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361A -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361A
KR20230162361A KR1020220062140A KR20220062140A KR20230162361A KR 20230162361 A KR20230162361 A KR 20230162361A KR 1020220062140 A KR1020220062140 A KR 1020220062140A KR 20220062140 A KR20220062140 A KR 20220062140A KR 20230162361 A KR20230162361 A KR 20230162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elevator
power
automatic rescue
power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엘텍
Priority to KR102022006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361A/ko
Publication of KR2023016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는, 자동구출제어부; 전력회생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동일한 기판에 구비되어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또는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Apparatus of control panel applied to elevato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엘리베이터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반의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수송수단으로, 고층건물이 즐비한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에 배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태워 수직 방향으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 베이터 카에 연결되는 로프와, 로프가 권취되며 회전을 통해 로프를 이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권상기와, 권상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 전원으로 변 환하여 모터에 제공하는 인버터, 그리고 인버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여부,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은, 통상적으로 자동구출장치 또는 전력회생장치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구동된다. 이 경우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관리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21-0123109호
본 개시(disclosure)는,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통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는, 자동구출제어부; 전력회생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동일한 기판에 구비되어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또는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여부, 정기 점검 현황 또는 운행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연결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연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회수하여, 전령망,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력회생제어부가 회수한 전기 에너지 및 상기 자동구출제어부가 사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통합하여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간편하게 유지 및 보수하고, 제작 비용을 경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포함되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어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용어 "커플(couple)" 및 그 파생어는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 사이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나타내거나, 이들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송신(transmit)", "수신(receive)" 그리고 "통신(communicate)"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이들의 직/간접 통신을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 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제한 없이 포함을 의미한다. 용어 "또는(or)"은 포괄적 의미로써, '및/또는'을 의미한다. 문구 "~와 관련되다(associated with)" 뿐만 아니라 그 파생어 또한 ~을 포함한다(include), ~에 포함된다(be included within), ~와 결합하다(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다(contain), ~에 함유되어 있다(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한다(connect to or with), ~와 결합하다(couple to or with), ~ 전달한다(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다(cooperate with), ~를 끼우다(interleave), ~을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인접하다(be proximate to), 구속하다/구속되다(be bound to or with), 소유하다(have), 속성을 가지다(have a property of), ~와 관계를 가지다(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제어기(controller)"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제어기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식으로(centralized) 또는 분산(distributed)처리될 수 있다. 문구 "적어도 하나"가 나열된 항목과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그리고 A와 B와 C 결합들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어플리케이션"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에서 구현하기 위해 적응 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명령어 세트, 절차, 기능,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문구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가능 코드를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문구는 판독 전용 메모리 (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등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일 수 있다. "일시적이지 않은(non-transitory)"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겹쳐 쓰기 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의 정의가 본 개시 전반에 걸쳐서 제공되고,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정의들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로 미래뿐 아니라 이전의 사용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에 논의된 도 1 내지 도 4 및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의 원리가 적절하게 배치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구동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메인 제어부(메인 컨트롤러)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며, 자동구출장치, 전력회생장치 및 무선통신 모듈(LTE-CAT, M1 무선통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반은,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 또는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또는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구출장치(auto rescue device, ARD)는,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비상 전력을 통하여 엘리베이터를 승강하거나 엘리베이터 문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력회생장치(ReGen)은, 엘리베이터에 이용되는 전력회생형 자가발전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권상기 모터가 발전기로 작동하여 전기를 재생산하여 엘리베이터 및 다른 회로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외부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거나, 엘리베이터 운행 및 유지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 시스템은, 메인 제어부와 인버터로 구성된 제어반과 전력회생장치, 자동구출장치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별도의 독립된 구성으로 포함되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포함되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반에는, 메인 제어부(메인 컨트롤러), 인버터, 전력회생부(ReGen), 자동구출부(ARD), 무선통신 모듈(LTE-CAT, M1 무선통신)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5개의 구성들은 하나의 기판에 포함되어 전자 회로를 공유할 수 있다. 제어반의 메인 제어부는, 나머지 4 개의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나머지 구성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기판은, 통합 제어보드로 지칭될 수 있고, 통합 제어보드에 장착되어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GBT 전력 소자는 메인 제어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반의 일체형 구조로 인하여, 메인 제어부는 엘리베이터를 자동구출부 또는 전력회생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는, 전기 에너지가 전원부로부터 엘리베이터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부하에 따라 메인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또는 엘리베이터의 구동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엘리베이터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부하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서는 메인 제어부가 전기에너지를 거의 공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전력회생부는, 엘리베이터의 구동부를 발전기로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하강에 따라 발생하는 위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전력회생부의 에너지 회수 동작은 메인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회수된 전기 에너지는 전령망과 메인 제어부의 전원부 또는 배터리로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구동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와 전력회생부를 연결하여, 부하에 따라 구동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른 전기 에너지를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구동하기 어려운 경우, 엘리베이터의 구동부와 자동구출부를 연결하여, 전력회생부에 의해 회수되고 전원부 또는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가 구동하기 어려운 경우는, 정전 등의 이유로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전원부과 엘리베이터 간의 전기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는, 현재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점검하여, 엘리베이터가 구동가능한 상황인지 그렇지 않은 상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정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구동가능한 상황이면, 전력회생부와 엘리베이터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가 구동 불가능한 상황이면, 자동구출부와 엘리베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기판에 메인 제어부, 전력회생부 및 자동구출부를 모두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전력회생부 또는 자동구출부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제어 시스템은 자동구출부, 전력회생부가 제어반 외부에 별도로 연결되되 서로 직렬 연결되는 구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동구출부 및 전력회생부 각각은 모두 별개의 제어 프로세서 및 전력 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제어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설치를 위한 독립적인 공간이 각각 필요하며, 유지 보수 또한 서로 다른 기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3개의 제어 프로세서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제어 프로세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제어 시스템의 스위칭 기능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기판에 위치하는 서로 다른 제어 프로세서에 대한 개별적인 유지 보수 및 설치가 필요하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제어반에 자동구출부, 전력회생부, 인버터, 메인 트랜스 및 메인 제어부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반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제어부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의 모든 동작이 하나의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동구출부, 전력회생부 및 엘리베이터 간의 스위칭 동작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트랜스 1차측에 별도의 비상전원 공급용 34V탭 추가하여 해당 탭을 통하여 자동구출부가 메인 제어부에 전기를 공급하며 인버터 구동 전원은 자동구출부의 배터리를 인버터 VDC BUS에 연결하여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자동구출부가 인버터 구동 전원을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15kW 모터 적용시 자동구출부 용량이 3kVA에서 1kVA로 용량 축소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반은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메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구동 상황 정보, 자동구출부의 작동 이력 정보, 외부에서 공급되거나 회수된 전기 에너지의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반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다른 서버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엘리베이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에 관한 정보를 개시하고,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자동구출부를 구동하기 어려운 경우, 관리자에게 긴급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 시스템에 긴급 상황에 대응한 제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상황은, 엘리베이터에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자동구출부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가 이용가능한 보조 전력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은, 엘리베이터가 유지 보수가 오랜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아니하였거나, 고장 빈도가 임계 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경우일 수 있고, 이는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수된 전기 에너지가 자동구출부를 구동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 서버는 메인 제어부에 엘리베이터에 '탑승 금지'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는 일시적으로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은, 회수 에너지가 자동구출부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축적될 때까지 제한될 수 있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IoT)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기로 제어 명령 또는 엘리베이터 구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관리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또는 자신의 단말기(예: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서버를 통해 메인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를 보수하는 보수 직원(사용자)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체크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으로 위험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게 하거나, 전력 회생을 위한 설정 값을 일부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에 설치되고 외부 서버와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담당하는 지역의 엘리베이터 현황, 목록, 고장이나 처리 내역, 정기 점검 현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실시간 상태, 유지 보수 현황 등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전기 공급 상황, 저장된 에너지, 승강 시 평균 하중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 시스템을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엘리베이터 제어반와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제조원가를 줄임으로써 소비자에게 가격 경쟁력이 있는 제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부품 및 통합함으로써 제품 부피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탄수 배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스마트 관리를 위한 최신 IoT 기반 유지 관리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현장 방문이 아닌 원격 관리를 통하여 방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는, 자동구출제어부; 전력회생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동일한 기판에 구비되어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또는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여부, 정기 점검 현황 또는 운행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연결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연결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회수하여, 전령망,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력회생제어부가 회수한 전기 에너지 및 상기 자동구출제어부가 사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에 있어서,
    자동구출제어부;
    전력회생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동일한 기판에 구비되어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또는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고장 여부, 정기 점검 현황 또는 운행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상기 전력회생제어부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연결하고,
    상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연결하도록 더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및 상기 전력회생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구출제어부와 독립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모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회생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회수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 상기 자동구출제어부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부와 전력망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력회생제어부가 회수한 전기 에너지 및 상기 자동구출제어부가 사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KR1020220062140A 2022-05-20 2022-05-20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KR20230162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40A KR20230162361A (ko) 2022-05-20 2022-05-20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140A KR20230162361A (ko) 2022-05-20 2022-05-20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361A true KR20230162361A (ko) 2023-11-28

Family

ID=8895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140A KR20230162361A (ko) 2022-05-20 2022-05-20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3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09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109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서브 제어반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486B1 (ko)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방법 및 엘리베이터 제어반
CN102164839A (zh) 用于在应急模式中运行电梯的方法
JPH0919415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0215365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CN110997540B (zh) 电梯的更新方法以及附属盘
CN103237751A (zh) 用于乘客输送机的再生功率控制
KR20230162361A (ko)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제어반의 장치
JP201820350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486663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210211355A1 (en) Automatic commissioning for an elevator signalization network device
JP2019031382A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JP6850362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H1021851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814126B2 (ja) 電力変換装置
JP20062904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7395678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Unger Electrical Controls and Control Modes
CN112723051B (zh) 一种家用电梯远程救援系统、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7052027B2 (ja) エレベーターの状況通知システム
WO2016021004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522184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電圧異常時におけるエレベータ運転方法
KR200188375Y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처리장치
JPH1031632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21109730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7262933A (zh) 一种联合层级按钮请求与候梯客量的电梯停留决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