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001A - 탄산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탄산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001A
KR20210126001A KR1020217023065A KR20217023065A KR20210126001A KR 20210126001 A KR20210126001 A KR 20210126001A KR 1020217023065 A KR1020217023065 A KR 1020217023065A KR 20217023065 A KR20217023065 A KR 20217023065A KR 20210126001 A KR20210126001 A KR 2021012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carbon dioxide
dioxide gas
uni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나 고다
타카유키 후쿠나가
히로키 아라타
코지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에어 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 워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어 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량의 탄산수를 적시에 생성하고 출수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양호한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산수(38)를 적시에 생성하고, 출수하는 것이 가능한 탄산수 디스펜서(10)로서, 탄산수(38)를 가압 하에서 생성하는 생성부(31)와, 탄산수(38)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수를, 생성부(31)에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부(32)와, 탄산수(38)를 제조하기 위한 탄산 가스를, 음료수가 공급된 생성부(31)에 공급하는 탄산 가스 공급부(33)와, 생성부(31)에서 생성된 탄산수(38)를 출수하는 출수부와, 음료수 공급부(32), 탄산 가스 공급부(33) 및 출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탄산수 디스펜서
본 발명은 탄산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를 적시(適時)에 생성하고 출수(出水)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양호한 탄산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디스펜서(또는 음료수 서버)는,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대용량 보틀(7∼12 L 정도)을 설치해 두고, 필요량을 적시적으로 컵 등에 채수(採水)하여 음용(飮用)되는 것이다. 최근, 이 보틀을 가정이나 음식점, 병원, 각종 오피스 등에 배송하여 소비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펜서 내에서 탄산수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탄산수 디스펜서가 알려져 있다. 탄산수 디스펜서로서는, 배치식 탄산수 디스펜서와 연속식 탄산수 디스펜서로 분류된다.
배치식 디스펜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휴대용수 탄산화 장치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워터 서버가 있다. 전자(前者)는, 헤드·탱크로부터 신선한 물을 압력용기에 공급하고, 분사 노즐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압력 하에서 분사함으로써, 압력용기 내에서 탄산화된 물을 생성한다. 후자는, 음료수 냉각부에서 냉각된 음료수를 음료수 토수부(吐水部)로부터 토수하고, 그 후, 토수한 음료수에, 탄산 가스 분사부로부터 탄산 가스를 분사시킴으로써 탄산수를 생성한다.
연속식 탄산수 디스펜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음료수 서버가 있다. 상기 음료수 서버는, 음료수가 소정 케이스 내부를 통과할 때, 별도로 설치된 봄베 내의 탄산 가스가 다공질체를 통하여 케이스에 공급되고, 이로써 물에 탄산수를 용해시켜 탄산수를 생성하고, 그 후에 외부로 공급한다.
그러나,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는, 생성한 탄산수를 그때그때 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출수되지 않은 탄산수는 내부에서 저류(貯留)되게 된다. 그 결과, 세균류 등이 증식하여 청정한 탄산수의 공급이 곤란하게 되어, 위생 상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공 소56-43774호 특허문헌2 : 일본공개특허 제2017-81601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공개특허 제2014-14478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량의 탄산수를 적시에 생성하고 출수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양호한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종래의 과제는, 이하에서 기술하는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디스펜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산수를 적시에 생성하고, 출수하는 것이 가능한 탄산수 디스펜서로서, 상기 탄산수를 가압 하에서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수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부와,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탄산 가스를, 상기 음료수가 공급된 생성부에 공급하는 탄산 가스 공급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탄산수를 출수하는 출수부와, 상기 음료수 공급부,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음료수 공급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에 따른 양의 음료수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상기 음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음료수의 공급량, 상기 음료수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용해량, 및/또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출수부에 대하여,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전량을 출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탄산수의 출수를 요구하면, 제어부는 음료수 공급부에 대하여 동작 지령을 행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양에 따른 양의 음료수를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음료수가 생성부에 공급되면, 제어부는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동작 지령을 행하고, 음료수의 공급량이나 상기 음료수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용해량, 및/또는 생성부 내부의 압력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를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생성부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의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양의 탄산 가스가 용해한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생성부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전량을 출수하도록 출수부에 동작 지령을 행한다.
즉, 상기한 구성이라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의 양의 탄산수를 적시에 생성하고, 그 전량을 출수할 수 있으므로, 탄산수 디스펜서 내에 미리 생성해 둔 탄산수를 저류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탄산수 디스펜서 내부에서 세균류 등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 면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탄산 가스를 수동으로 분사하는 등 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양의 탄산 가스를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어, 탄산 가스의 용해량에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고압가스보안법의 규정에도 용이하게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지 않는 감압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폐전(閉栓)하고,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개전(開栓)하여 상기 생성부에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로써, 생성부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감압 밸브가 폐전함으로써, 생성부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 내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감압 밸브가 개전하여 탄산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음료수에 대하여, 더욱 많은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다량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소위 강탄산수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동으로 탄산 가스를 음료수에 용해시켜 탄산수를 생성시키는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탄산 가스의 용해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항상 일정량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탄산수의 생성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생성부로의 탄산 가스의 공급 정지를 지시하고,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생성부로의 탄산 가스의 공급을 지시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로써, 생성부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제어부가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탄산 가스의 공급의 정지를 지시함으로써, 생성부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 내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제어부가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탄산 가스의 공급을 지시함으로써, 음료수에 대하여, 더욱 많은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다량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소위 강탄산수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동으로 탄산 가스를 음료수에 용해시켜 탄산수의 생성을 행하는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탄산 가스의 용해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항상 일정량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탄산수의 생성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는, 상기 음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음료수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때, 상기 음료수를 교반하는 교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부를 설치하고, 탄산 가스를 음료수에 용해시킬 때 이 교반부에서 음료수를 교반함으로써, 음료수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농도 구배(勾配)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보다, 보다 많은 양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소위 강탄산수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수단에 의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산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양에 따른 양의 음료수가 생성부에 공급되고, 음료수의 공급량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가 생성부에 공급되어 탄산수를 적시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생성한 탄산수는, 전량을 출수부로부터 출수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즉, 미리 탄산수를 생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므로, 세균류 등의 증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청정한 탄산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위생 면에서 우수한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산수 디스펜서는, 음료수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용해량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가 생성부에 공급되어 탄산수를 적시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탄산 가스를 수동으로 분사하는 등 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탄산 가스의 용해량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는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산수 디스펜서는, 생성부 내부의 압력에 따라 탄산 가스를 공급하고,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고압가스보안법의 규정에도 용이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탄산수 디스펜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탄산수 디스펜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탄산수 디스펜서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상기 탄산수 디스펜서에서의 제어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탄산수 디스펜서에서의 탄산수 생성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1)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탄산수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탄산수 디스펜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탄산수 디스펜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탄산수 디스펜서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도 4는, 탄산수 디스펜서에서의 제어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탄산수 디스펜서에서의 생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탄산수 디스펜서(10)는, 음료수(15)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1)와, 상기 공급부(11)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본체부(12)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다.
공급부(11)는, 음료수(15)를 저장하는 보틀(11a)과, 본체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보틀 커버(11b)를 구비한다.
보틀(11a)은, 주수구(22)가 아래 방향이 되는 상태로, 본체부(12)의 상부에서의 주수구받이(19)에 장착된다. 주수구받이(19)의 중앙부에는, 보틀(11a)의 주수구(22)에 끼워넣고, 음료수(15)를 받아들이기 위한 취수관(20)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취수관(20)에 의해 받아들여진 음료수(15)는, 저류조(14)에 저류된다. 그리고, 보틀(11a)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보틀 커버(11b)는, 본체부(12)의 하우징(housing)(18)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보틀 커버(11b)는, 보틀(11a)을 외측으로부터 끼우고 피복함으로써, 상기 보틀(11a)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보틀 커버(11b)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적어도 보틀(11a)을 외측으로부터 끼우고 피복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틀 커버(11b)의 전체 형상은, 대략 입방체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그 외면이 후술하는 하우징(18)의 외면과 면일치로 되되록 사이즈 설정되어 있다.
보틀 커버(11b)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또한, 보틀 커버(11b)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mm∼5mm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2mm∼3mm의 범위 내이다.
본체부(12)는, 음료수(15)를 출수하는 출수구(출수부)(13), 보틀(11a)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저류하는 저류조(14), 저류조(14)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조(16), 출수구(13)와 저류조(14)를 접속하는 냉각수 공급관(17), 및 하우징(18)을 적어도 구비한다. 또한, 본체부(12)는, 탄산수(38)를 생성하는 탄산수 생성조(생성부)(31), 탄산수 생성조(31)에 냉각수(15b)를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부(32), 탄산수 생성조(31)에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탄산 가스 공급부(33),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냉각수(15b)를 교반하는 교반부(34), 및 탄산수 디스펜서(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제어부)(43)을 적어도 구비한다.
저류조(14)는, 보틀(11a)로부터 공급된 음료수(15)를, 그 내부에 있어서, 상온(常溫)으로 유지된 상온수(15a)와 일정한 온도로 냉각된 냉각수(15b)로 구분하여 저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류조(14)의 내부에는, 판형의 세퍼레이터(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21)의 상측에서는, 상온수(15a)를 저류하는 상온수층(14a)이 설치되고, 하측에서는, 냉각수(15b)를 저류하는 냉각수층(14b)이 설치되어 있다. 저류조(14)의 외주(外周)에는, 세퍼레이터(21)보다 아래쪽에 대응하는 부분에, 냉각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15b)의 냉각수층(14b)에서의 액온은 0℃∼15℃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5℃∼10℃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수(15b)의 액온을 0℃ 이상으로 함으로써, 물의 응고(凝固)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냉각수(15b)의 액온을 15℃ 이하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탄산수 생성조(31)에 있어서, 탄산 가스의 냉각수(15b)에 대한 용해가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냉각부(25)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칠러, 온도 조정한 물을 통과시킨 배관 등, 공지의 온도 조정 기구(機構)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류조(14)에는, 출수구(13)와 연통되는 냉각수 공급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냉각수 공급관(17)은 저류조(14)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저류조(14)에서의 냉각수층(14b)의 냉각수(15b)만이 냉각수 공급관(17)을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공급관(17)은, 출수구(13)의 하나인 냉수 출수구(13a)에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냉각수(15b)를 출수할 수 있다(도 2 참조).
저류조(14)의 천정부에는, 필터가 내장된 외부 연통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저류조(14)로부터 상온의 음료수(15a)나 냉각수(15b)가 인출되고, 또는 온수조(16)(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함)로부터 온수(16a)가 인출될 때, 외부 연통부(46)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저류조(14) 내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온수층(14a)에 저류되어 있는 음료수의 수위를 무리없이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저류조(14)에 보틀(11a)로부터 음료수(15)가 공급될 때, 상기 저류조(14) 내부의 공기를, 외부 연통부(46)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저류조(14)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저류조(14)에 음료수를 무리없이 저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연통부(46)에는 상기 필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류조(14)의 내부에 잡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조(16)는, 저류조(14)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온수조(16)에는, 저류된 온수(16a)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온수 상태로 저류되어 있다. 또한, 온수조(16)에는, 저류조(14)에서의 상온수층(14a)으로부터 상온수(15a)가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공급관(29)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29)의 입구개구(29a)는, 저류조(14)의 상온수층(14a)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출구개구(29b)는, 온수조(16)의 바닥부측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온수조(16)는, 출수구(13)의 하나인 온수출수구(13b)와 온수공급관(2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온수출수구(13b)로부터 온수(16a)의 출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2 참조).
음료수 공급부(3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산수 생성조(31)에, 탄산수의 원료가 되는 음료수로서의 냉각수(15b)를 공급한다. 음료수 공급부(32)는, 음료수 공급관(32a)과, 상기 음료수 공급관(32a)의 경로 중에 개삽(介揷)된 개폐 밸브(32b)에 의해 구성된다.
음료수 공급관(32a)의 한쪽 끝은, 저류조(14)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저류조(14)에서의 냉각수층(14b)의 냉각수(15b)만이 음료수 공급관(32a)을 통하여,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 또한, 음료수 공급관(32a)의 다른 쪽 끝은, 탄산수 생성조(31)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32b)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32b)의 개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2b)에 개전의 동작 지령을 행하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에 따른 양의 냉각수(15b)가 저류조(14)로부터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 그리고, 개폐 밸브(32b)의 개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설치된 수위 센서(42)가 검출한 값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되어도 된다.
탄산수 생성조(31)는, 가압 하에서 냉각수(15b)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수(38)를 생성한다. 탄산수 생성조(31)는, 대략 원기둥형의 전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탄산수 생성조(31)의 천정부에는, 음료수 공급관(32a)이 접속되어 있고, 탄산수 생성조(31)는 저류조(14)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로써, 저류조(14)의 냉각수(15b)를 자중(自重)에 의해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탄산수 생성조(31)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생성조 냉각부(31a)가 설치되어 있다. 생성조 냉각부(31a)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탄산수 생성조(31) 내에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도 형성되어 있고, 제어 유닛(43)은 이 온도 센서와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43)은, 온도 센서가 검출한 값에 기초하여, 생성조 냉각부(31a)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탄산수 생성조(31)를 냉각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저류되는 냉각수(15b)를 냉각하고, 냉각수(15b)에 대한 탄산 가스의 용해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냉각수(15b)의 액온은 0℃∼15℃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5℃∼10℃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수(15b)의 액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물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냉각수(15b)의 액온을 15℃ 이하로 함으로써, 탄산 가스의 냉각수(15b)에 대한 용해가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조 냉각부(31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칠러, 온도 조정한 물을 통과시킨 배관 등, 공지의 온도 조정 기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 생성조(31)는, 탄산수(38)를 출수시키는 출수부에 접속되어 있다. 출수부는, 출수구(13)의 하나인 탄산수 출수구(13c)와, 탄산수 공급관(39)과, 개폐 밸브(41)와, 필터(44)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탄산수 공급관(39)은 탄산수 생성조(31)의 바닥부에 접속되어 있고, 탄산수(38)의 자중에 의해 탄산수 공급관(39)을 흐르는 구조로 되고 있다. 개폐 밸브(41)는, 탄산수 공급관(39)의 경로 중에 개삽되어 있고,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41)의 개폐는, 제어 유닛(43)의 동작 지령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41)에 개전의 동작 지령을 행하면, 탄산수 생성조(31)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전량이 탄산수 출수부(13c)로부터 출수된다. 필터(44)는, 탄산수 공급관(39)의 경로 중으로서, 개폐 밸브(41)의 상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필터(44)를 설치함으로써, 잡균 등을 제거하여 탄산수(38)를 출수시킬 수 있다.
탄산수 생성조(31)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설정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안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수 생성조(31)의 천정부에, 상기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기체를 배기하기 위한 배출관(45)이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45)의 경로 중에는 안전 밸브(35)가 개삽되어 있다. 안전 밸브(35)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일정한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 개전 상태로 되고,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 조정을 행한다.
또한, 탄산수 생성조(31)에는, 생성된 탄산수(38)를, 탄산수 공급관(39)을 통하여 출수시킬 때, 상기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출수에 적합한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른 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관(45)으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개폐 밸브(36a) 및 배압 밸브(36b)가 경로 중에 개삽된 제1 분기관(45a)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36a)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36a)의 개폐는,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출수 시에는,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6a)를 개전시킨다. 또한, 배압 밸브(36b)에 의해,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배압 밸브(36b)의 압력 설정값은, 안전 밸브(35)의 설정값 이하의 압력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36a)를 개전할 때, 후술하는 개폐 밸브(37)는 폐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탄산수 생성조(31)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음료수를 공급할 때, 상기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예를 들면, 대기압과 동일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관(45)으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개폐 밸브(37)가 경로 중에 개삽된 제2 분기관(45b)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37)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37)의 개폐는,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탄산수 생성조(31)로의 음료수의 공급 시에는,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7)를 개전시킨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기체의 일부를 배출관(45) 및 제2 분기관(45b)으로부터 배기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음료수 공급이 종료하면, 제어 유닛(43)은 개폐 밸브(37)를 폐전시킨다. 그리고, 개폐 밸브(37)를 개전할 때, 개폐 밸브(36a) 및 배압 밸브(36b)는, 모두 폐전 상태로 되어 있다.
탄산 가스 공급부(33)는, 탄산수 생성조(31)에 탄산 가스를 공급한다. 탄산 가스 공급부(33)는, 탄산 가스 공급관(33a)과, 탄산 가스의 미세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 공급구(33b)와, 탄산 가스를 저장하는 탄산 가스 봄베(33c)와, 감압 밸브(33d)와, 개폐 밸브(33e)에 의해 구성된다.
탄산 가스 공급관(33a)은, 기포 공급구(33b)가 탄산수 생성조(31)에 저류되는 냉각수(15b) 중에 침지(浸漬)하도록, 탄산수 생성조(31)의 내부에 삽통(揷通)하고 있다. 기포 공급구(33b)를 냉각수(15b)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냉각수(15b) 중에 탄산 가스의 미세 기포가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감압 밸브(33d)는, 탄산 가스 공급관(33a)의 경로 중에 개삽되어 있고, 개폐 밸브(33e)보다 상류 측(즉, 탄산 가스 봄베(33c)의 설치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감압 밸브(33d)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개폐 밸브(33e)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33e)의 개폐는,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예를 들면, 탄산수(38)의 출수의 요구에 따라 탄산수(38)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3e)에 개전의 동작 지령을 행하면, 음료수 공급부(32)로부터 공급된 냉각수(15b)의 공급량, 상기 냉각수(15b)에 용해시키고자 하는 탄산 가스의 용해량, 및/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가, 탄산 가스 공급관(33a)을 통하여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
그리고, 탄산 가스의 공급은 탄산수(38)를 생성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생성한 탄산수(38)를, 탄산수 공급관(39)을 통하여 탄산수 출수구(13c)로부터 출수시킬 때,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이 부족하여, 송액(送液)이 곤란할 경우에 행해도 된다.
교반부(34)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음료수를 교반한다. 교반부(34)는, 회전자(34a)와, 자석(34b)과, 자석(34b)을 회전시키는 모터(34c)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자(34a)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34c)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34c)의 구동은,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교반부(34)로서 회전자(34a)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태양(態樣)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교반 날개나 기계적 교반봉을 구비한 교반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43)은, 탄산수 디스펜서(10)의 각 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도 3 참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4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산 처리부(43a)와, 메모리부(43b)와, 입출력부(43c)를 적어도 가지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도 4는, 탄산수 디스펜서(10)에서의 제어 유닛(43)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연산 처리부(43a)로서는,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3b)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판독 전용의 메모리인 ROM(Read-Only Memory),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판독 및 기입(reading and writing) 가능한 메모리인 RAM(Random-Access Memory) 및 제어용 소프트웨어나 데이터 등을 기억시켜 둔 자기 디스크 등을 구비한다. 자기 디스크에는, 탄산수 생성 등의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CPU는 프로그램을 RAM에 판독해 두고, 상기 프로그램의 내용을 따라 CPU가 탄산수 디스펜서(1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입출력부(43c)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42),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입력이 가해진다. 또한, 냉각수(15b)의 출수를 요구하는 냉수 스위치, 탄산수(38)의 출수를 요구하는 탄산수 스위치, 및 온수(16a)의 출수를 요구하는 온수 스위치(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조작 입력도 가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탄산수 디스펜서(10)를 사용하여, 탄산수를 생성하고 출수하는 경우의 탄산수 디스펜서(10)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탄산수 스위치를 조작하여 탄산수(38)의 출수를 요구하면, 제어 유닛(43)은 음료수 공급부(32)의 개폐 밸브(32b)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저류조(14)의 냉각수층(14b)에서의 냉각수(15b)가 음료수 공급관(32a)을 통하여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 냉각수(15b)의 공급량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2b)의 개전하고 있는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33e), 개폐 밸브(36a) 및 개폐 밸브(41)는 모두, 제어 유닛(43)의 동작 지령에 의해 폐전되고 있다.
또한 제어 유닛(43)은, 개폐 밸브(37)에 대해서도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기체의 일부를 배출관(45) 및 제2 분기관(45b)으로부터 배기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도록 조정한다.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냉각수(15b)가, 소정량에 따른 분만큼 공급되면, 제어 유닛(43)은 개폐 밸브(32b)에 폐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또한, 개폐 밸브(37)에 대해서도 폐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개폐 밸브(33e), 개폐 밸브(36a) 및 개폐 밸브(41)에 대해서는 폐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그리고, 냉각수(15b)의 공급 시에,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압력 센서가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37)를 개전시키도록 제어시켜도 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기체의 일부를 배출관(45) 및 제2 분기관(45b)으로부터 배기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을 일정값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냉각수(15b)의 공급 종료 후, 제어 유닛(43)은, 탄산 가스 공급부(33)의 개폐 밸브(33e)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 가스 봄베(33c)에 저장되어 있는 탄산 가스가, 탄산 가스 공급관(33a)을 통하여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 탄산 가스의 공급량은, 음료수 공급부(32)로부터 공급되고, 탄산수 생성조(31)에 저류되어 있는 음료수의 공급량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요구하는 탄산수의 용해량의 정도(즉, 약탄산수나 강탄산수 등)나, 압력 센서가 검출한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된다. 탄산 가스의 공급량은, 이들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밸브(33e)가 개전된 상태에 있어서,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감압 밸브(33d)가 제어 유닛(43)에 의한 동작 지령을 받지 않고 자동적으로 폐전한다. 또한, 상기 압력이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감압 밸브(33d)가 제어 유닛(43)에 의한 동작 지령을 받지 않고 자동적으로 개전하여, 탄산 가스 봄베(33c) 내의 탄산 가스를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한다.
여기서, 탄산 가스가 탄산수 생성조(31)에 공급된다는 것은, 개폐 밸브(33e)가 개전된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폐 밸브(33e)가 폐전되어 있지만,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에 탄산 가스가 충만한 결과, 냉각수(15b)에 대하여 탄산 가스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탄산 가스의 공급, 즉 개폐 밸브(33e)의 개전은, 적어도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일정한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의 설정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압가스보안법의 규정을 고려하면, 상한값은 1.0MPa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한값은, 탄산 가스를 냉각수(15b)에 충분히 용해시킨다는 관점에서는, 0.8MPa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MPa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폐 밸브(32b), 개폐 밸브(36a), 개폐 밸브(37) 및 개폐 밸브(41)는 모두,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동안, 제어 유닛(43)의 동작 지령에 의해 폐전되어 있다.
탄산 가스의 공급은, 일정한 설정 기간 중, 개폐 밸브(33e)를 연속하여 개전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또는 간헐적으로 개전과 폐전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개폐 밸브(33e)의 개전을 간헐적으로 행하고, 탄산 가스의 공급을 복수 회 행하는 경우, 최초의 개전으로부터 다음 개전까지의 사이의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탄산 가스의 공급 시에,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안전 밸브(35)가 자동적으로 개전하여, 탄산 가스를 배출관(45)으로부터 배출시킨다.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상기 설정값 이하로 하강한 후에는, 안전 밸브(35)는 폐전한다.
탄산 가스의 공급 개시와 동시에, 제어 유닛(43)은 교반부(34)에 동작 지령을 행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냉각수(15b)의 교반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43)은, 교반부(34)의 모터(34c)에 대하여 구동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모터(34c)가 구동하고, 자석(34b)을 회전시킴으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탑재되어 있는 회전자(34a)를 회전 구동시킨다. 냉각수(15b)를 교반함으로써, 냉각수(15b)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농도 구배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보다, 보다 많은 탄산 가스를 용해시킨 탄산수(38)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교반 속도 및 교반 시간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교반 속도는, 제어 유닛(43)의 동작 지령에 의해, 회전자(34a)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또한, 교반 시간에 대해서도, 제어 유닛(43)의 동작 지령에 의해 모터(34c)의 구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그리고, 교반 속도 및/또는 교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생성되는 탄산수(38) 중의 탄산 가스의 용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반 속도를 크게 하고, 또한 교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탄산 가스를 냉각수(15b) 중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소위 강탄산수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교반 속도」는, 회전자(34a)의 회전 속도(rpm)를 의미한다. 다만, 예를 들면, 교반부(34)로서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교반 속도는 교반 날개 선단의 속도를 의미해도 되고, 그 경우의 교반 속도는 주속도(周速度)(=2×(원주율)×(교반 날개의 반경)×(단위 시간당의 회전수))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로서 기계적 교반봉을 구비한 교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교반 속도는 기계적 교반봉의 회전 속도(rpm)로 나타낼 수 있다.
교반부(34)에 의한 교반의 종료는, 탄산 가스의 공급 종료와 동시에 종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43)이 교반부(34)의 모터(34c)에 대하여 구동을 정지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교반은 종료한다.
그리고, 교반부(34)의 구동의 개시는, 냉각수(15b)의 공급 종료 후, 탄산 가스의 공급 개시 전이라도 된다. 혹은, 탄산 가스의 공급 개시 후, 탄산 가스의 공급 종료 전이라도 된다. 또한, 교반부(34)의 구동의 종료는, 탄산 가스의 공급 개시 후, 탄산 가스의 공급 종료 전이라도 된다. 혹은, 탄산 가스의 공급 종료 후라도 된다.
탄산수(38)의 생성 후, 제어 유닛(43)은, 탄산수(38)를 탄산수 출수구(13c)로부터 출수시키기 위하여, 탄산수 공급관(39)의 개폐 밸브(41)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또한, 제어 유닛(43)은, 탄산 가스 공급부(33)의 개폐 밸브(33e)에 대하여 폐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그리고, 개폐 밸브(32b) 및 개폐 밸브(37)는 폐전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있다.
탄산수 공급관(39)의 개폐 밸브(41)가 개전되면,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탄산수(38)는 자중에 의해 탄산수 공급관(39)을 흘러서, 탄산수 출수구(13c)로부터 그 전량이 적시에 출수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탄산수(38)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균류 등의 증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항상 청정한 탄산수(38)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위생 면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시」란, 예를 들면, 사용자가 탄산수 스위치를 조작 입력하여, 탄산수의 출수를 요구한 경우에, 그 때마다, 탄산수 생성조(31)에서 새로운 탄산수가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탄산수(38)의 출수 시에, 제어 유닛(43)은 개폐 밸브(36a)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배압 밸브(36b)는 그 압력 설정값이 안전 밸브(35)의 설정값 이하의 압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부의 압력은 탄산수의 출수에 적합한 압력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탄산수(38)가 안정된 출수를 가능하게 한다.
탄산수(38)의 출수를 자중에 의해 행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탄산 가스 봄베(33c)에 저장되어 있는 탄산 가스를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도입함으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을 높여 탄산수(38)를 압송(壓送)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제어 유닛(43)은, 개폐 밸브(33e)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수(38)의 전량을 확실하게 출수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기체 공급부를 설치하고, 상기 기체 공급부로부터 기체를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공급함으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을 높여서 탄산수(38)를 압송해도 된다. 이 경우에, 기체 공급부는, 기체 공급관과, 개폐 밸브를 적어도 가진다. 또한, 기체 공급원으로서는, 기체를 저장하는 가스 봄베 외에, 기체를 송풍하는 블로워(blower)나 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체 공급관은, 기체 공급원과 탄산수 생성조(31) 사이에 설치된다. 기체 공급관은, 탄산수 생성조(31)에 있어서는, 그 천정부에서 접속되어 있고, 탄산수 생성조(31)로의 공급 시에는, 저류되어 있는 탄산수(38)에 대하여 버블링(bubbling)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밸브는, 제어 유닛(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의 개폐는,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수(38)의 출수의 요구에 따라 탄산수(38)를 생성할 때, 제어 유닛(43)이 개폐 밸브에 대하여 개전의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기체 공급관을 통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고,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을 높여 탄산수(38)를 압송할 수 있다.
기체의 종류로서는 인체에 대하여 안전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기나 질소 가스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탄산수 디스펜서(1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양의 탄산수(38)를 적시에 생성하고, 그 전량을 출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생성한 탄산수(38)를 장기간에 걸쳐 내부에 저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탄산수 디스펜서(10) 내부에서의 세균류 등의 증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청정한 탄산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탄산 가스를 수동으로 분사하는 등 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종래의 탄산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탄산 가스의 용해량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탄산수(38)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고압가스보안법의 규정에도 용이하게 적합한 탄산수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생성부로서는, 전술한 원기둥형의 탄산수 생성조(31) 대신, 도 5(a)∼5(d)에 각각 도시하는 탄산수 생성조(51∼54)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a)∼5(c)에 나타낸 각탄 산수 생성조(51∼53)에 있어서는, 탄산 가스 공급부 및 음료수 공급부가 모두 탄산수 생성조(51∼53)의 천정부 측에 배치된다. 또한, 탄산수 공급부는, 탄산수가 자중에 의해 모이는 바닥부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탄산수 생성조(51∼53)는, 적어도 내벽에 있어서, 탄산수가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51∼53)로부터의 탄산수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탄산수 생성조(51∼53)에 교반부를 설치하는 경우, 교반 날개나 기계적 교반봉을 구비한 교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d)에 나타낸 탄산수 생성조(54)에 있어서도, 탄산 가스 공급부 및 음료수 공급부는 탄산수 생성조(54)의 천정부 측에 배치되지만, 탄산수 공급부도 천정부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탄산수 생성조(54)에 있어서는, 탄산수를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게 하여 출수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탄산수의 공급 시에는, 탄산수 생성조(54) 내에, 탄산 가스 공급부로부터 탄산 가스를 공급하거나, 기체 공급부로부터 기체를 공급하는 등을 행하여 압력을 높이고, 압송에 의해 탄산수의 출수를 행한다. 그리고, 탄산수 생성조(54)에 교반부를 설치하는 경우, 교반 날개나 기계적 교반봉을 구비한 교반 장치의 이외에, 회전자를 사용한 스터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탄산 가스의 탄산수 생성조(31)로의 공급 시에, 탄산 가스 공급부(33)에 감압 밸브(33d) 및 개폐 밸브(33e)를 설치한 것을 사용하여,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 조정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감압 밸브(33d) 및 개폐 밸브(33e) 대신에, 제어 유닛(43)에 의한 제어가 가능한 압력 제어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압력 제어 밸브의 개폐는, 탄산수 생성조(31) 내에 설치된 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43)이 동작 지령을 행함으로써 제어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가,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 유닛(43)이 압력 제어 밸브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 가스를 탄산 가스 봄베(33c)로부터 탄산수 생성조(31)에 계속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가,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 유닛(43)이 압력 제어 밸브에 대하여 폐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으로의 탄산 가스의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3)은 안전 밸브(35)에 대하여 개전하도록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로써, 탄산수 생성조(31)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10: 탄산수 디스펜서
11: 공급부
11a: 보틀
11b: 보틀 커버
12: 본체부
13: 출수구
13a: 냉수 출수구
13b: 온수출수구
13c: 탄산수 출수구
14: 저류조
14a: 상온수층
14b: 냉각수층
15: 음료수
16: 온수조
17: 냉각수 공급관
18: 하우징
19: 주수구받이
20: 취수관
21: 세퍼레이터
22: 주수구
25: 냉각부
28: 온수공급관
29: 공급관
29a: 입구개구
29b: 출구개구
31, 51∼54: 탄산수 생성조(생성부)
31a: 생성조냉각부
32: 음료수 공급부
32a: 음료수 공급관
32b: 개폐 밸브
33: 탄산 가스 공급부
33a: 탄산 가스 공급관
33b: 기포 공급구
33c: 탄산 가스 봄베
33d: 감압 밸브
33e: 개폐 밸브
34: 교반부
34a: 회전자
34b: 자석
34c: 모터
35: 안전 밸브
36a: 개폐 밸브
36b: 배압 밸브
37: 개폐 밸브
38: 탄산수
39: 탄산수 공급관
41: 개폐 밸브
42: 수위 센서
43: 제어 유닛(제어부)
43a: 연산 처리부
43b: 메모리부
43c: 입출력부
44: 필터
45: 배출관
45a: 제1 분기관
45b: 제2 분기관
46: 외부 연통부

Claims (4)

  1. 탄산수를 적시(適時)에 생성하고, 출수(出水)하는 것이 가능한 탄산수 디스펜서로서,
    상기 탄산수를 가압 하에서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수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부;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한 탄산 가스를, 상기 음료수가 공급된 생성부에 공급하는 탄산 가스 공급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탄산수를 출수하는 출수부; 및
    상기 음료수 공급부,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출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음료수 공급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량에 따른 양의 음료수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상기 음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음료수의 공급량, 상기 음료수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용해량, 및/또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에 따른 양의 탄산 가스를 상기 생성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출수부에 대하여,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탄산수의 전량을 출수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구비하는 탄산수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지 않는 감압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폐전(閉栓)하고,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개전(開栓)하여 상기 생성부에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탄산수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의 내부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값에 달한 경우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생성부로의 탄산 가스의 공급 정지를 지시하고,
    상기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생성부로의 탄산 가스의 공급을 지시하는, 탄산수 디스펜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는, 상기 음료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음료수에, 상기 탄산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때, 상기 음료수를 교반하는 교반부가 설치되어 있는, 탄산수 디스펜서.
KR1020217023065A 2019-02-26 2020-02-06 탄산수 디스펜서 KR20210126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2446A JP7289202B2 (ja) 2019-02-26 2019-02-26 炭酸水ディスペンサ
JPJP-P-2019-032446 2019-02-26
PCT/JP2020/004654 WO2020175081A1 (ja) 2019-02-26 2020-02-06 炭酸水ディスペ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001A true KR20210126001A (ko) 2021-10-19

Family

ID=7224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065A KR20210126001A (ko) 2019-02-26 2020-02-06 탄산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89202B2 (ko)
KR (1) KR20210126001A (ko)
WO (1) WO202017508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774A (en) 1979-09-17 1981-04-22 Fuji Electric Co Ltd Solar battery power unit
KR20140144788A (ko) 2013-06-11 2014-12-22 이종하 낚시용 코르크낚시찌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밥
KR20170081601A (ko) 2017-06-29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 및 기지국의 클락 동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589A (en) * 1984-06-22 1986-12-1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system suitable for use in outer space
JP3081323B2 (ja) * 1991-11-27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炭酸水製造装置
JPH08175599A (ja) * 1994-12-26 1996-07-09 Nippon Koka Cola Kk ポストミツクス飲料供給装置
HU225735B1 (en) * 2001-04-06 2007-07-30 Scott Nicol Carbo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carbonation
JP2015139715A (ja) * 2014-01-27 2015-08-03 株式会社イズミフードマシナリ 炭酸飲料製造装置
JP6495802B2 (ja) * 2015-10-28 2019-04-03 株式会社 Mtg 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3330218A1 (en) * 2016-11-30 2018-06-06 Anheuser-Busch InBev S.A. Method for production and dispensing carbonated beer from beer concentr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774A (en) 1979-09-17 1981-04-22 Fuji Electric Co Ltd Solar battery power unit
KR20140144788A (ko) 2013-06-11 2014-12-22 이종하 낚시용 코르크낚시찌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밥
KR20170081601A (ko) 2017-06-29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 및 기지국의 클락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2260A (ja) 2020-08-31
JP7289202B2 (ja) 2023-06-09
WO2020175081A1 (ja)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052B2 (ja) 清涼飲料を調製して送出するための装置
EP0312241A1 (en) Soft drink dispenser
JP6271108B1 (ja) 飲料サーバー、および飲料サーバー用キャップ
JPH1043774A (ja) 飲料水の冷却及びco2富化の方法及び装置
JPH05503274A (ja) 微小重力用デイスペンサー
EP3475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ne or more liquids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WO2018179984A1 (ja) 飲料供給装置
KR20210126001A (ko) 탄산수 디스펜서
KR20210126562A (ko) 탄산수 디스펜서
JP452536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60016129A1 (en) Drink dispenser
JP2017127487A (ja) 飲料提供装置
JP2007084127A (ja) 飲料供給装置
JP444244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725582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7127630A (ja) 飲料提供装置
JP3732997B2 (ja) 飲料供給装置
JP2005316560A (ja) 給湯装置
US20240207796A1 (en) Module for continuously generating high-level carbonated water and method for continuously dispensing high-level carbonated water using the same
JP5569155B2 (ja) 自動販売機
JP2000163651A (ja) フローズン飲料ディスペンサ
KR20240103122A (ko) 연속 탄산수 제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의 연속 탄산수 출수방법
KR20240103443A (ko) 고레벨의 연속 탄산수 제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의 고레벨의 연속 탄산수 출수방법
KR101977348B1 (ko) 탄산조절장치가 구비된 순간냉각 디스펜서
JP200620615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