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618A -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618A
KR20210121618A KR1020200038672A KR20200038672A KR20210121618A KR 20210121618 A KR20210121618 A KR 20210121618A KR 1020200038672 A KR1020200038672 A KR 1020200038672A KR 20200038672 A KR20200038672 A KR 20200038672A KR 20210121618 A KR20210121618 A KR 20210121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external terminal
guide serv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177B1 (ko
Inventor
최병술
방종은
Original Assignee
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SMS(Short Messge Service)를 비롯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내선단말(40)이 연결된 구내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20) 및 이와 연결된 안내서버(30) 등으로 구성되는 구내망에 외부단말(10)이 접속된 후, 특정 내선단말(40)이 지정되면, 안내서버(30)가 지정된 내선단말(40)의 DID(Direct Inward Dialing)정보 및 외부단말(10)의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정보를 활용하여 외부단말(10)로 적절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구내망 운용 주체에 의하여 외부단말(10) 사용자에게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효용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MESSAGE SERVICE METHOD USING GUIDE SERVER AND PRIVATE BRANCH EXCHANGE}
본 발명은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SMS(Short Messge Service)를 비롯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내선단말(40)이 연결된 구내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20) 및 이와 연결된 안내서버(30) 등으로 구성되는 구내망에 외부단말(10)이 접속된 후, 특정 내선단말(40)이 지정되면, 안내서버(30)가 지정된 내선단말(40)의 DID(Direct Inward Dialing)정보 및 외부단말(10)의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정보를 활용하여 외부단말(10)로 적절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다.
구내교환기(20) 적용 구내망의 운용 주체에 있어서,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경유하여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과, 구내망에 연결된 내선단말(40)간의 통신의 효율성 및 편의성은 대외 서비스 품질 확보에 있어서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 외부단말(10)의 구내망 접속이 지속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공공기관 또는 기업 등의 구내망의 경우, 민원인 또는 고객인 외부단말(10)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내선단말(40) 사용자 즉, 당해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임직원을 정확하게 특정함은 물론, 추후 진행될 수 있는 추가 통화에 대비한 연관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구내망 운용 주체 또는 그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SMS를 비롯한 메시지 서비를 활용하여 외부단말(10)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1-15838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1-15838호를 비롯한 종래의 구내망 운용 주체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당해 구내망 또는 내선단말(40)에 대한 정보를 외부단말(10)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신속성 및 편의성 등의 일부 효과는 얻을 수 있었으나, 실제 효용성은 극히 제한적인 한계가 있었다.
우선, 공개특허 제2011-15838호를 비롯한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통화가 종료된 이후, 내선단말(40)의 사용자 또는 구내망의 관리자 등이 당해 구내망과 별로도 구축된 메시지서버에 접속하여 이를 조작함으로써 홍보 문구 등이 포함된 메시지가 발송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메시지 관련 서비스의 일관성 또는 통일성을 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외부단말(10) 사용자 입장에서 유용한 정보 즉, 통화 대상 내선단말(40) 사용자 관련 정보 등에 대한 충분한 제공이 어렵고, 주로 일률적으로 사전 설정된 홍보문구 또는 대표번호 등이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내교환기(20) 및 다수의 내선단말(40)이 구성된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중망과 연결된 구내교환기(20)에는 안내서버(30)가 연결되고, 안내서버(30)에는 내선단말(40)의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가 수록된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구내교환기(20)에 접속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와,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교환기 및 안내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내교환기(20) 및 다수의 내선단말(40)이 구성된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내교환기(20)에는 안내서버(30)가 연결되되, 공중망이 안내서버(30)에 연결되고, 안내서버(30)에는 내선단말(40)의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가 수록된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안내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와,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교환기 및 안내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구내망 운용 주체에 의하여 외부단말(10) 사용자에게 메시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효용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외부단말(10)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구내망 연결 내선단말(40)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메시지 서비스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일률적인 정보 제공을 탈피하여, 외부단말(10) 사용자 또는 처리 업무에 따라 최적화된 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바, 제공되는 정보의 효용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당해 구내망 운용 주체의 대외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퀀스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전단 연결형 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3 실시예의 시퀀스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각 구성요소 및 이들 구성요소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내망을 구성하는 구내교환기(20), 안내서버(30), 다수의 내선단말(40) 및 외부단말(10) 등에 의하여 수행되며, 구내교환기(20)에는 다수의 내선단말(40)이 연결되고,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된 안내서버(30) 역시 구내교환기(20)와 연결되며, 구내교환기(20)는 외부 통신망인 공중망과 연결되어 외부단말(10)의 접속에 대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내망의 망 구성은 전통적인 PBX(Private Branch eXchange) 구내망은 물론 IP-PBX(Inte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구내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내망의 망 구성 정보기기 또는 통신규약의 차이는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실질적인 차이점을 형성하지 않는 바, 이에 대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또한, 공중망이란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중교환전화망 및 인터넷을 포함하는 공공 통신망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는 구내교환기(20)로서 IP-PBX가 적용됨에 따라 구내교환기(20)가 인터넷에 직결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인터넷 및 PSTN 겸용 IP-PBX에서와 같이 구내교환기(20)가 기존 PSTN과 인터넷 모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내교환기(20)에 연결되는 안내서버(30)는 후술할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을 수행하는 정보기기로서 인터넷과 연결되어 외부단말(10)로 SMS, LMS(Long Mess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ge Service)를 제공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내서버(30)에는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는데, 안내데이터베이스(31)는 후술할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각 내선단말(40)별로 부여된 DID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송출정보가 수록되며, 동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서버(30)와 안내데이터베이스(31)간 연결에는 안내서버(30)의 기억장치에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구축되거나 안내서버(30) 외부 또는 원격지의 스토리지에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구축되고 해당 스토리지와 안내서버(30)가 연결되는 등 다양한 형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내교환기(20) 및 다수의 내선단말(40)이 구성된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공중망과 연결된 구내교환기(20)에는 안내서버(30)가 연결되고, 안내서버(30)에는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어, 외부단말(10)과 최종적으로 통화하거나, 외부단말(10) 사용자가 통화를 희망한 내선단말(40)별로 설정된 최적의 메시지를 외부단말(10)로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내서버(30)에 연결된 안내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되는 개별 내선단말(40)의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란 각 내선단말(40) 또는 그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당해 내선단말(40)의 내선 교환 번호 또는 직통 전화번호 등의 기초적인 정보는 물론, 당해 내선단말(40) 사용자의 성명, 직함 또는 담당 업무 등 상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외부단말(10)이 통화하거나 통화를 시도한 내선단말(40) 사용자에 대하여 특화된 정보를 SMS, LMS 또는 MMS 등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일률적인 홍보성 문구 전송에 국한되었던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를 탈피하여, 외부단말(10)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메시지 서비스 기반 송출정보의 제공을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통화의 종료 이후가 아닌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통화 직전 또는 통화중에 실시함으로써, 불가피한 기술적 장애로 인한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통화 연결 실패 상황이나, 당해 내선단말(40)의 통화중 상태 또는 사용자 부재시에도 외부단말(10)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원활한 후속 통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외부단말(10)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듯, 다수의 내선단말(40)이 연결된 구내교환기(20)에 안내서버(30) 등이 연결되어 수행되는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구내교환기(20)에 접속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즉, 외부단말(10)이 도 1에서와 같이 공중교환전화망(PSTN)을 통하여 구내망에 접속하는 것으로, 이는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구내망의 대표 전화번호 또는 특정 내선번호 등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으며, 동 도면에 있어서 외부단말(10)과 구내교환기(20)간 연결이 실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외부단말(10)이 공중교환전화망을 단순 경유하여 구내교환기(20)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동 도면에 있어서 외부단말(10)과 구내교환기(20)간 연결이 가상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외부단말(10)이 공중교환전화망, 통신사서버(19) 및 인터넷을 경유하여 IP-PBX인 구내교환기(20)에 접속을 시도하는 상황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외부단말(10)의 사용자는 이러한 세부 통신 경로를 체감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세부 통신 경로에 따라 본 발명의 수행과정상 실질적이고 유의한 차이가 야기되지도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공중교환전화망(PSTN)과 인터넷을 망라하는 공중망을 경유하여 외부단말(10)이 구내교환기(20)에 접속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내교환기(20)에 연결된 다수의 내선단말(40) 중 교환원이 사용하는 단말 즉, 교환단말이 특정되지는 않으나, 이는 상담원 또는 교환원의 절대적인 배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자신이 최종적으로 통화를 희망하는 내선단말(40)을 특정하지 않고 대표번호 등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이를 전담하여 응대하는 상담원 또는 교환원을 선임하고 해당 상담원 또는 교환원이 사용하는 내선단말(40)과 외부단말(20)이 우선 연결되도록 구내교환기(20)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상담원 또는 교환원이 사용하는 내선단말(40)이 외부단말(10)과 우선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도 도 1에서와 같은 망 구성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실질적이고 유의한 변경이 초래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내선단말(40)의 거동에 있어서는 상담원 또는 교환원 등 최초 접속 전담자의 내선단말(40)과 일반 사용자의 내선단말(40)이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내망 구성상 동일한 지위가 부여된 다수의 내선단말(40) 중 상담원 또는 교환원이 사용하는 내선단말(40)이 우선 연결되어 외부단말(10) 사용자와 해당 내선단말(40) 사용자인 상담원 또는 교환원 사이의 통화가 일차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실제 통화를 희망하는 담당자를 설명하면, 상담원 또는 교환원이 해당 담당자의 내선단말(40) DID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구내망을 구성하는 임의의 내선단말(40)과 외부단말(10)이 무작위로 연결되어 외부단말(10) 사용자와 내선단말(40) 사용자간 통화가 일차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실제 통화를 희망하는 담당자를 설명하면, 우선 통화가 진행된 내선단말(40) 사용자가 해당 담당자의 내선단말(40) DID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외부단말(10)의 최초 구내망 접속에 있어서, 구내망으로 외부단말(10)의 CID정보는 물론, 도 2에서 파선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내선단말(40)을 특정하는 DID정보가 동반 입력될 수도 있는데, 이는 외부단말(10) 사용자가 실제 통화를 희망하는 담당자의 내선번호를 모르거나 오인한 상황으로서, 이 경우에도 전술한 임의의 내선단말(40)이 무작위 연결되는 상황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후술할 도 3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선분은 실선 및 파선으로 구분되어 표현되어 있는데, 실선은 전통적인 전화 통신상 소위 시그널링(Signaling)으로 분류되는 제어성(制御性) 내지 호출성(呼出性) 신호와, 음성통화를 나타내는 것이고, 파선은 TCP/IP 기반 신호 등의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구내교환기(20)로서 IP-PBX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시그널링 및 음성통화 역시 망내(網內) 영역에 따라 TCP/IP 기반 통신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첨부된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실선과 파선의 구분은 통신의 형식상 구분이 아닌, 통신의 실질적 내용에 따라 구분된다 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내선단말(40)을 호출하거나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통신으로서 전통적인 전화 통신과 동일하게 거동하는 통신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데이터 통신으로서 SMS 등 안내서버(30)가 발착점인 통신은 파선으로 표시된 것이다.
이렇듯,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구내교환기(20)에 접속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구내교환기(2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때 안내서버(30)는 전송된 CID정보를 자신의 기억장치에 저장하게 된다.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정보는 공중교환전화망(PSTN)의 운영 주체 또는 공중교환전화망 운영 주체의 위탁을 받은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로서, 외부단말(10)을 특정하는 고유정보이며, 통상 외부단말(10)의 전화번호가 CID정보로 적용된다.
이후,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구내교환기(20)의 내선단말(40) 호출은 사전 지정된 특정 내선단말(40)을 호출하거나, 또는 사전 지정된 순위에 따라 당 시점(時點)에 통화 가능한 내선단말(40)을 선택하여 호출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임의의 내선단말(40)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호출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렇듯,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를 통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의 음성통화가 진행되고, 이때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자신이 통화를 희망하는 내선단말(40)을 특정하거나, 또는 내선단말(40)의 사용자를 특정하게 되면, 외부단말(10)과의 최초 통화를 수행한 내선단말(40) 사용자가 자신의 내선단말(40)을 조작함으로써, 당해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 즉, 외부단말(10) 사용자가 실제 통화를 희망하는 내선단말(40)의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이어서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DID(Direct Inward Dialing)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선단말(40)별로 부여되는 고유정보로서 내선단말(40)을 특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상 내선 교환 번호가 적용된다.
구내교환기(20)에 의하여 목표 DID정보가 안내서버(30)로 전송되면,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외부단말(10)의 사용자가 송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본 발명의 안내서버(30)는 도 1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사서버(19)로 송출정보 및 전술한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동반 전송하는 방식으로 송출정보 송출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안내서버(30) 자체에 SMS서버 등 메시지 발송 서버 기능이 탑재되어, 필요한 거동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출정보는 DID정보에 대응되도록 안내데이터베이스(31)에 수록되는 정보로서, 각각의 내선단말(40)별로 상이한 내용이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이 통화를 시도하였거나 통화하였던 내선단말(40)의 내선 교환 번호 또는 직통 전화번호는 물론, 해당 내선단말(40) 사용자의 성명, 직급 및 담당 업무 등 상세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새로운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가 수행되며, 이로써 외부단말(10) 사용자와 새로운 내선단말(40) 즉,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통화가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 직전에,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음성통화에 앞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송출정보의 송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단말(10) 사용자는 내선단말(40) 사용자와의 통화 연결 여부와 관계 없이, 자신이 통화를 희망하였던 내선단말(40) 사용자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전술한 도 1 및 도 2 실시예와 달리, 안내서버(30)가 구내교환기(20)의 공중망측 전단(前端)에 연결되어, 공중망에서 유입되는 신호가 안내서버(30)에 우선 입력되는 전단 연결형 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내선단말(40)이 연결된 구내교환기(20)에 안내서버(30)가 연결되되, 공중망이 안내서버(30)에 연결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안내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 즉, 외부단말(10)이 본 발명 구내망으로 전화를 걸어 통화를 시도함으로 전단 연결형 실시예가 개시된다.
이어서, 안내서버(3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최초 통화가 진행된다.
여기서 내선단말(40)의 호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지정된 내선단말(40)을 호출하거나, 지정된 순위에 따라 당 시점(時點)에 통화 가능한 내선단말(40)을 호출하거나, 임의의 내선단말(40)을 무작위로 호출하는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듯, 전단 연결형 실시예에서는 공중망 신호가 안내서버(30)로 최초 유입되는 바, CID정보의 최초 추출 및 저장은 안내서버(30)에 의하여 수행되며, 구내교환기(20)는 안내서버(30)로부터 CID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외부단말(10)과의 통화를 통하여 외부단말(10) 사용자가 실제 통화를 희망하는 목표 내선단말(40)을 파악한 내선단말(40) 사용자가 내선단말(40)을 조작함에 따라,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이어서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새로운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외부단말(10)과 외부단말(10) 사용자가 통화를 희망하는 내선단말(40)간의 최종 통화 이전에, 당해 내선단말(4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간 음성통화에 앞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송출정보의 송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단말(10) 사용자는 내선단말(40) 사용자와의 통화 연결 여부와 관계 없이, 자신이 통화를 희망하였던 내선단말(40) 사용자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후속될 수 있는 추가 통화에서의 편의를 비롯한 다양한 외부단말(10) 사용자측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내망 사용자에 있어서도 대외 통화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10 : 외부단말
19 : 통신사서버
20 : 구내교환기
30 : 안내서버
31 : 안내데이터베이스
40 : 내선단말

Claims (2)

  1. 구내교환기(20) 및 다수의 내선단말(40)이 구성된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중망과 연결된 구내교환기(20)에는 안내서버(30)가 연결되고, 안내서버(30)에는 내선단말(40)의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가 수록된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구내교환기(20)에 접속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와;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교환기 및 안내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2. 구내교환기(20) 및 다수의 내선단말(40)이 구성된 구내망에 접속하는 외부단말(10)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내교환기(20)에는 안내서버(30)가 연결되되, 공중망이 안내서버(30)에 연결되고, 안내서버(30)에는 내선단말(40)의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가 수록된 안내데이터베이스(31)가 연결되어,
    외부단말(10)이 공중망을 통하여 안내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외부단말(10)의 CID정보를 추출하여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와;
    내선단말(40)이 목표 DID정보를 구내교환기(20)로 전송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를 안내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와;
    안내서버(3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로 안내데이터베이스(31)를 조회하여 목표 DID정보에 대응되는 송출정보를 인출하고, 송출정보를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외부단말(10)로 송출하는 단계와;
    구내교환기(20)가 전송된 목표 DID정보에 해당되는 내선단말(40)을 호출하여 외부단말(10)과 내선단말(40)이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교환기 및 안내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200038672A 2020-03-30 2020-03-30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36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72A KR102364177B1 (ko) 2020-03-30 2020-03-30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72A KR102364177B1 (ko) 2020-03-30 2020-03-30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18A true KR20210121618A (ko) 2021-10-08
KR102364177B1 KR102364177B1 (ko) 2022-02-17

Family

ID=7861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672A KR102364177B1 (ko) 2020-03-30 2020-03-30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475A (ko) * 2005-06-13 2006-06-13 김길수 디지털 국선과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통합 정보 제공 장치및 그 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20100126164A (ko) * 2009-05-21 2010-12-01 (주)길훈정보통신 콜센터 통화 처리 방법
KR20120060488A (ko) * 2010-12-02 2012-06-12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시스템 외부 가입자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10575A (ko) * 2017-03-29 2018-10-10 조민제 전화 통화시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475A (ko) * 2005-06-13 2006-06-13 김길수 디지털 국선과 사설교환기에 연결되는 통합 정보 제공 장치및 그 장치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20100126164A (ko) * 2009-05-21 2010-12-01 (주)길훈정보통신 콜센터 통화 처리 방법
KR20120060488A (ko) * 2010-12-02 2012-06-12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시스템 외부 가입자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10575A (ko) * 2017-03-29 2018-10-10 조민제 전화 통화시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177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9390B2 (en) Promoting use of experts to callers waiting in a hold queue
US7352848B2 (en) Personal address updates using directory assistance data
US69149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utomatic multipoint network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7215759B2 (en) Hold queue wait estimations
US20030179864A1 (en) Personal calendaring, schedules, and notification using directory data
US20010048739A1 (en) Call center system
US7965829B2 (en) Subscriber alterable call transfer service
US20090124240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necting telephone calls directly on the basis of a text query
JPH03145860A (ja) 音声データ信号転送方法とその処理システム
JPH0936963A (ja) 着信呼制御方法
DE6983652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Rufumlenkung zu einem Agentplatz
US73528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rivacy management service
JP2002237907A (ja) インターネット網上で専用電話装置を通して2者間の音声通話を可能とするインターネットip電話通信方式、また、インターネットip電話通信のための専用電話装置、インターネットip電話通信機能の基本データとなるipアドレス情報の管理方法、インターネットip電話通信専用装置と一般電話間で受発信する時の自動受発信方法、並びにインターネットip電話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9831591A (zh) 呼叫中心的呼叫方法、装置及终端
KR102364177B1 (ko) 안내서버 및 구내교환기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2097284B1 (ko) 구내교환기 및 안내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US7561564B2 (en) IP telephone
US8223939B2 (e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name assigned to a telephone number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KR200600972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669458B (zh) 一种电话号码存储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126164A (ko) 콜센터 통화 처리 방법
KR20060018155A (ko) 웹 환경을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서비스 기능 관리 시스템및 방법
JP2007159133A (ja) 電話先の特質を開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608610B2 (ja) 発呼の遠隔確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