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84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849A
KR20230063849A KR1020220121808A KR20220121808A KR20230063849A KR 20230063849 A KR20230063849 A KR 20230063849A KR 1020220121808 A KR1020220121808 A KR 1020220121808A KR 20220121808 A KR20220121808 A KR 20220121808A KR 20230063849 A KR20230063849 A KR 2023006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door assembly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조연아
김현기
최정근
오민규
조유나
임재명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1334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065371A/zh
Priority to PCT/KR2022/016668 priority patent/WO2023080555A1/ko
Priority to PCT/KR2022/016671 priority patent/WO2023080556A1/ko
Priority to EP22204724.3A priority patent/EP4194606A1/en
Priority to EP22204728.4A priority patent/EP4187012A3/en
Priority to CN202211353359.8A priority patent/CN116065372A/zh
Priority to PCT/KR2022/016994 priority patent/WO2023080622A1/ko
Priority to AU2022382608A priority patent/AU2022382608A1/en
Priority to AU2022383685A priority patent/AU2022383685A1/en
Priority to PCT/KR2022/016995 priority patent/WO2023080623A1/ko
Priority to PCT/KR2022/016975 priority patent/WO2023080614A1/ko
Priority to US17/979,088 priority patent/US20230151535A1/en
Priority to US17/979,102 priority patent/US20230138890A1/en
Priority to PCT/KR2022/017033 priority patent/WO2023080634A1/ko
Priority to PCT/KR2022/016985 priority patent/WO2023080617A1/ko
Priority to PCT/KR2022/016974 priority patent/WO2023080613A1/ko
Publication of KR2023006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보조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는 상기 보조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 및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의류나 소품을 관리(care)하거나 보관하고 진열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454호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의 하부에는 의류관리에 필요한 기계장치들을 포함하는 기계실이 위치하여 열풍 및 스팀을 상기 처리실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옷걸이를 이용하여 행어바에 거치하는 경우, 의류는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실에 가방, 모자 등 기타 관리가 필요한 물품등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의류를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장치이다. 따라서, 내부에 의류를 전시하거나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리할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처리실을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전면을 통한 단열성능이 떨어져, 의류 관리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행어바는 고정된 위치에서 좌우로만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 처리실의 안쪽으로 팔을 뻗어 의류를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의류 및 소품이 발달함에 따라, 가죽제품이나 실크제품과 같이 섬세한 관리가 필요한 옷을 별도로 보관하고 진열하는 공간이나, 가방이나 모자와 같은 소품을 보관하고 진열하기 위해 평상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286호는 의류를 수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과 관리가 끝난 옷들을 보관하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보관실을 별도로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처리실과 보관실을 좌우로 배치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실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실을 위한 공조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게 아니라, 처리실을 위한 공조기와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처리실의 사용 중, 보관실에 보관되는 의류만을 위한 독립적인 온도, 습도 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400호는 처리실과 보관실을 전후방향으로 구획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의류를 관리하는 기능은 처리실에만 구비하고 있고, 보관실의 온습도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처리나 관리가 끝난 의류를 단수히 보관실에 보관하게 되면 주변의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보관중인 의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온습의 조절없이 보관하는 경우, 의류의 함습도가 올라가 눅눅하게 되거나, 주변의 냄새가 다시 흡착되는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관시에도 의류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해줄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400호는 전방의 처리실과 후방의 보관실을 구분하여, 상기 처리실이 상기 보관실의 측면에 힌지결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는 사용환경을 고려하면,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는 일반적인 옷장과 같은 가구의 표준적인 크기를 고려할 수 밖에 없다.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실내에서 옷장과 떨어져서 단독으로 배치되기보다는 옷장과 같이 옆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도어의 힌지결합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처리실과 상기 보관실이 결합하는 경우, 상기 처리실의 크기로 인한 힌지의 내구성 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실을 상기 보관실에서 회전시 주변에 위치한 가구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처리실의 크기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주변 가구와 힌지와의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데, 다른 가구들보다 튀어나오는 경우 주변가구와의 통일감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열공간을 위한 구조 및 상기 진열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새로운 힌지구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공간은 사용자에게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보여주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됨과 동시에 관리가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열공간을 위해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기계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의 관리를 위한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분된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둘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의 살균, 냄새제거, 건조 및 구김제거를 위해 온도와 습도가 조절가능한 제1챔버와 독립적으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셋째, 본 개시는 제2챔버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2챔버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의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넷째, 본 개시는 상기 제2챔버로 인해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되는 제1챔버의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행어바 및 이에 따른 공기의 순환방향이 설정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다섯째, 본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어셈블리 개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한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여섯째, 본 개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일곱째, 본 개시는 상기 제2챔버를 향해 빛을 내는 조명의 조도 및 색상을 의류나 물품에 따라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여덟째, 본 개시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받아 의류를 관리하는 코스를 수행하는 제1챔버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리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제2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를 관리하는 스타일링 영역과 의류를 상시 관리하면서 보관 및 전시가 가능한 쇼케이스 영역을 동시에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스타일링 영역과 쇼케이스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쇼케이스 영역의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확인이 가능하면서도, 스타일링 영역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쇼케이스 영역으로 인해 줄어드는 스타일링 영역의 크기를 반영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바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1챔버에서의 공기순환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
스타일링 영역의 공기순환 및 스팀분사와 독립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쇼케이스의 영역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해 공기순환부 및 공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쇼케이스 영역에 수용되는 의류 또는 소품에 맞도록 세기 및 색의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케이스 영역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쇼케이스가 포함되는 도어어셈블리는 자동으로 인출 후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케이스에 접근하는 별도의 도어는 푸쉬앤풀(push & pull)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보조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는 상기 보조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 및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의 전후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전후길이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따.
상기 제1챔버 바닥면은 상기 제1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면;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제2바닥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바닥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적어도 일부는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의 너비는 상기 제2투입구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즉 테이퍼(tapered)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상기 수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하부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하부힌지의 각 일부는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하부힌지의 각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에 상기 수용바디의 양 측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힌지의 각 일단은 상기 수용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힌지의 각 다른일단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중 상기 제2투입구를 향하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투입구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캐비닛 및 상기 수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시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와 나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투입구와 나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개폐바디; 상기 개폐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개폐모터; 및 상기 개폐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개폐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면;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제1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보조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로 스팀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스팀배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포트는 상기 공기흡입포트보다 상기 공기배출포트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공급부에 상기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공기공급부 및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면을 통해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순환하는 제1챔버의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열교환부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보조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 및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다른 하나에는 구비되어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디부의 왕복운동을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의류구동부; 및 상기 의류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거치부에 거치되는 옷의 방향은 상기 행어바디부에 거치되는 옷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에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순환하는 제2챔버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공기처리부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제2챔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의류나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및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고 내부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와 상기 보조챔버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챔버에서 이격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와 상기 수용바디의 전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이동시켜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하는 제2힌지를 포함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시키는 제1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바디;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보조챔버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제2챔버;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상기 수용바디에 연결시키는 제2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공기공급부 또는 상기 스팀공급부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바디;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보조챔버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연통되는 제2챔버; 및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된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제1힌지;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를 마주보도록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첫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을 수용한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별도로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로 구분된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개시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온도 및 습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본 개시는 도어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챔버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개시는 상기 제1챔버 중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의 축소룰 감안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의 배치 및 상기 행어바의 배치방향에 따라 공기의 순환방향이 설정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어셈블리 개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한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본 개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의류나 소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일곱째, 본 개시는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는 조명의 조도 및 색상을 의류나 물품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여덟째, 본 개시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받아 의류를 관리하는 코스를 수행하는 제1챔버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리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제2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3은 도어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기계장치의 일례이다. 도 4(b)는 기계장치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을 도와주는 개폐구동부 및 입출력부의 일례이다. 도 5(b)는 캐비닛 내부에서 제1챔버, 제2챔버, 및 보조챔버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개폐구동부 및 제1힌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 개폐구동부 및 제1힌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어어셈블리의 일 측면에 결합하는 힌지를 사용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챔버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2챔버에 구비되는 행어부 및 선반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제1힌지의 상태이다. 도 10(b)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의 제1힌지의 상태이다. 도 10(c)는 도어어셈블리를 타 측면으로 개폐시 사용되는 다른 일례의 제1힌지이다.
도 11은 제2힌지의 일례이다.
도 12(a)는 제2챔버의 도어의 폐쇄시 제2힌지의 상태이다. 도 12(b)는 제2챔버의 도어의 개방시 제2힌지의 상태이다. 도 12(c)는 제2힌지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제1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의류지지부를 분해한 것이다.
도 15는 행어바디부가 행어지지부의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이다.
도 16(a)는 의류지지부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b)는 행어바스토퍼의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 삽입되어 행어바디부가 고정된 모습이다. 도 16(c)는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서 분리된 모습이다.
도 17(a)는 도어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7(b)는 제2챔버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제2챔버에 거치가능한 의류행어의 다른 일례이다.
도 19는 제2챔버 상부면의 일례이다.
도 20은 수용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수용바디의 상부의 모습이다.
도 21은 공기순환부의 일례이다.
도 22는 제2챔버 하부면의 일례이다.
도 23은 수용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수용바디 하부의 일 단면이다.
도 24는 수용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절단된 수용바디 하부의 일 단면이다.
도 25(a)는 제2챔버에 결합된 행어부 및 선반부의 일례이다. 도 25(b)는 선반부의 일례이다.
도 26은 선반부를 분해한 것이다.
도 27은 선조명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수용바디의 전후방향을 따라 절단된 수용바디의 일 단면이다.
도 29(a)는 제2챔버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부조명부의 일례이다. 도 29(b)는 제2챔버 하부면의 하부조명부의 일례이다.
도 30은 후방선조명부 중 제1후방선조명부 및 제3후방선조명부의 일례이다.
도 31은 전방선조명부 및 후방선조명부의 일례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조명부에 구비되는 방열 및 방습부의 일례이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조명부에 구비되는 방열 및 방습부의 다른 일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X)/후(-X)/좌(+Y)/우(-Y)/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의류란,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같은 상의뿐만 아니라, 청바지와 같은 하의를 포함한다. 또한, 한 벌의 정장, 점퍼, 가죽옷 등과 같이 평상시 관리가 필요한 모든 의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교복이나 사복(company uniform)과 같은 유니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품은 통상적인 의류를 제외한 모자, 스카프, 손수건 가방, 또는 인형과 같은 소품(items)등을 포함하며, 시계나 장신구 같은 물건(things)까지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명세서에서는 비록, 의류와 물품중 어느 하나의 단어만을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명세서의 문맥상 의류와 물품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양자는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롤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일면에 투입구(12)를 포함하는 캐비닛(15), 상기 캐비닛(15)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0), 상기 제1챔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20),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제1챔버(10)에 공급하는 스팀유닛(미도시), 상기 캐비닛(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40)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사용방법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12)는 상기 캐비닛(15)의 전면에 구비될 것이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0)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닛(미도시) 및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후 상기 제1챔버(10)로 내보내는 히트펌프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5)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챔버(1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이너케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는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5)에 결합될 수 있다.
관리(care)가 필요한 의류는 상기 제1챔버(1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미도시), 히트펌프유닛(미도시) 및 스팀유닛(미도시)을 통해 의류를 리프레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미도시), 히트펌프유닛(미도시) 및 스팀유닛(미도시)을 통해 스팀 및/또는 가열공기를 이용하여 의류를 살균하고 탈취하며, 사용에 의해 형성된 구김을 제거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는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상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의류지지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지지부(9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90)의 운동은 의류를 흔들게 되고, 결국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지지부(90)에 거치되는 의류를 흔드는 동안 보조챔버(20)에서 공급되는 스팀 혹은 수분(moisture)에 노출시켜 의류의 주름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의류가 상기 제1챔버(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챔버(20)에서 공급되는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 및/또는 스팀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은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서 스팀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스팀과 히트펌프유닛(미도시)에 의해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를 제1챔버(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 그리고, 송풍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챔버(1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포트(2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 또는 상기 제1챔버 후면(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과 상기 제1챔버 후면(미도시)이 만나는 영역은 매끄럽게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는 상기 경사진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흡입포트(23)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에서 상기 투입구(1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상기 공기흡입포트(23)는 상기 캐비닛(15)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반면,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5)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친된다. 이는 상기 공기공급포트(21)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의류지지부(90)에 거치되는 옷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포트(21)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23)를 통해 흡입되어 순환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31)와 배수탱크(33)는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급수탱크(31)와 배수탱크(33)가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에 탈부착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의류의 관리(care)만을 위한 장치이지, 의류의 관리를 포함하여 보관 혹은 전시하는 장치로써의 효용은 높지 않았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자치리하는 의류나 물품의 양이 작은 경우를 대비한 별도의 구분된 공간이 없어 투입되는 전기에너지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
고가의 의류나 소품의 경우 진열의 목적뿐만 아니라,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통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전방에 상기 제1챔버(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조절가능한 특징을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및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1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55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후면(115), 상기 캐비닛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좌측면(113) 및 캐비닛 우측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좌측면(113) 및 상기 캐비닛 우측면(미도시)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 좌측면(113) 및 상기 캐비닛 우측면(1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한다. 띠리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상기 제1챔버(130)에 접근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1챔버(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1301, 도 5(b) 참조)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영역(1302, 도 5(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는 의류를 수용하여 관리(care)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는 처리실(a treatment room)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열풍 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장치나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는 기계실(machinery room)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별도로 분리된 공간으로 보조처리공간(auxiliary care room), 전시공간(showcase room) 또는 진열공간(display room)으로도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챔버(130)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의류나 물품을 관리, 전시 및 보관하는 제2챔버(5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 보관하고, 전시하는 공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 도3 참조)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바디(510, 도 3참조) 및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쳄버의 도어(530)을 연 후,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후면보다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로 인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의류행어(830, 도 9참조)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챔버(5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의류나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적어도 일부는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하면,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나 소품을 수용할 수 있따.
따라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전히 투명한 재질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반투명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에 의해 감싸져,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에 결합하는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거나, 반투명의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는 투명하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만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자동걔방을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1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하나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 뿐만 아니라,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135)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과 상기 캐비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밀어주어 한쪽으로 힘이 집중되거나, 불필요한 토크가 발생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해주는 힌지구조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510)가 외측바디에 해당된다면,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내측바디에 해당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수용하우징(559)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빈 공간은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나 각종 전선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을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챔버 상부면(551, 도 19참조), 상기 제2챔버(5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하부면(554), 상기 제2챔버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후방모서리와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의 후방모서리를 연결하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 그리고,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과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 및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연결하는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제2챔버 우측면(5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된 의류에 열풍이나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의 살균, 탈취, 구김제거 및 건조가 가능하다. 특히, 건조 및 스팀분사를 위해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단열이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재가 없는 경우 전체적인 단열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스팀분사 또는 건조시 상기 도어에 손을 갖다 대는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수용하우징(559) 사이의 빈 공간에 단열재 혹은 공기를 이용한 단열층이 형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사이에 위치하여 후술한 행어바디부(610, 도 13 참조)를 왕복운동시키는 의류구동부(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에 공급되는 열풍, 스팀 또는 수분으로부터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구동부(640)와 같은 복잡한 구동장치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인출된 후,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제1힌지(120)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개방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방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힌지(520, 도 8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는 순서의 반대순서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움직이게 될 것이다.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 시,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2투입구(512)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 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유지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챔버(130)에서 이격시킨 후,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을 고려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단독으로 떨어져(isolated)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에서 빌트인(built-in) 타입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크기는 인접설치되는 옷장이나 가구의 표준사이즈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외형의 크기는 그대로인 반면, 상기 제2챔버(550)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500)의 크기는 커지게 되므로, 상기 제1챔버(130)의 부피는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반면, 후술할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이동시켜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방하게될 것이다.
즉, 일반적인 도어의 힌지와 유사하게,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제2투입구(512)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폐하는 동안 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의 제2챔버의 도어(5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130)는 상기 제1챔버(1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도 2참조), 상기 제1챔버(130)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과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을 연결하여 양 측면 및 배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좌측면(133), 상기 제1챔버 우측면(134) 및 상기 제1챔버 후면(1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상기 제1챔버(130)는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에 열풍 및/또는 스팀을 분사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이 상기 보조챔버(1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장치의 구동은 진동이나 소음을 유발하는 점과 각종 기계장치들의 무게를 고려하면,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제1챔버(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상의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이 제1투입구(131)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의 하부 전체에 상기 보조챔버(15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보조챔버(150)가 상기 제1챔버(130)의 하측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마주보게 되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면인 보조챔버 전방면(151)은 상기 제1투입구(131)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1챔버(1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 단차(step height)가 형성됨을 뜻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다른 일례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안으로 돌출된 형태를 띄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일례의 경우, 상기 제2챔버(550)가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있어 상기 보조챔버(150)와 상기 제2챔버(550)의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단차가 없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마주보고, 상기 수용바디(510)의 상부는 상기 제1챔버 후면(136)과 마주보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챔버(130)에 삽입되는 상기 수용바디(510) 후면의 길이는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까지의 수직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까지의 수직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바닥면(1351) 및 제2바닥면(13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가열하는 공기공급부(410)와 연통되는 공기흡입포트(137) 및 공기배출포트(1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상기 제1챔버(130)에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부(450)와 연통되는 스팀배출포트(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면(1351)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챔버(15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는 상기 제2바닥면(1352)보다 상기 제1바닥면(135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바닥면(1351)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는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중 어느 하나의 포트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113, 114) 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중 다른 하나의 포트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113, 114) 중 타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보다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닥면(1352)의 전후 길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일부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6 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1/6이상이어야 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를 고려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도방지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통해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481) 및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배수탱크(485)가 상기 보조챔버(15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은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가 삽입되는 급수탱크삽입홀(미도시) 및 배수탱크삽입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탱크삽입홀 및 상기 배수탱크삽입홀을 통해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를 상기 보조챔버(150)에 삽입하거나 상기 보조챔버(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탱크(481)및 상기 배수탱크(485)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탱크(481)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배수탱크(485)가 설치되는 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통상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하나의 탱크설치공간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수탱크(481)와 배수탱크(485) 중 하나의 탱크만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는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이는 보조챔버(150)의 컴팩트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도 4(a)는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공급부(450), 공기공급부(410), 급수탱크(481) 및 배수탱크(48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가열하는 공기공급부(410) 및 상기 제1챔버(130)로 스팀을 생성시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10)는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411), 상기 제1챔버(130)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덕트(419), 및 상기 급기덕트(411)와 상기 배출덕트(419)를 연결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연결덕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10)는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412)은 상기 연결덕트(413)와 상기 배출덕트(419)사이 또는 상기 급기덕트(411)와 상기 연결덕트(413)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와 연통될 것이고, 상기 배출덕트(419)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와 연통될 것이다.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와 상기 공기배출포트(138)가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점을 고려하면, 상기 급기덕트(411), 상기 연결덕트(413) 및 상기 배출덕트도 상기 너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30)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서 배출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에서 유입될 때까지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일측면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로 유입될 것이다.
상기 연결덕트(413)의 내부에는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히터(heater)로 구비될 수 있으나, 에너지의 효율측면에서 히트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위해 증발기와 응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부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4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한 후, 다시 가열하여 고온 건조상태의 공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상기 고온건조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1챔버(130)에 거치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의 공간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을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470), 상기 베이스부(470)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470)의 사이에서 소정의 설치영역을 형성하는 서포터부(4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영역에는 스팀공급부(450)가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부(489)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41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의 공간을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으로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490)도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스팀공급부(450), 상기 공기공급부(410), 및 후술할 의류지지부, 개폐구동부, 각종 센서 및 입출력부, 제2챔버 조명부(590) 및 선반조명부(587)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90)가 상기 스팀공급부(450)와 상기 베이스부(47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닛 후면(115)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는 상기 연결덕트(413) 및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덕트(419)의 높이로 인해 상기 연결덕트(413)위에 여유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밑에서부터, 상기 베이스부(470), 상기 스팀공급부(450), 상기 연결덕트(413),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b)는 기계장치에 포함되는 압축기(417)의 배치(lay-out)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순환시키 위함이다.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제1챔버(130)를 순환하게 되는 공기는 고온 건조한 상태로 상기 제1챔버(130)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압축기(417)는 상기 서포터부(489)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17)의 크기 및 진동을 고려하여, 상기 압축기(417)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 또는 상기 제1투입구(131)보다 상기 캐비닛 후면(115)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부(489)는 상기 스팀공급부(450) 및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지지하기 위해 제1서포터(4891) 및 제2서포터(4892)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서포터(4891) 및 사익 제2서포터(4892)는 각각 2개의 다리와 상기 2개의 다리를 연결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서포터부(489)는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측면중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470)와 결합되는 전방거치면과 후방거치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포터(4891) 및 제2서포터(4892)와 같이 분리된 2개의 부재가 아니라 하나의 부재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부재가 상기 베이스부(470)와 함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에 상기 스팀공급부(45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어 상기 제1챔버(130)가 외부에 노출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 또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입출력부(7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700)인 사용자의 제어정보에 따라 수행중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수행상태(또는 현재 처리상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입출력부(700)의 일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입출력부(700)는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스피커, 햅틱장치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를 손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7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분되어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수행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나 결과를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내부에 포함된 제2챔버(550)로 인해 일반 도어와 달리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울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키기 위해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700)는 사용자의 도어개방명령을 감지하는 도어개방입력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700)에서 도어개방이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9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구비되는 근접센서부(7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근접센서부(791)의 소정의 감지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9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부(79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 즉 제2챔버의 도어(530)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출력부(70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앱(App)이나 원격제어기(remote controller)를 통해 도어개방을 입력시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부개폐구동부(175) 및 하부에 위치한 하부개폐구동부(177)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개폐구동부(175) 및 상기 하부개폐구동부(177) 중 하나의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b)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공간을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영역(1301)과 상기 제2영역(1302)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단순히 상기 제1챔버(130), 상기 제2챔버(550)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후면보다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제1투입구(131) 및 상기 제2영역(1302)를 거쳐 상기 제1영역(130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후술한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시, 상기 제1영역(1301)에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후면, 즉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 도 7참조)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하부, 와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이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의 다른 일부,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상부는 상기 제1챔버 후면(136)과 마주보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챔버(550)가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챔버(550)의 아래에 위치한 공간은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는 정체영역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550)이 연통될수 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의류를 처리시,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위치한 의류도 함께 처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된 의류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550)가 연통시키는 경우,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응축수를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챔버(130)에 스팀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제2챔버(550)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챔버(150)이 동작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챔버(550)에 발생한 응축수를 처리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1영역(1301)의 하부면은 상기 단차진 제1챔버 바닥면(135) 중 제1바닥면(1351)에 해당되고, 상기 제2영역(1302)의 하부면은 상기 제2챔버 바닥면(1352)에 해당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를 감안하고,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의 크기를 감안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길이(FR2)는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길이(FR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길이(FR2)의 길이가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길이(FR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전도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로 인해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보조챔버(150)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2챔버(550)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시, 유동의 정체발 발생할 수 있는 정체영역(stagnant regopm)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챔버(550)의 높이는 상기 제1챔버(13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높이로 인해 상기 제1바닥면(1351)의 높이가 상기 제2바닥면(1352)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되는 의류보다 상대적으로 긴 옷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챔버(550)의 높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 (또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바닥면(1351)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높이 (또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보조챔버(550)의 높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로 인해 상기 제1바닥면(1351)및 상기 제1바다면(1351)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제2바닥면(1352)을 포함하여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는 단차진 형태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수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550)의 길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550)에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되는 의류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옷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길이의 옷을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수용한 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 상에 위치하는 제2영역(1302)에 위치할 것이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마주보게 될 것이다. 결국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밀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보조챔버(150)에 의해 일정 깊이 이상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영역(1301)에 의류가 수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는 상기 보조챔버(550)의 높이보다 클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로 인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일 것이다.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영역(1302)의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제2영역(1302)의 너비 및 높이를 곱한 넓이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의 넓이보다 클 것이다. 즉, 상기 제1투입구(131)의 개구된 넓이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의 넓이보다 클 것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의 높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높이보다 클 것이다. 즉, 상기 제1투입구(131)의 높이는 상기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도 2참조)의 전면높이보다 작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6(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전방을 향해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상기 제1투입구(131) 사이의 생긴 틈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측면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 도 5참조)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챔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의 관리모드를 수행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하도록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기구학(kinematics)적으로 평행 4절링크(Parallelogram four-bar Linkages)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개폐시 상기 제1투입구(131)에 나란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사이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챔버(13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131)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도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위치는 변하여도 항상 도어어셈블리(500)가 바라보는 방향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할 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한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을 바라보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와 달리 상기 제2힌지(520)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을 개방시 상기 제2투입구(512)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되어 항상 상기 제2투입구(512)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이루는 각도가 변할 수 있다 (도 8 참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1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중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하나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 뿐만 아니라,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135)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과 상기 캐비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밀어주어 한쪽으로 힘이 집중되거나, 불필요한 토크가 발생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해주는 힌지구조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수용바디(510)와 비접촉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4절링크(4 bar Linkage)방식의 제1힌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외형을 형성하는 개폐바디(171), 상기 개폐바디(171)의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모터(173), 상기 개폐모터(173)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링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링크(172)의 일면은 기어이빨(teeth)을 가져 랙-피니언(rack and pinon)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개폐링크(172)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여러 기어들이 상기 개폐모터(173)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여러 기어들 중 일부 기어가 상기 개폐링크(172)의 일면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이빨에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개폐링크(172)가 앞으로 전진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는 상기 개폐링크(172)가 곡선의 형상으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개폐링크(17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고려하면,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전후길이가 커져서,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도어어셈블리(500)가 전방으로 인출시 제1힌지(120)의 양 링크(1251, 1252)가 회전하면서 서로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경로가 직선이 아닌 곡선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소정의 이격거리(또는 개방거리)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링크(172)의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제1챔버(130)에 삽입되었던 상기 수용바디(51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인출될 때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개폐링크(172)가 소정의 개방거리만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링크(172)가 다시 상기 개폐바디(171)의 안으로 삽입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개방과 달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링크(172)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개폐링크(172)와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링크(17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링크(172)를 초기위치인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개폐링크(172)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제2위치로 이동 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 후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소정의 개방거리만큼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이후, 상기 개폐모터(173)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된느 제2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개폐링크(172)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구동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에만 구동시킬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한 채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의 목적은 수용된 의류나 물품의 관리 및 보관의 목적뿐만 아니라, 진열 및 전시의 목적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항상 제2챔버(550)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챔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130)의 개방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평행 4절링크 방식의 제1힌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도, 항상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구(F1, F2)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빌트인타입으로 일반 가구들과 같이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0)의 전방에 상기 제2챔버(55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빌트인타입을 고려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높이 및 깊이(FD1)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구(F1, F2)의 사이즈를 고려해서 설계될 것이다. 여기서 깊이(FD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뜻한다. 상기 제2챔버(550)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옆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차지하는 너비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를 의류관리뿐만 아니라 진열 및 전시목적으로도 활용하기 위해서도,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의 깊이방향으로 물건을 겹쳐서 배치하는 것이 진열 및 전시목적에 맞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깊이(FD1)보다는 작을 것이다.
다만, 상기 제2챔버(550)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은 인접하는 가구들과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깊이(FD1)을 변경하지 않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의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크기로 인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a)및 도 7(b)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을 중심으로 반경이 DR인 호(arc)를 도시하고 있다.
만약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다고 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회전시,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서 IA로 표시되는 지점, 즉, 수용바디 후면(5105)과 수용바디 우측면(5103)이 만나는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상기 모서리가 상기 제1챔버(130)의 일측면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에 힌지결합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나 수용바디 후면(5105)의 너비가 줄어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대 모서리가 간섭되는 것을 고려해야하나, 문제점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또는 두께)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6 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를 고려해서이다. 예컨대, 성인여자가 소지하는 가방의 소형 표준사이즈 와 대형 표준사이즈를 고려해서 정해진 수치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를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이나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너비(SW1)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로 인해 IB로 표시된 영역에서 인접하는 가구(F2)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인접하는 가구(F2)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설령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간섭없이 열린다고 하여도, 상기 수용바디(510)로 인해 상기 제1투입구(131)의 일부가 가려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서 가려진다는 것은,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경우를 말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시키는 제1힌지(1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수용바디(510),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챔버(550),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상기 수용바디(510)에 연결시키는 제2힌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상기 제2투입구(512)의 개구된 방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고,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512)의 개구된 방향이 유지된다는 것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또는 폐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방향이 그대로 유지된 채 이동한다는 것을 뜻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방에 위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방향이 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상기 제2챔버(550)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120)에 구비되는 링크는 회전을 하지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회전 및 병진운동을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이 항상 전방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제1투입구(131)과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을 개폐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한 때, 폐쇄한 때, 또는 개폐도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임의(arbitrary)의 일 지점에서 임의의 다른 지점까지의 위치와 방향이 변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에 연결시키는 제1힌지(120)를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면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 구비되는 제1상부힌지(128) 및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 구비되는 제1하부힌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은 단차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단차로 인한 단차면(1323, 도 1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사이에 및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힌지(128)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단차면(132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힌지(129)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 또는 상기 제2바닥면(135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1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상부힌지(128) 및 상기 제1하부힌지(129)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링크(1251, 1252)의 회전길이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를 연결하는 제2힌지(520)의 연결부재(5251, 5252)의 회전길이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 또는 개방도중, 상기 캐비닛에서 완전히 이격시킴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들과의 간섭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가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로 인해 인접하는 가구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시에는 인접하는 가구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폐쇄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캐비닛(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0에서 후술할 상기 제1링크(1251, 도 10(b) 참조) 및 상기 제2링크(1252, 도 10(b) 참조)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1연결부재(5251, 도 12(c) 참조)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52, 도 12(c) 참조)의 길이보다 길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챔버(550)를 포함하는 수용바디(510),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9를 팜조하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하우징(55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접근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방패널(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512)는 상기 전방패널(518)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투입구(512)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559)과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는 전방패널(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수용하우징(559)와 일체로 형성된 후 전면이 개구된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전방패널(518)을 관통하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챔버(550)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제2투입구(512)를 둘러싼 상기 전방패널(518)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크기는 상기 제2투입구(51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은 폐쇄시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하여,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전방패널(518) 또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전방패널의 상부를 형성하는 전방상부패널(5181), 상기 전방패널의 하부를 형성하는 전방하부패널(5184), 및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과 상기 전방하부패널(5184)의 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좌측패널(5182)과 전방우측패널(51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 상기 전방하부패널(5184), 상기 전방좌측패널(5182)및 상기 전방우측패널(5183)에 의해 상기 제2투입구(5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제2투입구(512)의 둘레를 감싸면서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과 상기 수용바디(510)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전선, 회로기판 및 각종 장치들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투입구(512)는 사각형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은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51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51813)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폐쇄시, 상기 공기유입부(51813)는 상기 전방패널(518)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 즉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적어도 상기 공기유입부(51813) 및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닫는 경우, 상기 제2챔버(550)는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제2챔버(55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공간과 연통될 것이다.
또한, 도 9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행어부(800) 및 선반거치부(5552)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행어부(8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의류행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제2챔버(55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후면(555)에 거치시키거나 탈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는 일종의 액세서리로 상기 제2챔버(550)에서 탈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상기 행어부(800)를 설치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행어거치부(55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행어부(8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고리형태의 옷걸이의 외형을 갖는 행어부(800)의 경우,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서 후크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행어부(800)의 고리를 상기 후크에 걸어 의류를 진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되는 방식의 의류행어(830)의 경우,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홈 이나 홀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행어(830)를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580, 도 2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하는 상기 선반부와의 결합을 위한 선반거치부(5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이나 홀 형태의 선반거치부(5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직사각형 판(sheet)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부(580)의 후면에 상기 선반거치부(5552)와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거치부(555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거치부(5552)에 결합하는 상기 선반부(580)또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거치부(5552)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2챔버(550)의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선반부(580)의 양 측면을 상기 제2챔버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다.
도 9는 상기 행어부(800)를 상기 제2챔버(550)의 일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지지부(5552)에서 분리시킨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부(800)에 거치되는 옷의 크기를 고려하면, 상기 행어부(800)의 하부에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일부만이 상기 복수 개의 선반거치부(5552)중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물품이나 의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가 조절하여 결합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즉, 수용되어 전시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챔버(550)의 후면에 결합하는 선반부(58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제1힌지(12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인지 또는 오른손잡이인지에 따라 개폐방향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방향은 동일한 제1힌지(120)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된 제1힌지(12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사용자의 좌측으로 이동시킬 것이고 도 10(b)에 도시된 제1힌지(120)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27),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는 힌지수용부(121), 상기 힌지결합부(127) 및 상기 힌지수용부(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25)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힌지수용부(12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25)는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링크(1251) 및 제2링크(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수용바디(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링크(1251) 및 제2링크(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의 서로 다른 지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체적인 윤곽은 4절링크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각각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만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평행 4절링크(Parallelogram 4 bar linkage)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회전시,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도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회전할 것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항상 전방면을 향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상기 제2챔버(550)를 항상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제1위치 또는 접힌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면,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최종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힌지(120)의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회전을 하는 것이지만,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된 후 옆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엄밀히는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가 이격되어 회전하므로, 각각의 개별링크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해 고정되어 있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병진운동 (translational motion)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개폐구동부(170)에 의해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후, 옆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도어의 형태를 글라이딩 도어(gliding door) 혹은 스윙도어(swing door)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길이를 고려하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인접가구와 간섭되지 않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일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투입구를 가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를 펼친상태라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또는 이동시에도 상기 입출력부(700)에 접근이 용이하게 하기 위힘이다.
상기 접힌상태에서의 상기 펼친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L자 형태의 힌지절곡부(12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힌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제2힌지(520)의 일례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상기 수용바디(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2힌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두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1힌지(120)처럼 동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12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후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달리, 상기 제2힌지(520)는 일반적인 힌지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힌지(5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내면,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양 면 중 상기 제2투입구(512)를 향하는 면, 과 상기 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닫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520)의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고, 상기 제2힌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520)가 회전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가 된 경우,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최대 개방각도(Θ)는 90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최대 개방각도가 180도(°)이상이면, 인접한 가구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제2힌지(520)의 일례이다. 상기 제1힌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는 부재수용부(521), 상기 제2챔버의 도어에 결합하는 부재결합부(527) 및 상기 부재수용부(521) 와 상기 부재결합부(527)를 연결하는 연결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5)는 상기 제1연결부재(52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수용부(521)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기키기 위한 수용부체결홈(5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결합부(527)도 상기 부재수용부(521)와 유사하게 상기 부재결합부(527)를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인 제1체결홀(5271) 및 제2체결홀(5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5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수용바디(5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상부힌지(528)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하부힌지(5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상기 제2상부힌지(528)의 일례이고, 도 12(b)는 상기 제2하부힌지(529)의 일례이다. 상기 제2상부힌지(528) 및 상기 제2하부힌지(529)는 상기 제1체결홀(5271)의 위치가 서로 반대이다. 이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의 결합위치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상부힌지(528)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아래쪽에 체결영역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하부힌지(529)는 이와 반대일 것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힌지(520)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부재수용부(521) 및 상기 부재결합부(527)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거리(K1)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HA영역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3은 제1챔버(130) 및 보조챔버(150)를 간단하게 도시 한 후, 공기의 순환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의 크기를 고려하면,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후방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제1챔버(130)의 아래 일부에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제1바닥면(1351) 및 제2바닥면(135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바닥면(1352)의 높이가 상기 제2바닥면(1352)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면(1351)의 하부에 상기 보조챔버(15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의 전후방향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기계장치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연결덕트(413)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489)도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411)와 연통되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배출덕트(419)와 연통되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는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은 도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상기 제1챔버(130)를 바라본 모습이다.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만약 상기 공기배출포트(138)가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 증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137)가 상기 제1챔버(13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을 향해 위로 이동할 것이다. 이후 공기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하고, 다시 상기 제1챔버(130)의 타측면을 만나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결국 상기 제1챔버(130)의 타측면을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410)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로 유입된 공기는 우선 상기 급기덕트(411)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후, 상기 송풍유닛(412)을 지나 다시 상기 연결덕트(413)를 향해 위로 올라가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연결덕트(413)가 상기 서포터부(489)의 상부에 위치한 반면, 상기 송풍유닛(412)은 상기 베이스부(470)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급기덕트(411)에서 상기 연결덕트(413)까지의 공기 이동은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위로 올라가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급기덕트(41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응축수가 열교환부(415)로 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응축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바뀌어 상기 송풍유닛(412)으로 유입되기 전 상기 급기덕트의 하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450, 도 4 참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순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인 의류처리장치(100)에서 공기 및 스팀의 순환방향이 전후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설정됨에 따라,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지지부(600), 특히 행어바디부(610), 의 방향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의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기 및 스팀이 의류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해야 한다. 만약 행어바디부(610)가 너비방향으로 구비된다면,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스팀배출포트(139)에 가깝게 거치된 옷들만 관리가 되고, 멀게 거치된 옷들은 가깝게 거치된 옷들로 인해 관리가 잘 안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및 스팀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서,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의류지지부(600)에 옷을 거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의류지지부(6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상기 행어홈(6111)까지의 거리가 모두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행어홈에 의류를 거치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의류지지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지지부(600) 중 상기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하는 행어바디부(610)는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몸을 숙이거나 하는 불편 없이,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한 후 의류를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상기 제1챔버(130)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부(600)를 분해한 것이다.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의류구동부(640) 및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동력변환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는 스팀 및 열풍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지지하는 행어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행어프레임도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캐비닛(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닛 프레임(미도시) 또는 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진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동력모터(641) 및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동력전달부(642)의 일례로 주동풀리(6423), 종동풀리(6422) 및 상기 주동풀리(6423)와 상기 종동풀리(6422)를 연결하는 벨트(642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무빙행어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를 지지하는 풀리고정부재(6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660)는 상기 종동풀리(6422)와 연결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회전부(661) 및 상기 회전부(661)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변환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61)는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축방향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661)에 의해 일정한 반경의 원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661)는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연결부재,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변환부재(662)와 연결되는 삽입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변환부재(662)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홀의 형태로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622) 및 제2서포팅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팅부(622) 및 상기 제2서포팅부(624)는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변환부재(662)로 인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하측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결합하여 상기 의류구동부(640)에 의해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해어홈(6111)이 등간격이 아닌 간격으로 배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얇은 재질의 의류, 예켠대 와이셔츠, 와 같은 옷을 추가로 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도 14는 5개의 행어홈을 도시하고 있다. 이중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행어홈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이고, 두번째와 네번째 행어홈은 각가 첫번째와 다섯번째 행어홈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의 행어홈은 의류의 크기를 고려한 배열된 행어홈들이다. 반면, 두번째와 네번째의 행어홈은 의류를 추가적으로 거치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결합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다. 즉,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의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레일(6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이동레일(615)에 결합시키는 이동가이더(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더(617)가 상기 이동레일(615)위를 이동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이동레일(61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하는 행어바(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행어홈(6111)에 거치시 상기 이동레일(615) 또는 상기 의류지지부(6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바(6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행어바디(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키기 위해 접근 가능한 공간인 걸이공간(6101)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619)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공간(6101)은 상기 행어바(611), 상기 상부행어바디(612) 및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디(6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공간(6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공간(6101)의 하면에는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전방으로 인출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행어지지부(620)에서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옷을 거치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제1영역(1301)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는 상기 제1영역(1301)에 위치시에는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시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와 함께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이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시, 사용자는 상기 행어바(611)를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시, 상기 행어바(611)는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서 상기 제1투입구를 향해 인출되어, 상기 행어바(611)의 적어도 일부가 제2영역(1302)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같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입시, 상기 행어지지부(620)와의 결합이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이동레일(61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출입방향이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왕복운동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6(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613),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이동방지돌기(625)를 삽입할 수 있는 행어바스토퍼(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b)는 행어바스토퍼(621)의 이동방지돌기(625)가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고정된 모습이다. 도 16(c)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가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된 모습이다.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625) 및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하기 위한 이동모터(6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7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킬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후면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제1힌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결합시킬 것이다. 이는 향후 상기 의류지지부(600)의 왕복운동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인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이동방지돌기(625)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도 17(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7(b)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a)는 의류행어(830)가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된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열지않고도 상기 제2챔버(55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나 물품을 놓을 수 있는 선반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에는 의류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복수 개의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거치부(5552)에서 착탈가능하므로, 전시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되는 행어부(800) 중 의류행어(830)의 다른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외형을 형성하는 행어하우징(832), 상기 행어하우징(832)를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시키는 고리부(8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하우징(832)은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지지부(8323) 및 상기 중앙지지부(8323)에서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의류를 지지하는 연장지지부(8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지지부(8321)의 상부면 및 측면, 그리고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하면, 즉, 상기 중앙지지부(8323)및 상기 연장지지부(8321)의 하면,은 상기 의류행어(830)에 거치되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홀(836) 및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홀(8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홀(836) 및 상기 공기공급홀(834)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팀과 공기는 유로를 달리 해야 위생적이므로, 상기 스팀공급홀(836)과 상기 공기공급홀(834)은 서로 연통되지 않을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834) 과 상기 복수 개의 스팀공급홀(836)은 상기 연장지지부(8321)의 상부면 및 측면, 및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하면에 각각 상기 연장지지부(83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834) 과 상기 복수 개의 스팀공급홀(836)은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전후방향을 따라 마주보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내부에 위치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스팀공급홀(836)을 통해 의류에 공급하는 스팀유닛(8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행어하우징(832)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공급홀(834)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행어팬(8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홀(미도시) 및 상기 유입홀에 위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행어팬(833)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행어팬(833)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행어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히터를 통해 상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공기공급홀(834)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홀(834)은 열풍을 공급하거나, 상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팀유닛(835) 및 상기 행어팬(833)은 상기 행어하우징(832)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팀유닛(835) 및 상기 행어팬(833)의 무게를 반영하여 상기 의류행어(830)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의류행어(830)에 거치되는 의류가 상기 연장지지부(832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831)는 의류와 상기 연장지지부(8321)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켜 상기 연장지지부(8321)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공급홀(834) 및 상기 스팀공급홀(836)이 의류와 접촉하여 의도치 않게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일례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이나 의류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상부조명부(5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의 목적은 전시를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된 물품이나 의류들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조명부(587, 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수용된 물품들에 위에서 아래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조명부(591)에 의해 비추어지는 물품은 상기 제2챔버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하이라이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하부보조공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제2챔버(550)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550)과 분리된 하부보조공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보조공간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필요한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와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독립적인 공간이란, 상기 제1챔버(130)와 별도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함을 뜻한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를 진열목적 및 관리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130)와 독립적으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 챔버의 독립적인 온습도의 조절은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550) 중 어느 하나의 챔버만을 사용할 때 불필요하게 다른 챔버까지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챔버를 서로 다른 목적에 맞는 온습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된 의류를 관리(care)할 필요가 있을 때만, 상기 보조챔버(150)에 구비되는 여러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을 활용하여 스팀분사 또는 열풍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된 의류를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열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공기조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부는 후술할 공기순환부(560) 및 공기처리부(57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상부에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보조공간(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보조공간은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서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에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따. 또한, 상기 상부보조공간에는 상기 상부조명부(59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은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명설치홀(5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조명설치홀(5512)을 통해 상기 제2챔버(550)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주광색 빛(cooldaylight), 전구색 빛(incandlelight), 주백색 빛(daylight) 중 어는 하나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2챔버(55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 및 상기 수용바디(5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위치하는 공기배출부(5511)를 통해 상기 공기순환부(560)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챔버(5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후방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개구된 상기 공기배출부(5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하우징(55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바디(51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을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과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의 연결하는 제2챔버 좌측면(552), 제2챔버 우측면(553) 및 제2챔버 후면(5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 상부면(5101) 및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수용바디 상부면(5101) 및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사이에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면,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사이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20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순환유로(563) 및 상기 순환유로(563)를 지나가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5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61)는 상기 순환유로(56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뿐, 상기 순환유로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561)는 상기 순환유로(563)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는 순환히터(5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히터(5611)외에도 상기 순환유로(563)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면 상기 가열부(561)는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순환히터(5611)은 필름형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563)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563)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제1순환덕트(5631) 및 상기 제1순환덕트(5631)와 연통하여 상기 제1순환덕트(5631)로 흡입된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2챔버(550)으로 배출하는 제2순환덕트(5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중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563)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유입부(51813),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중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순환유로(563)의 타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챔버(55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5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덕트(5631)는 상기 전방패널(518)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유입부(51813)와 연통되며, 상기 제2순환덕트(5632)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배출부(551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회전하는 순환팬(5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565)은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팬(fan)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팬(565)은 상기 순환유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순환팬(565)이 상기 제1순환덕트(563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예컨대, 상기 순환팬(565)은 상기 공기유입부(5181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공기배출부(551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563)의 내부에서 상기 가열부(561)보다 상류(upstream)에 위치할 수 도 있고, 하류(downstream)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가열부(561)는 상기 제2순환덕트(563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유입부(51813) 및 상기 공기배출부(551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563)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순환유로(563)의 길이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기 순환유로(563)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제1순환덕트(5631) 및 상기 제2순환덕트(5632)는 각각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른 상기 제1순환덕트(5631) 및 상기 제2순환덕트(5632)의 길이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후방향을 따른 상기 제1순환덕트(5631) 및 상기 제2순환덕트(563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순환덕트(5631)는 상기 제2순환덕트(5632)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순환덕트(5631)는 상기 제2순환덕트(5632)보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보다 열손실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순환유로(563)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순환팬(565)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순환팬(565)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부(561)는 복수 개의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나의 히터에 열을 내는 코일히터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히터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를 측정하는 순환온도센서(79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1과 함께 후술하였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폐쇄시 상기 전방패널(518) 과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G)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 중 가장자리를 개스킷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가 감싸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패널(518)이 상기 전방패널의 가장자지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에 위치하는 상기 공기유입부(51813)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챔버(550)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폐쇄시, 상기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상기 공기순환부(56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유로(563)는 상기 수용바디 상부면(5101)과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사이에서 조명부(587, 590)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가열부(561)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가열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의 부피는 상기 제1챔버(130)의 부피보다 작을 뿐 아니라, 상기 제2챔버(550)에 거치되는 의류의 진열시 온습도 조절을 위한 목적이 크므로, 상기 가열부(561)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트펌프모듈과 달리 순환히터(5611)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61)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가열하는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부(561)의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를 측정하는 순환온도센서(797, 도 2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온도센서(797)은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다른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순환온도센서(797)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순환팬(565) 및 상기 순환히터(56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순환히터(5611)를 중지시키고, 상기 순환팬(565)만을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2는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처리부(570)의 일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공기처리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공기순환부(560)와 유사하게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공기처리부(570)가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에 위치한다면,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순환부(560)와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화시킬 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조화(conditioning)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순환부(560)와 상기 공기처리부(570)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챔버(5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은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흡입홀(5541) 및 하부배출홀(55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처리덕트(5731)와 연통하는 하부흡입홀(5541), 및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처리덕트(5732)와 연통하는 하부배출홀(5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홀(5541)은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 상에서 중앙부에 위치한다면, 상기 하부배출홀(5542)은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또는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홀(5541)과 상기 하부배출홀(5542)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배출홀(5542) 및 상기 하부흡입홀(5541)으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 상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홀(5541)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에 가깝게 위치할수도 있다. 즉, 하나의 상기 하부흡입홀(5541)이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 인접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상기 하부흡입홀(5541)은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홀(5541)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부흡입커버(미도시)가 상기 하부배출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홀(5542)은 상기 제2챔버(550)의 일측면을 따라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처리유로(573), 및 상기 처리유로(573)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유로(573)를 지나가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571)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부(560)가 상기 제2챔버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가열부(561)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5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571)는 히트펌프유닛을 활용하여 구현될수 도 있으나, 상기 제습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면, 상기 제습부(571)는 펠티에효과(Peltier effect)를 활용한 열전모듈(5711, Thermoelectric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제습하는 공기공급부(410)와 달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제습하는 제습부(571)는 상대적으로 제1챔버(130)의 부피보다 작은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히트펌프와 같이 부피가 큰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의 목적이 진열 중 온도 및 습도의 유지이므로,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동작시켜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같이 많은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습부(571)에서 응축되는 수분은 자연스럽게 증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발광하는 하부조명부(599)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상에 놓일 물품에 빛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은 상기 하부배출홀(5542) 및 상기 하부흡입홀(5541)를 포함하므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하부조명부(599)가 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599)는 주광색 빛(cooldaylight), 전구색 빛(incandlelight), 주백색 빛(daylight) 중 어는 하나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 24는 상기 공기처리부(57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처리유로(573) 및 상기 처리유로(573)를 지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5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571)는 열전모듈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펠티에 효과에 의해 상기 열전모듈에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열전모듈의 일면은 온도가 상온보다 떨어지고, 타면의 온도는 상온보다 올라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일면을 지나가는 공기는 온도가 떨어지면서 냉각되어 제습될 것이다. 반면, 상기 가열되는 타면을 지나는 공기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고온건조상태의 공기가 될 것이다.
상기 제습부(571)은 상기 열전모듈(5711), 상기 열전모듈(5711)의 일면 중 냉각되는 면에 결합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전냉각부(57113), 상기 타면에 결합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열전가열부(57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냉각부(57113)는 핀(fin)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5711) 중 냉각되는 일면의 단면적을 넓혀 상기 열전냉각부(57113)를 지나는 공기와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할 수 있다. 핀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면, 이를 냉각핀이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열전가열부(57115)도 핀(fin)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5711) 중 가열되는 일면의 단면적을 넓혀 상기 열전가열부(57115)를 지나는 공기와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할 수 있다. 핀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가열핀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본래의 목적은 상기 열전모듈(5711)의 가열되는 타면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함이지만, 이는 곧 상기 열전가열부(57115)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함을 뜻한다.
상기 처리유로(573)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제1처리덕트(5731) 및 상기 제1처리덕트(5731)와 연통되어,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챔버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제2처리덕트(5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덕트(5731) 및 상기 제2처리덕트(5732)는 각각 상기 열전모듈(5711)의 열전냉각부(57113)와 열전가열부(5711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나는 공기는 제습되고,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지나는 공기는 가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흡입홀(5541)과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나면서 상기 열전모듈(5711)에 의해 냉각될 것이다.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나면서 냉각된 공기는 다시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지나면서 상기 열전모듈(5711)에 의해 가열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처리덕트(5731)와 상기 제2처리덕트(5732) 사이에 상기 열전모듈(5711)이 위치하여, 상기 열전냉각부(57113)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와 접촉하거나 상기 제1처리덕트(573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열전가열부(57115)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와 접촉하거나 상기 제2처리덕트(573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처리덕트(5731)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덕트(5731), 상기 열전모듈(5711) 및 상기 제2처리덕트(5732)는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처리유로(573)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처리팬(57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팬(575)과 별도로 상기 열전가열부(57115)의 방열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열전가열부(57115)는 방열팬(57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가열부(57115)는 복수 개의 핀(fin)형상으로 구비되는 방열핀 또는 가열핀일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전냉각부(57113)로 안내하는 처리팬(575), 및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처리덕트(5732)로 안내하는 방열팬(5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711)에 핀 형상의 상기 열전가열부(57115)가 부착되어 상기 열전모듈(5711)의 방열을 돕고,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지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열팬(576)은 상기 열전가열부(57115)에서 열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위해 상기 처리유로(573)를 지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지나는 공기는 결국 상기 방열팬(576)에 의해 상기 열전가열부(57115)과의 열교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열팬(576)은 상기 열전냉각부(57113) 및 상기 열전가열부(571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과 상기 수용바디 하부면(5104) 사이의 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제1처리덕트(5731) 및 상기 제2처리덕트(5732)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열전모듈(5711)이 냉각와 가열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상기 제1처리덕트(5731) 및 상기 제2처리덕트(5732)는 적층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덕트(5731)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위에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711)은 상기 제1처리덕트(5731)와 상기 제2처리덕트(5732)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흡입홀(5541)을 통해 상기 제1처리덕트(573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전냉각부(57113)를 만나 냉각되면서,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따라,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측면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후,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나는 공기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의 일단에서 연통되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처리덕트(5732)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처리덕트(5731)를 지나는 공기 또한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처리덕트(5732)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따라,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바디의 타측면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공기처리부(570)가 장착되는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상기 하부흡입홀(5541)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배출홀(5542)은 상기 수용바디의 양 측면 중 일측면에 타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한다면, 상기 제1처리덕트(5731)는 상기 하부배출홀(5542)이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상기 수용바디(510)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처리덕트(5732)의 길이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1처리덕트(5731)에서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원활히 흡입하기 위해 처리팬(5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열전모듈(5711)의 원활한 방열과 상기 처리유로상의 공기를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해 방열팬(5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습부(571)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의 부피는 상기 제1챔버(130)의 부피보다 작을 뿐 아니라, 상기 제2챔버(550)에 거치되는 의류의 진열시 온습도 조절을 위한 목적이 크므로, 상기 제습부(571)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유닛과 달리 열전모듈(5711)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571)는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제습하는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된 목표습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습부(571)의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795, 도 2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795)에서 측정된 습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처리팬(575), 상기 방열팬(576) 및 상기 열전모듈(57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표습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열전모듈(5711) 및 상기 방열팬(576)을 중지시키고, 상기 처리팬(575)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795)는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552, 553) 중 일 측면의 하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습도센서(795)는 상기 제2챔버(550)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처리덕트(57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기 설정된 처리온도이상으로 상기 제2챔버(550)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해,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의 내부에 보조히터(57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의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처리온도센서(7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처리온도센서(799)는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습도센서(795)는 온도도 측정가능한 온습도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처리온도센서(799)는 상기 습도센서(795)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습도센서(795)는 상기 제2처리덕트(5732)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가열부(57115)를 지난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열팬(576) 및 상기 처리팬(57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열전모듈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처리온도센서(799)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처리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보조히터(57321)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온도는 상기 목표온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는 상기 목표온도로 설정되지만, 공기처리부(570)에서의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공기순환부(56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양이 공기처리부(57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를 위한 온도센서(797, 799)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순환온도센서(797)를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제1챔버(130)의 의류지지부(600)에 거치되는 옷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공기공급부(410) 및 스팀공급부(450)와 별도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130)와 무관하게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이 전시 및 보관의 목적을 가지므로, 온도 및 습도가 상시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공기공급부(410) 및 상기 스팀공급부(45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한 경우에도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면, 상기 공기공급부(410) 및 상기 스팀공급부(450)의 동작은 중단될 수 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순환부(560) 및 상기 공기처리부(57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에도 구동가능하다.
도 25(a)는 상기 제2챔버(550)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부(58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b)는 상기 선반부(580)의 일례이다. 도 26은 상기 선반부(580)를 분해한 일례이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550)에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부(800) 및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부(58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챔버(550)에서 탈착가능하므로, 상기 행어부(800)를 의류를 거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복수 개의 선반부(580) 중 일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선반부(580)는 각 선반부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선반부(580)중 일부 선반부 사이의 간격은 달리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5(b)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선반부(58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임의의 높이에서 절개한 상기 수용바디의 단면은 제2투입구(512)에서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을 향해 갈수록 너비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위치하는 선반거치부(5552)에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결합부(811)는 상기 선반거치부(5552)의 구비되는 홀이나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선반부(580)에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거치부(5552)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선반결합부(811)도 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만 결합하고,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에는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3면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선반부(58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순환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선반부(580)는 사각형형태의 판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과 상기 선반부(580)의 양 측면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소정 간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560)는 상기 공기배출부(5511)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데, 상기 공기배출부(551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후방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선반부는 상기 공기순환부(560)에 의한 공기순환을 위해, 상기 선반부(580)의 후방에 상기 선반부(580)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비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부(584)는 상기 제2챔버(550)의 후방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선반부(580)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것이다.
즉, 상기 공기배출부(5511)를 통해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밑으로 내려오는 공기는 상기 통기부(584)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의 후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반부(580), 및 상기 선반부(58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부(5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584)는 상기 제1투입구(131)보다 상기 제2챔버(550)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하여, 상기 공기순환부(5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통기부(584)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부(580)의 좌우 양단은 상기 제2챔버(550)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552, 553)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공기처리부(57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552, 553) 중 일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하부배출홀(554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단순히 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챔버(550)는 의류나 물품의 진열을 위해 활용되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어 진열되는 의류나 물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조명부(587, 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587, 59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제2챔버 조명부(590)와 선반부(580)에 구비되는 선반조명부(58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부(5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580)는 상면이 개구된 선반바디(5811), 상기 선반바디(5811)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하여 물품을 지지하는 상부커버(5814) 및, 상기 선반바디(5811)에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선반조명부(58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조명부(587)는 상기 상부커버(5814)를 통해 빛을 조사하는 상부광조명(5871) 및 상기 선반바디(5811)의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부광조명(58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이 상기 상부커버(5814)에 배치되는 물품을 아래에서 위로 비추기 위한 것이라면,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아래의 위치하는 다른 선반부(580)에 배치되는 물품을 위에서 아래로 비추기 위한 것이다.
도 26은 상기 선반부(580)를 분해한 것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전시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바디부(5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바디부(581)는 상면이 개구된 선반바디(5811) 및 상기 선반바디(5811)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하여 물품을 지지하는 상부커버(58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부(580)가 지지하는 물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측부프레임(5816) 및 상부프레임(58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프레임(5816)으 상기 선반바디(5811)의 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5815)은 상기 선반바디부(581)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커버(581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제2챔버(550)의 높이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공기를 위한 통기부(5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부(584)는 선반바디부(58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바디(58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디통기홀(5841) 및 상기 상부프레임(5815)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통기홀(58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바디(5811)와 상기 상부프레임(5815)이 결합 시, 상기 바디통기홀(5841) 과 상기 상부통기홀(5842)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것이다.
상기 바디통기홀(5841) 및 상기 상부통기홀(5842)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통기홀(5841) 및 상기 상부통기홀(584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통기홀(5841) 및 상기 상부통기홀(5842)이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어도, 상기 바디통기홀(5841) 및 상기 상부통기홀(5842)은 동일한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815)은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설치홀(58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설치홀(58411)은 후술할 선반조명부(587)의 빛이 지나가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설치홀(58411)은 상기 상부통기홀(584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814)는 상기 커버설치홀(58411)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설치홀(58411)의 형상은 상기 상부커버(581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바디(5811)에 구비되어 빛을 내는 선반조명부(5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조명부(587)는 상기 상부커버(5814)에 지지되는 물품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상부광조명(5871) 및 상기 선반바디(58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품에 빛을 조사히기 위한 하부광조명(58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은 상기 상부커버(5814)에 지지되는 물품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상기 선반부(58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에 빛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선반부(580)는 밑에 다른 하나의 선반부(580)가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시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광조명(5871)은 판형태의 상부커버 전체를 통해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선형태로 구비되어 빛이 물품에만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물품을 기준으로 위에서는 스포트라이트가 가능한 조명이, 밑에서는 은은한 조명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반조명부(587)는 상기 상부광조명(5871)의 확산 및 반사를 위한 선반광확산부(58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광확산부(5873)는 광확산재질(light diffusion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재질을 이용하면, 조명에 의한 사용자의 눈부심을 막고, 조명에서 발산되는 빛을 은은하고 부드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확산재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광확산재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인테리어측면에서 더 뛰어날 수 있다.
상기 선반광확산부(5873)는 상기 상부커버(5814)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광조명(5871)의 빛을 판형태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광조명(5871)에서 나온 빛은 상기 선반광확산부(5873)를 통해 판 형태로 확산된 후, 상기 상부커버(5814)를 통해 상기 물품에 조사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5814)는 빛의 통과를 위해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 및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발광다이오드소자(light-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 및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선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광조명(5871) 및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주광색 빛(cooldaylight), 전구색 빛(incandlelight), 주백색 빛(daylight) 중 어는 하나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은 상기 선반바디(5811)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광조명(5871)이 상기 선반광확산부(5873)를 통해 판 형태로 빛을 조사하는 반면,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선 형태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상기 선반부(580)의 하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상기 선반바디(58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하부광조명(5872)을 커버하기 위한 하부광조명커버(58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광조명커버(5819)는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일 수 있다.
상기 하부광조명(5872)은 상기 선반바디(5811)의 하측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싱기 하부광조명(5872)은 상기 선반바디(5811)의 내부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선반바디(58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조명관통홀(미도시)을 통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광조명커버(5819)는 상기 하부조명관통홀(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광조명(5871)은 상기 선반바디(581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전방을 향해 방출된 빛은 상기 선반광확산부(5873)에 의해 반사 및 확산되어 상기 상부커버(5814)를 거쳐 상기 선반부(580)의 상부를 향할 것이다.
반면, 상기 하부광조명(5872)에 의해 방출된 빛은 상기 하부광조명커버(5819)를 통해 상기 선반부(580)의 하부를 향할 것이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조명부(58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반전원공급부(58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반전원공급부(585)는 상기 선반부(580)의 후방에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전원공급부(585)는 상기 선반결합부(811)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 상기 선반거치부(5552)는 상기 선반전원공급부(585)가 삽입되는 선반전원연결부(555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수용바디의 전후방향을 따라 절단된 수용바디의 일 단면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비추는 제2챔버 조명부(590)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조명부(590)는 전술한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하부조명부(599) 외에도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553, 554)에 위치하는 선조명부(5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및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수용바디(510),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에서 상기 제2투입구(512)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빛을 비추는 선조명부(59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므로,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좌우 양단에서 각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제2챔버 우측면(553),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과 연결되어 상기 제2챔버(550)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후면(5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선의 형태로 상기 제2챔버(55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을 따라 2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제2챔버(550)에서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선조명부(59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보다 상기 제2투입구(512)에 가깝게 위치하는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제2투입구(512)보다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가깝게 위치하는 후방선조명부(59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제2챔버 후면(5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선반조명부(587),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하부조명부(599)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색상이 바뀔 수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는 주광색, 전구색, 주백색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단순히, 항상 상기 주광색, 전구색, 주백색 중 하나의 색상만 발광하는게 아니라, 색 변환을 통해 어떠한 색상도 발광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는 RGB 색상을 발광할 수 도 있다. 여기서 RGB 색상이랑 빛의 3원소(Trichromacy)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조합하여 만든 색상을 뜻한다. 이는 LED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도 주광색, 전구색, 주백색, 및 RGB 색상을 발광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가 상기 제2챔버(550)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키조명(key lighting)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제2챔버(550)의 후방에서 키조명에 의해 생성되는 분위기를 더욱 고취시키는 백조면(back lighting)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에서 물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또록, 상기 선조명부(592)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49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조명부(592), 상기 선반조명부(587),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하부조명부(599)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490)가 상기 선조명부(592), 상기 선반조명부(587),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하부조명부(599)의 세기 및 색(또는 파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선조명부(592), 상기 선반조명부(587),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하부조명부(599)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 및 색(또는 파장)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8은 상기 선조명부(592)가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임의의 높이에서 절단해서 보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 사이에 형성되는 별도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공간은 상기 제2챔버를 위해 배치되는 기계장치 및 전선장치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과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과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의 사이의 너비는 상기 제2투입구(512)에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은 제1좌측면(5521) 및 제2좌측면(5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은 상기 제1좌측면(5521)과 상기 제2좌측면(5522)을 연결하는 좌측연결면(55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연결면(5523)은 상기 수용바디 좌측면을 향해 상기 제1좌측면(552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좌측면(552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은 제1우측면(5531) 및 제2우측면(55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은 상기 제1우측면(5531)과 상기 제2우측면(5532)을 연결하는 우측연결면(5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연결면(5533)은 상기 수용바디 우측면을 향해 상기 제1우측면(553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좌측면(552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설치되는 제1전방선조명부(5921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 설치되는 제2전방선조명부(59213),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설치되는 제3전방선조명부(592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전방선조명부(5921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3전방선조명부(59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상기 제3전방선조명부(59215)는 각각 제1좌측면(5521) 및 제1우측면(553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 및 상기 제3후방선조명부(59255)는 각각 좌측연결면(5523) 및 우측연결면(553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면(5521)은 상기 제1좌측면(5521)을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방좌측설치부(55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좌측설치부(55251)는 홈이나 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전방선조명부(59213)가 상기 전방좌측설치부(5525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측연결면(5523)은 상기 좌측연결면(5523)을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후방좌측설치부(55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좌측설치부(55252)는 홈이나 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가 상기 후방좌측설치부(552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면(5531)은 상기 제1우측면(5531)을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방우측설치부(55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우측설치부(55351)는 홈이나 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3전방선조명부(59215)가 상기 전방우측설치부(5535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우측연결면(5533)은 상기 우측연결면(5533)을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후방우측설치부(55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우측설치부(55352)는 홈이나 홀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가 상기 후방좌측설치부(552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선조명부(59211) 및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구비되는 전방상부설치부(5515) 및 후방상부설치부(551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방상부설치부(5515) 및 상기 후방상부설치부(5515)도 홀이나 홈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제2챔버(550)의 서로 다른 영역에 빛을 비출 수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와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의 배치구조를 고려하면, 상기 제1전방선조명부(5921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전방에서 아래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선조명부(59213)는 상기 제1좌측면(5521)에서 상기 제1우측면(5531)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3전방선조명부(59215)는 상기 제1우측면(5531)에서 상기 제1좌측면(5521)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면(5521) 및 상기 제1우측면(5531)이 경사지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후방선조명부(592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후방선조명부(59253),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3후방선조명부(59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후방에서 아래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는 상기 좌측연결면(5523)에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3후방선조명부(59255)는 상기 제우측연결면(5533)에서 상기 제2챔버 후면(555)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좌측연결면(5523) 및 상기 우측연결면(5533)이 각각 상기 제1좌측면(5521) 및 상기 제1우측면(5531)에서 상기 수용바디를 향해 절곡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좌측연결면(5523) 및 상기 우측연결면(5533)은 비스듬히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도 29(a)는 상기 상부조명부(591)과 전방선조명부(5921)의 일례이다. 도 29(b)는 상기 하부조명부(599)의 일례이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명설치홀(55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설치홀(5512)은 복수 개로 구비돌 수 있고, 상시 상부조명부(591)도 이에 따라 복수개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되는 의류를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상기 상부조명부(591)에 습기나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조명커버(59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9(a)는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전방선조명부(592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구비되는 제1전방선조명부(59211)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제3전방선조명부(59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선조명부(5921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상기 제3전방선조명부(59215)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상부조명부(59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구비되는 제1전방선조명부(59211)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제3전방선조명부(592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조명부(599)는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에서 상기 제2챔버(550)를 향해 위로 빛을 비추는 하부조명부(5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599)는 상기 제2챔버(550)의 하부면에 판 형태로 빛을 조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조명부(599)는 상기 선반조명부(587)의 상부광조명(5871)과 유사하게, 광확산재질(light diffusion material)로 형성되는 광확산판(light 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발광하는 하부조명부(599)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상에 놓일 물품에 빛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은 상기 하부배출홀(5542) 및 상기 하부흡입홀(5541)를 포함하므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상기 하부조명부(599)가 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599) 및 상기 상부조명부(591)는 주광색, 전구색 및 주백색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 30은 후방선조명부(5925) 중 제1후방선조명부(59251) 및 제3후방선조명부(59255)의 일례이다.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서 상기 상부조명부(591)와 상기 공기배출부(5511)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후방선조명부(59255)는 상기 우측연결면(5533)에 위치하여 상기 제2투입구(512)의 반대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도 상기 좌측연결면(5523)에 위치하여 상기 제2투입구(512)의 반대방향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도 31은 선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 및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설치되는 제1전방선조명부(59211), 상기 제1좌측면(5521)에 설치되는 제2전방선조명부(59213), 제1우측면(5531)에 설치되는 제3전방선조명부(59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선조명부(5921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것이고, 상기 제2전방선조명부(59213) 및 상기 제3전방선조명부(59215)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것이다.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설치되는 제1후방선조명부(592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 설치되는 제2후방선조명부(59253),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설치되는 제3후방선조명부(59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것이고, 상기 제2후방선조명부(59253) 및 상기 제3후방선조명부(59255)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는 상기 상부조명부(591) 및 상기 공기배출부(5511)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은 상기 조명설치홀(5512)및 상기 공기배출부(551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후방선조명부(59251)가 삽입되는 후방상부설치부(55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선조명부는 상기 상부조명부(591)의 및 상기 제2투입구(5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은 상기 조명설치홀(5512) 및 상기 제2투입구(51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방선조명부(59211)가 삽입되는 전방상부설치부(55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를 향해 빛을 비추는 경우, 열이 발생하므로, 상기 선조명부(592)에 의해 형성된 열을 방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는 뜨겁거나 많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뜨거운 공기나 수분으로부터 상기 선조명부(592)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조명부(592)는 보호커버 및 방열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전방선조명부(5921)와 상기 후방선조명부(5925)가 다른 방식의 보호커버 및 방열구조를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동일한 방식의 보호커버 및 방열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상기 선조명부(592)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선조명설치부(5905)에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에서 삽입되는 방식일 때, 상기 선조명부(592)에 구비되는 보호커버 및 방열 및 방습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면, 상기 선조명부(592)는 일면에 삽입구(59352)를 포함하는 선형태의 방열바디(5935), 상기 방열바디에 삽입되는 LED부(5936) 및, 상기 삽입구(59352)에 결합되어 상기 LED부(5936)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9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35)는 일방향으로 긴 선 형태로 구비되며, U자형 또는 채널(channel)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39)는 광확산재질(light diffusion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5939)는 광확산판(light diffuser)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5939)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29)는 상기 방열바디(5935)에 후크결합할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바디(5935) 및 상기 보호커버(5939)가 결합시 상기 방열바디의 양단은 외부외 연통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상기 선조명부(592)부 상기 선조명부(592)의 양단에 결합하는 엔드커버(59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35)는 습기에 강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열전달 성능을 갖는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2(c)를 참조하면,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상부설치부(5515), 좌측설치부(5525) 및 우측설치부(5535)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35)는 상기 삽입구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방열바디(5935)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디체결홀(593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바디체결홀(59351)을 통해 체결부재(5937)에 의해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바디체결홀(59351)을 통해 각각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체결부재(5937)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체결홀(5935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투입구(512)와 나란하게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면의 일부가 상기 수용바디(510)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5939)가 삽입되는 선조명설치부(59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선조명설치부(590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설치부(5515),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설치부(5525)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설치부(5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는 홈형태일 수도 있고 홀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설치부(5515)는 상기 전방상부설치부(5515) 및 상기 후방상부설치부(5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설치부(5525)는 상기 전방좌측설치부(55251) 및 상기 후방좌측설치부(55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설치부(5535)는 상기 전방우측설치부(55351) 및 상기 후방우측설치부(55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부(5936)는 빛을 발산하는 LED(59362), 상기 LED(59362)와 결합하여 상기 LED(59362)를 제어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593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59362)부는 상기 LED(59362) 및 상기 PCB(5936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방열바디(5935)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593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보호커버(5939)와 상기 방열바디(5935) 사이에 구비되어 습기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바디실링부재(59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실링부재(5932)는 상기 보호커버(5939) 및 상기 방열바디(5935)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방열바디(5935)의 내부로 상기 제2챔버(550)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5937)에 의해 상기 방열바디(5935)가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에 결합되는 영역에 습기 및 이물질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실링부재(593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 상기 선조명부(592)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선조명설치부(5905)에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방식일 때, 상기 선조명부(592)에 구비되는 보호커버(5949) 및 방열 및 방습 구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는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가 홈형태로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반면, 도 33은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가 홀형태로 구비된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삽입형 선조명부(592)는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에서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에 결합될 수 있다. 반면, 도 33에 도시된 고정형 선조명부(592)는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외측에서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와 연통되는 홀 형태의 선조명설치부(590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2에 도시된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의 내면에 결합하는 반면, 상기 도 33에 도시된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의 외면에서 결합하여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로 상기 선조명부(59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3(a)를 참조하면, 상기 선조명부(592)는 일면에 함몰부(59452)를 포함하는 판형태의 방열바디(5945), 상기 방열바디에 삽입되는 LED부(5946) 및, 상기 방열바디(5945)에 결합되어 상기 LED부(5946)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9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45)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59452)는 상기 방열바디(5945)가 상기 수용하우징(559)에 결합시, 상기 수용바디(5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는 각진 U자형상이나 채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판 형태의 방열바디(5945)와 결합시 내부에 상기 LED부(594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커버(5949)는 상기 LED부(5946)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는 광확산재질(light diffusion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는 광확산판(diffuser)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5949)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29)는 U자형 또는 채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방열바디(593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45)는 상기 함몰부(5945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방열바디(5945)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바디체결홀(594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45)는 습기에 강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열전달 성능을 갖는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체결홀(5945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3(b)를 참조하면, 상기 함몰부(59452)에 상기 LED부(5946) 및 상기 보호커버(5949)가 위치하여 상기 방열바디(594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5949)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방열바디(5945)가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에 결합시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한 바디실링부재(59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는 빛을 발산하는 상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 상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차진 면에 상기 바디실링부재(594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실링부재(5942)가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외측면에 결합하면서, 상기 보호커버(5949)의 상면 일부가 상기 제2챔버(55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는 상기 보호커버(5949)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2투입구(512)와 나란하게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조명부(592)는 판형태의 방열바디(5945)가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외측면에 결합되면, 상기 보호커버(5949)의 상면 일부가 상기 제2챔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열바디(5945)는 체결부재(5947)를 이용하여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949)가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보호커버(5949)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측면은 단차없이 매끄러운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3(b) 및 도 33(c)를 참조하면,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선조명설치부(5905)는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설치부(5515),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에 위치하는 상기 좌측설치부(5525)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위치하는 상기 우측설치부(5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설치부(5515)는 상기 전방상부설치부(5515) 및 상기 후방상부설치부(5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설치부(5525)는 상기 전방좌측설치부(55251) 및 상기 후방좌측설치부(552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설치부(5535)는 상기 전방우측설치부(55351) 및 상기 후방우측설치부(553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조명부(592)는 상기 바디체결홀(59451)을 통해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 상기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상기 제2챔버 우측면(553)에 체결부재(5947)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LED부(5946)는 빛을 발산하는 LED(59462), 상기 LED(59462)와 결합하여 상기 LED(59462)를 제어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593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59462)부는 상기 LED(59462) 및 상기 PCB(5946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방열바디(5945)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594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12: 캐비닛 상부면
120: 제1힌지 128: 제1상부힌지 129: 제1하부힌지
130: 제1챔버 131: 제1투입구 132: 제1챔버 상부면
135: 제1챔버 바닥면 1351: 제1바닥면 1352: 제2바닥면
137: 공기흡입포트 138: 공기배출포트 139: 스팀배출포트
150: 제2챔버 151: 제2챔버 전방면 170: 개폐구동부
490: 제어부 500: 도어어셈블리 510: 수용바디
518: 전방패널 512: 제2투입구 520: 제2힌지
528: 제2상부힌지 529: 제2하부힌지 530: 수용도어
531: 수용도어윈도우 533: 수용도어프레임 550: 수용공간
600: 의류지지부 610: 행어바디부 611: 행어바
613: 행어바고정홈 615: 이동레일 617: 이동가이더
621: 행어바스토퍼 625: 이동방지돌기

Claims (43)

  1.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보조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는
    상기 보조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 및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의 전후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전후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은
    상기 제1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면;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제2바닥면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영역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적어도 일부는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의 너비는
    상기 제2투입구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상기 수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하부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하부힌지의 각 일부는
    상기 제1챔버의 양측면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상부힌지 및 상기 제1하부힌지의 각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에 상기 수용바디의 양 측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힌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힌지의 각 일단은 상기 수용바디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힌지의 각 다른일단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중 상기 제2투입구를 향하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투입구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의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캐비닛 및 상기 수용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시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와 나란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투입구와 나란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개폐바디;
    상기 개폐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개폐모터; 및
    상기 개폐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투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개폐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면; 및
    상기 제2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제1바닥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로 스팀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스팀배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배출포트는
    상기 공기흡입포트보다 상기 공기배출포트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에 상기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공기공급부 및 상기 제1챔버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면을 통해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순환하는 제1챔버의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열교환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 및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다른 하나에는 구비되어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의 왕복운동을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의류구동부; 및
    상기 의류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행어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거치부에 거치되는 옷의 방향은 상기 행어바디부에 거치되는 옷의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에도 구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부 및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제2챔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순환하는 제2챔버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처리부는
    상기 공기처리부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제2챔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의류나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높이는
    상기 제1영역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높이는
    상기 보조챔버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의 높이는
    상기 제2영역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1.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및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고 내부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와 상기 보조챔버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2. 전면에 제1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전면에 제2투입구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제2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를 상기 제1챔버에서 이격시킨 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와 상기 수용바디의 전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이동시켜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하는 제2힌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챔버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1808A 2021-11-02 2022-09-26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1334156.4A CN116065371A (zh) 2021-11-02 2022-10-28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PCT/KR2022/016668 WO2023080555A1 (ko) 2021-11-02 2022-10-28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6671 WO2023080556A1 (ko) 2021-11-02 2022-10-28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22204724.3A EP4194606A1 (en) 2021-11-02 2022-10-31 Hanger having air and steam blowing arrangement
EP22204728.4A EP4187012A3 (en) 2021-11-02 2022-10-31 Hange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2211353359.8A CN116065372A (zh) 2021-11-02 2022-11-01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PCT/KR2022/016994 WO2023080622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AU2022382608A AU2022382608A1 (en) 2021-11-02 2022-11-02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U2022383685A AU2022383685A1 (en) 2021-11-02 2022-11-02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PCT/KR2022/016995 WO2023080623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6975 WO2023080614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7/979,088 US20230151535A1 (en) 2021-11-02 2022-11-02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979,102 US20230138890A1 (en) 2021-11-02 2022-11-02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CT/KR2022/017033 WO2023080634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6985 WO2023080617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6974 WO2023080613A1 (ko) 2021-11-02 2022-11-02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8504 2021-11-02
KR1020210148504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49A true KR20230063849A (ko) 2023-05-09

Family

ID=8640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808A KR20230063849A (ko) 2021-11-02 2022-09-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8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7198A (ko) 의류처리장치
US10739022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7913419B2 (en) Non-tumble clothes dryer
CA2463452C (en)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US20180259204A1 (en) Refrigeration module and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JP7490073B2 (ja) 衣類処理装置
CN114264143A (zh) 床用烘干机
JP2017538514A (ja) 芳香器具及びこれを含む衣類処理装置
US20180110382A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JPH06197858A (ja) 食器の処理・収納装置
KR20230063849A (ko) 의류처리장치
CN115812115A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06343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4023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8260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56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617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6200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6200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62004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8368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RU28071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RU28111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200407143Y1 (ko) 의류건조용 장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