아암
130... 이송부 131... 베이스 부재
132... 지지 부재
140... LM 가이드 141... 가이드 블록
142... 가이드 레일
150... 구동 수단 151... 모터
152... 피니언 153... 랙
Claims (12)
- 전기차에 착탈되는 충전 건을 클램핑하는 그랩부;
상기 그랩부를 움직이는 정렬부;
상기 그랩부와 상기 정렬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상기 그랩부와 정렬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전기차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송부를 상기 전기차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가 배열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이송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면서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는 랙을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이동을 위한 LM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LM 가이드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 경로상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구동시, 원활한 이동을 위해 마련되는 LM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면서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LM 가이드는,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 경로상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랙이 평행하게 마련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이격된 위치에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충전 건이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정렬부는 상기 거치대에 대면되는 제1 위치에 상기 그랩부를 정렬시키거나, 상기 전기차의 커넥터에 대면되는 제2 위치에 상기 그랩부를 정렬시키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이격된 위치에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 건은 상기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충전 건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고 간격을 벌리거나 좁히면서 상기 충전 건을 클램핑하거나 또는 해제시키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건에는 취부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취부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그랩부에 의해 상기 충전 건을 클램핑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이격된 위치에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 건은 상기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충전 건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충전 건에는 상기 그랩부에 의해 클램핑하는 취부 브래킷이 마련되며,
상기 취부 브래킷은 상기 지지 부재에 착탈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간격을 두고 한쌍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핀이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취부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핀이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의 이격된 위치에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 건은 상기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충전 건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충전 건에는 상기 그랩부에 의해 클램핑하는 취부 브래킷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핀이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취부 브래킷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핀이 착탈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 상기 그랩부에 의해 상기 충전 건을 클램핑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결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오토 핸들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전기차에 충전하기 위한 상기 충전 건은 1대가 마련되며,
상기 정렬부의 동작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충전 건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제어되는 정렬부를 통해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전기차에 순차적으로 충전 작업을 수행하는 오토 핸들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263A KR102573464B1 (ko) | 2021-06-15 | 2021-06-15 |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7263A KR102573464B1 (ko) | 2021-06-15 | 2021-06-15 |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7927A true KR20220167927A (ko) | 2022-12-22 |
KR102573464B1 KR102573464B1 (ko) | 2023-09-04 |
Family
ID=8457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7263A KR102573464B1 (ko) | 2021-06-15 | 2021-06-15 |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4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29160A (zh) * | 2023-07-27 | 2023-09-12 | 湖南汇圣荟科技有限公司 | 一种全自动汽车充电站 |
CN117885569A (zh) * | 2024-02-02 | 2024-04-16 | 江苏海宏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式新能源汽车充电机器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893A (ko) * | 2019-08-08 | 2019-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42783B1 (ko) * | 2019-04-12 | 2019-11-08 |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
KR20190140316A (ko) * | 2018-06-11 | 2019-12-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전기차 충전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KR102145305B1 (ko) * | 2020-02-07 | 2020-08-18 |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
-
2021
- 2021-06-15 KR KR1020210077263A patent/KR1025734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0316A (ko) * | 2018-06-11 | 2019-12-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전기차 충전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42783B1 (ko) * | 2019-04-12 | 2019-11-08 | 주식회사 에스에이치 |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인출 장치 |
KR20190100893A (ko) * | 2019-08-08 | 2019-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145305B1 (ko) * | 2020-02-07 | 2020-08-18 |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729160A (zh) * | 2023-07-27 | 2023-09-12 | 湖南汇圣荟科技有限公司 | 一种全自动汽车充电站 |
CN117885569A (zh) * | 2024-02-02 | 2024-04-16 | 江苏海宏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式新能源汽车充电机器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3464B1 (ko) | 2023-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3464B1 (ko) | 이송부가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
US20200353833A1 (en) | Automatic handle device | |
US20200148073A1 (en) | Battery quick-change process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CN110014995B (zh) | 电动汽车充电站电力输送系统 | |
US6157162A (en) | Battery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s | |
US20230204891A1 (en) | Optical Fiber Distribution Device, and Optical Fiber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 |
CN110562086A (zh) | 一种自动充电机器人、充电方法及可读存储介质 | |
JP2000092617A (ja) | 電動車両における充電用リッド開閉装置 | |
JP2019165544A (ja) | 外部補給装置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 |
JP2019140782A (ja) | 外部充電装置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 |
JP2000092622A (ja) | 電動車両用充電装置 | |
EP3931103A1 (en) | Method for supplying of energy sources to unmanned vehicle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 |
KR102572833B1 (ko) | 취부 브래킷을 가지는 충전건이 구비된 오토 핸들 장치 | |
CN107323273B (zh) | 一种可收缩的自动充电机械臂及载有该机械臂的电动汽车 | |
CN110774915B (zh) | 立体停车设备、车库系统及自动停车充电方法 | |
CN112009295A (zh) | 一种无人机自主充电及更换电池装置 | |
CN211567699U (zh) | 一种基于柔性充电堆的自动充电装置 | |
CN213501922U (zh) | 一种换电站 | |
KR20220167931A (ko) | 공중 이송부를 구비한 오토 핸들 장치 | |
CN113276725B (zh) | 一种电力巡检无人机的无人值守换电站 | |
CN115743665A (zh) | 一种机械换电的无人机机库 | |
CN214822706U (zh) | 一种车载智能机场无人机自动换电机械手 | |
CN113386616B (zh) | 多用途换电系统 | |
CN109455105A (zh) | 抓枪式自动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 |
CN211089170U (zh) | 车载手机无线充电装置、汽车仪表板总成及汽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