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31A -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 Google Patents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031A
KR20210123031A KR1020200040207A KR20200040207A KR20210123031A KR 20210123031 A KR20210123031 A KR 20210123031A KR 1020200040207 A KR1020200040207 A KR 1020200040207A KR 20200040207 A KR20200040207 A KR 20200040207A KR 20210123031 A KR20210123031 A KR 2021012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late
vehicle
pair
b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367B1 (ko
Inventor
한상윤
황태준
윤승빈
이현철
이태훈
정훈
이치호
위천복
박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20004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E04H5/06Pits or building structures for inspection or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프론트베이스와, 상기 프론트베이스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프론트워크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를 전후로 진퇴(進退)케 하는 프론트진퇴수단과, 상기 프론트베이스를 상하 승강케 하는 프론트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프론트고소검사파트; 및 상기 차량의 측면 측에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포스트와,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사이드베이스와, 상기 사이드베이스 상부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워크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를 좌우로 진퇴케 하는 사이드진퇴수단과, 상기 사이드베이스를 상하 승강케 하는 사이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의 좌우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고소검사파트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플레이트에 탑승한 점검자가 차량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정비에 대한 신속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INSPECTION PLATFORM FOR PRESSURE RESISTANT CONTAINER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 AND GAS FUELED VEHICLE}
본 발명은 수소버스, CNG 버스 등의 차량에 장착된 내압용기를 점검 및 정비하기 위한 고소검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전후로 진퇴시키면서 상하로도 승강 구동케 하고, 차량의 좌우 측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좌우로 진퇴시키면서 상하로도 승강 구동케 함으로써, 점검자가 탑승한 플레이트와 차량 간의 거리 및 상하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점검자가 차량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에는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이하 "CNG"라고 함), LPG, 수소가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이들 가스는 저장이나 운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압으로 압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CNG는 천연가스로서, 탈 석유화 또는 대기환경 오염 개선 등의 필요에 따라 휘발유 및 경유를 대체하여 차량의 연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버스 등에 장착되어지되 내압용기 내에 수용되어 장착되고 있다.
하지만, CNG는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내압용기 내에 수용하여 사용하므로 폭발 위험성을 갖는 것인데, 특히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 높은 내압에 의해서 내압용기의 안전성은 더욱 약해지게 되고 내압용기에서 누출되는 가스는 인화성 물질과 접촉 시 폭발하게 되므로 인명사고와 직결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내압용기와 이에 연결된 연료장치 및 기타 장착시스템 등 가스 차량에 장착되는 내압용기 시스템은 안전성의 확보가 무엇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에 따라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안전성을 체크하도록 하고 있으며, 내압용기를 교체하거나 파기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행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내압용기를 점검 및 정비할 수 있는 설비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6630호 (2013.10.0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 검사설비』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1은 CNG 장착 버스차량 등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을 점검 및 검사하기 위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 차량의 하부에 장착된 내압용기 시스템을 작업자가 직시(直視) 및 이동하면서 점검 및 검사할 수 있도록 지면(地面) 저부에 설치되는 지하구조물로서, 차량이 피트를 통과하는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하구조물 내에 리프트가 설치되는 개방형 피트와; 가스 차량의 상부 지붕에 장착된 내압용기 시스템을 점검 및 검사할 수 있도록 고소(高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스 차량의 지붕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성을 갖는 고소검사대;를 포함함으로써, 가스 차량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된 내압용기 시스템에 대한 점검 및 검사를 차량의 장착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내압용기 검사를 위한 작업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 검사설비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6630호 (2013.10.02.등록)
본 발명은 차량 점검 시 점검자가 탑승한 플레이트와 차량 간의 거리 및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프론트베이스와, 상기 프론트베이스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프론트워크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를 전후로 진퇴(進退)케 하는 프론트진퇴수단과, 상기 프론트베이스를 상하 승강케 하는 프론트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프론트고소검사파트; 및
상기 차량의 측면 측에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포스트와,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사이드베이스와, 상기 사이드베이스 상부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워크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를 좌우로 진퇴케 하는 사이드진퇴수단과, 상기 사이드베이스를 상하 승강케 하는 사이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의 좌우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고소검사파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는,
점검 차량의 전방 및 좌우 측방, 그리고 상부면은 물론, 하부면까지 플레이트에 탑승한 점검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정비에 대한 신속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4는 프론트고소검사파트의 프론트진퇴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5는 프론트고소검사파트의 프론트승강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6은 사이드고소검사파트의 사이드진퇴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7은 사이드고소검사파트의 사이드승강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프론트고소검사파트(P1)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사이드고소검사파트(P1, P2)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사이드고소검사파트 중 도면부호 P2에 해당하는 사이드고소검사파트 측을 좌부 또는 좌방, 도면부호 P3에 해당하는 사이드고소검사파트 측을 우부 또는 우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는,
크게 프론트고소검사파트(P1) 및 한 쌍의 사이드고소검사파트(P2, P3)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고소검사파트(P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한 차량의 전방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와,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10)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프론트베이스(20)와,
상기 프론트베이스(20)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를 전후로 진퇴(進退)케 하는 프론트진퇴수단(40)과,
상기 프론트베이스(20)를 상하 승강케 하는 프론트승강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베이스(20)는 상기 프론트베이스(20) 승강 시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1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하 메인롤러(211)를 갖는 수직부재(212)와 이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213)로 이루어져 ㄴ자를 이루는 한 쌍의 프론트브래킷(21)과, 상기 각 프론트브래킷(21)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가 안착되는 프론트서포트(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프론트브래킷(21)과 상기 프론트서포트(22)는 볼팅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진퇴수단(40)은
상기 프론트서포트(22)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되며 전후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프론트엘엠가이드(41)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 좌우 영역에 결합되며 전후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프론트래크(42)와,
상기 각 프론트래크(42) 하부 측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프론트샤프트(43)와,
상기 프론트서포트(22)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샤프트(43)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론트볼베어링(44)과,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각 프론트래크(42)와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프론트피니언(45)과,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프론트샤프트구동부(46)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론트샤프트구동부(46)는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상호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프론트샤프트(43) 회전 시 상기 프론트래크(42)와 상기 프론트피니언(45) 간의 기어 맞물림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엘엠가이드(41)를 따라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가 전후로 진퇴 동작을 한다.
따라서 진입한 차량과의 점검 거리에 맞게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를 전후로 진퇴시켜 점검자로 하여금 좀 더 용이하면서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는 이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론트볼베어링(44) 외에 중단 영역을 지지하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론트샤프트(43)는 상기 구동모터의 종동기어에 축 결합되는 종동샤프트 양단 각각에 일렬로 연장되는 형태의 두 분체샤프트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샤프트를 이루며, 특히 종동샤프트와 두 분체샤프트 간의 결합이 조우 커플러(JAW COUPLER)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의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 후퇴 시 동일 높이에 위치한 후술할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 단부와 접촉 시 가압되는 탄성스토퍼(31)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스토퍼(31)는 일단이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에 삽설되고 타단 내부에 공기층을 갖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승강수단(50)은
상기 프론트베이스(20)를 상하 승강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프론트브래킷(21) 사이에 결합되는 프론트승강블록(51)과,
상기 프론트승강블록(51)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프론트체인(52)과,
상기 프론트체인(52)의 타단에 연결되는 프론트웨이트(53)와,
상기 프론트웨이트(5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론트포스트(10)에 부착된 프론트앵글(11)에 연결되는 프론트와이어(54)와,
상기 프론트체인(52)과 맞물리는 둘 이상의 프론트스프로켓(55)과,
상기 각 프론트스프로켓(55) 중 하나의 프론트스프로켓(5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프론트포스트(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프론트승강모터(56)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프론트승강모터(56)에 의해 프론트체인(52) 구동 시 상기 프론트승강블록(51)과 이에 결합된 상기 각 프론트브래킷(21)이 승강하고, 이때 상기 프론트브래킷(21)에 결합된 상기 프론트서포트(22) 및 이에 안착된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 또한 함께 승강한다.
상기 각 사이드고소검사파트(P2, P3)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좌우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해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량의 측면 측에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포스트(60)와,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60)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사이드베이스(70)와,
상기 사이드베이스(7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를 좌우로 진퇴케 하는 사이드진퇴수단(90)과,
상기 사이드베이스(70)를 상하 승강케 하는 사이드승강수단(1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베이스(70)는 상기 사이드베이스(70) 승강 시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6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하 메인롤러(711)를 갖는 수직부재(712)와 이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713)로 이루어져 ㄴ자를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브래킷(71)과, 상기 각 사이드브래킷(71)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가 안착되는 사이드서포트(7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사이드브래킷(71)과 상기 사이드서포트(72)는 볼팅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진퇴수단(90)은
상기 사이드서포트(60)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사이드엘엠가이드(91)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의 하부면 전후 영역에 결합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래크(92)와,
상기 각 사이드래크(92) 하부 측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샤프트(93)와,
상기 사이드서포트(72)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샤프트(93)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볼베어링(94)과,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각 사이드래크(92)와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사이드피니언(95)과,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사이드샤프트구동부(96)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이드샤프트구동부(96)는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상호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사이드샤프트(93) 회전 시 상기 사이드래크(92)와 상기 사이드피니언(95) 간의 기어 맞물림에 의한 구동에 의해 상기 사이드엘엠가이드(91)를 따라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가 전후로 진퇴 동작을 한다.
따라서 진입한 차량과의 점검 거리에 맞게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를 좌우로 진퇴시켜 점검자로 하여금 좀 더 용이하면서 신속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는 이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볼베어링(94) 외에 중단 영역을 지지하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샤프트(93)는 일자형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의 전후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사이드샤프트(93)는 상기 구동모터의 종동기어에 축 결합되는 종동샤프트 양단 각각에 일렬로 연장되는 형태의 두 분체샤프트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샤프트를 이루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때 종동샤프트와 두 분체샤프트 간의 결합이 조우 커플러(JAW COUPLER)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승강수단(100)은
상기 사이드베이스(70)를 상하 승강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사이드브래킷(71) 사이에 결합되는 사이드승강블록(101)과,
상기 사이드승강블록(101)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사이드체인(102)과,
상기 사이드체인(102)의 타단에 연결되는 사이드웨이트(103)와,
상기 사이드웨이트(10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사이드포스트(60)에 부착된 사이드앵글(61)에 연결되는 사이드와이어(104)와,
상기 사이드체인(102)과 맞물리는 둘 이상의 사이드스프로켓(105)과,
상기 각 사이드스프로켓(105) 중 하나의 사이드스프로켓(10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사이드포스트(60)의 상단에 설치되는 사이드승강모터(106)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사이드승강모터(106)에 의해 사이드체인(102) 구동 시 상기 사이드승강블록(101)과 이에 결합된 상기 각 사이드브래킷(71)이 승강하고, 이때 상기 사이드브래킷(71)에 결합된 상기 사이드서포트(72) 및 이에 안착된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 또한 함께 승강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포스트(10)와 상기 사이드포스트(60)는 이들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중계프레임(110)에 의해 내구성을 보강하고, 또 상기 프론트포스트(10)와 중계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사이드포스트(60)와 중계프레임(110) 간의 모서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중계앵글(120)에 의해 내구성을 더 보강하며, 또 상기 각 워크플레이트(30, 80)로 점검자가 탑승하기 위해 별도의 사다리나 계단 구조물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는 CNG 버스 등의 가스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의 전방 및 양 측면에 배치된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와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를 전후 또는 좌우 및 상하로 승강시켜 차량과 각 플레이트(30, 80) 간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각 플레이트(30, 80)에 탑승한 점검자가 차량에 장착된 내압용기는 물론, 각종 차량 부품 및 부속품을 점검 및 정비할 시 차량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1 : 프론트고소검사파트
P2, P3 : 사이드고소검사파트
10 : 프론트포스트
11 : 프론트앵글
20 : 프론트베이스
21 : 프론트브래킷
211 : 메인롤러
212 : 수직부재
213 : 수평부재
22 : 프론트서포트
30 : 프론트워크플레이트
31 : 탄성스토퍼
40 : 프론트진퇴수단
41 : 프론트엘엠가이드
42 : 프론트래크
43 : 프론트샤프트
44 : 프론트볼베어링
45 : 프론트피니언
46 : 프론트샤프트구동부
50 : 프론트승강수단
51 : 프론트승강블록
52 : 프론트체인
53 : 프론트웨이트
54 : 프론트와이어
55 : 프론트스프로켓
56 : 프론트승강모터
60 : 사이드포스트
61 : 사이드앵글
70 : 사이드베이스
71 : 사이드브래킷
711 : 메인롤러
712 : 수직부재
713 : 수평부재
72 : 사이드서포트
80 : 사이드워크플레이트
90 : 사이드진퇴수단
91 : 사이드엘엠가이드
92 : 사이드래크
93 : 사이드샤프트
94 : 사이드볼베어링
95 : 사이드피니언
96 : 사이드샤프트구동부
100 : 사이드승강수단
101 : 사이드승강블록
102 : 사이드체인
103 : 사이드웨이트
104 : 사이드와이어
105 : 사이드스프로켓
106 : 사이드승강모터
110 : 중계프레임
120 : 중계앵글

Claims (4)

  1.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와,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10)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프론트베이스(20)와, 상기 프론트베이스(20)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를 전후로 진퇴(進退)케 하는 프론트진퇴수단(40)과, 상기 프론트베이스(20)를 상하 승강케 하는 프론트승강수단(50)을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한 프론트고소검사파트(P1); 및
    상기 차량의 측면 측에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포스트(60)와,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60)를 따라 상하 승강되게 배치되는 사이드베이스(70)와, 상기 사이드베이스(7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를 좌우로 진퇴케 하는 사이드진퇴수단(90)과, 상기 사이드베이스(70)를 상하 승강케 하는 사이드승강수단(100)을 포함하여 차량의 좌우 측 영역을 점검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고소검사파트(P2, P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고소검사파트(P1)의 프론트베이스(20)는 상기 프론트베이스(20)는 상기 프론트베이스(20) 승강 시 상기 각 프론트포스트(1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하 메인롤러(211)를 갖는 수직부재(212)와 이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213)로 이루어져 ㄴ자를 이루는 한 쌍의 프론트브래킷(21)과, 상기 각 프론트브래킷(21)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가 안착되는 프론트서포트(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서포트(22)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되며 전후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프론트엘엠가이드(41)와,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 좌우 영역에 결합되며 전후 길이를 갖는 한 쌍의 프론트래크(42)와, 상기 각 프론트래크(42) 하부 측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프론트샤프트(43)와, 상기 프론트서포트(22)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샤프트(43)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프론트볼베어링(44)과,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각 프론트래크(42)와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프론트피니언(45)과, 상기 프론트샤프트(4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프론트샤프트구동부(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고소검사파트(P2, P3)의 사이드베이스(70)는 상기 사이드베이스(70) 승강 시 상기 각 사이드포스트(60)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하 메인롤러(711)를 갖는 수직부재(712)와 이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713)로 이루어져 ㄴ자를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브래킷(71)과, 상기 각 사이드브래킷(71)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가 안착되는 사이드서포트(7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진퇴수단(90)은 상기 사이드서포트(60)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둘 이상의 사이드엘엠가이드(91)와,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80)의 하부면 전후 영역에 결합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래크(92)와, 상기 각 사이드래크(92) 하부 측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샤프트(93)와, 상기 사이드서포트(72)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샤프트(93)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볼베어링(94)과,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각 사이드래크(92)와 상호 맞물리는 한 쌍의 사이드피니언(95)과, 상기 사이드샤프트(9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사이드샤프트구동부(9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의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워크플레이트 후퇴 시 동일 높이에 위치한 상기 사이드워크플레이트 단부와 접촉 시 가압되는 탄성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KR1020200040207A 2020-04-02 2020-04-02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KR10237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07A KR102375367B1 (ko) 2020-04-02 2020-04-02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07A KR102375367B1 (ko) 2020-04-02 2020-04-02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31A true KR20210123031A (ko) 2021-10-13
KR102375367B1 KR102375367B1 (ko) 2022-03-16

Family

ID=7811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07A KR102375367B1 (ko) 2020-04-02 2020-04-02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8533A (zh) * 2023-08-30 2023-09-29 山东凯尔通电气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耐压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64B1 (ko) 2023-11-30 2024-03-28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69Y1 (ko) * 2005-10-17 2006-01-20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KR101316630B1 (ko) 2012-10-04 2013-10-15 교통안전공단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 검사설비
KR20140145042A (ko) * 2013-06-12 2014-12-22 위로클(주) 발판 호환이 가능한 멀티 프레임 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69Y1 (ko) * 2005-10-17 2006-01-20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KR101316630B1 (ko) 2012-10-04 2013-10-15 교통안전공단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 검사설비
KR20140145042A (ko) * 2013-06-12 2014-12-22 위로클(주) 발판 호환이 가능한 멀티 프레임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8533A (zh) * 2023-08-30 2023-09-29 山东凯尔通电气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耐压检测装置
CN116818533B (zh) * 2023-08-30 2023-11-07 山东凯尔通电气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耐压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367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367B1 (ko)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고소검사대
WO2010133163A1 (zh) 船用移动式作业平台装置
CN204495517U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CN103442981A (zh) 供电设备
CN202848523U (zh) 用于钢桶的输送装置
KR102325562B1 (ko)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피트 리프터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CN103171870B (zh) 一种石墨化电极的冷却和输送装置
KR100981160B1 (ko) 점검대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내장된 이동식 교량 점검대
CN1117008C (zh) 海上加油设备
CN205826614U (zh) 塑料燃油箱燃烧性能试验台
KR100796346B1 (ko) 철도차량 회전장치
EP0108748A1 (en) Mechanically operated elevating apparatus of steel column structure for elevating and moving advantageously containers of series 1, vehicles and heavy objects
CN205668922U (zh) 一种适用于机械行业的升降工作平台
CN202704533U (zh) 一种瓶胚机械提升翻转装置
KR101168304B1 (ko) 단열시스템 검사장치
CN206601885U (zh) 一种模块化的脚手架安全栏杆倾倒体验的装置
KR101316630B1 (ko) 가스 차량의 내압용기 시스템 검사설비
CN107140111A (zh) 一种安装浮箱及船体
CN209721514U (zh) 一种电力检修升降平台
CN107500186A (zh) 一种1000kvgis设备检修平台
JP5561488B2 (ja) 燃料供給ユニット
CN205772141U (zh) 等压排渣系统
KR102652864B1 (ko)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CN106185708B (zh) 高铁安装维修轮对升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