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829A -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829A
KR20210118829A KR1020217022436A KR20217022436A KR20210118829A KR 20210118829 A KR20210118829 A KR 20210118829A KR 1020217022436 A KR1020217022436 A KR 1020217022436A KR 20217022436 A KR20217022436 A KR 20217022436A KR 20210118829 A KR20210118829 A KR 2021011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ment
housing
seconds
ingestibl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오르 벤-처르
로니 샤바트
샤이 몰나르
Original Assignee
바이브런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브런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브런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61Capsules, e.g. for swallowing or im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92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vibrations, e.g. phono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71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using a remote monitor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2Capsule shaped sensor housings, e.g. for swallowing or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53Stoma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된다. 디바이스는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포함한다. 약제 전달 구획은 포털, 약제 저장소,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될 때 이를 통한 유동을 차단하도록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될 때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이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GB 특허 출원 제1900780.6호(출원일: 2019년 1월 21일, 발명의 명칭: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로부터의 우선권을 획득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의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캡슐의 진동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이러한 전달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디바이스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portal)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및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flexible and collapsible medicament reservoir)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weight),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진동 교반 메커니즘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하우징 및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와 기능적으로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섭취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의해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의 밸브의 주기적인 전환, 및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을 유발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을 위해, 제1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medicament delivery compartment)이 제공되며, 약제 전달 구획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하고 포털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부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약제 전달 구획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제공되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약제 전달 구획의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에 상호 부착을 위해 적합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를 포함하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약제 전달 구획으로부터 약제 전달 구획을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 및 사용자의 혈류 내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 중 적어도 하나를 촉진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게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배치되는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가 하우징과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섭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진동 작동 모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하는 단계 동안,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조립체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를 포함하는, 상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약제 전달 구획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약제 전달 구획은,
포털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부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배치되는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가 하우징과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와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상기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섭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진동 작동 모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하는 단계 동안,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조립체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한다.
전술한 논의는 첨부된 도면(1 내지 7)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평면 단면도로서, 디바이스는 약제 저장소 및 밸브를 포함함;
도 3은 도 2의 디바이스의 부분 사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약제 저장소가 충만되고 밸브가 각각 폐쇄 및 개방 작동 배향에 있는 도 2의 디바이스의 부분 평면 단면도;
도 5는 약제 저장소가 비어 있고 밸브가 폐쇄 작동 배향에 있는 도 2의 디바이스의 부분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개략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로서,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에 기초한다.
사용자의 신체 내로 섭취 가능한 약제를 전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방법, 특히 진동 캡슐을 포함하는, 섭취 가능한 약제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의 원리는 도면 및 첨부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거나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사용자"는 인간과 관련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캡슐의 진동 프로토콜에 따라서 적어도 1분의 누적 기간 동안 적어도 간헐적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된 섭취 가능한 캡슐에 관련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모터 구동 편심 웨이트(motor drive eccentric weight) 또는 모터 구동 진자(motor drive pendulum)와 같은 모터 구동 교반기를 포함하는, 그 부근에 있는 요소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요소가 진동하도록 유발하는 임의의 유형의 메커니즘을 지칭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그 부근에 있는 요소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요소가 진동하도록 유발하고 특정 시간에 작동하며, 다른 시간에 그 부근에 있는 요소를 진동시키거나 또는 요소가 진동하도록 유발하지 않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지칭하며, 활성화 시간은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제어 요소 또는 다른 제어 유닛에 의해 선택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제어 요소" 및 동등한 용어 "제어기"는 캡슐의 기계적 및/또는 무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저장 매체는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유닛이 캡슐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명령어는 특정시간, 주파수, 사이클, 및/또는 특정 기간 동안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작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요소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특정 명령어의 실행을 트리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와 기능적으로 관련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편향 메커니즘"은 제2 요소의 위치가 구조 또는 디바이스의 고정 지점에 관련하여 변할 때에도 제2 요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조, 또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편향 메커니즘은 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뿐만 아니라 스프링 로딩 박편(spring loaded leaf), 플런저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진동 프로토콜"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진동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프로토콜과 관련된다. 전형적으로, 진동 프로토콜은 진동을 개시하기 위한 활성화 지연(activation delay)(예를 들어, 캡슐의 "초기" 활성화와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제1 활성화 사이의 기간), 진동률(시간당 진동 사이클의 수), 각각의 진동 사이클에 대한 진동 기간 및 휴지 기간(repose duration), 진동 주파수, 진동에 의해 발휘되는 힘의 양 등과 관련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치료 절차"는 치료 의사 또는 의료 종사자에 의해 전형적으로 정의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사용하는 치료의 파라미터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치료 절차는 특정 시간 기간 내에 복용할 캡슐의 수(예를 들어, 주당 3 캡슐, 하루 2 캡슐), 캡슐을 복용해야 하는 빈도, 캡슐을 복용해야 하는 시각, 캡슐이 음식의 유무에 관계없이 복용해야 하는지의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치료 프로토콜"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치료하는 모든 양태와 관련되며, 치료 절차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동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활성화 입력"은 제어 요소 또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제어 요소에 의해 수신된 입력과 관련되며, 이는 입력을 처리하고 및/또는 캡슐의 추가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요소 또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제어 요소가 그 자체를 활성화하도록 유발한다. 활성화 입력은 예를 들어 캡슐로 전송된 신호, 캡슐에 인가된 자기장, 캡슐에 인가된 특정 모션, 또는 원격 소스로부터 캡슐에 제공되는 다른 유형의 입력을 통해, 캡슐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특정 조건을 감지하는 센서와 같은 캡슐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소로부터, 또는 원격 제어 소스와 같은 원격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캡슐이 보관 상태에 있을 때 배터리의 수명을 보존하도록 의도된 "비작동 상태"에 있다고 한다. 비작동 상태에서, 특정 센서, 트랜시버 및/또는 타이밍 메커니즘과 같은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이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캡슐의 구성 요소는 적어도 최소의 정도로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비작동 상태에서, 진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캡슐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요소는 비활성화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캡슐의 제어 요소가 입력 및 데이터를 처리할 때 "작동 상태"에 있다고 하며, 캡슐의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하게 하거나, 또는 그 부근에 있는 요소가 진동하도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섭취 가능한 약제"는 위, 소장 및 대장 내로부터, 보다 전형적으로 위 또는 소장 내로부터 혈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가능하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부분적으로 흡수 가능한"은 위장관 내의 환경(위장관의 산, 효소 등을 포함하는)이 "부분적으로 흡수 가능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 섭취된 약제를 화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액체 섭취 가능한 약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현탁액, 기체 섭취 가능한 약제, 섭취 가능한 약제의 용액, 용해된 섭취 가능한 약제, 용융된 섭취 가능한 약제 등과 같이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임의의 투여 형태에 관련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물질 또는 약물의 상업적 명칭의 개시는 대응하는 일반적인 물질 또는 약물, 및 상업적 물질 또는 약물 내 및/또는 대응하는 일반적인 물질 또는 약물 내의 활성 성분(들)의 개시인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추정 흡수 시간(estimated absorption time)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i) 위에서 흡수되는 섭취 가능한 약제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섭취의 시간으로부터 0.5 내지 1.5 시간의 범위 내의 추정 흡수 시간을 가지며;
(ⅱ) 소장에서 흡수되는 섭취 가능한 약제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섭취의 시간으로부터 1.0 내지 5 시간 범위 내의 추정 흡수 시간을 가지며;
(ⅲ) 위와 소장 모두에서 흡수되는 섭취 가능한 약제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섭취의 시간으로부터 0.5 내지 5 시간 범위 내의 추정 흡수 시간을 가지며;
(ⅳ) 대장에서 흡수되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간은 섭취 가능한 약제의 섭취의 시간으로부터 적어도 4시간, 보다 전형적으로 4 내지 30시간, 6 내지 30시간, 6 내지 20시간, 또는 8 내 20시간의 범위 내의 추정 흡수 시간을 갖는다.
특정 섭취 가능한 약제가 혈류에 흡수되는 위장관(GI tract) 내에서의 위치는 종종 상식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특정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제조업체 및/또는 유통업체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이들에 알려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위치는 의사 및 약사를 포함하는 관련 의료 종사자, 특히 사용자의 의료 종사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실제 흡수 시간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허용된 임상 절차에 따라서 체내 또는 체외의 임상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실제 흡수는 일정 기간에 걸쳐서 달성되기 때문에, "실제 흡수 시간(actual absorption time)" 또는 "실제 흡수 시한(actual absorption time period)"은 흡수의 20% 내지 80%가 발생하는 시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부재시에, "실제 흡수 시간" 또는 "실제 흡수 시한"은 "피크" 실제 흡수 시간을 결정하고 피크 시간의 각각의 측면에 최대 1시간의 시한을 구축하는 것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탄성 도관의 회복 시간은 어떠한 유체도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없도록 탄성 도관을 조이는(pinching) 힘의 해제 시간으로부터, 도관이 유동을 차단하지 않을 때까지의 기간과 관련된다. 이것은 도관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을 때, 즉 힘이 제거되어서, 도관에 중공부가 있지만 도관이 초기 직경으로 돌아가지 않았을 때, 또는 도관이 완전히 회복되어 그 초기의 공칭 직경으로 돌아왔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Parkinsonism)"은 파킨슨병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퇴화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진행성 핵상 마비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퇴화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피질기저 퇴행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퇴화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다계통 위축증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퇴화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파킨슨-플러스 증후군(Parkinson-plus syndromes)(다계통 퇴행 장애(multiple system degeneration)로서 또한 공지됨) 또는 이와 관련된 신경퇴화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피험자가 떨림, 자세 불안정, 및 운동 불능증 또는 운동 완만증(bradykesia)과 같은 파킨슨병의 고전적인 특징 중 적어도 하나(및 전형적으로 적어도 2개 또는 3개)를 나타내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피험자가 도파민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특정 피험자가 항콜린성 치료(anticholinergic treatment)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도파민 치료가 환자 또는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은 항콜린성 치료가 환자 또는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병"(PD)은 신경 퇴행성 질환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PD는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 세포의 손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파킨슨병의 초기 징후 및 증상은 떨림(또는 전율), 움직임의 둔화, 신체 경직 및 뻣뻣함, 보행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파킨슨증의 치료" 등은 (i) 파킨슨증(예를 들어, PD)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것; (ⅱ) 파킨슨증(예를 들어, PD)의 진전을 완화시키는 것, 및 (ⅲ) 파킨슨증(예를 들어, PD)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만성 또는 급성 변비,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위 마비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위장관의 장애"라는 용어는 크론 병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만성 또는 급성 설사,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대장염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소화 불량 또는 연하 곤란(dysphagia),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히르쉬스프룽병(Hirschsprung's disease)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피험자가 삼투성 위장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특정 피험자가 대변 연화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특정 피험자가 GI 수축 유도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용어 "위장관의 장애"는 피험자가 GI 유체 흡수 유도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질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위장관 질환과 관련하여 용어 "~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특히 혈류 내로의, 위장관의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예를 들어, 리나클로티드(Linaclotide)(Linzess®))와 같은 약제의 흡수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 관리는 (i) 증가된 흡수로 인한 개선된 약제 효능; 및 (ⅱ) 증가된 약제 흡수 효능으로 인해 약제의 감소된 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파킨슨증 등에 관한 용어 "~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특히 혈류 내로의, 파킨슨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예를 들어, 레보도파(levodopa))와 같은 약제의 흡수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 관리는 (i) 증가된 흡수로 인한 개선된 약제 효능; 및 (ⅱ) 증가된 약제 흡수 효능으로 인해 약제의 감소된 투여량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102)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전달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진동 작동 모드인 시간 동안에만 트리거링되고 발생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이다. 달리 말하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실제로 진동할 때만 발생하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이러한 진동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을 포함한다. 캡슐(110)은, 길이방향 축(113)을 따라서 배열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부분으로 또한 명명된 캡슐 하우징 또는 쉘(112)을 포함한다. 제어 요소(116)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적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원(118)은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 및 제어 요소(116)에 전력을 제공한다.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은 약제 전달 구획(120)과 기능적으로 관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전달 구획(120)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과 구별되며, 도 1에 도시되고 도 2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약제 전달 구획은 중공부(122)를 획정하는 제2 하우징 부분으로 또한 명명된 중공의 약제 구획 하우징(121)을 포함한다. 중공의 구획 하우징은 포털(123)을 포함하고, 캡슐(110)의 하우징(112)에 부착된다.
약제 구획 하우징(120)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하우징(1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약제 구획 하우징(120)은 접착, 납땜, 스냅 끼워맞춤 결합 또는 나사 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부착 방법을 사용하여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하우징(11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하우징(112)은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중공의 약제 구획 하우징(121)은 중공의 약제 구획 하우징(121)에 대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상호 부착을 위한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 메커니즘의 예시적인 배열은 예를 들어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약제 전달 구획(120)은 도 6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포털(123)은 하우징(112)에 형성되고,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중공부는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부(122)에 포함된 그 외의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그 안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102)를 갖는데 적합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124)는 중공부(122) 내에 배치되고, 약제 구획 하우징(121)에 고정될 수 있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125)에 의해 압력이 지속적으로 인가된다. 가요성 및/또는 탄성 도관일 수 있는 도관(126)은 약제 저장소(124)로부터 포털(123)로 연장되어서,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는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전달된다. 전형적으로, 도관(126)은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부터의 유체가 디바이스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털(123)을 밀봉한다.
밸브는 웨이트(128), 및 전형적으로 폐쇄 작동 배향에서 웨이트(128)를 도관에 대해 편향시키고 이에 의해 도관을 조이는 것에 의해 도관(126)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도관의 회복 시간 후에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도관(126)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으로부터 웨이트(128)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인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이 하우징(112) 또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과 기능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또는 작동하지만 진동 작동 모드가 아닐 때,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은, 밸브가 폐쇄 작동 배향에 있고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없도록 도관(126)에 붙도록 웨이트(128)를 편향시킨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하우징(112)에 진동을 발휘할 때, 발휘된 진동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에 인가되고, 밸브 편향 메커니즘이 주기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의 주기적인 운동은 도관(126)으로부터 멀어지는 웨이트(128)의 대응하는 주기적인 운동을 초래하고, 이에 의해 폐쇄 작동 배향으로부터 개방 작동 배향으로 밸브를 전환하고 유체가 도관(126)을 통해 유동하게 한다.
도관(126)의 가요성 및 탄성으로 인해, 웨이트(128)가 도관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때, 도관(126)은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된다.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125)이 저장소(124)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도관(126)이 회복되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도관을 통해 포털(123)로부터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은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진동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제어된다.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전달되는 속도는 도관의 직경, 도관 벽의 두께, 도관의 회복 시간과 같은 도관(126)의 특성뿐만 아니라 밸브의 개방 및 폐쇄 작동 배향 사이의 전환 빈도와 같은 밸브의 특성에 의존한다.
웨이트(128)가 도관(126)을 향해 그리고 도관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이 개방 및 폐쇄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전환하는 빈도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 또는 하우징(112)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의 주파수뿐만 아니라 웨이트(128)의 질량 및 편향 메커니즘(129)의 스프링 상수와 같은 밸브의 특성에 의존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웨이트(128)의 질량 및 편향 메커니즘(129)의 길이 및 스프링 상수는 밸브가 기어 감속기로서 기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밸브가 폐쇄 및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전환되는 빈도(즉,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이 웨이트(128)를 도관(126)으로부터 멀어지게 끌어당기고 그런 다음 웨이트(128)을 다시 밀어서 도관(126)에 압력을 인가하는 빈도)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의 주파수보다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은 하우징(112)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은, 약제 구획 하우징(121)과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의 하우징(112) 사이의 부착이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에 인가된 진동의 주파수 또는 강도를 감쇠 또는 감소시킬 수 없으면, 그리고 약제 구획 하우징(121)에 발휘되는 진동의 주파수 및 강도가 하우징(112)에 발휘되는 진동의 주파수 및 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약제 구획 하우징(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제 약제 전달 구획(120)의 특징과 관련하여, 약제 전달 구획(120)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110)로부터 구별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구획 하우징(121)의 중공부(122)는 200㎣ 내지 800㎣, 300㎣ 내지 700㎣, 또는 400㎣ 내지 600㎣의 범위에 있는 용적을 갖는다. 하우징(112)이 약제 전달 구획(120)의 구성 요소를 수용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12)은 1000㎣ 내지 4000㎣의 범위에 있는 용적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저장소(124)는 1㎣ 내지 600㎣, 1㎣ 내지 10㎣, 5㎣ 내지 20㎣, 15㎣ 내지 50㎣, 30㎣ 내지 200㎣, 100㎣ 내지 400㎣, 또는 300㎣ 내지 600㎣의 범위에 있는 최대 용적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저장소(124)는 탄성 또는 탄성중합 특성을 가지며, 전형적으로 1 ㎬보다 작은 영률(Young's modulus)에 대해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저장소(124)는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및 P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125)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소(124)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는 압력 인가 표면에서 종결되는 저장소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저장소 스프링은 약제 구획 하우징(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125)은 1 N/m 내지 200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K)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요성 및 탄성 도관(126)은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124)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관(126)은 약제 저장소(124)와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유체가 도관(126)을 통해 유체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도관의 회복 시간은 도관이 그 공칭 직경을 회복하고, 도관이 웨이트(128)에 의해 다시 조이기 전에 도관을 통한 유체의 통과를 촉진하게 하기 위해 충분히 짧아야만 한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빈도(f)를 가질 때, 도관(126)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이 개방 및 폐쇄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전환하는 빈도(fv)를 가질 때, 도관(126)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v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관(126)의 회복 시간은 최대 0.1 초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관(126)은 0.01㎜ 내지 0.9㎜의 범위에 있는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관(126)은 3㎜ 내지 25㎜의 범위에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129)은 0.1 N/m 내지 5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웨이트(128)은 0.1 g 내지 2 g의 범위에 있는 질량을 갖는다.
특히 캡슐(110)과 관련하여, 전원(118)은 하나 이상의 알카라인 또는 산화은 배터리, 1차 배터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커패시터 및/또는 슈퍼 커패시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전원일 수 있다.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진동 작동 모드(제1 작동 모드로 명명됨), 및 휴지 작동 모드(제2 작동 모드로 명명됨)를 갖는데 적합하다. 진동 작동 모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캡슐 하우징(112)에 힘을 발휘하는데 적합하여서, 캡슐 하우징(112)은 캡슐(110) 및/또는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캡슐(110)은 제어 요소(116)가 캡슐을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활성화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비작동 상태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전원(118)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활성화 입력이 수신된 이후 경과된 기간, 또는 사용자가 캡슐(110)을 섭취한 이후 경과된 기간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특성을 추적하도록 구성된 시계, 범용 시계 또는 스톱워치와 같은 타이머 또는 타이밍 메커니즘(130)과 기능적으로 관련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캡슐(110)은 그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어떠한 센서도 없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전 결정된 지연 시간을 대기하고, 사전 결정된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1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캡슐(110)은 제어 요소(116)와 기능적으로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2)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2)는 캡슐(110) 내에 또는 캡슐(110)의 환경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감지하는데 적합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수분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2)는 캡슐(110) 또는 그 부근에서의 특정 상태를 식별하고,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어 요소(116)에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태는 사용자가 캡슐(110)을 섭취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132)는, 조명된 환경(예를 들어, 인체 외부)로부터 어두운 환경(예를 들어 인체 내)으로의 캡슐(110)의 전환을 식별하고 이러한 전환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132)는, 캡슐(110) 또는 디바이스(1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활성화 모션을 식별하고 이러한 전환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와 같은 모션 또는 가속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장 캡슐에 대한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는 가속도계의 예는 본 명세서에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10,314,514호에서 제공된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132)는, 캡슐(110) 또는 디바이스(100)에 인가된 압력을 식별하고 이러한 압력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은 사용자의 인두(pharynx)를 통해 이동하는 캡슐을 나타낸다.
추가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132)는, 주변 온도의 영역(예를 들어, 인체의 외부)으로부터 체온의 영역으로의 캡슐(110) 또는 디바이스(100)의 전환을 식별하고 이러한 전환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132)는, 건조한 영역(예를 들어, 인체의 외부)로부터 습한 영역(예를 들어 인체 내)으로의 캡슐(110) 또는 디바이스(100)의 전환을 식별하고 이러한 전환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센서(132)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캡슐(110) 내에 반드시 배치될 필요가 없고 디바이스(100) 내의 임의의 곳에, 예를 들어 약제 구획 하우징(120)의 중공부(122) 내에, 캡슐(110)의 외부에, 또는 디바이스(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 및 캡슐(1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캡슐에 하나 이상의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40)과 기능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캡슐(110)은, 제어 요소(116)와 기능적으로 관련되고 제어 유닛(140)의 입력 제공 메커니즘(142)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원격 입력 수신 메커니즘(136)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제어 명령어가 캡슐(110)에 제공된 이후 경과된 기간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특성을 추적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메커니즘(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사용자, 사용자를 치료하는 의료 전문가, 또는 사용자의 간병인과 같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키보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 수신기(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40)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은 적절하게 구성된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RF) 통신 또는 Bluetooth® 통신과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제공 메커니즘(142)으로부터 원격 입력 수신 메커니즘(136)으로 원격으로 입력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캡슐(11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캡슐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의 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10,478,373호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캡슐(110)의 제어 요소(116)에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캡슐(1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0)를 사용자가 섭취하기 전에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는데 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140)은 사용자에 의한 디바이스(100) 및 캡슐(110)의 섭취 후에 활성화 입력을 제공한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특성과 관련하여,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간헐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캡슐 하우징(112)에 적절한 힘을 인가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하우징(11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캡슐 하우징(112)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9,707,15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모터의 샤프트에 부착된 비평형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하우징(11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캡슐 하우징(112)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모터, 및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9,707,15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축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압박 메커니즘(urging mechanism)과 같은, 전기 모터와 관련되고 이에 의해 구동되는 압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박 메커니즘은 양쪽 방향으로 축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박 메커니즘은 노킹 모드(knocking mode)에서 축 방향 힘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작동 모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에 의해 캡슐 하우징(112)에 발휘되는 힘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의 반경 방향 힘과,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의 축 방향 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일 교반 메커니즘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힘 모두를 발휘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축 방향 힘은 하나의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발휘되고, 반경 방향 힘은 다른 별개의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발휘되며, 두 교반 메커니즘은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캡슐 하우징(112)에 반경 방향 힘뿐만 아니라 자기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회전자에 장착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자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16/0310357호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12)은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9,078,799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제2 부재와 관련하여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의 제1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을 초래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12)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2016년 6월 16일자 출원된 CN 특허 출원 제10599746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캡슐의 부근에서 진동을 유발하기 위해 진자를 사용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또는 어떤 때에, 제어 요소(116)는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 및/또는 사용자의 혈류 내로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을 제어하고 특히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은 도관(126)이 비교적 긴 기간 동안 개방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촉진되어, 위장관 내로의 유동성 약제의 신속한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의 유화(emulsification)를 촉진하는 진동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는 섭취 가능한 약제의 소수성 상(hydrophobic phase)이 보다 작은 기포를 형성하게 하고, 이에 의해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위한 소수성 상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진동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는 진동에 의해 촉진되어, 섭취 가능한 약제가 환경에 더욱 많이 노출되도록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또는 어떤 때에, 제어 요소(116)는 캡슐이 그 환경에 힘을 인가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을 제어하는데 적합할 수 있어서, 위장관 내에서, 위장관 벽의 기계적 자극이 실행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진동 주파수, 누적 진동 기간, 시간 단위당 진동 사이클의 수, 진동 사이클 내에서의 진동 기간의 지속시간, 진동 사이클 내에서의 휴지 기간의 지속시간, 단일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는데 적합하여서, 진동 작동 모드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하고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위장관 내로 전달되는 것이 필요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는데 적합하여서, 진동 작동 모드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102)의 추정 흡수 시한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는데 적합하여서, 진동 작동 모드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102)의 실제 흡수 시한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진동 작동 모드에서,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복수의 진동 사이클을 갖는데 적합하며, 각각의 사이클은 진동 기간, 그 후의 휴지 기간을 포함한다. 힘은 진동 기간 동안에만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에 의해 캡슐 하우징(112)에 발휘되고, 이에 따라, 캡슐 하우징(112)은 진동 기간 동안 그 환경에만 힘을 발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간당 진동 사이클의 수는 20 내지 400, 40 내지 400, 60 내지 400, 80 내지 400, 40 내지 380, 60 내지 380, 80 내지 380, 40 내지 360, 60 내지 360, 80 내지 360, 100 내지 360, 100 내지 330, 100 내지 300, 100 내지 280, 100 내지 250, 100 내지 220, 100 내지 200, 120 내지 300, 120 내지 280, 120 내지 250, 120 내지 220, 120 내지 200, 150 내지 300, 150 내지 280, 150 내지 250, 150 내지 220, 150 내지 200, 170 내지 300, 170 내지 250, 170 내지 220, 또는 170 내지 200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지 기간은 진동 기간보다 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기간은 0.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9초, 2초 내지 9초, 3초 내지 9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3초 내지 6초, 4초 내지 6초, 또는 5초 내지 6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지 기간은 1초 내지 180초, 3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50초, 5초 내지 120초, 8초 내지 100초, 8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70초, 10초 내지 6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20초, 또는 15초 내지 20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은 1.1초 내지 200초, 5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150초,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5초 내지 50초, 15초 내지 40초, 15초 내지 30초, 또는 15초 내지 25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작동 모드의 누적 기간 또는 그 동안 진동 사이클이 발생하는 누적 기간은 1시간 내지 12시간, 2시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8시간, 2시간 내지 6시간, 2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에 있다. 진동 사이클의 누적 기간은 전원(118)의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진동 모드에서 제1 기간, 예를 들어 30 분 동안 작동하고, 그런 다음 제2 기간,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임의의 진동 사이클을 가지며, 그런 다음 제3 기간, 예를 들어 2시간 동안 진동 모드에서 작동하고 진동 사이클을 가지도록 간헐적이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누적 기간은,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그 동안 진동 모드에서 작동하였으며 진동 사이클의 진동 기간 및 휴지 기간을 포함하는 진동 사이클을 포함한 모든 기간의 합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캡슐 하우징(112)에 의해 그 환경에 발휘된 순수 힘이 바람직하게 50 그램중(gf) 내지 600 gf, 5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00 gf, 150 gf 내지 500 gf, 200 gf 내지 500 gf, 또는 200 gf 내지 450 gf의 범위에 있도록, 캡슐 하우징(112)에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은 10㎐ 내지 650㎐, 15㎐ 내지 600㎐, 20㎐ 내지 550㎐, 30㎐ 내지 550㎐, 50㎐ 내지 500㎐, 70㎐ 내지 500㎐, 100㎐ 내지 500㎐, 13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캡슐 하우징(112) 진동 주파수를 달성하도록 캡슐 하우징(112)에 상기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캡슐에 적용할 수 있는 특정 주파수 및 힘 범위와 같은 캡슐의 정확한 사양은 전원(118) 및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사양에 의존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캡슐의 상이한 진동 사이클에서 캡슐에 의해, 상이한 진동 주파수가 달성될 수 있도록 및/또는 상이한 순수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특정 캡슐이 제어 요소(1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들 사이의 자연스러운 구별로 인해, 이들 사용자를 위한 개인별 최적의 치료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진동 사이클 중 적어도 일부에서, 캡슐의 활성화 파라미터가 각각의 특정 사용자를 위한 최적의 파라미터에 도달하거나 또는 근접할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서, 단일 캡슐의 상이한 진동 사이클에서 다수의 상이한 파라미터의 사용은 캡슐이 다수의 사용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제어 요소(116)는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에 의해 인가된 힘, 도달된 진동 주파수, 진동 교반 메커니즘(114)이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는 시간, 각각의 진동 사이클의 진동 기간, 각각의 진동 사이클의 휴지 기간, 진동 사이클 기간, 및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누적 진동 기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요소(116)는 디바이스(100) 및 캡슐(110)의 섭취 전에 또는 캡슐의 활성화 전에, 또는 사용자의 위장관에서의 디바이스 및 캡슐의 횡단 동안 제어 유닛(140)으로부터 원하는 진동 프로토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보는 예를 들어 단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제어 유닛(140)으로부터 제어 요소(116)로 원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보는 진동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진동 파라미터의 목록으로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보는 제1 진동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 코드로서 전송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정보는 원하는 수의 진동 사이클, 각각의 진동 사이클에서 원하는 진동 기간, 각각의 진동 사이클에서 원하는 휴지 기간, 원하는 누적 진동 기간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위에서 흡수 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소장에서 흡수 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 가능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100 Paㆍs 내지 1000 Paㆍs 범위에 있는 점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파킨슨증; 파킨슨병; 진행성 핵상 마비; 피질기저 퇴행; 다계통 위축증; 파킨슨-플러스 증후군(또한 다계통 퇴행 장애의 질환으로서 공지된); 피험자가 떨림, 자세 불안정, 및 운동 불능증 또는 운동 완만증과 같은 파킨슨병의 고전적인 특징 중 적어도 하나(및 전형적으로 적어도 2개 또는 3개)를 보이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피험자가 도파민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특정 피험자가 항콜린성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변비; 크론 병; 위 마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설사 또는 느슨한 배변; 대장염; 히르쉬스프룽병; 소화 불량; 및 연하 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레보도파; 적어도 하나의 도파민 작용제; 적어도 하나의 카테콜아민 전구체; 도파민 전구체; 적어도 하나의 도파민 전구체 작용제; (L)-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N-메틸-N-(2-프로피닐)-2-메틸-1-페닐에틸-2-아민;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제; 아포모르핀; 적어도 하나의 항콜린제; 적어도 하나의 콜린성 수용체를 길항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제; 벤제솔; 오르페나드린;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4(mGluR4)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알로스테릭 강화제; N-페닐-7-(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프로파[b]크로멘-1a-카르복사미드; 적어도 하나의 삼투제; 구연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폴리에틸렌 글리콜; 인산나트륨; MiraLAX®; 적어도 하나의 수축 자극제; 비사코딜(bisacodyl); senna; Correctol; Ducodyl; Dulcolax; Senexon; Senokot; 적어도 하나의 대변 연화제; 도쿠세이트 나트륨; Colace; 리나클로티드; 유당; 루비프로스톤; 플레카나타이드; 프루칼로프라이드(prucaltride); 로페라미드; 및 비스무트 서브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섭취 가능한 약제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것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디바이스가 약제 저장소(224) 및 밸브를 포함하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202)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200)의 평면 단면도인 도 2, 디바이스(200)의 부분 사시 단면도인 도 3, 디바이스(200)의 부분 평면 단면도로서, 약제 저장소(224)가 충만되고 밸브가 각각 폐쇄 및 개방 작동 배향에 있는 도 4a 및 도 4b, 및 디바이스(200)의 부분적인 평면 단면도로서, 약제 저장소(124)가 비어 있고 밸브는 폐쇄 작동 배향에 있는 도 5를 참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배열된 디바이스(200)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우징(212)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 요소가 도 2a 내지 도 4b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캡슐(210)이 도 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진동 교반 메커니즘, 제어 요소 및 전원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볼록한 돔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 약제 전달 구획(220)은 중공부(222)를 획정하는 약제 구획 하우징(221)에 의해 형성된다. 포털(223)이 약제 구획 하우징(221)에 형성된다. 약제 저장소(224)는 중공부(222) 내에 배치되고,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캡슐(210)을 향해 편향된다.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그 한쪽 단부에서 약제 구획 하우징(221)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에서, 약제 저장소(224)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고 거기에 압력을 인가하는 편향 플레이트(biasing plate)(225b)에서 종결되는 스프링(225a)을 포함한다. 약제 저장소(224)는 가요성이고 붕괴 가능하며,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및 PVC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및/또는 탄성 도관일 수 있는 도관(226)은 약제 저장소(224)로부터 포털(223)로 연장되고, 포털(223)로 종결되어서, 유체는 약제 저장소(224)로부터 도관(226) 및 포털(223)을 통해, 디바이스(200)를 벗어나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털(223) 내에 배치된 도관(226)의 단부는 또한 환경으로부터의 물질이 디바이스(20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털을 밀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관(226)의 단부는 포털을 밀봉하는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중공부(222) 내에 배치된 밸브(227)는 밸브 편향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하는 압축 스프링(229)에 부착된 웨이트(228)를 포함한다. 스프링(229)은 웨이트 부(228)의 원위 단부에서, 약제 구획 하우징(221)으로부터 또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의 하우징(212)으로부터 연장되는 강성 고정 선반(230)에 고정된다.
편향 스프링(229) 및 웨이트(228)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이 비작동 모드에 있거나 작동 모드에 있지만 진동하지 않을 때, 편향 스프링(229)이 도관(226)에 붙도록 웨이트(228)를 편향시키고, 그러므로 도 4a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을 폐쇄하기 위해 도관을 조이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밸브(227)의 폐쇄 작동 배향이다. 밸브(227)가 폐쇄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어떠한 유체도 도관(226)을 통해 유동할 수 없고,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약제 저장소(224)에 인가된 압력은 약제 저장소 및 도관의 내용물에 의해 이러한 압력에 저항하는 힘과 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의 진동은 고정 선반(230)을 통해 편향 스프링(229)에 또한 인가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캡슐(210)의 진동은 주기적이며, 스프링이 주기적으로 수축하고 연장되도록 한다. 스프링(229)의 수축은 웨이트(228)가 도관(226)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멀어지게 하고, 그러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226)이 그 공칭 직경을 회복하고 유체가 도관(226)을 통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밸브(227)의 개방 작동 배향이다. 밸브(227)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약제 저장소(224)에 인가된 압력은 약제(202)가 저장소(224)로부터 도관(226) 및 포털(223)을 통해 디바이스(2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한다.
사용시에, 캡슐(210)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밸브(227)는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전환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진동 시간 동안, 그리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202)는 저장소(224)로부터 디바이스(2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전달된다. 밸브(227)의 주기적인 개방 및 폐쇄 때문에, 이러한 전달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소가 비어 있고 모든 유동성 약제가 전달되었을 때까지 폭발적으로 또는 양자 역학적으로(quanta) 발생한다.
각각의 이러한 폭발적으로 전달되는 약제의 용적은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인가된 압력, 도관(226)의 회복시간, 도관의 직경, 및 밸브(227)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는 기간에 의존한다. 밸브(227)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는 기간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에 의해 발휘된 진동의 빈도뿐만 아니라, 웨이트(228)의 질량, 편향 스프링(229)의 길이 및 스프링 상수, 및 고정 선반(230)의 강성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227)는 밸브가 개방 및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는 빈도가 캡슐(210)의 진동의 주파수보다 낮도록 기어 감속기로서 기능한다.
약제 전달 구획(220)의 약제 구획 하우징(221)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의 하우징(212)에 부착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의 하우징(212)은 캡슐 하우징(212)의 길이방향 단부(254)에 인접하게 배치된 원주 방향 슬롯(250) 및 원주 방향 돌출부(252)의 형태의 제1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약제 구획 하우징(221)은 약제 구획 하우징(221)의 단부(264)에 인접하게 배치된 원주 방향 슬롯(260) 및 원주 방향 돌출부(262)의 형태의 제2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원주 방향 슬롯(260)은 치수가 캡슐(210)의 원주 돌출부(252)에 대응하고, 원주 돌출부(262)는 치수가 캡슐(210)의 원주 방향 슬롯(250)에 대응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약제 구획 하우징(220)은 슬롯(260)과 돌출부(252)의 스냅 끼워맞춤 결합과 돌출부(262)와 슬롯(250)의 스냅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나사 결합, 납땜 결합, 접착제 결합 등을 포함하는, 약제 구획 하우징(221)과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 사이의 임의의 유형의 부착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302)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300)의 개략도인 도 6을 참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배열된 디바이스(300)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중공부를 획정하는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으로 형성된 하우징(312), 및 진동 교반 메커니즘(314)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310)을 포함한다. 캡슐(310)은 또한 이들 구성 요소가 도 6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자 않았을지라도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 및 전원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310)은 또한 포털(323)이 하우징(312)의 제2 하우징 부분에 형성되도록 약제 전달 구획으로서 기능한다. 약제 저장소(324)는 캡슐(310)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고,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하우징(312)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선반(320)을 향해 편향된다.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그 한쪽 단부에서 하우징(312)의 길이방향 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에서 편향 플레이트(325b)에서 종결되는 스프링(325a)을 포함하며, 편향 플레이트는 약제 저장소(324)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고 거기에 압력을 인가한다. 약제 저장소(324)는 가요성이며 붕괴 가능하고,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및 PVC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및/또는 탄성 도관일 수 있는 도관(326)은 약제 저장소(324)로부터 포털(323)로 연장되고 포털(323)로 종결되어서, 유체는 약제 저장소(324)로부터 도관(326) 및 포털(323)을 통해 디바이스(300)를 벗어나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포털(323) 내에 배치된 도관(326)의 단부는 또한 환경으로부터의 물질이 디바이스(30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털을 밀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관(326)의 단부는 포털을 밀봉하는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314)은 하우징(312)에 고정된 편향 스프링(329)에 부착된다. 진동 교반 메커니즘(312) 및 압축 스프링(329)은 밸브 편향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하는 도 2 내지 도 5의 밸브(227)에 대해 전술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밸브를 형성한다. 스프링(229)은 웨이트(228)의 원위 단부에서, 약제 구획 하우징(221)으로부터 또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210)의 하우징(212)으로부터 연장되는 강성 고정 선반(2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밸브의 폐쇄 작동 배향에서, 편향 스프링(329)은 도관(326)에 붙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314)을 편향시키고, 그러므로 도관을 폐쇄하기 위해 도관을 조인다. 이러한 폐쇄 작동 배향에서, 어떠한 유체도 도관(326)을 통해 유동할 수 없고,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약제 저장소(324)에 인가되는 압력은 약제 저장소 및 도관의 내용물에 의해 이러한 압력에 저항하는 힘과 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진동 교반 메커니즘(314)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편향 스프링(329)은 주기적으로 수축 및 연장되어, 진동 교반 메커니즘(314)이 도관(326)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인출되거나 멀어지게 하고, 그러므로 밸브를 개방 작동 배향으로 전환하여, 도관(326)이 그 공칭 직경을 회복하게 하고 유체가 도관(326)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약제 저장소(324)에 인가되는 압력은 약제(302)가 저장소(324)로부터 도관(326) 및 포털(323)을 통해 디바이스(300)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한다.
환경으로의 유동성 약제의 전달은 도 2 내지 도 5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인 도 7을 추가로 참조한다.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및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 40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및 약제 전달 구획을 포함하는 전술한 디바이스(100, 200 또는 300)와 같은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과 약제 전달 구획은 서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는 단계 400에서 사용자에게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전에 공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2개의 분리된 부분, 즉 섭취 가능한 진동 캡슐과 약제 전달 구획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단계 400에서 디바이스를 수령한 후 단계 402를 수행한다.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조로서 구성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는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에서의 부착하는 단계는 약제 전달 구획을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에서의 부착하는 단계는 약제 전달 구획을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에서의 부착하는 단계는 스냅 끼워맞춤 결합, 나사 결합, 접착, 납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을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2에서의 부착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약제 전달 구획 상의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과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상의 제1 부착 메커니즘을 상호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 저장소 및 약제 전달 구획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갖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계 404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약제 전달 구획 내로 삽입된다. 단계 404는 약제 저장소를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로 충전하는 단계 및/또는 약제 저장소를 약제 전달 구획 또는 디바이스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4는 공장에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과 섭취 가능한 진동 캡슐을 부착하기 전에 발생한다. 단계 404에서 삽입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일 수 있다.
약제 저장소가 디바이스에 삽입되는 시기에 관계없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소는 디바이스 내에서 압력 하에 배치된다.
단계 406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약제 전달 가능한 캡슐, 및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캡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섭취되고, 사용자의 위장관을 통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단계 406에서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에 발생하는 단계 408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전달되어야 하는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또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 시한 내에 진동 작동 모드(예를 들어, 진동 모드가 개시될 때, 진동 모드의 시간 등)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흡수 시한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추정 흡수 시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실제 흡수 시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전형적으로 혈류 내로 흡수되는 위장관의 영역에 캡슐이 있을 때 진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장관의 영역은 사용자의 위, 사용자의 십이지장, 사용자의 소장, 사용자의 대장, 또는 사용자의 결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전형적으로 위 벽 및/또는 소장 벽을 통해 혈류 내로 흡수되는 섭취 가능한 약제 레바도파(levadopa)를 포함할 때, 진동 모드는 디바이스가 위와 소장을 횡단하거나 또는 횡단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은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 또는 사용자의 혈류 내로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진동 주파수, 누적 진동 기간, 시간 단위당 진동 사이클의 수, 진동 사이클 내에서 진동 기간의 지속시간, 진동 사이클 내에서의 휴지 기간의 지속시간, 단일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에서의 제어하는 단계는 진동 작동 모드가 복수의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클은 진동 기간 및 그 후의 휴지 기간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진동 기간 동안 진동을 발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지 기간은 진동 기간보다 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기간은 0.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9초, 2초 내지 9초, 3초 내지 9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3초 내지 6초, 4초 내지 6초, 또는 5초 내지 6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지 기간은 1초 내지 180초, 3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50초, 5초 내지 120초, 8초 내지 100초, 8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70초, 10초 내지 6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20초, 또는 15초 내지 20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사이클의 각각의 기간은 1.1초 내지 200초, 5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150초,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5초 내지 50초, 15초 내지 40초, 15초 내지 30초, 또는 15초 내지 25초의 범위에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에서의 제어하는 단계는 진동 작동 모드의 누적 기간이 1시간 내지 12시간, 2시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8시간, 2시간 내지 6시간, 2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에서의 제어하는 단계는, 하우징에 의해 그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이 바람직하게 50 그램중(gf) 내지 600 gf, 5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00 gf, 150 gf 내지 500 gf, 200 gf 내지 500 gf, 또는 200 gf 내지 450 gf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기 위해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08에서의 제어하는 단계는 10㎐ 내지 650㎐, 15㎐ 내지 600㎐, 20㎐ 내지 550㎐, 30㎐ 내지 550㎐, 50㎐ 내지 500㎐, 70㎐ 내지 500㎐, 100㎐ 내지 500㎐, 13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하우징 진동 주파수를 달성하도록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기 위해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캡슐을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하는 추가 단계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진동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예로서, 섭취 후에, 캡슐이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특정 또는 사전 결정된 활성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단계 412는 방법에서 생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캡슐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능동적 방식(예를 들어, 외부 제어기로부터 RF를 통한) 또는 수동적 방식(예를 들어, 센서로부터 온보드 제어기로의 신호)으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412는 예를 들어 RF를 통한 외부 제어의 경우에 단계 406에서 사용자에 의한 디바이스의 섭취 전에 또는 이러한 섭취 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412가 수행될 수 있고,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사용자가 단계 406에서 캡슐을 섭취하기 전에, 예를 들어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또는 사용자가 활성화 모션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활성화 입력 및 캡슐의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의 전환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섭취시에 또는 그 직후에, 예를 들어 캡슐의 섭취로 인한 캡슐의 환경에서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발생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계 412에서 캡슐의 전환은 캡슐이 이미 사용자의 신체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제어 모듈(140)로부터의 원격 통신에 의해 원격으로 제공되는 활성화 입력을 캡슐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제어 요소는 선택적인 단계 414에서 사용자를 위해 원하는 진동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414에서 원하는 진동 프로토콜의 프로그래밍은 예를 들어 제어 요소 내로 프로토콜을 사전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의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또는 디바이스의 제조시에 발생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계 414에서 사용자를 위해 원하는 진동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단계는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의 제어 유닛(140)과 같은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가 다음에 제공된다:
1.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진동 교반 메커니즘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하우징 및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와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디바이스.
2. 실시형태 1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하는, 디바이스.
3.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의 전환을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4.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혈류 내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5.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밸브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밸브가 기어 감속기로서 기능하여,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주파수보다 적은 빈도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6. 실시형태 5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웨이트의 질량,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길이, 및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스프링 상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실시형태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진동 주파수, 누적 진동 기간, 시간 단위당 진동 사이클의 수, 진동 사이클 내에서 진동 기간의 지속시간, 진동 사이클 내에서 휴지 기간의 지속시간, 단일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 및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분은 진동 교반 메커니즘, 전력 공급부, 및 제어 요소를 수용하는 밀봉된 하우징 부분이며;
제2 하우징 부분은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도관, 및 밸브를 수용하고;
제1 하우징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은 서로 부착되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별개의 요소이며;
밸브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제1 하우징 부분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제1 하우징 부분과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디바이스.
9. 실시형태 8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분은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상호 부착을 위한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실시형태 8 또는 실시형태 9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제1 하우징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디바이스.
11. 실시형태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스냅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 디바이스.
12. 실시형태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 디바이스.
13. 실시형태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접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 디바이스.
14. 실시형태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납땜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 디바이스.
15.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을 포함하고 단일 중공부를 획정하는 단일 하우징 요소를 형성하고, 단일 중공부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 전력 공급부, 제어 요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및 가요성 및 탄성 도관을 수용하는, 디바이스.
16. 실시형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의 중공부는 200㎣ 내지 3000㎣, 200㎣ 내지 800㎣, 100㎣ 내지 600㎣, 400㎣ 내지 1000㎣, 700㎣ 내지 1500㎣, 또는 14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용적을 갖는, 디바이스.
17. 실시형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0.5㎖ 내지 15㎖의 범위에 있는 최대 용적을 갖는, 디바이스.
18. 실시형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1 ㎬보다 작은 영률을 갖는, 디바이스.
19.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및 P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20. 실시형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압력 인가 표면에서 종결되는 저장소 스프링을 포함하고, 압력 인가 표면은 약제 저장소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는, 디바이스.
21. 실시형태 20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저장소 스프링은 제2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는, 디바이스.
22. 실시형태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1 N/m 내지 200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디바이스.
23. 실시형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관은 약제 저장소와 일체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24. 실시형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관은 약제 저장소와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25. 실시형태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0.1 초인, 디바이스.
26. 실시형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빈도(f)를 가지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인, 디바이스.
27. 실시형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개방 작동 배향으로부터 폐쇄 작동 배향으로, 그리고 다시 개방 작동 배향으로 이동하는 빈도(fv)를 가지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인, 디바이스.
28. 실시형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관은,
0.01㎜ 내지 0.9㎜의 범위에 있는 직경; 및
3㎜ 내지 25㎜의 범위에 있는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디바이스.
29. 실시형태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도관은 가요성 및 탄성 중 적어도 하나, 선택적으로 둘 모두인, 디바이스.
30. 실시형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제1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는, 디바이스.
31. 실시형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제2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는, 디바이스.
32. 실시형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0.1 N/m 내지 5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디바이스.
33. 실시형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웨이트는 0.1 g 내지 2 g의 범위에 있는 질량을 갖는, 디바이스.
34. 실시형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웨이트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5. 실시형태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은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고정 지점을 통해 밸브 편향 메커니즘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흔들림(rocking)을 유발하여,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의 주기적인 전환을 초래하는, 디바이스.
36. 실시형태 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37. 실시형태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방출되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한 및 실제 흡수 시한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38. 실시형태 1 내지 3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는데 적합한, 디바이스.
39. 실시형태 38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제어 요소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40. 실시형태 39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제1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41. 실시형태 39 또는 실시형태 40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조명된 환경으로부터 어두운 환경으로의 디바이스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2. 실시형태 39 내지 41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디바이스에 인가된 압력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압력은 사용자의 인두를 통해 이동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43. 실시형태 39 내지 4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주변 온도를 갖는 영역으로부터 체온을 갖는 영역으로의 디바이스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4. 실시형태 39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검출된 활성화 모션에 응답하여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5. 실시형태 39 내지 44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습한 환경으로의 디바이스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분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6. 실시형태 38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떨어진 제어 유닛과 기능적으로 관련되고, 제어 요소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47. 실시형태 38 내지 4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디바이스의 섭취 후에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48. 실시형태 38 내지 4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디바이스의 섭취 전에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49. 실시형태 38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요소에 의해 사용될 진동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50. 실시형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1. 실시형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2. 실시형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 “‡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3. 실시형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하우징에 발휘하도록 구성된 단일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4. 실시형태 1 내지 53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작동 모드가 복수의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데 적합하고, 각각의 사이클은 진동 기간 및 그 후의 휴지 기간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진동 기간 동안 진동을 발휘하는, 디바이스.
55. 실시형태 54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진동 기간보다 긴, 디바이스.
56. 실시형태 54 또는 실시형태 55에 있어서, 진동 기간은 0.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9초, 2초 내지 9초, 3초 내지 9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3초 내지 6초, 4초 내지 6초, 또는 5초 내지 6초의 범위에 있는, 디바이스.
57. 실시형태 54 내지 5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1초 내지 180초, 3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50초, 5초 내지 120초, 8초 내지 100초, 8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70초, 10초 내지 6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20초, 또는 15초 내지 20초의 범위에 있는, 디바이스.
58. 실시형태 54 내지 57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사이클의 각각의 기간은 1.1초 내지 200초, 5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150초,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5초 내지 50초, 15초 내지 40초, 15초 내지 30초, 또는 15초 내지 25초의 범위에 있는, 디바이스.
59. 실시형태 1 내지 58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작동 모드의 누적 기간이 1시간 내지 12시간, 2시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8시간, 2시간 내지 6시간, 2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60. 실시형태 1 내지 59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이 50 그램중(gf) 내지 600 gf, 5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00 gf, 150 gf 내지 500 gf, 200 gf 내지 500 gf, 또는 200 gf 내지 450 gf의 범위에 있도록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1. 실시형태 1 내지 6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10㎐ 내지 650㎐, 15㎐ 내지 600㎐, 20㎐ 내지 550㎐, 30㎐ 내지 550㎐, 50㎐ 내지 500㎐, 70㎐ 내지 500㎐, 100㎐ 내지 500㎐, 13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하우징 진동 주파수를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2. 실시형태 1 내지 61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약제 저장소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63. 실시형태 1 내지 62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100 Paㆍs 내지 1000 Paㆍs의 범위에 있는 점도를 갖는, 디바이스.
64. 실시형태 62 또는 실시형태 63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위에서 흡수 가능한, 디바이스.
65. 실시형태 62 내지 64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소장에서 흡수 가능한, 디바이스.
66. 실시형태 62 내지 65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파킨슨증; 파킨슨병; 진행성 핵상 마비; 피질기저 퇴행; 다계통 위축증; 파킨슨-플러스 증후군; 피험자가 떨림, 자세 불안정, 및 운동 불능증 또는 운동 완만증과 같은 파킨슨병의 고전적인 특징 중 적어도 1개,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를 보이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피험자가 도파민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특정 피험자가 항콜린성 치료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임의의 신경 퇴행성 질환; 변비; 크론병; 위 마비;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설사 또는 느슨한 배변; 대장염; 히르쉬스프룽병; 소화 불량; 및 연하 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디바이스.
67. 실시형태 62 내지 66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레보도파; 적어도 하나의 도파민 작용제; 적어도 하나의 카테콜아민 전구체; 도파민 전구체; 적어도 하나의 도파민 전구체 작용제; (L)-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N-메틸-N-(2-프로피닐)-2-메틸-1-페닐에틸-2-아민;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제; 아포모르핀; 적어도 하나의 항콜린제; 적어도 하나의 콜린성 수용체를 길항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제; 벤제솔; 오르페나드린;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4(mGluR4)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 알로스테릭 강화제; N-페닐-7-(히드록시이미노)시클로프로파[b]크로멘-1a-카르복사미드; 적어도 하나의 삼투제; 구연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폴리에틸렌 글리콜; 인산나트륨; MiraLAX®; 적어도 하나의 수축 자극제; 비사코딜(bisacodyl); senna; Correctol; Ducodyl; Dulcolax; Senexon; Senokot; 적어도 하나의 대변 연화제; 도쿠세이트 나트륨; Colace; 리나클로티드; 유당; 루비프로스톤; 플레카나타이드; 프루칼로프라이드(prucaltride); 로페라미드; 및 비스무트 서브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섭취 가능한 약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는, 디바이스.
68.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섭취를 위해, 실시형태 62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의해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의 밸브의 주기적인 전환, 및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을 유발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9. 실시형태 68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한 및 실제 흡수 시한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0.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을 위해, 제1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으로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하고 포털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부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가요성 및 탄성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요성 및 탄성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71. 실시형태 70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는 개방 작동 배향 상태에 있고,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관을 통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약제 전달 구획.
72. 실시형태 71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밸브가 기어 감속기로서 기능하여,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주파수보다 적은 빈도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설정되는, 약제 전달 구획.
73. 실시형태 72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웨이트의 질량,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길이, 및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스프링 상수를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74. 실시형태 70 내지 73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진동 가능한 캡슐의 제1 하우징 부분의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에 상호 부착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75. 실시형태 70 내지 74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제1 하우징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76. 실시형태 70 내지 7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스냅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77. 실시형태 70 내지 7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78. 실시형태 70 내지 7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접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79. 실시형태 70 내지 7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분은 납땜에 의해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80. 실시형태 70 내지 79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분에 형성된 중공부는 200㎣ 내지 3000㎣, 200㎣ 내지 800㎣, 100㎣ 내지 600㎣, 400㎣ 내지 1000㎣, 700㎣ 내지 1500㎣, 또는 14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용적을 갖는, 약제 전달 구획.
81. 실시형태 70 내지 80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1㎣ 내지 600㎣, 1㎣ 내지 10㎣, 5㎣ 내지 20㎣, 15㎣ 내지 50㎣, 30㎣ 내지 200㎣, 100㎣ 내지 400㎣, 또는 300㎣ 내지 600㎣의 범위에 있는 최대 용적을 갖는, 약제 전달 구획.
82. 실시형태 70 내지 81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1 ㎬보다 작은 영률을 갖는, 약제 전달 구획.
83. 실시형태 70 내지 82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실리콘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및 P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약제 전달 구획.
84. 실시형태 70 내지 83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압력 인가 표면에서 종결되는 저장소 스프링을 포함하며, 압력 인가 표면은 약제 저장소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는, 약제 전달 구획.
85. 실시형태 84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저장소 스프링은 제2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는, 약제 전달 구획.
86. 실시형태 70 내지 8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1N/m 내지 200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약제 전달 구획.
87. 실시형태 70 내지 86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도관은 약제 저장소와 일체로 형성되는, 약제 전달 구획.
88. 실시형태 70 내지 86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도관은 약제 저장소와 상이한 물질로 형성되는, 약제 전달 구획.
89. 실시형태 70 내지 88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0.1 초인, 약제 전달 구획.
90. 실시형태 70 내지 89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은 빈도(f)로 진동하는데 적합하고,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 인, 약제 전달 구획.
91. 실시형태 70 내지 89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이동하는 빈도(fv)를 가지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v인, 약제 전달 구획.
92. 실시형태 70 내지 91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도관은,
0.01㎜ 내지 0.9㎜의 범위에 있는 직경; 및
3㎜ 내지 25㎜의 범위에 있는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약제 전달 구획.
93. 실시형태 70 내지 92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도관은 가요성 및 탄성 중 적어도 하나, 선택적으로 둘 모두인, 약제 전달 구획.
94. 실시형태 70 내지 93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고정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95. 실시형태 70 내지 93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제2 하우징 부분에 고정되는, 약제 전달 구획.
96. 실시형태 70 내지 95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0.1 N/m 내지 5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약제 전달 구획.
97. 실시형태 70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웨이트는 0.1 g 내지 2 g의 범위에 있는 질량을 갖는, 약제 전달 구획.
98. 실시형태 70 내지 97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약제 저장소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더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99. 실시형태 70 내지 98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100 Paㆍs 내지 1000 Paㆍs의 범위에 있는 점도를 갖는, 약제 전달 구획.
100. 실시형태 98 또는 실시형태 99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위에서 흡수 가능한, 약제 전달 구획.
101. 실시형태 98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소장에서 흡수 가능한, 약제 전달 구획.
102. 실시형태 98 내지 101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실시형태 66에서 열거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
103. 실시형태 98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의 약제 전달 구획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실시형태 67에 열거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섭취 가능한 약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104. 약제 전달 구획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로서,
약제 전달 구획의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에 상호 부착을 위해 적합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를 포함하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약제 전달 구획으로부터 약제 전달 구획을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 및 사용자의 혈류 내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 중 적어도 하나를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05. 실시형태 104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진동 주파수, 누적 진동 기간, 시간 단위당 진동 사이클의 수, 진동 사이클 내에서 진동 기간의 지속시간, 진동 사이클 내에서 휴지 기간의 지속시간, 단일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06. 실시형태 104 또는 실시형태 105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07, 실시형태 105 내지 106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한 및 실제 흡수 시한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08. 실시형태 104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활성화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09. 실시형태 108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에 활성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0. 실시형태 109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조명된 환경으로부터 어두운 환경으로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1. 실시형태 109 및 110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인가된 압력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압력은 사용자의 인두를 통해 이동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나타내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2. 실시형태 109 내지 111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주변 온도를 갖는 영역으로부터 체온을 갖는 영역으로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3. 실시형태 109 내지 112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로 수행되는 검출된 활성화 모션에 응답하여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4. 실시형태 109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습한 환경으로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분 센서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5. 실시형태 108 내지 114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부터 떨어진 제어 유닛과 기능적으로 관련되고, 제어 요소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6. 실시형태 108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섭취 후에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7. 실시형태 108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섭취 전에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8. 실시형태 108 내지 117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요소에 의해 사용될 진동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19. 실시형태 104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0. 실시형태 104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1. 실시형태 104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 “‡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별개의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2. 실시형태 104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으로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고,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하우징에 발휘하도록 구성된 단일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3. 실시형태 104 내지 122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작동 모드가 복수의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데 적합하고, 각각의 사이클은 진동 기간 및 그 후의 휴지 기간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진동 기간 동안 진동을 발휘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4. 실시형태 123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진동 기간보다 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5. 실시형태 123 또는 실시형태 124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기간은 0.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9초, 2초 내지 9초, 3초 내지 9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3초 내지 6초, 4초 내지 6초, 또는 5초 내지 6초의 범위에 있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6. 실시형태 123 내지 125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1초 내지 180초, 3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50초, 5초 내지 120초, 8초 내지 100초, 8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70초, 10초 내지 6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20초, 또는 15초 내지 20초의 범위에 있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7. 실시형태 123 내지 126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복수의 사이클의 각각의 기간은 1.1초 내지 200초, 5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150초,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5초 내지 50초, 15초 내지 40초, 15초 내지 30초, 또는 15초 내지 25초의 범위에 있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8. 실시형태 104 내지 127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제어 요소는 진동 작동 모드의 누적 기간이 1시간 내지 12시간, 2시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8시간, 2시간 내지 6시간, 2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29. 실시형태 104 내지 128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이 50 그램중(gf) 내지 600 gf, 5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00 gf, 150 gf 내지 500 gf, 200 gf 내지 500 gf, 또는 200 gf 내지 450 gf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0. 실시형태 104 내지 129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10㎐ 내지 650㎐, 15㎐ 내지 600㎐, 20㎐ 내지 550㎐, 30㎐ 내지 550㎐, 50㎐ 내지 500㎐, 70㎐ 내지 500㎐, 100㎐ 내지 500㎐, 13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하우징 진동 주파수를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1. 실시형태 104 내지 130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하우징은 약제 전달 구획의 제2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2. 실시형태 104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냅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3. 실시형태 104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하우징은 나사 결합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4. 실시형태 104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하우징은 접착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5. 실시형태 104 내지 131 중 어느 하나의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있어서, 하우징은 납땜에 의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136.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게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배치되는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가 하우징과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섭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진동 작동 모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하는 단계 동안,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조립체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하는, 방법.
137. 실시형태 136의 방법에 있어서, 제공 단계는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을 포함하고 단일 중공부를 획정하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하고, 단일 중공부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 전력 공급부, 제어 요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및 도관을 수용하는, 방법.
138. 실시형태 137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방법.
139.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하우징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약제 전달 구획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약제 전달 구획은,
포털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부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배치되는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는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약제 저장소로부터 포털로 연장되고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도관에 붙도록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가 하우징과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와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상기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디바이스를 섭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섭취한 후, 진동 작동 모드에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하는 단계 동안,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밸브가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저장소로부터 도관 및 포털을 통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하는, 방법.
140. 실시형태 139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 전에, 약제 저장소를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1. 실시형태 136 내지 14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는 폐쇄 작동 배향과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밸브의 전환을 촉진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2. 실시형태 136 내지 14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혈류 내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촉진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3. 실시형태 141 또는 실시형태 142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진동 주파수, 누적 진동 기간, 시간 단위당 진동 사이클의 수, 진동 사이클 내에서 진동 기간의 지속시간, 진동 사이클 내에서 휴지 기간의 지속시간, 단일 진동 사이클의 총 기간, 및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4. 실시형태 139 내지 14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은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은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부착하는 단계는 제2 하우징 부분에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을 상호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5. 실시형태 139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하는 단계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제2 하우징 부분을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6. 실시형태 139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하는 단계는 스냅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제2 하우징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7. 실시형태 139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하는 단계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제2 하우징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8. 실시형태 139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하는 단계는 접착에 의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제2 하우징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9. 실시형태 139 내지 14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부착하는 단계는 납땜에 의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하우징에 제2 하우징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0. 실시형태 136 내지 14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1. 실시형태 136 내지 15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장관 내에서, 저장소로부터 방출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한 및 실제 흡수 시한 중 적어도 하나 내에서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2. 실시형태 136 내지 15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 전에, 제어 요소에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어하는 단계는 활성화 입력을 수신한 후에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3. 실시형태 152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4. 실시형태 153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조명된 환경으로부터 어두운 환경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5. 실시형태 153 및 15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에 인가된 압력을 나타내는 입력을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압력은 사용자의 인두를 통해 이동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방법.
156. 실시형태 153 내지 15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주변 온도를 갖는 영역으로부터 체온을 갖는 영역으로의 디바이스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7. 실시형태 153 내지 15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검출된 활성화 모션에 응답하는 입력을 가속도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8. 실시형태 153 내지 15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습한 환경으로의 디바이스의 전환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9. 실시형태 152 내지 15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어 요소와 기능적으로 관련된 제어 유닛으로부터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0. 실시형태 152 내지 15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의 섭취 후에 발생하는, 방법.
161. 실시형태 152 내지 16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디바이스의 섭취 전에 발생하는, 방법.
162. 실시형태 152 내지 16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제어 작동을 위하여 제어 요소에 의해 사용될 진동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3. 실시형태 136 내지 16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는 진동 작동 모드가 복수의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사이클은 진동 기간 및 그 후의 휴지 기간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진동 기간 동안 진동을 발휘하는, 방법.
164. 실시형태 163의 방법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진동 기간보다 긴, 방법.
165. 실시형태 163 또는 실시형태 164의 방법에 있어서, 진동 기간은 0.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10초, 1초 내지 9초, 2초 내지 9초, 3초 내지 9초, 3초 내지 8초, 3초 내지 7초, 3초 내지 6초, 4초 내지 6초, 또는 5초 내지 6초의 범위에 있는, 방법.
166. 실시형태 163 내지 16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휴지 기간은 1초 내지 180초, 3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80초, 5초 내지 150초, 5초 내지 120초, 8초 내지 100초, 8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70초, 10초 내지 6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0초 내지 20초, 또는 15초 내지 20초의 범위에 있는, 방법.
167. 실시형태 163 내지 16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이클의 각각의 기간은 1.1초 내지 200초, 5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200초, 10초 내지 150초,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80초, 10초 내지 50초, 10초 내지 40초, 10초 내지 30초, 15초 내지 50초, 15초 내지 40초, 15초 내지 30초, 또는 15초 내지 25초의 범위에 있는, 방법.
168. 실시형태 136 내지 16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진동 작동 모드의 누적 기간이 1시간 내지 12시간, 2시간 내지 10시간, 2시간 내지 8시간, 2시간 내지 6시간, 2시간 내지 4시간, 또는 2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에 있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9. 실시형태 136 내지 16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하우징에 의해 환경에 발휘되는 순수 힘이 50 그램중(gf) 내지 600 gf, 5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50 gf, 100 gf 내지 500 gf, 150 gf 내지 500 gf, 200 gf 내지 500 gf, 또는 200 gf 내지 450 gf의 범위에 있도록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기 위해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0. 형태 136 내지 16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10㎐ 내지 650㎐, 15㎐ 내지 600㎐, 20㎐ 내지 550㎐, 30㎐ 내지 550㎐, 50㎐ 내지 500㎐, 70㎐ 내지 500㎐, 100㎐ 내지 500㎐, 130㎐ 내지 500㎐, 또는 1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있는 하우징 진동 주파수를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에 힘을 발휘하도록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1. 실시형태 136 내지 17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100 Paㆍs 내지 1000 Paㆍs의 범위에 있는 점도를 갖는, 방법.
172. 실시형태 136 내지 17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위에서 흡수 가능한, 방법.
173. 실시형태 136 내지 17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사용자의 소장에서 흡수 가능한, 방법.
174. 실시형태 136 내지 17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실시형태 66에 열거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방법.
175. 실시형태 136 내지 17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유동성 가능한 섭취 가능한 약제는 실시형태 67에 열거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섭취 가능한 약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는, 방법.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되어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그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많은 대안,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넓은 범위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대안, 변경 및 변형을 포용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것처럼 동일한 정도로 그 전체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아울러, 본 출원에서 임의의 참조의 인용 또는 식별은 이러한 참조가 본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로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30)

  1.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1 하우징 부분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포털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이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상기 약제 저장소로부터 상기 포털로 연장되고 상기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weight),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상기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도관에 붙도록 상기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상기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도관으로부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
    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 또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상기 진동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상기 폐쇄 작동 배향과 상기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상기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와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 있고 상기 밸브가 상기 개방 작동 배향에 있을 때, 상기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저장소에 인가되는 압력은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도관 및 상기 포털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으로 유동하게 하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상기 폐쇄 작동 배향과 상기 개방 작동 배향 사이의 전환을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사용자의 혈류 내로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를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상기 밸브가 기어 감속기로서 기능하여,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주파수보다 적은 빈도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설정되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파라미터는 상기 웨이트의 질량,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길이, 및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스프링 상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 상기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어 요소를 수용하는 밀봉된 하우징 부분이며;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상기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상기 도관, 및 상기 밸브를 수용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서로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별개의 요소이며;
    상기 밸브는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이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에 의해 발휘되는 진동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에 인가되고 상기 폐쇄 작동 배향과 상기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상기 밸브를 주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분과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은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상호 부착을 위한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포털을 포함하고 단일 중공부를 획정하는 단일 하우징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단일 중공부는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 상기 전력 공급부, 상기 제어 요소,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상기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및 상기 도관을 수용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의 중공부는 200㎣ 내지 3000㎣, 200㎣ 내지 800㎣, 100㎣ 내지 600㎣, 400㎣ 내지 1000㎣, 700㎣ 내지 1500㎣, 또는 14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용적을 갖는,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는,
    0.5㎖ 내지 15㎖의 범위에 있는 최대 용적; 및
    1 ㎬보다 작은 영률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압력 인가 표면에서 종결되는 저장소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 표면은 상기 약제 저장소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며, 상기 저장소 스프링은 상기 중공의 구획 하우징에 고정되는,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은 1 N/m 내지 200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가요성 및 탄성 중 적어도 하나, 선택적으로 둘 모두인,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0.1 초인,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빈도(f)를 가지며, 상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인,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상기 개방 작동 배향으로부터 상기 폐쇄 작동 배향으로, 그리고 다시 상기 개방 작동 배향에서 이동하는 빈도(fv)를 가지며, 상기 도관의 회복 시간은 최대 1/f인,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0.01㎜ 내지 0.9㎜의 범위에 있는 직경; 및
    3㎜ 내지 25㎜의 범위에 있는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디바이스.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은 0.1 N/m 내지 5 N/m의 범위에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는, 디바이스.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0.1 g 내지 2 g의 범위에 있는 질량을 갖는, 디바이스.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의해 발휘되는 상기 진동은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고정 지점을 통해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상기 밸브 편향 메커니즘의 흔들림(rocking)을 유발하여, 상기 폐쇄 작동 배향과 상기 개방 작동 배향 사이에서 상기 밸브의 상기 주기적인 전환을 초래하는, 디바이스.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가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흡수 가능한 위장관의 영역 내에서 상기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 및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도관 및 상기 포털을 통해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방출되는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추정 흡수 시한 및 실제 흡수 시한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상기 진동 작동 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진동 작동 모드의 타이밍 또는 활성화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반경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상기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반경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은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의해 발휘되는 상기 진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축 방향 교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장소 내에 배치된 상기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는 100 Paㆍs 내지 1000 Paㆍs의 범위에 있는 점도를 갖는, 디바이스
  28.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을 위해, 제1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약제 전달 구획(medicament delivery compartment)으로서,
    상기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의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에 부착되는데 적합하고 포털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부분;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
    상기 가요성의 붕괴 가능한 약제 저장소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편향 메커니즘;
    상기 약제 저장소로부터 상기 포털로 연장되고, 상기 포털을 밀봉하는 도관; 및
    웨이트, 및 폐쇄 작동 배향에서 상기 도관을 통한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도관에 붙도록 상기 웨이트를 편향시키고, 개방 작동 배향에서 유체가 상기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웨이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밸브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약제 전달 구획.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개방 작동 배향 상태에 있고,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이 진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도관을 통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약제 전달 구획.
  30. 약제 전달 구획 내에 배치된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해 약제 전달 구획에 부착되는데 적합한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로서,
    약제 전달 구획의 대응하는 부착 메커니즘에 상호 부착을 위해 적합한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진동 작동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이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을 둘러싸는 환경에 진동을 발휘하도록 하도록 구성된 진동 교반 메커니즘;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진동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교반 메커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라미터는 약제 전달 구획으로부터 약제 전달 구획을 둘러싸는 환경으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전달, 및 사용자의 혈류 내로의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의 흡수 중 적어도 하나를 촉진하도록 설정되는, 진동 섭취 가능한 캡슐.
KR1020217022436A 2019-01-21 2020-01-21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1188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0780.6 2019-01-21
GBGB1900780.6A GB201900780D0 (en) 2019-01-21 2019-01-21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
PCT/IB2020/050433 WO2020152574A2 (en) 2019-01-21 2020-01-21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829A true KR20210118829A (ko) 2021-10-01

Family

ID=6552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436A KR20210118829A (ko) 2019-01-21 2020-01-21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20018B2 (ko)
EP (2) EP3914332B1 (ko)
JP (1) JP7341531B2 (ko)
KR (1) KR20210118829A (ko)
CN (1) CN113329784B (ko)
AU (1) AU2020210968A1 (ko)
BR (1) BR112021014230A2 (ko)
CA (1) CA3125114A1 (ko)
ES (1) ES2963123T3 (ko)
GB (1) GB201900780D0 (ko)
IL (1) IL284391A (ko)
WO (1) WO20201525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7482A1 (en) * 2021-07-29 2023-02-02 Knockeat Ltd An ingestible capsule device with one or more motion devices for gastrointestinal tract st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5235A (en) 1967-12-04 1969-12-23 Ronald Felson Capsule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he digestive tract
US4239040A (en) * 1976-10-19 1980-12-16 Kabushiki Kaisha Daini Seikosha Capsule for medical use
JPS57163309A (en) * 1981-04-01 1982-10-07 Olympus Optical Co Ltd Capsule apparatus for medical use
US5170801A (en) 1990-10-02 1992-12-15 Glaxo Inc. Medical capsule device actuated by radio-frequency (rf) signal
US8636648B2 (en) 1999-03-01 2014-01-28 West View Research, Llc Endoscopic smart probe
JP2001062397A (ja) 1999-08-25 2001-03-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振動発生器
GB9930000D0 (en) 1999-12-21 2000-02-09 Phaeton Research Ltd An ingestible device
EP1304959A1 (en) 2000-07-24 2003-05-02 Motorola, Inc. Ingestible electronic capsule
JP4744026B2 (ja) 2001-07-30 2011-08-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内視鏡およ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JP2003118140A (ja) 2001-10-16 2003-04-23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減圧包装品およびその減圧包装方法
KR100482275B1 (ko) 2002-08-09 2005-04-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 캡슐형 로봇
US6776165B2 (en) 2002-09-12 2004-08-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gnetic navigation system for diagnosis, biopsy and drug delivery vehicles
JP2004222998A (ja) 2003-01-23 2004-08-12 Olympus Corp 超音波診断用カプセル
US20040267240A1 (en) 2003-01-29 2004-12-30 Yossi Gross Active drug deliver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RU2334506C2 (ru) * 2003-01-29 2008-09-27 И-Пилл Фарма Лтд. Активная доставка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м тракте
US20050058701A1 (en) 2003-01-29 2005-03-17 Yossi Gross Active drug deliver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JP4503930B2 (ja) 2003-01-30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装置
US7623904B2 (en) 2003-08-06 2009-11-24 Olympus Corporation Medical apparatus, medical apparatus guide system, capsule type medical apparatus, and capsule type medical apparatus guide apparatus
JP4137740B2 (ja) 2003-08-06 2008-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及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誘導システム
KR20140134338A (ko) 2003-09-11 2014-11-21 테라노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분석물의 모니터링 및 약물 전달을 위한 의료 기기
US20070015952A1 (en) 2003-09-26 2007-01-18 Chang T D Urinary frequency and urgency treatment device
US8021356B2 (en) 2003-09-29 2011-09-20 Olympus Corporation Capsul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medication administration method using capsul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capsul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US8306592B2 (en) 2003-12-19 2012-11-06 Olympus Corporation Capsule medical device
EP1789128B1 (en) 2004-08-27 2018-05-09 STOCO 10 GmbH Electronically and remotely controlled pill and system for delivering at least one medicament
EP1796776A1 (en) 2004-09-01 2007-06-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ally controlled pill and system for delivering at least one medicament
US20080188837A1 (en) * 2004-12-14 2008-08-07 Ziv Belsky Local Delivery of Drugs or Substances Using Electronic Permeability Increase
WO2006070374A2 (en) 2004-12-30 2006-07-06 Given Imag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wallowable sensing device
CN101237903A (zh) * 2005-01-18 2008-08-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所摄入胶囊通过的系统和方法
WO2006077528A2 (en) * 2005-01-18 2006-07-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ally controlled capsule
US7686788B2 (en) * 2005-03-03 2010-03-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having a distal drug delivery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6126653A1 (ja) * 2005-05-27 2006-11-30 Olympus Corporation 被検体内導入装置
US20060276729A1 (en) 2005-06-07 2006-12-07 Reed Pamela S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besity by suppressing appetite and hunger using vibration
AU2006273679B2 (en) 2005-07-26 2012-05-03 Menachem P. Weiss Extending intrabody capsule
US20070238940A1 (en) 2005-11-23 2007-10-11 Omar Amirana Vibrator pill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EP2046434B1 (en) 2006-06-23 2012-02-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cament delivery system
WO2008035329A2 (en) 2006-09-18 2008-03-27 Vibrant Ltd. Gastrointestinal capsule
CN101516257B (zh) * 2006-09-25 2012-08-1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给药器
US8852172B2 (en) 2006-11-21 2014-10-07 Medimetrics Personalized Drug Delivery Ingestible electronic capsule and in vivo drug delivery or diagnostic system
JP5697871B2 (ja) * 2006-11-21 2015-04-08 メディメトリクス ペルソナリズド ドルグ デリヴェリー ベー ヴェ 薬物送達カプセル、及び生体内での薬剤送達又は診断システム
WO2009063375A1 (en) 2007-11-13 2009-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gestible electronic capsule
DE102009009616A1 (de) 2009-02-19 2010-08-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doskopiekapsel mit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r Beförderung bei bewegungshemmender Randreibung
BRPI1006765A2 (pt) * 2009-04-07 2019-03-26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cápsula ingerível para a liberação de uma droga
US8721620B2 (en) * 2009-12-24 2014-05-13 Rani Therapeutics, Llc Swallowable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of drug delivery
EP3603624A1 (en) * 2009-12-24 2020-02-05 Rani Therapeutics, LLC Therapeutic agent preparations for delivery into a lumen of the intestinal tract using a swallowable drug delivery device
US8701677B2 (en) 2010-04-05 2014-04-22 Ankon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emote object
US9232909B2 (en) 2010-04-05 2016-01-12 Ankon Technologies Co., Ltd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emote object
GB201202706D0 (en) 2012-02-16 2012-04-04 Vibrant Ltd gastrointestinal capsule
CN202483565U (zh) 2012-03-09 2012-10-10 北京波特耐尔石油技术有限公司 负脉冲随钻测量仪增压短节
US20130267788A1 (en) 2012-04-04 2013-10-10 Ankon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rientation and Movement of Remote Objects
US20150380140A1 (en) 2012-04-04 2015-12-31 Ankon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rientation and movement of remote objects
CN202699138U (zh) 2012-05-10 2013-01-30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可定位胶囊内窥镜系统
CN102743175A (zh) 2012-06-30 2012-10-24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基于不少于四磁场传感器阵列平面远程定位方法及系统
CN102743174B (zh) 2012-06-30 2016-06-29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控制胶囊或探针运动的方法
CN102813515A (zh) 2012-06-30 2012-12-12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基于单磁场传感器阵列平面远程目标定位方法及系统
CN102743176A (zh) 2012-06-30 2012-10-24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基于双磁场传感器阵列平面远程目标定位方法及系统
CN202821355U (zh) 2012-08-31 2013-03-27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可控胶囊内窥镜定位天线功能服
CN202843608U (zh) 2012-09-20 2013-04-03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胶囊内窥镜无线信号蓝牙转发器系统
CN202843564U (zh) 2012-09-20 2013-04-03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三维胶囊内窥镜探测器
CN102860810B (zh) 2012-10-08 2014-10-29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医用磁性胶囊内窥镜系统
WO2014058605A1 (en) * 2012-10-09 2014-04-17 Medimetrics Personalized Drug Delivery Drug delivery capsules with external intelligence
CN202875332U (zh) 2012-10-15 2013-04-17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胶囊内窥镜探测器
CN103222842B (zh) 2013-04-18 2015-09-09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控制胶囊内窥镜在人体消化道运动的装置及方法
CN103340595B (zh) 2013-07-03 2015-08-26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一种无线胶囊内窥镜及其电源控制方法
CN203634116U (zh) 2013-10-08 2014-06-11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用于胶囊内窥镜的镜头调焦装置
EP3643355A1 (en) * 2014-06-03 2020-04-29 Pop Test Abuse Deterrent Technology LLC Drug device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0192838A (zh) 2014-09-15 2019-09-03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胶囊内窥镜在人体消化道运动的装置及方法
SI2995240T1 (sl) 2014-09-15 2019-09-30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Co., Ltd, Aparat za krmiljenje gibanja kapsularnega endoskopa v prebavnem traktu človeškega telesa
CN106137760B (zh) 2015-03-26 2019-12-13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胶囊状壳体及制备方法、具有该胶囊状壳体的胶囊内窥镜
US10517466B2 (en) 2015-03-31 2019-12-31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Ltd Capsule endoscope having a self-cleaning surfa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5877980B (zh) 2015-04-27 2019-04-19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消化道内部理疗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70854B2 (en) 2015-05-14 2018-09-11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Ltd. Auxiliary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ethod to use the same
US11116658B2 (en) 2015-06-28 2021-09-14 Oberon Sciences Ilan Ltd. Devices for gastrointestinal stimulation and uses thereof
CN104898850B (zh) 2015-06-30 2018-02-06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多台设备共享输入装置的输入切换系统及方法
US10143364B2 (en) 2015-07-23 2018-12-04 Ankon Technologies Co., Ltd Controlled image capturing method including position tracking and system used therein
CN105025245A (zh) 2015-07-24 2015-11-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24小时自助缴费厅视频语音系统
CN205108749U (zh) 2015-08-25 2016-03-30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理疗装置、及用于理疗装置的磁场配置器
CN105079970B (zh) 2015-08-25 2018-06-19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理疗装置及其控制方法、及用于理疗装置的磁场配置器
CN205913317U (zh) 2015-12-29 2017-02-01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胶囊内镜先行片
CN106923787B (zh) 2015-12-29 2023-11-24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胶囊内镜先行片及其检测方法
US10500127B2 (en) 2016-04-18 2019-12-10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Co., Ltd. Vivo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478373B2 (en) 2016-04-18 2019-11-19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Co., Ltd In vivo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5996961B (zh) 2016-04-27 2018-05-11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基于结构光的3d立体成像胶囊内窥镜系统及方法
CN106056588A (zh) 2016-05-25 2016-10-26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胶囊内窥镜图像数据去冗余方法
US10314514B2 (en) 2016-05-29 2019-06-11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capsule device
CN105942959B (zh) 2016-06-01 2018-08-24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胶囊内窥镜系统及其三维成像方法
CN205758500U (zh) 2016-06-01 2016-12-07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胶囊内窥镜系统
CN106097335B (zh) 2016-06-08 2019-01-25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消化道病灶图像识别系统及识别方法
CN105997466B (zh) 2016-06-16 2018-01-26 中南民族大学 智能型振动电子胶囊
CN105939451B (zh) 2016-06-23 2018-10-02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用于胶囊内窥镜系统的图像曝光处理系统及方法
CN106204599B (zh) 2016-07-14 2019-04-26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用于消化道内图像的自动分段系统和方法
CN106215195B (zh) 2016-07-27 2019-09-17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消化道动力检测胶囊及其制备方法
CN205928774U (zh) 2016-08-12 2017-02-08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自动拆卸胶囊内窥镜前壳的装置
CN106373137B (zh) 2016-08-24 2019-01-04 安翰光电技术(武汉)有限公司 用于胶囊内窥镜的消化道出血图像检测方法
KR20230042759A (ko) * 2016-09-09 2023-03-29 비오라 쎄라퓨틱스, 인크. 분배가능한 물질의 전달을 위한 전자기계식 섭취가능한 디바이스
CN207908510U (zh) 2016-09-21 2018-09-25 维布兰特公司 安装在抽水马桶上的传感器
US10478047B2 (en) 2016-09-23 2019-11-19 Ankon Medical Technologies (Shanghai)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capsule device
IL266022B2 (en) 2016-10-19 2023-11-01 David Kelrich Capsule with controlled release
WO2018111326A1 (en) * 2016-12-14 2018-06-21 Progenity Inc. Methods and ingestible devices for the regio-specific release of immunosuppressants at the site of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
AU2017378406A1 (en) * 2016-12-14 2019-06-13 Biora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a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an immunosuppressant
CN106934799B (zh) 2017-02-24 2019-09-03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内窥镜图像辅助阅片系统及方法
CN107240091B (zh) 2017-04-21 2019-09-03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内窥镜图像预处理系统及方法
CN107174188B (zh) 2017-05-11 2023-08-04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具有导光装置的双镜头胶囊型内窥镜
CN107375951B (zh) 2017-07-27 2021-04-02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用于目标区域动力检测的标记胶囊
CN107233580B (zh) 2017-07-27 2021-03-02 上海安翰医疗技术有限公司 用于目标区域动力检测的标记胶囊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9733A1 (en) 2020-07-23
WO2020152574A2 (en) 2020-07-30
BR112021014230A2 (pt) 2021-09-28
EP3914332A4 (en) 2022-11-02
CN113329784A (zh) 2021-08-31
EP4292526A2 (en) 2023-12-20
CA3125114A1 (en) 2020-07-30
JP2022517820A (ja) 2022-03-10
EP3914332C0 (en) 2023-10-11
GB201900780D0 (en) 2019-03-06
EP3914332A2 (en) 2021-12-01
EP4292526A3 (en) 2024-03-27
ES2963123T3 (es) 2024-03-25
US11020018B2 (en) 2021-06-01
EP3914332B1 (en) 2023-10-11
JP7341531B2 (ja) 2023-09-11
CN113329784B (zh) 2023-04-25
IL284391A (en) 2021-08-31
WO2020152574A3 (en) 2020-11-12
AU2020210968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4352A1 (en) Gastrointestinal capsule
AU2023206120B2 (en) Vibrating capsule for enhancing absorption of ingested medicaments
KR20210111258A (ko)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섭취 가능한 약제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118829A (ko) 유동성의 섭취 가능한 약제를 사용자의 위장관 내로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103227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flowable ingestible medicament in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user
US20230346633A1 (en) Vibrating capsule systems and treatment methods using same
KR101999364B1 (ko) 기계식 자동 약물 투여 장치
US11638678B1 (en) Vibrating capsule system and treatment method
KR20210124972A (ko) 위장관 치료를 위한 온도 활성화 진동 캡슐
US20210023357A1 (en) Vibrating capsule for enhancing absorption of ingested medicaments
CN209236788U (zh) 一种手术医疗护理的多振动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