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57A -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57A
KR20210114157A KR1020200029453A KR20200029453A KR20210114157A KR 20210114157 A KR20210114157 A KR 20210114157A KR 1020200029453 A KR1020200029453 A KR 1020200029453A KR 20200029453 A KR20200029453 A KR 20200029453A KR 20210114157 A KR20210114157 A KR 2021011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essage
person
charge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0002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157A/ko
Publication of KR2021011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57A/ko
Priority to KR1020220056661A priority patent/KR20220065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결재 장치애 의해 수행되는 전자 결재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협업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접근되며, 텍스트, 부호, 영상, 음성, 첨부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시화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 중 일정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설정 신호 및 상기 영역 설정 신호에 의해 특정된 대상 영역에 대한 대화방 생성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 생성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협업 사용자 그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참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 중 상기 대상 영역에 연관된 협업 대화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결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ONIC APPROVAL}
본 발명은 전자 결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되는 전자 결재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공동 작업에 의한 업무상 필요에 의해 인터넷 메신저, 그룹웨어, 인트라넷, 공유 폴더 등이 업무 수행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수단을 통해 사용자들 간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전송은 복수의 사용자들, 즉 다자간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2751호(2015.09.07)는 결재신청자 PC를 이용하여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레터결재를 DB 서버에 전송하여 결재 신청하는 단계; 상기 DB 서버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문의하는 경우에,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응용 서버에서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2326호(2016.06.23)는 임의의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며 전자결재를 위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 복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문서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검색시 차별하는 제공하는 결재서버(200); 상기 결재서버(200)와 연결되어 상기 결재서버의 운용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결재서버 관리 단말기(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결재서버(200) 그리고 상기 결재서버 관리 단말기(300) 간에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시스템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2751호(2015.09.0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2326호(2016.06.2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결재의 대상이 되는 업무가 단발적이지 않고 연속적이고 관련성 있는 여러 단계의 업무를 거쳐 진행 및 완수되는 경우, 또는 복수의 하위 업무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단계적으로 진행된 후 완료되는 업무인 경우 등, 업무의 진행 특성에 맞게 업무에 대한 전자 결재를 수회에 걸쳐 나누어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수회에 걸쳐 진행된 하나 이상의 전자 결재에 대해 결재 정보를 저장하고, 최종 결재 시 이러한 중간 결재 이력을 첨부함으로써 기 결재된 내역에 대한 누락이나 오류를 방지하고자 한다. 따라서 업무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상호 확인하며 진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업무를 지시한 측과 업무를 수행한 측 간의 의사소통 상 미흡한 점들을 보완하며 복잡한 업무를 단계적으로 완수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최종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결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결재 담당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로부터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 결재 정보를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업무 자료는,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상기 노트,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대화 메시지, 상기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생성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로는, 전자 결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결재 방법에 있어서,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결재 담당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로부터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 결재 정보를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업무 자료는,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상기 노트,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대화 메시지, 상기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생성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결재의 대상이 되는 업무가 단발적이지 않고 연속적이고 관련성 있는 여러 단계의 업무를 거쳐 진행 및 완수되는 경우, 업무의 진행에 맞게 업무에 대한 전자 결재를 수회에 나누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상호 확인하며 진행할 수 있어, 업무를 지시한 측과 업무를 수행한 측 간의 의사소통 상 미흡한 점들을 보완할 수 있으며 복잡한 업무를 단계적으로 완수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최종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장치 내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자료의 목록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결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결재 시스템(100)은 전자 결재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하나 이상의 결재 요청자 단말(120a)과 하나 이상의 결재 담당자 단말(12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재 요청자 단말(120a)은 결재권자에게 결재를 요청하는 사용자인 결재 요청자의 단말이다. 결재 담당자 단말(120b)은 결재 요청자의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특정 업무 자료에 대한 결재 권한을 가지며, 전자 결재를 수행하는 사용자인 결재 담당자의 단말이다. 결재 요청자는 주로 업무를 지시받아 수행하고 처리하는 업무 담당자일 수 있으며, 결재 담당자는 업무 담당자에게 업무를 지시하고 그 중간 결과물이나 최종 결과물을 확인하고 평가, 결재 등을 담당하는 업무 지시자일 수 있다.
전자 결재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결재 장치(110)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구성원으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결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20)과 전자 결재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전자 결재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전자 결재 장치(11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전자 결재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전자 결재 장치(11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전자 결재 장치(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장치(1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결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결재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전자 결재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전자 결재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전자 결재 장치(11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장치(110) 내 프로세서(2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업무 자료 저장부(310), 중간 결재 처리부(320), 결재 정보 저장부(330), 최종 결재 처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하여 생성되고 축적되는 업무 자료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각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의 소속이나 권한 등에 대한 정보, 각 사용자가 생성한 업무 자료에 대한 정보 등을 업무 자료 저장부(310)가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업무 자료는, 결재 대상 업무, 즉 진행중이거나 진행 예정인 프로젝트, 업무 지시, 할일 등에 대하여, 업무 수행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 결과물이나 최종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노트, 대화방, 대화 메시지, 이메일, 각종 형태의 텍스트, 이미지나 비디오, 음성, 각종 전자적 형태의 문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파일객체, 웹페이지나 웹페이지에 업로드된 파일객체 또는 해당 웹페이지나 업로드 된 해당 파일객체로의 링크 주소 등의 접근 경로 등이 업무 자료에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무 자료에는 업무객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업무객체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 있는 하위 업무를 지시하는 업무 지시자, 업무 지시자 등에 의해 지정되며,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물 등을 생성하는 업무 처리자, 업무 지시자도 업무 처리자도 아니지만 해당 업무와 일정 부분 관련이 있는 사용자인 업무 관련자, 업무 지시자가 요청한 하위 업무의 내용을 나타내는 업무 지시내용,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처리된 바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내용 등을 포함하며, 이들 정보를 캡슐화하여 생성된 객체이다.
업무 지시자, 업무 처리자, 업무 관련자를 포함하여, 업무객체 및 공유 대상 파일과 연관된 업무를 수행하거나 해당 업무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업무객체 내에 포함된 사용자를 업무 참여자로 통칭할 수 있다. 결재 담당자는 주로 업무 지시자에 해당될 수 있으며, 결재 요청자는 주로 업무 처리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담당자도 결재 요청자도 아닌 이외의 사용자들은 업무 참여자에 해당될 수 있다. 하나의 업무 자료에 있어서 업무 참여자였던 사용자도, 다른 업무 자료의 결재에 있어서는 결재 담당자 또는 결재 요청자가 될 수 있다.
예컨대, 결재 요청자가 지시받은 업무, 즉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생성한 파일객체, 업무와 관련하여 기록하여 남긴 노트, 업무 관련 대화방과 해당 대화방에 남긴 대화 메시지 등이 업무 자료로서 업무 자료 관리부(3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업무 자료의 작성자 또는 생성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결재 대상 업무에 관련된 업무 자료는 같은 메모리 공간 상에 따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결재 대상 업무에 따라 업무 자료는 분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업무 자료와 함께, 결재 요청자와 결재 담당자 등 각각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자 입출력부(230)를 통해 입력받아,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각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각 사용자의 소속이나 권한 등에 대한 정보, 각 사용자가 생성한 업무 자료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이후 중간 결재 처리부(320)나 최종 결재 처리부(340)가 전자 결재를 실행함에 있어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업무 자료나 노트, 대화방 등으로의 접근 또는 오픈, 편집 등에 관한 권한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권한이나 사용자 분류, 즉 결재 요청자인지 결재 담당자인지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설정하거나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에 대한 결재 담당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결재 요청 신호는 결재 담당자의 중간 결재를 요청하는 신호이며, 메시지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는 중간 결재 요청 신호의 한 형태로서 중간 결재 요청 신호에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로서,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업무 자료는, 결재 요청자 또는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노트일 수 있다. 또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결재 요청자 또는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대화 메시지일 수도 있다.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중간 결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결재 담당자에게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중간 결재 요청 신호가 메시지의 형태, 즉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된 경우라면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해당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결재 담당자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도 있다.
결재 담당자가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중간 결재를 승인하고, 중간 결재 확인 신호를 전송하면,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해당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 결재 담당자로부터 중간 결재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중간 결재는 완료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중간 결재 확인 신호 역시,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된다. 중간 결재 처리부(320)가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결재 요청자에게 알리는 경우 중간 결재 확인 신호에 근거하여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별도로 생성하여 결재 요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간 결재 확인 신호가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된 경우,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수신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바로 결재 요청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노트>
결재 요청자로부터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중간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당 노트를 통해 결재 담당자 단말(120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결재 정보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노트, 노트의 내용 및 해당 노트의 식별 정보, 노트와 연관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결재 요청자로부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중간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당 대화방를 통해 상기 결재 담당자 단말(120b)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재 요청자로부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중간 결재 정보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대화 메시지, 대화 메시지의 내용 및 대화방의 식별 정보와 대화 메시지의 식별 정보, 대화 메시지와 연관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 진행 및 완료 표시>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노트 에 대한 중간 결재가 진행중임을 해당 노트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노트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와 관련하여 표시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노트에 대한 중간 결재가 진행중인지 또는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노트에 대한 결재 요청자, 결재 담당자, 중간 결재를 요청한 일시, 중간 결재가 완료된 일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노트와 함께 더 표시할 수 있다.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진행 및 완료 표시>
그리고 대화방을 통해 중간결재가 진행되는 경우,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중간 결재의 대상으로 특정된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가 진행중임을 해당 대화방의 일부 영역 또는 해당 대화방에 연관된 노트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대화방의 일부 영역 또는 대화방에 연관된 노트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대화방 내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와 관련하여 표시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간 결재 처리부(320)는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가 진행중인지 또는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해당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의 결재 요청자, 결재 담당자, 해당 중간 결재를 요청한 일시, 중간 결재가 완료된 일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결재 정보 저장부(330)는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정보 저장부(330)는 중간 결재가 완료된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를 결재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결재 정보 저장부(330)가 저장하는 중간 결재 정보는 결재 요청자, 결재 담당자, 결재 요청 일시, 결재 완료 일시, 결재 시 코멘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코멘트의 내용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결재 정보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노트, 노트의 내용 및 해당 노트의 식별 정보, 노트와 연관된 파일객체,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대화 메시지, 대화 메시지의 내용 및 대화방의 식별 정보와 대화 메시지의 식별 정보, 대화 메시지와 연관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정보 저장부(330)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항목, 즉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업무 자료의 내용, 요약, 식별정보, 중간 결재의 결재 담당자와 결재 요청자, 중간 결재 완료 일시 등을 포함하는 중간 결재 관련 정보를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 결재 처리부(340)가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중간 결재 정보를 첨부할 때, 캡슐화된 형태의 중간 결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종 결재 처리부(340)는 결재 요청자로부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중간 결재 정보를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결재 처리부(340)는 결재 요청자로부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결재 담당자에게 최종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결재 처리부(340)는 최종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중간 결재 정보를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결재 담당자 단말(120a)로 제공할 수 있다.
최종 결재 처리부(340)는 최종 결재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간 결재 정보,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노트,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대화방 내 대화 메시지,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중간 결재와 연관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는 접근 경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안읽음수>
이 밖에도,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사용자 별 업무자료와 함께, 각 업무 자료와 관련된 사용자별 메시지 안읽음수를 결재 담당자 또는 결재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노트 또는 대화방을 통해 수신된 대화 메시지 또는 결재 담당자에게 수신된 알림 신호 중에서, 해당 결재 담당자에 의해 독출되지 않은 노트, 대화 메시지 또는 알림 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메시지 안읽음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해당 결재 담당자의 전자 결재 장치(110) 접속 시, 결재 담당자 단말(120b)에게 메시지 안읽음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메시지 안읽음수의 산출 시, 노트 또는 대화방을 통해 수신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또는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의 안읽음수를 반영할 수 있다. 즉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메시지 안읽음수 산출 시, 독출되지 않은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중간 결재 요청 신호, 최종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의 개수를 합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결재 담당자는, 메시지 안읽음수와 해당 메시지 안읽음수에 상응하는 미확인 메시지 목록을 검토하면 결재 요청을 받았으나 아직 결재 승인을 하지 않은 업무 자료 또는 결재 대상 업무의 목록, 즉 자신이 결재를 담당한 업무들의 미결 목록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재 요청자 역시, 결재를 요청하였으나 아직 결재를 받지 못한 업무 자료나 결재 대상 업무의 목록,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결재가 완료되었으나 아직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메시지 목록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자료 저장부(310)는 업무 자료 제공 시, 중간 결재가 완료된 업무 자료는 다른 색상, 밝기, 배경색, 폰트 등을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결재가 완료된 업무 자료의 목록과 함께, 해당 업무 자료로의 하이퍼링크 정보 등의 접근 경로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대상 업무를 개시한다(S410). 그리고 업무가 개시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 즉 결재 요청자 단말(120a) 또는 결재 담당자 단말(120b)의 요청 등에 따라, 노트를 입력받거나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요청자 또는 결재 담당자에 의해 작성된 노트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대화방을 통해 입력된 대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요청자 단말(120a)로부터 중간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전달할 수 있다(S430)..
결재 요청자는 특정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 중 특정 대화 메시지에 대해 드래그, 더블 클릭, 또는 미리 설정된 방법의 터치를 입력함으로써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결재 요청자 또는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노트 또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결재 요청자 또는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대화 메시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결재 담당자의 확인 및 중간 결재를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중간 결재 확인 신호나 최종 결재 요청 신호, 최종 결재 확인 신호 등의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요청자 단말(120a) 또는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부터 중간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중간 결재 확인 신호나 최종 결재 요청 신호, 최종 결재 확인 신호 등의 사용자 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중간 결재 담당자의 단말로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결재 담당자가 중간 결재 요청의 대상이 된 업무 자료, 즉 중간 결재 대상인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를 확인하고 중간 결재를 승인하면(S440),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부터 해당 노트 또는 해당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60).
만일 결재 담당자가 중간 결재를 승인하지 않는다면, 결재 요청자는 중간 결재를 요청한 업무 자료를 보완할 수 있다(S450). 그리고 보완된 업무 자료, 즉 보완된 노트나 대화 메시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중간 결재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중간 결재 요청 신호가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재차 전송될 수 있으며(S430), 결재 담당자는 보완된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결재 담당자가 중간 결재를 승인하고, 이에 따라 중간 결재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해당 노트 또는 해당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70).
이후, 결재 요청자는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결재 장치(110)가 결재 요청자 단말(120a)로부터 최종 결재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80).
전자 결재 장치(110)가 결재 요청자로부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담당자 단말(120b)에 최종 결재 요청 신호 또는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중간 결재 정보를 해당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결재 담당자 단말(120b)에게 제공할 수 있다(S49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결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결재 요청자는 결재 대상 업무의 개시에 따라, 노트 내용을 입력하거나 대화방을 통해 대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S510). 그러면 전자 결재 장치(110)는 입력된 내용에 따라 노트를 생성하거나, 대화 메시지를 대화방 참여자들, 특히 결재 담당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S515).
이후, 결재 요청자 단말(120a)는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를 지정하여 해당 노트 또는 해당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전자 결재 장치(110)에 입력한다(S520).
노트나 대화 메시지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 신호는, 특정 노트 또는 특정 대화 메시지를 중간 결재 요청자가 드래그 또는 더블클릭하거나, 마우스나 터치 등을 통해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노트나 대화 메시지의 테두리를 지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대화 메시지를 중간 결재 요청자가 드래그하거나, 마우스나 터치 등을 통해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대화 메시지의 테두리를 지정하면,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요청자 단말(120a)에 해당 부분에 대한 중간 결재 요청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 요청자는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대화 메시지를 특정함과 동시에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전자 결재 장치(110)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중간 결재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대상이 되는 업무 자료 또는 해당 업무 자료로의 접근 경로 등에 대한 정보와 함께,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전송한다(S525).
결재 담당자는 중간 결재가 요청된 업무 자료, 즉 중간 결재의 대상으로 지정된 노트 또는 대화 메시지를 검토한 후, 내용을 확인하고 전자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S530). 이로써 중간 결재 대상이 되는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신호가 전자 결재 장치(110)에 입력될 수 있다(S535).
중간 결재 확인 신호가 수신된 중간 결재건에 대하여, 전자 결재 장치(110)는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40). 그리고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요청자 단말(120a)에 알림 신호 등을 제공함으로써, 중간 결재 요청자가 요청한 건에 대한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S545). 중간 결재 완료 알림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후, 결재 요청자는 결재 대상 업무 전체에 대한 최종 결재를 요청하는 최종 결재 요청 신호를 전자 결재 장치(110)에 입력할 수 있다(S550).
전자 결재 장치(110)는 이에 상응하여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제공할 수 있는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업무 진행 과정에서 축적된 중간 결재 내역들이 함께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제공될 수 있다(S555). 즉, 해당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저장된 중간 결재 정보들이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전송됨으로써, 결재 담당자는 기 완료된 중간 결재 내역들을 최종 결재 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결재 담당자는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첨부 자료로 제공된 중간 결재 정보를 확인하고 최종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S560). 그리고 이에 따라, 전자 결재 장치(110)는 최종 결재가 승인된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확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565).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부터 최종 결재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가 완료되고, 전자 결재 장치(110)는 이에 상응하는 최종 결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자료의 목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결재 대상 업무와 연관된 업무 자료들이 나열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따른 업무 자료에는 노트 1(NOTE 1, 610), 노트 2(NOTE 2, 620), 노트 3(NOTE 3, 630), 노트 4(NOTE 4, 640), 노트 5(NOTE 5, 650) 그리고 대화방(CHATROOM 1, 660) 내 대화 메시지(665)가 있다. 이 중, 노트 1(610), 노트 3(630) 그리고 대화 메시지(665)에 대하여 중간 결재가 완료된 상태이다. 중간 결재가 완료된 업무 자료에 대해서는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이 별도의 배지나 노트를 통해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결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먼저 결재 대상 업무(710)가 생성되어 개시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결재가 완료된 후 결재 대상 업무(710)에 대한 최종 결재가 이루어지는 단계의 화면을 도시한다.
전자 결재 장치(110)는 결재 대상 업무(710)와 함께, 최종 결재 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720)를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결재 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720)에는 최종 결재의 대상이 되는 결재 대상 업무(710)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문서(폴더)열기 버튼(721), 해당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기 완료되어 저장된 중간 결재 정보들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중간결재내역 버튼(723), 그리고 최종 결재 확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최종결재승인 버튼(725), 결재를 거부하거나 취소하거나 최종 결재를 반려하기 위한 결재취소 버튼(727), 최종 결재와 관련하여 결재 담당자와 결재 요청자 간 대화방을 통한 대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대화개시 버튼(729)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결재 담당자 단말(120b)로부터 중간결재내역 버튼(723)을 통해 중간 결재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중간 결재 내역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결재 장치(110)는 다시 중간 결재 내역 리스트(730)를 제공하는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 결재 내역 리스트(730)를 통해 결재 담당자는 각각의 중간 결재 내역으로의 접근 경로 또는 중간 결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간 결재 내역 시 제공되는 중간 결재 정보에는 중간 결재가 완료된 업무 자료에 상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의 소스 코드,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의 url 주소와 같은 접근 경로 정보, 해당 페이지의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결재 내역 리스트(730)에는 도 6에서 중간 결재가 완료된 것으로 표시되었던 중간 결재 1(NOTE 1), 중간 결재 2(NOTE 3) 및 중간결재 3(CHATROOM 1)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자 결재 시스템
110: 전자 결재 장치
120: 사용자 단말
120a: 결재 요청자 단말
120b: 결재 담당자 단말
120c: 제3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Claims (16)

  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결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결재 담당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로부터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 결재 정보를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업무 자료는,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상기 노트,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대화 메시지, 상기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생성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간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노트를 통해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간 결재 정보는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상기 노트, 상기 노트와 연관된 상기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간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화방를 통해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간 결재 정보는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상기 대화 메시지, 상기 대화 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노트 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진행중임을 상기 노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상기 노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진행중인지 또는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상기 노트에 대한 상기 결재 요청자, 상기 결재 담당자, 상기 중간 결재를 요청한 일시, 상기 중간 결재가 완료된 일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진행중임을 상기 대화방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대화방에 연관된 상기 노트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상기 대화방의 일부 영역 또는 상기 대화방에 연관된 상기 노트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중간 결재가 진행중인지 또는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상기 대화 메시지에 대한 상기 결재 요청자, 상기 결재 담당자, 상기 중간 결재를 요청한 일시, 상기 중간 결재가 완료된 일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최종 결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최종 결재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 결재 정보를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결재를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중간 결재 정보,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상기 노트,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된 상기 대화방 내 상기 대화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의 된 상기 파일객체,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 상기 중간 결재와 연관된 상기 파일객체로 연결되는 접근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상기 노트 또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수신된 상기 노트, 상기 대화 메시지 또는 알림 신호 중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독출되지 않은 상기 노트, 상기 대화 메시지 또는 상기 알림 신호의 개수를 나타내는 메시지 안읽음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 안읽음수의 산출 시, 상기 노트 또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의 안읽음수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장치.
  16. 전자 결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결재 방법에 있어서,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된 업무 자료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결재 담당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결재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로부터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간 결재 확인 메시지에 의해 중간 결재가 완료된 상기 업무 자료에 대한 중간 결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 요청자로부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재 대상 업무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 결재 정보를 상기 최종 결재 요청 메시지에 첨부하여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간 결재의 대상이 되는 상기 업무 자료는,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기록된 상기 노트,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된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대화 메시지, 상기 결재 대상 업무와 관련하여 상기 결재 요청자 또는 상기 결재 담당자에 의해 생성된 파일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재 방법.
KR1020200029453A 2020-03-10 2020-03-10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KR20210114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3A KR20210114157A (ko) 2020-03-10 2020-03-10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KR1020220056661A KR20220065737A (ko) 2020-03-10 2022-05-09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3A KR20210114157A (ko) 2020-03-10 2020-03-10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661A Division KR20220065737A (ko) 2020-03-10 2022-05-09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57A true KR20210114157A (ko) 2021-09-23

Family

ID=779263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53A KR20210114157A (ko) 2020-03-10 2020-03-10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KR1020220056661A KR20220065737A (ko) 2020-03-10 2022-05-09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661A KR20220065737A (ko) 2020-03-10 2022-05-09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41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751A (ko) 2015-07-20 2015-09-07 박영우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72326A (ko) 2014-12-12 2016-06-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결재 시스템 및 결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326A (ko) 2014-12-12 2016-06-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결재 시스템 및 결재방법
KR20150102751A (ko) 2015-07-20 2015-09-07 박영우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737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8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llaboration sessions
US20120150577A1 (en) Meeting lifecycle management
WO2013118012A1 (en) Augmented screen sharing in an electronic meeting
JP6655134B2 (ja) オンライン実体可能なメッセージレポジトリ処理装置及び方法
KR20200020194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7458458B2 (ja) プログラム、方法、端末
JP2019087026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210158828A (ko)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JP6215292B2 (ja) 通信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3363A (ko) 메신저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20200020656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2019087023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1979440B2 (en) Tex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shared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KR20210114157A (ko)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JP2019087025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285213B1 (ko)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08810B1 (ko)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11084A (ko) 반응형 콘텐츠 제작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JP7156415B2 (ja) テキスト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共用端末、情報処理装置、ユーザ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95847A1 (en) Real-time updates for document collaboration sessions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JP201904057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面共有端末制御方法
JP6676809B1 (ja) 定性調査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80610A1 (en) Video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video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US20210082066A1 (en) Legal matter progres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220112740A (ko)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