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109A -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109A
KR20210123109A KR1020200040428A KR20200040428A KR20210123109A KR 20210123109 A KR20210123109 A KR 20210123109A KR 1020200040428 A KR1020200040428 A KR 1020200040428A KR 20200040428 A KR20200040428 A KR 20200040428A KR 20210123109 A KR20210123109 A KR 2021012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main
control panel
stat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Priority to KR102020004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109A/ko
Publication of KR202101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권상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 그리고 메인 제어반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메인 제어반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메인 제어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서브 제어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지속 가능하도록 하여, 메인 제어반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having sub-control panel}
본 발명은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을 모니터하여 메인 제어반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이 구비됨으로써 메인 제어반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수송수단으로, 고층건물이 즐비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에 배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태워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는 로프와, 로프가 권취되며 회전을 통해 로프를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권상기와, 권상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 그리고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여부,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또는 인버터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만약 제어반 또는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그대로 중단될 수 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단되면 수리 기사에 의해 제어반 또는 인버터의 교체 또는 수리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해당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주거 및 방문자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층간 이동이 불가능하여 큰 불편을 겪게 되며, 특히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만 층간 이동이 가능한 건물에서는 층간 이동 자체가 불가능하여 더욱 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운행되는 도중에 제어반 또는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운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탑승 중인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에 갇힐 수 있으며, 이 경우 탑승자에게 폐쇄에 의한 심리적 육체적 이상 상태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3560 (2007.07.23.)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메인 제어반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이를 감지하여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서브 제어반이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인버터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인버터를 대신하여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서브 인버터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메인 제어반이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도중에 메인 제어반에 이상이 발생하여 서브 제어반이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서브 제어반이 메인 제어반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권상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 그리고 메인 제어반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메인 제어반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반은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테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제1 인버터 제어부와,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서브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서브 제어반은 제1 통신부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와,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메인 제어반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상태 판단부, 그리고 메인 제어반이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인버터 제어부를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제1 인버터 제어부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통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제2 통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를 별도로 구비되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버터 제어부는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는 제1 통신부를 통해 인버터 및 제2 통신부로 전송하며, 제2 통신부는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고,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임시 저장부에 최근 저장된 메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인버터 제어부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메인 인버터와, 메인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며, 메인 제어반은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제1 인버터 제어부는 메인 인버터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인버터를 대체 하여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서브 제어반은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제2 인버터 제어부는 메인 인버터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버터 제어부는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는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는 생성된 서브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메인 제어반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이 구비되어 메인 제어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서브 제어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지속 가능하여, 메인 제어반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메인 인버터와 메인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서브 인버터가 구비되고, 메인 제어반 및 서브 제어반은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여 메인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메인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엘리베이터 운행이 지속 가능하도록 하여, 메인 인버터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 제어반이 메인 제어반에서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생성되는 메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고, 메인 제어반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최근 임시 저장된 메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어반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메인 제어반이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던 중에 이상이 발생하여 서브 제어반이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더라도 인버터의 동작 상태가 중단 후 초기 상태로 재동작하지 않고 연속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 중에 메인 제어반에서 서브 제어반에 의한 제어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이동이 급작스럽게 중단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객에게 발생 가능한 불편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칭한다)은 엘리베이터 카(1)의 이동 여부,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30)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이를 감지하여 메인 제어반(30)을 대신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이동 여부,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서브 제어반(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에 배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태워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카(1)와, 일단이 엘리베이터 카(1)에 연결되는 로프(3)와, 로프(3)의 타단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1)의 무게를 보상하는 웨이트(5)와, 로프(3)가 권취되며 회전을 통해 로프(3)를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카(1)가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권상기(7)와, 권상기(7)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9), 그리고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9)에 제공하는 인버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알려진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 제어반(30)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메인 제어반(30)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메인 제어반(30)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반(30)을 대신하여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50)이 더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제어반(30)에는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동시에 테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와,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에 의해 인버터(1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메인 제어 신호를 인버터(10)로 전송하며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테스트 신호를 서브 제어반(50)으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33)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들로부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제1 인버터 제어부(31)로 제공하는데, 제1 인버터 제어부(31)는 제1 통신부(33)를 통해 수신된 각종 정보 및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제어반(50)에는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인버터 제어부(51)와, 제2 인버터 제어부(51)에서 생성된 서브 제어 신호에 의해 인버터(1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생성된 서브 제어 신호를 인버터(10)로 전송하며 제1 통신부(33)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53), 그리고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메인 제어반(30)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상태 판단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부(53) 역시 제1 통신부(33)와 마찬가지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들로부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제2 인버터 제어부(51)로 제공하는데,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제2 통신부(53)를 통해 수신된 각종 정보 및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통신부(53)는 메인 제어반(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도 지속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제2 인버터 제어부(51)가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상태 판단부(55)는 제2 통신부(53)가 제1 통신부(33)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면 메인 제어반(30)을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면에, 제2 통신부(53)가 설정시간 동안 제1 통신부(33)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메인 제어반(30)을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반(30)의 이상 상태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 이상이 발생하여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는 상태, 제1 통신부(33)에 이상이 발생하여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는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상태 판단부(55)가 메인 제어반(30)을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제어 상태 판단부(55)가 메인 제어반(30)을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메인 제어반(30)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1 인버터 제어부(31)를 대신하여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메인 제어반(3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서브 제어반(50)을 통해 엘리베이터 운행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인버터 제어부(31)가 인버터(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도중에 메인 제어반(30)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 발생 시점 이전에 제1 인버터 제어부(31)가 수행하던 인버터(10)의 동작 제어를 제2 인버터 제어부(51)가 이어받아 연속되게 인버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1), 로프(3), 웨이트(5), 권상기(7), 모터(9), 인버터(10), 메인 제어반(30) 및 서브 제어반(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1), 로프(3), 웨이트(5), 권상기(7), 모터(9) 및 인버터(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반(30)과 서브 제어반(50')은 일부의 차이만 있을 뿐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을 포함하므로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반의 제1 통신부(33)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생성한 메인 제어 신호를 인버터(10)에 전송하며 동시에 메인 제어 신호와 테스트 신호를 제2 통신부(53)에도 전송할 수 있다. 서브 제어반(50')에는 임시 저장부(57)가 추가로 구비되어 제2 통신부(53)를 통해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 및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임시 저장부(57)에 저장된 정보 및 신호는 기설정한 양의 정보 또는 신호가 저장되면 저장된 순으로 순차적으로 삭제된다.
이때 제어 상태 판단부(55)에 의해 메인 제어반(30)이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임시 저장부(57)에 최근 저장된 메인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인 제어 신호를 인버터(10)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메인 제어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임시 저장부(57)에 저장된 각종 정보 및 신호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인버터(10)에 전송된 메인 제어 신호에 동기화되도록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인버터 제어부(31)가 수행하던 인버터(10)의 동작을 연속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메인 인버터(11)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이를 감지하여 메인 인버터(11)를 대신하여 모터(9)에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브 인버터(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1), 로프(3), 웨이트(5), 권상기(7), 모터(9), 인버터(10'), 메인 제어반(30') 및 서브 제어반(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1), 로프(3), 웨이트(5), 권상기(7) 및 모터(9)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반(30')과 서브 제어반(50")은 일부의 차이만 있을 뿐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 및 도 3에서 설명한 내용을 포함하므로 도 1 내지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10')는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9)에 제공하는 메인 인버터(11)와, 메인 인버터(11)에 이상이 발생하면 메인 인버터(11)를 대신하여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서브 인버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반(3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제1 인버터 제어부(31)와 제1 통신부(33) 외에도 메인 인버터(11)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를 더 포함하고, 서브 제어반(5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상술한 제2 인버터 제어부(51)와, 제2 통신부(53)와, 제어 상태 판단부(55), 그리고 임시 저장부(57) 외에도, 메인 인버터(11)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는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에 따라 메인 인버터(11)가 동작하고 있다면 메인 인버터(11)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간에 허용치를 벗어나는 차이가 있다면 메인 인버터(11)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2 인버터 제어부(51)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는 제2 인버터 제어부(51)에서 생성된 서브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브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는 수신된 서브 제어 신호에 따라 메인 인버터(11)가 동작하고 있다면 메인 인버터(11)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수신된 서브 제어 신호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간에 허용치를 벗어나는 차이가 있다면 메인 인버터(11)가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인버터(11)에는 메인 인버터(11)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을 감지하는 교류 전원 감지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와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는 교류 전원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교류 전원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인터버(1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메인 제어반(30)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가 메인 인버터(11)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데,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가 메인 인버터(11)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면 제1 인버터 제어부(31)는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가 메인 인버터(11)를 이상 상태로 판단하면 제1 인버터 제어부(31)는 메인 인버터(11) 대신 서브 인버터(1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반(30)이 이상 상태로 판단되어 메인 제어반(30)을 대신하여 서브 제어반(50)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서브 제어반의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가 메인 인버터(11)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데,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가 메인 인버터(11)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면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가 메인 인버터(11)를 이상 상태로 판단하면 제2 인버터 제어부(51)는 메인 인버터(11) 대신 서브 인버터(1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메인 제어반(30)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에 의해 메인 인버터(11)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1 통신부(33)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생성된 메인 제어신호를 메인 인버터(11)로 전송하여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며,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39)에 의해 메인 인버터(11)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1 통신부(33)는 제1 인버터 제어부(31)에서 생성된 메인 제어신호를 서브 인버터(13)로 전송하여 서브 인버터(13)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반(30)이 이상 상태로 판단되어 메인 제어반(30)을 대신하여 서브 제어반(50)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에 의해 메인 인버터(11)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2 통신부(53)는 제2 인버터 제어부(51)에서 생성된 서브 제어신호를 메인 인버터(11)로 전송하여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며,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59)에 의해 메인 인버터(11)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2 통신부(53)는 제2 인버터 제어부(51)에서 생성된 서브 제어신호를 서브 인버터(13)로 전송하여 서브 인버터(13)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인버터(11)와 서브 인버터(13)에 직류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되고, 스위치부(미도시)는 제1 및 제2 인버터 제어부(31, 51)가 메인 인버터(1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때에는 메인 인버터(11)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 인버터 제어부(31, 51)가 서브 인버터(1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때에는 서브 인버터(13)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메인 인버터(11)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서브 인버터(13)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엘리베이터 카
3: 로프
5: 웨이트
7: 권상기
9: 모터
10: 인버터
11: 메인 인버터
13: 서브 인버터
30: 메인 제어반
31: 제1 인버터 제어부
33: 제1 통신부
39: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
50: 서브 제어반
51: 제2 인버터 제어부
53: 제2 통신부
55: 제어 상태 판단부
57: 임시 저장부
59: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

Claims (7)

  1. 권상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반; 및
    상기 메인 제어반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상기 메인 제어반의 상태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제어반을 대신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반은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테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제1 인버터 제어부; 및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서브 제어반으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반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제어반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상태 판단부; 및
    상기 메인 제어반이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정보를 별도로 구비되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버터 및 제2 통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수신된 메인 제어 신호를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 최근 저장된 메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의 동작 상태 제어와 서로 동기화되도록 연속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메인 인버터; 및
    상기 메인 인버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서브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반은 상기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인버터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상기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서브 제어반은 상기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인버터가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인버터를 대신하여 상기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및 서브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버터 상태 판단부는 생성된 메인 제어 신호와 상기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서브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인버터 상태 판단부는 생성된 서브 제어 신호와 상기 메인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인버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00040428A 2020-04-02 2020-04-02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10123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28A KR20210123109A (ko) 2020-04-02 2020-04-02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428A KR20210123109A (ko) 2020-04-02 2020-04-02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09A true KR20210123109A (ko) 2021-10-13

Family

ID=7811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28A KR20210123109A (ko) 2020-04-02 2020-04-02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361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삼일엘텍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60B1 (ko) 2005-06-02 2007-08-01 오현택 고효율 무정전 인버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60B1 (ko) 2005-06-02 2007-08-01 오현택 고효율 무정전 인버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361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삼일엘텍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371B2 (en) Gravity driven start phase in power limited elevator rescue operation
US8261885B2 (en) Safety arrangements for elevator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afety of elevator systems
CN101636340B (zh) 电梯的制动装置
US20130299282A1 (en) Multi-car ele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201052344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12081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1163533A (ja) エレベーター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EP3519338B1 (en) Elevator safety supervising entity with two units having an option for e.g. autonomous passenger evacuation
WO2017068232A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JP2009120370A (ja) エレベータ
KR20210123109A (ko)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0815607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360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34016B1 (ko) 승객 구출 운전장치
US20210114841A1 (en) Method for monitoring brake dragging of an elevator
JPH102310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372814B1 (ko)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JP332063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11942973A (zh) 电梯控制装置、机器人故障预兆诊断系统及其方法
KR100903661B1 (ko) 엘리베이터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WO2023175859A1 (ja) エレベー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