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751A -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751A
KR20150102751A KR1020150102387A KR20150102387A KR20150102751A KR 20150102751 A KR20150102751 A KR 20150102751A KR 1020150102387 A KR1020150102387 A KR 1020150102387A KR 20150102387 A KR20150102387 A KR 20150102387A KR 20150102751 A KR20150102751 A KR 2015010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val
settlement
letter
signatur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김동근
주동민
Original Assignee
박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우 filed Critical 박영우
Priority to KR102015010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751A/ko
Publication of KR2015010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전자결재 시스템은 결재신청자 PC, DB 서버, 웹/응용 서버 및 결재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한다. 결재신청자 PC는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고, 작성된 레터결재를 신청한다. DB 서버는 결재신청자 PC에서 신청된 레터결재내역을 저장한다. 웹/응용 서버는 DB 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한다. 결재자 모바일기기는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받아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 후 결재의견 및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웹/응용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웹/응용 서버는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는 경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고,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전송되는 서명 이미지 파일을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한다. 이에 따라,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서 결재자 본인이 직접 서명입력창에 싸인하므로 전자결재시 서명의 진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ELECTRONIC APPROVAL METHOD AN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N ELECTRONIC APPROVAL PROGRAM}
본 발명은 전자결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각종 전기/전자/통신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전자문서의 이용 빈도 또한 발 빠른 증가추세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이서류 대신 전산망을 이용하여, 전자문서의 승인이나 신고 등의 결재업무를 처리하는 전자결재 관리 시스템의 기능 또한 폭 넓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한글 문서 기반의 전자결재 시스템의 경우 기존에는 핸드폰, 스마트폰, 피디에이(PDA)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편집하거나 수정할 경우 모바일기기에 한글 문서에 대한 편집기능이 있어야만 편집 및 수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 문서 편집 기능이 없는 모바일기기에서는 PC에서와 같은 전자결재 처리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결재서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글 문서 기반의 기안문을 모바일 중계 서버에서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모바일기기에 전송한 후 내장된 이미지 뷰어를 통해 휴대결재자의 모바일기기에서 문서를 확인하여 전자결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결재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전자결재 처리의 경우, 기안문에 결재자의 싸인 이미지가 삽입되어 결재 문서가 생성된다.
하지만, 싸인 이미지의 경우, 결재자가 실시간으로 싸인을 행하는 것이 아닌 이미 등록이나 저장된 결재자의 싸인이 결재문서에 첨부되거나 결재문서내에 삽입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결재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서로 다른 결재문서라 하더라도 동일한 싸이 이미지가 이용되므로 해당 싸인을 결재자가 아닌 제3자가 행할 수도 있어 전자결재에서 서명의 진정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1465호 (발명의 명칭: 전자결재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8-0003471호 (발명의 명칭: 전자서명기의 서명 이미지 압축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6420호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 서명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968353호 (발명의 명칭: 자동 문서 관리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결재시 서명의 진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자결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전자결재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결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방법에서, 결재신청자 PC를 이용하여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한다. 작성된 레터결재를 DB 서버에 전송하여 결재 신청한다. 상기 DB 서버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린다.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문의하는 경우에,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한다. 상기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다.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에서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시스템은 결재신청자 PC, DB 서버, 웹/응용 서버 및 결재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결재신청자 PC는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고, 작성된 레터결재를 신청한다. 상기 DB 서버는 상기 결재신청자 PC에서 신청된 레터결재내역을 저장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는 상기 DB 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는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받아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 후 결재의견 및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웹/응용 서버는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상기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PC에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결재자 PC에서 레터결재를 수행한 후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DB 서버가 결재완료 정보가 상기 결재자 PC으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결재신청자 PC에 PC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DB 서버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문의하는 경우에,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웹/응용 서버에서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서 결재자 본인이 직접 서명입력창에 싸인하고, 싸인에 대응하는 서명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결재정보와 함께 전송되므로 전자결재시 서명의 진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터결재 작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레터결재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 작성창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4에서 찾기 버튼 클릭시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레터결재 작성창을 통해 입력되는 결재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7a는 도 6의 레터결재 미리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비정상적인 레터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도 7b는 도 6의 레터결재 미리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정상적인 레터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도 8은 샘플 서명이 표시되고, 결재의 서명으로 대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PC에서 레터결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결재자 PC에 팝업되는 알림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도 10의 알림창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 요청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2는 레터결재 요청리스트에서 특정 레터결재가 선택됨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도 13은 레터파일 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의 이미지이다.
도 14는 레터파일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승인에 대응하는 팝업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5는 결재승인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6은 결재가 완료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완료 리스트에 대응하는 알림창이다.
도 17은 결재완료 리스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림창이다.
도 18은 결재완료 클릭에 따라 결재신청자 PC에 표시되는 레터결재 세부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9은 도 18에서 출력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프린트 출력되는 레터의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레터 내용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에서 레터결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전자결재용 위젯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3은 전자결재용 위젯에서 전자결재를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특정 전자결재가 선택됨에 따라 표시되는 전자결재상세 정보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25는 서명 적용전 미리보기를 위해 표시되는 정상적인 레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6은 서명을 입력받기 위해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표시되는 서명입력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7은 도 26의 서명입력창에 결재자에 의해 입력되는 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8은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표시되는 전자결재완료 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시스템은 결재신청자 PC(100), DB 서버(200), 웹/응용 서버(300), 결재자 PC(400) 및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재신청자 PC(100)에서 작성된 전자결재는 레터결재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전자결재의 일례로서 레터를 설명하지만, 일반적인 기안문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안 문서는 다중 결재자들의 싸인이 문서의 상단이나 하단에 들어가는 문서이다.
도 1에서, 결재신청자 PC(100)에서 작성된 전자결재는 DB 서버(200)를 통해 결재자 PC(400)에 전송되는 PC기반 결재와 DB서버(200) 및 웹/응용 서버(300)를 통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전송되는 모바일기반 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재자는 본인의 PC를 통해 결재를 행할 수도 있고, 본인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결재를 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결재자는 본인의 PC를 통해 결재를 행할 것인지 본인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결재를 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도 있고, 두개의 결재 모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하나의 디바이스, 예를들어,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나, 상기 DB 서버(200), 상기 웹/응용 서버(300), 상기 결재자 PC(400),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스탠드얼론(stand-alone) 타입으로 탑재되지 않고, 상기 결재신청자 PC(100), 상기 DB 서버(200), 상기 웹/응용 서버(300), 상기 결재자 PC(400) 및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플러그-인 타입으로 탑재되어 구동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서로 조합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고, 작성된 레터결재를 신청한다. 상기한 레터결재를 작성할 때,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레터결재를 위한 결재라인, 수신처, 내용을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상기 레터결재를 위한 첨부파일을 첨부한다. 또한,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상기 첨부파일에 대응하여 첨부된 레터로부터 레터 요약본을 발췌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저장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작성중인 결재내용을 임시저장한다. 또한,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결재올리기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결재프로세스 정보를 상기 DB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레터 요약본에는 결재의 서명은 미기입되고, 서명 적용전후의 페이지 숫자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재신청자 PC(100)는 상기 레터결재를 작성할 때, 레터결재 미리보기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레터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DB 서버(200)는 상기 결재신청자 PC(100)에서 신청된 레터결재내역을 저장한다. 상기 DB 서버(200)는 PC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PC(400)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DB 서버(200)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제공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상기 DB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전송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결재의견 및 서명이 전송되면, 상기 결재신청자 PC(100)에 모바일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DB 서버(200)는 결재완료 정보가 상기 결재자 PC(100)으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결재신청자 PC(100)에 PC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
상기 결재자 PC(400)는 상기 DB 서버(200)로부터 PC기반 결재내역이 전송됨에 따라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여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DB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결재자 PC(400)는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 후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DB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DB 서버(200)는, 결재완료 정보가 상기 결재자 PC(100)으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결재신청자 PC(100)에 PC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
한편, 상기 결재자 PC(400)에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결재자 PC(400)는 상기 DB 서버(200)로부터 PC기반 결재내역이 전송됨에 따라, 결재알림창을 표시한다. 특정 결재가 클릭됨에 따라, 상기 결재자 PC(400)는 해당 결재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미리보기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결재자 PC(400)는 상기 DB 서버(2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 상기 DB 서버(200)는 저장된 레터파일을 획득하고,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상기 결재자 PC(400)에 제공한다. 상기 결재자 PC(400)는 MS 워드를 로딩하여 레터의 바이너리를 레터 화면으로 변환하고 서명이 삽입될 위치에 샘플 서명을 삽입한다. 상기 결재자 PC(400)는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다. 결재자에 의해 결재의견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결재자 PC(400)는 입력된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다. 반려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상기 결재자 PC(400)는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상기 DB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상기 웹/응용 서버(300)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받아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 후 결재의견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직접 서명은 결재자에 의해 드로잉되어 서명이미지로 변환되고, 상기 서명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된다.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결재내역을 요청하고, 상기 웹/응용 서버(300)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한다. 이어,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상에 전자결재용 위젯을 표시하여 결재자에게 알린다. 이어,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특정 결재가 터치됨에 따라, 결재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이어,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결재자로부터 미리보기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
이때, 미리보기를 요청받은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상기 DB 서버(2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 상기 DB 서버(200)는 저장된 레터파일을 획득하여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제공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근거로 미리보기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제공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상기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결재의견이 입력됨에 따라,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다.
결재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표시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통해 서명이 드로잉됨에 따라, 드로잉된 서명을 GDI(Graphic device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명이미지를 임시저장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완료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서명 이미지를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상기 서명 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결재정보는 결재자에 의해 입력되는 결재의견, 결재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재로그는 결재자 모바일기기의 이름, 결재자 모바일기기의 시리얼번호, IP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상기 결재정보 및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 후,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처럼, 결재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결재를 원하는 결재자는 모바일기기상에 표시되는 결재리스트에서 특정 결재를 터치하면 해당 결재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해당 상세 정보를 숙지한 결재자는 자신의 직접 서명을 위해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을 결재를 터치하면, 서명입력창이 로딩되어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상에 표시된다. 이때, 서명입력창의 크기는 결재자 모바일기기의 사이즈를 체크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결재자 모바일기기의 사이즈가 크면 서명입력창의 크기 역시 크도록 로딩되고, 결재자 모바일기기의 사이즈가 작다면 서명입력창의 크기 역시 작도록 로딩된다.
결재자는 본인이 직접 싸인을 서명입력창에 행하면 해당 싸인은 GDI(Graphic device interface)로 서명이미지를 생성한다. 싸인을 완료한 결재자는 완료버튼을 터치하면 서명 이미지 파일은 저장된 후 서명이미지와 결재정보는 웹/응용 서버로 전송된다. 전송이 완료된 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는 생성된 서명이미지를 삭제한다.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전송받은 서명파일과 결재정보를 저장한 후 결재 처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웹/응용 서버(300)는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한다. 완성된 최종 결재 서류는 PDF 등의 파일로 변환되어 메일 발송될 수도 있고, 프린트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은 웹/응용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업로드된 상태에서 바로 상기 DB 서버(200)에 저장된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들을 통해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전자결재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결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재신청자는 결재신청자 PC(100)를 이용하여 레터결재를 작성한다(단계 S100). 본 실시예에서, 전자결재의 일례로서 레터를 설명하지만, 일반적인 기안문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안 문서는 다중 결재자들의 싸인이 문서의 상단이나 하단에 들어가는 문서이다. 본 실시예에서, 레터는 일반적인 특허나 상표, 디자인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의 출원이나 의견제출통지서 등에 대응하여 외부의 업체(또는 해외 대리인)에게 공식적으로 발송되는 서신을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이어, 레터결재가 작성됨에 따라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DB 서버(200)에 결재 신청한다(단계 S102).
이어, DB 서버(200)는 PC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PC(400)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린다(단계 S104). 또한, DB 서버(200)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300)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린다(단계 S106).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웹/응용 서버(300)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고(단계 S108), 결재내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웹/응용 서버(300)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전송한다(단계 S110).
한편,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자의 조작에 의해 결재자 PC(400)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의 PC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재자 PC(400)에서 레터결재를 수행한 후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완료 정보를 DB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122).
DB 서버(200)는 결재완료 정보가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PC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단계 S124).
한편,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단계 S110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이 전송되면 결재자의 조작에 의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30). 단계 S130의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레터결재를 수행한 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의견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132).
웹/응용 서버(300)는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결재의견 및 서명이 전송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모바일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린다(단계 S136).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터결재 작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신청자에 의해 레터결재가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00). 본 실시예에서, 레터는 일반적인 특허나 상표, 디자인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의 출원이나 의견제출통지서 등에 대응하여 외부의 업체(또는 해외 대리인)에게 공식적으로 발송되는 서신을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단계 S200에서 레터결재가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레터결재 작성창을 표시한다(단계 S202).
도 4는 레터결재를 선택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 작성창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문서제목 입력을 위한 필드, 결재 문서 작성자 입력을 위한 필드, 결재라인 입력을 위한 필드, 결재내용 입력을 위한 필드, 결재를 위한 첨부파일 선택을 위한 필드, 레터의 텍스트를 발췌하여 표시되는 텍스트 필드, 결재의견 입력을 위한 필드 등이 포함된 레터결재 작성창을 표시한다.
도 3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레터결재를 위한 결재라인, 수신처, 내용 등을 입력받는다(단계 S204). 예를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신청자는 표시되는 레터결재 작성창에 문서제목을 입력하고, 결재라인을 선택 또는 입력하고, 수신처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방식으로 레터결재 작성창에 컨텐츠를 기입한다. 또한, 결재신청자는 결재내용으로서 결재 문서 작성자의 성명, 직책, 부서, 제출일을 선택 또는 입력하고, 결재의 구분을 선택 또는 입력하고, 해당 레터에 대응하는 관리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레터결재 작성창에 컨텐츠를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터는 지적재산권과 관련하는 서신이므로 특정 국가의 특허에 대응하여 다른 국가들의 패밀리진행상태를 더 기입할 수 있다.
이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레터결재를 위한 첨부파일을 첨부한다(단계 S206).
도 5는 도 4에서 찾기 버튼 클릭시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재신청자가 레터파일을 첨부하기 위해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신청자의 PC 또는 서버의 디렉토리를 표시한다. 결재신청자는 첨부를 원하는 레터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를 찾아서 첨부를 원하는 레터파일을 선택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특정 레터파일을 레터결재 작성창에 첨부한다.
도 3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첨부파일에 대응하여 첨부된 레터로부터 레터 요약본을 발췌하여 표시한다(단계 S208).
도 6은 레터결재 작성창을 통해 입력되는 결재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터가 MS 워드로 작성된 경우, 레터에 기재된 텍스트(즉, 워드파일 내용)를 발췌하여 레터 요약본으로서 표시한다. 이때, 해당 레터 요약본에는 결재의 서명은 기입되지 않는다. 해당 레터 요약본이 표시되는 필드의 하단에는 서명이미지의 사이즈 및 위치를 알리는 멘트가 표시된다. 또한, 서명 적용전후의 페이지 숫자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결재신청자가 레터를 작성할 때 레터의 행간 간격이나 글자크기 등을 조정하므로써, 결재자의 싸인에 의해 불필요하게 페이지가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레터결재 미리보기 버튼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0). 레터결재 미리보기 버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레터결재 미리보기 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레터 미리보기를 표시한다(단계 S212). 레터결재 미리보기는 비정상적인 레터상태로서 표시될 수도 있고, 정상적인 레터상패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a는 도 6의 레터결재 미리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비정상적인 레터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이고, 도 7b는 도 6의 레터결재 미리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정상적인 레터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레터 미리보기 화면에는 비록 샘플 서명이 위치하는 영역 하단에 결재자의 이름, 회사명 등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서 표시된다. 따라서, 해당 레터를 프린트 출력할 때 다음 페이지에 결재자의 이름, 회사명 등이 불필요하게 위치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레터의 행간 간격 등이 결재자의 서명 사이즈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조정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필요하게 다음 페이지에 인쇄되는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되는 샘플 서명은 결재신청자가 작성하는 레터의 행간간격 등을 조정을 위해 십입된 이미지이고, 결재자가 서명을 드로잉하는 경우 해당 샘플 서명은 결재자의 서명으로 대체된다.
도 8은 샘플 서명이 표시되고, 결재의 서명으로 대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결재신청자에 의해 작성되는 레터에는 사인의 삽입을 위한 영역으로서 한칸이 블랭크 처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칸의 블랭크는 <Sincerely yours,>라고 기재된 문단 다음 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랭크 처리는 결재신청자에 의해 행해진다. 결재신청자에 의해 레터결재 미리보기가 선택되면, 블랭크 처리된 한칸에는 자동으로 샘플 서명이 삽입되어 표시된다.
향후, 결재자에 의해 결재가 이루어진 후, 해당 샘플 서명은 결재자의 서명으로 대체된다.
도 3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단계 S210에서 레터결재 미리보기 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레터 미리보기를 표시한 후,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저장버튼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4).
단계 S214에서 저장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작성중인 결재내용을 임시저장한다(단계 S216).
단계 S214에서 저장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작성중인 결재내용을 임시저장한 후,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닫기 버튼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8).
단계 S218에서 닫기 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작성중인 파일을 닫고(단계 S220), 단계 S214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 닫기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작성중인 결재레터의 작성을 취소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이다.
단계 S218에서 닫기 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올리기버튼이 클릭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2).
단계 S222에서 결재올리기 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214로 피드백한다.
단계 S222에서 결재올리기 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신청자 PC(1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작성된 결재 내용을 저장한 후(단계 S224), 결재프로세스 정보를 DB 서버(200)에 전송하여 저장을 요청한다(단계 S226). 상기 DB 서버(200)에 저장된 결재프로세스 정보에 포함되는 결재문서나 서명은 복제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결재문서나 서명은 워드 파일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러한 워드 파일에는 복제나 편진, 전달이 되지 않도록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정보 권한 관리(IRM) 기능이 부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2003의 IRM(정보 권한 관리)을 사용하면 개별 작성자가 문서나 전자 메일 메시지를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지정할 수 있으며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중요한 문서나 전자 메일 메시지를 인쇄, 전달 또는 복사할 수 없게 보호할 수 있다. 전자 메일 메시지나 문서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파일 자체에 저장되기 때문에 IRM 기술을 사용하여 문서나 메시지에 대한 권한을 제한하면 정보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러한 액세스 및 사용 제한이 적용된다.
이상에서는 결재신청자가 레터결재를 작성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한편, 결재자로부터 결재수정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레터결재를 수정하는 동작 역시 상술된 동작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레터결재 수정 동작은 상술한 레터결재를 작성하는 동작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PC에서 레터결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DB 서버(200)로부터 PC기반 결재내역이 전송됨에 따라, 결재알림창을 표시한다(단계 S302). 본 실시예에서, 레터는 일반적인 특허나 상표, 디자인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의 출원이나 의견제출통지서 등에 대응하여 외부의 업체(또는 해외 대리인)에게 공식적으로 발송되는 서신을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10은 결재자 PC(400)에 팝업되는 알림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도 10의 알림창을 클릭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 요청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알림창은 <새로운 알림이 있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알림창보기 버튼을 포함한다. 결재자는 본인의 PC를 통해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가 알림창이 표시되면 새로운 결재사항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결재자는 알림창보기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터결재 요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재자는 어떠한 결재사항이 존재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도 9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특정 결재가 클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4).
단계 S304에서 특정 결재가 클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 상세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306).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레터결재 요청리스트에서 특정 레터결재가 선택됨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터결재를 위한 결재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창에는 결재자의 이름, 문서제목, 결재신청자의 이름, 결재의견 등이 표시된다. 상기 결재의견은 결재신청자가 기입한 의견일 수도 있다. 또한, 결재자가 결재를 행하면서 결재자가 기입하는 의견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결재 상세정보에는 도 6에 도시된 결재정보가 포함된다. 부가적으로 결재신청자가 레터결재를 작성하면서 기입한 결재라인에 대응하는 수신자 또는 수신처가 포함된다. 이처럼, 수신자나 수신처나 더 표시되므로 결재자는 해당 레터결재의 수신처가 올바른 결재라인으로 진행되는 결재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올바른 결재라인이 아닌 결재라면 결재자는 반려버튼을 클릭하므로써 해당 레터결재를 결재신청자에게 올바른 결재라인이 아님을 피드백할 수 있다.
도 9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미리보기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8). 결재자는 도 12에 도시된 레터파일보기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결재신청자에 의해 작성된 레터가 올바른 양식으로 작성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미리보기, 즉 레터파일보기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DB 서버(2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단계 S312).
DB 서버(200)는 저장된 레터파일을 획득하고(단계 S312), 레터의 바이너리 파일과 샘플 서명을 결재자 PC(400)에 제공한다(단계 S314).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예를들어 MS 워드를 로딩하여 레터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레터 화면으로 변환하고 서명이 삽입될 위치에 샘플 서명을 삽입한다(단계 S316).
이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18).
도 13은 레터파일 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의 이미지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터의 바이너리는 MS 워드상에서 레터 양식으로 변환되어 표시되고, 결재자의 서명이 삽입될 위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샘플사인이 삽입되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사인이 DB 서버(200)에서 제공되고 레터가 표시될 때 해당 샘플사인이 삽입되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샘플사인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DB 서버(200)는 샘플사인이 제공되지 않고 레터의 바이너리만 결재자 PC(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 후 또는 단계 S308에서 미리보기가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터결재를 위한 결재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창으로 환원하여 결재자에 의해 결재의견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서 결재자에 의해 결재의견이 입력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입력된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다(단계 S322).
입력된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 후 또는 단계 S320에서 결재의견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반려버튼이 클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4).
단계 S324에서 반려버튼이 클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DB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326).
DB 서버(200)는 반려의견 및 결재 반려 프로세스를 저장한다(단계 S328).
이어, DB 서버(200)는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결재신청자 PC(100)에 전송한다(단계 S330).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신청자에 의해 결재레터가 수정됨에 따라 단계 S104로 피드백한다.
한편, 단계 S324에서 반려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닫기 버튼이 클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34). 단계 S334에서 닫기 버튼이 클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단계 S334에서 닫기 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승인버튼이 클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36). 단계 S336에서 승인버튼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324로 피드백한다.
단계 S336에서 승인버튼이 클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완료 정보를 DB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338).
부가적으로, 승인버튼이 클릭되면 별도의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결재자가 결재할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를 PC와 모바일기기로 설정한 경우, 결재자가 승인버튼을 클릭하더라도 모바일기기로부터 결재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팝업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레터파일보기가 클릭됨에 따라 표시되는 승인에 대응하여 결재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팝업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결재자가 승인버튼을 클릭하면 모바일서명대기중이라는 멘트가 포함된 팝업창이 표시된다.
결재자가 모바일서명 버튼을 클릭하면, 결재자가 등록한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를 통해 서명을 드로잉하여 모바일서명을 통해 결재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결재자는 해당 팝업창을 통해 표시되는 영역에 마우스나 디지타이저펜, 스타일러스펜 등을 이용하여 서명을 드로잉한 후 결재버튼을 클릭하므로써, 승인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결재자는 지우기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드로잉된 서명을 삭제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결재자는 취소버튼을 클릭하므로써 서명동작을 취소할 수도 있다.
도 15는 결재승인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6은 결재가 완료됨에 따라 표시되는 레터결재완료 리스트에 대응하는 알림창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 도시된 영역에 서명을 드로잉하거나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로 모바일서명을 수행한 후 결재버튼을 클릭하면 결재가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멘트가 표시된다. 이러한 결재승인창이 표시되면 결재자는 자신이 결재한 파일에 서명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결재자가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도 16에 도시된 레터결재완료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9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DB 서버(200)는 결재자 PC(400)에서 제공되는 결재의견 및 결재 완료 프로세스를 저장한다(단계 S340).
이상에서는 결재자 PC(400)를 통해 결재동작을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결재자 PC(4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를 수행한 결재자 본인의 레터결재완료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일련의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 17 내지 도 20b를 참조하여, 본인의 결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결재완료 리스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림창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결재완료 리스트에는 결재들 각각에 대응하여 완료인지 반려인지 등으로 구분된 결과정보, 결재들 각각의 제목, 구분, 작성자, 수신일시, 확인일시, 완료일시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결재완료 리스트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결재건들을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특정 결재가 클릭에 따라 결재신청자 PC(100)에 표시되는 레터결재 세부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레터결재 세부창에는 특정 결재에 대응하는 문서제목, 작성자, 결재일시, 결재의견이 표시된다. 또한, 레터결재 세부창에는 해당 결재의 세부적인 내용, 첨부파일, 수신자보기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레터결재 세부창에는 해당 결재의 레터의 텍스트 파일이 표시된다. 결재자는 레터출력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미리보기 형태로 해당 레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9은 도 18에서 레터출력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출력되는 레터의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자는 본인이 이미 결재한 레터를 미리보기 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레터에에 서명이 삽입되어 출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에서 출력 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출력되는 레터 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레터 내역에는 레터의 제목, 작성자, 작성자에 대한 인적정보, 결재구분, 결재일시, 서명 등이 포함된다.
또한, 레터 내역에는 프린트되는 레터를 구성하는 텍스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레터 내역에는 레터결재를 신청한 결재신청자가 기입한 결재의견이나 래터를 결재한 결재자가 기입한 결재정보, 첨부파일 등이 포함된다. 결재자는 첨부된 파일을 더블클릭하는 방식 등을 통해 첨부된 파일을 재확인할 수도 있다.
이처럼, 레터의 내용뿐 아니라 레터의 내역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결재자는 결재자 본인이 결재한 레터에 대해 보다 책임감을 갖고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무 진행시 업무과실이 발생할 때 책임소재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근거를 남길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에 도시된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레터결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웹/응용 서버(300)에 결재내역을 요청하고(단계 S108), 해당 결재내역이 존재하면 웹/응용 서버(300)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전송한다(단계 S110). 본 실시예에서, 레터는 일반적인 특허나 상표, 디자인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의 출원이나 의견제출통지서 등에 대응하여 외부의 업체(또는 해외 대리인)에게 공식적으로 발송되는 서신을 그 일례로서 설명한다.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전자결재용 위젯을 표시하여 결재자에게 알린다(단계 S402).
도 22는 전자결재용 위젯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결재용 위젯에는 전자결재가 요구되는 건에 대응하여 숫자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결재가 요구되는 건은 1개인 것을 통지한다.
도 23은 도22에 도시된 레터결재용 위젯에서 전자결재의 클릭에 따라 전자결재간략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결재문서의 제목, 결재문서가 레터라는 정보, 결재문서의 수신일시, 결재문서의 작성자 정보가 전자결재 간략 정보로서 표시된다. 결재자는 표시되는 전자결재 간략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결재를 확인 순간에 행해야 하는지 나중에 행해야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특정 결재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4). 본 실시예에서, 특정 결재는 도 23에 도시된 결재문서 111에 대응하는 결재이다.
단계 S404에서 특정 결재가 터치된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 상세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406).
도 24a 및 도 24b는 특정 전자결재가 선택됨에 따라 표시되는 전자결재상세 정보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전자결재 상세정보로서, 사용자 이름, 결재코드, 문서코드, 결재구분, 제목, 작성자, 결재라인이 표시되고, 결재문서가 레터인 경우, 레터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표시된다. 또한, 레터파일로서 작성된 파일이 첨부되었다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전자결재 상세정보의 하단에는 결재의견을 입력하기 위한 블랭크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재정보는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므로 모든 결재정보가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결재자는 표시되는 결재정보를 화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핑거를 드래깅함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의 하단부를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결재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세로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재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1a 및 도 21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자로부터 미리보기가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8). 본 실시예에서, 미리보기의 요청은 첨부파일을 터치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미리보기가 요청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웹/응용 서버(3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단계 S410).
미리보기를 요청받은 웹/응용 서버(300)는 DB 서버(200)에 미리보기를 요청한다(단계 S412).
DB 서버(200)는 저장된 레터파일을 획득하고(단계 S414),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웹/응용 서버(300)에 제공한다(단계 S416).
웹/응용 서버(300)는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근거로 미리보기 화면을 구성한 후(단계 S418), 구성된 미리보기 화면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제공한다(단계 S420).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424).
도 25는 서명 적용전 미리보기를 위해 표시되는 정상적인 레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결재가 요구되는 레터에 샘플 서명이 삽입된 형태로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되는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결재자는 정상적으로 레터의 컨텐츠가 입력되어 있는지,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 불필요하게 페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닌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미리보기로 표시되는 화면을 클로즈하고자 하는 경우, 결재자는 표시되는 미리보기 화면을 터치하므로써 해당 미리보기 화면을 클로즈할 수 있다. 미리보기 화면이 클로즈되면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한 후 또는 단계 S408에서 미리보기가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의견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8). 상기한 결재의견은 도 24a나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재의견을 입력할 수 있는 블랭크에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따라서, 결재의견을 입력하기 위해 결재자가 해당 블랭크 영역을 터치하면 별도의 자판입력을 위한 창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자판을 통해 결재자는 결재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한 결재의견은 승인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일수도 있고,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일 수도 있다.
단계 S428에서 결재의견이 입력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다(단계 S428).
이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한 후 또는 단계 S426에서 결재의견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반려버튼이 터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30).
단계 S430에서 반려버튼이 터치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432).
웹/응용 서버(300)는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DB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434).
DB 서버(200)는 반려의견 및 결재 반려 프로세스를 저장한다(단계 S436).
이어, DB 서버(200)는 반려에 대응하는 결재의견을 결재신청자 PC(100)에 전송한다(단계 S438).
결재신청자 PC(100)는 결재신청자에 의해 결재레터가 수정됨에 따라 단계 S110로 피드백한다.
한편, 단계 S430에서 반려버튼이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도 24a 또는 도 24b에 도시된 표시창에서 닫기 버튼이 터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50).
단계 S450에서 닫기 버튼이 터치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402로 피드백한다.
단계 S450에서 닫기 버튼이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도 24a 또는 도 24b에 도시된 표시창에서 결재버튼이 터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52).
단계 S452에서 결재버튼이 터치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표시한다(단계 S454). 예를들어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6은 서명을 입력받기 위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표시되는 서명입력창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서명입력창의 크기는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사이즈를 체크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사이즈가 크면 서명입력창의 크기 역시 크도록 로딩되고,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사이즈가 작다면 서명입력창의 크기 역시 작도록 로딩된다. 결재자는 서명입력창에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결재자 본인의 서명을 드로잉하여 서명을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명을 할 때 펜을 이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 서명을 입력할 수 있으나, 결재자의 핑거나 기타 기구물을 이용하여 서명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21a 및 도 21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도 26에 도시된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통해 서명이 드로잉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56). 예를들어, 입력되는 서명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7은 도 26의 서명입력창에 결재자에 의해 입력되는 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서명입력창에 서명을 드로잉한 후 결재자는 드로잉된 서명을 지우기 위해 지우기 버튼을 터치할 수도 있고, 드로잉된 서명을 서명으로서 활용하도록 완료 버튼을 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서명을 드로잉하는 동작을 취소하고자 하는 결재자는 취소 버튼을 터치할 수도 있다.
도 21a 및 도 21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드로잉된 서명을 GDI(Graphic device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명이미지를 임시저장한다(단계 S458).
이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지우기 버튼이나 완료 버튼이 터치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60).
단계 S460에서 지우기 버튼이 터치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임시저장된 서명을 지우고(단계 S462), 단계 S454로 피드백한다.
단계 S460에서 완료 버튼이 터치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서명 이미지를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단계 S464). 즉, 서명 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이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웹/응용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466). 상기 결재정보는 결재자에 의해 입력되는 결재의견, 결재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재로그는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이름(즉, 디바이스의 이름),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의 시리얼번호, IP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서명 이미지 파일을 삭제한다(단계 S468).
이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완료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470). 상기 결재완료 정보는 결재구분, 수신일시, 작성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웹/응용 서버는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이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서 전송됨에 따라, 해당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DB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472).
DB 서버(200)는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이 전송됨에 따라, 결재정보, 서명파일 및 결재완료 프로세스를 저장한다(단계 S474).
이상에서는 결재자 모바일기기(500)를 통해 서명을 직접적으로 드로잉하여 결재동작을 수행하는 일련이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탑재된 전자결재 프로그램은 결재를 수행한 결재자 본인의 레터결재완료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일련의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28은 결재자 모바일기기(500)에 표시되는 전자결재완료 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자결재완료 내역에는 결재들 각각에 대응하여 결재들이 레터결재인지, 일반결재인지 등의 정보, 수신일시에 대한 정보, 작성자의 정보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전자결재완료 내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결재건들을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 21b에서 설명된 단계 S454 내지 단계 S466에 대응하여 코딩된 프로그램코드들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명을 위한 커스텀 컨트롤 프로그램(일명, signView.jav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는 아래와 같다.
====================================================================
public class signView extends View {
//서명객체정의
public Paint signPaint;
public Bitmap signBitmap;
public Canvas signCanvas;
//서명객체설정
public signView(Context context, AttributeSet attrs) {
super(context, attrs);
signBitmap = Bitmap.createBitmap( App_21C.dWidth, App_21C.dHeight, Bitmap.Config.ARGB_8888); // 영역크기
signCanvas = new Canvas(signBitmap);
signPath = new Path();
...
...
signPaint = new Paint();
signPaint.setColor(Color.BLACK);
...
...
}
//서명뷰잉
protected void onDraw(Canvas canvas) {
canvas.drawColor(Color.WHITE);
canvas.drawBitmap(signBitmap, 0, 0, signBitmapPaint);
canvas.drawPath(signPath, signPaint);
}
...
...
// 터치 시작
private void touch_start(float x, float y) {
signPath.reset();
signPath.moveTo(x, y);
signX = x;
signY = y;
}
// 터치후 이동시
private void touch_move(float x, float y) {
float dx = Math.abs(x - signX);
float dy = Math.abs(y - signY);
if (dx >= TOUCH_TOLERANCE || dy >= TOUCH_TOLERANCE) {
signPath.quadTo(signX, signY, (x + signX) / 2, (y + signY) / 2);
signX = x;
signY = y;
}
}
// 터치올리고 그리기
private void touch_up() {
signPath.lineTo(signX, signY);
signCanvas.drawPath(signPath, signPaint);
signPath.reset();
}
@Override
public boolean onTouchEvent(MotionEvent event) {
float x = event.getX();
float y = event.getY();
switch (event.getAction()) {
case MotionEvent.ACTION_DOWN:
touch_start(x, y);
invalidate();
break;
case MotionEvent.ACTION_MOVE:
touch_move(x, y);
invalidate();
break;
case MotionEvent.ACTION_UP:
touch_up();
invalidate();
break;
}
return true;
}
}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명입력창 디자인을 위한 프로그램(일명, peams_sign.xml)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는 아래와 같다.
====================================================================
<?xml version="1.0" encoding="utf-8"?>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orientation="vertical"
android:layout_width="fill_parent"
android:layout_height="fill_parent"
>
...
...
<LinearLayout
android:id="@+id/linearLayout2"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0dp"
android:layout_weight="0.17"
android:orientation="vertical" >
<dk.App_21C.signView
android:id="@+id/sign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background="#FFFFFF"
android:saveEnabled="true"
/>
</LinearLayout>
...
...
</LinearLayout>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서명 클래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일명, PeamsDeci_Sign.java)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는 아래와 같다.
====================================================================
private signView sV; // 그려질 signView
public class PeamsDeci_Sign extends Activity implements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
...
sV = (signView)findViewById(R.id.peamsdeci_sign_signView);
...
...
}
...
...
//서명저장
private void saveView(View view) {
Bitmap b = Bitmap.createBitmap(view.getWidth(), view.getHeight(),
Bitmap.Config.ARGB_8888);
Canvas c = new Canvas(b);
view.draw(c);
FileOutputStream fos = null;
//리사이즈
Bitmap resizedbitmap;
resizedbitmap=Bitmap.createScaledBitmap(b, view.getWidth(), view.getHeight(), true);
String name = "mobile_sign.jpg";//서명파일이음
//서명저장
File imgFile = new File(getFilesDir().getAbsolutePath(), name);//
fos = new FileOutputStream(imgFile);
if (fos != null) {
resizedbitmap.compress(Bitmap.CompressFormat.JPEG, 100, fos);
fos.close();
}
}
...
...
//서명전송
private void UploadView(View view) {
{
// 서명저장위치
String mFilePath = getFilesDir().getAbsolutePath()+"/mobile_sign.jpg";
//결재정보 및 서명 업로드
HttpFileUpload("http://URL/mobile/PEAMS_DECI_SIGN_WITHLOG.ashx?u_id=" + 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USER_CODE), "euc-kr")+
"&deci_doccode="+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DECI_DOCCODE), "euc-kr")+
"&deci_kubun="+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DECI_KUBUN), "euc-kr")+
"&deci_sign_use="+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1"), "euc-kr")+
"&deci_opinion="+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DECI_OPINION), "euc-kr") +
"&deci_log="+URLEncoder.encode(myApp.encryption(DECI_LOG), "euc-kr") +""
, "" , mFilePath,"peams_user" );
//
}
//전송모듈
private void HttpFileUpload(String urlString , String params, String fileName, String id) {
try{
mFileInputStream = new FileInputStream(fileName);
connectUrl = new URL(urlString);
HttpURLConnection conn = (HttpURLConnection)connectUrl.openConnection();
conn.setDoInput(true);
conn.setDoOutput(true);
conn.setUseCaches(false);
conn.setRequestMethod("POST");
conn.setRequestProperty("Connection", "Keep-Alive");
conn.setRequestProperty("Content-Type", "multipart/form-data;boundary=" + boundary);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 conn.getOutputStream()) ;
dos.writeBytes(twoHyphens + boundary + lineEnd);dos.writeBytes("Content-Disposition:form-data;name=\"uploadedfile\";filename=\"" + fileName + "\"" + lineEnd);
dos.writeBytes(lineEnd);
int bytesAvailable = mFileInputStream.available();
int maxBufferSize = 1024;
int bufferSize = Math.min(bytesAvailable, maxBufferSize);
byte[] buffer = new byte[bufferSize];
int bytesRead = mFileInputStream.read( buffer , 0 , bufferSize);
while(bytesRead > 0 ){
dos.write(buffer , 0 , bufferSize);
bytesAvailable = mFileInputStream.available();
bufferSize = Math.min(bytesAvailable, maxBufferSize);
bytesRead = mFileInputStream.read(buffer,0,bufferSize);
}
dos.writeBytes(lineEnd);
dos.writeBytes(twoHyphens + boundary + twoHyphens + lineEnd);
mFileInputStream.close();
dos.flush();
int ch;
InputStream is =conn.getInputStream();
StringBuffer b = new StringBuffer();
while((ch = is.read()) != -1 ){
b.append((char)ch);
}
String s = b.toString();
dos.close();
}catch(Exception e)
{
}
finally
{
//완료후 서명파일삭제
File file = new File(fileName);
if(file.exists())
{
file.delete();
}
}
}
}
====================================================================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서 결재자 본인이 직접 서명입력창에 싸인하고, 싸인에 대응하는 서명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결재정보와 함께 전송되므로 전자결재시 서명의 진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결재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결재를 원하는 결재자는 모바일기기상에 표시되는 결재리스트에서 특정 결재를 터치하여 해당 결재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상세 정보를 숙지한 결재자는 자신의 직접 서명을 위해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을 결재를 터치하면, 서명입력창이 로딩되어 모바일기기의 표시창상에 표시된다.
결재자는 본인이 직접 서명입력창에 싸인을 행하면 해당 싸인은 GDI(Graphic device interface)로 서명이미지를 생성된다. 싸인을 완료한 결재자는 완료버튼을 터치하면 서명 이미지 파일은 저장된 후 서명이미지와 결재정보는 웹/응용 서버로 전송되고, 전송이 완료된 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는 생성된 서명이미지를 삭제한다.
웹/응용 서버는 전송받은 서명파일과 결재정보를 저장한 후 결재 처리한다. 이때, 서명 이미지 파일은 웹/응용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업로드된 상태에서 바로 DB 서버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전자결재시 서명의 진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결재신청자 PC 200 : DB 서버
300 : 웹/응용 서버 400 : 결재자 PC
500 : 결재자 모바일기기

Claims (11)

  1. 결재신청자 PC를 이용하여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레터결재를 DB 서버에 전송하여 결재 신청하는 단계;
    상기 DB 서버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문의하는 경우에,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응용 서버에서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서명은 결재자에 의해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서 드로잉되어 서명이미지로 변환되고, 상기 서명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결재를 작성하는 단계는,
    레터결재를 위한 결재라인, 수신처,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레터결재를 위한 첨부파일을 첨부하는 단계; 및
    상기 첨부파일에 대응하여 첨부된 레터로부터 레터 요약본을 발췌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 요약본에는 결재의 서명은 미기입되고, 서명 적용전후의 페이지 숫자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을 요청하고,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 전자결재용 위젯을 표시하여 결재자에게 알리는 단계;
    특정 결재가 터치됨에 따라, 결재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결재자로부터 미리보기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웹/응용 서버에 미리보기를 요청하는 단계;
    미리보기를 요청받은 상기 웹/응용 서버는 상기 DB 서버에 미리보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DB 서버가 저장된 레터파일을 획득하여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응용 서버는 레터의 바이너리와 샘플 서명을 근거로 미리보기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결재의견이 입력됨에 따라, 결재의견을 임시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결재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서명입력을 위한 서명입력창을 통해 서명이 드로잉됨에 따라, 드로잉된 서명을 GDI(Graphic device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명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명이미지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완료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서명 이미지를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결재정보 및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방법.
  8. 서명 가능한 영역이 포함된 결재 문서를 포함하는 레터결재를 작성하고, 작성된 레터결재를 신청하는 결재신청자 PC;
    상기 결재신청자 PC에서 신청된 레터결재내역을 저장하는 DB 서버;
    상기 DB 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웹/응용 서버; 및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수신받아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한 후 결재의견 및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결재자 모바일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웹/응용 서버는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서명은 결재자에 의해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상에서 드로잉되어 서명이미지로 변환되고, 상기 서명이미지는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로부터 PC기반 결재내역이 전송됨에 따라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여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는 결재자 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시스템.
  11.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PC에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결재자 PC에서 레터결재를 수행한 후 결재완료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DB 서버가 결재완료 정보가 상기 결재자 PC으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결재신청자 PC에 PC기반 결재완료 정보를 전송하고 결재완료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과정;
    상기 DB 서버에서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웹/응용 서버에 제공하여 결재가 있음을 알리는 과정;
    상기 웹/응용 서버에 결재내역이 존재하는지를 결재자 모바일기기가 문의하는 경우에, 상기 웹/응용 서버로부터 모바일기반 결재내역을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결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결재자 모바일기기에서 결재자의 직접 서명을 통한 레터결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직접 서명을 통해 생성된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웹/응용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웹/응용 서버에서 상기 서명 이미지 파일을 상기 결재 서류 파일에 삽입하여 최종 결제 서류를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102387A 2015-07-20 2015-07-20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102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87A KR20150102751A (ko) 2015-07-20 2015-07-20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87A KR20150102751A (ko) 2015-07-20 2015-07-20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08A Division KR20140115764A (ko) 2013-03-22 2013-03-22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751A true KR20150102751A (ko) 2015-09-07

Family

ID=5424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87A KR20150102751A (ko) 2015-07-20 2015-07-20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7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157A (ko) 2020-03-10 2021-09-23 최재호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40A (ko) * 2001-08-24 2003-03-03 김영덕 문서 전자결재 처리방법
KR101214194B1 (ko) * 2012-07-12 2012-12-21 주식회사 금자탑 네트워크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140A (ko) * 2001-08-24 2003-03-03 김영덕 문서 전자결재 처리방법
KR101214194B1 (ko) * 2012-07-12 2012-12-21 주식회사 금자탑 네트워크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157A (ko) 2020-03-10 2021-09-23 최재호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KR20220065737A (ko) 2020-03-10 2022-05-20 최재호 전자 결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000B2 (en) Feedback validation of electronically generated forms
US8667383B2 (en) Unified electronic forms management system
JP2021028828A6 (ja) スプレッドシートに基づく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
US20120271657A1 (en) Overlaying images in automated insurance policy form generation
KR20140115764A (ko)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0701926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lexibl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forms
US11017052B1 (en) Electronic forms interaction framework for a consistent user experience
JP4916910B2 (ja) ワークフロー処理システム及びワークフロー処理方法
US20070277099A1 (en) Page source data generation method, page source data generation system, and program
JP2012118998A (ja) 電子ビジネスカードの送信および受信
US20160188547A1 (en) Electronic digital card system comprising a web-based interactive card, mobile app viewer and organizer, website, online design tool and integrated design environment, and remote central server
US82397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data through a document metaphor
US20160147718A1 (en) Method for Referring to Specific Content on a Web Page and Web Browsing System
CA2737734A1 (en) Overlaying images in automated insurance policy form generation
US20150082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form management
JP2004133569A (ja) 監査システム、監査サーバ、端末装置、監査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20229973A1 (en) Interactive tool for modifying an automatically generated electronic form
US92753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files with mobile terminals and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a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8180023A1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6976763B2 (ja) 仕訳情報処理装置、仕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02751A (ko) 전자결재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전자결재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70286380A1 (e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s commerce
KR101340421B1 (ko) 업무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19774A (ja) 電子フォーム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
CN101410785B (zh) 产生XHTML-Print内容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