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490A -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490A
KR20210117490A KR1020200033750A KR20200033750A KR20210117490A KR 20210117490 A KR20210117490 A KR 20210117490A KR 1020200033750 A KR1020200033750 A KR 1020200033750A KR 20200033750 A KR20200033750 A KR 20200033750A KR 20210117490 A KR20210117490 A KR 2021011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standing
seawater
concrete structur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810B1 (ko
Inventor
박우선
이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3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8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는, 방파제, 호안 등 항만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월파 방지를 위한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함몰된 형태의 수조(150)을 형성하고, 수조 내부에 중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기립할 수 있는 가동체(131)을 설치하여, 기존의 상치 콘크리트의 역할을 하면서, 평상시에는 누워있어 조망권을 확보하고, 폭풍시는 월파로 수조에 갇힌 해수에 의한 부력과 중력을 이용하여 고정수단(140)으로 부터 가동체(131)를 분리하고, 중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기립하도록 하고, 월파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동체(131)를 포함하되; 가동체(131)는, 외해측에는 부력부(133)과, 내해측에는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는 제1유통공(132a) 및 제2유통공(132b)이 구비된 가중부(132)이 형성되되; 제1유통공(132a)은 수조(150)와 접촉하는 가중부(132)의 하면에 구비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Movable-type Cap-concrete Structure with automatic stand-up and automatic return}
본 발명은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파제 또는 호안에 설치되어, 폭풍 또는 태풍 등의 월파에 의하여 자동으로 기립하고, 폭풍 또는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자동으로 복귀함으로서, 평상시 조망권을 확보와 황천(荒天)시 월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는 그 구조상 대략 케이슨식(직립식)방파제, 사석제식 방파제, 혼성방파제 등으로 대별되는데, 높은 파고가 예상되는 해역에 방파제를 구축할 시 파랑이 방파제를 월파하면 내해에 정박 중인 선박, 부두시설 등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파랑이 방파제를 월파하지 못하도록 상치 콘크리트에 파라펫 등을 부가하여 높이를 높이면서 월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상치콘크리트의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슨식 방파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슨식 방파제는 수심이 깊어 사석의 양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초사석(1)을 일정 높이까지만 축조하고, 그 위에 일련의 케이슨(4)을 설치한 후, 케이슨(4) 내부에 모래 등을 채움으로써, 작용 파에 대해 안정하도록 한 것이며, 케이슨(4)의 최상단에는 상치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월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치 구조물의 상면에 파라펫(11)이 설치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2는 피복석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방파제의 구조에서는 해수 표면 위로 파라펫(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이 그 높이가 항상 일정하므로, 파라펫(11)을 과도하게 높일 경우에는 조망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용 최대파력이 증가하여 더 많은 자중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축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망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수 표면 위로 파라펫(11) 높이를 낮게 계획할 경우에는 폭풍이나 태풍에 의하여 파고가 높아져서 방파제를 월파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므로 방파제의 역활중 하나인 항내 정온도를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1231호 (2011.03.04. 공개)
본 발명은, 방파제 또는 호안에 설치된 상치콘크리트가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어 용이하게 조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폭풍 또는 태풍 등으로 인해 발생한 파랑이 월파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기립하여 월파를 차단하고, 태풍 또는 폭풍 등이 지나가서 월파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는, 방파제, 호안 등 항만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월파 방지를 위한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함몰된 형태의 수조를 형성하고, 수조 내부에 중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기립할 수 있는 가동체를 설치하여, 기존의 상치 콘크리트의 역할을 하면서, 평상시에는 누워있어 조망권을 확보하고, 폭풍시는 월파로 수조에 갇힌 해수에 의한 부력을 이용하여 고정수단으로 부터 가동체를 분리하고, 중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기립하도록 하고, 월파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가동체를 포함하되; 가동체는, 외해측에는 부력부와, 내해측에는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는 제1유통공 및 제2유통공이 구비된 가중부가 형성되되; 제1유통공은 평상시 수조와 접촉하는 가중부의 하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동체의 가중부 상면에 제3유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유통공의 주연에 'ㄱ'자형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수조의 외해측 벽면을 경사진 경사내벽으로 형성하고, 내해측 상치콘크리트의 외해방향의 벽면을 경사진 경사외벽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되; 고정수단은, 가동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중앙에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치콘크리트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벽면에 경사내면이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개홈의 일단부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원호형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동체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유통공으로 수조 내의 해수가 유입되고, 제2유통공으로 배수조 내의 해수가 유입되되; 상면은 수평구조를 가지며, 저면은 힌지를 중심으로 외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기립부와, 힌지를 중심으로 내해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인 박스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가중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방파제 또는 호안에 설치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는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어 용이하게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월파 시에는 자동으로 기립하여 월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월파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효과가 있으며, 폭풍시 수조에 갇혀진 월파수에 의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조에 갇혀진 월파수는 후속 월파 수괴가 상치 콘크리트 상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압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슨식 방파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월파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가동체가 기립 중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가동체가 기립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고정수단의 개략적 사시도
도 6a는 고정수단의 결합전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 고정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가이드부가 구비된 가동체의 경사내벽 및 경사외벽이 구비된 상치콘크리트의 단면도.
도 8은 월파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체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서 가동체가 기립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월파가 없는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가동체가 기립 중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가동체가 기립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이하 '상치콘크리트'라 한다)는 방파제(100)의 기존 상치콘크리트 상부를 굴입하여 만든 수조(150), 폭풍 또는 태풍 등으로 인한 월파 발생시 자동으로 기립되는 가동체(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치콘크리트(120)의 내해측 외벽에는 배수관(121)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조(160)를 외부와 연통시키고 있으며, 수조(150) 내에는 월파 발생시 힌지(13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자동으로 기립할 수 있는 가동체(131)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체(131)의 일단부는 수조 외벽(15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부는 수조 내벽(152)의 상면에 고정된 힌지(134)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동체(131)의 내부는 중공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외해측에는 밀폐된 공간부를 갖거나 공간부를 갖지 않는 부력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내해측에는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는 제1유통공(132a) 및 제2유통공(132b)이 구비된 가중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통공(132a)은 수조(150)와 접촉하는 가중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폭풍이나 태풍 등으로 월파가 발생하면, 수조(150)에 해수가 차오르게 되고, 차오른 해수는 가동체(131) 외해측에 형성된 부력부(133)에 의해 부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 가동체(131)의 내해측에 형성된 가중부(132)의 외면에 형성된 제1유통공(132a)으로 수조(150)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것과 더불어 가중부(132)의 상면에 형성된 제2유통공(132b)으로는 월파된 해수가 직접 유입되어 가중부(132)의 무게가 신속하게 늘어나게 되므로, 가동체(131)는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중력에 의해 힌지(13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립하게 되어, 월파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기립된 가동체는 월파가 발생하는 동안은 파라펫 역할을 하게 되며, 폭풍이 끝나 월파가 중지되면 가중부의 유입된 해수가 제2유통공(132b)를 통하여 유출되면 가동체 자중에 의하여 복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인 고정수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고정수단의 개략적 사시도, 도 6a는 고정수단의 결합전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고정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40)은 가동체(131)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편(141)과 상치콘크리트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142)로 구별된다.
고정편(141)은, 중앙에 절개홈(141a)이 형성되어 있고, 절개홈(141a)의 일단부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원호형홈(1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편의 외면에는 경사면(141c)이 구비된다.
고정홈(142)은, 상치콘크리트(120)의 일면에 함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벽면에는 경사내면(142c)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고정수단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고정수단(140)은, 가동체(131)가 월파가 없는 상태에서 상치콘크리트의 외벽(151)의 상면에 지지되거나, 가동체(131)가 월파에 의하여 기립되어 상치콘크리트와 접촉하고 있을 때, 가동체를 상치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구성인데, 가동체(13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141)은 절개홈(141a)에 의하여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이므로, 고정홈(142)에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다가 완전히 삽입되면 확장되어 경사내면(142c)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어서, 가동체(131)를 상치콘크리트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다.
상기 가동체(131)가 월파에 의해 수조에 갇힌 해수에 의해 부력을 받으면, 그 부력에 의하여 고정편(141)이 인출 및 축소되면서 고정홈(142)에서 이탈되고, 폭풍 등이 지나가 월파가 발생하지 않으면, 가동체가 자중으로 원 위치로 복귀하면서 고정편(141)이 고정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동체(131)는 금속재질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체로 형성되고, 상치콘크리트(120)에 형성된 고정수단(140)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부력에 의하여 가동체(131)가 고정수단인 영구자석의 자력을 벗어나 회전하며, 기립된 상태에서는 고정수단의 자력에 의하여 기립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다름이 없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방파제 또는 호안에 설치된 가동체는 평상 시에는 접혀져 있어 용이하게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월파 시에는 자동으로 기립하여 월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 및 수조에 갇힌 월파수로 인한 안정성 증가 효과가 있다.
또한, 폭풍 등이 지나간 후 가동체의 자중만으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어 운영 및 유지관리의 편리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가동체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가이드부가 구비된 가동체의 경사내벽 및 경사외벽이 구비된 상치콘크리트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서는 가동체(131)의 가중부(132)의 상면에 제3유통공(132c)을 형성하고, 그 제3유통공(132c)의 주연에 'ㄱ'자형 가이드부(1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다름이 없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동체(131)는, 월파된 해수가 가동체(13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70)에 안내되어 제3유통공(132c)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이므로, 가중부의 무게를 신속하게 가중시켜 가동체의 기립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기능 및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가동체의 자동복귀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배수조(160)의 외해측 벽면을 경사진 경사내벽(180a)으로 형성하고, 내해측 상치콘크리트(120)의 외해방향의 벽면을 경사진 경사외벽(180b)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다름이 없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동체(131)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월파된 해수에 의하여 가동체의 가중부(132)에 유입된 해수에 의하여 가동체는 기립하게 되는데, 기립된 가동체는 경사내벽(180a)과 경사외벽(180b)에 접하는 상태, 즉 기울어진 상태로 기립하게 되므로, 외해방향으로 가동체가 넘어지는 무게중심을 가지게 된다.
월파가 진행될 때는 가중부(132)의 중력에 의하여 가동체가 기립상태를 유지하지만, 월파가 종료되어 가중부의 해수가 배수되는 것으로 인하여 중력이 감소하면, 가동체는 외해방향으로 넘어지는 무게중심에 의하여 고정수단(140)의 고정력을 극복하고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치콘크리트는 월파 시에는 자동으로 기립하여 월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월파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가동체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월파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체의 다른 실시 예 단면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서 가동체가 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의 가동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 즉 부력부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과, 기립부 및 가중부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 점만이 앞서 설명한 도 3의 구성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점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가동체(131)는, 기립부(135)와 가중부(132)로 이루어져 있다.
가동체(131)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1유통공(132a)으로 수조(150) 내의 해수가 유입되고, 제2유통공(132b)으로 배수조(160) 내로 해수가 유출되고 배수관(121)을 통하여 항내로 유입된다.
기립부(135)는, 상면은 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평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저면은 힌지를 중심으로 외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1유통공(132a)을 통하여 기립부(135)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경사진 구조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흘러내려 가중부(132)로 유입된다.
가중부(132)은, 힌지를 중심으로 내해 방향으로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면에는 제2유통공(132b)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조(160) 내로 해수가 유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가동체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월파한 해수는 수조(150)에서 제1유통공(132a)로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는 기립부(135)의 경사구조로 인하여 기립부에서는 저장되지 않고, 아래로 흘러 가중부(132)에 저장된다. 가중부에 해수가 저장되면서, 배수조(160) 내의 해수가 제2유통공(132b)을 통하여 배수조(160) 내로 유출되고 배수관(121)을 통하여 항내로 유입된다. 가중부내로 유입된 해수가 유출된 해수보다 많아 유입수 중력에 의하여 가동체가 기립되는 것이다. 기립된 후, 제1유통공(132a)으로 월파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는 제2유통공(132b)로 유출되는데, 유입되는 월파수와 유출되는 월파수가 평형을 이루어 월파가 발생하는 동안은 가중부(132)내에 해수가 차있게 되어 월파가 발생하는 동안은 가동체(131)가 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00:방파제 110:케이슨
120:상치콘크리트 121:배수관
130:파라펫 131:가동체
132:가중부 132a:제1유통공
132b:제유통공 132c:제3유통공
133:부력부 140:고정수단
141:고정편 141a:절개홈
141b:원호형홈 141c:경사면
142:고정홈 142c:경사내면
150:수조 151:외벽
152:내벽 160:배수조
170:가이드부 180a:경사내벽
180b:경사외벽

Claims (7)

  1. 방파제, 호안 등 항만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월파 방지를 위한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함몰된 형태의 수조(150)를 형성하고, 수조 내부에 중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기립할 수 있는 가동체(131)을 설치하여, 기존의 상치 콘크리트의 역할을 하면서, 평상시에는 누워있어 조망권을 확보하고, 폭풍시는 월파로 수조에 갇힌 해수에 의한 부력과 가중부(132)에 유입된 해수의 무게를 이용하여 고정수단(140)으로 부터 가동체(131)를 분리하고, 가중부(132)에 유입된 해수의 중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기립하도록 하는 가동체(131)를 포함하되;
    가동체(131)는,
    외해측에는 부력부(133)와, 내해측에는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할 수 있는 제1유통공(132a) 및 제2유통공(132b)이 구비된 가중부(132)가 형성되되;
    제1유통공(132a)은 수조(150)와 접촉하는 가중부(132)의 하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가동체(131)의 가중부(132)의 상면에 제3유통공(13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제3유통공(132c)의 주연에 'ㄱ'자형 가이드부(1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4.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조(160)의 외해측 벽면을 경사진 경사내벽(180a)으로 형성하고, 내해측 상치콘크리트(120)의 외해방향의 벽면을 경사진 경사외벽(180b)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40)이 더 구비되되;
    고정수단(140)은,
    가동체(13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중앙에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141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면(141c)이 형성된 고정편(141)과,
    상치콘크리트(120)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벽면에 경사내면(142c)이 형성된 고정홈(1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절개홈(141a)의 일단부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탄성변형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원호형홈(141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7. 방파제, 호안 등 항만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월파 방지를 위한 상치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함몰된 형태의 수조(150)를 형성하고, 수조 내부에 중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기립할 수 있는 가동체(131)를 설치하여,
    기존의 상치 콘크리트의 역할을 하면서, 평상시에는 누워있어 조망권을 확보하고, 폭풍시는 월파로 가중부(132)에 유입된 해수의 무게를 이용하여 고정수단(140)으로 부터 가동체(131)를 분리하고, 가중부(132)에 유입된 해수의 중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기립하도록 하는 가동체(131)를 포함하되;
    가동체(131)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1유통공(132a)으로 수조(150) 내의 해수가 유입되고, 제2유통공(132b)으로 배수조(160) 내로 해수가 유출되되;
    상면은 수평구조를 가지며, 저면은 힌지를 중심으로 외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기립부(135)와,
    힌지를 중심으로 내해 방향으로 중공의 구조를 가지는 가중부(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20200033750A 2020-03-19 2020-03-19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233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50A KR102331810B1 (ko) 2020-03-19 2020-03-19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50A KR102331810B1 (ko) 2020-03-19 2020-03-19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490A true KR20210117490A (ko) 2021-09-29
KR102331810B1 KR102331810B1 (ko) 2021-11-25

Family

ID=7792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50A KR102331810B1 (ko) 2020-03-19 2020-03-19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8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1564A (ja) * 2008-02-18 2009-08-27 Ihi Corp フラップゲート
KR20110021231A (ko) 2009-08-25 2011-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수의 반사 블록을 구비한 내파 구조물의 상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호안
WO2016110438A1 (de) * 2015-01-08 2016-07-14 Universität Für Bodenkultur Wien Hochwasserschutzsystem
KR20200013895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1564A (ja) * 2008-02-18 2009-08-27 Ihi Corp フラップゲート
KR20110021231A (ko) 2009-08-25 2011-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수의 반사 블록을 구비한 내파 구조물의 상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호안
WO2016110438A1 (de) * 2015-01-08 2016-07-14 Universität Für Bodenkultur Wien Hochwasserschutzsystem
KR20200013895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810B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042B2 (en) Floating body connection-type flap gate
JPH08284139A (ja) 自動昇降式堤体
US7033112B2 (en) Water-retaining structure
KR20070049054A (ko) 가동벽식 둑체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JP2007262890A (ja) 透過型海域制御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10298952A (ja) 防波堤および波エネルギーの減衰方法
KR102331810B1 (ko)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2194772B1 (ko)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2290326B1 (ko) 가동식 패러핏 구조
JP4973898B1 (ja) 浸水防止構造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JP5267440B2 (ja) 有脚式透過型消波構造物
KR20190052931A (ko)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291951B1 (ko) 안전기능을 구비한 교량 구조
KR200338795Y1 (ko) 해안 침식 방지용 프리스트레스 박스 옹벽의 구조
JP2008115588A (ja) 津波防災構造物
JP2019035190A (ja) 起伏ゲート
JP2002167727A (ja) 水の遮断装置
JP3234874B2 (ja) 転倒ゲート装置
KR20210103173A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JP3396432B2 (ja) 耐震型着底式ケーソン脚橋梁
JP2002081048A (ja) 軟着底式海洋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