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39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391A
KR20210122391A KR1020200038841A KR20200038841A KR20210122391A KR 20210122391 A KR20210122391 A KR 20210122391A KR 1020200038841 A KR1020200038841 A KR 1020200038841A KR 20200038841 A KR20200038841 A KR 20200038841A KR 20210122391 A KR20210122391 A KR 2021012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ensing electrodes
sensing
electro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승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2391A/ko
Priority to US17/099,641 priority patent/US11262866B2/en
Priority to CN202110340683.5A priority patent/CN113467633A/zh
Publication of KR2021012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391A/ko
Priority to US17/682,728 priority patent/US116691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되며,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폴딩 축이 지나는 제3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들 각각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감지 유닛이 표시 장치의 입력 장치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감지 유닛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를 터치 입력 좌표로 산출한다. 터치 감지 유닛은 제1 터치 전극들 및 제2 터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터치 전극들과 제2 터치 전극들 사이에서 불필요한 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터치 감지 유닛의 감도가 악화되거나 구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감지 전극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되며,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폴딩 축이 지나는 제3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구동하는 제1 터치 구동부, 및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구동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구동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구동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감지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감지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구동 라인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구동 라인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상기 제1 패드부와 인접한 그라운드 패드부를 통해 그라운드 또는 접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1 감지 전극,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측에 배치된 제2 감지 전극, 및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가장 인접한 제3 감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상기 제2 감지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상기 제3 감지 전극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감지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감지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구동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구동 라인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1 구동 전극, 상기 제1 구동 전극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가장 인접한 제3 구동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2 구동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3 구동 전극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센싱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드부에 연결되는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터치 구동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표시층을 덮는 제2 베이스 부재, 상기 표시층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센싱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드부에 연결되는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터치 구동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이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절연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들은 제1 터치 구동부로 구동하고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은 제2 터치 구동부로 구동하며, 일부의 구동 전극들과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금속 배선을 포함함으로써, 폴딩 축의 양 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감지 전극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복수의 센싱 전극에 형성되는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들은 제1 터치 구동부로 구동하고,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은 제2 터치 구동부로 구동함으로써, 폴딩 축의 양 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감지 전극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복수의 센싱 전극에 형성되는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표시 영역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A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층 및 센싱 전극층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표시 영역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3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4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층 및 센싱 전극층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자동차의 계기판,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자동차의 대쉬 보드에 배치된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룸 미러 디스플레이(Room Mirror Display), 또는 자동차의 뒷좌석용 엔터테인먼트로서 앞좌석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단변 방향으로,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장변 방향으로,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세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회로 보드(210), 표시 구동부(220), 제1 터치 구동부(230), 제2 터치 구동부(240), 및 연성 필름(2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부분 및 강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리지드(Rigid)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접고 펼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 표시면이 구부러진 커브드(Curved) 표시 패널, 표시면 이외의 영역이 구부러진 벤디드(Bended) 표시 패널, 말거나 펼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표시 패널, 및 연신 가능한 스트레처블(Stretcha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00)은 투명하게 구현되어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물체나 배경을 표시 패널(100)의 상면에서 볼 수 있는 투명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의 물체 또는 배경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메인 영역(MA) 및 메인 영역(M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영역(SB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M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메인 영역(MA)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메인 영역(MA)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발광 영역, 발광 소자들을 구동하는 스캔 배선들, 데이터 배선들, 및 전원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DA1, DA2, D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2 및 제3 표시 영역(DA2, DA3) 보다 서브 영역(SBA), 회로 보드(210), 표시 구동부(220), 또는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및 제3 표시 영역(DA1, DA3) 보다 제2 터치 구동부(240) 및 연성 필름(250)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비폴딩(Non-Folding)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표시 영역(DA3)은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폴딩 축(Folding Axis)이 지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A3)은 폴딩 영역일 수 있고, 폴딩 축을 따라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축은 표시 영역(DA)의 중앙을 지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바깥쪽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스캔 배선들에 스캔 신호들을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배선들과 표시 구동부(220)를 연결하는 팬 아웃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메인 영역(MA)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영역(SBA)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메인 영역(MA)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고, 서브 영역(SBA)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메인 영역(MA)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브 영역(SBA)은 구부러질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이 구부러진 경우, 서브 영역(SBA)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메인 영역(MA)과 중첩할 수 있다.
회로 보드(210)는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210)는 표시 패널(1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영역(SBA)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보드(21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나 SAP(Self Assembly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과 같은 저저항(低抵抗)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의 제1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보드(210)는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단단하여 잘 구부러지지 않는 강성 인쇄 회로 보드(Rigid 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강성 인쇄 회로 보드와 연성 인쇄 회로 보드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220)는 표시 패널(100)의 서브 영역(SB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20)는 제어 신호들과 전원 전압들을 인가 받을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회로 보드(210)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센싱 전극층의 일부의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열되는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구동부(230)는 제3 표시 영역(DA3)의 일부 및 제1 표시 영역(DA1)과 중첩되는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일부의 센싱 전극들 각각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센싱 전극들의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센싱 전극들 각각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따라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프로세서(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는 터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가 발생한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는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터치는 사람의 손가락 또는 펜 등의 물체가 센싱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근접 터치는 호버링(Hovering)과 같이, 사람의 손가락 또는 펜 등의 물체가 커버 윈도우 상에 근접하게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 장치(10)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화소들, 및 표시 구동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들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는 표시 구동부(220)와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구동부(220)와 전원 공급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연성 필름(2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연성 필름(250)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센싱 전극층의 다른 일부의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열되는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터치 구동부(240)는 제3 표시 영역(DA3)의 다른 일부 및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되는 센싱 전극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다른 일부의 센싱 전극들 각각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센싱 전극들의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이방성 도전 필름이나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필름(25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연성 필름일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구부러져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연성 필름(250)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베이스 부재(SUB1), 표시층(DPL), 센싱 전극층(SEL), 편광 필름(PF), 및 패널 하부 부재(PLM)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 및 강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메인 영역(M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복수의 화소의 발광 영역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및 발광 소자층을 봉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표시층(D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극층(SEL)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및 제2 센싱 전극 사이에 상호 정전 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터치 구동부(230, 240)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센싱 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을 기초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편광 필름(PF)은 센싱 전극층(S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PF)은 선 편광판 및 λ/4 판(quarter-wave plate)과 같은 위상 지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 필름 및 선 편광판은 센싱 전극층(SE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편광 필름(PF)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과 같은 투명 접착 부재에 의해 편광 필름(PF)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PLM)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PLM)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PLM)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차광 부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 및 표시 패널(1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는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차광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회로 보드(210) 또는 제1 터치 구동부(230)가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는 블랙 안료나 블랙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차광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서브 영역(SBA)은 구부러질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서브 영역(SBA)은 제1 접착 부재(291)에 의해 패널 하부 부재(PLM)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이방성 도전 필름이나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구부러질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제2 접착 부재(292)에 의해 패널 하부 부재(PLM)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착 부재(291, 292)는 압력 민감 점착제일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베이스 부재(SUB1), 표시층(DPL), 접착 부재(SEAL), 제2 베이스 부재(SUB2), 센싱 전극층(SEL), 편광 필름(PF), 및 패널 하부 부재(PLM)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SEAL)는 제1 베이스 부재(SUB1)과 제2 베이스 부재(SUB2)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SEAL)는 표시층(DPL)을 둘러싸도록 제1 베이스 부재(SUB1)과 제2 베이스 부재(SUB2)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SEAL)는 프릿(Frit) 접착층,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 경화형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베이스 부재(SUB2)은 센싱 전극층(SEL)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 부재(SUB2)는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부재(SUB2)는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베이스 부재(SUB2)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 및 강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제2 베이스 부재(SUB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센싱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극층(SEL)은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및 제2 센싱 전극 사이에 상호 정전 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터치 구동부(230, 240)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센싱 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을 기초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편광 필름(PF)은 센싱 전극층(S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PF)은 선 편광판 및 λ/4 판(quarter-wave plate)과 같은 위상 지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 필름 및 선 편광판은 센싱 전극층(SE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싱 전극층(SEL) 및 편광 필름(PF)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전극층(SEL), 위상 지연 필름, 및 선 편광판은 제2 베이스 부재(SUB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이방성 도전 필름이나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2 베이스 부재(SUB2)의 상면에 배치된 제2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구부러질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부재(SUB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250)은 제2 접착 부재(292)에 의해 패널 하부 부재(PLM)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착 부재(291, 292)는 압력 민감 점착제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표시 영역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전극층(SEL)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영역(TSA), 및 터치 센서 영역(TSA)의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주변 영역(TP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표시층(DPL)의 표시 영역(DA)에 중첩될 수 있고, 터치 주변 영역(TPA)은 표시층(DPL)의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복수의 센싱 전극(SEN)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SEN)은 물체 또는 사람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SEN)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은 제1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고, 감지 전극(RE)은 제2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은 제2 센싱 전극으로 정의되고, 감지 전극(RE)은 제1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1 구동 라인(TL1)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TP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폴딩 축의 일측에서부터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까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은 제1 구동 라인(T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은 표시 패널(100)의 일단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TL1)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과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터치 패드부(TP1)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TP1)는 회로 보드(210)를 통해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2 구동 라인(TL2)을 통해 제3 터치 패드부(TP3)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폴딩 축의 타측에서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까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은 제2 구동 라인(T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은 표시 패널(100)의 타단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구동 라인(TL2)은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과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된 제3 터치 패드부(TP3)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3 터치 패드부(TP3)는 연성 필름(250)을 통해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접속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전극들(CE)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구동 전극들(TE)은 나머지 연결 전극(CE)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두 개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전극들(CE)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전극(C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같은 층에 배치된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전극(C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의 연결부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더라도,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정전 용량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1 감지 라인(RL1)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표시 영역(DA)의 좌측에서부터 표시 영역(DA)의 우측까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은 제1 감지 라인(R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영역(DA)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은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표시 영역(DA)의 우단일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폴딩 축의 일측에서 표시 영역(DA)의 우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과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터치 패드부(TP2)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우측 및 하측을 경유하여 서브 영역(SBA)에 배치된 제2 터치 패드부(TP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또는 표시 패드부(DP)와 인접할 수 있고, 회로 보드(210)를 통해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2 감지 라인(RL2)을 통해 제4 터치 패드부(TP4)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표시 영역(DA)의 좌측에서부터 표시 영역(DA)의 우측까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은 제2 감지 라인(R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영역(DA)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은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표시 영역(DA)의 우단일 수 있다. 제2 감지 라인(RL2)은 폴딩 축의 타측에서 표시 영역(DA)의 우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과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된 제4 터치 패드부(TP4)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2 감지 라인(RL2)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우측을 경유하여 터치 주변 영역(TPA)의 상측에 배치된 제4 터치 패드부(TP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4 터치 패드부(TP4)는 제3 터치 패드부(TP3)와 인접할 수 있고, 연성 필름(250)을 통해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에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과 이격되어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패턴(DME)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에 의해 둘러싸이는 하나의 구동 전극(TE)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대략 3㎜ 내지 5㎜일 수 있다. 구동 전극(TE)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는 구동 전극(TE)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끝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구동 전극(TE)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는 구동 전극(TE)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 끝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에 의해 둘러싸이는 하나의 감지 전극(RE)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Y축 방향)의 길이 역시 대략 3㎜ 내지 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더미 패턴(DME) 각각은 마름모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더미 패턴(DME) 각각은 마름모 이외의 다른 사각형, 사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TL1)은 제1 터치 구동부(230)로부터 공급된 터치 구동 신호를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고, 제2 구동 라인(TL2)은 제2 터치 구동부(240)로부터 공급된 터치 구동 신호를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1 터치 구동부(230)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입력 받고,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2 터치 구동부(240)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터치 구동 신호의 저항-커패시턴스 지연(RC delay)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10)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와 터치 센서 영역(TSA)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폴딩 축에 따라 폴딩되는 제3 표시 영역(DA3)에 표시층(DPL) 및 센싱 전극층(SEL)을 마련함으로써, 제3 표시 영역(DA3)의 표시층(DPL)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표시 영역(DA3)의 센싱 전극층(SEL)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은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는 회로 보드(210)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는 회로 보드(210)와 접속되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된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는 복수의 제1 구동 라인(TL1)을 통해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된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접속된 복수의 제1 감지 라인(RL1)을 통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간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터치 패드 영역(TPA3) 및 제4 터치 패드 영역(TPA4)은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터치 패드 영역(TPA3)은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는 연성 필름(250)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는 복수의 제2 구동 라인(TL2)을 통해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4 터치 패드 영역(TPA4)은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는 연성 필름(250)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에 접속된 복수의 제2 감지 라인(RL2)을 통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간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금속 배선(GN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복수의 제1 구동 라인(TL1)과 접속된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제2 구동 라인(TL2)과 접속된 복수의 구동 전극(T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들(TE)과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폴딩 축과 나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 배선(GNL)은 폴딩 축과 일치하거나, 금속 배선(GNL)은 폴딩 축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배선(GNL)은 제3 표시 영역(DA)의 우측에서부터 좌측까지 연장될 수 있고, 터치 주변 영역(TPA)의 좌측과 하측을 경유하여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된 그라운드 패드부(GNP)에 접속될 수 있다. 그라운드 패드부(GNP)는 제1 터치 패드부(TP1)와 인접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그라운드 패드부(GNP)를 통해 특정 전압으로 그라운드 되거나, 접지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그라운드 또는 접지됨으로써, 금속 배선(GNL)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과 금속 배선(GNL)의 타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배선(GNL)은 금속 배선(GNL)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과 금속 배선(GNL)의 일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배선(GN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센싱 전극(SEN)에 형성되는 터치 감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터치 구동부(230, 240) 각각은 복수의 센싱 전극(SEN)에 형성되는 상호 정전 용량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내지 제4 감지 전극(RE1~RE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RE1)은 폴딩 축 또는 금속 배선(GNL)의 일측에 가장 인접할 수 있고, 제2 감지 전극(RE2)은 제1 감지 전극(RE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감지 전극(RE3)은 폴딩 축 또는 금속 배선(GNL)의 타측에 가장 인접할 수 있고, 제4 감지 전극(RE4)은 제3 감지 전극(RE3)의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금속 배선(GNL)은 제1 및 제2 감지 전극(RE1, RE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 감지 전극(RE1~RE4) 각각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전극(RE1)과 제3 감지 전극(RE3)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감지 전극(RE1)과 제2 감지 전극(RE2) 사이의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RE1)과 제3 감지 전극(RE3)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3 감지 전극(RE3)과 제4 감지 전극(RE4) 사이의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배선(GNL)이 제1 및 제2 감지 전극(RE1, RE2)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제1 내지 제4 감지 전극(RE1~RE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RE1)과 금속 배선(GNL)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는 제1 및 제2 감지 전극(RE1, RE2)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제3 감지 전극(RE3)과 금속 배선(GNL)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는 제3 및 제4 감지 전극(RE3, RE4)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전극(RE1)과 금속 배선(GNL)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와 제3 감지 전극(RE3)과 금속 배선(GNL)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의 합은 금속 배선(GNL)의 두께, 및 금속 배선(GNL)과 구동 전극들(TE) 간의 간격만큼 제1 및 제2 감지 전극(RE1, RE2) 사이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배선(GNL)과 직접 마주하는 구동 전극들(TE)을 제외하고,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축 또는 금속 배선(GN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폴딩 축 또는 금속 배선(GN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감지 전극(RE)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금속 배선(GN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표시 영역(DA1) 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구동 전극(TE)이 금속 배선(GNL)에 의해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1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A2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층 및 센싱 전극층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복수의 더미 패턴(DME), 및 금속 배선(GNL)은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갭(Gap)은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구동 전극(TE)과 더미 패턴(DME)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 전극(RE)과 더미 패턴(DM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전극들(CE)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구동 전극들(TE)은 나머지 연결 전극(CE)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두 개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전극들(CE)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연결부(RCE)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전극들(RE)의 연결부(RCE)는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의 최단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CE)은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1 부분(CEa) 및 제2 부분(CE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의 제2 부분(CEb)은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에 연결되어 타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의 제1 부분(CEa)은 감지 전극(RE)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2 부분(CEb)으로부터 절곡되어 일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일 방향(DR1)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 사이의 방향일 수 있고, 타 방향(DR2)은 일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전극(CE)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평면 상 메쉬(Mesh) 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화소 그룹(PG)의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CE) 역시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가 센싱 전극층(SEL)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각각은 일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TEa) 및 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TE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은 일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REa) 및 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RE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평면 상 메쉬 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가 아닌 전체 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ITO, IZO와 같이 광 투과도가 높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EA1)은 제1 색의 광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EA2)은 제2 색의 광 또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발광 영역(EA3)은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EA1), 제2 발광 영역(EA2), 및 제3 발광 영역(EA3) 각각은 마름모의 평면 형태 또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 각각은 사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발광 영역(EA3)의 면적이 가장 크고, 제2 발광 영역(EA2)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화소 그룹(PG)은 하나의 제1 발광 영역(EA1), 두 개의 제2 발광 영역(EA2), 및 하나의 제3 발광 영역(EA3)을 포함하여 백색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1 발광 영역(EA1)에서 방출된 광, 두 개의 제2 발광 영역(EA2)에서 방출된 광, 및 하나의 제3 발광 영역(EA3)에서 방출된 광의 조합에 의해 백색 계조가 표현될 수 있다.
제2 발광 영역(EA2)은 홀수 행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광 영역(EA2)은 홀수 행들 각각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2 발광 영역들(EA2) 중 어느 하나는 일 방향(DR1)의 장변과 타 방향(DR2)의 단변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타 방향(DR2)의 장변과 일 방향(DR1)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EA1)과 제3 발광 영역(EA3)은 짝수 행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EA1)과 제3 발광 영역(EA3)은 짝수 행들 각각에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1 베이스 부재(SUB1),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봉지층(TFEL), 및 센싱 전극층(SE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유연성이 있어 쉽게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부재(SUB1)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 및 강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제1 및 제2 버퍼층(BF1, BF2), 박막 트랜지스터(TFT), 게이트 절연막(GI), 제1 층간 절연막(ILD1), 커패시터 전극(CPE), 제2 층간 절연막(ILD2), 제1 보호층(PAS1),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및 제2 보호층(PA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층(BF1)은 제1 베이스 부재(SUB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퍼층(BF1)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BF1)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층(BF1)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광층(BML)은 제1 버퍼층(BF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BML)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광층(BML)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유기막일 수 있다.
제2 버퍼층(BF2)은 제1 버퍼층(BF1) 및 차광층(BML)을 덮을 수 있다. 제2 버퍼층(BF2)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퍼층(BF2)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퍼층(BF2)은 제1 버퍼층(BF1)에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제2 버퍼층(BF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화소 각각의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제2 버퍼층(BF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직접 접촉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E)과 마주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ACT)과 중첩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제2 층간 절연막(ILD2)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게이트 절연막(GI),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ILD1, ILD2)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게이트 절연막(GI),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ILD1, ILD2)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의 타단과 접촉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보호층(PAS1)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애노드 연결 전극(ANDE1)과 접속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층(ACT)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층(ACT) 및 제2 버퍼층(BF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반도체층(ACT)과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소스 전극(SE)이 관통하는 컨택홀 및 드레인 전극(D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ILD1)은 게이트 전극(GE)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간 절연막(ILD1)은 소스 전극(SE)이 관통하는 컨택홀 및 드레인 전극(D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층간 절연막(ILD1)의 컨택홀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컨택홀 및 제2 층간 절연막(ILD2)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 전극(CPE)은 제1 층간 절연막(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 전극(CPE)은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게이트 전극(GE)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 전극(CP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커패시터 전극(CPE) 및 제1 층간 절연막(ILD1)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소스 전극(SE)이 관통하는 컨택홀 및 드레인 전극(D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층간 절연막(ILD2)의 컨택홀은 제1 층간 절연막(ILD1)의 컨택홀 및 게이트 절연막(GI)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AS1)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제1 보호층(PA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제1 보호층(PAS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 연결 전극(ANDE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제1 보호층(PAS1)의 상부에 마련되어, 애노드 연결 전극(ANDE1) 및 제1 보호층(PAS1)을 덮을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E1)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보호층(PAS2)의 컨택홀은 제1 보호층(PAS1)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호층(PAS2)은 제1 보호층(PAS1)에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EL) 및 화소 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제1 전극(E1), 발광층(E),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2 보호층(PAS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은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 중 하나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E1)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발광층(E)은 제1 전극(E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층(E)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수광층, 전자 저지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E)이 유기 발광층에 해당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E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발광 소자(EL)의 제2 전극(E2)이 공통 전압 또는 캐소드 전압을 수신하면, 정공과 전자 각각이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E)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E)에서 서로 결합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발광층(E)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E2)은 복수의 화소 별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 화소에 공통되는 전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E2)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에서 발광층(E)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을 제외한 영역에서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복수의 발광 소자(EL) 각각의 제1 전극(E1)을 이격 및 절연시킬 수 있다.
봉지층(TFEL)은 제2 전극(E2)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발광 소자(EL)를 덮을 수 있다. 봉지층(TFEL)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하여, 발광 소자층(EML)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L)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L)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EML)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L)은 아크릴 수지(A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일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봉지층(TF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제3 버퍼층(BF3), 연결 전극(CE), 제1 절연막(SIL1),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제2 절연막(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버퍼층(BF3)은 봉지층(TF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버퍼층(BF3)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3 버퍼층(BF3)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버퍼층(BF3)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버퍼층(BF3)은 생략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3 버퍼층(BF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과 다른 층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몰리브덴(Mo),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연결 전극(CE) 및 제3 버퍼층(BF3)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SIL1)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은 제1 절연층(SI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 각각은 몰리브덴(Mo),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제1 절연층(SIL1)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제1 절연층(SIL1)에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표시 영역의 센싱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센싱 전극층(SEL)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영역(TSA), 및 터치 센서 영역(TSA)의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주변 영역(TP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표시층(DPL)의 표시 영역(DA)에 중첩될 수 있고, 터치 주변 영역(TPA)은 표시층(DPL)의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영역(TSA)은 복수의 센싱 전극(SEN)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SEN)은 물체 또는 사람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호 정전 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SEN)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은 제1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고, 감지 전극(RE)은 제2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은 제2 센싱 전극으로 정의되고, 감지 전극(RE)은 제1 센싱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1 구동 라인(TL1)을 통해 제2 터치 패드부(TP2)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표시 영역(DA)의 좌측에서부터 표시 영역(DA)의 우측까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은 제1 구동 라인(T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영역(DA)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은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표시 영역(DA)의 우단일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TL1)은 폴딩 축의 일측에서 표시 영역(DA)의 우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과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터치 패드부(TP2)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TL1)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우측 및 하측을 경유하여 서브 영역(SBA)에 배치된 제2 터치 패드부(TP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부(TP2)는 제1 터치 패드부(TP1) 또는 표시 패드부(DP)와 인접할 수 있고, 회로 보드(210)를 통해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2 구동 라인(TL2)을 통해 제4 터치 패드부(TP4)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표시 영역(DA)의 좌측에서부터 표시 영역(DA)의 우측까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은 제2 구동 라인(T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영역(DA)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은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표시 영역(DA)의 우단일 수 있다. 제2 구동 라인(TL2)은 폴딩 축의 타측에서 표시 영역(DA)의 우단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과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된 제4 터치 패드부(TP4)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라인(TL2)은 터치 주변 영역(TPA)의 우측을 경유하여 터치 주변 영역(TPA)의 상측에 배치된 제4 터치 패드부(TP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4 터치 패드부(TP4)는 제3 터치 패드부(TP3)와 인접할 수 있고, 연성 필름(250)을 통해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배치된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1 감지 라인(RL1)을 통해 제1 터치 패드부(TP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폴딩 축의 일측에서부터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까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은 제1 감지 라인(R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은 표시 패널(100)의 일단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과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터치 패드부(TP1)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부(TP1)는 회로 보드(210)를 통해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중 폴딩 축(Folding Axis)의 타측에 배치된 다른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2 감지 라인(RL2)을 통해 제3 터치 패드부(TP3)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부의 감지 전극들(RE)은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폴딩 축의 타측에서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까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은 제2 감지 라인(R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은 표시 패널(100)의 타단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감지 라인(RL2)은 제2 표시 영역(DA2)의 타단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RE)과 표시 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된 제3 터치 패드부(TP3)를 접속시킬 수 있다. 제3 터치 패드부(TP3)는 연성 필름(250)을 통해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접속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전극들(CE)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감지 전극들(RE)은 나머지 연결 전극(CE)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두 개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전극들(CE)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 전극(C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은(TE)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같은 층에 배치된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복수의 구동 전극(TE) 또는 복수의 감지 전극(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의 연결부와 연결 전극(CE)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더라도, 복수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정전 용량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에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더미 패턴(DME) 각각은 구동 전극(TE) 또는 감지 전극(RE)과 이격되어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패턴(DME)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제1 구동 라인(TL1)은 제1 터치 구동부(230)로부터 공급된 터치 구동 신호를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고, 제2 구동 라인(TL2)은 제2 터치 구동부(240)로부터 공급된 터치 구동 신호를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 중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1 터치 구동부(230)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입력 받고, 다른 일부의 구동 전극들(TE)은 제2 터치 구동부(240)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터치 구동 신호의 저항-커패시턴스 지연(RC delay)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10)는 터치 센서 영역(TSA)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와 터치 센서 영역(TSA)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폴딩 축에 따라 폴딩되는 제3 표시 영역(DA3)에 표시층(DPL) 및 센싱 전극층(SEL)을 마련함으로써, 제3 표시 영역(DA3)의 표시층(DPL)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표시 영역(DA3)의 센싱 전극층(SEL)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서브 영역(SB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 및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이방성 도전 필름 또는 SAP 등과 같은 저저항 고신뢰성 소재를 이용하여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드 영역(DPA)은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는 회로 보드(210)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패드부(DP)는 회로 보드(210)와 접속되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구동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드 영역(TPA1)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된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230)는 복수의 제1 터치 패드부(TP1)에 접속된 복수의 제1 감지 라인(RL1)을 통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간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터치 패드 영역(TPA2)은 표시 패드 영역(DPA)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는 회로 보드(210) 상에 배치된 제1 터치 구동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터치 패드부(TP2)는 복수의 제1 구동 라인(TL1)을 통해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3 터치 패드 영역(TPA3)은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는 연성 필름(250)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240)는 복수의 제3 터치 패드부(TP3)에 접속된 복수의 제2 감지 라인(RL2)을 통해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간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4 터치 패드 영역(TPA4)은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는 연성 필름(250) 상에 배치된 제2 터치 구동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터치 패드부(TP4)는 복수의 제2 구동 라인(TL2)을 통해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들(TE)에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내지 제4 구동 전극(TE1~TE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은 폴딩 축(Folding Axis)의 일측에 가장 인접할 수 있고, 제2 구동 전극(TE2)은 제1 구동 전극(TE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동 전극(TE3)은 폴딩 축의 타측에 가장 인접할 수 있고, 제4 구동 전극(TE4)은 제3 구동 전극(TE3)의 타측에 인접할 수 있다. 폴딩 축은 제1 및 제2 구동 전극(TE1, TE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 구동 전극(TE1~TE4) 각각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극(TE1)과 제3 구동 전극(TE3)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1 구동 전극(TE1)과 제2 구동 전극(TE2) 사이의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3 구동 전극(TE3) 사이의 제1 거리(d1)는 제3 구동 전극(TE3)과 제4 구동 전극(TE4) 사이의 제2 거리(d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축이 제1 및 제2 구동 전극(TE1, TE2)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제1 내지 제4 구동 전극(TE1~TE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폴딩 축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는 제1 및 제2 구동 전극(TE1, TE2)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제3 구동 전극(TE3)과 폴딩 축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는 제3 및 제4 구동 전극(TE3, TE4)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극(TE1)과 폴딩 축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와 제3 구동 전극(TE3)과 폴딩 축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의 합은 폴딩 축의 두께, 및 폴딩 축과 감지 전극들(RE) 간의 간격만큼 제1 및 제2 구동 전극(TE1, TE2) 사이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축과 직접 마주하는 감지 전극들(RE)을 제외하고,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감지 전극(RE)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동 전극(TE)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표시 영역(DA1) 또는 제2 표시 영역(DA2)의 감지 전극(RE)이 폴딩 축에 의해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 전극(TE)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감지 전극(RE)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CE)을 포함함으로써,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과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구동 전극(TE)과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A3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A4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층 및 센싱 전극층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갭(Gap)은 구동 전극(TE)과 감지 전극(RE)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구동 전극(TE)과 더미 패턴(DME)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 전극(RE)과 더미 패턴(DM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구동 전극들(TE)은 연결부(TCE)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들(TE)의 연결부(TCE)는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의 최단 거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연결 전극(C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꺾쇠 형태(“<” 또는 “>”)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 전극(CE)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복수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전극들(CE)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감지 전극들(RE)은 나머지 연결 전극(CE)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은 두 개의 연결 전극(CE)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전극들(CE)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연결 전극(CE)은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1 부분(CEa) 및 제2 부분(CE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의 제2 부분(CEb)은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일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에 연결되어 타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의 제1 부분(CEa)은 구동 전극(TE)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2 부분(CEb)으로부터 절곡되어 일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타측에 배치된 감지 전극(RE)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전극(CE)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평면 상 메쉬(Mesh) 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화소 그룹(PG)의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CE) 역시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가 센싱 전극층(SEL)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E) 각각은 일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TEa) 및 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TE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전극(RE) 각각은 일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부분(REa) 및 타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부분(RE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평면 상 메쉬 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가 아닌 전체 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구동 전극(TE), 복수의 감지 전극(RE), 및 복수의 더미 패턴(DME)은 ITO, IZO와 같이 광 투과도가 높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의 표시 장치는 도 9의 표시 장치에서 센싱 전극층(SEL)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1 베이스 부재(SUB1),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봉지층(TFEL), 및 센싱 전극층(SEL)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봉지층(TF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전극층(SEL)은 제3 버퍼층(BF3), 연결 전극(CE), 제1 절연막(SIL1),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제2 절연막(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버퍼층(BF3)은 봉지층(TFE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버퍼층(BF3)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3 버퍼층(BF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과 다른 층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감지 전극들(RE)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연결 전극(CE) 및 제3 버퍼층(BF3)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층(SIL1)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은 제1 절연층(SI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 및 감지 전극(RE)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EA1~EA3)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구동 전극(TE), 감지 전극(RE), 및 제1 절연층(SIL1)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절연 및 광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SIL2)은 제1 절연층(SIL1)에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10: 회로 보드 220: 표시 구동부
230: 제1 터치 구동부 240: 제2 터치 구동부
250: 연성 필름 SUB1: 제1 베이스 부재
DPL: 표시층 SEL: 센싱 전극층
PF: 편광 필름 PLM: 패널 하부 부재
SEAL: 접착 부재 SUB2: 제2 베이스 부재

Claims (20)

  1. 폴딩 축을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되며,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영역,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폴딩 축이 지나는 제3 표시 영역을 구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제2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구동하는 제1 터치 구동부; 및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구동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구동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구동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감지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감지 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구동 라인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구동 라인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배선은 상기 제1 패드부와 인접한 그라운드 패드부를 통해 그라운드 또는 접지되는 표시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1 감지 전극;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측에 배치된 제2 감지 전극; 및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가장 인접한 제3 감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상기 제2 감지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상기 제3 감지 전극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감지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감지 라인;
    상기 표시 영역의 일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1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1 구동 라인;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타단에 인접한 다른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과 상기 제2 패드부를 접속시키는 제2 구동 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은 상기 폴딩 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은,
    상기 폴딩 축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1 구동 전극;
    상기 제1 구동 전극의 일측에 가장 인접한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폴딩 축의 타측에 가장 인접한 제3 구동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2 구동 전극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구동 전극과 상기 제3 구동 전극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표시 장치.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 및
    상기 표시층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센싱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드부에 연결되는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터치 구동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 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표시층을 덮는 제2 베이스 부재;
    상기 표시층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센싱 전극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패드부에 연결되는 회로 보드;
    상기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터치 구동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패드부에 연결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2 터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센싱 전극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복수이 제1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싱 전극과 절연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38841A 2020-03-31 2020-03-31 표시 장치 KR20210122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41A KR20210122391A (ko) 2020-03-31 2020-03-31 표시 장치
US17/099,641 US11262866B2 (en) 2020-03-31 2020-11-16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CN202110340683.5A CN113467633A (zh) 2020-03-31 2021-03-30 显示设备
US17/682,728 US11669196B2 (en) 2020-03-31 2022-02-28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41A KR20210122391A (ko) 2020-03-31 2020-03-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391A true KR20210122391A (ko) 2021-10-12

Family

ID=7785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41A KR20210122391A (ko) 2020-03-31 2020-03-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262866B2 (ko)
KR (1) KR20210122391A (ko)
CN (1) CN1134676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4943A (zh) * 2020-06-16 2020-10-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20007830A (ko) *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73302A (ko) *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21539A (zh) * 2021-09-30 2022-01-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092B2 (en) *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KR20120094984A (ko) 2011-02-18 2012-08-28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널
CN204143398U (zh) 2014-05-30 2015-02-04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触控感应模组及其显示装置
KR102283002B1 (ko) * 2015-02-16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813967B2 (ja) * 2016-06-30 2021-0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KR102600289B1 (ko) * 2016-09-21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62900B1 (ko) * 2018-02-02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장치 및 터치감지 표시장치
KR102528266B1 (ko) * 2018-11-16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9786430B (zh) * 2019-02-2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79309B (zh) * 2019-07-12 202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9196B2 (en) 2023-06-06
CN113467633A (zh) 2021-10-01
US20220179539A1 (en) 2022-06-09
US11262866B2 (en) 2022-03-01
US20210303121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2391A (ko) 표시 장치
US11237683B2 (en) Display device
KR20210111926A (ko) 표시 장치
KR20210027712A (ko) 센싱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93420A (ko) 표시 장치
KR2023002556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KR20220039976A (ko) 표시 장치
US20240004494A1 (en) Touch detection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454270A (zh) 显示装置以及包括其的触摸输入系统
EP3940501B1 (en) Display apparatus
CN115715132A (zh) 显示装置
KR20230088528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210127831A (ko) 표시 장치
KR20210142037A (ko) 표시 장치
US11609673B1 (en) Display device
CN220962385U (zh) 触摸检测模块和显示装置
EP4216042A1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209871A1 (en) Display device and touch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1812653B2 (en) Display device
US20230240103A1 (en) Display panel
KR20220102186A (ko) 표시 장치
KR20230174330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220085093A (ko) 표시 장치
KR202300491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915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