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457A -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 Google Patents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457A
KR20210128457A KR1020217029718A KR20217029718A KR20210128457A KR 20210128457 A KR20210128457 A KR 20210128457A KR 1020217029718 A KR1020217029718 A KR 1020217029718A KR 20217029718 A KR20217029718 A KR 20217029718A KR 20210128457 A KR20210128457 A KR 2021012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olefin
layer
polymer
base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088B1 (ko
Inventor
쇼헤이 사이타
고스케 오타
다이이치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2Variation across the area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finene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 A61F2013/15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in making composite multi-layered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5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nonw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or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및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하고,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상기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8.0%인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이다.

Description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본 개시는,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부직포는 통기성 등이 우수하므로, 종이 기저귀나 생리 용품 등의 위생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더한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벌키성, 및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부직포가 요구되고 있다.
유연성, 벌키성 등이 우수한 부직포를 얻는 방법으로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섬유를 권축시키는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융점이 상이한 2종류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한 편심(偏心) 심초(芯
Figure pct00001
)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로 한 경우에, 초부에 이용하는 저융점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보다 Mz/Mw가 큰 고융점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심부에 이용하여 복합 섬유로 하면, 보다 고도로 권축된 권축 복합 섬유가 얻어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권축 복합 섬유 적층체의 중간층에, 멜트 블론 섬유를 적층한 복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1-129211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7/0335498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17/198336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복합 섬유는, 가공 시의 넥인(neck-in)이 커질 것이 염려되어, 고속 성형 시에 있어서의 안정 생산에 과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넥인이란, 예를 들어, 부직포를 MD 방향(섬유의 흐름 방향)으로 인장한 경우에, 섬유의 신축에 의해 부직포의 CD 방향(섬유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복합체는, 중간층으로서 도입되어 있는 멜트 블론층의 섬유경 및 평량이 커서, 굽힘 강성이 비교적 높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특히 위생 용품에 있어서 중요해지는 부직포 적층체 자체의 유연성(예를 들어, 쿠션성, 드레이프성 등), 및 내넥인성이 뒤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굽힘 강성이 낮게 억제되어 있음으로써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넥인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는, 이하의 태양이 포함된다.
<1>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및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하고,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상기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8.0%인 부직포 적층체.
<2> 상기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이, 1.00μm 이상 1.35μm 미만인 <1>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3>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상기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5.0%∼8.0%인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4> 상기 부직포층 A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상기 부직포층 B는 멜트 블론 부직포의 층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5> 상기 권축 복합 섬유는,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고, 상기 (a)부와 상기 (b)부의 질량비〔(a):(b)〕가, 10:90∼60:40이며,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이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가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보다도 큰 것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6>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5>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7> 상기 권축 복합 섬유는, 상기 (a)부가 심부(a')이고 상기 (b)부가 초부(b')인 편심 심초 구조를 갖는 <5> 또는 <6>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8>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9> 상기 엠보싱 가공에 의한 엠보싱 면적률이, 5%∼20%인 <8>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0>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위생 용품.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굽힘 강성이 낮게 억제되어 있음으로써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넥인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부직포의 유연성 시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목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공정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종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종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MD」(Machine Direction) 방향이란,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부직 웹의 진행 방향을 가리킨다. 「CD」(Cross Direction) 방향이란, MD 방향에 수직이고, 주면(主面)(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한 방향을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층」이라는 말에는, 당해 층이 존재하는 영역을 관찰했을 때에, 당해 영역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더하여, 당해 영역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부직포 적층체≫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및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하고,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8.0%이다.
권축 복합 섬유 포함하는 부직포층만을 이용한 적층체는, 넥인의 수축 폭이 크기 때문에 내넥인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는, 내넥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굽힘 강성을 증가시켜,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굽힘 강성이 낮게 억제되어 있음으로써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넥인성이 우수하다.
극세 섬유는 권축 복합 섬유보다도 가는 섬유이다. 그 때문에, 부직포 적층체 중에 있어서, 극세 섬유는, 권축 복합 섬유와 비교하여, 보다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극세 섬유는 부직포 적층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 적층체에 극세 섬유가 포함됨으로써, 부직포 적층체가 횡종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의 종횡 방향의 수축(즉 넥인 현상)이 억제된다고 추측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유연성」은, 굽힘 강성이 낮게 억제되어 있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것에 의한 부직포 적층체 자체의 유연성을 의미한다.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를 구비함으로써, 부직포 적층체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권축 복합 섬유로서는, 부직포 적층체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본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층 A는, 권축 복합 섬유 이외에, 스펀본드 부직포, 카드식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니들 펀치식 스펀본드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권축 복합 섬유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복합 섬유가 권축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권축 복합 섬유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수 종류의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중합체로서는,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스터계 중합체,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부직포 적층체 자체의 유연성, 강도 및 내수성의 관점에서, 상기 중합체는 올레핀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특정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a)부, 및 상기 특정의 중합체와는 상이한 다른 중합체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는,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A))
올레핀계 중합체(A)로서는, 에틸렌계 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올레핀계 중합체(A)로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올레핀계 중합체(A)는, 1종류의 중합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중합체, 즉 2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체여도 된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며,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α-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상이한 에틸렌계 중합체를 2종 이상 포함해도 된다.
올레핀계 중합체(A)로서 이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도 되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프로필렌과 공중합하는 α-올레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상이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2종 이상 포함해도 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기계 강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올레핀계 중합체(A)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A)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ASTMD-1238, 230℃, 하중 2,160g)는, 방사성의 관점에서, 20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g/10분∼8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MFR이 100g/10분 이하임으로써, 얻어지는 부직포 적층체의 인장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는, 올레핀계 중합체(B)에 비해, 융점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가 1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가 12℃∼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A)와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차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는, 융점이 1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7℃∼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이 155℃ 이상임으로써,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과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의 차를, 10℃를 초과하는 차로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기 때문에,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의 Z 평균 분자량(Mz)과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비〔Mz/Mw(A)〕는, 양호한 권축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성의 관점에서, Mz/Mw(A)는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A)는, 2.1∼4.5가 보다 바람직하고, 2.1∼3.0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는, Mw가 15만∼25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Mz가 30만∼6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는, 분자량 분포로서 정의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A)〕가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3.5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 Mw, Mn, Mz/Mw(A) 및 Mw/Mn(A)는,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후술 기재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는, 통상, 소위 타이타늄 함유 고체상 전이 금속 성분과 유기 금속 성분을 조합한 지글러·나타형 촉매, 혹은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골격을 적어도 1개 갖는 주기율표 제4족∼제6족의 전이 금속 화합물 및 조촉매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슬러리 중합, 기상 중합, 벌크 중합으로, 예를 들어 프로필렌을 단독중합, 혹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그 때, Mz, Mw 및 Mz/Mw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MFR이 상이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특히,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당해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비해 MFR이 작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소량 혼합 혹은 다단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직접 중합하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A)의 Mw/Mn(A) 및 Mz/Mw(A)는, 특정의 촉매를 사용하고 중합 조건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 중합체를 과산화물 등에 의해 분해하여 조정하는 방법,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중합체를 혼합하여 조정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로서는, 시판되는 해당품, 예를 들어, 닛폰 폴리프로필렌 주식회사로부터, 상품명 노바테크 PP SA06A로 제조·판매되고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에는, 본 개시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이용되는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내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블로킹 방지제, 활제, 핵제, 안료 등의 첨가제 혹은 다른 중합체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B))
올레핀계 중합체(B)로서는, 에틸렌계 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에틸렌계 중합체는, 전술한 올레핀계 중합체(A)의 항에 기재되는 에틸렌계 중합체와 마찬가지이고, 바람직한 태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올레핀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전술한 올레핀계 중합체(A)의 항에 기재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마찬가지이고, 바람직한 태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이하의 태양도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로서 이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전술한 올레핀계 중합체(A)의 항에서 들어지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내넥인성과 유연성의 균형이 우수한 관점에서, 올레핀계 중합체(B)로서 이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1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더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ASTMD-1238, 230℃, 하중 2,160g)는, 전술한 올레핀계 중합체(A)에 있어서의 MFR과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마찬가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는, 융점이 120℃∼155℃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1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이 120℃ 이상임으로써, 내열성을 양호하게 유지 할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B)는, Z 평균 분자량(Mz)과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비〔Mz/Mw(B)〕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는, Mw가 15만∼25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Mz가 30만∼60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B)는, 분자량 분포로서 정의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B)〕가 2.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3.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 Mw, Mn, Mz/Mw(B) 및 Mw/Mn(B)는,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후술 기재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B)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와 마찬가지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올레핀계 중합체(B)로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Mz, Mw 및 Mz/Mw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MFR이 상이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소량 혼합 혹은 다단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직접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올레핀계 중합체(B)의 Mw/Mn(B) 및 Mz/Mw(B)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정의 촉매를 사용하고 중합 조건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 중합체를 과산화물 등에 의해 분해하여 조정하는 방법,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중합체를 혼합하여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B)는, 시판되는 해당품, 예를 들어,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로부터,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S119로 제조·판매되고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B)에는, 본 개시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이용되는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내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블로킹 방지제, 활제, 핵제, 안료 등의 첨가제 혹은 다른 중합체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얻어지는 부직포 적층체의 기계 강도, 내넥인성과 유연성의 균형이 우수한 관점에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올레핀계 중합체(A)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며, 올레핀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은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보다도 큰 것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권축 복합 섬유의 권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Tm), Mz/Mw 및 MFR이, 이하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m>
본 개시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은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는 관점에서, 본 개시의 (a)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과 (b)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의 차가 1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가 12℃∼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이 155℃ 이하임으로써, 올레핀계 중합체(A)와의 융점차를, 10℃를 초과하는 차로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Tm의 값은, (a)부 및 (b)부의 원료가 되는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 각각의 융점을 구하고, 그 차에 의해 산출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융점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1) 올레핀계 중합체를 퍼킨엘머사제 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의 측정용 팬에 세팅하고, 30℃로부터 200℃까지, 10℃/분으로 승온하고, 200℃에서 10분간 유지한 후, 30℃까지 10℃/분으로 강온한다.
2) 다음에, 다시, 30℃로부터 200℃까지 10℃/분으로 승온하고, 그 동안에 관측된 피크로부터 융점을 구한다.
<△Mz/Mw>
본 개시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는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a)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A)와 (b)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B)의 차〔Mz/Mw(A)-Mz/Mw(B): △Mz/Mw〕의 절대치는, 0.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0.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Mz/Mw가 0.01 이상임으로써, 권축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로부터 권축 복합 섬유를 얻을 수 있다. 한편, △Mz/Mw가 2.0 이하임으로써, 방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Mz는 Z 평균 분자량이라고 불리고, 공지이며, 이하의 식(1)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식(1) 중, Mi는 중합체〔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 이하, 합쳤을 경우는 「올레핀계 중합체」라고 부른다.〕의 분자량, Ni는 중합체(올레핀계 중합체)의 몰수이다.
일반적으로, Mz는, 중합체의 고분자량 성분을 보다 반영한 분자량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Mz/Mw는, 일반적인 분자량 분포의 지표인 Mw/Mn보다도, 보다 고분자량 성분을 반영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 이 값은, 섬유의 권축성에 영향을 준다.
△Mz/Mw는, (a)부 및 (b)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 각각의, Mz/Mw를 GPC 분석에 의해 구하고, 그 차의 절대치에 의해 산출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GPC 분석은,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된다.
1) 프로필렌 중합체 30mg을 o-다이클로로벤젠 20mL에 145℃에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2) 당해 용액을 공경이 1.0μm인 소결 필터로 여과하여, 시료로 한다.
3) 당해 시료를 GPC에 의해 분석하고, 폴리스타이렌(PS) 환산하여,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곡선을 구한다.
측정 기기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한다.
측정 장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Alliance GPC2000형(Waters사제)
해석 장치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 Empower2(Waters사제)
컬럼 TSKgel GMH6-HT×2+TSKgel GMH6-HTL×2(모두 7.5mmI.D.×30cm, 도소사제)
컬럼 온도 140℃
이동상 o-다이클로로벤젠 (0.025%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함유)
검출기 시차 굴절률계
유속 1mL/min
시료 농도 30mg/20mL
주입량 500μL
샘플링 시간 간격 1s
컬럼 교정 단분산 폴리스타이렌(도소사제)
분자량 환산 PS 환산/표준 환산법
<MFR비>
본 개시의 (a)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A)의 MFR과 (b)부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B)의 MFR의 비(이하 「MFR비」라고도 한다)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0.8∼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의 MFR은, 20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MFR은, ASTM D1238에 준거하여, 하중; 2,160g 및 온도; 230℃에서 구해진다.
<(a)부와 (b)부의 질량비>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a)부와 (b)부의 질량비〔(a):(b)〕는, 10:90∼6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a)부와 (b)부의 질량비가 상기의 범위 내임으로써, 권축 복합 섬유의 형성에 이용하는 복합 섬유의 권축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어,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a)부와 (b)부의 질량비〔(a):(b)〕는, 10:90∼50:50이 보다 바람직하고, 20:80∼40:60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는,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고, 상기 (a)부와 상기 (b)부의 질량비〔(a):(b)〕가, 10:90∼60:40이며,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는, Mz/Mw, 융점 및 MFR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권축 복합 섬유가,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고,
(a)부와 (b)부의 질량비〔(a):(b)〕가, 10:90∼60:40이며,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이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 및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가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보다도 큰 것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권축 복합 섬유로서, 횡단면이 (a)부 및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는 권축 복합 섬유이며,
상기 (a)부와 상기 (b)부의 질량비〔(a):(b)〕가, 10:90∼60:40이고, 상기 (a)부는 올레핀계 중합체(A)로, 상기 (b)부는 올레핀계 중합체(B)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A)와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B)의 차〔Mz/Mw(A)-Mz/Mw(B): △Mz/Mw〕가, 0.10∼2.2이고,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Tm(A)〕과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Tm(B)〕의 차〔△Tm=Tm(A)-Tm(B)〕가 10℃를 초과하는, 권축 복합 섬유여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의 평균 섬유경은, 사성(絲性; yarn property), 권축성, 및 부직포 적층체로 했을 경우의 내넥인성 및 기계 강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8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의 평균 섬유경은, 부직포 적층체로 했을 경우의 부직포 적층체 자체의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2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6.6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평균 섬유경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중, 10은 (a)부, 20은 (b)부이다.
본 개시의 횡단면이 (a)부 및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는 권축 복합 섬유는, 권축 복합 섬유의 횡단면에 있어서, (a)부 차지하는 비율이, (b)부를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한 바와 같이, 질량비〔(a):(b)〕로 하여, 10:90∼60:40, 바람직하게는 10:90∼5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40:60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권축 복합 섬유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여러 가지 공지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a)부 및 (b)부가 서로 접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병렬형) 권축 복합 섬유, 혹은 (a)부가 심부(a')이며, (b)부가 초부(b') 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는, 심부와 초부로 이루어지고, 권축한 섬유를 말한다. 심부(a')는, 섬유의 단면 내에 있어서 심부(a')와는 상이한 중합체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도록 배열되고, 또한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말한다.
초부(b')는, 섬유의 단면 내에 있어서 심부(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또한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말한다.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 중, 섬유의 단면 내에 있어서의 섬유의 심부(a')의 중심과 초부(b')의 중심이 동일하지 않은 것을 편심 심초 구조의 권축 복합 섬유(편심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라고도 칭한다.)라고 한다.
∼편심 심초 구조∼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권축 복합 섬유는, 상기 (a)부가 심부(a')이며 상기 (b)부가 초부(b')인 편심 심초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복합 섬유가 상기 편심 심초 구조를 가짐으로써, 권축 복합 섬유의 형성에 이용하는 복합 섬유의 권축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어,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편심 심초 구조는, 예를 들어, Mz/Mw가 보다 큰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를 심부로, Mz/Mw가 보다 작은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를 초부로 이용해도 된다.
편심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에는, 심부(a')의 측면이 노출된 「노출형」과, 심부(a')의 측면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비노출형」이 존재한다.
편심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로서는, 노출형의 편심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성이 우수한 편심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심부(a')와 초부(b')가 접하는 단면은, 직선이어도 곡선이어도 되고, 심부의 단면은 원형이어도, 타원 혹은 방형(方形)이어도 된다.
심부와 초부의 접합면이 직선이고, 심부의 일부가 권축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된 복합 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이라고도 불린다.
도 3∼도 8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의 단면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권축 복합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원료를 압출하는 압출기(1) 및 (1')로부터 압출된 원료를 방사할 때, 상기의 심초형 권축 복합 섬유 등의 권축 복합 섬유의 태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권축 복합 섬유는, 단섬유여도, 장섬유여도 되지만, 장섬유인 편이, 부직포로 했을 경우에, 권축 복합 섬유의 부직포로부터의 탈락이 없고, 내보풀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권축 복합 섬유의 권축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5개/25mm 이상을 들 수 있다. 벌키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하는 관점에서, 권축수는, 20개/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개/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권축 복합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로서는, 냉각 시에 섬유에 변형(distortion)을 생기게 하여 권축시킨 현재(顯在) 권축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현재 권축 스펀본드 부직포의 장섬유로서는, 결정화 온도, 융점, 연화점, 결정화 속도, 용융 점도 등이 상이한 이종(異種)의 열가소성 수지를 복합한, 편심 심초형 복합 장섬유, 병렬형(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장섬유, 편심 중공 복합 장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부직포층 B를 구비함으로써, 부직포 적층체의 내넥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극세 섬유는, 부직포 적층체의 넥인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멜트 블론법에 의해 제조된 멜트 블론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층 B는, 극세 섬유 이외에, 멜트 블론 부직포, 카드식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니들 펀치식 스펀본드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극세 섬유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은, 1.35μm 미만이다.
이것에 의해 균일성이 우수하고 지합(地合; texture)이 좋은 적층체가 되어, 내넥인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은 1.34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은, 단사(單絲) 강도가 높고, 충분한 기계 특성을 나타내는 부직포 적층체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1.0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기계 특성을 나타내는 부직포 적층체가 얻어짐에 더하여 추가로, 균일성이 우수하고 지합이 좋은 적층체가 되고, 내넥인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1.2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은, 2.0%∼8.0%이다.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 이상임으로써, 균일성이 우수하고 지합이 좋은 적층체가 되어, 내넥인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3%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8.0% 이하임으로써, 굽힘 강성이 낮고, 부직포 적층체 자체의 유연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넥인 계수」란, 폭 유지율(%)/평량(g/m2)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폭 유지율(%)」, 「평량(g/m2)」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총평량에서 차지하는 극세 섬유의 평량의 비율」은, 부직포층 B의 평량(g/m2)/부직포 적층체의 평량(g/m2)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폭 유지율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내수압)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내수압의 값과 극세 섬유의 평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내수압의 값으로부터 극세 섬유의 평량을 어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내수압의 값으로부터 어림된 극세 섬유의 평량을 이용하여, 부직포층 B의 평량 비율을 개산(槪算)할 수 있다.
내수압의 값으로부터 극세 섬유의 평량을 어림하기 위한 환산식은, 이하의 식 1로 표시된다.
한편, 식 1은, 국제 공개 제2017/198336호의 실험예에 있어서의 SMS 부직포 적층체, 및 본 개시에 있어서의 실험예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식이다.
내수압[mmH2O]=55.7×극세 섬유의 평량[g/m2]+97.0 식 1
상기의 환산식을 이용하여 내수압의 값으로부터 어림된 극세 섬유의 평량을 이용하여,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극세 섬유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의 α-올레핀의 단독 혹은 공중합체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계 중합체(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 폴리1-뷰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자일릴렌 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폴리아마이드계 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이오노머,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극세 섬유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올레핀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극세 섬유로서는,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중에서도, 내약품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융점(Tm)이 15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7℃∼165℃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2 이상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프로필렌은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프로필렌은 제외한다)으로서는,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예를 들어,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8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해, 0.5질량%∼2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용융 방사할 수 있는 한, 멜트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230℃, 하중 2,160g)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g/10분∼3,000g/10분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00g/10분∼2,000g/10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0g/10분∼1,600g/10분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부직포층 B의 평량은 0.5g/m2∼1.5g/m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7g/m2∼1.5g/m2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층 B의 평량이 0.5g/m2∼1.5g/m2임으로써, 내넥인성과 유연성의 균형이 우수하고, 얇은 권축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넥인 계수)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100N/m로 신장시켰을 경우의 넥인 계수가 5.0 이상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넥인 계수가 5.0 이상임으로써, 부직포 적층체의 평량을 억제하여, 넥인 현상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부직포 적층체는 100N/m로 신장시켰을 경우의 넥인 계수가 5.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넥인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권축 복합 섬유 및 극세 섬유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적절한 단위 구조 및 상기 단위 구조의 결합 패턴을 갖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넥인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
권축 복합 섬유 및 극세 섬유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적절한 물성(예를 들어, 분자량 분포, 결정성 등)을 갖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넥인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
적층체에 있어서의 각 층의 평량 비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넥인 계수를 조정하는 방법.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로서는, 부직포층 A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부직포층 B는 멜트 블론 부직포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층)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전술한 부직포층 A 및 부직포층 B 이외에,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층으로서는, 부직포층 A에 해당하지 않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부직포층 B에 해당하지 않는 멜트 블론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습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건식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건식 펄프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플래시 방사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개섬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 등,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내넥인성을 향상시키면서, 근년의 위생 재료에 요구되고 있는 쿠션성 및 유연성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층으로서는, 부직포층 B에 해당하지 않는 멜트 블론 부직포를 포함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적층체의 평량)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평량(부직포 적층체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넥인 현상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g/m2∼25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m2∼23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g/m2∼18g/m2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2g/m2∼15g/m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적층체 상기 권축 복합 섬유가 엠보싱 가공에 의해 서로 열융착되어 있음으로써, 섬유의 안정성 및 강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 엠보싱 가공에 의한 엠보싱 면적률이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이면 위생 재료에 요구되는 기계 강도와 유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엠보싱 가공의 엠보싱 면적률이 7%∼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엠보싱 가공의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17-15390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부직포 적층체의 용도 등>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여러 가지 층과 적층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편포, 직포, 부직포, 필름, 위생 용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양호한 쿠션성, 유연성 및 내넥인성을 나타내므로, 부직포 적층체의 용도는,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위생 용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 및 필요에 따라서 포함되는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는(첩합하는) 경우는, 엠보싱 가공, 초음파 융착 등의 열융착법, 니들 펀치, 워터 제트 등의 기계적 교락법, 핫멜트 접착제, 유레테인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 적층체의 태양)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스펀본드법으로 제조한 권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권축) 및 멜트 블론 섬유로 이루어지는 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와, 필요에 따라서 적층되는 그 외의 부직포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스펀본드 부직포(권축), 스펀본드 부직포(비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스펀본드 부직포(권축), 스펀본드 부직포(비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비권축)/스펀본드 부직포(권축) 등의 4층 구조의 적층체;
스펀본드 부직포(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 스펀본드 부직포(비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 등의 3층 구조의 적층체;
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 등의 2층 구조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과 내넥인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 3층 구조 및 4층 구조의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4층 구조의 적층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에서도,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과 내넥인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스펀본드 부직포(권축)/멜트 블론 부직포(극세 섬유)/스펀본드 부직포(권축)/스펀본드 부직포(권축)의 구조가 더 바람직하다.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부직포 제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제조 장치는,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올레핀계 중합체(B)를 압출하는 압출기(1) 및 (1')와, 압출된 원료를 방사하여 섬유(3)로 하는 방사용 구금(2)과, 섬유(3)를 연신하는 이젝터(5)와, 연신 후의 섬유를 포집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8)로 하는 컬렉터 장치(6)와, 부직포(8)의 적어도 일부를 열융착하는 본딩 유닛(9)과, 열융착 후의 부직포를 권취하는 와인더를 구비한다. 컬렉터 장치(6)는, 섬유를 포집하는 면(포집면)의 하부에, 흡인에 의해 섬유를 효율 좋게 포집하기 위한 석션 유닛(7)을 구비한다. 이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 방사용 구금(2)에 의해 얻어진 섬유(3)는, 섬유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치 에어)에 의해 냉각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그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량(g/m2)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 대상의 부직포로부터 100mm(섬유의 흐름 방향: MD)×100mm(섬유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CD)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한다. 시험편의 채취 장소는, CD 방향에 걸쳐서 10개소로 한다. 그 다음에, 채취한 각 시험편에 대해서 윗접시 전자 천칭(겐세이 공업사제)을 이용하여, 각각 질량〔g〕을 측정하여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치를 구한다.
상기에서 구한 평균치로부터 1m2당의 질량〔g〕으로 환산하여, 각 부직포의 평량〔g/m2〕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균 섬유경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우선,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을 적절히 조정하여(예를 들어 200배) 섬유 부직포의 사진을 촬영하고, 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중, 임의의 섬유 50개를 선택하여, 선택한 섬유의 폭(직경)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섬유의 폭(직경)의 평균치로서 산출한 값을 평균 섬유경으로 한다.
한편, 극세 섬유(멜트 블론 섬유를 포함한다)의 평균 섬유경에 대해서도, 전자 현미경의 배율을 적절히 조정(예를 들어 1,000배)하여, 전술한 평균 섬유경의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폭 유지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다.
우선, 지그를 이용하고, 지그 간의 거리는 350mm로 하여, 폭 200mm×길이 450mm의 부직포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끼운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에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세팅하여 100N/m의 장력으로 인장한 후, 폭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하의 식으로 폭 유지율을 산출한다.
폭 유지율(%)=(인장 시의 폭(mm)/초기의 폭(mm))×100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이하의 각 평가를 행하고,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인장 강도)
부직포 적층체에 대해, JIS L 190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폭 25mm×길이 200mm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 100mm, 헤드 스피드 100mm/min으로, MD(섬유의 흐름 방향): 5점, 및 CD(섬유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5점을 측정하고, 각각 평균치를 산출하여 인장 강도(N/25mm)를 구했다.
(내수압)
내수압 JIS L1072A법(저수압법)에 준하여 행했다. 약 15×15cm의 시험편을 4매씩 채취하여, 내수도 시험 장치(테스터 산업(주)제)에 시험편의 표면이 물에 닿도록 설치하고, 상온수가 들어간 수준 장치를 60±3cm/분 또는 10±0.5cm/분의 속도로 상승시켜 시험편에 수압을 걸어 시험편의 반대측의 3개소로부터 물이 샜을 때의 수위를 측정하여, 그 때의 압력으로부터 내수압을 구했다.
(유연성)
JIS L1096에 준거하여, 이른바 캔틸레버법에 의해 유연성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
1) 2cm×15cm의 시험편(30)을 준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험대(40) 상에 정치했다.
2) 시험편(30)을 천천히 화살표 방향으로 압출하여, 시험편이 절곡될 때까지 이동시킨 거리(50)를 측정했다.
3) 시험편의 MD가 이동 방향과 평행인 경우와, 시험편의 CD가 이동 방향과 평행인 경우에 대해 측정했다.
한편, 상기에서 측정되는 수치가 높을수록 부직포 적층체는 강성이 우수하고, 낮을수록 부직포 적층체는 유연성이 우수하다.
(넥인 계수)
내넥인성의 지표로서, 이미 기술한 방법에 의해 폭 유지율을 측정하고, 측정한 폭 유지율을 이용하여, 폭 유지율(%)/평량(g/m2)으로 산출되는 값으로서 넥인 계수를 산출했다.
한편, 넥인 계수가 높을수록 내넥인성이 양호하다.
(방사성)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 각 층을 구성하는 중합체를 방사했을 때의 사 절단 횟수를 측정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A: 사 절단 없음
B: 사 절단이 1회 이상 발생했다.
(성형성)
엠보싱 가공에 있어서, 엠보싱 롤을 5분간 주행시키고, 부직포 적층체가 엠보싱 롤을 통과할 때에 생기는 부착 상태를 확인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A: 육안으로 부착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 상태.
B: 육안으로 부착이 확인되는 상태, 또는 엠보싱 롤에 감겨 붙는 상태
<실시예 1>
(제1층)
하기의 IA 성분과 하기의 IB 성분을 이용하여,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복합 섬유 I」로 한다)로부터 형성되는 부직 웹을 이동 포집 면 상에 퇴적시켜, 제1층을 제작했다. 상기 권축 복합 섬유 I은, IA 성분/IB 성분의 질량비가 40/60이었다.
제1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1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권축 복합 섬유 I의 올레핀계 중합체(A)(IA 성분)-
융점 162℃, Mz/Mw 2.24, MFR: 60g/10분(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0g에서 측정. 이하, 특별히 특정하지 않는 한 마찬가지.)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
-권축 복합 섬유 I의 올레핀계 중합체(B)(IB 성분)-
융점 142℃, Mz/Mw 2.19, MFR 60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
(제2층)
상기 제1층에 기재된 방법 및 성분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성분으로, 상기 제1층의 부직 웹 상에 제2층을 제작하여,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제작했다.
제2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2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제3층)
융점 159℃, MFR이 850g/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멜트 블론 부직포 제조 장치의 다이에 공급하고, 표 1에 기재된 성형 온도로 가열된 다이로부터, 멜트 블론용 노즐(직경 0.32mm, 41hole/inch)을 이용하여, 노즐의 양측으로부터 불어 나오는 표 1에 기재된 성형 온도의 고온 고속 공기와 함께 토출하여, 표 1에 기재된 DCD(방사 구금의 표면으로부터 컬렉터까지의 거리)로 토출되는 섬유(비권축 복합 섬유 I)를 인라인으로 제1층 및 제2층의 부직 웹 상에 퇴적시켜 제3층을 제작하여,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제작했다.
제3층에 있어서의 비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3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제4층)
제1층에 기재된 방법 및 성분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성분으로, 제3층의 부직 웹 상에 제4층을 제작하여,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제작했다.
제4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4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그 다음에,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하기 엠보싱 롤로 하기 엠보싱 조건에 의해 열융착하여 SSMS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압착부의 엠보싱 면적률은, 11%였다. 한편, 부직포 적층체 전체의 총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엠보싱 롤-
엠보싱 면적률: 11%
엠보싱 어스펙트비: 4.1mm/mm2
엠보싱 모재의 록웰 경도: 37HRC
-엠보싱 조건-
엠보싱 온도: 142℃
엠보싱 선압: 784N/cm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제1층, 제2층 및 제4층의 평균 섬유경을 표 1과 같이 조정하고, 제3층의 평균 섬유경을 표 1과 같이 조정하고, 제1층∼제4층의 평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1에 기재된 총평량을 갖는 SSMS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제1층)
실시예 1의 (제1층)의 항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층을 제작했다.
제1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1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제2층)
하기의 IIA 성분과 하기의 IIB 성분을 이용하여,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복합 섬유 II」로 한다)로부터 형성되는 부직 웹을, 인라인으로, 제1층의 부직 웹 상에 퇴적시켜 제2층을 제작하여,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제작했다. 권축 복합 섬유 II는, IIA 성분/IIB 성분의 질량비가 40/60이었다.
제2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I의 평균 섬유경, 및 제2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권축 복합 섬유 II의 올레핀계 중합체(A)(IIA 성분)-
융점 142℃, MFR 60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융점 162℃, MFR3g/10분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질량비(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96 대 4인 혼합체(Mz/Mw 2.54).
-권축 복합 섬유 II의 올레핀계 중합체(B)(IIB 성분)-
융점 142℃, Mz/Mw 2.19, MFR 60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제3층)
성형 온도를 표 1에 기재된 온도로 하고, DCD를 표 1에 기재된 DCD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제3층)의 항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3층을 제작했다.
제3층에 있어서의 비권축 복합 섬유 I의 평균 섬유경, 및 제3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제4층)
제2층에 기재된 방법 및 성분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성분으로, 제3층의 부직 웹 상에 제4층을 제작하여,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제작했다.
제4층에 있어서의 권축 복합 섬유 II의 평균 섬유경, 및 제4층에 있어서의 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그 다음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 및 엠보싱 조건으로, 적층 구조의 부직 웹을 엠보싱 롤에 의해 열융착하여 SSMS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압착부의 엠보싱 면적률은, 11%였다. 한편, 부직포 적층체 전체의 총평량은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및 비교예 5>
제1층, 제2층 및 제4층의 평균 섬유경을 표 1과 같이 조정하고, 제3층의 평균 섬유경을 표 1과 같이 조정하고, 제1층∼제4층의 평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1에 기재된 총평량을 갖는 SSMS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6 및 비교예 7>
제1층, 제2층 및 제4층의 평균 섬유경을 표 1과 같이 조정하고, 제1층, 제2층 및 제4층의 평량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하고, 제3층을 제작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1에 기재된 총평량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제1, 제2 및 제4층), 및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제3층)를 구비하고,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8.0%인 실시예 1∼실시예 3은, 유연성 및 내넥인성이 우수했다.
한편,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제3층)의 평량의 비율이 8.0% 초과인 비교예 1은 캔틸레버의 값이 높아 유연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부직포층 B(제3층)의 평량의 비율이 2.0% 미만인 비교예 2는, 넥인 계수의 값이 낮아, 내넥인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부직포층 B 중의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이 1.35μm 이상인 비교예 3∼비교예 5에 대해, 비교예 3 및 5는 유연성 및 내넥인성의 양쪽이 뒤떨어져 있고, 비교예 4는 내넥인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6 및 비교예 7에 대해, 비교예 6은 내넥인성이 뒤떨어져 있고, 비교예 7은 부직포 적층체를 채취할 수 없었다.
2019년 3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061595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개로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10)

  1. 권축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A, 및
    평균 섬유경 1.35μm 미만인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층 B를 구비하고,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상기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2.0%∼8.0%인 부직포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섬유의 평균 섬유경이, 1.00μm 이상 1.35μm 미만인 부직포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에 대한 상기 부직포층 B의 평량의 비율이, 5.0%∼8.0%인 부직포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 A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상기 부직포층 B는 멜트 블론 부직포의 층인 부직포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 복합 섬유는, 올레핀계 중합체(A)로 구성되는 (a)부, 및 올레핀계 중합체(B)로 구성되는 (b)부의 적어도 2의 영역을 갖고,
    상기 (a)부와 상기 (b)부의 질량비〔(a):(b)〕가, 10:90∼60:40이며,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융점이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의 Mz/Mw가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의 Mz/Mw보다도 큰 것의 적어도 한쪽을 만족시키는 부직포 적층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A)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B)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인 부직포 적층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 복합 섬유는, 상기 (a)부가 심부(a')이며 상기 (b)부가 초부(b')인 편심 심초 구조를 갖는 부직포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는 부직포 적층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가공에 의한 엠보싱 면적률이, 5%∼20%인 부직포 적층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위생 용품.
KR1020217029718A 2019-03-27 2020-03-25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KR102564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1595 2019-03-27
JPJP-P-2019-061595 2019-03-27
PCT/JP2020/013446 WO2020196663A1 (ja) 2019-03-27 2020-03-25 不織布積層体及び衛生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457A true KR20210128457A (ko) 2021-10-26
KR102564088B1 KR102564088B1 (ko) 2023-08-07

Family

ID=7261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718A KR102564088B1 (ko) 2019-03-27 2020-03-25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50303A4 (ko)
JP (1) JP7182693B2 (ko)
KR (1) KR102564088B1 (ko)
CN (1) CN113677516B (ko)
WO (1) WO2020196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2863A1 (ja) * 2019-01-25 2020-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WO2023229570A1 (en) * 2022-05-23 2023-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 lofty nonwoven fabric
WO2023234224A1 (ja) * 2022-06-03 2023-12-07 エム・エーライフ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211A1 (ja) 2010-04-16 2011-10-20 三井化学株式会社 捲縮複合繊維、及び当該繊維からなる不織布
WO2012111723A1 (ja) * 2011-02-15 2012-08-23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WO2017198336A1 (en) 2016-05-18 2017-11-23 Fibertex Personal Care A/S Nonwoven laminate fabric comprising meltblown and spundbond layers
US20170335498A1 (en) 2016-05-18 2017-11-23 Fibertex Personal Care A/S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High Loft Spunbond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6367T2 (de) * 1998-03-24 2008-03-06 Mitsui Chemicals, Inc. Flexibles laminat aus faservlies
KR100372575B1 (ko) * 1998-10-09 2003-02-1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그로부터 된 부직포 적층체
MXPA03006656A (es) * 2001-01-29 2003-10-24 Mitsui Chemicals Inc Tela no tejida de fibras rizadas y laminado del mismo.
JP4245970B2 (ja) * 2002-04-26 2009-04-02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耐水性不織布
JP4837681B2 (ja) * 2006-02-03 2011-12-14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不織布積層体を用いた透湿性不織布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衛生用品
MY144778A (en) * 2006-05-31 2011-11-15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laminate and production thereof
EP2676791B1 (en) * 2011-02-15 2019-03-27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laminate
JP5404967B2 (ja) * 2011-05-11 2014-02-05 三井化学株式会社 捲縮複合繊維、及び当該繊維からなる不織布
JP6034022B2 (ja) * 2011-12-27 2016-11-30 旭化成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JP5925322B2 (ja) * 2012-08-22 2016-05-25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DK3255191T3 (da) * 2015-03-09 2020-02-24 Mitsui Chemicals Inc Ikke-vævet stoflaminat, strækbart ikke-vævet stoflaminat, fiberprodukt, absorberende artikel og hygiejnemaske
JP2017153901A (ja) 2016-03-04 2017-09-07 三井化学株式会社 吸収体及び衛生用品
US20190053960A1 (en) * 2016-03-04 2019-02-21 Mitsui Chemicals, Inc. Absorber and sanitary article
JP2019061595A (ja) 2017-09-28 2019-04-18 株式会社 バイオミメティクスシンパシーズ 報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211A1 (ja) 2010-04-16 2011-10-20 三井化学株式会社 捲縮複合繊維、及び当該繊維からなる不織布
WO2012111723A1 (ja) * 2011-02-15 2012-08-23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WO2017198336A1 (en) 2016-05-18 2017-11-23 Fibertex Personal Care A/S Nonwoven laminate fabric comprising meltblown and spundbond layers
US20170335498A1 (en) 2016-05-18 2017-11-23 Fibertex Personal Care A/S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High Loft Spunbond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7516A (zh) 2021-11-19
CN113677516B (zh) 2023-07-11
JPWO2020196663A1 (ja) 2021-11-04
WO2020196663A1 (ja) 2020-10-01
EP3950303A4 (en) 2022-12-14
KR102564088B1 (ko) 2023-08-07
JP7182693B2 (ja) 2022-12-02
EP3950303A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31B1 (ko) 권축 복합 섬유, 및 당해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US10077518B2 (en) Crimped conjugated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KR101581518B1 (ko) 권축 복합 섬유, 및 당해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KR20210128457A (ko)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용품
JP7308223B2 (ja) 不織布積層体、並びに、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KR102552774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엠보스 롤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7461460B2 (ja) 不織布積層体、被覆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2022135776A (ja) 不織布、不織布積層体及び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