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19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7198A KR20210117198A KR1020210034678A KR20210034678A KR20210117198A KR 20210117198 A KR20210117198 A KR 20210117198A KR 1020210034678 A KR1020210034678 A KR 1020210034678A KR 20210034678 A KR20210034678 A KR 20210034678A KR 20210117198 A KR20210117198 A KR 202101171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hanger
- unit
- moving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9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0 graph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일면에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챔버를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이동가능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가능한 분리부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티머는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스티머는 의류에 직접적으로(예를 들어, 의류를 단단한 물체 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대류를 통해 의류에 열을 가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에 반해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9호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내부에 복수 벌의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홈을 가진 행어바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만약 한벌의 의류만을 거치하여 리프레쉬하고 싶은 경우, 전체 수용공간에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게 되므로 에너지 측면에서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제1챔버 내부에 수직가벽을 설치하여 수용공간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챔버 내부에 바형태로 위치가 고정된 행어바가 있으므로 행어바와 제1챔버상부면 사이의 공간을 분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0619호에는 수용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하고, 각기 다른 의류처리행정을 진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롤러블 블라인더(rollable blinder) 같이 감겨져 있는 형태의 격벽을 필요시 수용공간의 상부면까지 펼쳐 격벽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왕복할 수 있는 옷걸이 이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격벽이 고정된 위치에서 펼쳐지기만 하므로 제1공간과 제2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옷걸이 이송부와의 간섭으로 인해 공간을 고정된 크기로 분리할 수 있을 뿐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또한, 각 공간에서는 하나의 의류처리행정만이 진행되므로 스팀행정 후 건조행정을 위해서, 격벽을 없앤 후 의류를 다시 해당공간으로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수용공간을 분리함으로써, 동시에 다른 종류의 옷을 관리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분리벽의 이동시, 분리벽의 파손 및 행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고정된 하나의 행어바가 아닌 독립적으로 복수 개의 행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복수 개의 행어가 캐비닛의 높이방향, 캐비닛의 너비방향 및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수용공간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각 분리된 수용공간에 독립적으로 열풍, 스팀 및 방향을 공급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분리벽과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일 측면 사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가능한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스팀 공급 및 응축수 배출을 위한 급수탱크 및 배수탱크를 제공하면서도 급수탱크 및 배수탱크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제1챔버에 구비되는 분리벽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도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프레서 (또는 팬츠프레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는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분리된 공간 중 하나의 공간만을 사용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단독케어, 각 공간을 달리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의류를 개별적으로 별도로 관리하는 분리케어, 공간의 스팀양 및 건조시간을 최적화시켜 빠른 의류처리를 위한 쾌속케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가 이동시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숨기거나 이동시킴으로써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행어에 옷걸이가 거치되는지 여부, 바닥커버부의 정상 설치 여부, 및 방향부의 정상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가벽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분리되는 수용공간을 실링하기 위해 분리부에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챔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홀을 실링하기 위한 행어커버 및 행어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를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를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챔버를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평판형태의 분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는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메인도어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내면과 접촉하는 전방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은 상기 분리벽의 전방면에 결합하여, 중공(hollowed)을 형성하고, 플렉서블 재질(flexible material)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높이는 상기 제2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면상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면을 보호하는 제1바닥커버; 및 상기 제2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면을 보호하는 제2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바닥커버와 상기 제1챔버 상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동모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이동모터; 상기 이동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3방향을 따르는 운동으로 변화하는 이동가이드부; 및 상기 분리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리부를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어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절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중 상기 분리부가 이동하여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절개홀의 일부를 가리는 판형태의 행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각각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행어홀부; 및 상기 행어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니어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커버는 상기 행어홀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상기 리니어홀부를 가리는 행어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가스켓은 상기 행어홀부와 만나는 일면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상기 리니어홀부의 말단까지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패널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보다 상기 투입구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가이드 및 제2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기어부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이동기어부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 상기 제2이동가이드,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는 스크류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하고, 상기 제2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도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달가이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1이동가이드에 전달하는 제1연결기어;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달가이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전달하는 제2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결합하는 이동너트부; 상기 이동너트부와 상기 분리부를 연결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가 회전시, 상기 이동너트부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너트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에 각각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를 포함하는 행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는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와 결합하는 행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은 일단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을 통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일단보다는 상기 타단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수용하는 행어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행어배열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각 절개홀을 통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의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가 이동하기 전의 위치인 제1이동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위치와 다른 제2이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이동위치, 상기 제2이동위치 및 상기 제1이동위치와 상기 제2이동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행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행어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배열모터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가 상기 제1이동위치에서 상기 제2이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에 의해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를 지지하는 행어지지스테이지; 및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행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배열부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을 각각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을 회전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배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대응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를 포함하는 배열모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는 배열모터 회전축을 포함하는 배열모터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모터 회전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지지프레임의 일면 또는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과 상기 상부패널의 사이 및 상기 제1챔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공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조절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분리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구 및 제2공기흡입구;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2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유닛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구 및 제2공기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구 및 제2스팀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구;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공기흡입구;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공급구; 및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공기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구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2스팀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공급구는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기흡입구와 상기 제1스팀공급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흡입구는 상기 제1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스팀공급구보다 상기 투입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면을 보호하는 제1바닥커버; 및 상기 제2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면을 보호하는 제2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는 상기 제1바닥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바닥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는 상기 제2바닥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바닥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커버는 상기 투입구과 상기 제1공기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1바닥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는 상기 투입구과 상기 제2공기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2바닥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면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방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는 상기 제1공기공급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1방향키트; 및 상기 제2공기공급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2방향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선반거치부; 상기 분리벽의 양 측면 중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분리벽 선반거치부; 및 상기 측면선반거치부와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에 결합하는 길이조절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선반은 상기 측면선반거치부와 결합하는 제1고정바;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와 결합하는 제2고정바; 및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며, 텔레스코픽(telescopic) 또는 주름(bellows)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는 각각 상기 측면선반거치부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와 결합되는 면에 자성을 가진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급수탱크; 상기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제1챔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여 저장하는 배수탱크; 상기 투입구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2챔버의 일면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제2챔버 투입구; 상기 제2챔버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모듈프레임; 상기 제2챔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개폐하는 탱크도어; 및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챔버 투입구; 및 상기 탱크도어에서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탱크도어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탱크도어내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탱크도어를 폐쇄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탱크도어는 상기 탱크도어를 관통하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도어의 일측이 타측보다 가깝게 위치한 제1윈도우; 및 상기 탱크도어를 관통하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도어의 타측이 일측보다 가깝게 위치한 제2윈도우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1윈도우 및 상기 제2윈도우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수위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와 상기 배수탱크는 각각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에 광(lignt)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는 상부가 개구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탱크바디;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상부를 보호하는 급수탱크리드; 및 상기 급수탱크리드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바디에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탱크리드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리드는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상면; 및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에서 절곡되어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배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의 일부는 상기 급수탱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프레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도어는 일면에 도어투입구를 포함하는 도어바디; 및 상기 도어바디와 더불어 상기 도어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서는 상기 도어바디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보조도어에서 상기 도어투입구를 항하는 보조도어내면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함몰된 베이스판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보조도어내면 중 상기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일부가 함몰된 함몰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함몰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고정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바닥면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를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가 이동후,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행어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의 수용공간을 분리부를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조절하고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간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분리벽과 복수 개의 행어사이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 개의 행어를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독립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배치시킬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부의 이동시 분리부와 복수 개의 행어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복수 개의 행어가 캐비닛의 높이방향, 캐비닛의 너비방향 및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수용공간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각 분리된 수용공간에 독립적으로 열풍, 스팀 및 방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분리벽과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일 측면 사이에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카세트형 타입의 급수탱크 및 배수탱크를 제공하여, 외부에 복잡한 구조를 노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제1챔버에 구비되는 분리벽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메인도어의 내부 또는 제1챔버의 내부에 프레서 (또는 팬츠프레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 및 열교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스팀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챔버 내부의 수용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분리부가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챔버 바닥면에 바닥커버부가 있는 경우와 제거된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1챔버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급수탱크가 탱크모듈프레임에 장착된 경우와, 분리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급수탱크바디와 급수탱크리드가 결합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급수탱크리드가 분리되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방향부의 위치와 방향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1방향키트 또는 제2방향키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바닥커버부 및 방향부의 정상 설치를 판단하기 위해 바닥센서 및 방향설치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분리부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부가 이동함에 따라, 행어배열부에 의해 위치하 변하는 행어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행어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구동부 배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a)는 행어배열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행어지지프레임 및 운송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c)는 행어지지스테이지 및 왕복운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d)는 분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하나의 행어가 행어배열부에 의해 제1챔버 상부면 위로 올라온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도 23에 도시된 행어배열부의 일례를 위와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4(c)는 행어지지프레임 및 운송구동부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분리부가 어느 하나의 절개홀의 위치로 이동시 해당 절개홀에 위치하는 행어가 회전하여 제1챔버 상부면 위로 들어가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왕복운동부 및 행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a)는 왕복운동부 및 행어지지스테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b)는 이동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a)는 왕복운동부 및 운동바디부의 일례를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28(b)는 편심운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c)는 운동변환부 및 운동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이동구동부 및 이동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행어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a) 내지 도 31(d)는 분리벽가스켓 및 행어가스켓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은 운송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메인도어의 개방시 운송구동부의 동작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행어가스켓을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선반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선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길이조절선반의 거치된 일례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7(a) 및 도 37(b)는 제1챔버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거치선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선반고정클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거치선반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a) 내지 도 40(e)는 거치선반부의 사용을 위해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1(a) 내지 도 41(c)는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프레서가 메인도어의 내부에 수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a)는 프레서의 공기순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b)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순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은 메인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의 내면에 위치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메인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의 일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a)는 종래의 행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한 행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a) 및 도 46(b)는 행어에 옷걸이가 거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7는 행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 및 열교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스팀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챔버 내부의 수용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분리부가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챔버 바닥면에 바닥커버부가 있는 경우와 제거된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1챔버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급수탱크가 탱크모듈프레임에 장착된 경우와, 분리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급수탱크바디와 급수탱크리드가 결합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급수탱크리드가 분리되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방향부의 위치와 방향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1방향키트 또는 제2방향키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바닥커버부 및 방향부의 정상 설치를 판단하기 위해 바닥센서 및 방향설치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분리부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부가 이동함에 따라, 행어배열부에 의해 위치하 변하는 행어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행어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 및 구동부의 또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구동부 배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a)는 행어배열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행어지지프레임 및 운송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c)는 행어지지스테이지 및 왕복운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d)는 분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하나의 행어가 행어배열부에 의해 제1챔버 상부면 위로 올라온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도 23에 도시된 행어배열부의 일례를 위와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4(c)는 행어지지프레임 및 운송구동부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분리부가 어느 하나의 절개홀의 위치로 이동시 해당 절개홀에 위치하는 행어가 회전하여 제1챔버 상부면 위로 들어가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왕복운동부 및 행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a)는 왕복운동부 및 행어지지스테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b)는 이동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a)는 왕복운동부 및 운동바디부의 일례를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28(b)는 편심운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c)는 운동변환부 및 운동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이동구동부 및 이동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행어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a) 내지 도 31(d)는 분리벽가스켓 및 행어가스켓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은 운송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메인도어의 개방시 운송구동부의 동작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행어가스켓을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선반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선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길이조절선반의 거치된 일례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7(a) 및 도 37(b)는 제1챔버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거치선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선반고정클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거치선반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a) 내지 도 40(e)는 거치선반부의 사용을 위해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1(a) 내지 도 41(c)는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프레서가 메인도어의 내부에 수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a)는 프레서의 공기순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b)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순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은 메인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의 내면에 위치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메인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가 메인도어의 일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a)는 종래의 행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한 행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6(a) 및 도 46(b)는 행어에 옷걸이가 거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7는 행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각각 캐비닛(130)의 높이방향(Z/-Z방향), 캐비닛(130)의 깊이방향(Y/-Y방향), 캐비닛(130)의 너비방향(X/-X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 의 표현은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를 뜻한다.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20), 상기 제1챔버(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2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30), 상기 제2챔버(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제1챔버(20)에 공급하는 스팀유닛(미도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70)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사용방법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구비될 것이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제2챔버(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20)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닛(미도시) 및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후 상기 제1챔버(20)로 배출하는 히트펌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0)는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캐비닛(10)과 제1챔버(20) 또는 캐비닛(10)과 제2챔버(30) 사이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은 발포플라스틱(foamed plastic)을 이용하여 충진할 수도 있다.
상의와 하의를 포함하는 의류는 상기 제1챔버(2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챔버(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미도시), 히트펌프유닛(미도시) 및 스팀유닛(미도시)을 통해 의류를 리프레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 히트펌프유닛 및 스팀유닛을 통해 스팀 및/또는 가열공기를 이용하여 의류를 살균하고 탈취하며, 사용에 의해 형성된 구김을 제거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0)는 상기 제1챔버(20) 내부의 상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60)는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행어부(6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6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60)의 운동은 의류를 흔들게 되고, 결국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60)에 거치되는 의류를 흔드는 동안 제2챔버(30)에서 공급되는 스팀 혹은 수분(moisture)에 노출시켜 의류의 주름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부(60)는 의류가 상기 제1챔버(2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거치도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챔버(30)에서 공급되는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 및/또는 스팀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대기압하에서 100 ℃ 에서 끓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수증기를 스팀이라 할 수 있다. 수분은 이와 달리 상온에서 물을 1 mm 이하의 작은 물방울이 공기중에 부유한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안개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끓여서 발생한 스팀의 경우 수분보다 높은 온도로 인해 살균력이 수분보다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서 물분자가 더 활발히 움직이므로 의류의 침투성이 뛰어나 의류를 리프레쉬하는데 있어서 수분보다 스팀이 더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20)는 상기 행어부(60)의 구동부(63)가 상측에 위치하여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미도시), 바닥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21), 상기 제1챔버 상부면과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을 연결하는 상기 제1챔버의 좌우측면(105, 107)과 상기 제1챔버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후면(미도시)에 의해 형성된다. 만약,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 일면이 전면인 경우, 상기 제1챔버 후면은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투입구가 전면에 형성되어 투입구의 일측면에 도어가 회전결합되어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확대된 그림에는 행어부(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행어부(60)는 도어의 너비방향으로 형성되는 행어바(64) 및 상기 행어바를 양단에서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2), 상기 행어지지부(62)를 캐비닛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60)는 상기 행어바(64)가 캐비닛(1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은 상기 제2챔버(30)의 내부에서 스팀유닛에 의해 생성된 스팀과 히트펌프유닛에 의해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를 제1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포트(23)와 스팀공급포트(25), 그리고, 송풍유닛에 의해 상기 제1챔버(2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포트(2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포트(23)와 스팀공급포트(25)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과 상기 제1챔버 후면이 만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과 상기 제1챔버 후면이 만나는 영역은 매끄럽게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포트(22)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 에서 투입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포트(23)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22)를 통해 흡입되어 순환하게 될 것이다. 스팀도 상기 스팀공급포트(25)를 통해 배출된 뒤, 응축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22)를 통해 흡입된 후, 응축수를 저장하는 섬프(미도시)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챔버(20)의 내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보다 원활히 상기 공기흡입포트(22)를 통해 상기 제2챔버(30)로 내부내기 위해 상기 제1챔버 바닥면(21)은 상기 제1챔버 후면에서 도어가 위치하는 투입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스팀유닛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81) 그리고, 섬프(미도시)에 집수된 응축수를 배출하여 저장하기 위한 배수탱크(82)가 상기 제2챔버(30)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81) 및 상기 배수탱크(82)가 설치되는 탱크설치공간(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한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탱크설치공간(미도시)과 제2챔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챔버(20)의 하부에는 탱크설치공간(미도시)과 제2챔버(30)가 위치하고, 상기 탱크설치공간은 상기 도어(70)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탱크설치공간의 뒤에 제2챔버(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와 상기 배수탱크(82)는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은 제2챔버의 내부를 기계장치, 예컨대 송풍유닛, 스팀유닛, 및 히트펌프유닛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급수탱크(81)와 상기 배수탱크(82)가 배치되는 탱크설치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도어(70)는 상기 도어(70)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7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70)에서 상기 제1챔버(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도어내면(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70)는 힌지결합방식으로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투입구를 개폐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가 도어(70)를 닫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81)의 전면과 상기 배수탱크(82)의 전면이 도어내면(71)을 마주보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70)를 개방시에는 급수탱크(81)의 전면과 배수탱크(82)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81)및 배수탱크(82)가 각각의 전면에 급수탱크윈도우(미도시) 및 배수탱크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급수탱크(81) 및 배수탱크(82)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의 전면과 상기 배수탱크(82)의 전면에서는 각각 급수탱크손잡이(미도시)와 배수탱크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 상기 급수탱크손잡이와 상기 배수탱크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81)와 상기 배수탱크(82)는 각각 상기 급수탱크의 전면말단과 상기 배수탱크의 전면말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장착할 때도 마찬가지로 회전을 통해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상기 급수탱크(81)와 상기 배수탱크(82)가 안착될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상기 도어내면(71)또는 상기 제1챔버(20)의 내부에는 바지(P)를 거꾸로 의류걸이에 거치시킨 후, 상기 의류걸이를 매다는 행어바(64) 및 상기 행어바(64)및 상기 의류걸이에 의해 고정된 바지(P)를 가압하는 프레서(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지(P)를 거꾸로 즉 밑단(bottom hem)을 위로하여 매다는 이유는 상기 바지(P)의 허리부분 즉 바지(P)의 상단(pant waist)의 무게가, 바지(P)의 하단 즉, 바지통(pant leg) 부분보다 무거우므로 상기 바지(P)의 자중을 통해 상기 바지(P)에 인장력이 가해져 바지(P)를 골고루 펴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서(50)는 상기 도어내면(71)에 결합하여 상기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판(52)과 상기 지지판(52)을 향해 회전하여 바지(P)를 가압하는 회전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3)이 상기 지지판(52)을 향해 회전하여 결합하게 되면 바지(P)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도어(70)을 닫아, 제1챔버(20)의 내부에서 스팀 및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에 노출시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스팀이 바지(P)에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53)을 관통하는 회전판 관통홀(5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지(P)의 바지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솔기(seam)가 눌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양면 중 바지(P)와 접촉하는 면에 함몰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2)도 상기 함몰부(58)에 대응되어, 솔기(seam)가 위치하는 부위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64)에는 옷걸이(clothes hanger)를 거치할 수 있는 홈이 파여져 있다. 상기 홈의 개수는 의류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일정한 개수가 파여져 있으며, 그 홈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의류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인접함 홈을 건너뛰고 그 다음 홈에 거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수용공간에 수용가능한 의류의 개수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64)는 항상 행어지지부(62)에 의해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에서 아래방향으로 내려와 있으므로 항상 상기 제1챔버(20)의 내부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구동부(63)와 행어바(64)간의 동력전달이 수직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캐비닛(10)과 제1챔버(20)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 행어바(64)가 항상 제1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수용공간을 캐비닛의 높이방향으로 나누어서 활용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32),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개부(112a), 상기 절개부(112a)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00), 및 상기 절개부(112a)를 통해 상기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10, 또는 의류처리챔버)는 의류를 수용하여 케어(care)하는 공간일 수 있다. 즉,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을 하고, 냄새를 제거하고,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10)는 의류처리챔버로 불리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챔버(110)는 의류처리챔버(110)를 뜻한다. 그리고 제1챔버 상부면(112), 제1챔버 바닥면(111), 제1챔버 후면(113), 제1챔버의 좌측면(114)과 제1챔버의 우측면(115)를 뜻하는 제1챔버의 양측면과 같이 제1챔버가 명칭으로 포함되는 용어들은 각각 의류처리챔버 상부면(112), 의류처리챔버 바닥면(111), 의류처리챔버 후면(113), 의류처리챔버 좌측면(114)과 의류처리챔버 우측면(115)을 뜻하도록 사용되었다.
상기 제2챔버(120, 또는 기계실)의 내부에는 상기 의류처리챔버(110, 또는 제1챔버)에서 의류를 케어하기 위한 열풍, 스팀, 및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기계장치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행어(6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는 제1방향, 제2방향 또는 제3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139)에서의 접근용이성을 고려하면,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32),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131, 도 3 참조), 상기 상부패널(132)과 베이스(131)를 연결하고 상기 캐비닛(13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33, 도 3 참조) 및 상기 캐비닛(13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양 측면패널, 즉,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일면에는 투입구(139)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입구(139)를 통해 제1챔버(110)의 내부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캐비닛(1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개폐하는 메인도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단순히 상기 투입구(139)를 막는 도어의 역할 뿐만 아니라, 도 41과 같이 상기 메인도어(200) 내부에 프레서(presser)를 구비하기 위해 보조도어(210)를 별도로 구비하는 이른바 도어인도어(Door in Door)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상기 메인도어(200)에서 상기 투입구(139)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메인도어내면(20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는 투입구(139)의 가장자리를 따라 캐비닛(130)과 밀착(tight contact)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오 상기 캐비닛(130)사이를 실링하는 도어가스켓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이라 함은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는 열풍, 스팀 또는 제1챔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접촉한 상태를 뜻한다.
상기 도어가스켓부(220)에는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서 상기 제1챔버(110)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제1챔버(110)를 실링하는 제1챔버가스켓(221) 및 상기 제2챔버(120)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제2챔버가스켓(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9와 같이 상기 제2챔버(120)가 상기 제1챔버(110)의 바닥면 전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 및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은 상기 제1챔버(110)와 상기 제2챔버(120)사이에 구비되는 챔버전면접촉부(118, 도 39 참조)를 기준으로 상기 챔버전면접촉부(118)에는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 및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이 상측과 하측에 나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챔버전면접촉부(118)는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을 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를 분리할 수 있다. 챔버전면접촉부(118)를 기준으로 윗부분은 제1챔버가스켓(221)이, 아래부분은 제2챔버가스켓(222)이 각각 실링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2챔버(120)는 제1챔버(110)의 하부에서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챔버전면접촉부는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제3방향)으로 상기 제1챔버(110)와 상기 제2챔버(120)를 분리하는 제1전면접촉부(1171) 및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제2방향)으로 상기 제1챔버(110)와 상기 제2챔버(120)를 분리하는 제2전면접촉부(11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전면접촉부(1171) 및 제2전면접촉부(1172)는 제1면(1111)과 연장면(1114)이 제1챔버(110)의 내측면이자 제2챔버(120)의 내측면이 될 수 도있지만, 일반적으로 단열을 위해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되므로, 전면에서 바라보아,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사이 부분에 위치하는 전면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은 상기 제1전면접촉부(1171)를 포함하는 상기 제1챔버(110)의 둘레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캐비닛(130)과 제1챔버(110)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은 상기 제1전면접촉부(1171) 및 상기 제2전면접촉부(1172)를 포함하여 상기 제2챔버(12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접촉부(1171)에는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이 접촉하는 부분의 하부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챔버(120)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챔버(110)의 공간은 분리가스켓(223)이 접촉하게 될 것이다. 상기 분리가스켓(223)은 상기 제2전면접촉부(1172)의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챔버(120)의 측면에 위치하는 나머지 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상기 분리가스켓(223)이 상기 제2전면접촉부에 접촉시, 상기 분리가스켓(223)은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이 접촉하는 부분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리가스켓(223)과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의 일측이 서로 각각 만나게 되므로, 이렇게 만나는 일측에 해당하는 가스켓은 별도의 가스켓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유하여 사용될 수 도 있다.
도 39와 같은 경우에는 실링할 공간이 크게 2개이지만, 도 2(a)와 같은 경우에는 실링할 공간을 3개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각각 실링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메인도어(200)는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메인도어내면(201)을 타고 흘러내릴 때, 이를 가이드하여 후술할 공기흡입부(170)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도어라이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부(230)는 상기 제1챔버가스켓(2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주라이너(2301) 및 상기 분리가스켓(223)의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라이너(23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의 내부에는 별도의 공간이 없고, 응축수가 상기 제2챔버가스켓(222)의 외부에서 들어오지 않는 한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라이너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주라이너(2301)는 상기 도어내면에서 상기 제1챔버(110)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응축수가 잘 흘러내리게 하기 위함이다. 메인도어(200)가 상기 투입구(139)를 폐쇄시, 상기 주라이너(2301)는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소정거리만큼 들어갈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메인도어(200)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을 기준으로 상기 주라이너(2301)는 바닥커버부(180)의 제1바닥손잡이부(1815) 또는 제2바닥손잡이부(1825)가 최대수직거리인 D1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라이너(2301)가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는 D1보다는 크고, 제1바닥관통홀(1812) 또는 제2바닥관통홀(1822)의 위치하는 최소수직거리인 D2보다는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라이너(2301)는 메인도어(200)의 내면이 단순히 경사지게 구비될수도 있으나,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에 프레서(400)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주라이너(2301)의 경사면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서(400)와 연통하기 위한 제1연통구(23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은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향경사지게 구비되는 도어경사부(240), 상기 도어경사부(2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서(400)와 연통하기 위한 도어 제2연통구(2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경사부(240)는 상기 주라이너(2301)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도어(200)가 폐쇄시, 상기 주라이너(2301)가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을 향해 경사진 반면, 상기 도어경사부(24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구(2303)는 상기 주라이너(2301)의 경사면과 메인도어내면(201) 사이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구(2401)는 상기 도어경사부(240)의 경사면과 메인도어내면(201) 사이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레서(400)가 메인도어(200)의 내부에 위치시, 상기 프레서(400)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에 스팀 및 열풍을 순환시키기 위한 스팀 및 열풍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라이너(2302)는 도 2와 같이 상기 제1챔버의 일측면과 상기 제2챔버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공기흡입부(170)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도어힌지부(225)에 의해 상기 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b)는 상기 캐비닛의 일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제1도어힌지(2251) 및 제2도어힌지(22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도어힌지(2251) 및 상기 제2도어힌지(2252)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200)가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39와 달리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은 제 제1면(1111) 및 상기 제1면(1111)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제2면(11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은 도어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보통의 의류보다 길이가 긴, 예컨대, 롱코트나 드레스,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서 제2챔버(120)의 높이로 인해 길이가 줄어드는 제1면(1111)과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 보다는 제2면(1112)과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가 유리할 것이기 때문에,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단차진 제1챔버 바닥면(1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120)는 상기 제1면(11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을 따른 상기 제1면(1111)의 길이는 상기 제2면(111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면(1111)는 상기 제1챔버(110)의 양 측면 중 일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2면(1112)은 상기 제1챔버(110)의 타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면(1111)과 상기 제2면(1112)은 연장면(11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1114)은 상기 제2챔버(120)의 외측면에 해당될 것이다.
상기 제1챔버(110)의 일 측면과 상기 연장면(1114)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주라이너(2301)와 상기 제2바닥커버(182)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을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상기 보조라이너(2302)를 통해 제2공기흡입구(172)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제2챔버(120)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700)과 스팀유닛(730)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2챔버(12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700),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120)와 연통하며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170),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120)와 연통하며 상기 공기흡입부(170)를 통헤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유닛(700)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70)는 각각 상기 제1면(1111)과 상기 제2면(1112)에 위치하는 제1공기흡입구(171) 및 제2공기흡입구(17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제1면(1111)에 위치하는 제1공기공급구(151), 상기 제2면(1112) 또는 상기 연장면(1114)에 위치하는 제2공기공급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700)은 내부에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700)은 상기 공기흡입부(170)를 통해 제1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인렛덕트(711), 상기 열교환부(740)를 지나 고온건조하게 된 공기를 상기 제1챔버(110)로 배출하는 공급덕트(713) 및 상기 인렛덕트(711)와 상기 공급덕트(713)를 연결하고, 상기 열교환부(740)가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덕트(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740)는 제1챔버(110)에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제1열교환기(E, 또는 증발기), 상기 제1열교환기(E)를 지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C, 또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부(740)는 히트펌프일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0)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P) 및, 상기 응축기를 지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Ex)를 상기 송풍유닛(700)의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700)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7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715)은 상기 인렛덕트(711)와 상기 연결덕트(712) 사이에 구비될수 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712)와 상기 공급덕트(713)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110)의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750)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서도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향기를 공급할수도 있으나, 공급덕트(713)와 연결되어 공급덕트(7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송풍유닛(700)의 후방에 방향부(750)가 위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뿐, 상기 방향부(750)는 상기 제1챔버(110)에 향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라도 장착될 수 있다.
급수탱크(810)와 배수탱크(820)는 인렛덕트(711)의 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챔버(120)의 내부에서, 급수탱크(810)와 배수탱크(820)가 설치되는 탱크모듈프레임(129, 도 9 참조)에 의해, 송풍유닛(700), 스팀유닛(730) 등이 위치하는 공간과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가 위치되는 공간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20)는 상기 제2챔버(1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를 개폐하는 탱크도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는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접근하기 위해 개구된 상기 제2챔버(120)의 전방면의 일부를 뜻한다.
즉,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는 상기 캐비닛(130)에 구비되는 투입구(139, 또는 캐비닛 투입구)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는 상기 메인도어(200)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을 마주보게 형성될 것이다.
상기 탱크도어(121)에서 상기 제2챔버(120)의 내부를 향하는 탱크도어내면(121c)에는 급수탱크(810)와 배수탱크(82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도어(121)를 회전시켜 개방하는 경우,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에 결합된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도 같이 회전하여 노출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도어(121)와 상기 메인도어(200)사이에는 제2챔버가스켓(222)이 구비되어, 상기 탱크도어(121)와 상기 메인도어(200) 사이로 응축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챔버(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10)에 거치된 의류에 스팀(steam)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73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행어부(600)의 이동, 열교환부(740), 압축기(P) 및 순환팬(715)의 동작, 스팀유닛(730)의 동작, 각종 센서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0)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제어부(900)는 행어부(600)의 이동, 열교환부(740), 압축기(P) 및 순환팬(715)의 동작, 스팀유닛(730)의 동작, 각종 센서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어떤 곳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제2챔버(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베이스(131)에 위치할수도 있고,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133, 도 3참조) 중 상기 제2챔버에 대응되는 곳은 상기 후면패널(133)과 분리된 보조패널(미도시)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패널을 개방시, 상기 제어부(900)가 노출되어 상기 제어부(9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유지 보수를 위함이다.
상기 스팀유닛(730)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731),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팀제너레이터(73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732), 및 발생된 스팀을 스팀공급부(160)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스팀토출노즐(737), 상기 스팀토출노즐(737)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731)를 연결하여 스팀을 이동시키는 스팀공급유로(7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은 급수탱크(81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는 상기 탱크도어(121)를 폐쇄하여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안착시, 상기 급수탱크(8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급수체크밸브(814)가 열리고, 이를 통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73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119)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개폐하는 메인도어(20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제2챔버(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119) 및 상기 분리부(119)를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동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챔버(111)의 바닥면이 단차진 제1면(1111)과 제2면(1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1111)의 높이가 상기 제2면(1112)이 높이보다 큰 경우,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면(1111)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110)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평판형태의 분리벽(11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191)은 상기 제1챔버(110) 내부를 분리하면서도 이동시 휨이나 구부러짐 없이 이동가능하면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벽(1191)의 일측면에는 선반을 거치하기 위한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바형태의 행어바가 항상 고정된 위치에서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왕복운동을 통해 미세먼지 또는 먼지를 털어내기 위함이다.
그러나, 행어바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한다면, 제1챔버(11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가벽을 구비할 수가 없다. 고정된 행어바와 이동하는 가벽간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행어바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가벽으로 설계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분리할 뿐, 행어바의 상부를 통해 스팀 및 열풍이 이동가능하므로 분리하는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는 분리부(119)와 행어부(60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행어(610)가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분리부(119)가 제1챔버(110) 내부에서 이동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1챔버 바닥면(111)이 서로다른 높이를 갖는 제1면(1111)과 제2면(1112)으로 형성되는 일례를 이용하여 분리부(119)의 이동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 39와 같이 제1챔버 바닥면(111)이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고 해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a)에서는 분리부(119)가 제1수용공간(V1) 및 제2수용공간(V2)으로 제1챔버(110)를 분리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 개의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00)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5개의 행어(611, 612, 613, 614, 615)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다른 개수의 행어를 구비하여도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징인 분리부의 이동 및 이에 따른 행어의 위치 이동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a)에서 제1수용공간(V1)에는 3개의 행어(613, 614, 615)가 포함되고, 제2수용공간에서는 1개의 행어(611)이 포함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행어(612)가 위치한 곳에 분리부(119)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분리부(119)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612)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하여 사용자로부터 감춰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후술할 행어배열부(510)에 위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어는 상기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위 또는 아래로 이동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개부(112a)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수 있다.
도 6(a)에서는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서 L1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L1은 어느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곳(P1)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부가 P1에서 다른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P2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부는 L2-L1의 거리를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제1수용공간(V1)은 크기가 감소하게 되고, 제2수용공간(V2)은 크기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을 통해 분리되는 수용공간의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도 6(c)는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제1챔버(11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분리부(119)는 다른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곳(P2)에서 상기 타측면과 접촉하는 위치(P3)까지 이동하게 될 것이고, 이 때 이동한 거리는 L3-L2가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타측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V1)은 사라지고, 제2수용공간(V2)만이 단일한 공간으로 남게될 것이다. 즉, 상기 제2수용공간의 크기는 곧 제1챔버가 형성할 수 있는 최대크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110)를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공간의 수용된 옷 만에 열풍 및/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수용공간(V2)에 수용된 옷들에만 열풍 및/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효율적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낭비없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1면(1111)의 양단중 일단의 위치가 어느 하나의 행어(612)가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면(1111) 상에서만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도 6(a)와 같이 상기 분리부가 P1의 위치에 있는 경우 제1방향에 따른 제2수용공간(V2)의 길이는 제1방향에 따른 제1수용공간(V1)의 길이보다 크기 때문이다. 즉, 다양한 수용공간의 형태를 갖기 위해서는 제1면(1111)에서만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여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1챔버 바닥면(111)의 높이가 일정할 때, 전방을 기준으로 제1챔버(110)의 좌측면에 가장 인접한 행어(611)에 분리부가 위치하는 경우는 제2수용공간에는 아무런 행어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챔버(110)의 우측면에 인접한 2개의 행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없다. 하나의 행어만이 필요하다면, 도 6(a)와 같이 분리부가 위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1챔버(110)의 일측면에서부터 하나의 행어만을 포함하도록 공간이 나누어진 경우가 이미 있기 때문에, 제1챔버(110)의 타측면에서부터 하나의 행어만을 포함하도록 공간을 나눌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챔버(110)의 타측면에서는 상기 타측면에 인접한 2개의 행어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행어배열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행어가 위치하는 곳(P1, 또는 P2), 즉, 절개홀(1121)이 위치하는 곳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일 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P3)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내지 도 6(c)는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위치의 일례로 행어 또는 절개홀이 위치한 위치나 제1챔버(110)의 일측면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위치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어떤 위치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는 행어(610)가 위치하는 곳 또는 절개홀(1121)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는 하나의 행어(610)와 다른 하나의 행어(6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행어(610)와 행어(610)사이의 간격은 설계상의 문제이므로, 행어(610)와 행어(610) 사이에 분리부(119)가 위치하여도, 분리부(119)와 행어(610)사이의 간격이 넉넉한 경우, 행어에 거치된 의류와 분리부가 접촉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는 하나의 행어(610)와 제1챔버의 양측면중 상기 하나의 행어(610)에 가까운 일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개폐하는 메인도어(20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61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캐비닛(130)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119); 및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139)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139)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하나의 행어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다른 하나의 행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행어(612)가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로 이동한 후, 분리부(119)가 P1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제2수용공간(V2)에는 길이가 긴 옷을 수용하여 처리(treatment)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용공간(V2)에만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처리해야할 옷이 긴 옷 한벌과 짧은 옷 한벌 또는 짧은 옷 두벌의 경우, 사용자는 분리부(119)를 P2위치로 이동시킨 후 의류처리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처리해야할 옷이 많은 경우라면 제1챔버(110)를 모두 사용해야할 수도 있으므로 도 6(c)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19)를 상기 제1챔버(110)의 일측면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 제1챔버(110) 전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a)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분리부가 있는 경우, 복수 개의 행어(610)가 제1챔버(110) 내부 또는 외부로 배치시키는 일례를 설명하였다.
상기 분리부(119)가 없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상기 제1챔버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항상 제1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제1챔버(1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행어 중 일부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제1챔버(110)외부에 위치시킬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매우 큰 인형, 혹은 담요를 처리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즉, 부피가 큰 인형이나 담요, 이불과 같은 피건조물도 처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10) 내부의 수용공간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분리벽(1191)을 포함하는 분리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00)는 미세먼지를 털어내기 위해 왕복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a)는 제1챔버 바닥면(111)에 바닥커버부(180)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7(b)는 상기 바닥커버부(180)가 제거된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1챔버 바닥면(11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면(1111)과 제2면(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1)의 하부에는 제2챔버(1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면(1111)의 너비는 상기 제2면(1112)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2챔버 투입구(125)에 탱크도어(121)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탱크도어(121)는 상기 탱크도어를 관통하여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제1윈도우(121a) 및 제2윈도우(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121a) 및 상기 제2윈도우(121b)는 각각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에 결합하는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메인도어(200)를 개방하고 다시 상기 탱크도어(121)를 개방할 필요없이, 바로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121a)가 상기 탱크도어(121)의 타측보다 일측에 가깝게 위치한다면, 상기 제2윈도우(121b)는 상기 탱크도어(121)의 일측보다 타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121a)가 급수탱크(81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면, 상기 제2윈도우(121b)는 배수탱크(82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면(1111)과 제2면(1112)을 보호하기 위한 제1바닥커버(181)와 제2바닥커버(182)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제1면(1111)상에 제1바닥커버(181)가 위치하고, 상기 제2면(1112)상에 제2바닥커버(18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분리부(119)가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 제1챔버 바닥면(111)과의 마찰을 줄이고, 제1챔버 바닥면(111)의 손상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바닥커버(181)와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바닥커버(181)와 제2바닥커버(182)를 제거하여 제1면(1111) 및 제2면(1112)이 노출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1면(1111)은 제1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구(171), 제1챔버(1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구(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제1공기흡입구(171)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시 제어부(900)는 커버를 제어하여, 제1공기흡입구(171)를 개방할 수 있다. 제1공기흡입구(171)는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보다 상기 투입구(139)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순환유로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즉, 제1공기공급구(151)를 통해 제1챔버(110)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제1챔버 상부면에서 방향을 변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때, 일부는 메인도어(200)의 내부로 들어가고, 일부는 다시 제1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는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면(1112)은 제1챔버(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공기흡입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기공급구(152)도 제2면(1112)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는 상기 제2공기흡입구(172)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유로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제2공기공급구는 연장면(1114)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면(1111) 및 상기 제2면(1112)은 베이스(131)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바닥커버(181) 및 제2바닥커버(182)가 각각 제1면(1111)과 제2면(1112)에 결합시 바닥면이 매끄럽게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8은 제1바닥커버(181)와 제2바닥커버(182)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제1면(1111)은 제1면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스팀공급구(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커버(181)가 설치되더라고 제1스팀공급구(161)는 노출될 수 있다. 제1바닥커버(181)가 분리부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 제1스팀공급구(161)에서 배출되는 스팀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는 제1면(1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는 스팀의 배출속도를 높이기 위해 노즐(Nozz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스팀공급구(161)의 단면의 크기를 줄여 스팀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는 상기 제1면(1111)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와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는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 및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보다 상기 투입구(139)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2면에 위치하는 제2공기흡입구(172) 및 제2스팀공급구(16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제1면(1111)과 제2면(1112)의 너비를 고려하면,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의 너비가 상기 제2공기흡입구(172)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너비가 상기 제2스팀공급구(162)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바닥커버(181)는 상기 투입구(139)과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18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1바닥손잡이부(18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닥커버(182)는 상기 투입구(139)과 상기 제2공기흡입구(17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182)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2바닥손잡이부(18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바닥커버(181) 또는 제2바닥커버(182)를 제1면(1111) 또는 제2면(1112)에서 분리할 때 사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바닥커버(181)는 상기 제1바닥커버(18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바닥관통홀(18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182)는 상기 제2바닥커버(18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바닥관통홀(18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여 제1공기공급구(151)를 통해 배출하거나,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복수 개의 제1바닥관통홀(1812) 및 복수 개의 제2바닥관통홀(1822)의 일례로 원이 아닌 둥근모서리를 갖고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닥커버(181) 및 상기 제2바닥커버(182)에는 관통되지 않고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1바닥홈(1813) 및 복수 개의 제2바닥홈(18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관통홀(1812)의 개수 및 배치와 제1바닥홈(1813)의 개수와 배치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닥홈(1813) 없이 상기 제1바닥관통홀(1812)만 구비될수도 있다. 이는 제2바닥커버(182)에 위치하는 제2바닥관통홀(1822) 및 제2바닥홈(182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면(111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방향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750)는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양 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향부(750)는 제3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타측에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2방향키트(7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키트(751) 및 제2방향키트(752)는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양 옆에 위치하는 방향설치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의 전방에는 제1수용공간(V1)과 제2수용공간(V2) 사이의 실링을 위한 전방가스켓(119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급수탱크(810) 또는 배수탱크(820)가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장착된 모습이다. 탱크모듈프레임(129)은 탱크도어(121)에 결합된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가 제2챔버(120)의 내부에서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챔버(120)에 위치하는 스팀유닛(730) 및 송풍유닛(700)과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는 상기 스팀유닛(730)과 연결되어, 스팀발생을 위해 필요한 물을 상기 스팀유닛(730)에 공급하게 될 것이다. 상기 배수탱크(820)는 상기 열교환부(740)또는 상기 제1챔버(11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배출하여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810)와 상기 배수탱크(820)는 급수체크밸브의 포함여부 및 기능면에서 차이가 있으나, 형태는 매우 유사하므로 상기 급수탱크(810)에 대한 설명이 상기 배수탱크(8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탱크도어(121)는 제2챔버 투입구(125)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이다. 즉, 상기 제2챔버(120)의 하측에 상기 제2챔버(120)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2챔버(120)와 상기 탱크도어(121)가 힌지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는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탱크도어(121)를 폐쇄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도어(121)로 인해, 의류처리장치(1000)의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 형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디자인적으로 간결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면서도, 제1윈도우(121a) 및 제2윈도우(121b)를 통해 사용자는 수위를 메인도어(200)를 열자마자 알 수 있다. 또한, 탱크도어(121)를 회전시켜 개방하게 되면, 급수탱크(810)를 상기 탱크도어(121)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틸팅(tilting)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물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탱크도어(121)중 상기 제2챔버 투입구(125)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탱크도어내면(121c)에는 급수탱크(810)및 배수탱크(8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도어(121)가 개방시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의 상측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도어(121)가 개방시 상기 급수탱크(810)도 같이 회전하여 기울어지므로, 상기 급수탱크리드(812)가 노출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급수탱크(810)를 상기 탱크도어(121)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8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흡입구(171)와 연결되는 상기 인렛덕트(711) 내부에는 필터부(171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712)는 상기 인렛덕트(711)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는 상면이 개구되어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탱크바디(811) 및 상기 상면에 결합하여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뚜껑을 형성하는 급수탱크리드(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바디(811)는 바다면을 제외하고 물을 저장하는 공간의 외형을 형성하는 급수메인바디(8111) 및 상기 급수메인바디(8111)와 결합하여 급수탱크(8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급수바닥면(8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메인바디(8111)는 물이 저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바닥면(8112)은 급수체크밸브(814) 및 탱크모듈프레임(129)에 복잡한 구조가 보이지 않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바닥면(8112)은 상기 급수탱크(810)의 바닥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급수탱크(810)가 외부바닥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급수탱크(810)의 바닥면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부(8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8112c)에 의해 외부바닥면에 상기 급수탱크(810) 또는 배수탱크(820)가 지지되어 넘어지지 않고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측면부(8112c)에 의해 상기 급수탱크(810)가 세워지는 경우에도 상기 급수체크밸브(81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급수바닥면(8112)은 급수체크밸브(81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바닥연통홀(8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안착시, 상기 급수바닥연통홀(8112a)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급수탱크(810)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731) 사이를 연결해주는 급수유로(미도시)와 연결될 것이다.
급수탱크(810)에서 스팀유닛(730)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급수바닥면(81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에 결합시 상기 급수체크밸브(814)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293)과 결합한 후, 상기 유로연결부(1293)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결합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유로연결부(1293)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위치하고,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이 회전하여 제2챔버 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급수체크밸브(814)가 상기 유로연결부(1293)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탱크(810)는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에 광(lignt)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부(830)는 상기 급수탱크(810) 및 상기 배수탱크(820)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탱크모듈프레임(129)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부(830)는 사용자가 제1윈도우(121a) 및 제2윈도우(121b)를 통해 수위를 확인하기 쉽게 할 것이다.
상기 백라이트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급수탱크바디(811)와 급수탱크리드(812)가 결합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8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탱크바디(811),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의 상부를 보호하는 급수탱크리드(812), 및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개구부(8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의 바닥면인 급수바닥면(8112)은 급수체크밸브(81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바닥연통홀(8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안착시, 상기 급수바닥연통홀(8112a)에 연결되는 상기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급수탱크(810)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731) 사이를 연결해주는 급수유로(미도시)와 연결될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급수탱크(810)에서 스팀유닛(730)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급수바닥면(81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급수체크밸브(814)는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에 결합시 상기 급수체크밸브(814)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293)과 결합한 후, 상기 유로연결부(1293)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결합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유로연결부(1293)은 상기 탱크모듈프레임(129)에 위치하고, 상기 탱크도어내면(121c)이 회전하여 제2챔버 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급수체크밸브(814)가 상기 유로연결부(1293)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급수탱크리드(812)는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 및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에서 절곡되어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의 배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배면(8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의 일부는 상기 급수탱크(8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다. 이는 탱크도어(121)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810)가 회전시, 상기 급수탱크리드(812)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데,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의 경사진 부분이 회전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배수탱크(8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서 분리할 때 사용하기 위한 리드착탈장치(8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착탈장치(8121)를 통해 급수탱크(810) 또는 배수탱크(820)에서 급수탱크리드(812) 또는 배수탱크리드(미도시)를 완전히 제거한 후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드착탈장치(8121)는 미감을 위해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의 전면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고,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드착탈장치(8121)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도 10(b)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810)는 급수탱크바디(811)와 급수탱크리드(812)로 분리될 것이다. 도 10(b)에는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와 상기 급수탱크바디(811)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바디후크 결합부(8111a)와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가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의 상측에서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의 전면 및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일례일 뿐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와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다른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후크 결합부(8111a)와 상기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가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드착탈장치(8121)의 일단에는 후크형상이 있어서, 상기 제1바디후크 결합부(8111a)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 리드배면(812b)의 일단에도 후크형상이 있어서, 상기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1(a)는 상기 급수탱크리드(812)가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 결합된 일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에 위치하는 급수개구부(8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개구부(8122)는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과 급수탱크 리드배면(812b)을 연결하는 하향경사진 부분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수탱크(8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812a)과 상기 급수개구부(8122)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급수개구부(8122)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급수탱크 손잡이부(812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 손잡이부(8124)는 언더컷(under cut)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상기 급수탱크(810)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급수탱크(810)에 구비되는 급수수위센서(813)의 일례로써, 부표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급수수위센서(813)는 부표와의 접촉여부를 알리는 접촉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급수탱크(810)나 배수탱크(820)를 틸팅(tilting)한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개구부(8122)를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급수탱크리드(812)는 급수탱크바디(811)와 연통하는 급수탱크리드 연통홀(미도시)을 통해 급수탱크바디(811)로 물이 공급될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리드 연통홀은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하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는 어느정도의 물이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하기가 힘들므로, 이를 위해 수위센서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10)의 수위가 낮아 부표가 떨어지게 될 것이고, 물이 차서 부표가 상승하여 부표가 상기 급수탱크리드(812)에 위치한 접촉감지부에 닿게 되면, 더 이상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는 신호를 제어부(900)로 보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0)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여,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를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에서 분리되는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드착탈장치(8121)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리드착탈장치(8121)의 일단에 구비되는 후크가 제1바디후크 결합부(8111a)에서 분리될 것이다. 아직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와 대응되게 위치하고, 상기 급수탱크 리드배면(812b)의 일단에 구비되는 후크는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와는 후크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급수탱크 리드배면(812b)에 위치하는 후크를 중심으로 급수탱크리드(812)가 회전할 수 있다. 결국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상기 제2바디후크 결합부(8111b)와도 분리되게 되어, 상기 급수탱크리드(812)는 상기 급수탱크바디(811)와 분리될 수 있다. 결합시에는 역순으로 다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는 방향부(750)의 위치와 제2공기공급구(152)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향부(750)는 제3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타측에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2방향키트(7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키트(751) 및 제2방향키트(752)는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양 옆에 위치하는 방향설치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2방향키트(752)에서 공급되는 향기를 제1챔버(110)의 내 부로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유로를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유로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 및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와 연결되는 순환덕트(710), 구체적으로는 공급덕트(713)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0)로 공급되는 공기에 향기가 같이 섞여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는 제2공기공급구(152)가 제2면(1112)이 아닌 제1면(1111)과 제2면(1112)을 연장하는 연장면(1114)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면(1114)은 상기 분리부(119)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공급구(151)와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는 다른 면에 형성되나, 서로 수직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가 제2면(1112)에 위치할수도 있으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의 길이 및 유로의 단순화를 위해 제2면(1112)보다는 연장면(1114)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분리부(119)도 제1면상에서만 이동가능하므로, 상기 제2공기공급구(152)가 연장면(1114)에 위치하여도 제2수용공간(V2)에 열풍을 공급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방향부(750)도 이와 더불어 제1공기공급구(151)와 제2공기공급구(152)를 통해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방향키트(751)가 제1공기공급구(151)와 연결되고, 제2방향키트(752)가 제2공기공급구(152)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공급덕트(713)가 제1공기공급구(151) 및 제2공기공급구(152)로 분리되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1방향키트(751)와 상기 제2방향키트(752)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2(b)와 마찬가지로,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서 L1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도 6(a)에서의 P1) 하는 경우, 분리부(119)는 제1챔버(110)를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위치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제3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로라도 이동할 수 있다. 즉, 행어(610)와 행어(6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를 제1수용공간(V1)과 제2수용공간(V2)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110)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를 하나의 수용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수용공간은 각각의 스팀공급구, 공기흡입구 및 공기공급구를 통해 열풍, 스팀, 및/또는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수용공간(V1)은 제1스팀공급구(161), 제1공기흡입구(171) 및 제1공기공급구(151)를 통해 열풍, 스팀 및/또는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2수용공간(V2)은 제2스팀공급구(162), 제2공기흡입구(172) 및 제2공기공급구(152)를 통해 열풍, 스팀 및/또는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제1스팀공급구(161)는 제1면(1111)에 위치하고, 제2스팀공급구(162)는 연장면(1114)이 아닌 제2면(1112)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팀을 측면에서 공급하는 것보다는 바닥면에서 공급해야 보다 각 수용공간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리된 공간은 각기 독립적으로 열풍, 스팀 및/또는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공간 중 필요한 공간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양쪽 공간에 다른 종류의 옷을 거치한 후 각각 처리행정 및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분리부(119)에 의해 제1챔버(110)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공기공급부, 스팀공급부 및 방향부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듀얼 공기(Dual Air), 듀얼 스팀(Dual Steam), 듀얼 아로마(Dual Aroma)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분리부(119)에 의해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공간만을 사용해서, 열풍, 스팀 및/또는 향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한다면 이를 단독케어(single care)라 칭할 수 있다. 양쪽 수용공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상요한다면 분리케어(separated care)라 칭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의 제1챔버(110)가 분리부(119)에 의해 분리되면, 공간별로 스팀의 양, 스팀 공급시간, 열풍 공급양 및 건조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별로 최적화된 스팀양 및 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시간 절약, 비용 절약등의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부(119)를 이용하면, 제1챔버(110)의 공간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공간에 향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도 복수 개의 방향키트가 구비되어 각각의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방향키트(751)는 제1수용공간에 제2방향키트(752)는 제2수용공간에 향기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각기 제1공기공급구(151) 및 제2공기공급구(152)를 통해 향기를 공급하게 될 것이므로, 분리부(119)가 어디에 위치하여도 분리된 공간에 향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제1방향키트(75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방향키트(752)도 설치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상기 제1방향키트(751)의 형태와 동일할 것이다.
상기 제1방향키트(751)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에서 제3방향을 따라 상기 제1스팀공급구(161)의 측면에 구비되는 방향설치부(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제1방향키트(751)는 전면에 개구부(7511a)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7511a)를 통해 방향제가 포함된 패드(pad, 7511b)를 수용하는 제1방향바디(7511), 상기 제1방향바디(75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방향커버(7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커버(7512)는 상기 제1방향커버(751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방향홀(7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홀(7513)을 통해 상기 제1방향키트(751) 내부에 구비되는 패드에서 향기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키트(751)는 상기 복수 개의 제1방향홀(7513)의 하부에는 상기 제1방향커버(7512)를 관통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방향조절가이드홀(7515), 상기 제1방향커버(7512)의 내면에 결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방향홀(7513)의 개수를 조절하는 제1방향조절판(7516) 및 상기 제1방향커버(7512)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방향조절가이드홀(7515)을 통해 상기 제1방향조절판(7516)과 결합하고, 상기 제1방향조절가이드홀(7515)을 따라 움직이는 제1방향조절손잡이(75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방향조절손잡이(7514)를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방향조절판(7516)이 상기 복수 개의 제1방향홀(7513)을 막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제1방향홀(7513) 중 개구된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향이라도 향기가 공급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의류에 향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 및 도 34를 참조하면, 분리부(119)가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 이동구간안에 있는 행어는 행어배열부(510)를 통해 상부패널(132) 및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로 이동을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상부패널(132) 및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로 이동을 해야하는 행어에 옷걸이 등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분리부(119)가 파손되거나 행어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또한, 제1바닥커버(181)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안되어 한쪽이 들떠있거나, 제1방향키트(751) 또는 제2방향키트(752)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고 돌출되어 잇는 경우에도 분리부가 이동시, 분리부(119)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부(750)는 상기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2방향키트(752)가 각각 방향설치부(미도시)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해주는 제1방향설치센서(7518) 및 제2방향설치센서(75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설치센서(7518) 및 상기 제2방향설치센서(7528)는 일종의 리드스위치(Reed switch)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커버(7512) 및 상기 제2방향커버(미도시)는 상기 제1방향설치센서(7518) 및 상기 제2방향설치센서(7528)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2방향키트(752)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리드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없으므로 이를 통해 제어부(900)는 상기 제1방향키트(751) 및 상기 제2방향키트(752)를 체크해달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1111)은 상기 제1바닥커버(181)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바닥센서(1111a, 1111b, 1111c, 1111d)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센서(1111a, 1111b, 1111c, 1111d)는 리드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바닥커버(181)의 밑면에는 상기 바닥센서(1111a, 1111b, 1111c, 1111d)에 대응되는 부분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닥커버(181)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이상의 모서리가 들뜨게 되면, 제어부(9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181)의 상태를 체크해달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에 구비되는 행어걸이부(682)는 옷걸이의 거치여부를 확인하는 옷걸이체크센서(35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옷걸이가 거치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900)는 분리부(119)를 이동시키는 대신 옷걸이를 제거해 달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상기 메인도어(200)가 투입구(139)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2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미도시)는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릴 수 있으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어떠한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의 사이 및 상기 제1챔버(1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119)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공간조절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조절부(910)를 통해 상기 분리부(119)를 이동시켜 제1챔버(110) 내부를 분리하여 사용하면, 하나의 의류처리장치(1000)에서 서로 다은 옷감의 옷을 동시에 케어(care)하거나, 서로 다른 사용자의 옷을 분리하여 케어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제1챔버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지 못하므로 옷감의 종류가 다른 옷의 경우 동시에 케어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옷감의 종류가 다른 경우 구분하여 별도로 케어를 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공간조절부(9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어느 하나의 행어의 위치 (P1, P2)나 상기 제1챔버(110)의 일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간조절부(910)는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 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간조절부(910)을 통해, 사용자는 분리부(119)가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입력한 후 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분리부(119)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최초 임의설정(default)된 값으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중 어느 하나의 행어의 위치 또는 상기 제1챔버9110)의 일측면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조절부(91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의 사이 및 상기 제1챔버(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전면커버(136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커버(1361)에서 상기 공간조절부(910)는 도 15(a)와 같이 버튼 형식으로 구비되거나,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터치형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복수 개의 행어(610)의 일례로 5개의 행어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5개의 행어를 좌측부터 편의상 제1행어(611), 제2행어(612), 제3행어(613), 제4행어(614) 및 제5행어(615)라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5개의 독립적인 행어 및 이에 대응되는 5개의 절개홀을 구비한 일례를 활용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는 편의상 활용하는 것일 뿐, 행어 및 절개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상기 분리부(119)가 어느 하나의 행어의 위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절개홀(1121)의 위치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부(119)는 제2행어(612)가 위치하는 P1이나 제3행어가 위치하는 P2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제1면(1111)과 연결되는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P3에 위치할 수 있다.
분리부가 제1행어(611)의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이유는 분리되는 수용공간이 최소 하나의 행어를 포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119)는 P1 또는 P2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가 제4행어(614)에 위치하지 않는 이유는 상기 분리부(119)가 제1행어(611)에 위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리되는 수용공간이 하나의 행어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굳이 같은 경우를 중복되게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는 P2에서 제4행어(614)나 제5행어(615)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제1면(1111)과 연결되는 일측면인 P3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부(119)는 제1챔버(110)의 내부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가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 전체를 활용할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갖도록 수용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제1면(1111)과 연결되는 일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상기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2개의 행어는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같이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행어배열부(510)를 통해 후술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이와 다른 방법 또는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공간조절부(910)는 상기 제1챔버의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분리부(119)를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5개의 행어가 구비되는 예를 들고 있다. 이를 위해 공간조절부(910)는 3개의 조절부, 즉 제1조절부(911), 제2조절부(912), 제3조절부(9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행어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3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5(a)에서, 현재 분리부(119)는 5개의 행어 중 제3행어(613)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양쪽으로 분리된 수용공간은 각각 2개의 행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조절부(911)를 누르거나 터치한다면, 상기 분리부(119)는 제2행어(612)의 위치인 P2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가 제2조절부(912)를 누르거나 터치한다면, 상기 분리부(119)는 제3행어의 위치인 P2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다시 제3조절부(913)를 누르거나 터치한다면, 상기 분리부(119)는 P3의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물론 분리부(119)가 제2행어(612)의 위치인 P1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3조절부(913)를 누르거나 터치한다면 바로 P3의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제1챔버(110) 내부에서 제3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행어(610)중 일부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 즉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는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개별적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챔버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119)의 초기위치인 P2에서 제3행어(613)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제1조절부(911)를 누르면, 우선 이동될 위치인 P1에 위치한 제2행어(612)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분리부(119)가 P1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3행어(612)는 다시 제1챔버(11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행어(613)는 상기 분리부(119)가 제3행어(613)의 위치를 벗어나자 마자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
만약, 분리부(119)가 초기위치인 P2에서 P3로 이동하는 경우, 분리부(119)가 이동하기 전 제4행어(614) 및 제5행어(615)가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19)가 P3에 도달하거나 상기 분리부(119)가 제5행어(615)의 위치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제3행어(613) 상기 제4행어(614) 및 상기 제5행어(615)가 다시 제1챔버(110) 내부로 돌출될 것이다.
이러한 행어의 이동을 팝업행어(Pop-up hanger)라 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은 제어부(900)가 행어배열부(510)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32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행어(610)를 여러가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분리부(119)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0)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행어(610)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 상기 제2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 및 상기 제3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1챔버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1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 상기 제2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 및 상기 제3방향(또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 모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행어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00)는 복수 개의 행어(610)중 하나 이상의 행어를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 상기 행어부(600)를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운송구동부(540), 상기 행어부(600)를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개폐하는 메인도어(20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61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119); 및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시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행어배열부(510), 운송구동부(540), 왕복운동부(520) 및 이동구동부(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이중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즉, 4개의 구동부(510, 520, 530, 540)가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구동부(500)는 하나의 구동모터만을 이용하여 상기 행어부(600)를 상기 제1방향,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 중 어느하나로 이동시키거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각 방향의 운동을 연계시키거나, 일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외한 나머지 운동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는 장치, 예컨대 클러치 또는 구동제한장치,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530); 및 상기 행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행어부(600) 및 구동부(5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사이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행어(610) 또는 분리부(119)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행어(610)를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 복수 개의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00)를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운송구동부(540), 상기 행어부를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분리부(119)를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32),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상기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개부(112a), 상기 절개부(112a)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610), 및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610)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05)를 포함하는 행어부(600), 상기 캐비닛(130)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행어부(600)보다 상기 투입구(139)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부(600)를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면이라 함은 전방면을 뜻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운동이 가능한 행어를 무빙행어(moving hanger)라 칭한다.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동력모터 회전축부(522)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를 회전자계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동력모터부(521),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와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모터부(521)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3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행어부(600)를 왕복운동시키는 운동바디부(526) 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522)은 제1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모터부(521)의 회전운동은 상기 동력모터부(5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운동바디부(526)를 통해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행어지지부(605)에 전달될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운동바디부(526)은 상기 행어지지부(60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상기 제3방향으로 왕복시키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보다 상기 투입구(139)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왕복운동부(520)과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수직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운동바디부(526)과 상기 행어지지부(605)는 수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왕복운동부(520), 상기 운동바디부(526) 및 상기 행어지지부(605)는 L자 형태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무빙행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의 공간에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 예컨대 이동구동부(530), 운송구동부(540) 및 행어배열부(510), 들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상에서 상기 행어부(600)에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음 및 진동을 고러하면,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부(6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지지부(60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이라 함은 상기 행어부(600)와 상기 왕복운동부(520)가 같은 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가정한 경우이다. 즉, 상기 행어부(600)와 상기 왕복운동부(520)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제1방향을 따라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시, 상기 행어부(600)와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부(605)와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상부패널(13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지지부(605)를 상기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는 거치된 의류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물질은 송풍유닛(70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718)를 통해 걸러지게 될 것이다.
상기 행어지지부(605)는 상기 행어(6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프레임(630),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 및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하는 행어지지스테이지(620), 및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홀(6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는 상기 왕복운동부(520)에 의해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가 왕복운동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상에 결합된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결국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 결합된 행어(610)가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이동가이드홀(625)을 따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송구동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운동부(520)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 상에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과 상기 캐비닛(13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119), 및 상기 상부패널(13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제1챔버(110) 내부에서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 및 상기 캐비닛(13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향해 개구되어 단면이 알파벳 U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 각각은 도립(inverted)된 U자 형상, 또는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상(channel shap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은 U자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이 아닌 절곡된 평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을 연결시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지지프레임(6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바(64) 및 상기 행어바(64)를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63)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64)는 바(bar)형태로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며,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행어바(64)는 상기 행어바(64)에 형성된 복수 개의 행어홈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64)는 양단의 지지바(6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62)는 상기 행어바(64)가 상기 구동부(63)에 의해 왕복운동시, 상기 행어바(64)를 지지하면서 같이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4)는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4)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편심된 회전으로 바꾸는 편심바디 및 상기 편심바디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b)는 E-E'를 따라 절단하여 일 측면을 바라본 것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변환부(69)는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slot)또는 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편심바디의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행어바(64)는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3)는 상기 행어바(6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63) 및 상기 행어바(64)는 하나의 수직선 상(AS1)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왕복운동(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부(63)에서 상기 행어바(64)까지의 길이가 커질 수 밖 없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63)가 제1챔버 상부면의 하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62)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부(63) 및 상기 행어바(64)의 차지하는 크기, 특히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른 길이, 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만약, 상기 구동부(63)가 상기 제1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부(63) 및 상기 행어바(64)의 수직적 결합은 캐비닛의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의 높이차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도 18(a)는 행어부와 구동부(또는 왕복운동부)의 결합에 있어서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왕복운동부(58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부, 상기 동력모터부의 중심에서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모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에 결합하되, 상기 동력모터에 회전축부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편심바디(582), 상기 편심바디(582)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바디부(59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행어를 포함하는 행어부(6610)은 상기 운동바디부(596)에 의해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부(580)는 상기 운동바디부(596)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가이드(59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상기 운동가이드(5961)를 상기 운동바디부(596)의 전면 및 후면에서 각각 양 모서리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운동바디부(596)가 오직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만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부재로 도시하였다.
도 18(b)는 K-K'를 따라 절단하여 일 측면을 바라본 것이다.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왕복운동부(580)는 상기 행어부(6610)의 상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부(6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80)는 하나의 수직선(AS1)상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행어부(6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80)가 수직적 결합을 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힘의 전달경로가 짧아지고, 힘을 일 측면에서 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구조역학적 변형에 더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왕복운동부(580)는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의 사이의 공간은 커지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도 19(a)는 행어부와 구동부(500, 또는 왕복운동부(520))의 결합에 있어서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왕복운동부(5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부(521), 상기 동력모터부의 중심에서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에 결합하되, 상기 동력모터에 회전축부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편심바디(5253), 상기 편심바디(5253)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바디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행어를 포함하는 행어부(610)은 상기 운동바디부(526)에 의해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운동바디부(526)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가이드(52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상기 운동가이드(5291)를, 상기 행어부(600)의 전면 및 상기 운동바디부(526)의 후면에서 캐비닛의 너비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운동바디부(526)가 오직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만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부재로 도시하였다.
도 19(b)는 F-F'를 따라 절단하여 일 측면을 바라본 것이다.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부(610)와 다른 곳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상기 행어부(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다른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부(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 또는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행어부(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20)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시, 상기 행어부(610)는 상기 제1버 상부면(112)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서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에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부(610)의 위치는 수직선 (AX1)의 위치인 반면, 상기 왕복운동부(520)의 위치는 다른 수직선(AX2)의 위치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행어(610)는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 또는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행어부(600)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과 달리, 상기 행어부(600) 및 상기 왕복운동부(520)가 수평적 결합을 함을 알 수 있다. 엄밀히는 상기 행어부(600)에 운동변환을 담담하는 상기 운동바디부(526)가 다른 위치에서 결합을 하고, 상기 동력모터부(521)는 상기 운동바디부(526)의 상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수직적 결합에 비해, 상기 행어부(600) 및 상기 왕복운동부(520)의 결합높이(H2)를 도 18에서의 상기 행어부(6610) 및 상기 왕복운동부(580)의 결합높이(H1)보다 낮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부(500)는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결국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의 사이의 공간을 보다 컴팩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부(520)와 상기 행어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바디부(526) 및 상기 행어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회전력을 상기 행어부(600)가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20(a)는 행어바(564)를 포함하는 행어부(563), 상기 행어부(563)를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60)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9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행어부(563) 및 상기 왕복운동부(560)는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 또는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행어부(563) 및 상기 왕복운동부(560)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시, 상기 행어부(563)는 상기 제1버 상부면(112)에서 제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왕복운동부(56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서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에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부(563)의 위치는 수직선 (AY1)의 위치인 반면, 상기 왕복운동부(560)의 위치는 다른 수직선(AY2)의 위치임을 알 수 있다. 비록 상기 행어부(563) 및 상기 왕복운동부(560)가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 특히 높이, 은 도 17의 경우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어바(564)의 뒤쪽 공간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왕복운동부(560)와 상기 행어부(56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바디부(576) 및 상기 행어부(56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운동바디부(576)는 회전력을 상기 행어부(563)가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구동부의 레이아웃(layout)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일면에 투입구(139)를 포함하는 캐비닛(130), 상기 캐비닛(1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개폐하는 메인도어(20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9)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10),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2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610),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0)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119); 및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시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행어(610)를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510), 복수 개의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00)를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운송구동부(540), 상기 행어부를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분리부(119)를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6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1에는 상기 행어(610)가 복수 개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610)를 포함하는 행어부(6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상에 표시된 상기 구동부(500)의 위치를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왕복운동부(620)는 상기 행어부(600)와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왕복운동부(620)는 상기 행어부(600)보다 투입구(139)보다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왕복운동부(620)는 상기 행어부(6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왕복운동부(620)가 상기 행어부(600)의 전방이나 일측면에 있을 때보다 소음 및 진동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왕복운동부(620)의 위치로 인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의 높이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610)의 측면 및 상기 행어지지부(60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610)를 캐비닛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운송구동부(540)와 상기 행어(610)의 상대적인 거리가 어긋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행어부(600)가 왕복운동하게 될 때마다, 상기 운송구동부(540)와 상기 행어(610)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부(600)가 상기 왕복운동부(620)에 의해 왕복운동시, 상기 운송구동부(540)도 같이 왕복운동하게 되면, 상기 행어(610)와의 상대적인 거리가 고정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610)의 측면 및 상기 행어지지부(60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상기 행어부(600)와 같이 왕복운동할 수 있으면, 상기 행어부(600) 상에서 어디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행어(610)를 캐비닛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헝어(610)가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행어(610)가 복수 개로 구비된다면,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6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1은 상기 행어배열부(510)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이동시키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이와 달리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일부의 행어(610)만 선택적으로 이동시킬수 도 있다.
상기 행어배열부(510)도 상기 행어(610)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배열부(510)도 상기 행어부(600)와 함께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배열부(510) 및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지지부(605)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와 함께 같이 왕복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구동부(530)은 상기 행어부(600)의 일 측면에 상기 행어부(60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부(52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왕복운동부(520) 및 상기 행어부(600)이 위치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1은 상기 이동구동부(530)가 상기 행어지지부(605)의 일 측면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행어부(605)가 왕복운동시 상기 이동구동부(530)와의 부딪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2(a)는 행어배열부(51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 홀 중, 상기 분리부가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구간내에 위치하는 일부의 행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통해 각각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 또는 상기 제1챔버 내부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보통의 경우 복수 개의 행어(610)는 제1챔버(110)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분리벽(1191)이 위치하는 곳에서의 행어는 제1챔버(110) 내부에 위치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때,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분리벽(1191)이 위치하는 곳의 행어를 회전시켜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로 해당되는 행어를 이동시킬 것이다.
또한, 분리벽(1191)이 제1위치에서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1위치에 위치한 행어는 상기 분리벽(1191)이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이동될 것이고, 제2위치에 있는 행어는 상기 분리벽(1191)이 이동하기 전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캐비닛(130)의 높이방향으로 제1챔버(110)의 외부 또는 내부, 즉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행어배열부(510)는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동이 필요한 행어들을 개별적 또는 함께 이동시키기 배열모터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서와 같이, 5개의 행어가 구비되고, 분리부(119)가 P1, P2, P3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제2행어(612) 및 상기 제3행어(613)를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배열모터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제4행어(614) 및 제5행어(615)를 이동시키기 위한 1개의 배열모터를 더 포함할 것이다.
즉, 배열모터의 개수는 행어의 개수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이동이 필요한 행어 각각을 이동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배열모터를 구비할수 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같이 움직여도 무방한 행어들은 하나의 배열모터를 이용하여 같은 배열모터 회전축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일반적인 모터의 빠른 회전속도를 고려하면,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의 각각의 회전속도를 낮추기 위한 감속기(미도시) 혹은 유성기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감속기 또는 유성기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의 각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 각각에 구비되는 배열모터 회전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2(b)는 복수 개의 행어(610)를 지지하는 행어지지프레임(630) 및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행어가이드레일(628, 도16 참조)을 따라 이동시키는 운송구동부(54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의 일단을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제3방향을 따라 양단에 형성된 행어래크(hanger rack, 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래크(635)에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회전을 통해 상기 행어래크(635)를 이동시키면 결국 상기 행어래크의 사이에 구비되는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투입구(139)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행어부(6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2(c)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지지하는 행어지지스테이지(hanger supporting stage, 620) 및 왕복운동부(52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행어부(600)는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610),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행어지지프레임(630),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지지하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c)는 행어부 중 왕복운동부(520)와 결합하여 상기 행어부(600)를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d)는 분리벽(1191)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부(53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구동부(530)는 행어지지스테이지(620)의 일측이 절개되어 함몰된 간섭방지홈(629)을 통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홀의 제3방향을 따라 함몰된 길이인 R1은 상기 이동구동부(530)에 구비되는 이동모터(531)를 지지하는 이동모터 지지부의 제3방향을 따른 길이인 T1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가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 상기 이동구동부(53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도 22(d)에 도시된 이동구동부(530)는 분리벽(1191)을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535) 및 상기 이동부재(535)를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이드부(6321, 4323, 5331, 5333) 및 상기 이동가이드부(532 )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동모터(531) 및 이동기어부(53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레일 뿐, 상기 이동구동부(530)가 상기 분리벽(1191)을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다른 방법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은 행어배열부(510)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23은 하나의 행어가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제1챔버 상부면(112)의 상부로 올라온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챔버(11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개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12a)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 도 27)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의 각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6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부(600)를 지지하기 위한 판 형태의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관통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 홀(625, 도 22(d)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 상부면)과 상부패널(132) 사이에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위에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행어(61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행어배열부(510)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625) 및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을 통과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비행기의 랜딩기어와 같은 원리이다. 즉 필요시에만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기준으로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상부 또는 하부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를 포함하는 배열모터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행어(610) 모두가 개별적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위치하는 행어 또는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구간내에 위치하는 행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열모터부(511)를 필요로 하고, 그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23은 하나의 일례로 5개의 행어(611, 612, 613, 654, 615)를 포함하는 행어부 및 3개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을 포함하는 배열모터부(511)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배열모터(5111)은 제2행어(612)를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제2배열모터(5112)는 제3행어(613)을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배열모터(5113)은 제4행어(614) 및 제5행어(615)를 동시에 같이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즉, 배열모터(5111, 5112, 5113) 구비되어 배열모터(5111, 5112, 5113)에 의해 회전하는 배열모터 회전축(5111a, 5111b, 5111c)은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사각파(square wave)형태가 복수 개 반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미앤더 라인(meander line) 형태 혹은 요철형태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길이가 제2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향해 개구되어 단면이 알파벳 U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 각각은 도립(inverted)된 U자 형상, 또는 일측이 개구된 채널형상(channel shap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은 U자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이 아닌 절곡된 평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을 연결시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지지프레임(6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은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행어부(600)는 상기 이동가이드홀(62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캐비닛(130)의 깊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행어가이드레일(6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은 상기 행어가이드레일(628)이 삽입되도록 제2방향을 따라 함몰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행어가이드레일(628)은 상기 운송구동부(540)에 의해 투입구(139)에서 가까워지거 멀게 이동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행어가이드레일(628)은 복수 개로 구비될수 도 있다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함이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을 연결시켜 일체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단에 행어래크(hanger rack, 6351, 6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단 구비되는 제1행어래크(6351) 및 제2행어래크(6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제1행어래크(6351)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 중 상기 제1행어랭크(6351)에 가장 인접하는 하나의 회전지지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2행어래크(6352)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 중 상기 제2행어래크(6352)에 가장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회전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이동지지프레임(6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과 행어래크(6351, 6352)를 연결시켜 결국 사각파(square wave) 형태 또는 미앤더라인(meander line) 형태의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는 회전시키고자 하는 행어가 삽입되는 회전지지프레임(63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에 포함되는 각 배열모터 회전축(5111a, 5111b, 5111c)은 행어배열부(510)가 회전시키고자 하는 행어와 연결되기 위해,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 내부에 삽입되는 행어와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3,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제1배열모터(5111)와 제2행어(612)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배열모터 회전축이 상기 제2행어(612)가 삽입된 회전지지프레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행어(612)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열모터(5111)가 상기 제2행어(612)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상부로 회전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열모터 회전축이 상기 제3행어(613)가 삽입된 회전지지프레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3행어(613)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열모터(5112)는 상기 제2행어(612)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하부로 회전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서, 제1행어(611)는 분리부(119)가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구간 내에 있지 아니하므로 배열모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제4행어(614) 및 제5행어(6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3배열모터 회전축이 상기 제4행어(614)가 삽입된 회전지지프레임의 양면 및 상기 제5행어(615)가 삽입된 회전지지프레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4행어(614) 및 상기 제5행어(615)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배열모터(5113)는 상기 제4행어(614) 및 상기 제5행어(615)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하부로 회전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회전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 중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서 상기 제1면(1111)을 마주보는 부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홀에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배열부(5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캐비닛의 일 측면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2개의 행어는 함께 회전이동될 수 이끼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의 개수는 복수 개의 행어(610)의 개수와 동일하다 일대일로 대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의 위치는 복수 개의 행어(610)의 위치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삽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632)의 개수도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상기 행어배열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행어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의 개수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도 24(c)는 행어지지프레임(630)과 행어부(600) 및 운송구동부(54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행어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625) 및 복수 개의 절개홀(1121)에 의해 안내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3 및 도 24(c)를 참조하면,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행어래크(6351) 및 제2행어래크(6352)와 각각 연결되기 위한 제1운송구동부(541) 및 제2운송구동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행어래크(6351)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단 중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서 후방을 향해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행어래크(6351)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단 중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서 후방을 향해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운송구동부(541)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운송모터(5411), 상기 제1운송모터(5411)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운송모터 회전축(5412), 및 상기 제1운송모터 회전축(54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행어래크(6351)에 결합되는 제1운송기어(54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운송구동부(542)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운송모터(5421), 상기 제2운송모터(5421)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2운송모터 회전축(5422), 및 상기 제2운송모터 회전축(54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행어래크(6352)에 결합되는 제2운송기어(54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과 유사한 원리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투입구(139)에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모터의 빠른 회전속도를 고려하면,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모터의 각각의 회전속도를 낮추기 위한 감속기(미도시) 혹은 유성기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감속기 또는 유성기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모터의 각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모터 각각에 구비되는 운송모터 회전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송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행어부(600)를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와 달리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행어부(600)는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 상에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행어가이드레일(6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가이드레일(628)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의 하부에 위치하는 홈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d)은 분리부(119)와 행어배열부(510)간 관계되는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의 위치에 따라,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분리부(119)를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행어(610)가 위치한 곳에 배치시,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610)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행어(610)가 위치하는 곳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 중이거나 이동을 완료한 후,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리부(119)는 행어(610)나 절개홀(1121)이 위치한 곳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행어와 다른 하나의 행어(610)의 사이, 또는 행어와 상기 제1챔버(110)의 일측면 사이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5(a)는 상기 분리부(119)가 어느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절개부(112a)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엄밀히는, 상기 분리부(119)가 어느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곳에 배치하기 전,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절개부(112a)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킬 것이다.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공간조절부(910)를 통해 상기 분리부(119)가 위치할 곳(제1위치)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가 위치할 곳(제1위치)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공간조절부(910)를 통해 상기 분리부(119)가 위치할 다른 곳(제2위치)을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를 다른 하나의 행어가 위치한 곳(제2위치)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다른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다른 하나의 행어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제1위치에 있던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이동시킬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은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1)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행어홀부(1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홀부(11211)는 구동부(500)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가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거나,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위 또는 아래로 이동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어(610) 각각이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행어홀부(11211)의 제3방향을 따른 너비는 상기 행어(610)의 왕복운동시의 진폭의 2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행어홀부(11211)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홀부(11211)의 크기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의 외형보다 큰 형태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행어홀부(11211)는 다른 형태로 구비될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은 T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가 회전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통과하는 것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 각각은 상기 행어홀부(11211)에서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니이홀부(11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니어홀부(11212)와 상기 행어홀부(11211)은 하나의 절개홀의 일부분을 뜻하므로 상기 리니어홀부(11212)와 행어홀부(11211)는 서로 인접하여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홀부(11212)는 이에 대응되는 이동가이드홀(625)에 삽입된 행어가 투입구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행어홀부(11211)는 이에 대응되는 행어가 후술할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어홀부(11211)의 제3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이 왕복운동시 움직이는 진폭의 2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진폭은 행어가 왕복운동시 행어홀부(1121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는 최대이동거리를 뜻한다.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T자 형상은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가 투입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가 제자리에서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한다면,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개홀(1121)의 형상은 단순한 사각형 형상 또는 I자 형상일 수 있다.
도 25(a)는 메인도어(200)가 개방되고, 분리부(119)가 복수 개의 절개홀 중 제3방향을 따라 가운데 위치한 절개홀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상기 분리부(119)가 위치하는 곳의 행어를 이에 대응되는 절개홀(1121) 및 이동가이드홀(625)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0)의 상부, 즉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사이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그리고, 나머지 행어들은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운송구동부(54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메인도어(2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부(600)를 상기 투입구(139)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즉 상기 메인도어(200)가 개방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부(600)를 상기 투입구(139)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메인도어(200)를 폐쇄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부(600)를 원래의 위치, 즉 상기 행어홀부(11211)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왕복운동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도 33(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도어(2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배열부(510)도 제3방향을 따른 이동의 가능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도어(200)가 개방시에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도어(200)가 폐쇄시에는 상기 분리부(119)의 위치는 상기 메인도어(200)의 개방시 설정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가 닫힌 경우에는 왕복운동 중일 수도 있으므로, 상기 행어부(600)가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중 상기 분리부(119)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도어(200)를 개방시, 상기 제1전면커버(1361)에 위치하는 공간조절부(910)를 통해 제1챔버(110)의 공간을 원하는 크기로 분리할 수 있다.
도 25(b)와 도 25(c)는 사용자가 공간조절부(910)를 통해 상기 분리부(119)의 목표위치를 선택한 경우,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될 목표위치에 해당되는 행어는 이에 대응되는 절개홀(1121)을 통해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삽입된 행어의 길이, 구제적으로는 행어바디부(681, 도 45 참조)의 길이는 상기 리니어홀부(11212)의 제2방향을 따른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행어홀부(11211)를 통해서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행어중 가장 너비가 큰 행어걸이부(682, 도 45 참조) 삽입되고, 상기 리니어홀부(11212)를 통해서는 상기 행어바디부(681)가 삽입될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시 행어의 길이를 고려하여, 행어가 메인도어(200) 개방시의 위치인 M1에서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회전될 위치인 M2까지 이동할 수 있다.
행어가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시,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행어를 회전시켜 상기 절개홀(1121)을 통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보다 위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도 25(d)를 참조하면, 목표위치에 위치한 행어가 회전하여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로 이동하면, 상기 분리부(119)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초기위치에서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행어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회전시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구동부(500)는 분리부(119)가 이동하기 전의 위치인 초기위치(또는 제1이동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와 다른 목표위치(또는 상기 제1이동위치와 다른 제2이동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0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0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후, 상기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이동시킬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행어(6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610)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610)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100)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제1챔버(100) 내부의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는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모두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로 이동될 것이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 행어마다 독립적으로 형성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달리 목표위치에 위치한 행어가 메인도어(200) 개방시의 위치인 M1에서 행어배열부(510)에 의해 회전될 위치인 M2까지 이동시 복수 개의 행어(610)가 모두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운송구동부(540)에 의해 함께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당 행어가 제1챔버(110)의 외부로 회전이동하고 분리부가 목표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다시 복수 개의 행어(610)를 메인도어(200) 개방시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메인도어(200)가 폐쇄시,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행어홀부(11211)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메인도어(200)가 개방시, 투입구(139)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행어를 웰컴행어(welcome hanger)라 칭할 수 있다.
도 26은 상기 행어부(600)를 제3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부(52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부(521), 상기 동력모터부(521)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동력모터 회전축부(522),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동력모터부(521)를 지지하는 동력모터 지지부(523), 및 상기 동력모터부(521)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600)에 전달하는 운동바디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모터의 빠른 회전속도를 고려하면,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모터의 각각의 회전속도를 낮추기 위한 감속기(미도시) 혹은 유성기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감속기 또는 유성기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모터의 각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모터 각각에 구비되는 동력모터 회전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력모터에 의해 움직이는 운동바디부(526)를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6 및 도 27(a)에서는 동력모터부(521), 동력모터 회전축부(522) 및 동력모터 지지부(523)가 제3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동력모터부(521), 동력모터 회전축부(522) 및 동력모터 지지부(523)를 각각 하나씩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동력모터부(521)의 크기 및 힘을 고려하여 변경가능하다.
상기 동력모터부(521)는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가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동력모터 지지부(5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동력모터 지지부(523)는 행어지지스테이지(620) 및 운동바디부(526)의 운동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결합되고,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의 자유단에 결합하는 편심바디(525)에 의해 상기 운동바디부(526)가 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보다 상기 투입구(139)에서 멀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 및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모터부(521)의 회전력을 제3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600)를 왕복운동시키는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수평한 높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와 하나의 매끄런운 평면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부패널(132)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1)에서는 행어바의 왕복운동을 위한 운동변환부(527)가 제1챔버(110)의 내부로 노출되어 소음이 클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왕복운동을 위한 운동바디부(526) 및 행어지지스테이지(620)가 모두 상기 제1챔버(110)의 외부, 즉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도 27(a)는 동력모터부(521), 동력모터 회전축부(522) 및 동력모터 지지부(523)가 제3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 개를 구비하는 경우, 같은 힘을 위해 하나의 동력모터를 사용할 때보다 동력모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면에서 효율적이다.
즉, 상기 왕복운동부(5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모터(5211) 및 제2동력모터(5212), 상기 제1동력모터(5211) 및 상기 제2동력모터(5212)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는 제1동력모터 회전축(5223) 및 상기 제2동력모터 회전축(5224),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동력모터(5211) 및 상기 제2동력모터(5212)를 지지하는 제1동력모터 지지부(523) 및 제2동력모터 지지부, 및 상기 제1동력모터(5211) 및 상기 제2동력모터(5212)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600)에 전달하는 운동바디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동력모터(5211) 및 상기 제2동력모터(5212)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한 후,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동바디부는 제3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를 왕복운동시키는 운동전달부(529), 상기 운동전달부(529)에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와 연결되는 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운동변환부(5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a)는 운동변환부(527)도 2개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운동변환부(527)는 제1방향으로 상기 운동변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롯부(52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운동변환부(527)에는 제1슬롯(5281)과 제2슬롯(528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27(a)는 하나의 예일 뿐, 상기 운동바디부(526)은 한 개의 운동변환부 또는 2개 이상의 운동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7(a), 도 28(a) 및 도 28(b)를 참고하면,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의 자유단에는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에 결합하는 디스크(disc)형태의 편심바디(525), 및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편심바디(525)에서 상기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편심돌출부(5251)를 포함할 수 있다. ,
따라서,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편심돌출부(5251)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운동을 상기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행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롯부(528)에 상기 편심돌출부(5251)가 삽입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돌출부(5251)는 원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편심돌출부(5251)는 상기 동력모터 회전축부(522을 중심으로 공전(revolution)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편심돌출부(5251)의 회전운동은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슬롯부(528)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롯부(528)에 결합된 편심돌출부(5251)는 상기 슬롯부(528)의 내부에서 제2방향으로는 자유롭게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 상기 슬롯부(528)는 상기 왕복운동부(520)의 왕복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부(528)는 상기 운동바디부(526)의 왕복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심돌출부(5251)는 제2방향으로는 상기 슬롯부(528)를 통해 상기 운동바디부(526)에 힘을 전달할 수 없고, 제3방향으로의 힘만 상기 슬롯부(528)를 통해 상기 운동바디부(526)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롯부(528)의 제2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편심돌출부(5251)의 회전반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운동변환부(527)에 의해 왕복운동으로 변환된 힘은 상기 운동전달부(529)를 통해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에 전달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7(d)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는 상기 운동바디부(526)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운동바디 연결부(62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운동바디 연결부(627)에 대응되도록,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복수 개의 운동바디 연결부(627)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어 함몰된 복수 개의 행어지지스테이지 연결부(52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를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왕복운동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는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행어홀부(11211)의 제2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의 진폭의 2배보다 커야 할 것이다. 반면, 상기 이동가이드홀(625)의 제2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의 진폭과 무관한다. 왜냐하면,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와 함께 왕복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 개의 운동바디 연결부(627)의 개수와 상기 복수 개의 행어지지스테이지 연결부(5295)의 개수는 동일한 형상의 암놈과 숫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개수도 동일할 것이다.
또한, 상기 운동바디부(526)는 상기 운동바디부(526)가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운동바디부(526)를 제1방향으로 관통하여 제3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가이드홀(529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결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동가이드홀(5292)에 삽입되어 상기 운동바디부(526)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바디부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운동가이드(52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7(a)는 상기 운동가이드(5292)가 제1운동가이드(5291) 및 제2운동가이드(5291)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b)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 및 분리부(119)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구동부(530)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 지지부(533)는 행어지지스테이지(620)에 일면에 구비되는 간섭방지홈(629)에 삽입되더 상기 제1챔버 상부면에 결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의 이동시나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의 왕복운동시에도 상기 이동모터(531)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동모터 회전축(5311)을 회전시키는 이동모터(531), 상기 이동모터 회전축(5311)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53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기어부(536), 상기 이동기어부(536)의 회전을 상기 제3방향을 따르는 운동으로 변화하는 이동가이드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모터의 빠른 회전속도를 고려하면,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모터의 각각의 회전속도를 낮추기 위한 감속기(미도시) 혹은 유성기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감속기 또는 유성기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모터의 각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모터 각각에 구비되는 이동모터 회전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가이드부(532)를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다른 회전비를 갖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상부패널(132)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패널(134) 및 상기 제2측면패널(135)과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1381) 및 제2지지프레임(13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1)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1382)보다 상기 투입구(139)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532 )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381)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1382)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재(535)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가이드(5321) 및 제2이동가이드(5322), 상기 이동기어부(536)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53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가이드(5331), 및 상기 이동기어부(536)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53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가이드(53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가이드부(532 )는 상기 분리부(119)에 결합하여 상기 분리부(119)를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 상기 제1전달가이드(5331)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5332)는 스크류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전달가이드(5331)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는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하며, 상기 제2전달가이드(5332)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도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제1전달가이드(5331)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달가이드(5331)의 회전력을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에 전달하는 제1연결기어(5366)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5332)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달가이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에 전달하는 제2연결기어(5367)를 더 포함할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모터(531)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기어부(536)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부(536)는 상기 이동모터 회전축(5311)에 결합되는 주기어(5361), 상기 주기어(5361)에 맞물려 각각 회전하는 상기 제1보조기어(5362) 및 상기 제2보조기어(5363), 상기 제1보조기어(5362) 및 상기 제2보조기어(5363)의 각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기어(5362)와 같이 회전하는 제1이동기어(5364) 및 상기 제2보조기어(5363)와 같이 회전하는 제2이동기어(5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가이드(5331)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5332)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분리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2개의 전달가이드를 이용하는 이유는 분리벽(1191)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이동하는 힘을 전달하여, 상기 분리벽(1191)을 휘어짐 없이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부재(535)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에 결합하는 이동너트부(5353), 상기 이동너트부(5353)와 상기 분리부(119)를 연결하는 이동바디(53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가 회전시, 상기 이동너트부(5353)는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이동너트부(5353)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에 결합하여 상기 제1이동가이드(532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너트(5353a)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에 결합하여 상기 제2이동가이드(5322)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너트(53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스크류와 너트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너트가 이동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너트부(5353)에 연결된 이동바디(5352)가 상기 분리부(119)에 힘을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이동너트부(5353)의 이동시 상기 이동바디(535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디(5352)는 상기 제1이동너트(5353a)에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을 향해 연장된 제1체결바디(5352a), 상기 제2이동너트(5353b)에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1)을 향해 연장된 제2체결바디(5352b), 상기 제1체결바디(5352a)와 상기 제2체결바디(5352b)를 연결하는 체결연결바디(53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디(5352)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리부(119)의 이동시 반력으로 인해 상기 이동바디(5352)가 휘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35)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 중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할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절개홀의 일부를 가리는 판형태의 행어커버(5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35) 상기 이동바디(5352)와 상기 행어커버(5351)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바디(5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구동부(530)에 의해 이동시, 상기 행어커버(5351)와 상기 이동부재(535)는 같이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커버(5351)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행어커버(5351)는 절개홀 중 행어홀부(11211)를 가릴 수 있다.
상기 행어커버(5351)는 상기 분리부가 위치해야할 곳의 행어홀부(11211)를 가릴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리부(119)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부 등의 복잡한 구조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스팀이나 열풍등이 개방된 행어홀부(11211)를 통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로 침투하여, 구동부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부가 위치하지 않는 다른 행어홀부(11211)는 행어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행어커버(5351)로 가리지 않아도 행어에 의해 어느정도 실링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각각에서 리니어홀부(11212)를 통해서도 스팀과 열풍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로 침투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행어가스켓(1123, 도 1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도 31(c) 및 도 31(d)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가스켓(1123)은 상기 리니어홀부(11212)의 양 측에 제2방향을 따른 상기 리니어홀부(11212)의 길이이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리니어홀부(11212)의 중심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어홀부(11211)에서 상기 리니어홀부(11212)의 방향으로 상기 행어가스켓(1123)은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행어가스켓(1123)은 고무와 같은 폴리머재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이 상기 리니어홀부(11212)를 통해 제2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행어가스켓(1123)이 절개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휘어져, 상기 리니어홀부(11212)를 실링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행어커버(5351)와 달리 상기 행어가스켓(1123)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커버(5351) 및 상기 행어가스켓(1123)은 스팀과 열풍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b)는 상기 행어커버(5351)가 상기 분리부(119)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어느 하나의 절개홀에서 다른 절개홀로 이동시 상기 행어커버(5351)도 같이 이동함을 알 수있다. 도 30(c)는 상기 분리부가 상기 제1챔버의 일 측면으로 이동 중 이동 구간안에 있는 어느 하나의 절개홀(1121)을 가린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는 앞서 설명한 일례와 같이 5개의 절개홀(11211a, 11211b, 11211c, 11211d, 11211e)을 구비하고, 5개의 행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제2행어의 위치에서 제3행어의 위치로 이동시, 마찬가지로, 상기 행어커버(5351)도 제2행어의 위치에서 제3행어의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제3행어의 위치에서 상기 제1면(1111)과 연결되는 제1챔버의 일측면으로 이동시 순차적으로 상기 제4행어 및 제5행어의 위치를 지나가게 되므로 행어커버(5351)도 마찬가지로 제4행어 및 제5행어의 위치를 지나가게 될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110)의 내부에서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 상기 행어커버(5351)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분리부(119)가 제1챔버 상부면(112)의 하부에서 이동시, 상기 행어커버(5351)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행어커버(5351)와 상기 행어가스켓(1123)이 스팀과 열풍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및 상기 상부패널(132)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제1챔버(110)의 공간을 분리시, 분리되는 수용공간(V1, V2)을 각각 달리 사용하기 위해 각 수용공간사이를 실링하는 구성요소를 필요로 할 수있다.
즉, 제1수용공간(V1)에서 면재질의 교복(school uniform)을 제1스팀양 및 제1건조시간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제2수용공간(V2)에서는 실크재질의 드레스(dress)를 제2스팀양 및 제2건조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수용공간 사이로 스팀, 열풍이 새는 것을 막는 실링부재가 필요할 것이다.
도 31(b)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부(119)는 상기 분리벽(1191)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200)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내면(201)과 접촉하는 전방가스켓(119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1192a)은 상기 분리벽(1191)의 전방면에 결합하여, 중공(hollowed)을 형성하고, 유연한 재질, 예컨대 고무와 같은 폴리머, 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방가스켓(1192a)이 변형되기 쉽게 하기 위함인데,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는 도어라이너부(230) 또는 도어경사부(240)와 같은 구조가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방가스켓(1192a)과 메인도어내면(201)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힘이다.
만약, 상기 분리부(119)가 없는 경우에는 도 41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클립(226)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b)는 상기 분리벽(1191)의 내부에 이동부재(535)가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1191)의 주변을 따라 분리벽 가스켓(1192)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분리벽(1191)의 전방면에는 전술한 전방가스켓(119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1191)의 상부면, 후면, 그리고 하부면에는 각각 상부가스켓(1192b), 후방가스켓(1192c) 및 하부가스켓(1192d)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스켓(1192a)과 달리 상부가스켓(1192b), 후방가스켓(1192c) 및 하부가스켓(1192d)은 얇은 재질의 가스켓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방가스켓(1192a)과 달리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제1챔버 후면(113) 및 바닥커버부(180)는 매끄러운 형태이기 때문에 가스켓이 변형될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가스켓(1192b), 후방가스켓(1192c) 및 하부가스켓(1192d)은 그라파이트(graphite)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1(b)에는 상부가스켓(1192b)과 후방가스켓(1192c)을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하부가스켓(1192d)도 이와 마찬가지로 구비될 것이다.
도 31(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제1방향에 수직하게 잘라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가 상기 제1챔버(110)후면 사이에 후방가스켓(1192c)을 구비하는 것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32은 운송구동부(54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a)는 행어지지프레임(630)이 행어홀부(11211)에 위치(S1)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2(b)는 상기 메인도어(200)가 개방시 상기 운송구동부(540)가 싱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투입구(139) 쪽으로 이동시켜 위치(S2)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상기 행어홀부(11211)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행어부(600)는 상기 왕복운동부(520)를 통해 제3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이동시, 상기 행어배열부(510)는 같이 이동하나,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고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부 및 상기 이동구동부(530)도 고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도 제2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제3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운동바디부(526)에 의해 오직 제3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힘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상기 운송구동부(540)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과 마찬가지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행어부(600)가 왕복운동시, 상기 운송구동부(540) 및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은 상기 행어부(600)와 같이 왕복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왕복운동시 상기 운송구동부(540)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이 이격되어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부(53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결합되므로 상기 왕복운동부(52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는 구간내에 옷걸이가 행어에 거치되어 있거나, 방향부(750) 및 바닥커버부(180)가 잘못 설치되어,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시 파손된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옷걸이체크센서(359), 방향설치센서(7518, 7528) 및 바닥센서(1111a, 1111b, 1111c, 1111d)가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옷걸이체크센서(359), 상기 방향설치센서(7518, 7528) 및 상기 바닥센서(1111a, 1111b, 1111c, 1111d)를 통해 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분리부(119)의 이동을 중단시키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3(a)는 메인도어(200)가 폐쇄시 복수 개의 행어(610)가 행어홀부(11211)에 위치(S1)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홀부(11211)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3(b)는 메인도어(200)가 개방시 복수 개의 행어(610)가 운송구동부(540)에 의해 리니어홀부(11212)를 따라 투입구(139)에 가까운 위치(S2)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다.
도 33(c)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알기위해, 도어힌지부(225)는 도어개폐체크부(22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체크부(2255)는 제1도어힌지(2251) 또는 제2도어힌지(2252)에 위치하여도 무방하고, 메인도어(200)를 투입구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결합부(미도시)에 위치할수도 있다. 도 33(c)는 제2도어힌지(2252)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도어(200)가 개방여부를 알 수 있는 스위치센서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도어개폐체크부(2255)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4는 복수 개의 절개홀(1121) 중 어느 하나의 절개홀(1121)에 분리부(119)가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절개홀(1121)중 행어홀부는 상기 이동바디(5352)와 같이 이동하는 행어커버(535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9)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다른 절개홀의 행어홀부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어 및 행어지지부(605)에 의해 대부분이 가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행어지지부(605)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과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62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프레임(630)을 지지해주는 프레임부싱(63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싱(631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631) 지지할 수 있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분리부(119)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선반(31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제1챔버의 너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반의 길이도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의 경우, 분리부(119)에 의해 제1챔버의 수용공간의 크기가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분리부(119)가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 선반의 길이도 변해야 한다.
도 35(a)는 제2수용공간(V2)에 길이조절선반(310)이 배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길이조절선반(310)은 상기 제1챔버(110)의 양 측면중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선반거치부(1145), 상기 분리벽(1191)의 양 측면 중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V1)에도 마찬가지로 길이조절선반(31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리부(119)는 제1면(1111)과 연결되는 제1챔버(110)의 일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제1수용공간(V1)에 길이조절선반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존재한다면, 상기 분리부(119)와 제1챔버(110)의 일측면이 접촉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제2수용공간(V2)에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분리부(119)이 이동에 따라, 길이조절선반도 제3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길이조절선반(310)도 제2방향으로는 길이가 고정될 것이다.
따라서,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길이조절선반(310)은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와 결합하는 제1고정바(311),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와 결합하는 제2고정바(312), 및 상기 제1고정바(311)와 상기 제2고정바(312) 사이를 연결하며, 텔레스코픽(telescopic) 또는 주름(bellows)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바(311)와 상기 제2고정바(312)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313)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있어, 상기 분리부가 이동시 자동적으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직접 제1고정바(311) 또는 제2고정바(312)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3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선반이 하나의 면형태가 아닌 복수 개의 바 형태로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길이조절선반의 하부에서 상부로 열풍, 스팀 및 향기를 잘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스팀공급부(160), 공기공급부(150), 방향부(750)는 모두 제1면(1111), 연장면(1114), 또는 제2면(1112)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35(b) 및 도 35(c)는 분리부(119)가 이동함에 따라, 길이조절선반의 길이가 변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만약, 인형이나 모자와 같은 피건조물을 케어하는 경우, 인형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인형의 크기에 맞게 분리부(119)를 이동시켜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길이조절선반 위에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바(311)와 상기 제2고정바(312)는 각각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와 결합되는 면에 자석(316, 317)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가 자석이 붙을 수 있는 철과 같은 금속재질인 경우, 사용자가 단순히 상기 길이조절선반(310)을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 근처로 가지고 가면, 자연스럽게 상기 제1고정바(311) 및 상기 제2고정바(312)가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에 자력(magnetic force)에 의해 결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부(119)를 이동시 상기 자석부(316, 317)의 자성에 의해 상기 자석부는 각각 상기 측면선반거치부(1145)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119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313)가 자동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벽(1191)과 상기 분리벽(1191)을 마주보는 제1챔버(110)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사용자가 길이조절선반(310)을 거치시켜 지지하기가 용이해 질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길이조절선반(310)외에도 다른 선반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7(a) 및 도 37(b)는 제1챔버(1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거치선반부(32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사용자가 제1챔버(110) 내부에 선반을 손쉽게 탈부착하여 다양한 레이아웃(layout)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선반의 길이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선반이 거치되는 위치도 고정되었다.
니트(knit)와 같은 소재의 옷은 옷걸이를 이용하여 행어부(600)에 거치하는 경우 어깨부위가 늘어나서 옷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런 경우 옷걸이에 걸지 않고, 선반에 올려 놓으 옷을 케어(care)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선반의 길이 및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선반을 사용할 때는 행어바에 옷을 거치시키지 못하고, 행어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반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선반의 일측만 고정시켜도 충분히 피건조물을 지지하여 선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치선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분리부(119)의 유무와 무관하게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사용시 제1챔버 후면(113)에서 지지되어 상기 투입구(139)를 향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119)는 상기 거치선반부(320)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부(119)가 없을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평상시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상기 제1챔버의 일측면(114, 115)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의해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또는 외부에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거치선반부(320)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고정킬 수 있다. 도 37(b)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나란하게 되므로, 피건조물을 상기 거치선반부(320)위에 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제1챔버(110)의 내측면 중 일측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고정되어 피건조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이 상기 제1챔버 후면(113)에 기 설정된 고정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은 거치선반부(320)의 일단만을 고정하여도 거치선반부(3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7(a)는 9개의 선반고정클립이 배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6개의 거치영역(J1 내지 J6)에 거치선반부(320)를 고정시킬수 있다. 선반고정클립의 개수 및 거치영역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도 37(a)는 하나의 일례일 뿐, 도 37(a)에 도시된 선반고정클립의 개수 및 거치영역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2개의 인접하는 선반고정클립에 의해 거치될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6개의 거치영역에 6개의 거치선반부를 거치할 수 있다. 도 37(a)는 3개의 거치선반부(321, 323, 324)가 현재 제1챔버 후면(113)과 나란하게 거치되어 있다. 도 37(b)는 사용자가 하나의 거치선반부(322)를 하나의 거치영역(J4)에 제1챔버 후면(113)과 수직하게 또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나란하게 거치시킨 모습이다. 이를 통해 상기 하나의 거치선반부(322)위에 피건조물을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또한, 현재 거치된 거치선반부(321, 322, 323, 324) 중 일부를 다른 거치영역(J5, J6)에 거치시켜 사용하기 위해 탈부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8(a)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 각각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3215),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3215)에 수직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바(3215)의 타단보다 일단에 가깝게 결합하는 제1결합바(3211) 및 제2결합바(3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바(3211)는 상기 제2결합바(3212)보다 상기 지지바(3215)의 일단에 더 가깝게 결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를 선반고정클립(327)을 통해 제1챔버 상부면(112)에 나란하게 거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1결합바(3211)는 상기 제2결합바(3212)보다 상기 제1챔버 후면(113)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선반고정클립(327)을 통해 제1챔버 상부면(112)에 나란하게 거치시키는 경우, 제1결합바(3211) 및 제2결합바(3212)는 상기 선반고정클립(327)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에 의해 고정될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거치선반부(320)의 일단만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거치선반부(320) 및 상기 거치선반부(320) 위에 올려놓을 피건조물의 무게로 인해 모멘트가 걸리게 되므로,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도 38(a) 및 도 38(b)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의 클립개구부(3272)를 통해 제1결합바(3211) 및 제2결합바(3212)가 동시에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시, 상기 제1결합바(3211)는 클립바디(3271)의 상부지지바디(3271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결합바(3212)는 클립바디(3271)의 하부지지바디(327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바(3211) 및 상기 제2결합바(3212)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상기 제1챔버 후면에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 38(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각각은 외형을 형성하는 클립바디(3271),
상기 클립바디(3271)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클립관통홀(3273), 상기 클립바디(3271)의 외측면중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향하는 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클립관통홀(3273)과 연결되는 클립개구부(3272), 상기 클립관통홀(3273)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클립관통홀(3273)의 내주면 안쪽으로 연장되는 중심분리부(3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은 상기 제1결합바(3211) 및 상기 제2결합바(3212)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거치선반부(320)를 위해 적어도 2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거치선반부마다 2개의 선반고정클립을 사용하게 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하나의 거치선반부마다 2개의 선반고정클립을 사용하게 되면, 제1결합바(3211) 또는 제2결합바(3212)와 나란한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각각은 상기 클립관통홀(3273)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클립관통홀(3273)의 내주면 안쪽으로 연장되는 중심분리부(327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분리부(3274)는 상기 클립관통홀(3273)의 내주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거치선반부(320)가 각각 설치되는 제1설치부(3274a)와 제2설치부(3274b)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분리부(3274)에 의해 분리되는 제1설치부(3274a)와 제2설치부(3274b)로 인해 3개의 선반고정클립은 2개의 거치선반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중심분리부(3274)로 인해 거치선반부(320)가 제1결합바(3211) 및 제2결합바(3212)와 나란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의 개수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고정클립은 상기 제1챔버(110)의 일측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 중 어느 하나의 거치선반부(320)이 상기 피건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에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시, 상기 제1결합바(3211)와 상기 제2결합바(3212)의 각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제1설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바(3211)와 상기 제2결합바(3212)의 각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제2설치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또는, 상기 제1결합바(3211)와 상기 제2결합바(3212)의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제2설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바(3211)와 상기 제2결합바(3212)의 각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제1설치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선반부(320)를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거치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바(3211)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바(3212)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바(3211)만이 선반고정클립(327)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바(3211)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바(3212)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선반고정클립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선반고정클립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중심분리부(3274)에 의해 상기 거치선반부(320)가 상기 제1결합바(32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거치선반부(3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a)는 4개의 거치선반부(321, 322, 323, 324)가 2개씩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제1챔버 후면(113)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거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은 상기 제1챔버 후면에 3개의 서로 다른 높이(C1, C2, C3)에 위치하여 상기 4개의 거치선반부(321, 322, 323, 324)를 6개의 서로 다른 영역 중 최대 4개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9(b)는 2개의 거치선반부(325, 326)을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2개의 거 거치선반부(325, 326)의 너비는 도 39(a)에 도시된 거치선반부의 너비보다 크므로 선반고정클립이 하나의 높이에 3개가 아닌 2개씩 배치되어 있다.
도 39(c)는 하나의 거치선반부(3251)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선반고정클립은 2개의 서로 다른 높이 (C4, C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나의 거치선반부(3251)는 2개의 서로 다른 영역 중 하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9(d)는 동일 높이에 구비되는 2개의 거치선반부(328, 329)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2개의 거치선반부(328, 329)는 3개의 선반고정클립에 의해 캐비닛(130)의 너비방향으로 흔드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선반부(320)의 다양한 레이아웃은 제1결합바(3211) 및 제2결합바(3212)의 길이,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의 개수 및 배치, 거치선반부(32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0(e)는 거치선반부(320)를 사용을 위해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0(a)는 사용자가 평상시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챔버(110) 내부에 보관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거치선반부(320)가 제1챔버의 일측면 또는 제2방향과 나란하게 거치된 모습이다.
제1결합바(3211)는 복수 개의 선반고정클립(327) 중 동일한 높이에서 인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고정클립(327)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결합바(3212)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치선반부(320)가 거치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고정클립(3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중력방향을 향해 상기 거치선반부(320)가 매달리게 될 것이다.
도 40(b) 내지도 도 40(d) 사용자가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사용하기 위해 제1결합바(321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습을 단계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0(d)는 클립개구부(3272)를 통해 상기 제2결합바(3212)를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에 삽입하기 위해 와 같이 제1챔버 상부면(112)과 나란한 방향보다 더 위로 회전시켜 들어올린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2결합바(3212)를 2개의 선반고정클립(327)에 각각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상기 선반고정클립(327)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피건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건조물이란, 의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행어부에 거치할수 없거나 거치하면 손상되는 물건 등을 말한다. 예컨대, 모자, 스카프, 인형 등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사용자가 이러한 피건조물들의 크기에 따라 거치선반부(320)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선반부(320)는 제1결합바(3211)와 제2결합바(3212)가 모두 결합시킬 선반고정클립(327)의 방향으로 위치하므로, 복수 개의 지지바(3215)중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와 수직되게 결합하는 상기 제1결합바(3211) 및 상기 제2결합바(3212)에 의해 막히지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3215)중 타단은 열려 있게 된다. 따라서, 모자등을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3215)에 걸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3215)의 제2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1챔버의 제2방향을 따른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거치선반부(320)를 분리하는 방법은 도 40(a) 내지도 도 40(e)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1000)가 분리부(119)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 부재를 구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비록, 상기 분리부(119)가 전방가스켓(1192a)을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메인도어내면(201)에 복잡한 구조의 부재가 위치하게 되면 수용공간 사이를 실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어내면에 바지의 구김(wrinkle)을 제거하고 바지의 의도된 주름(crease)를 더욱 명확하고 도드라지게 만들기 위한 프레서(또는 팬츠프레서, pants presser)와 같은 부재를 메인도어내면(201)에 위치시킬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1000)는 메인도어(200) 내부에 상기 프레서(4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41(a) 내지 도 41(c)는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프레서(400)가 메인도어(200)의 내부에 수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a) 및 도 41(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도어(200)는 일면에 도어투입구(217)를 포함하는 도어바디(215), 및 상기 도어바디(215)와 더불어 상기 도어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투입구(217)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바디(215)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1(b)는 보조도어(210)가 도어바디(215) 전면을 모두 개폐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급수탱크(810) 및 배수탱크(820)가 있는 부분까지 개폐할 필요는 없으므로, 도 44와 같이 상기 보조도어(210)는 도어바디(215)의 일부분만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서(400)는 상기 도어바디(215)에 구비되는 베이스부(420), 및 상기 보조도어(210)에서 상기 도어투입구(217)를 항하는 보조도어내면(211)에 구비되는 가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도어바디(215)에 가압부(410)가 위치하고, 상기 보조도어내면(211)에는 베이스부(42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410)는 상기 베이스부(420)의 일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0)는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286), 상기 베이스판(286)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422), 및 상기 베이스판(286)의 양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함몰된 베이스판 함몰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서(400)는 의류를 거치시켜 매달리게 하기 위한 의류거치클립(2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거치클립(285)은 베이스부(420)에 위치할 수도 있고, 가압부(41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의류거치클립(285)이 베이스부(4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410)의 상부에는 상기 의류거치클립(285)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가압판(288)을 절단하여 함몰부를 형성하는 가압판 절개부(112a)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거치클립(285)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보조도어(210)가 닫히는 경우, 상기 의류거치클립(28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판(286)은 평면의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판(286)중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함몰된 베이스판 함몰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286)은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425)를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를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바지와 같은 의류가 의류거치클립(285)에 의해 거치되는 경우, 바지 다리부분의 봉제선(seam)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425)에는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215)와 상기 베이스부(420)는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될 수 있는데, 상기 도어바디(215)와 상기 베이스부(420) 사이로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베이스판 관통홀(422)을 통해 상기 의류에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425)는 의류가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422)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422)을 막아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되지 않거나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부(420)의 하부에서 별도의 유로를 통해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 될수 도 있다.
상기 보조도어(210)는 상기 보조도어내면(211)에 구비되는 가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도어내면(211)은 상기 베이스부(420)에 대응되는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내면(213)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410)는 상기 함몰내면(213)에 구비도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410)는 판형태의 가압판(288) 및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425)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1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가압판 함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봉제선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도어(210)와 상기 도어바디(215)는 서로 후크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도어내면(211)의 일측에는 보조도어후크(218)가 돌출될수 있고, 상기 도어바디(215)는 상기 보조도어후크(218)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도어후크(218)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보조도어결합부(2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을 따른 상기 가압판(288)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판(286)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바지에서 가압되는 부분은 다리통 부분이고, 허리부분을 포함하는 몸통부분은 주머니 및 여러 장신구로 인해 다릴 필요도 없고, 가압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지는 다리 밑단(hemn)부분이 의류거치클립(285)에 의해 고정되어 거꾸로 매달리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420)는 상기 베이스부(420)의 하부에 바지의 허리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고정클립(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1(c)는 보조도어(210)가 아닌 메인도어(200)를 개방한 경우의 메인도어(2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41(c)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고, 분리부(119)가 없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10)내부에 거치선반부(320)가 위치할 수 있고, 메인도어내면(201)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클립(2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 내부에 위치하는 프레서(400)에 열풍, 향기, 및/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기공급부(150), 방향부(750) 및 스팀공급부(160)에서 공급되는 공기, 향기, 및/또는 스팀이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42(a)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제1챔버(110)의 위로 상승하게 될 것이다. 온도가 높은 공기의 경우,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순환팬(715)에 의해 강제 순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챔버의 상부로 올라간 공기는 제1챔버의 상부면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여, 메인도어(200)를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도어경사부(240)의 일측면도는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도어상부연통구(2401)를 포함할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가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에서는 아래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메인도어(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주라이너(2301)의 일측면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와 연통하는 도어하부연통구(2303)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0)로 배출되게 될 것이다.
특히, 공기의 경우, 제1챔버 상부면(112)과 상부패널(132) 사이로 유입된 후 상기 도어상부연통구(2401)를 통해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의 일부는 루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순환을 위한 다른 실시예일뿐, 다른 이동경로를 통해서라도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공기는 제1챔버(110)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도어(2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향기 및/또는 스팀도 공기와 유사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42(b)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0)는 메인도어(20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의류처리장치(1000)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외부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외부공기에서 제습이 가능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메인도어(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송풍유닛(700)으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연통홀(1367)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700)은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순환덕트(710)로 흡입할 수 있는 외부연통플립(1367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외부공기를 상기 순환덕트(710)로 흡입하여, 필터부(718) 및 열교환부(740)를 통해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제습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18)는 헤파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메인도어(200)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와 연통하는 외부연통플립(250) ?? 상기 도어하부연통구(2303)를 막는 하부연통플립(23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도 43은 메인도어(200)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400)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210)가 메인도어의 내면에 위치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4는 메인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프레서(400)에 접근하기 위한 보조도어(210)가 메인도어(200)의 전면의 일부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프레서(400)가 상기 메인도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면, 보조도어(210)가 어떠한 곳에 위치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열려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서는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부가 아닌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114, 115)중 일측면 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부(119)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119)가 이동하지 않는 제2면(1112)과 연결되는 제1챔버(110)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5(a)와 도 45(b)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바(64)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5(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바(64)는 고정된 위치에서 제3방향을 따른 왕복운동이 가능할 뿐이다. 또한, 제3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행어바(64)에는 옷걸이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홈(6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행어홈(65)의 간격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옷걸이를 거는 위치는 고정되고 옷과 옷 사이의 간격을 행어홈(65)의 간격이하로 줄일 수 없다. 또한, 옷과 옷 사이의 간격을 늘리기 위해서는 행어홈(65)을 건너뛰어야 하므로 옷을 최대한도로 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4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독립적인 복수 개의 행어(610)를 포함하고 있어, 분리부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는 행어배열부(510)를 통해 가능하다. 또한, 왕복운동부(520)를 통해 복수 개의 행어(610)는 일괄적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메인도어(200)의 개방시 상기 복수 개의 행어는 투입구(139)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은 복수 개의 절개홀(1121)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0)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행어바디부(681) 및 상기 행어바디부(681)에서 제3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비되는 행어걸이부(6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걸이부(682)에는 2개의 행어걸이홈(683)이 구비되어 상기 행어걸이홈(683)에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행어홈(65)과 동일한 개수의 행어를 구비하는 경우, 수용할 수 있는 의류는 2배가 될 것이다. 독립된 행어의 양측에 행어걸이부(682)가 구비되는 것을 듀얼행어(dual hanger)라 칭한다.
또한, 사용자가 행어홈(65)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제3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행어바(64)를 반드시 넘겨야 한다. 이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큰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0)는 복수 개의 행어(610)가 모두 독립되게 구비되므로, 어느 하나의 행어의 양 옆으로 빈 공간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도 45(b)의 화살표 참조)
또한, 행어걸이부(682)가 행어의 양 측에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오른손잡이 이든 왼손잡이이든 무관하게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행어의 경우, 사용자가 옷의 두께에 따라 옷이 거치되는 행어 사이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옷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와이셔츠와 같은 옷을 케어(care)하는 경우에는 독립된 행어의 양측에 구비되는 행어걸이부(682)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옷의 두께가 두꺼운 점퍼가 있는 경우에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행어홈(65)을 건너뛰는 게아니라, 인접한 행어에서 각 반대편에 위치하는 행어걸이부(682)를 이용하여 점퍼와 다른 옷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6(a)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행어(610) 각각은 일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1121) 중 하나의 절개홀(1121)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패널(13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행어지지바디(6811),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의 타단에 가깝게 위치하여,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걸이부(6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의 일단은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에는 상기 타단보다 상기 일단에 가깝게 상기 행어지지바디를 제3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행어지지바디 관통홀(68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5111, 5112, 5113)에 포함되는 각 배열모터 회전축(5111a, 5111b, 5111c)은 행어배열부(510)가 회전시키고자 하는 행어와 연결되기 위해,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지지프레임(632) 내부에 삽입되는 행어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배열모터 회전축(5111a, 5111b, 5111c)이 상기 행어지지바디 관통홀(6812)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열모터 회전축은 상기 행어지지바디 관통홀(6812)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는 제1방향을 따른 길이가 제3방향 또는 제2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는 제2방향을 따른 길이가 제3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어걸이부(682) 각각은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행어걸이바디(6821) 및 제2행어걸이바디(68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행어걸이바디(6821) 및 상기 제2행어걸이바디(6825)는 각각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와 결합하는 연결행어바디(6822), 상기 연결행어바디(6822)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고정행어바디(6824), 및 상기 고정행어바디(6824)와 상기 연결행어바디(6822)를 연결하여 상기 제1행어걸이바디(6821)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12)을 향해 개구되도록 구비되는 절곡행어바디(68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6(a) 및 도 46(b)는 상기 행어걸이부(682)는 상기 연결행어바디(6822)의 제1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고정행어바디(6824)의 제1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행어바디(6822)는 상기 행어지지바디(6811)와 결합하는 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면이 상기 절곡행어바디(6823)를 향해 내려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682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행어(610) 중 어느 하나의 행어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와 인접하는 행어 사이로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행어에 구비되는 행어걸이부(682)에 정확히 접근할 필요 없이, 상기 경사면(6821a)에 접근하면 자연스럽게 행어걸이홈(683)으로 옷걸이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옷걸이를 거치시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도 47는 복수 개의 행어(6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은 행어지지바디(6843)에 연결행어바디없이 바로 절곡행어바디(6842) 및 고정행어바디(6844)로 행어걸이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어지지바디(6843)에 절곡행어바디(6842)로 이어지는 선(중간 굵기 선 참조)은 거의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런하, 고정행어바디(6844)의 안쪽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옷걸이를 행어걸이홈(683)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행어걸이부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을 향해 개구된 행어길이홈을 형성하여 옷걸이를 거치할 수 있으면 다른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의류처리장치
110: 제1챔버
111: 제1챔버 바닥면
1111: 제1면 1112: 제2면 1114: 연장면
112: 제1챔버 상부면 1121: 절개홀 11211: 행어홀부
11212: 리니어홀부 1123: 행어가스켓 112a: 절개부
113: 제1챔버 후면 114: 제1챔버 좌측면 1145: 측면 선반거치부
115: 제1챔버 우측면 119: 분리부 1191: 분리벽
1192: 분리벽 가스켓 120: 제2챔버 121: 탱크도어
130: 캐비닛 131: 베이스 132: 상부패널
133: 후면패널 134: 제1측면패널 135: 제2측면패널
1361: 제1전면커버 200: 메인도어 210: 보조도어
400: 프레서 410: 가압부 420: 베이스부
440: 의류고정바 450: 의류고정클립 500: 구동부
510: 행어배열부 520: 왕복운동부 526: 운동바디부
527: 운동변환부 529: 운동전달부 530: 이동구동부
540: 운송구동부 600: 행어부 610: 복수 개의 행어
605: 행어지지부 700: 송풍유닛 730: 스팀유닛
750: 방향부 810: 급수탱크 820: 배수탱크
900: 제어부 910: 공간조절부
1111: 제1면 1112: 제2면 1114: 연장면
112: 제1챔버 상부면 1121: 절개홀 11211: 행어홀부
11212: 리니어홀부 1123: 행어가스켓 112a: 절개부
113: 제1챔버 후면 114: 제1챔버 좌측면 1145: 측면 선반거치부
115: 제1챔버 우측면 119: 분리부 1191: 분리벽
1192: 분리벽 가스켓 120: 제2챔버 121: 탱크도어
130: 캐비닛 131: 베이스 132: 상부패널
133: 후면패널 134: 제1측면패널 135: 제2측면패널
1361: 제1전면커버 200: 메인도어 210: 보조도어
400: 프레서 410: 가압부 420: 베이스부
440: 의류고정바 450: 의류고정클립 500: 구동부
510: 행어배열부 520: 왕복운동부 526: 운동바디부
527: 운동변환부 529: 운동전달부 530: 이동구동부
540: 운송구동부 600: 행어부 610: 복수 개의 행어
605: 행어지지부 700: 송풍유닛 730: 스팀유닛
750: 방향부 810: 급수탱크 820: 배수탱크
900: 제어부 910: 공간조절부
Claims (55)
-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를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를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챔버를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평판형태의 분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상기 메인도어에서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메인도어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폐쇄시 상기 메인도어내면과 접촉하는 전방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스켓은
상기 분리벽의 전방면에 결합하여, 중공(hollowed)을 형성하고, 플렉서블 재질(flexible material)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높이는 상기 제2면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면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면을 보호하는 제1바닥커버; 및
상기 제2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면을 보호하는 제2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바닥커버와 상기 제1챔버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동모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이동모터;
상기 이동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3방향을 따르는 운동으로 변화하는 이동가이드부; 및
상기 분리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리부를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수용되는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를 포함하는 행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어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절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중 상기 분리부가 이동하여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절개홀의 일부를 가리는 판형태의 행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각각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행어홀부; 및
상기 행어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니어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커버는
상기 행어홀부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상기 리니어홀부를 가리는 행어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가스켓은
상기 행어홀부와 만나는 일면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구를 향하는 상기 리니어홀부의 말단까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 및 제2측면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3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패널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보다 상기 투입구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가이드 및 제2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기어부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이동기어부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 상기 제2이동가이드,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는 스크류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하고,
상기 제2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도 각각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부는
상기 제1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1이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달가이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1이동가이드에 전달하는 제1연결기어; 및
상기 제2전달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달가이드의 회전력을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전달하는 제2연결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에 결합하는 이동너트부;
상기 이동너트부와 상기 분리부를 연결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가이드가 회전시, 상기 이동너트부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너트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에 각각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를 포함하는 행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부는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와 결합하는 행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은
일단은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을 통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일단보다는 상기 타단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하여,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수용하는 행어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행어배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행어배열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가 위치하는 각 절개홀을 통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의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분리부가 이동하기 전의 위치인 제1이동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위치와 다른 제2이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이동위치, 상기 제2이동위치 및 상기 제1이동위치와 상기 제2이동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행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행어를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배열모터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 및 상기 상부패널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제1이동위치에서 상기 제2이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에 의해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회전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를 지지하는 행어지지스테이지; 및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행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행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배열부는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로 회전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홀을 각각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행어지지스테이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지지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홀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행어 각각을 회전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배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대응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를 포함하는 배열모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열모터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는 배열모터 회전축을 포함하는 배열모터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모터 회전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지지프레임의 일면 또는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행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과 상기 상부패널의 사이 및 상기 제1챔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공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조절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분리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구 및 제2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2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유닛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구 및 제2공기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구 및 제2스팀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구;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공기흡입구;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공급구; 및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공기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제1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스팀공급구
상기 연장면 또는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스팀유닛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2스팀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공급구는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기흡입구와 상기 제1스팀공급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흡입구는
상기 제1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스팀공급구보다 상기 투입구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면을 보호하는 제1바닥커버; 및
상기 제2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면을 보호하는 제2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는
상기 제1바닥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바닥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는
상기 제2바닥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바닥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커버는
상기 투입구과 상기 제1공기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바닥커버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1바닥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는
상기 투입구과 상기 제2공기흡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닥커버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제2바닥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방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는
상기 제1공기공급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1방향키트; 및
상기 제2공기공급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공급하는 제2방향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중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선반거치부;
상기 분리벽의 양 측면 중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분리벽 선반거치부; 및
상기 측면선반거치부와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에 결합하는 길이조절선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선반은
상기 측면선반거치부와 결합하는 제1고정바;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와 결합하는 제2고정바; 및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며, 텔레스코픽(telescopic) 또는 주름(bellows)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바와 상기 제2고정바는 각각 상기 측면선반거치부 및 상기 분리벽 선반거치부와 결합되는 면에 자성을 가진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제2챔버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닛;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급수탱크;
상기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제1챔버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여 저장하는 배수탱크;
상기 투입구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2챔버의 일면중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제2챔버 투입구;
상기 제2챔버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모듈프레임;
상기 제2챔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개폐하는 탱크도어; 및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챔버 투입구; 및
상기 탱크도어에서 상기 제2챔버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탱크도어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탱크도어내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탱크도어를 폐쇄시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도어는
상기 탱크도어를 관통하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도어의 일측이 타측보다 가깝게 위치한 제1윈도우; 및
상기 탱크도어를 관통하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도어의 타측이 일측보다 가깝게 위치한 제2윈도우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1윈도우 및 상기 제2윈도우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수위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와 상기 배수탱크는 각각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에 광(lignt)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부가 개구되고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급수탱크바디;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상부를 보호하는 급수탱크리드; 및
상기 급수탱크리드를 통해 상기 급수탱크바디에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탱크리드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리드는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상면; 및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에서 절곡되어 상기 급수탱크리드의 배면을 형성하는 급수탱크 리드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리드상면의 일부는
상기 급수탱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프레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도어는
일면에 도어투입구를 포함하는 도어바디; 및
상기 도어바디와 더불어 상기 도어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투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상기 도어바디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보조도어에서 상기 도어투입구를 항하는 보조도어내면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방향을 따라 함몰된 베이스판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보조도어내면 중 상기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일부가 함몰된 함몰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함몰내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판 관통홀은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판 함몰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함몰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바닥면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일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인 제1방향 및 상기 캐비닛의 깊이방향인 제2방향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를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를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인 제3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의 이동후, 상기 행어를 상기 제1챔버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리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의 행어는 상기 제1챔버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03299 WO2021187889A1 (ko) | 2020-03-18 | 2021-03-17 | 의류처리장치 |
JP2022556117A JP7490073B2 (ja) | 2020-03-18 | 2021-03-17 | 衣類処理装置 |
US17/912,326 US20230145586A1 (en) | 2020-03-18 | 2021-03-17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AU2021238225A AU2021238225B2 (en) | 2020-03-18 | 2021-03-17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062991080P | 2020-03-18 | 2020-03-18 | |
US62/991,080 | 2020-03-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198A true KR20210117198A (ko) | 2021-09-28 |
Family
ID=779234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4679A KR20210117199A (ko) | 2020-03-18 | 2021-03-1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034678A KR20210117198A (ko) | 2020-03-18 | 2021-03-17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4679A KR20210117199A (ko) | 2020-03-18 | 2021-03-17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2) | EP4123081A4 (ko) |
KR (2) | KR20210117199A (ko) |
CN (2) | CN115298384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622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101403A1 (ko) * | 2021-11-30 | 2023-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EP4261341A1 (en) * | 2022-04-11 | 2023-10-18 | BSH Hausgeräte GmbH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595750B1 (ko) * | 2022-07-05 | 2023-10-30 | 비에스와이 주식회사 | 언더웨어 내장형 골프웨어 세트 |
WO2024128781A1 (ko) * | 2022-12-13 | 2024-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대상물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3798A (ko) * | 2022-02-17 | 2023-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관리기 |
KR20230126033A (ko) * | 2022-02-22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WO2023163421A1 (ko) * | 2022-02-22 | 2023-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U2023241492A1 (en) * | 2022-03-29 | 2024-10-17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KR20240093163A (ko) * | 2022-12-15 | 2024-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711000B1 (ko) * | 2023-03-03 | 2024-09-30 | 쏠코리아 주식회사 | 실험실용 의류 소독 관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39496A (en) * | 1971-03-24 | 1973-06-19 | Mc Graw Edison Co | Steam air cabinet finisher |
JP2002000997A (ja) * | 2000-06-26 | 2002-0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衣類乾燥機 |
JP6355075B2 (ja) * | 2013-10-03 | 2018-07-1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保持構造及び布材処理装置 |
KR101859958B1 (ko) * | 2017-01-13 | 2018-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 장치 |
KR102003820B1 (ko) * | 2017-12-08 | 2019-07-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 장치 |
-
2021
- 2021-03-17 EP EP21770668.8A patent/EP4123081A4/en active Pending
- 2021-03-17 KR KR1020210034679A patent/KR2021011719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3-17 CN CN202180022425.0A patent/CN115298384A/zh active Pending
- 2021-03-17 EP EP21771149.8A patent/EP4123082A4/en active Pending
- 2021-03-17 KR KR1020210034678A patent/KR202101171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3-17 CN CN202180022415.7A patent/CN115380141A/zh active Pending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0622A1 (ko) * | 2021-11-02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WO2023101403A1 (ko) * | 2021-11-30 | 2023-06-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EP4261341A1 (en) * | 2022-04-11 | 2023-10-18 | BSH Hausgeräte GmbH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595750B1 (ko) * | 2022-07-05 | 2023-10-30 | 비에스와이 주식회사 | 언더웨어 내장형 골프웨어 세트 |
KR102595756B1 (ko) * | 2022-07-05 | 2023-10-30 | 비에스와이 주식회사 | 골프용 기능성 스포츠 웨어 세트 |
WO2024128781A1 (ko) * | 2022-12-13 | 2024-06-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대상물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199A (ko) | 2021-09-28 |
CN115298384A (zh) | 2022-11-04 |
EP4123082A4 (en) | 2024-03-06 |
EP4123081A1 (en) | 2023-01-25 |
EP4123082A1 (en) | 2023-01-25 |
CN115380141A (zh) | 2022-11-22 |
EP4123081A4 (en) | 2024-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17198A (ko) | 의류처리장치 | |
JP7490073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1221903B1 (ko) | 페데스탈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복합장치 | |
KR101265622B1 (ko) | 페데스탈 건조기 | |
KR102633220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9118833A (ja) | 衣類処理装置 | |
AU2024219887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EP4249668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JP7585339B2 (ja) | 衣類処理装置 | |
AU2021450620C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RU280715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 |
RU2811168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 |
KR20110067887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24156866A (ja) | 衣類処理装置 | |
EP4428291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EP4428290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EP4428289A1 (en) |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 |
CN118489022A (zh) | 衣物处理装置 | |
KR2023006343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4006200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40062002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63849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6566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65662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096563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