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867A -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6867A KR20210116867A KR1020200032974A KR20200032974A KR20210116867A KR 20210116867 A KR20210116867 A KR 20210116867A KR 1020200032974 A KR1020200032974 A KR 1020200032974A KR 20200032974 A KR20200032974 A KR 20200032974A KR 20210116867 A KR20210116867 A KR 20210116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gg container
- belt
- adsorption
- adsorption module
- air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83—Construction of suction grippers or their hol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91—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epres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4—Details of grippers; Actuating-mechanism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지를 계란 콘테이너에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띠지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1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작업대와, 상기 띠지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2 흡착모듈,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 수단을 포함하는 띠지 형상 변경부와, 상기 작업대 및 상기 띠지 형상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된 띠지의 하면 및 상면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위치 가변 수단을 제어하여 계란 콘테이너의 둘레에 띠지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 콘테이너의 둘레를 감싸는 띠지를 계란 콘테이너에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한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란 콘테이너는 다수개의 계란을 판매수량 단위로 수납하여 이동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란 콘테이너는 크게 수납부와 뚜껑부로 나뉘는데, 먼저 수납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에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계란이 수납되는 형태이다. 뚜껑부는 상기 수납부 일측 상단에 힌지형태로 연결되어 수납부의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뚜껑부와 수납부에는 각각 돌기와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뚜껑부가 수납부의 상단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외부로부터 수납부에 충격 등이 가해질 경우 뚜껑부가 의도치 않게 개방될 수 있어 계란 콘테이너 외면에는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띠지가 추가로 포장된다.
상세히, 띠지는 고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돌기 삽입홈이 위치한 계란 콘테이너의 중앙부분을 감싸도록 포장되어 외부 충격이 돌기와 돌기 삽입홈 부분에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 돌기가 돌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뚜껑부가 수납부 상단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통상 상기 계란 콘테이너는 양산품 형태로 제조되어 나오지만, 띠지의 경우에는 생산업체의 상표, 유통기한 등의 정보가 프린팅 되므로 각 업체별로 별도로 제작되어 띠지를 계란 콘테이너에 별도 수작업으로 포장해 왔다.
그런데 고리형태의 띠지 내부로 계란 콘테이너를 조준하여 끼워넣는 포장작업에는 집중력이 요구되었으며, 수작업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 콘테이너의 외면에 자동으로 띠지를 포장할 수 있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띠지로 계란 콘테이너를 포장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지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1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작업대; 상기 띠지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2 흡착모듈, 및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 수단을 포함하는 띠지 형상 변경부; 상기 작업대 및 상기 띠지 형상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절첩된 띠지의 하면 및 상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위치 가변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흡착모듈과 상기 제 2 흡착모듈 각각은 복수의 공기흡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은 돌출된 니플(nipple) 형태로 상기 띠지 방향으로 탄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확하게는, 상기 띠지의 하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이 상기 띠지 방향으로 탄력을 갖는 니플(nippl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띠지의 상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흡착력이 상기 띠지의 하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흡착력에 비해서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은,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과 엇갈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띠지의 크기, 종류,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띠지 흡착 영역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개수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에 위치시키는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은,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콘베이어, 및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 측으로 밀어 고리형태로 형성된 상기 띠지의 내부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삽입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는, 수직 방향 위치가 가변 가능한 가변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특징을 포함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a) 상기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및 상기 위치 가변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고리형태로 형성된 상기 띠지 내부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셔를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및 제2 흡착모듈의 흡착력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작업대의 가변 콘베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가변 콘베이어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띠지와 삽입 결합된 계란 콘테이너가 출하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가변 콘베이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변 콘베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된 최상면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최상면 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상기 흡착기 및 푸셔의 구성을 통해 계란 콘테이너의 둘레에 띠지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모듈의 구성을 통해 계란 콘테이너의 폭에 따라 맞춤식 흡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기와 이송기의 구성을 통해 띠지를 밴딩 및 푸셔의 구성을 통해 계란 콘테이너를 밀어줌으로써 계란 콘테이너가 띠지 내부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제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절첩된 모습과 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가 절첩된 띠지를 이송할 시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 하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띠지와 계란 콘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때지 형상 변경부에 의해 기립 및 밴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보조 콘베이어가 작업대 상면으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제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절첩된 모습과 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가 절첩된 띠지를 이송할 시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 하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띠지와 계란 콘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때지 형상 변경부에 의해 기립 및 밴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보조 콘베이어가 작업대 상면으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는 계란 콘테이너(10)의 외면을 제1측면과 상면과 제2측면과 하면이 순차적으로 서로 이웃하게 연결되어 사각의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띠지(30)로 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참고로 상기 띠지(30)는 계란 콘테이너(10)에 포장될 시 띠지(30)의 제1측면이 계란 콘테이너의 일측면을, 띠지(30)의 상면이 계란 콘테이너(10)의 상면을, 띠지(30)의 제2측면이 계란 콘테이너(10)의 타측면을, 띠지(30)의 하면이 계란 콘테이너(10)의 하면을 감싸도록 포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는 크게 작업대(100)와, 적재함(200)과, 띠지 형상 변경부(300)와, 콘테이너 공급수단(400)과, 가변 콘베이어(5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작업대(100)는 계란 콘테이너(10)의 띠지(30) 포장작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대(100) 상면에는 후술할 가변 콘베이어(500)가 돌출 및 삽입되기 위한 가변 콘베이어홀(101)과 제1 흡착모듈(110)의 공기흡입홀(111)이 다수개 마련된다.
제1 흡착모듈(110)은 작업대(100) 내부에 마련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업대(100) 상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흡입홀(111)로 하여금 공기를 흡입하도록 한다. 이는 작업대(100) 상면에 안착된 띠지(30)의 하면을 흡착하여 띠지(30)가 작업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제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홀(111)에는 니플(112)이 추가로 장착된다. 니플(112)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한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소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형태이다. 이러한 니플(112)은 하단은 공기 흡입홀(111)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112a)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하단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완충부(112b)를 형성하며, 상단은 다시 직경이 좁아졌다가 상단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흡착부(112c)로 이루어진다.
작업대(100)의 공기흡입홀(1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니플(112)이 설치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공기를 흡입할 시 작업대(100) 상면에 안착된 띠지(30)에 흡착부(112c)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후술할 제2 흡착모듈(310)이 후술할 위치가변수단(320)에 의해 하강할 시 완충부(112b)로하여금 작업대(100) 상면과 제2 흡착모듈(310)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여 제2 흡착모듈(310)과 작업대(10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각에 마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적재함(200)은 절첩된 띠지(30)가 보관되는 구성으로, 상단이 개구된 버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100) 일측에 마련된다. 이때, 절첩된 띠지(30)는 도 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절첩된 모습과 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30)의 제1측면(31)과 상면(33)이 상측을 향하고, 띠지(30)의 제2측면(35)과 하면(37)이 하측을 항하도록 절첩되어 적재된다. 또한, 적재함(200)에 적재된 띠지(30)는 모두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된다.
적재함(200)에 적재된 띠지(30)는 띠지 형상 변경부(300)를 통해 작업대(100)로 이송된다. 띠지 형상 변경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착모듈(310)과 위치가변수단(320)으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위치가변수단(32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위치가변수단(320)은 제2 흡착모듈(310)을 상하,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히, 위치가변수단(320)은 적재함(200) 상측에서 작업대(100) 상측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는 이송레일(321)과, 일측이 상기 이송레일(321)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실린더(3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레일(321)은 LM로드일 수 있고, 높이조절 실린더(322)와 이송레일(321) 사이에는 LM블럭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 실린더(322)는 LM블럭에 고정되고, LM블럭은 LM로드에 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LM로드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높이조절 실린더(322)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322)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제2 흡착모듈(310)은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322) 하면에 마련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첩된 띠지(30)를 흡착하여 작업대(100) 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을 하면(37)으로부터 기립시켜 사각의 고리형태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2 흡착모듈(3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유통되는 다수의 공기 흡입홀(31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흡인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흡입노즐(313)이 마련된 형태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 흡착모듈(310)에도 니플이 추가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제2 흡착모듈(310)의 니플은 도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모듈과는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제2 흡착모듈(310)의 니플(312)은 앞서 설명한 니플(112)과 같이,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상단에는 제2 흡착모듈(310)의 하면에 형성된 공기흡입홀(311)에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312a)로 이루어지고, 그 하측으로는 그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흡착부(312c)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2 흡착모듈(310)의 경우 띠지(30)를 이송 및 고리형태로 형상을 가변해야 하므로, 완충의 역할보다는 흡착에 더욱 특화된 형태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제2 흡착모듈(310)의 니플(312)의 최대 직경은 앞서 설명한 제1 흡착모듈(110)의 니플(112)의 최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흡착모듈(310)은 위치가변수단(320)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되며 띠지(30)의 특정 면에 접촉함에 따라 띠지(30)를 흡착하여 이송시키거나, 기립시킨다.
한편, 제2 흡착모듈(310)의 내부공간에는 각각의 공기흡입홀(311)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가 절첩된 띠지를 이송할 시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적재함(200)의 절첩된 띠지(30)를 작업대(100) 상으로 이송할 시, 제2 흡착모듈(310)은 띠지(30)의 상면(33)과 제1측면(31)을 모두 흡착하여 띠지(30)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제2 흡착모듈(310)이 상면(33) 또는 제1측면(31)만을 흡착하여 이송할 시, 띠지(30)는 사각 고리형태로 펼쳐져 띠지(30)를 작업대(100)에 안착시킬 시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에 방해가 될 수도 있고, 이송 및 안착작업 중에 띠지(30)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띠지(30)를 작업대(100)로 이송시킨 후에, 제2 흡착모듈(310)을 통해 도 2의 (b)와 같이 띠지(30)의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을 하면(37)으로부터 기립시켜 고리형태로 형성하는데, 이때 제2 흡착모듈(310)은 띠지(30)의 상면(33)만을 흡착하고, 상기 위치가변수단(320)을 통해 제2 흡착모듈(310)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를 가변시켜 띠지(30)의 상면(33)과 띠지(30)의 하면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띠지(30)는 사각고리형태로 전개된다.
이때, 제1 흡착모듈(110)은 띠지(30)의 하면(37)을 흡착하도록 하여 띠지(30)가 작업대(100) 상면으로부터 뜨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띠지(30)의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31)과, 상면(33)과, 제2측면(35)과 하면(37)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흡착모듈(110)은 제어부에 의해 하면(37)을 흡착하도록 제어되고, 제2 흡착모듈(310)은 상면(33)을 흡착하도록 제어되지만, 띠지(30)가 사각고리 형태가 아닌 다른 다각 고리 형태이거나 혹은 환형 고리 형태일 경우, 제1 흡착모듈(110)의 띠지(30) 흡착영역은 제2 흡착모듈(310)의 띠지 흡착영역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되지 않도록 흡착하여, 평면도 상에서 바라본 서로의 흡착 영역은 엇갈려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띠지(30)의 상면측을 흡착하는 제2 흡착모듈(310)의 흡착력이 제1 흡착모듈(110)의 흡착력과 비교하여 같거나 크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제1 흡착모듈(110)의 공기흡입홀(111)보다 제2 흡착모듈(310)의 공기흡입홀(311)의 직경이 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흡착모듈(310)이 흡착하는 띠지(30)의 상면측이 그 위치가 이동하므로, 제2 흡착모듈(310)의 흡인력이 더 높아야 띠지(30)가 잘 고정되어 정확한 위치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제1 흡착모듈과 제2흡착모듈의 흡착력은 제어부를 통해 조절가능하다.
또한, 제1 흡착모듈은 반드시 구동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띠지의 재질이나 무게에 따라 제1흡착모듈을 구동하지 않더라도 띠지 자체의 형상이나 무게에 의해 띠지가 환형으로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흡착기 하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제2 흡착모듈(31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흡착모듈(310)의 하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홀(3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을 통해 작동되는 공기 흡입홀(311)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절첩된 띠지(30)를 작업대(100)로 이송하는 작업을 할 시에는 띠지(30)의 최대한 많은 면적을 흡착하는 것이 좋으므로, 모든 공기 흡입홀(311)이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띠지(30)를 고리 형태로 전개시키는 작업을 할 시에는 띠지(30)의 상면만을 흡착하므로, 제2 흡착모듈(310)에서 작동하는 공기 흡입홀(311)의 개수 및 범위는 띠지(30)의 상면(33) 크기에 따를 것이다.
따라서 제2 흡착모듈(310)은 제어부를 통해 입력된 띠지의 크기, 종류, 형태정보에 기초하여, 흡착력의 세기뿐만 아니라 제2 흡착모듈(310)의 폭방향 일단을 기준으로 폭방향 타단 방향으로 어느 범위까지의 공기 흡입홀(311)들을 작동시킬지 결정한다. 도 6에서는 띠지(30)의 폭이 작은 경우는 w1로 표시한 범위에 해당하는 공기 흡입홀(311)이 작동하는 것으로 표시하였고, 띠지(30)의 폭이 큰 경우는 w2로 표시한 범위에 해당하는 공기 흡입홀(311)이 작동하는 것으로 표시하였다.
덧붙여, 상기 공기 흡입홀(311)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정 간격으로 제2 흡착모듈(310) 하면 전반에 분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흡착모듈(110)도 제2 흡착모듈(310)과 마찬가지로 공기 흡입홀(111)은 작업대(100)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수단이 마련되어 작동되는 공기 흡입홀(111)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띠지(30)를 고리 형태로 전개시키는 작업을 할 시 제1 흡착모듈(110)은 띠지의 하면(37)만을 흡착하므로, 제어부를 통해 입력된 띠지의 크기, 종류, 형태 정보에 따라 폭방향 일단을 기준으로 폭방향 타단 방향으로 어느 범위까지의 공기 흡입홀(111)들을 작동시킬지 또 어느 정도의 흡인력을 발휘할지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띠지와 계란 콘테이너의 정면도이다.
한편, 통상의 계란 콘테이너(1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 콘테이너의 높이방향 중앙부의 폭(W)이 계란 콘테이너(10)의 상단 및 하단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때문에, 띠지(30)의 상면(33) 및 하면(37)의 폭을 계란 콘테이너의 중앙부의 폭(W)에 맞출 경우에는 유격이 크게 형성되어 띠지(30)가 계란 콘테이너(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고, 반대로 띠지(30)의 폭(w)을 계란 콘테이너의 폭(W)보다 좁게 형성할 경우에는 포장 작업 시 후술할 콘베이어와 푸셔를 통해 띠지(30) 내부로 공급되는 계란 콘테이너(10)의 중앙부가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에 걸려 포장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띠지(30)의 내부 둘레의 길이는 계란 콘테이너(10)의 외부 둘레의 길이보다 약 2 내지 10% 정도의 길이 더 크게 형성하되, 띠지(30)의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이 띠지 하면(37)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기립한 상태에서 띠지(30)의 높이(H)는 계란 콘테이너(10)의 높이(h)보다 높고, 띠지(30)의 폭(w)은 계란 콘테이너(10)의 중앙부 폭(W)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띠지가 띠지 형상 변경부에 의해 기립 및 밴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상기 제2 흡착모듈(310)은 띠지(30)를 고리형태로 형성할 시 도 8의 (a)와 같이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이 하면(37)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기립시키지 않고, 도 8의 (b)와 같이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이 밴딩되어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이 하면(37)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기립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띠지(30)의 하면(37)과 상면(33)이 이루는 높이(H')는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이 하면(37)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기립시켰을 때의 높이(H)보다 작고, 계란 콘테이너(10)의 높이(h)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이 때, 제1측면(31)과 제2측면(35)의 밴딩된 부분의 최대 폭(w')은 계란 콘테이너의 폭(W)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한편, 위치가변수단(320)은 제2 흡착모듈(310)로 하여금 절첩된 띠지(30)를 고리 형태로 기립시킬 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37)의 일측 끝단 모서리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H'인 가상 원호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면(37)의 일측 끝단 모서리라 함은, 띠지(30)가 절첩된 상태에서 하면(37)의 각 모서리 중 상면(33)이 위치한 방향의 모서리임이 바람직하며, 위치가변수단(320)이 제2 흡착모듈(310)을 가상 원호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할 시 제어 방향은 하면(37)의 일측 끝단 모서리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띠지(30)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띠지의 폭방향과 높이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먼저 가변시킨 후 다른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경우 흡착력이 떨어져 띠지가 제2 흡착모듈(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띠지의 형상과 제2 흡착모듈(310) 및 위치가변수단(32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띠지(30)는 내부로 계란 콘테이너를 삽입하기에 좋은 상태가 된다.
다시 도 1을 참고로, 콘테이너 공급수단(400)은 콘베이어(410)와 푸셔(420)로 이루어진다.
콘베이어(410)는 상기 작업대(100) 전방에 마련되며, 상면에 얹어진 계란 콘테이너(10)를 작업대(1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콘베이어(410)의 상면과 작업대(100)의 상면은 서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콘베이어(410)의 양측에는 콘베이어(410)의 양측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길게 형성된 판형태의 가이드바(411)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바(411)는 콘베이어(410)의 양측 상단에 결합할 시 콘베이어 상면 양측 일부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콘베이어(410)의 면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한 쌍의 가이드바(411) 사이의 간격은 콘베이어(410)의 하단부 폭에 대응된다. 즉, 포장작업을 수행할 계란 콘테이너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411)를 콘베이어(410)에 장착함으로써, 콘베이어(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계란 콘테이너가 정위치에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푸셔(420)는 콘베이어(41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계란 콘테이너(10)를 작업대(100) 측으로 밀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개 및 밴딩된 상태의 띠지(30) 내부로 계란 콘테이너(10)를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푸셔(420)는 콘베이어(410) 후단부 측면에 콘베이어(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푸셔레일(421)과, 기립된 형태이며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이 푸셔레일(421)과 결합되어 푸셔레일(421)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셔실린더(422)와, 상기 푸셔실린더(422) 상단에서 콘베이어(41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어부의 푸셔실린더(422) 위치 제어에 따라 콘베어어 상에 안착된 계란 콘테이너(10)의 후단을 작업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미는 푸싱바(423)를 포함한다.
푸셔(420)는 콘베이어(500) 상에서 이송되는 계란 콘테이너(10)가 콘베이어(410)의 후단부의 기준지점에 이르기 까지는 푸싱바(423)가 계란 콘테이너(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최대한 승강되어있고, 계란 콘테이너(10)가 기준지점에 이를 경우, 상기 콘베이어(410)는 정지하며, 푸싱바(423)는 콘베이어(410)의 상단에 이르기 까지 하강한 후 푸싱바(423) 전방에 위치한 계란 콘테이너(10)를 작업대(100) 측으로 밀어 전개 및 밴딩된 상태의 띠지(30) 내부로 계란 콘테이너(10)를 삽입시킨다.
참고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10)가 기준지점에 다다랐는지의 여부는 콘베이어(410)의 일측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지점은 콘베이어(41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이 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이격거리는 푸싱바(650)의 전후방 이동범위 이내임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보조 콘베이어가 작업대 상면으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작업대 상에서 포장작업이 완료된 계란 콘테이너(10)는 가변 콘베이어(500)를 통하여 작업대(100)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변 콘베이어(500)는 작업대(100) 내부에 마련되며, 작업대(100)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변 콘베이어홀(101)을 통해 작업대(100)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작업대(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변 콘베이어(500)는 띠지(30)의 포장이 완료된 경우 작업대(100) 상측으로 돌출되어 계란 콘테이너를 작업대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어방법]
이하, 상술한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에서와 동일한 명칭 또는 도면번호를 가진 구성은 동일한 결합관계 및 특징을 가지므로 별도의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1000)의 제어방법은 먼저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110, 310) 및 상기 위치 가변 수단(320)을 제어하는 (a)단계가 수행된다.
다음, 상기 고리형태로 형성된 상기 띠지 내부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10)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셔(420)를 제어하는 (b)단계가 수행된다.
다음, 상기 제 1 및 제2 흡착모듈(110, 310)의 흡착력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110, 310)을 제어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
이어, 상기 작업대(100))의 가변 콘베이어(500)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가변 콘베이어(500)를 제어하는 (d)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가변 콘베이어(500)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된 최상면은 상기 제 1 흡착모듈(110)의 공기흡입홀(101)의 최상면 보다 더 높도록 제어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띠지와 삽입 결합된 계란 콘테이너(10)가 출하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가변 콘베이어(500)를 제어하는 (e)단계가 수행됨으로써 마무리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계란 콘테이너
30: 띠지
31: 제1측면 33: 상면
35: 제2측면 37: 하면
100: 작업대 101: 가변 콘베이어홀
110: 제1 흡착모듈 111: 공기흡입홀
112: 니플
200: 적재함
300: 띠지 형상 변경부
310: 제 2 흡착모듈
311: 공기흡입홀 312: 니플
313: 공기 흡입노즐
320: 위치가변수단
321: 이송레일 322: 높이조절 실린더
400: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
410: 콘베이어 411: 가이드바
420: 푸셔 421: 푸셔레일
422: 푸셔실린더 423: 푸싱바
500: 가변 콘베이어
1000: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31: 제1측면 33: 상면
35: 제2측면 37: 하면
100: 작업대 101: 가변 콘베이어홀
110: 제1 흡착모듈 111: 공기흡입홀
112: 니플
200: 적재함
300: 띠지 형상 변경부
310: 제 2 흡착모듈
311: 공기흡입홀 312: 니플
313: 공기 흡입노즐
320: 위치가변수단
321: 이송레일 322: 높이조절 실린더
400: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
410: 콘베이어 411: 가이드바
420: 푸셔 421: 푸셔레일
422: 푸셔실린더 423: 푸싱바
500: 가변 콘베이어
1000: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Claims (11)
- 띠지로 계란 콘테이너를 포장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지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1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작업대;
상기 띠지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흡착하는 제 2 흡착모듈, 및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 수단을 포함하는 띠지 형상 변경부;
상기 작업대 및 상기 띠지 형상 변경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절첩된 띠지의 하면 및 상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위치 가변 수단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착모듈과 상기 제 2 흡착모듈 각각은 복수의 공기흡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은 돌출된 니플(nipple) 형태로 상기 띠지 방향으로 탄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지의 하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이 상기 띠지 방향으로 탄력을 갖는 니플(nipple) 형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지의 상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흡착력이 상기 띠지의 하면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흡착력에 비해서 같거나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은,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띠지 흡착 영역과 엇갈려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띠지의 크기, 종류,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띠지 흡착 영역을 가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직경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개수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에 위치시키는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계란 콘테이너 공급수단은,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송하는 콘베이어, 및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상기 작업대 측으로 밀어 고리형태로 형성된 상기 띠지의 내부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를 삽입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수직 방향 위치가 가변 가능한 가변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 제10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a) 상기 띠지가 절첩 형태에서 고리형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 1 및 2 흡착모듈 및 상기 위치 가변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고리형태로 형성된 상기 띠지 내부로 상기 계란 콘테이너가 삽입되도록 상기 푸셔를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및 제2 흡착모듈의 흡착력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작업대의 가변 콘베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가변 콘베이어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띠지와 삽입 결합된 계란 콘테이너가 출하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가변 콘베이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가변 콘베이어가 수직방향으로 상승된 최상면은 상기 제 1 흡착모듈의 공기흡입홀의 최상면 보다 더 높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974A KR20210116867A (ko) | 2020-03-18 | 2020-03-18 |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974A KR20210116867A (ko) | 2020-03-18 | 2020-03-18 |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6867A true KR20210116867A (ko) | 2021-09-28 |
Family
ID=7792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974A KR20210116867A (ko) | 2020-03-18 | 2020-03-18 |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6867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0403A (ko) | 2001-01-11 | 2002-07-18 | 정진숙 | 종이의 자동 카운트와 포장장치 |
KR20050090166A (ko) | 2004-03-08 | 2005-09-13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담배곽포 자동 증지부착장치 및 방법 |
-
2020
- 2020-03-18 KR KR1020200032974A patent/KR202101168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0403A (ko) | 2001-01-11 | 2002-07-18 | 정진숙 | 종이의 자동 카운트와 포장장치 |
KR20050090166A (ko) | 2004-03-08 | 2005-09-13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담배곽포 자동 증지부착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19519B2 (en) | Apparatus for loading packing carriers into a packaging machine | |
JPH0348007Y2 (ko) | ||
KR102296427B1 (ko) | 포장물 모서리보호용 에지보드 자동공급장치 | |
KR20210116867A (ko) | 계란 콘테이너의 띠지 포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294935B1 (ko) | 다열 제함기 | |
KR102540354B1 (ko) | 팔레타이저 시스템 | |
JP7294628B2 (ja) |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 |
JP7130972B2 (ja) |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 |
JPH09249201A (ja) | カートンの蓋閉装置 | |
KR20100087922A (ko) | 포장용 상자로의 수박 이재 장치 | |
JP2024511797A (ja) | トレイ位置付けおよび積込みシステム | |
JP2019142539A (ja) | 箱詰め装置 | |
JPH06336213A (ja) | 物品充填時の物品倒れ防止装置 | |
JP2001072007A (ja) | 集積物品の箱詰め装置 | |
US511761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layers of articles | |
KR102477691B1 (ko) | 자동 포장 시스템 | |
JP7401060B2 (ja) |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 |
JP4326233B2 (ja) | 合成樹脂シート梱包製品の吸着装置 | |
JP2021104885A (ja) | 搬送装置 | |
KR102540365B1 (ko) | 팔레타이저 시스템용 래핑장치 | |
KR102443972B1 (ko) | 포장팩 수취장치 | |
KR102327357B1 (ko) | 파우치 이송장치 | |
JP2000255523A (ja) | 物品包装装置 | |
JPH09249207A (ja) | カートンへの物品充填装置 | |
JP2563054B2 (ja) | 搬送用トレーの充填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