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434A -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434A
KR20210127434A KR1020200045292A KR20200045292A KR20210127434A KR 20210127434 A KR20210127434 A KR 20210127434A KR 1020200045292 A KR1020200045292 A KR 1020200045292A KR 20200045292 A KR20200045292 A KR 20200045292A KR 20210127434 A KR20210127434 A KR 20210127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upper cup
insulator body
suspension devic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434A/ko
Publication of KR2021012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2035/0283Thermal pretreatment of the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하방에 위치된 현가장치와 결합된 어퍼컵; 어퍼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어퍼컵과 일체로 성형된 인슐레이터바디; 및 인슐레이터바디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에 의해 외측면이 감싸지며, 인슐레이터바디의 내부에서 어퍼컵과 결합된 로워컵;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INSULATOR FOR SUSPENS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수량을 줄여 조립공정을 줄임은 물론 부분적인 교체도 가능할 수 있도록 된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 중 차량이 노면의 불균일로부터 소음을 수반하는 진동을 받게 되면서 차체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가장치는 스프링과 쇽업소버(Shock Absober) 및 스테빌라이져 등으로 구성되어, 대체로 스프링상수와 댐핑력 및 차고조종의 3가지 기능을 주로 하면서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현가장치는 도로 노면의 상태와 차량의 현재속력 등의 주행조건에 따라 차고의 조정 또는 감쇠력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과 조정안정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는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중,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는 차체 패널에 결합되는 쇽업소버의 상단부로 진동이 차체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력에 의한 부품 자체의 탄성 변형과 베어링을 통한 회전을 이용해 조종 안정성을 향상하도록 인슐레이터 어셈블리(Insulator Assembly)가 장착되어진다.
종래의 인슐레이터는 차량의 진동 또는 현가장치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현가장치와 결합되는 어퍼컵과 결합되는 인슐레이터바디의 부분에서 진동의 흡수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어 결국 파손에 이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7-001764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어퍼컵에 탄성부재를 결합시킨 후 금형에 삽입하여 인슐레이터바디를 성형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 및 현가장치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어퍼컵과 인슐레이터바디의 접촉부위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하방에 위치된 현가장치와 결합된 어퍼컵; 어퍼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어퍼컵과 일체로 성형된 인슐레이터바디; 및 인슐레이터바디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에 의해 외측면이 감싸지며, 인슐레이터바디의 내부에서 어퍼컵과 결합된 로워컵;를 포함한다.
어퍼컵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인슐레이터바디는, 플랜지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퍼컵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인슐레이터바디 및 어퍼컵과 일체로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압축성 물질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에는,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성 물질이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슐레이터바디는 내부에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가 금형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어퍼컵 및 탄성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금형에 삽입된 탄성 재료를 가류시켜 인슐레이터바디를 성형하는 가류단계; 및 성형한 인슐레이터바디의 하방에 로워컵을 압입시켜 결합시키는 압입단계;를 포함한다.
삽입단계 이전에 어퍼컵의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하측으로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단계에는 인슐레이터 바디의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를 어퍼컵 및 탄성 재료와 함께 금형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퍼컵의 플랜지부 하측으로 탄성부재를 결합 후 인슐레이터바디를 성형함으로써, 인슐레이터바디와 플랜지부의 접촉부위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결합으로 인해 현가장치 또는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인슐레이터바디 내부에 삽입되는 부품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제조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제조 순서도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인슐레이터바디(200) 내부에 삽입되는 부품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차량의 현가장치를 차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현가장치와 차체사이에서 결합되며, 차체 또는 현가장치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는 하방에 위치된 현가장치와 결합된 어퍼컵(100); 어퍼컵(10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어퍼컵(100)과 일체로 성형된 인슐레이터바디(200); 및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200)에 의해 외측면이 감싸지며, 인슐레이터바디(200)의 내부에서 어퍼컵(100)과 결합된 로워컵(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로써, 도 4를 더 참조하면, 인슐레이터바디(200)는 탄성재료의 가류에 의해서 성형되며, 성형시 금형(500)에 어퍼컵(100)이 삽입되어 어퍼컵(100)과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컵(300)은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측으로 압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2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결합되는 현가장치의 뎀퍼와 결합되어 현가장치의 뎀퍼를 고정시킬 수 있다.
어퍼컵(100), 인슐레이터바디(200) 및 로워컵(300)은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화된 구조를 갖는다.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측으로는 현가장치가 결합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측면은 현가장치의 스프링과 접촉되며, 현가장치의 중심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로워컵(300), 인슐레이터바디(200) 및 어퍼컵(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결합되고, 어퍼컵(100)의 내측에서 볼트(미도시) 및 너트(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어퍼컵(100)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0)가 형성되고, 인슐레이터바디(200)는, 플랜지부(11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랜지부(110)는 어퍼컵(100)의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에 상방으로 하중이 가할때 플랜지부(110)의 하측이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인슐레이터바디(200)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압축됨에 따라 인슐레이터바디(200)와 플랜지부(110)의 접촉부가 마모되어 파손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슐레이터바디(200)에는 플랜지부(110)의 하부에서 어퍼컵(100)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슐레이터바디(200)의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만입홈부(240)를 통해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압축되더라도 플랜지부(110)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을 더 참조하면, 어퍼컵(100)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0)가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 및 어퍼컵(100)과 일체로 결합되는 탄성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 재료로 제조된 탄성부재(40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퍼컵(100)의 플랜지부(110) 하측으로 결합되고,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성형시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현가장치의 리바운드 시 하중이 하측으로 작용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압축과 동시에 압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00)는 현가장치의 범프 시 하중이 상방으로 작동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압축과 동시에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4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탄성 재료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 이외의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압축성 물질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더 참조하면, 탄성부재(4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압축성 물질이 주입되어 외력에 의해 압축되거나, 압축되었다가 다시 팽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슐레이터바디(200)가 가류를 통해 성형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팽창되며 탄성부재(400)는 압축될 수 있고, 가류 성형이 완료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냉각되어 압축되면 탄성부재(400)는 다시 팽창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성 물질은 공기와 같이 압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는 물질이며, 공기 이외의 압축성 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슐레이터바디(200)와 탄성부재(400)는 일체로 결합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 성형시 파손의 우려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외부의 충격을 통해 압축 또는 인장시 탄성부재(400)도 같이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400)에는,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성 물질이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40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압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압축 및 팽창이 쉽게 되도록 탄성부재(400)에는 외측에서 내부공간까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탄성부재(400)가 압축시 관통홀을 통해 내부공간의 압축성 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탄성부재(400)가 팽창되면 외부의 압축성 물질이 관통홀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400)의 압축 및 팽창이 더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슐레이터바디(200)는 내부에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210),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200)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230)가 금형(500)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인슐레이터바디(200)의 가류 성형시 금형(500)에 어퍼컵(100) 이외에도 인슐레이터바디(2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메인플레이트(210), 차체와 결합되는 볼트(220) 및 현가장치의 스프링과 접촉되는 베어링시트(230)가 금형(500)에 삽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플레이트(210)는 가류된 탄성물질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볼트(220)를 통해 차체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베어링시트(230)가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측의 현가장치의 스프링과 접촉되어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제조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제조 순서도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어퍼컵(100) 및 탄성 재료를 금형(500)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금형(500)에 삽입된 탄성 재료를 가류시켜 인슐레이터바디(200)를 성형하는 가류단계; 및 성형한 인슐레이터바디(200)의 하방에 로워컵(300)을 압입시켜 결합시키는 압입단계;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제조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삽입단계에서는, 인슐레이터바디(200)를 성형하는 금형(500)에 어퍼컵(10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탄성 재료를 삽입한다. 탄성 재료는 고무와 같은 물질이 삽입될 수 있다.
가류단계에서는, 삽입된 탄성 재료인 고무에 황을 주입하여 고무의 인강 강도를 향상시켜 성형할 수 있다. 탄성 재료는 고무가 아닌 탄성 및 강성을 갖는 다른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가류단계에서 어퍼컵(100)과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일체로 성형된 후 압입단계에서는 로워컵(300)을 인슐레이터바디(200)에 압입하여 어퍼컵(100), 인슐레이터바디(200) 및 로워컵(30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어퍼컵(100)과 로워컵(300)은 인슐레이터바디(200)의 내측에서 접촉되며, 접촉부위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2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삽입단계 이후에, 어퍼컵(100)의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0)의 하부에서 어퍼컵(100)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드코어(600)를 삽입하는 코어삽입단계; 및 가류단계 이후에, 슬라이드코어(600)를 외측방으로 제거하는 코어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어삽입단계는 삽입단계 이후 어퍼컵(100)의 플랜지부(110) 하측을 감싸는 슬라이드코어(600)가 삽입되고, 가류단계에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가류되어 성형되어 슬라이드코어(600)가 대응되는 부분에 만입홈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부(110) 하측의 만입홈부(240)가 형성됨에 따라 플랜지부(110)와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류단계에서 인슐레이터바디(200)의 성형이 끝나면 슬라이드코어(600)를 제거하는 코어제거단계로 진입한다.
코어제거단계 이후 로워컵(300)을 인슐레이터바디(200)에 압입하는 압입단계가 진행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3실시예에 대한 제조 방법을 알아보도록한다.
삽입단계 이전에 어퍼컵(100)의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0) 하측으로 링 형상의 탄성부재(400)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단계 이전에 어퍼컵(100)에 링 형태의 탄성부재(400)가 결합되고, 어퍼컵(100)과 탄성부재(400)가 결합된 상태로 금형(500)에 삽입되는 삽입단계가 진행된다.
삽입단계 이후 가류단계에서 인슐레이터바디(200)가 성형되며, 인슐레이터바디(200), 탄성부재(400) 및 어퍼컵(100)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삽입단계에는 인슐레이터바디(200)의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210),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220)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230)를 어퍼컵(100) 및 탄성 재료와 함께 금형(500)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어퍼컵 110 : 플랜지부
200 : 인슐레이터바디 210 : 메인플레이트
220 : 볼트 230 : 베어링시트
240 : 만입홈부 300 : 로워컵
400 : 탄성부재 500 : 금형
600 : 슬라이드코어

Claims (9)

  1. 하방에 위치된 현가장치와 결합된 어퍼컵;
    어퍼컵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어퍼컵과 일체로 성형된 인슐레이터바디; 및
    인슐레이터바디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인슐레이터바디에 의해 외측면이 감싸지며, 인슐레이터바디의 내부에서 어퍼컵과 결합된 로워컵;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퍼컵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인슐레이터바디는, 플랜지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퍼컵은,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인슐레이터바디 및 어퍼컵과 일체로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압축성 물질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탄성부재에는,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성 물질이 출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바디는 내부에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가 금형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7. 청구항 1의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어퍼컵 및 탄성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금형에 삽입된 탄성 재료를 가류시켜 인슐레이터바디를 성형하는 가류단계; 및
    성형한 인슐레이터바디의 하방에 로워컵을 압입시켜 결합시키는 압입단계;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삽입단계 이전에 어퍼컵의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부 하측으로 링 형상의 탄성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삽입단계에는 인슐레이터 바디의 강성을 지지하는 메인플레이트, 차체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볼트 및 하측으로 현가장치와 접촉되는 베어링시트를 어퍼컵 및 탄성 재료와 함께 금형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200045292A 2020-04-14 2020-04-14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7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292A KR20210127434A (ko) 2020-04-14 2020-04-14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292A KR20210127434A (ko) 2020-04-14 2020-04-14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434A true KR20210127434A (ko) 2021-10-22

Family

ID=7827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292A KR20210127434A (ko) 2020-04-14 2020-04-14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74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642A (ko) 2005-08-08 2007-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642A (ko) 2005-08-08 2007-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191692B2 (en) Cylinder apparatus
KR20210127434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US7040608B2 (en) Bearing for wheel suspensions in a motor vehicle
US3888472A (en) Suspension insert for a two-headed resilient bushing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17331B1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226548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2717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101188249B1 (ko) 쇽업소버의 쿠션 러버 조립체
CN215513853U (zh) 车辆转向节总成
CN219866011U (zh) 衬套组件
US20230313832A1 (en) Hydraulic bearing bush
JP2014074481A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JPH0139202Y2 (ko)
KR20220077674A (ko) 차량 프레임 바디용 탑부싱
KR20060018067A (ko) 에어 서스펜션
KR100452281B1 (ko) 차량 현가장치의 크로스멤버용 부쉬
KR19980051424A (ko) 차량 현가의 스트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