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08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087A
KR20210114087A KR1020200029003A KR20200029003A KR20210114087A KR 20210114087 A KR20210114087 A KR 20210114087A KR 1020200029003 A KR1020200029003 A KR 1020200029003A KR 20200029003 A KR20200029003 A KR 20200029003A KR 20210114087 A KR20210114087 A KR 2021011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ower
transmission line
power transmission
gat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철
왕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087A/ko
Priority to US17/078,056 priority patent/US11681185B2/en
Priority to CN202110250272.7A priority patent/CN113380856A/zh
Publication of KR2021011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087A/ko
Priority to US18/144,748 priority patent/US202303148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각기 중첩하는 복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무기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ode device; LED device),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quantum dot LED device; QLED device),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표시 장치의 베젤을 줄여 표시 장치의 화면 대 몸체 비율(screen-to-body ratio), 즉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볼 때 화면이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키고 있다. 화면 대 몸체 비율은 표시 장치의 기술 수준을 반영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표시 장치의 베젤을 줄임에 따라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선이 위치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지고, 신호 전달선의 면적도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에 전달되는 신호가 지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좁아지더라도 구동 전원 전달선의 신호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부의 위치에 따른 구동 전압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각기 중첩하는 복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개부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1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 구멍은 상기 패드부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중 일부분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고저항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고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폭의 약 1/10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이 좁아지더라도 구동 전원 전달선의 신호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부의 위치에 따른 구동 전압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분을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간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간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0은 제1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진이다.
도 11은 제2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게이트선(G1, ?? Gn)과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선,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P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PA)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최종 표시 장치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G1, ?? Gn)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에 연결되어 게이트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DC)에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DC)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 및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DC)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에 부착될 수 있고,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비표시 영역(PA)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비표시 영역(PA)에 직접 형성되어 복수의 게이트선(G1, ?? G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와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DC)는 비표시 영역(PA)의 한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는 복수의 게이트선(G1, ?? Gn)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1)을 따라 양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DC)는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2)을 따라 양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에 게이트 구동을 위한 구동 전원(power)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원 전달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분을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서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을 8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게이트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 방향(D2)을 따라 비표시 영역(PA)의 일부를 도시한다.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은 구동 전원 전달선(120)에 연결되어, 게이트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끝부분에 위치하는 패드부(12)를 포함하고,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구동 전원은 게이트 온 신호 또는 게이트 오프 신호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위에 위치하는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한다. 절연막(130, 140)에는 복수의 접촉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이 서로 연결된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복수의 게이트선(G1, ??, Gn)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복수의 데이터선(D1, ??, Dm)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막(130, 140)은 게이트 절연막, 층간 절연막 등일 수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 사이에 두 개 층의 절연막(130, 140)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절연막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버퍼층(110a)이 위치하고, 버퍼층(110a) 위에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이 위치하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 위에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가지는 절연막(130, 140)이 위치한다. 절연막(130, 140)의 복수의 접촉 구멍(31)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중첩한다. 절연막(130, 140) 위에는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이 위치하고,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절연막(130, 140)의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서로 연결된다. 복수의 접촉 구멍(31)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중첩하는 영역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절연막(130, 140)의 단차에 의해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의 표면에도 단차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의 표면은 단차 없이 평편할 수도 있다.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 전달선(120)에 입력된 구동 전원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패드부(12)를 통해 입력된 구동 전원은 구동 전원 전달선(120)을 통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전달되기 때문에,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로부터 패드부(12)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8 게이트 구동부(GC8)에 이르기까지, 인가되는 구동 전원은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과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자체의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voltage drop)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전원 전달선(120)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PA)의 폭이 좁아지면서,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폭도 좁아지고, 이에 따라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전달되는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가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에 따른 인접한 게이트 구동부들 사이의 전압 차이는 게이트 구동부들 사이를 따라 게이트선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암선(dark line) 형태로 시인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에 따르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연결되어 있으며, 패드부를 통해 구동 전원을 직접 인가 받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중첩하며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하고, 복수의 접촉 구멍(31)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중첩하는 영역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통해 전달되는 것 외에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서도 함께 전달된다.
이처럼, 구동 전원 전달선(120)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연결된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함으로써,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면적을 넓혀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구동 전원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함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통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이 각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 전원이 이를 보상함으로써, 각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한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는 복수의 게이트선(G1, ?? Gn)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1)을 따라 양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포함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 패드부(12)도 복수의 게이트선(G1, ?? Gn)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D1)을 따라 양쪽에 위치할 수 있고, 양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GC)에 각기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비표시 영역(PA)에 위치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을 제2 방향(D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PA)에 위치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 유사하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끝부분에 위치하는 패드부(12)를 포함하고,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위에 위치하는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한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복수의 게이트선(G1, ??, Gn)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복수의 데이터선(D1, ??, Dm)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이 뻗어 있는 제2 방향(D2)을 따라 측정한 길이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의 제2 방향(D2)을 따라 측정한 길이보다 짧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중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대응하는 부분과 제3 게이트 구동부(GC3)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GCn)은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패드부(12)로부터 가장 먼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패드부(12)에 가장 가까운 게이트 구동부까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GCn) 중 패드부(12)로부터 가장 먼 게이트 구동부, 예를 들어, 제8 게이트 구동부(GC8)가 가장 먼저 구동될 수 있다. 제8 게이트 구동부(GC8)가 구동된 후, 제7 게이트 구동부(GC7)이 구동되는데, 제8 게이트 구동부(GC8)가 구동될 때까지 제7 게이트 구동부(GC7)에는 구동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7 게이트 구동부(GC7)가 구동된 후 제6 게이트 구동부(GC6)가 구동되고, 이어서 제5 게이트 구동부(GC6), 제4 게이트 구동부(GC4),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제2 게이트 구동부(GC2)가 순서대로 구동된 후, 마지막으로 패드부(12)와 가장 가까운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이 구동된다. 따라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는 제8 게이트 구동부(GC8)부터 제3 게이트 구동부(CG3)가 구동되는 동안에도 구동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 전달선(120)에 입력된 구동 전원은 구동 전원 전달선(120)을 통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전달되기 때문에,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로부터 패드부(12)로부터 멀리 제8 게이트 구동부(GC8)에 이르면서,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과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의 자체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voltage drop)가 발생할 수 있다.
패드부(12)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8 게이트 구동부(GC8)가 먼저 구동된 후 오프되고, 제7 게이트 구동부(GC7), 제6 게이트 구동부(GC6), 이어서 제5 게이트 구동부(GC6), 제4 게이트 구동부(GC4), 제3 게이트 구동부(GC3)가 순차적으로 구동된 후 오프될 때까지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는 계속 구동 전원 값이 전달되고 있으며,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에 인가되는 전원 값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전압 차이도 패드부(12)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8 게이트 구동부(GC8)부터 구동된 후 제3 게이트 구동부(GC3)까지 게이트 구동부들이 순차적으로 구동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 따라서, 패드부(12)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7 게이트 구동부(GC7)와 제8 게이트 구동부(GC8)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가 지속되는 시간보다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가 지속되는 시간이 길고 이에 따른 암선 등이 시인되기 쉽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 연결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위치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접촉 구멍은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패드부(12)를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인가되어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인가된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의 영향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만 미치게 되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에는 그 영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은 절연막(130, 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게이트 구동부(GC1)에는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인가된 제1 구동 전원(S1)이 인가되고, 이어서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인가된 제2 구동 전원(S2)이 인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위치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접촉 구멍이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되고,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에 인가된 구동 전원은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따른 전압 강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3 게이트 구동부(GC3)에는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접촉 구멍(31a)과 제3 게이트 구동부(GC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전달된 제3 구동 전원(S3)이 인가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4 게이트 구동부(GC4) 내지 제8 게이트 구동부(GC8)에는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제4 구동 전원(S4) 내지 제8 구동 전원(S8)이 인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형성된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이 제1 부분(120pa)과 제2 부분(120pb)으로 나누어져 있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은 패드부(12)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과 연결되고,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위치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접촉 구멍이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과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중 일부의 게이트 구동부들(GC3, GC4, GC5, GC6, GC7, GC8)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면서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뿐만 아니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의 영향 중 그 지속 시간이 가장 긴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의 전압 강하에 의한 전압 차이의 영향이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8 게이트 구동부(GC8)로부터 제3 게이트 구동부(GC3)까지 역순으로 구동되는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의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차이는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에만 지속되도록 함으로써, 전압 차이의 지속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암선 등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는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전원 전달선(120) 자체의 저항에 따른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비표시 영역(PA)에 위치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을 제2 방향(D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PA)에 위치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 유사하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끝부분에 위치하는 패드부(12)를 포함하고,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위에 위치하는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한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복수의 게이트선(G1, ??, Gn)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복수의 데이터선(D1, ??, Dm)과 같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고저항 부분(21a)을 포함하고, 고저항 부분(21a)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 인가된 구동 전원의 영향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에 상대적으로 적게 미치도록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고저항 부분(21a)은 다른 부분의 폭보다 좁은, 예를 들어 약 1/10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 사이 절개부(21) 대신 고저항 부분(21a)을 형성하는 것 외에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모든 특징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고저항 부분(21a)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으로 구분되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차이의 영향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에 상대적으로 작게 미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면서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뿐만 아니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의 영향 중 그 지속 시간이 가장 긴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차이가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8 게이트 구동부(GC8)로부터 제3 게이트 구동부(GC3)까지 역순으로 구동되는 동안 지속되는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의 전압 강하에 따른 전압 차이는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에만 주로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전압 강하의 지속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암선 등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은 패드부(1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접촉 구멍(31a)을 통해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과 연결되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 연결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위치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접촉 구멍은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는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전원 전달선(120) 자체의 저항에 따른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간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끝부분에 위치하는 패드부(12)를 포함하고, 패드부(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위에 위치하는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하고,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 전달선(120)은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패드부를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절연막(130, 140)을 사이에 두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중첩하며,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7을 참고하면,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이 위치하는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된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 역시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에 부착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은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직접 연결된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포함함으로써,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면적을 넓혀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구동 전원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함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동시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통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이 각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해 전압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 전원이 이를 보상함으로써, 각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한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을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비표시 영역(PA)의 폭을 더욱 좁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간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0)는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유사하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 전달선(120)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패드부(12)에 가까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의 길이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의 길이보다 짧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서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는 다르게,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는 구동 전원 전달선(120)이 위치하는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된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 역시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에 부착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GCB)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 기판(DCB)은 제1 표시판(100) 및 제1 표시판(100)과 마주하는 제2 표시판(200)의 결합된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은 패드부(12)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과 연결되고,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중첩하는 위치에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접촉 구멍이 위치하지 않는다.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과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처럼, 패드부(12)를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인가되어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 사이에 발생하는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의 영향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만 미치게 되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에서는 차단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은 절연막(130, 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따라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에 인가된 구동 전원은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따른 전압 강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에 인가되면서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저항뿐만 아니라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자체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의 영향 중 그 지속 시간이 가장 긴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의한 전압 강하의 영향이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 가해지지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8 게이트 구동부(GC8)로부터 제3 게이트 구동부(GC3)까지 역순으로 구동되는 동안 지속되는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 의한 전압 강하의 영향은 제1 게이트 구동부(GC1)와 제2 게이트 구동부(GC2)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만 시인되도록 함으로써, 전압 강하의 지속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암선 등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구동부(GC3) 이하에는 절연막(130, 14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접촉 구멍(31b)을 통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에 연결된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을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전원 전달선(120) 자체의 저항에 따른 구동 전원의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과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DC)을 표시 패널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비표시 영역(PA)의 폭을 더욱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을 제1 부분(120pa)과 제2 부분(120pb)으로 구분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2 부분(120pb) 사이에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폭을 1/10로 좁게 형성한 고저항 부분(21a)을 포함하여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에 발생하는 구동 전원의 차이의 영향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에 미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10은 제1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진이고, 도 11은 제2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파형도이다.
제1 실험예에서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같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구동 전원 전달선을 통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고,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한 프레임(frame) 동안, 시간에 따라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에서 측정된 구동 전압(V1), 제2 게이트 구동부(GC2)에서 측정된 구동 전압(V2), 제3 게이트 구동부(GC3)에서 측정된 구동 전압(V3), 그리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패드부(12)로부터 가장 먼 제7 게이트 구동부(GC7)에서 측정된 구동 전압(V4)과 제8 게이트 구동부(GC8)에서 측정된 구동 전압(V5)을 도 9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전자 현미경 사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의 오프 상태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구동 전압(V1 내지 V5)은 게이트 오프 전압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 사이의 전압 차이가 가장 크고,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 사이의 전압 차이가 나타나는 구간은 한 프레임의 지속 시간과 거의 같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패드부(12)로부터 가장 먼 제7 게이트 구동부(GC7)의 구동 전압(V4)과 제8 게이트 구동부(GC8)의 구동 전압(V5)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구간은 제8 게이트 구동부(GC8)와 제7 게이트 구동부(GC7)가 구동되는 동안에만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각 게이트 구동부의 구동 전압의 차이는 각 패드부를 기준으로 하여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하게 암선으로 인식됨을 알 수 있었다.
제2 실험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같이, 구동 전원 전달선(120)을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의 이중층으로 형성하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은 절개부(21)에 의해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과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으로 구분하고,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1 부분(120pa)은 패드부(12)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과 연결되고, 제2 구동 전원 전달선(120q)은 제1 구동 전원 전달선(120p)의 제2 부분(120pb)과 복수의 접촉 구멍(31)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에 구동 전원이 전달되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한 프레임(frame) 동안 시간에 따라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 제3 게이트 구동부(GC3)의 구동 전압(V3), 그리고 구동 전원 전달선(120)의 패드부(12)로부터 가장 먼 제7 게이트 구동부(GC7)의 구동 전압(V4)과 제8 게이트 구동부(GC8)의 구동 전압(V5)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동 전압(V1 내지 V5)은 게이트 오프 전압일 수 있다.
도 9와 함께 도 11을 참고하면, 기존의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패드부(12)에 인접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의 차이가 거의 없으며, 한 프레임 중 대부분의 구간 동안, 예를 들어, 도 11의 1m 내지 6.5m 동안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은 거의 같도록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의 차이는 제2 게이트 구동부(GC2)와 제1 게이트 구동부(GC1)가 구동되는 구간 동안 시인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종래에 그 지속 구간이 길었던 제1 게이트 구동부(GC1)의 구동 전압(V1)과 제2 게이트 구동부(GC2)의 구동 전압(V2)의 차이가 발생하는 구간을 짧게 줄임으로써, 구동 전압 차이가 길게 지속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암선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게이트 구동부들 사이의 구동 전압의 차이가 거의 같도록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6m 전후, 7m 전후, 8m 전후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차이의 절대 값이 거의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변화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20, 120p, 120q: 구동 전원 전달선
120pa: 제1 부분
120pq: 제2 부분
130, 140: 절연막
21: 절개부
21a: 고저항 부분
31, 31a, 31b: 접촉 구멍
G1, Gn: 게이트선
D1, Dm: 데이터선
GC, GC1, GC2, GC3, GC4, GC5, GC6, GC7, GC8: 게이트 구동부
DC, DC1, DC2, DC3, DC4, DC5, DC6, DC7, DC8: 데이터 구동부
DA: 표시 영역
PA: 비표시 영역

Claims (20)

  1.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각기 중첩하는 복수의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개부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된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1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 구멍은, 상기 패드부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중 일부와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1.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복수의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고, 상기 구동 전원을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에 전달하는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원 전달선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제1 구동 전원 전달선과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고저항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패드부에 연결된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고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고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폭의 약 1/10인 표시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제1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1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 구멍은 상기 패드부에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서,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 구멍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이 뻗어 있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 중 일부분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3항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원 전달선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과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29003A 2020-03-09 2020-03-09 표시 장치 KR20210114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03A KR20210114087A (ko) 2020-03-09 2020-03-09 표시 장치
US17/078,056 US11681185B2 (en) 2020-03-09 2020-10-22 Display device
CN202110250272.7A CN113380856A (zh) 2020-03-09 2021-03-08 显示设备
US18/144,748 US20230314881A1 (en) 2020-03-09 2023-05-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03A KR20210114087A (ko) 2020-03-09 2020-03-0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087A true KR20210114087A (ko) 2021-09-23

Family

ID=7755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003A KR20210114087A (ko) 2020-03-09 2020-03-0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681185B2 (ko)
KR (1) KR20210114087A (ko)
CN (1) CN113380856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170A (ko) * 2009-12-02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50943B1 (ko) 2011-08-30 2019-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 보호 회로를 가지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50081871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6175B1 (ko) 2015-09-30 2023-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85124B1 (ko) * 2016-04-20 2023-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4149B1 (ko) * 2016-05-24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멀티 표시 장치
KR102640114B1 (ko) 2016-06-30 2024-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26111B1 (ko) 2017-12-27 2023-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6422B1 (ko) 2017-12-28 2022-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90101A (ko) 2018-01-22 2019-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86039B1 (ko) * 2018-07-26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1185B2 (en) 2023-06-20
CN113380856A (zh) 2021-09-10
US20210280570A1 (en) 2021-09-09
US20230314881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65467B (zh) 显示装置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379779B1 (ko)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009884B1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US109162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light control apparatus
JP200805224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軟性部材
US10699633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90339B1 (ko) 표시 장치
KR20190142797A (ko) 표시 장치
CN108242213B (zh) 显示装置
KR10035698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575277B2 (ja) バックライ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90142790A (ko) 표시 장치
KR2022002391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27974B1 (ko) 표시장치
KR20210114087A (ko) 표시 장치
KR102427765B1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080055296A (ko) 평판표시장치
KR20150078983A (ko) 칩 온 필름 패키지
US11410589B2 (en) Display device
KR10099556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66895B1 (ko) 표시 장치
KR1021563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362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00082603A (ko)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