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308A - 트레이 - Google Patents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308A
KR20210118308A KR1020200034307A KR20200034307A KR20210118308A KR 20210118308 A KR20210118308 A KR 20210118308A KR 1020200034307 A KR1020200034307 A KR 1020200034307A KR 20200034307 A KR20200034307 A KR 20200034307A KR 20210118308 A KR20210118308 A KR 20210118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tray
space
side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영
홍남표
김홍주
송영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8308A/ko
Publication of KR2021011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트레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제1 적재 바닥 및 제1 적재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적재부, 및 제1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적재부를 포함하되, 제2 적재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적재 바닥 및 각 제2 적재 바닥과 연결된 복수의 제2 적재 측벽을 포함하고, 각 제2 적재 바닥은 제1 적재 바닥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각 제2 적재 측벽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및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가 만나서 이루는 코너 측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이 {TRAY}
본 발명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소자를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다양한 모바일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등의 포터블 전자 기기 등을 중심으로 그 적용예가 다양화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여러 제조 과정을 거치는 동안 트레이에 적재, 운반 및 보관될 수 있다. 트레이는 적재 대상이 되는 표시 장치를 적재하는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운반 중 표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의 적재 공간은 적재 대상의 표시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제공된다. 적재 대상의 표시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제공된 적재 공간에 복수의 표시 장치가 적재될 경우, 상부에 적재된 표시 장치에 의해 하부에 적재된 표시 장치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적재 대상의 표시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제공된 적재 공간에는 복수의 표시 장치가 적재되는 것이 부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적재부에 복수의 적재 대상 소자를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제1 적재 바닥 및 제1 적재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적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적재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각 제2 적재 바닥과 연결된 복수의 제2 적재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바닥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 제2 적재 측벽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만나서 이루는 코너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적재 바닥의 일단은 상기 제1 적재 측벽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바닥은 제1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부의 상기 제1 적재 바닥 및 상기 제1 적재 측벽은 제1 적재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적재부의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측벽은 제2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공간 및 상기 제2 적재 공간의 평면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기 제1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부 상부에 배치된 제3 적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재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3 적재 바닥 및 상기 각 제3 적재 바닥과 연결된 복수의 제3 적재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적재 바닥 및 상기 복수의 제3 적재 측벽은 제3 적재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적재 공간, 상기 제2 적재 공간 및 상기 제3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3 적재 공간은 상기 제2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공간에는 제1 적재 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제1 적재 바닥에 대한 상기 제2 적재 바닥의 높이는 상기 제1 적재 소자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공간에는 상기 제1 적재 소자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2 적재 소자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바닥, 상기 제1 적재 측벽, 상기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제2 적재 측벽은 동일한 물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바닥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부의 전체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는 바닥면이 제1 깊이를 갖는 제1 적재홈; 및 평면상 상기 제1 적재홈과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바닥면이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적재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적재홈의 측벽들을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제1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적재홈의 측벽들은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상기 제1 평면 형상과 크기 및 모양이 동일한 제2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 평면 형상은 상기 제1 평면 형상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은 제1 적재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각 제2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들은 제2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 공간에는 적재 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제1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상기 제2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적재 소자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내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적재 대상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의 적재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적재 대상 소자가 적재된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 적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제1 소자를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제2 소자를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트레이(TR)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소자를 적재하는 데에 사용된다. 적재 대상 소자는 예를 들어, 전자 소자나 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예로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나노 LED 표시 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전기영동 표시 장치, 전기습윤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적재 대상 소자는 트레이(TR)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운반될 수 있다. 트레이(TR)는 크기가 동일한 다른 종류의 소자를 적재 데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트레이(TR)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TR)는 상호 적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트레이(TR)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트레이(TR)의 적층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2 내지 150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적재하는 트레이(TR)의 경우, 대체로 10 내지 32개의 트레이(TR)가 적층되는 것이 공간 활용성 및 적층 구조물의 안정성 차원에서 적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적재하는 15개의 트레이(TR)가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TR)는 각 트레이(TR) 내에는 적재 대상 소자가 적재된 채로 적층될 수 있다. 트레이(TR)가 적층된 상태에서, 적재 대상 소자는 상부에 위치하는 트레이(TR)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이것은 각 트레이(TR)의 적재 공간의 높이를 적재 대상 소자의 두께보다 크도록 설계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TR)는 복수의 트레이 셀(Q) 및 테두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트레이 셀(Q)은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적재부가 구비되며, 해당 적재부에는 적재 대상 소자가 적재될 수 있다. 테두리부(100)는 트레이(TR)에서 트레이 셀(Q)을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트레이 셀(Q)의 적재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트레이(TR) 내에서 트레이 셀(Q)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트레이 셀(Q)들이 3행 3열로 배열된 트레이(TR)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트레이 셀(Q) 및 테두리부(1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트레이(TR)의 적층 구조는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수의 적재 대상 소자를 적재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각 트레이(TR)는 트레이(TR)의 외측 측면에 배치되는 스토퍼(101) 및 측면 홈(102)을 통해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되는 구조를 가져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트레이(TR)의 외측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토퍼(101)가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101)는 수평 방향(즉,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요철 구조를 갖는 홈 형태이고, 제3 방향(DR3) 일측면은 테두리부(100)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고 타측면은 테두리부(100)의 하면에 비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적층 구조의 트레이(TR)에서, 윗층 트레이(TR)의 스토퍼(101) 하면의 돌출부와 아래층 트레이(TR)의 스토퍼(101) 상면의 함몰부는 두께 방향으로 상호 체결되어 트레이(TR)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두리부(100)의 외측 측면에는 복수개의 측면 홈(102)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홈(102)은 내측 측면 방향으로 반원 형태를 갖는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 구조의 트레이(TR)에서 요철 구조를 갖는 측면 홈(102)으로 인해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수평 방향으로 트레이(TR)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TR)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데, 공정의 편리성 및 제조 원가 등을 고려하여 사출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PVC),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및/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등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나, 트레이(TR)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트레이 셀(Q)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각 트레이 셀(Q)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적재 대상 소자가 적재된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는 각 트레이 셀(Q)마다 배치되는 적재부(LS)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LS)는 적재 대상 소자(10, 20)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적재부(LS)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적재부(LS1) 및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적재부(LS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적재부(LS1)에는 제1 코너부(10a) 및 제1 에지부(10b)를 포함하는 제1 소자(10)가 적재되고, 제2 적재부(LS2)에는 제2 코너부(20a) 및 제2 에지부(20b)를 포함하는 제2 소자(20)가 적재될 수 있다. 제1 소자(10) 및 제2 소자(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적재부(LS1)는 제1 바닥부(111) 및 제1 바닥부(111)를 둘러싸는 제1 측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부(111) 및 제1 측벽(112)은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에는 제1 소자(10)가 안착될 수 있다. 제1 바닥부(111)는 제1 적재부(LS1)의 전체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벽(112)을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제1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부(111)는 제1 코너부(10a)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코너 바닥부(미도시) 및 제1 에지부(10b)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에지 바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제1 코너부(10a)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코너 측벽(미도시) 및 제1 에지부(10b)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에지 측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는 제1 코너 바닥부(미도시) 및 제1 코너 측벽(미도시)을 포함하는 제1 코너 지지부 및 제1 에지 바닥부(미도시) 및 제1 에지 측벽(미도시)을 포함하는 제1 에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재부(LS1)는 바닥면이 제1 깊이(D1)를 갖는 홈 형상을 가지며, 제1 소자(10)가 적재되면 제1 바닥부(111)는 제1 소자(10)의 저면과 접하고, 제1 측벽(112)은 제1 소자(10)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다만, 제1 소자(10)의 외측면 중 후술할 제1 코너 홈(120)과 인접하는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닥부(111)의 장변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단변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닥부(111)의 장변 및 단변이 교차하는 코너 부분은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는 제1 적재부(LS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코너 홈(120), 제1 에지부 홈(130, 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 홈(120)은 제1 적재부(LS1)의 네 코너 부분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너 홈(120)은 제1 적재부(LS1)에 제1 소자(10) 적재 시, 제1 소자(10)의 코너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1 소자(10)의 코너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각 제1 코너 홈(120)은 제1 적재부(LS1) 내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1 적재부(LS1)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제1 코너 홈(120)은 제1 코너 측벽(미도시)이 외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너 홈(120)은 제1 코너 홈 바닥부(121) 및 제1 코너 홈 측벽(1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코너 홈 바닥부(121)는 제1 바닥부(111)의 코너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코너 홈 바닥부(12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제1 코너 홈 측벽(122)은 제1 측벽(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너 홈 측벽(122)은 일측 및 타측이 제1 측벽(112)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코너 홈 측벽(12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1 코너 홈 바닥부(12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에지부 홈(130, 150)은 제1 장변 홈(130) 및 제1 단변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은 제1 적재부(LS1)의 장변 부분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은 제1 적재부(LS1)에 제1 소자(10) 적재 시, 제1 소자(10)의 장변부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1 소자(10)의 장변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 홈(130)은 제1 적재부(LS1)에 적재된 제1 소자(1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 제1 장변 홈(130)은 제1 적재부(LS1) 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1 적재부(LS1)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은 제1 장변 홈 바닥부(131) 및 제1 장변 홈 측벽(13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 바닥부(131)는 제1 바닥부(111)의 장변부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은 제1 적재부(LS1)보다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변 홈 바닥부(131)와 제1 바닥부(111)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장변 홈 바닥부(13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제1 장변 홈 측벽(132)은 제1 측벽(1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 측벽(132)은 일측 및 타측이 제1 측벽(112)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장변 홈 측벽(13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1 장변 홈 바닥부(13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100), 후술할 제2 장변 홈 바닥부(231) 또는 체결 바닥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의 제1 방향(DR1) 일측 또는 타측에는 체결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140)는 제1 적재부(LS1)의 제2 방향(DR2) 타측에 배치된 제1 장변 홈(130)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되고, 제1 적재부(LS1)의 제2 방향(DR2) 일측에 배치된 제1 장변 홈(130)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TR)를 적재 시, 상부에 적재되는 트레이(TR)와 하부에 적재되는 트레이(TR)를 체결시켜 적층된 트레이(TR) 간에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 있다.
제1 단변 홈(150)은 제1 적재부(LS1)의 단변부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변 홈(150)은 제1 적재부(LS1)에 제1 소자(10) 적재 시, 제1 소자(10)의 단변부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1 소자(10)의 단변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단변 홈(150)은 제1 소자(10)에서 돌출된 부분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변 홈(150)에는 제1 소자(10)에 부착된 이형지의 돌출부(미도시) 또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 등이 수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제1 단변 홈(150)은 제1 적재부(LS1) 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1 적재부(LS1)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변 홈(150)은 제1 단변 홈 바닥부(151) 및 제1 단변 홈 측벽(15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단변 홈 바닥부(151)는 제1 바닥부(111)의 단변부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변 홈(150)은 제1 적재부(LS1)보다 제3 방향(DR3) 타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변 홈 바닥부(151)와 제1 바닥부(111)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단변 홈 바닥부(15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바닥부(111), 제1 코너 홈 바닥부(121) 및 제1 장변 홈 바닥부(131)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단변 홈 측벽(152)은 제1 측벽(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변 홈 측벽(152)은 일측 및 타측이 제1 측벽(112)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변 홈 측벽(15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1 단변 홈 바닥부(15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100), 후술할 제2 단변 홈 바닥부(231) 또는 체결 바닥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적재부(LS1)의 상부에는 제2 적재부(LS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는 바닥면이 상술한 제1 깊이(D1)보다 작은 제2 깊이(D2)를 갖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에는 제2 소자(20)가 적재되며, 제2 소자(20)는 제1 적재부(LS1)에 적재되는 제1 소자(1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적재부(LS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바닥부(211) 및 각 제2 바닥부(211)와 연결된 복수의 제2 측벽(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부(211) 및 제2 측벽(212)은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에는 제1 소자(1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2 소자(2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측벽(212)들을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제2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평면 형상은 상술한 제1 측벽(112)을 연장하여 얻은 제1 평면 형상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며, 제1 평면 형상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의 평면 형상은 상술한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약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과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제2 바닥부(211)는 제1 바닥부(11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닥부(111)는 제1 평면 상에 위치하고, 제2 바닥부(211)는 상기 제1 평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평면 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상호 평행할 수 있다. 제1 바닥부(111)에 대한 제2 바닥부(211)의 높이는 상술한 제1 소자(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2 바닥부(211)는 제1 측벽(1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닥부(211)의 일단은 제1 측벽(112)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바닥부(211)는 제1 바닥부(111)와 비중첩할 수 있다.
각 제2 측벽(212)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제2a 측벽부(212a) 및 제2b 측벽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적재부(LS2)의 형상은 제1 적재부(LS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적재부(LS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바닥부(211) 및 각 제2 바닥부(211)와 연결된 복수의 제2 측벽(21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바닥부(211) 및 복수의 제2 측벽(212)은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과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상기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평면도상 제2 적재부(LS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의 적재 공간에 대해 제1 바닥부(111)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α˚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적재부(LS2) 및 제2 적재부(LS1) 간의 이격 각도 α°는 약 10°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바닥부(211)는 제1 측벽(112) 및 제2 측벽(212)과 수직할 수 있다.
제2 바닥부(211)는 제2 소자(20)의 제2 코너부(20a)의 저면을 지지하고, 제2 측벽(212)은 제2 소자(20)의 제2 코너부(20a)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는 제2 바닥부(211) 및 제2 측벽(212)을 포함하는 제2 코너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부(211)는 제2 소자(20)를 제3 방향(DR3) 일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소자(20)는 제2 적재부(LS2)에 적재 시 제2 바닥부(211)와 중첩하는 코너부(20a) 및 제2 바닥부(211)와 중첩하지 않는 제2 에지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적재부(LS2)에 제2 소자(20)가 적재되면 제2 바닥부(211)는 제2 소자(20)의 코너부(20a)의 저면과 접하며, 제2 소자(20)의 제2 에지부(20b)의 저면은 제2 바닥부(211)와 비중첩하며 제1 소자(10)로부터 제3 방향(DR3)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자(20)의 제2 에지부(20b)는 하부에 배치된 제1 소자(10)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측벽(212)은 제2 소자(20)를 제2 적재부(LS2) 내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적재부(LS2)에 제2 소자(20)가 적재되면 제2 측벽(212)은 제2 소자(20)의 코너부(20a)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다만, 제2 소자(20)의 코너부(20a)의 외측면 중 후술할 제2 코너 홈(220)과 인접하는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닥부(111), 제1 측벽(112), 제2 바닥부(211) 및 제2 측벽(212)은 동일한 물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는 제2 적재부(LS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코너 홈(220), 제2 에지부 홈(230, 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너 홈(220)은 제2 적재부(LS2)의 네 코너 부분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너 홈(220)은 제2 적재부(LS2)에 제2 소자(20) 적재 시, 제2 소자(20)의 코너부(20a)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2 소자(20)의 코너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각 제2 코너 홈(220)은 제2 적재부(LS2) 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2 적재부(LS2)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너 홈(220)은 제2 코너 홈 바닥부(221) 및 제2 코너 홈 측벽(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코너 홈 바닥부(221)는 제2 바닥부(2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코너 홈 바닥부(22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제2 코너 홈 바닥부(221)는 제1 코너 홈 바닥부(121)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코너 홈(120)은 제2 코너 홈(220)보다 함몰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2 코너 홈 바닥부(221)와 제1 코너 홈 바닥부(121) 간에는 소정의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코너 홈 측벽(222)은 제2 측벽(2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코너 홈 측벽(222)은 일측 및 타측이 제2 측벽(212)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코너 홈 측벽(22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2 코너 홈 바닥부(22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에지부 홈(230, 250)은 제2 장변 홈(230) 및 제2 단변 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변 홈(230)은 제2 적재부(LS2)의 장변 부분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장변 홈(230)은 제2 적재부(LS2)에 제2 소자(20) 적재 시, 제2 소자(20)의 장변부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2 소자(20)의 장변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장변 홈(230)은 제2 적재부(LS2)에 적재된 제2 소자(2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 제2 장변 홈(230)은 제2 적재부(LS2) 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2 적재부(LS2)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장변 홈(230)은 제2 장변 홈 바닥부(231) 및 제2 장변 홈 측벽(23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장변 홈 바닥부(231)는 제2 바닥부(211)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장변 홈(230)은 제2 적재부(LS2)보다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장변 홈 바닥부(231)와 제2 바닥부(211)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장변 홈 바닥부(23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제2 장변 홈 바닥부(231)는 제1 장변 홈 바닥부(131)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장변 홈(130)은 제2 장변 홈(230)보다 함몰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2 장변 홈 바닥부(231)와 제1 장변 홈 바닥부(131) 간에는 소정의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장변 홈 측벽(232)은 제2 장변 홈(230)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장변 홈 측벽(232)은 제2 측벽(2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장변 홈 측벽(23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2 장변 홈 바닥부(23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변 홈(250)은 제2 적재부(LS2)의 단변부에 각각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변 홈(250)은 제2 적재부(LS2)에 제2 소자(20) 적재 시, 제2 소자(20)의 단변부로부터 이격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제2 소자(20)의 단변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단변 홈(250)은 제2 소자(20)에서 돌출된 부분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변 홈(250)에는 제2 소자(20)에 부착된 이형지의 돌출부(미도시) 또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 등이 수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제2 단변 홈(250)은 제2 적재부(LS2) 측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가지며, 제2 적재부(LS2)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변 홈(250)은 제2 단변 홈 바닥부(251) 및 제2 단변 홈 측벽(25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단변 홈 바닥부(251)는 제2 바닥부(211)의 단변부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변 홈 바닥부(251)의 평면 형상은 라운드된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상술한 제2 바닥부(211), 제2 코너 홈 바닥부(221) 및 제2 단변 홈 바닥부(251)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단변 홈 측벽(252)은 제2 측벽(212)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변 홈 측벽(252)의 제3 방향(DR3) 타측은 제2 단변 홈 바닥부(251)와 연결되고, 제3 방향(DR3) 일측은 테두리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TR) 내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적재부(LS1, LS2)는 제1 적재부(LS1) 및 제1 적재부(LS1) 상에 배치되는 제2 적재부(LS2)를 포함하여 각각에 적재 대상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TR)의 적재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 적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제1 소자를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제2 소자를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 적재 방법은 제1 적재 공간 및 제2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S11), 제1 소자를 픽업 유닛으로 픽업하여 트레이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21), 제1 소자를 제1 적재 공간에 안착시키는 단계(S31), 제2 소자를 픽업 유닛으로 픽업하여 트레이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41), 제2 소자가 제2 적재 공간에 대응되도록 픽업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S51) 및 제2 소자를 제2 적재 공간에 안착시키는 단계(S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재 공간 및 제2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트레이를 준비하는 단계(S11)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를 준비하는 단계(S11) 이후에는 제1 소자(10)를 픽업 유닛(PU)으로 픽업하여 트레이(TR)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21)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픽업 유닛(PU)은 제1 소자(10)에 접촉한 상태로 음압을 제공하여 제1 소자(10)를 흡착함으로써 픽업할 수 있다. 제1 소자(10)를 흡착하여 픽업한 픽업 유닛(PU)은 트레이(TR)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업 유닛(PU)이 제3 방향(DR3) 타측으로 하강 시 제1 소자(10)가 트레이(TR) 내 제1 적재부(LS1)에 안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픽업 유닛(PU)의 이동은 픽업 유닛(PU)이 결합된 브라켓(미도시) 및 실린더(미도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소자(10)를 픽업 유닛(PU)으로 픽업하여 트레이(TR)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21) 이후에는 제1 소자(10)를 제1 적재부(LS1)에 안착시키는 단계(S31)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소자(10)를 제1 적재부(LS1)에 안착시키는 단계(S31)는 제1 소자(10)가 제1 적재부(LS1)에 안착되도록 픽업 유닛(PU)을 제3 방향(DR3) 타측으로 수직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자(10)가 제1 적재부(LS1)에 안착되면 픽업 유닛(PU)에 제공된 음압을 제거하여 픽업 유닛(PU)으로부터 제1 소자(1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의 제1 적재부(LS1)에 제1 소자(10)를 안착시키는 단계(S31) 이후에는 제2 소자(20)를 픽업 유닛(PU)으로 픽업하여 트레이(TR)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41)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상술한 제1 소자(10)를 픽업 유닛(PU)으로 픽업하여 트레이(TR)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소자(20)를 픽업 유닛(PU)으로 픽업하여 트레이(TR) 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S41) 이후에는 제2 소자가 제2 적재 공간에 대응되도록 픽업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S51)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소자(20)를 흡착한 픽업 유닛(PU)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하강 시 제2 소자(20)가 트레이(TR) 내 제2 적재부(LS2)에 안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2 소자가 제2 적재 공간에 대응되도록 픽업 유닛을 회전시키는 단계(S51) 이후에는 제2 소자를 제2 적재 공간에 안착시키는 단계(S61)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소자(20)를 제2 적재부(LS2)에 안착시키는 단계(S61)는 상술한 제1 소자(10)를 제1 적재부(LS1)에 안착시키는 단계(S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트레이(TR)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_1)는 제2 적재부(LS2_1)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적재부(LS3_1)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_1)에서 제3 적재부(LS3_1)와 제2 적재부(LS2_1)와의 관계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에서 제2 적재부(LS2)와 제1 적재부(LS1)와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적재부(LS2_1) 상부에는 제3 적재부(LS3_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1)에는 제3 소자(미도시)가 적재되며, 제3 소자(미도시)는 제1 적재부(LS1_1) 및 제2 적재부(LS2_1)에 적재되는 제1 소자(10_1) 및 제2 소자(20_1)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적재부(LS3_1)의 형상은 제1 적재부(LS1_1) 및 제2 적재부(LS2_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1)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3 바닥부(311_1) 및 각 제3 바닥부(311_1)와 연결된 복수의 제3 측벽(312_1)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바닥부(311_1) 및 복수의 제3 측벽(312_1)은 제3 적재부(LS3_1)의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1)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_1)의 적재 공간 및 제2 적재부(LS2_1)의 적재 공간과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1)의 적재 공간은 상기 제2 적재부(LS2_1)의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평면도상 제3 적재부(LS3_1)의 적재 공간은 제2 적재부(LS2_1)의 적재 공간에 대해 제1 바닥부(111_1)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α˚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적재부(LS2_1) 및 제3 적재부(LS3_1) 간의 이격 각도 α°는 약 10°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TR_1) 내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적재부(LS1_1, LS2_1, LS3_1)는 제1 적재부(LS1_1), 제1 적재부(LS1_1) 상에 배치되는 제2 적재부(LS2_1) 및 제2 적재부(LS2_1) 상에 배치되는 제3 적재부(LS3_1)를 포함하여 각각에 적재 대상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TR_1)의 적재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사항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_2)는 제3 적재부(LS3_2)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_2)에서 제3 적재부(LS3_2)와 제2 적재부(LS2_2)와의 관계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에서 제2 적재부(LS2)와 제1 적재부(LS1)와의 관계와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제2 적재부(LS2_2) 상에는 제3 적재부(LS3_2)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2)에는 제3 소자(미도시)가 적재되며, 제3 소자(미도시)는 제1 적재부(LS1_2) 및 제2 적재부(LS2_2)에 적재되는 제1 소자(10_2) 및 제2 소자(20_2)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적재부(LS3_2)의 형상은 제1 적재부(LS1_2) 및 제2 적재부(LS2_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3 바닥부(311_2) 및 각 제3 바닥부(311_2)와 연결된 복수의 제3 측벽(312_2)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바닥부(311_2) 및 복수의 제3 측벽(312_2)은 제3 적재부(LS3_2)의 적재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_2)의 적재 공간 및 제2 적재부(LS2_2)의 적재 공간과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2)의 적재 공간은 상기 제2 적재부(LS2_2)의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평면도상 제3 적재부(LS3_2)의 적재 공간은 제1 적재부(LS1_2)의 적재 공간에 대해 제1 바닥부(111_2)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α˚만큼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적재부(LS2_2) 및 제3 적재부(LS3_2) 간의 이격 각도 α˚는 약 10°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TR_2) 내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적재부(LS1_2, LS2_2, LS3_2)은 제1 적재부(LS1_2), 제1 적재부(LS1_2) 상에 배치되는 제2 적재부(LS2_2) 및 제2 적재부(LS2_2) 상에 배치되는 제3 적재부(LS3_2)를 포함하여 각각에 적재 대상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TR_2)의 적재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트레이 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_3)는 바텀 트레이(TR1_3) 및 바텀 트레이(TR1_3)의 각 트레이 셀(Q)의 적재부마다 적재되는 이너 트레이(TR2_3)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 트레이(TR1_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에 포함된 제1 적재부(LS1) 및 제2 적재부(LS2)와 동일한 형상의 제1 적재부(LS1_3) 및 제2 적재부(LS2_3)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트레이(TR1_3)는 제2 적재부(LS2_3) 상에 이너 트레이(TR2_3)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 적재부(LS3_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적재부(LS3_3)는 이너 트레이(TR2_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 트레이(TR2_3)는 바텀 트레이(TR1_3)에 포함된 제1 적재부(LS1_3) 및 제2 적재부(LS2_3)와 동일한 형상의 제4 적재부(LS4_3) 및 제5 적재부(LS5_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트레이(TR2_3)는 바텀 트레이(TR1_3)의 제3 적재부(LS3_3)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TR_3) 내 하나의 적재부에 복수의 소자를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TR_3)는 바텀 트레이(TR1_3) 및 바텀 트레이(TR1_3)의 각 트레이 셀(Q)의 적재부마다 적재되는 이너 트레이(TR2_3)를 포함하여, 바텀 트레이(TR1_3) 및 이너 트레이(TR2_3)에 각각 복수의 적재 대상 소자를 적절히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TR_3)의 적재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R: 트레이
LS1: 제1 적재부
LS2: 제2 적재부
10: 제1 소자
20: 제2 소자
111: 제1 바닥부
112: 제1 측벽
211: 제2 바닥부
212: 제2 측벽

Claims (20)

  1. 제1 적재 바닥 및 제1 적재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적재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적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적재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각 제2 적재 바닥과 연결된 복수의 제2 적재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바닥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 제2 적재 측벽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가 만나서 이루는 코너 측벽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바닥의 일단은 상기 제1 적재 측벽에 정렬되는 트레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트레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바닥은 제1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상에 위치하는 트레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부의 상기 제1 적재 바닥 및 상기 제1 적재 측벽은 제1 적재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적재부의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복수의 제2 적재 측벽은 제2 적재 공간을 정의하는 트레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공간 및 상기 제2 적재 공간의 평면 형상은 동일한 트레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기 제1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갖는 트레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트레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부 상부에 배치된 제3 적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적재부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제3 적재 바닥 및 상기 각 제3 적재 바닥과 연결된 복수의 제3 적재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적재 바닥 및 상기 복수의 제3 적재 측벽은 제3 적재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적재 공간, 상기 제2 적재 공간 및 상기 제3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트레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적재 공간은 상기 제2 적재 공간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갖는 트레이.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공간에는 제1 적재 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제1 적재 바닥에 대한 상기 제2 적재 바닥의 높이는 상기 제1 적재 소자의 두께보다 큰 트레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공간에는 상기 제1 적재 소자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2 적재 소자가 안착되는 트레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바닥, 상기 제1 적재 측벽, 상기 제2 적재 바닥 및 상기 제2 적재 측벽은 동일한 물질로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트레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 바닥과 비중첩하는 트레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바닥은 상기 제1 적재부의 전체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지는 트레이.
  16. 바닥면이 제1 깊이를 갖는 제1 적재홈; 및
    평면상 상기 제1 적재홈과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바닥면이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적재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적재홈의 측벽들을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제1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적재홈의 측벽들은 연장하여 얻은 폐곡선의 도형은 상기 제1 평면 형상과 크기 및 모양이 동일한 제2 평면 형상을 갖는 트레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 형상은 상기 제1 평면 형상에 대해 평면상 10°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형상을 갖는 트레이.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은 제1 적재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각 제2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들은 제2 적재 공간을 정의하는 트레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공간과 상기 제2 적재 공간은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트레이.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공간에는 적재 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제1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상기 제2 적재홈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적재 소자의 두께보다 큰 트레이.
KR1020200034307A 2020-03-20 2020-03-20 트레이 KR20210118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07A KR20210118308A (ko) 2020-03-20 2020-03-20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07A KR20210118308A (ko) 2020-03-20 2020-03-20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308A true KR20210118308A (ko) 2021-09-30

Family

ID=7792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07A KR20210118308A (ko) 2020-03-20 2020-03-20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83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476B1 (en) Pallet stacking device
CN102020069B (zh) 运输箱
CN201566966U (zh) 包装托盘
US8162147B1 (en) Box for transporting
US9376251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US9392718B2 (en) Electronic device
KR200464274Y1 (ko) 기판 적재용 트레이
KR100812766B1 (ko)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JP2011051609A (ja) 太陽電池パネル搬送用トレイと太陽電池パネル梱包体
WO2016084882A1 (ja) リングスペーサー
US20050152121A1 (en) Substrate accommodating tray
KR20210118308A (ko) 트레이
KR20100034265A (ko) 기판 포장 케이스
JP2011042384A (ja) 搬送トレイ
KR20210029321A (ko) 공용 트레이 및 소자 적재 방법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KR101212118B1 (ko) Lcd 유리기판 수납용 무진동 운반 박스
TWI686330B (zh) 板狀物包裝盒及板狀物包裝盒組
CN215904927U (zh) 吸塑盘
CN109132135B (zh) 液晶面板包装箱
US20180093791A1 (en) Packing boxes of liquid crystal panels
JP2000326948A (ja) 半導体素子収納用トレイ
CN216035752U (zh) 面板托盘
KR20220043978A (ko) 표시 장치용 트레이
CN203601677U (zh) 一种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