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218A -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 Google Patents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218A
KR20210125218A KR1020200042629A KR20200042629A KR20210125218A KR 20210125218 A KR20210125218 A KR 20210125218A KR 1020200042629 A KR1020200042629 A KR 1020200042629A KR 20200042629 A KR20200042629 A KR 20200042629A KR 20210125218 A KR20210125218 A KR 2021012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product
weight
parts
mushroom
brow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723B1 (ko
Inventor
장기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4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우유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95 내지 110 ℃의 온도에서 50 분 내지 90 분 동안 찌는 단계; 상기 찐 혼합물을 38 내지 45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당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01 내지 0.7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38 내지 45 ℃의 온도에서 47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40 내지 52 ℃의 온도에서 12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갖고, 식품으로 활용이 곤란하던 현미 호분층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섭취 용이성을 개선하여 현대인이 거부감없이 차전자피, 꽃송이버섯, 현미 호분층의 약용성분을 꾸준히 복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약용성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Preparation method of bowel movement promotion functional fermentation product and bowel movement promotion functional fermentation product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을 이용한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와 함께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되어 감에 따라 변비 내지 장기능 이상현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일반 약품을 통한 치료에는 한계가 있어 장 건강에 이로운 식품을 통한 장기능 개선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식품소재의 대표적인 예로, 차전자피의 경우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포만감을 주며 대변의 양을 증가시켜 통과시간은 단축시키면서 장점막 배리어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중요한 식품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불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인체 소화기에서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가기 때문에 대장 내에서 유익균의 먹이가 되고 이로 인한 유익균 증식으로 장내환경이 개선되고 대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킨다. 또한, 차전자피의 식이섬유는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최대 40배 정도 증가하여 다공질의 섬유질이 형성되어 변의 부피와 수분함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변에 수분이 적어 딱딱한 변을 보게 되는 경우나, 이로 인한 치질 또는 배변 시 유발되는 항문의 통증개선에 효과가 있다. 하지만, 차전자피의 경우 다른 성분들과 단순 혼합하는 방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때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차전자피에 의한 수분흡수에 의한 팽창으로 복용이 어렵고 나아가 맛과 식감이 떨어져 특히 어린아이나 저작이 용이하지 않은 노인계층의 소비자들에게는 외면받기 십상이며, 따라서, 차전자피를 이용한 식품소재의 파급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미(玄米)는 가을철에 수확된 벼에서 껍질을 제거한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현미는 배부(胚部), 강층(糠層), 전분층(澱粉層)으로 구분된다. 특히 강층은 표피층이라고도 하는데, 상기 표피층은 다시 과피, 종피, 호분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물성섬유,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 비타민 B1, B2 등과 같은 항변비 활성이 있고, 피로회복 및 당뇨 등에 효과가 좋은 영양분이 상당량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섬유질이 너무 많고 조직이 견고하여 소화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어 지금까지 식품으로 활용이 곤란하고 흡수율이 낮다는 이유로 대부분이 동물사료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꽃송이버섯의 분류학적 위치는 민주름 버섯목, 꽃송이버섯과, 꽃송이버섯속에 속한다. 일본 식품분석센터의 분석결과에 의하며, 꽃송이버섯은 항암작용을 하는 β(1,3)D-glucan 함량이 436%로 신령버섯의 약 37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1,3)D-glucan은 활성화된 백혈구의 수를 증가시킴으로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이 향상되어 항암작용, 당뇨의 혈당치의 정상화 및 혈압조절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꽃송이버섯재배기술확립 및 가공이용기술개발, 농총진흥청) 이러한 꽃송이버섯은 식용버섯으로서 그대로 식품으로 섭취도 가능하지만, 약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꾸준히 복용하는 데에는 가공되지 않은 식품형태로의 섭취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 이러한 꽃송이버섯을 꾸준히 복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745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미생물을 통해 고체 발효시키고, 이를 포함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함으로써, 꽃송이버섯의 꾸준한 복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선등록특허는 그 약용성분이 제한적이고, 관능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455호에서는 차전자피, 미강발효추출물, 효모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얻고자 하였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011호에는 현미강을 찌고, 유산균과 배합하여 발효, 건조시켜 제조되는 현미강, 꽃송이버섯 그리고 산삼배양근에 복합발효기술을 적용하여 흡수율이 낮았던 현미강의 소화흡수율을 높이고, 꽃송이발효현미강버섯에 포함되어있는 유산균이 장활동을 증가시켜 변비 및 독소발생을 줄이기 위한 꽃송이발효현미강버섯 제조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여전히 관능성이 좋지 못하고 맛과 풍미가 떨어져 섭취용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전자피 분말을 포함하는 경우, 흡습성이 높아 제조과정에서 과립으로 형성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고,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보존 및 유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7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4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01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갖고, 식품으로 활용이 곤란하던 현미 호분층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섭취 용이성을 개선하여 현대인이 거부감없이 차전자피, 꽃송이버섯, 현미 호분층의 약용성분을 꾸준히 복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약용성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우유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95 내지 110 ℃의 온도에서 50 분 내지 90 분 동안 찌는 단계; 상기 찐 혼합물을 38 내지 45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당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01 내지 0.7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38 내지 45 ℃의 온도에서 47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40 내지 52 ℃의 온도에서 12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의 원료인 상기 꽃송이 버섯은 12월에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것이고, 상기 채취된 꽃송이 버섯을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일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은 상기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0 내지 100 ㎛이 되도록 제조된 것이고; 상기 꽃송이 버섯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85 내지 105 ℃ 온도의 물에 우려서 1 내지 5 중량%의 고형분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의 표면에,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한 후 함수율이 1 내지 7 %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1: 1 내지 3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장내 유익균을 활성화시키고 장내 세균총의 유익균 비율을 증가시키며 장내 대사를 촉진하여 배변활동을 유도하여 장내 독소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식물성섬유,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 비타민 B1, B2 등과 같은 항변비 활성이 있고, 피로회복 및 당뇨 등에 효과가 좋은 영양분이 상당량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섬유질이 너무 많고 조직이 견고하여 소화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어 지금까지 식품으로 활용이 곤란하던 현미 호분층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과립 형태로 제조되어 휴대와 먹기가 편리하고, 맛과 풍미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섭취 용이성을 개선함으로써, 현대인이 거부감없이 차전자피, 꽃송이버섯, 현미 호분층의 약용성분을 누구나 꾸준히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전자피 분말을 포함하고도 과립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보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가 촉진되는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약용성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또한, 알파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등 소화효소 활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갖는 배변촉진용 발효물 과립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우유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95 내지 110 ℃의 온도에서 50 분 내지 90 분 동안 찌는 단계; 상기 찐 혼합물을 38 내지 45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당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01 내지 0.7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38 내지 45 ℃의 온도에서 47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40 내지 52 ℃의 온도에서 12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의 원료인 상기 꽃송이 버섯은 12월에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것이고, 상기 채취된 꽃송이 버섯을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일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하여, 꽃송이 버섯의 약용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수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조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바,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함수율이 20 내지 30 %가 되도록 수행되어 상기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우유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95 내지 110 ℃의 온도에서 50 분 내지 90 분 동안 찌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로써 잡균의 번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단백질도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은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0 내지 100 ㎛이 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들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공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꽃송이 버섯의 약용성분의 소화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후, 상기 찐 혼합물을 38 내지 45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당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로써 유산균에 의한 발효가 용이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약용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꽃송이 버섯 추출액은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85 내지 105 ℃ 온도의 물에 우려서 1 내지 5 중량%의 고형분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은 과당, 전분, 덱스트린, 설탕, 유당, 포도당, 맥아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수크랄로스(sucralose),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은 프락토올리고당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0.01 내지 0.7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38 내지 45 ℃의 온도에서 47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은 40 내지 60 %의 함수율을 갖는다.
이로써 과발효를 방지하고 발효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훠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휠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버키(Lactobacillus Delbuckii), 락토바실러스 아라비노수스(Lactobacillus Arabinosus), 락토바실러스 카우카시커스(Lactobacillus Caucasicus),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레이시매니(Lactobacillus Leishmanni), 락토바실러스 무시커스(Lactobacillus Musicus), 락토바실러스 테르모휠러스(Lactobacill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론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론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스(brevis),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인펀티스(infantis) 및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휠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크레모리스(Streptococcus Cremoris), 스트렙토코커스 훼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랙티스(Strep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불가리커스(Streptococcus Bulgaric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은 덴마크 CHR HANSEN사 제품인 FD-DVS ABT-5(락토바실러스 아시도휠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휠러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은 40 내지 52 ℃의 온도에서 12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은 함수율이 5 % 이하가 되도록 건조되어 후술하는 차전자피 분말과의 혼합 및 과립성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높은 차전자피 분말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혼합물이 엉겨붙는 현상 없이, 상기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과 고르게 혼합되어 용이하게 과립으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 첨가물인 이산화규소와 같은 고결방지제의 사용없이도 상기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은 과립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과립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과립의 평균입경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의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평균입경이 1.5 내지 5 mm인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평균입경이 약 2 mm인 것으로 제조되어 우수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촉진용 발효물(1)의 제조방법은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10)의 표면에,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20)을 형성한 후 함수율이 1 내지 7 %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흡습성이 높은 차전자피 분말을 포함하더라도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도 보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 첨가물인 이산화규소와 같은 고결방지제의 사용없이도 상기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갖는 배변촉진용 발효물 과립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1: 1 내지 3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10)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층은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꽃송이 버섯 추출액; 및 해양심층수을 1: 1 내지 3: 0.1 내지 0.5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보존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코팅층은 당, 당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당은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당 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되어, 보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유지되면서도 맛과 풍미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섭취 용이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당은 글루코스, 결정과당, 유당, 백당, 프락토올리고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자일리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비타민 C 분말 또는 건조 과일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맛과 풍미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섭취 용이성을 개선하고,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조과일의 분말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조된 과일의 분말인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귤, 딸기, 키위, 레몬, 오렌지, 자몽, 라임 등의 건조물의 분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레몬 건조물의 분말을 사용하여, 고함량의 비타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장내 유익균을 활성화시키고 장내 세균총의 유익균 비율을 증가시키며 장내 대사를 촉진하여 배변활동을 유도하여 장내 독소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장세척 효과와 숙변을 통한 장 해독 작용 및 배변촉진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식물성섬유,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 비타민 B1, B2 등과 같은 항변비 활성이 있고, 피로회복 및 당뇨 등에 효과가 좋은 영양분이 상당량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섬유질이 너무 많고 조직이 견고하여 소화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어 지금까지 식품으로 활용이 곤란하던 현미 호분층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과립 형태로 제조되어 휴대와 먹기가 편리하고, 맛과 풍미에 따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섭취 용이성을 개선함으로써, 현대인이 거부감없이 차전자피, 꽃송이버섯, 현미 호분층의 약용성분을 누구나 꾸준히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전자피 분말을 포함하고도 과립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보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가 촉진되는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약용성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또한, 알파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등 소화효소 활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5 중량부 및 우유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100 ℃의 온도에서 50 분 동안 찐 후; 상기 찐 혼합물을 약 43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100 중량부 및 당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2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약 40 ℃의 온도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꽃송이 버섯 추출액은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약 90 ℃ 온도의 물에 우려서 1.6 중량%의 고형분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물을 약 43 ℃의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4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여,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과립의 표면에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1: 1.5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과립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이때,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은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과립의 함수율이 약 5 %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여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우유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100 ℃의 온도에서 50 분 동안 찐 후; 상기 찐 혼합물을 약 43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당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2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약 40 ℃의 온도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물을 약 43 ℃의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현미호분층의 건조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미호분층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여, 비교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5 중량부 및 우유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100 ℃의 온도에서 50 분 동안 찐 후; 상기 찐 혼합물을 약 43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100 중량부 및 당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2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약 40 ℃의 온도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꽃송이 버섯 추출액은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약 90 ℃ 온도의 물에 우려서 1.6 중량%의 고형분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물을 약 43 ℃의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을 과립으로 제조하여, 비교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평소 음주 후 설사, 복통, 잔변감이 있고 배변 횟수가 잦은 성인 남녀 100명을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하게 하고, 소주 1병 또는 맥주 1000cc를 마시게 한 다음 첫 배변 시 증상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심한 설사 및 심한 복통은 약을 복용할 정도의 증상과 통증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한 후 음주 후의 설사, 복통, 잔변감 및 배변횟수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배변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소에 변비증상이 있는 여성 20~40대 여성 90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고, 총 4개 그룹(A~E)으로 랜덤하게 분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실험기간 총 7일 중에는 변비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이나 변비약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식사는 평소와 동일하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테스트 기간인 총 7일 동안 "대조군" 대상자는 500 ml 생수만이 제공되었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대상자들에게는 500 ml 생수와 각각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함께 제공하였고, "비교예 1" 대상자들에게는 500 ml 생수와 비교용 발효물을 함께 제공하였으며, 음용 시간은 하루 중 언제든지 섭취하도록 하였다.
음용 섭취 7일 동안 매일 배변 성공 유무와 배변 시간을 측정하였고, 변의 양은 35 g 이하 1점, 35~80 g 2점, 80~200 g 3점, 200~300 g 4점, 300 g 이상 5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변의 형태는 설사 1점, 묽은변 2점, 정상변 3점, 딱딱한변 4점, 작은변 5점으로 측정하였다. 배변 시 발생하는 부작용 요소(잔변감, 힘주는 정도, 가스발생, 복부팽만, 부글거림)는 전혀없음 1점, 없음 2점, 없는편 3점, 보통 4점, 있는편 5점, 심함 6점, 매우 심함 7점으로 총 7점 스케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한 후 배변 성공률이 크게 개선되었다.
배변시간에서도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한 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의 부피가 증가하고, 변의 수분 함유량 및 식이섬유 함량이 많아져 변이 부드럽게 되면서 빠르게 연동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변의 양 및 변의 형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한 경우(실시예 1 및 2) 3에 가까운 점수를 받아, 하루 평균 성인 변의 양에 가깝게 나타났다. 또한, 변의 형태도 부드럽고 수분이 많이 함유된 형태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변비 증상을 겪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불만족 요소들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배변촉진용 발효물을 섭취한 경우(실시예 1 및 2) 대조군에 비해 가장 높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 및 비교예 1의 비교용 발효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전문 패널요원 10명이 맛, 향 및 전반적 기호도의 평가 항목에 대해 5점 평점법[매우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또는 매우 나쁘다(1점)]에 따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치는 평균값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모두 그 맛, 향 및 전반적 기호도가 대체로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결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과 비교예 1 및 2의 아밀라아제 활성 및 프로테아제 활성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아밀라아제 활성 측정 방법
시험물질을 5g/100ml 농도로 RO수에 녹이고 30℃ 200rpm에서 shaking incubation 30분 하였다. 검액을 12,000rpm, 3분 원심분리하고 취한 상등액을 0.45um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RO수 사용하여 적당히 희석하였다. 공시험을 위해 여과액을 100℃ 30분 가열하여 실활시켰다. 유리시험관에 1% soluble starch 5ml, Mcllvaine buffer 13ml, 0.1% Calcium chloride 1ml을 준비하였다. 기질용액을 37℃ 10분 preincubation하였다. 시험액 또는 공시험액 1ml 첨가하고 37℃ 30분 반응하였다. 요오드용액 10ml을 15ml 시험관에 준비하고 시험/공시험 반응액 200ul을 첨가하고 증류수를 대조액으로 66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4
*Amylase 역가 Unit/g의 정의 : 검체 1g이 함유하는 역가로 30분간 효소가 반응하여 1mg 전분을 분해하는 값.
프로테아제 활성 측정 방법
시험물질을 5g/100ml 농도로 RO수에 녹이고 30℃ 200rpm에서 shaking incubation 30분 한다. 검액을 12,000rpm, 3분 원심분리하여 취한 상등액을 0.45um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RO수 사용하여 적당량으로 희석하였다. 0.6% Casein 1ml을 시험관에 준비하고 37℃에서 3분간 pre-incubation하였다. 시험액 1ml을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0.4M Trichloroacetic acid 2ml을 넣고 37℃에서 25분간 incubation하며, 0.45um 필터로 여과하였다. 위 여과액 1ml을 15ml conical tube에 취했다. 이 액에 0.4M 탄산나트륨 5ml과 Folin soilution 1ml을 넣고 pipetting하여 섞고 37℃에서 20분간 incubation하였다. 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액 1ml을 넣고 37℃에서 10분간 incubation하였다. (공시험액) 0.4M Trichloroacetic acid 2ml을 넣은 다음 바로 0.6% Casein 1ml을 첨가하고 섞은 후 37℃에서 25분간 incubation하였다. 0.45um 필터로 여과하였다. 위 여과액 1ml을 15ml conical tube에 취했다. 이 액에 0.4M 탄산나트륨 5ml과 Folin soilution 1ml을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incubation 하였다. 흡광도를 660nm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5
*Protease 역가 Unit/g 정의 : 검체 1g이 함유하는 역가로 10분간 효소가 반응하여 생성된 L-티로신의 양을 표준품을 이용하여 환산하여 계산한 값.
Figure pat00006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상기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비교용 발효물에 대비하여,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과 비교예 1의 비교용 발효물에 대하여, 보존성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보존성의 측정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과 비교예 1의 비교용 발효물을 온도 40℃, 상대습도 80%의 항온항습기 조건에서 1주일간 보관 후, 고결 형성 정도를 평가하였고, 이를 위하여 체(체눈 850 ㎛)를 통과시켜 체에 남는 분말의 중량%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비교용 발효물은 고결현상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흡습성이 높은 차전자피 분말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고결 방지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변촉진용 발효물은 우수한 보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변촉진용 발효물 과립
10: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과,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
20: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Claims (5)

  1. 현미호분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꽃송이 버섯 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우유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찜통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95 내지 110 ℃의 온도에서 50 분 내지 90 분 동안 찌는 단계;
    상기 찐 혼합물을 38 내지 45 ℃의 온도로 식히고, 상기 찐 혼합물에 꽃송이 버섯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당 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 0.01 내지 0.7 중량부를 접종한 후, 상기 혼합물을 밀봉하고, 상기 밀봉한 혼합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38 내지 45 ℃의 온도에서 47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하여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을 40 내지 52 ℃의 온도에서 12 내지 2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전자피 분말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의 원료인
    상기 꽃송이 버섯은 12월에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것이고, 상기 채취된 꽃송이 버섯을 3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일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꽃송이 버섯 분말은 상기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분쇄하여 평균입경이 20 내지 100 ㎛이 되도록 제조된 것이고;
    상기 꽃송이 버섯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꽃송이 버섯을 85 내지 105 ℃ 온도의 물에 우려서 1 내지 5 중량%의 고형분을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의 표면에,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한 후 함수율이 1 내지 7 %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함수율이 40 내지 60 %인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전 발효물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1: 1 내지 3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현미호분층 및 꽃송이 버섯의 건조발효물,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과립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KR1020200042629A 2020-04-08 2020-04-08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KR10241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29A KR102419723B1 (ko) 2020-04-08 2020-04-08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29A KR102419723B1 (ko) 2020-04-08 2020-04-08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18A true KR20210125218A (ko) 2021-10-18
KR102419723B1 KR102419723B1 (ko) 2022-07-12

Family

ID=7827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29A KR102419723B1 (ko) 2020-04-08 2020-04-08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55B1 (ko) 2008-12-16 2010-01-19 한국푸디팜 주식회사 차전자피, 미강발효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함유된 배변촉진용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0312A (ko) * 2009-11-06 2011-05-13 박동국 꽃송이버섯과 현미강을 혼합한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20110107011A (ko) 2010-03-24 2011-09-30 박규령 현미강, 꽃송이버섯 그리고 산삼배양근에 복합발효기술을 적용한 꽃송이발효현미강버섯 제조방법
KR101585957B1 (ko) * 2015-08-07 2016-01-21 장기자 비타민 함유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비타민 함유 발효물
KR101693745B1 (ko) 2010-01-12 2017-01-06 윤상철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1911205B1 (ko) * 2018-02-19 2018-10-23 박세진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55B1 (ko) 2008-12-16 2010-01-19 한국푸디팜 주식회사 차전자피, 미강발효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함유된 배변촉진용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0312A (ko) * 2009-11-06 2011-05-13 박동국 꽃송이버섯과 현미강을 혼합한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693745B1 (ko) 2010-01-12 2017-01-06 윤상철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20110107011A (ko) 2010-03-24 2011-09-30 박규령 현미강, 꽃송이버섯 그리고 산삼배양근에 복합발효기술을 적용한 꽃송이발효현미강버섯 제조방법
KR101585957B1 (ko) * 2015-08-07 2016-01-21 장기자 비타민 함유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비타민 함유 발효물
KR101911205B1 (ko) * 2018-02-19 2018-10-23 박세진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723B1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8097A1 (zh) 一株发酵植物乳杆菌及其用途
CN105167072B (zh) 一种功能性枸杞酵素及其制品的生产方法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CN104489646B (zh) 一种果蔬益生菌片剂及其制备方法
CN104824548B (zh) 枸杞复合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CN104509864B (zh) 一种具有改善胃肠功能的营养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7581436B (zh) 一种益生菌发酵枸杞浓浆的制备方法
CN104432092A (zh) 一种益生菌片剂及其制备方法
CN104770816A (zh) 一种西瓜汁益生菌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544086A (zh) 一种可改善肠道菌群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543680A (zh) 一种抗疲劳、改善胃肠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TW201815289A (zh) 含神秘果與益生菌的共生質、其錠劑及其製備方法
CN104886569A (zh) 一种活性益生菌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261420A (zh) 含有辣木叶的饮料及其加工方法和应用
JP4336930B2 (ja) 乳酸菌発酵液の製造方法及び該発酵液を原料とする食品
KR102296397B1 (ko)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젤리
CN105029598A (zh) 一种活性西瓜汁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19723B1 (ko)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KR102405702B1 (ko)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CN108660092B (zh) 一种含有乳酸菌发酵菊苣所得营养成分的苹果醋及苹果醋的生产工艺
CN114304618B (zh) 一种发酵富集蒲公英根活性成分的方法及其应用
KR102405711B1 (ko) 과립형성이 용이하고, 보존성이 개선된 배변촉진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변촉진용 발효물
JP5823771B2 (ja) マッコリ風味飲料用粉末又は顆粒、及びそれを用いる飲料の調製方法
KR102296402B1 (ko)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꽃송이버섯 발효 비드를 포함하는 젤리
CN113331331A (zh) 一种益生菌发酵饮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