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712A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712A
KR20210128712A KR1020200046709A KR20200046709A KR20210128712A KR 20210128712 A KR20210128712 A KR 20210128712A KR 1020200046709 A KR1020200046709 A KR 1020200046709A KR 20200046709 A KR20200046709 A KR 20200046709A KR 20210128712 A KR20210128712 A KR 2021012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be
gripping
stop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854B1 (ko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드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4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8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은 베이스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과, 베이스유닛에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유닛과, 베이스유닛에서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베이스유닛에 구비되는 프로브배치유닛과, 프로브유닛에 구비되어 프로브배치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며, 파지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프로브유닛이 슬라이딩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프로브유닛이 정위치에 배치되면, 파지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서 분리되고, 프로브유닛이 베이스유닛 상에 정지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TEST SYSTEM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TFT-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어 노트북 컴퓨터(computer) 뿐만 아니라 대형 니터(monitor) 응 제품으로 도 개발되어 기존의 CRT(cathode ray tube) 제품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그 비중이 점차 증 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장치는 제조라인 최종 단계에서 점등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점등검사는 프로브유닛을 이용해 평판 디스플레이의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각각의 단선검사와 색상검사 그리고 육안검사 등을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점등검사을 실시할 때, 프로브유닛마다 개별로 설치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프로브유닛들이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에 대응하여 정위치되므로,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가 복잡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46호 (발명의 명칭 :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2006. 12. 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1692호 (발명의 명칭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2019. 07. 1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은 베이스유닛;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는 프로브배치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유닛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브유닛이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파지유닛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서 분리되고, 상기 프로브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풀리;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서 무한 궤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파지벨트; 및 상기 파지벨트의 이동을 위해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파지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풀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또는 상기 프로브유닛 또는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구비되는 파지고정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이동부; 및 상기 파지고정부와 상기 파지이동부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파지이동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파지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유닛에는, 상기 파지이동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파지가이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파지이동부는, 상기 파지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가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이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가이드이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지구동부와 결합되는 구동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은,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정위치정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감지레일;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감지롤러; 및 상기 프로브유닛의 위치 확인을 위해 상기 감지롤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위치정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정지레일; 상기 정지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가이드; 상기 정지가이드에 결합되는 정지블럭; 및 상기 파지유닛에서 상기 정지블럭을 향해 구비되고,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정지블럭에 밀착되는 이동블럭;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 따르면,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브배치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한 궤도에서 프로브유닛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한편, 파지유닛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풀리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프로브배치유닛에서 파지벨트가 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벨트의 장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유닛 및 프로브배치유닛이 파지유닛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유닛이 슬라이딩유닛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프로브배치유닛을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이동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베이스유닛에서 파지이동부의 결합 관계를 구체화하는 한편, 베이스유닛에서 파지이동부가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감지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 프로브유닛이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위치정지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정위치된 프로브유닛의 유동을 방지하고,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브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의 정위치에 대응하여 프로브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되어 슬라이딩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서 분리되어 슬라이딩유닛에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전기 접속 상태를 검사할 때, 프로브유닛(20)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여 프로브유닛(20)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은 베이스유닛(10)과, 프로브유닛(20)과, 슬라이딩유닛(30)과, 프로브배치유닛(40)과, 파지유닛(50)을 포함하고, 위치감지유닛(60)과 정위치정지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커버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D)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은 정위치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D)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착바디부(11)와, 정위치를 위한 장착바디부(11)에 대응하여 장착바디부(11)에 결합되는 장착프레임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바디부(11)에는 프로브유닛(20)과, 슬라이딩유닛(30)과, 프로브배치유닛(40)과, 파지유닛(50)과, 위치감지유닛(60)과, 정위치정지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부(12)는 디스플레이 패널(D)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장착바디부(11)를 지지하여 장착바디부(11)가 정위치되도록 한다.
프로브유닛(20)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접속 가능하도록 베이스유닛(10)에 배치된다. 프로브유닛(20)은 슬라이딩유닛(30)을 매개로 베이스유닛(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브유닛(20)은 슬라이딩유닛(30)을 매개로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바디부(21)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베이스바디부(21)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브모듈(22)과, 베이스바디부(21)를 기준으로 프로브모듈(22)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디폴트 상태에서 프로브모듈(22)에 구비된 프로브핀은 디스플레이 패널(D)에서 이격되고, 구동모듈(23)의 동작에 따라 프로브모듈(22)이 이동하면, 프로브모듈(22)에 구비된 프로브핀은 디스플레이 패널(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프로브유닛(20)에서 베이스바디부(21)에는 파지유닛(50)에 구비되는 파지이동부(5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파지가이드(50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파지가이드(501)는 파지유닛(50)에 구비되는 파지이동부(52)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부(21)에는 프로브모듈(2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브가이드부(211)가 구비되어 프로브모듈(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30)은 베이스유닛(10)에 프로브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슬라이딩유닛(30)은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되어 장착바디부(11)에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31)과,프로브유닛(20)의 베이스유닛(10)의 베이스바디부(2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레일(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가이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된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풀리(41)와,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풀리(42)와,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 사이에서 무한 궤도를 형성하도록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를 연결하는 파지벨트(43)와, 파지벨트(43)의 이동을 위해 구동풀리(4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파지벨트(43)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풀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풀리(45)는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파지벨트(43)를 가압함으로써, 파지벨트(4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브배치유닛(40)은 장력풀리(45)가 파지벨트(43)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미도시)는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를 기준으로 장력풀리(45)가 파지벨트(43)를 탄성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배치유닛(40)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브배치유닛(40)은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파지유닛(50)은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되어 프로브배치유닛(4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유닛(50)은 베이스유닛(10) 또는 프로브유닛(20) 또는 슬라이딩유닛(30)에 구비되는 파지고정부(51)와, 프로브배치유닛(40)을 기준으로 파지고정부(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이동부(52)와, 파지고정부(51)와 파지이동부(52)가 프로브배치유닛(40)을 가압하기 위해 파지이동부(5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파지구동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유닛(50)의 파지고정부(51)와 파지이동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프로브배치유닛(40)의 파지벨트(43)와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파지요철부(502)가 구비됨으로써, 파지유닛(50)의 파지고정부(51)와 파지이동부(52)가 파지벨트(43)를 파지하는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파지유닛(50)이 파지벨트(43)를 파지할 때, 파지벨트(43)가 파지유닛(5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파지유닛(50)에서 파지고정부(51)를 기준으로 파지이동부(52)가 파지벨트(43)를 가압함으로써, 파지벨트(43)는 파지고정부(51)와 파지이동부(52)에 의해 파지되고, 프로브배치유닛(40)의 파지벨트(43)가 이동함에 따라 프로브유닛(20)은 슬라이딩유닛(30)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프로브유닛(20)이 정위치되면, 파지이동부(52)가 베이스유닛(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파지고정부(51)와 파지이동부(52)는 파지벨트(43)에서 이격되고, 파지벨트(43)가 이동되더라도 프로브유닛(20)은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파지이동부(52)는 파지고정부(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부(521)와, 파지가이드(501)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부(521)에서 연장되는 가이드이동부(522)와, 가이드이동부(5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가이드이동부(522)에서 연장되어 파지구동부(53)와 결합되는 구동결합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가이드(501)는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에 길게 관통 형성된다.
위치감지유닛(60)은 프로브유닛(20)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감지한다.
위치감지유닛(60)은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감지레일(61)과,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감지레일(61)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감지롤러(62)와, 프로브유닛(20)의 위치 확인을 위해 감지롤러(62)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엔코더(63)는 감지롤러(62)의 이동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최초 위치를 기준으로 감지레일(61)에서 구름 이동되는 감지롤러(62)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고, 해당 프로브유닛(20)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위치감지유닛(60)은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에서 감지롤러(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엔코더(63)가 결합되는 감지브라켓(64)을 더 포함할수 있다.
정위치정지유닛(70)은 프로브유닛(20)이 정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을 고정시킨다. 정위치정지유닛(70)은 파지유닛(50)의 파지이동부(52)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동작과 연계될 수 있다.
정위치정지유닛(70)은 베이스유닛(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정지레일(71)과, 정지레일(7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가이드(72)와, 정지가이드(72)에 결합되는 정지블럭(73)과, 파지유닛(50)에서 정지블럭(73)을 향해 구비되고 파지유닛(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정지블럭(73)에 밀착되는 이동블럭(7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블럭(73)에는 정지경사부(731)가 구비되고, 이동블럭(74)에는 이동경사부(741)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정지경사부(731)는 이동블럭(74) 쪽의 단부로부터 정지레일(71)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고 이동경사부(741)는 정지블럭(73) 쪽의 단부로부터 파지이동부(52)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므로, 정지블럭(73)과 이동블럭(74)이 파지벨트(43)를 파지하면, 정지경사부(731)와 이동경사부(741)의 접촉이 해제되고, 정지블럭(73)과 이동블럭(74)이 파지벨트(43)에서 이격되면, 정지경사부(731)와 이동경사부(741)가 접촉되면서 이동블럭(74)은 정지가이드(72)와 함께 정지레일(7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정지가이드(72)는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를 가압 고정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의 정지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정위치정지유닛(70)은 정지레일(71)을 기준으로 정지블럭(73)과 이동블럭(74)을 밀착시키는 밀착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밀착부(75)는 정지레일(71)을 기준으로 정지가이드(72)를 베이스유닛(10)의 장착바디부(11)를 향해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커버유닛(80)은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되는 파지유닛(50)과 위치감지유닛(60)과 정위치정지유닛(70)을 감싸도록 프로브유닛(20)의 베이스바디부(21)에 결합됨으로써,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되는 파지유닛(50)과 위치감지유닛(60)과 정위치정지유닛(70)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면, 파지유닛(50)이 프로브배치유닛(4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프로브유닛(20)이 슬라이딩유닛(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프로브배치유닛(40)의 동작에 따라 프로브유닛(20)은 슬라이딩유닛(30)을 따라 이동되고, 위치감지유닛(60)에 의해 프로브유닛(20)이 정위치에 배치되면, 파지유닛(50)이 프로브배치유닛(40)에서 분리되고, 프로브유닛(20)이 베이스유닛(10) 상에 정지된다. 파지유닛(50)이 프로브배치유닛(40)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면, 이동블럭(74)이 정지블럭(73)에 밀착됨에 따라 정지가이드(72)는 정지레일(71)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정지블럭(73) 또는 정지가이드(72)가 베이스유닛의 장착바디부(11)를 가압 지지하고, 프로브유닛(20)은 베이스유닛(10)에 정위치 고정된다.
다음으로, 프로브유닛(20)의 프로브모듈(22)은 구동모듈(23)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D)에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을 테스트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에 따르면, 프로브유닛(20)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배치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한 궤도에서 프로브유닛(2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한편, 파지유닛(50)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력풀리(45)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프로브배치유닛(40)에서 파지벨트(43)가 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벨트(43)의 장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유닛(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딩유닛(30) 및 프로브배치유닛(40)이 파지유닛(5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유닛(50)이 슬라이딩유닛(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프로브배치유닛(40)을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이동부(52)의 세부 구성을 통해 베이스유닛(10)에서 파지이동부(52)의 결합 관계를 구체화하는 한편, 베이스유닛(10)에서 파지이동부(52)가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위치감지유닛(6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20)이 프로브배치유닛(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유닛(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 프로브유닛(20)이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정위치정지유닛(7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정위치된 프로브유닛(20)의 유동을 방지하고, 정위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브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프로브유닛(20)의 정위치에 대응하여 프로브유닛(20)과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베이스유닛 11: 장착바디부 12: 장착프레임부
20: 프로브유닛 21: 베이스바디부 211: 프로브가이드부
22: 프로브모듈 23: 구동모듈 30: 슬라이딩유닛
31: 슬라이딩레일 32: 슬라이딩가이드 40: 프로브배치유닛
41: 구동풀리 42: 종동풀리 43: 파지벨트
44: 구동모터 45: 장력풀리 50: 파지유닛
51: 파지고정부 52: 파지이동부 521: 파지부
522: 가이드이동부 523: 구동결합부 53: 파지구동부
501: 파지가이드 502: 파지요철부 60: 위치감지유닛
61: 감지레일 62: 감지롤러 63: 엔코더
64: 감지브라켓 70: 정위치정지유닛 71: 정지레일
72: 정지가이드 73: 정지블럭 731: 정지경사부
74: 이동블럭 741: 이동경사부 75: 밀착부
80: 커버유닛 D: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8)

  1. 베이스유닛;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는 프로브배치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유닛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브유닛이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파지유닛이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서 분리되고, 상기 프로브유닛이 상기 베이스유닛 상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풀리;
    상기 베이스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서 무한 궤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파지벨트; 및
    상기 파지벨트의 이동을 위해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파지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 또는 상기 프로브유닛 또는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구비되는 파지고정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이동부; 및
    상기 파지고정부와 상기 파지이동부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파지이동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파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에는,
    상기 파지이동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파지가이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파지이동부는,
    상기 파지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가이드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이동부; 및
    상기 가이드이동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가이드이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지구동부와 결합되는 구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이 정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정위치정지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감지레일;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레일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감지롤러; 및
    상기 프로브유닛의 위치 확인을 위해 상기 감지롤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정지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정지레일;
    상기 정지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가이드;
    상기 정지가이드에 결합되는 정지블럭; 및
    상기 파지유닛에서 상기 정지블럭을 향해 구비되고, 상기 파지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정지블럭에 밀착되는 이동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KR1020200046709A 2020-04-17 2020-04-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KR10232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09A KR102329854B1 (ko) 2020-04-17 2020-04-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09A KR102329854B1 (ko) 2020-04-17 2020-04-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12A true KR20210128712A (ko) 2021-10-27
KR102329854B1 KR102329854B1 (ko) 2021-11-22

Family

ID=7828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09A KR102329854B1 (ko) 2020-04-17 2020-04-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4511A (zh) * 2023-09-26 2023-11-03 深圳市思迪科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效果检测设备和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46B1 (ko) 2005-06-30 2006-12-06 (주)큐엠씨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KR101588856B1 (ko) * 2015-09-04 2016-01-27 주식회사 디이엔티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위치 조절장치
KR101961692B1 (ko) 2018-08-03 2019-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KR20190084749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디스플레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46B1 (ko) 2005-06-30 2006-12-06 (주)큐엠씨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KR101588856B1 (ko) * 2015-09-04 2016-01-27 주식회사 디이엔티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위치 조절장치
KR20190084749A (ko) *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101961692B1 (ko) 2018-08-03 2019-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4511A (zh) * 2023-09-26 2023-11-03 深圳市思迪科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效果检测设备和检测方法
CN116994511B (zh) * 2023-09-26 2023-12-08 深圳市思迪科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效果检测设备和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854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4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US20160334653A1 (en) Testing fixture
KR2018000013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20190005302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US200601055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2629B1 (ko) 멀티 프로브 검사기용 정렬장치
KR10232985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KR101588856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위치 조절장치
KR101907447B1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KR20160116379A (ko)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KR20140031538A (ko) 표시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과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471343Y1 (ko) 수직형 매니퓰레이터
KR100768914B1 (ko) 프로브 검사장치
KR101572640B1 (ko) 커버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용 지그
CN103201675A (zh) 用于调整薄膜间距的夹具、具有该夹具的薄膜接合装置及使用该装置调整薄膜间距的方法
KR20050025228A (ko) 전기적 접속장치
KR100648468B1 (ko) 다종 유리 기판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200109402A (ko) 웨이퍼 검사 장치
KR101607087B1 (ko) 프로브
US20240035940A1 (en) Testing device
KR101789670B1 (ko) 오엘이디 패널 검사용 커넥터
JP4207156B2 (ja) 液晶基板検査装置
CN114427928A (zh) 一种用于线缆的多方向扰动力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0474316Y1 (ko) 수직형 매니퓰레이터
KR20090006688A (ko) 프로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