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048A - 센서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센서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048A
KR20210114048A KR1020217026397A KR20217026397A KR20210114048A KR 20210114048 A KR20210114048 A KR 20210114048A KR 1020217026397 A KR1020217026397 A KR 1020217026397A KR 20217026397 A KR20217026397 A KR 20217026397A KR 20210114048 A KR20210114048 A KR 2021011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ase
pair
sealing ring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676B1 (ko
Inventor
슌야 타카하시
šœ야 타카하시
히로타카 나카시마
줌페이 나카무라
토모나리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2009/04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using a sealing boot, e.g. the casing having separate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operating member and hermetically closing the opening for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밀봉재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센서(10)는,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부(18)와, 설정부(18)에서의 축부(18b)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18b)와 케이스(1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60)을 구비하고, 밀봉 링(60)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61)와, 밀봉 링(60)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61)의 양측에, 곡면부(61)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6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62a, 62b)를 가진다.

Description

센서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센서 등의 전자 기기는, 약품 등의 액체가 사용되는 환경하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전 센서는, 주로 공장의 생산 라인이나 설비 등에 부착되기 때문에, 세정 공정 등에서 센서 본체에 세제나 흐르는 물 등이 묻는 환경하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서는, 내부로의 액체의 침투를 저지하기 위해 내수 성능이 요구되며, 그 구조에는 높은 밀폐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광전 센서에서는, 내부로의 액체의 침투를 저지하기 위해, 스위치의 밀봉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광전 센서의 설정(예를 들어 동작 모드 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218)가 케이스(212)에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스위치(218)는, 누름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되며, 그 선단측의 상부(218a)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2단계의 동작 모드로 광전 센서의 설정을 전환하는 등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스위치(218)의 주위에는, 케이스(212)와 스위치(218)의 축부(218b)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환형(環形)의 밀봉재(seal member; 260)(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斷面)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인 O링)가 배치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212)의 내부의 전자 부품이 수용되어 있는 공간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밀봉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12)와 스위치(218) 사이에 환형의 밀봉재(260)를 마련한 밀봉 구조가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218)를 조작하였을 때에, 스위치(218)의 축부(218b)에 접하는 밀봉재(260)가, 마찰에 의해 과잉의 회전(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축(H)(단면에서 볼 때 밀봉재(260)의 축방향(도 10에서는 상하 방향)의 중앙을 지나, 그 축방향에 직교하는 축)이 축(H')으로 회전하는 비틀림)이 생겨 버리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 밀봉성이 저하되어, 전자 기기 내부로의 액체의 침투를 충분히 저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7-073417호 공보
본 발명은, 밀봉재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센서는, 광을 내보내는 투광부 및 광을 받는 수광부의 적어도 한쪽을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센서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는 설정부와, 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을 구비하고, 밀봉 링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와, 밀봉 링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의 양측에,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端部)를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밀봉 링에 한 쌍의 단부가 마련되며, 그 한 쌍의 단부는,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설정부가 조작되어, 밀봉 링이 마찰에 의해 회전하였을 때에, 한 쌍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을, 케이스 또는 설정부의 축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시킴으로써, 설정부가 조작되었을 때에, 설정부의 축부에 접하는 밀봉 링의 과잉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밀봉 링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설정부에서의 축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한 쌍의 단부 중 한쪽이 축부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한 쌍의 단부 중 다른 쪽이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되어 있어도 된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단부 중 한쪽이 축부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한 쌍의 단부 중 다른 쪽이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되므로, 설정부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었을 때에, 설정부의 축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밀봉 링의 과잉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한 쌍의 단부의 내주면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의 내주면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한 쌍의 단부의 외주면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의 외주면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축부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 링 중 한 쌍의 단부는, 설정부가 조작되지 않을 때에는 축부와 케이스 중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므로, 설정부의 조작성을 방해하는 일 없이 밀봉 링의 과잉의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한 쌍의 단부 중 한쪽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에서의 축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한 쌍의 단부 중 다른 쪽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에서의 축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단부는, 곡면부에서의 축방향 일단측 또는 축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부를 조작하였을 때에, 한 쌍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을, 설정부의 축부 또는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서, 곡면부 및 한 쌍의 단부는, 각각 동일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밀봉 링을 구성하는 곡면부 및 한 쌍의 단부가 동일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와 한 쌍의 단부가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비용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전자 기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어, 제어 회로가 탑재된 기판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전자 기기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는 설정부와, 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을 구비하고, 밀봉 링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와, 밀봉 링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의 양측에,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를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한 쌍의 단부가,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설정부가 조작되어, 그 설정부의 축부와 밀봉 링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밀봉 링이 회전하였을 때에, 그 한 쌍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을, 케이스 또는 설정부의 축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정부가 조작되었을 때에, 설정부의 축부에 접하는 밀봉 링의 과잉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밀봉 링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재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센서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전 센서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전 센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센서의 설정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O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O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O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설정부를 조작하였을 때의 O링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설정부를 조작하였을 때의 O링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O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O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전후 좌우 및 상하에 관해서는, 도 1 및 2에 나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한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또, 이하에서는, 전자 기기의 일 예로서 광전 센서(10)의 예를 설명하지만, 이 광전 센서(10)에 한정되지 않고, 광전 센서(10) 이외의 센서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전 센서(10)는,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2)의 내부에는, 투광부(14) 및 수광부(16)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2)의 외면에는, 예를 들어, 티치 버튼(18), 조정 버튼(20), 인디케이터(indicator)(22) 및 표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2) 내에 투광부(14) 및 수광부(16)를 수용한 예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지만,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2) 내에 투광부(14) 및 수광부(16) 중 적어도 한쪽을 수용하고 있으면 된다. 즉, 투광부(14) 및 수광부(16) 각각을 별개의 케이스에 수용한 형태도 본 실시형태의 센서에 포함된다.
투광부(14)는, 피검출물에 대해 광을 투사하는 것이며, 발광 소자 및 투광 렌즈를 갖고 있다.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이며, 그 광축(X)은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수광부(16)는, 피검출물에 대해 투사된 광의 반사광을 받는 것이며, 수광 소자 및 수광 렌즈를 갖고 있다. 수광 소자는, 예를 들어, 2분할 포토 다이오드 또는 위치 검출 소자이다. 피검출물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측거(測距)의 검출 원리로는, 예를 들어, TOF(Time of Flight)나 삼각 측거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에서 삼각 측거의 원리를 이용하였을 경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투광 렌즈를 지나 피검출물에 투사되고, 피검출물에 의해 반사한 광이 수광 렌즈를 지나 수광 소자상에서 결상한다. 수광 소자는, 이 결상 위치에 따른 2개의 수광 신호를 출력하고, 증폭기(amplifier)를 개재하여 제어 회로에 송신한다. 증폭기 및 제어 회로는 광전 센서(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어 회로에서, 수신한 2개의 수광 신호로부터 연산한 위치 신호값이 문턱값과 비교되어, 피검출물까지의 거리가 구해진다.
티치 버튼(18)은,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문턱값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문턱값이란, 광전 센서(10)에서 피검출물의 검출의 유무 또는 피검출물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말하며,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도 파라미터의 하나이다. 감도 파라미터로는, 이 문턱값 외에, 투광부(14)로부터 나오는 광의 파워, 즉 투광 강도나, 수광부(16)에서 받는 광의 양의 증폭율, 즉 게인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율이 낮은 투명한 피검출물의 경우에는, 높은 투광 강도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티치 버튼(18)을 누르면, 적어도 문턱값을 포함하는 감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티칭 처리가 행해지고, 적어도 문턱값을 포함하는 감도 파라미터가 자동적으로 어느 정도의 값으로 자동 설정된다. 티칭 처리로는, 예를 들어 1점 티칭 처리 및 2점 티칭 처리가 있고, 그 내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과거의 특허문헌(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2008-298614호 공보) 등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조정 버튼(20)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티치 버튼(18)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로 기능하는 것이다. 조정 버튼(20)은, 예를 들어, 푸쉬식 업(UP) 버튼(20a) 및 다운(DOWN) 버튼(20b)을 갖고 있다. 업 버튼(20a) 및 다운 버튼(20b)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업 버튼(20a)을 누르면, 티치 버튼(18)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이 하나씩 증가 방향으로 변화하는 한편, 사용자가 다운 버튼(20b)을 누르면, 이 문턱값이 하나씩 감소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따라, 티치 버튼(18)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이 오르내리며, 광전 센서(10)에서 사용하는 문턱값이 갱신된다. 또, 조정 버튼(20)을 사용하여, 문턱값 이외의 다른 조정 가능한 값에 대해서도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24)의 밝기를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디케이터(22)는, 광전 센서(10)의 전원 상황이나 검출 상황에 따라 점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2)는, 전원이 ON 되어 있을 때에 점등하는 전원등과, 피검출물을 검출하였을 때에 점등하는 동작 표시등을 갖고 있다. 전원등 및 동작 표시등은, 각각, 예를 들어 LED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표시색으로 점등한다. 표시부(2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4)는, 티치 버튼(18)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 조정 버튼(20)에 의해 미세 조정되어 있을 때의 문턱값, 광전 센서(10)에 의해 구해진 피검출물까지의 거리값 등을 표시한다.
케이스(12)는,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12)는, 직육면체를 구성하는 6면에 관하여, 전면(31), 배면(32), 상면(33), 저면(34), 측면(35) 및 측면(36)을 갖고 있다. 전면(31) 및 배면(32)은, 케이스(12)의 내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33) 및 저면(34)은 케이스(12)의 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또한, 측면(35) 및 측면(36)은 케이스(12)의 내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전면(31) 및 배면(32)은, 상하 방향이 좌우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면(33) 및 저면(34)은 전후 방향이 좌우 방향보다 길고, 또한, 측면(35 및 36)은 상하 방향이 전후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31)은, 투광부(14)로부터의 광 및 수광부(16)로의 광을 통과시키는 투수광면(31a)을 갖고 있다. 전면(31)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32)에는, 표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상면(33)은, 전면(31)에 인접하고, 전면(31) 및 배면(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33)에는, 전면(31)측에서부터 차례로, 인디케이터(22) 및 티치 버튼(18)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2)는, 상기 6면에 추가하여, 직육면체의 두 개의 모서리의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경사면(37) 및 경사면(38)을 갖고 있다. 경사면(37)에는, 조정 버튼(20)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버튼(20)의 업 버튼(20a) 및 다운 버튼(20b)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경사면(37)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38)에는 케이블(40)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40)은, 예를 들어, 광전 센서(10)에 의한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광전 센서(10)의 외부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사면(37)은, 배면(32) 및 상면(33)에 대해 경사져서, 배면(32)과 상면(33)을 연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경사면(38)은, 배면(32) 및 저면(34)에 대해 경사져서, 이 2개의 면을 연결하고 있다.
또, 케이스(12) 내에는, 광전 센서로서 통상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예를 들어, 투광 소자, 수광 소자, 투광 소자를 구동하는 투광 회로(도시하지 않음), 수광 소자의 수광 신호를 전기 처리하는 수광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된 기판 등)가 수용되어 있다. 전술한 케이블(40)은, 그 내부에 케이블 심선(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그 케이블 심선이 케이스(12) 내부를 지나, 케이스(12) 내에 배치된 상기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케이스(12)에 관한 상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란, 내각이 모두 90도가 되는 직육면체라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그러한 직육면체 중 하나의 모서리를 경사면(37)처럼 면취(모따기)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티치 버튼(18) 주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티치 버튼(18)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티치 버튼(18)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지만, 광전 센서(10)의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설정부(예를 들어, 조정 버튼(20)을 포함하는 기타 설정부)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12)에는, 티치 버튼(18)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21)는, 그 주위보다도 함몰되어 있고, 티치 버튼(18)의 상부(18a)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티치 버튼(18)의 하부를 수용하고 있다. 홈부(121)는, 티치 버튼(18)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홈부(121)의 내벽(121a)은, 티치 버튼(18)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121)의 저부에는,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삽입통과하는 관통공(121c)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2)와 티치 버튼(18)의 축부(18b) 사이에는 환형의 O링(60)(밀봉 링)이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O링(60)은, 축부(18b)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2)에 마련되며, 축부(18b)와 케이스(12) 사이를 밀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O링(60)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다. 도 5는, O링(6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O링(6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O링(6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의 O링(60)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는 곡면부(61)와, 곡면부(61)에 접속되는 한 쌍의 평면부(62a, 62b)(한 쌍의 단부)를 가진다.
곡면부(61)는, O링(60)의 축(AX1)에 직교함과 아울러 O링(60)의 중심(O)을 통과하는 평면을 중간면(M)(도 7 참조)이라고 정하였을 경우에, 중간면(M)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61)의 외주면(612)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일단(도 4에서 곡면부(61)의 상단)에서부터 중간면(M)(도 7 참조)에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만곡하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또한, 곡면부(61)의 타단(도 4에서 곡면부(61)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면(M)에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만곡하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곡면부(61)의 내주면(611)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일단(도 4에서 곡면부(61)의 상단)에서부터 중간면(M)에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지름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또한, 곡면부(61)의 타단(도 4에서 곡면부(61)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면(M)에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지름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곡면부(61)의 축방향 일단측(도 7에서 곡면부(61)의 상단측) 및 축방향 타단측(도 7에서 곡면부(61)의 하단측)에는, 각각 한 쌍의 평면부(62a, 62b)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면부(61) 및 한 쌍의 평면부(62a, 62b)가 동일한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한 쌍의 평면부(62a, 62b) 중, 도 7에서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방측 평면부(62a)라고 칭하고, 한 쌍의 평면부(62a, 62b) 중, 도 7에서 하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방측 평면부(62b)라고 칭한다. 또한, 한 쌍의 평면부(62a, 62b)를 총칭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평면부(62)라고도 칭한다.
곡면부(61)의 축방향 일단측(도 4에서는 곡면부(61)의 상측)에는 상방측 평면부(62a)가 접속되어 있다. 상방측 평면부(62a)는, 곡면부(61)의 축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상방측(도 4에서 상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방측 평면부(62a)의 내주면(621a) 및 외주면(622a)은, 단면에서 볼 때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방측 평면부(62a)의 내주면(621a)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내주면(611)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방측 평면부(62a)의 외주면(622a)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외주면(612)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곡면부(61)의 축방향 타단측(도 4에서는 곡면부(61)의 하측)에는 하방측 평면부(62b)가 접속되어 있다. 하방측 평면부(62b)는, 곡면부(61)의 축방향 타단측으로부터 하방측(도 4에서 하방향(제1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방측 평면부(62b)의 내주면(621a) 및 외주면(622a)은, 단면에서 볼 때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방측 평면부(62b)의 내주면(621b)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내주면(611)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방측 평면부(62b)의 외주면(622b)은, 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의 외주면(612)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한 쌍의 평면부(62a, 62b)는, 도 7에 나타내는 O링(60)의 축(AX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한 쌍의 평면부(62a, 62b)가 O링(60)의 축(AX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는 것은, 축(AX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태양 뿐만 아니라 축(AX1)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태양도 포함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평면부(62a, 62b)는, 단면에서 볼 때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설정부가 조작되었을 때에, 한 쌍의 평면부(62a, 62b) 중 적어도 한쪽이 설정부의 축부 또는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평면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광전 센서(10)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티치 버튼(18)(설정부)이 조작되었을 때의 O링(60)의 모습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티치 버튼(18)이 조작되었을 때의 O링(60)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O링(60)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8b는,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O링(6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O링(60)에서의 평면부(62)의 한쪽이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다른 쪽이 케이스(12)의 일부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하는 O링(60)이 마찰에 의해 회전이 생길 때에(종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 및 평면부(62)의 좌우 방향 중앙을 지나 축(AX1)(도 7 참조)에 평행한 축(AX2)을 정의하였을 때에, 그 축(AX2)에 직교하는 축(M)이, 축(M')으로 회전하는 O링(60)의 비틀림이 생길 때에), 상방측 평면부(62a)의 외주면(622a)의 상단이, 케이스(12)의 일부에 접촉되고, 하방측 평면부(62b)의 내주면(621b)의 하단이, 티치 버튼(18)의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한편,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치 버튼(18)의 축부(18b)가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하는 O링(60)이 마찰에 의해 회전이 생길 때에(종단면에서 볼 때, 곡면부(61) 및 평면부(62)의 좌우 방향 중앙을 지나 축(AX1)(도 7 참조)에 평행한 축(AX2)을 정의하였을 때에, 그 축(AX2)에 직교하는 축(M)이, 축(M')으로 회전하는 O링(60)의 비틀림이 생길 때에), 상방측 평면부(62a)의 내주면(621a)의 상단이, 티치 버튼(18)의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하방측 평면부(62b)의 외주면(622b)의 하단이, 케이스(12)의 일부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티치 버튼(18)에서의 축부(18b)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한 쌍의 평면부(62a, 62b) 중 한쪽이 축부(18b)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한 쌍의 평면부(62a, 62b) 중 다른 쪽이 케이스(12)의 일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12)와 축부(18b) 사이에 배치되는 O링(60)이 마찰에 의해 과잉의 회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O링(60)은, 단면에서 볼 때 지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61)와, 곡면부(61)에서의 축방향 일단측 및 축방향 타단측에 각각 접속되며, 곡면부(61)와는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부(62)를 갖고, 평면부(62)는, 곡면부(61)에서의 축방향 일단부 및 축방향 타단부로부터 각각 O링(60)의 축(AX1)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티치 버튼(18)을 조작하여, 티치 버튼(18)의 축부(18b)와 케이스(1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O링(60)이 마찰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하였을 때에, 평면부(62) 중 적어도 한쪽이, 티치 버튼(18)의 축부(18b) 또는 케이스(12)의 일부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접촉함으로써, 축부(18b)와 케이스(12) 사이를 밀봉하는 O링(60)에 과잉의 회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전 센서(10) 이외의, 케이스 및 기판(제어 회로가 탑재된 기판)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부와, 설정부의 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링을 채용하고, 그 밀봉 링을,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와, 밀봉 링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의 양측에,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끼리 부분적으로 치환하거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1. 광을 내보내는 투광부(14) 및 광을 받는 수광부(16) 중 적어도 한쪽을 수용하는 케이스(12)를 구비한 센서(10)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케이스(12) 내에 삽입되는 축부(18b)를 가지는 설정부(18)와,
축부(18b)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18b)와 케이스(12)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60)을 구비하고,
밀봉 링(60)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61)와, 밀봉 링(60)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61)의 양측에, 곡면부(61)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6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62a, 62b)를 가지는 센서(10).
6.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어, 제어 회로가 탑재된 기판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축부(18b)를 가지는 설정부(18)와,
축부(18b)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축부(18b)와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60)을 구비하고,
밀봉 링(60)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61)와, 밀봉 링(60)의 축방향에서의 곡면부(61)의 양측에, 곡면부(61)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밀봉 링(6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62a, 62b)를 가지는 전자 기기.
10...광전 센서
12...케이스
14...투광부
16...수광부
18...티치 버튼(설정부)
18b...축부
40...케이블
60...O링(밀봉 링)
61...곡면부
62a, 62b...평면부(단부)

Claims (6)

  1. 광을 내보내는 투광부 및 광을 받는 수광부 중 적어도 한쪽을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센서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센서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는 설정부와,
    상기 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축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링은,
    단면(斷面)에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와,
    상기 밀봉 링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상기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를 가지는 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상기 설정부에서의 상기 축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단부 중 한쪽이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한 쌍의 단부 중 다른 쪽이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되는 센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부의 내주면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곡면부의 내주면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단부의 외주면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곡면부의 외주면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부의 한쪽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곡면부에서의 축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한 쌍의 단부의 다른 쪽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곡면부에서의 축방향 타단측으로부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센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 및 상기 한 쌍의 단부는, 각각 동일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
  6.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제어 회로가 탑재된 기판을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외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받아서 전자 기기 본체의 설정을 변경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는 설정부와,
    상기 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축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환형의 밀봉 링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링은,
    단면에서 볼 때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부와,
    상기 밀봉 링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상기 곡면부와는 다른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밀봉 링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를 가지는 전자 기기.
KR1020217026397A 2019-03-15 2020-03-10 센서 및 전자 기기 KR102600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8012A JP6999093B2 (ja) 2019-03-15 2019-03-15 センサ
JPJP-P-2019-048012 2019-03-15
PCT/JP2020/010291 WO2020189412A1 (ja) 2019-03-15 2020-03-10 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048A true KR20210114048A (ko) 2021-09-17
KR102600676B1 KR102600676B1 (ko) 2023-11-09

Family

ID=7243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397A KR102600676B1 (ko) 2019-03-15 2020-03-10 센서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76770B2 (ko)
EP (1) EP3940733A4 (ko)
JP (1) JP6999093B2 (ko)
KR (1) KR102600676B1 (ko)
CN (1) CN113544808A (ko)
WO (1) WO202018941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7A (ja) * 1997-06-11 1999-01-06 Seiko Epson Corp Oリング及びこれを具備する装置
JP2007073417A (ja) 2005-09-08 2007-03-22 Omron Corp 光電センサ
JP2015115290A (ja) * 2013-12-13 2015-06-22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US20160098016A1 (en) * 2013-06-11 2016-04-07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710A (ja) 1991-08-08 1993-02-19 Inax Corp 押出成形板
JP4530689B2 (ja) * 2004-03-09 2010-08-25 Hoya株式会社 カメラのダイヤル切替装置
JP4983407B2 (ja) 2007-05-31 2012-07-25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JP6838710B2 (ja) 2017-10-02 2021-03-03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7A (ja) * 1997-06-11 1999-01-06 Seiko Epson Corp Oリング及びこれを具備する装置
JP2007073417A (ja) 2005-09-08 2007-03-22 Omron Corp 光電センサ
US20160098016A1 (en) * 2013-06-11 2016-04-07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5115290A (ja) * 2013-12-13 2015-06-22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412A1 (ja) 2020-09-24
JP2020149925A (ja) 2020-09-17
KR102600676B1 (ko) 2023-11-09
EP3940733A4 (en) 2022-12-07
US11776770B2 (en) 2023-10-03
US20220172907A1 (en) 2022-06-02
CN113544808A (zh) 2021-10-22
EP3940733A1 (en) 2022-01-19
JP6999093B2 (ja)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8087B2 (en) Photoelectric sensor
US9036220B2 (en) Contact image sensing device
US20060072868A1 (en) Pressure sensor
US7880888B2 (en) Photoelectric sensor for sensing a target
JP2015078946A (ja) 距離測定型光電センサ及びその投光スポット制御方法
KR20210095179A (ko) 광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14048A (ko) 센서 및 전자 기기
US10698133B2 (en) Photoelectric sensor with adjustment part on an inclined surface
EP3540473B1 (en) Photoelectric sensor
KR102337402B1 (ko) 파워 툴용 표시 장치
JP2019160674A (ja) 光電センサ
JP2010112915A (ja) 傾斜センサ
US20240027191A1 (en) Optical Triangulation Sensor
JP6559452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6860857B2 (ja) 光電センサ
CN211740241U (zh) 非可见光传感器
US7209226B2 (en) Gravity sensor
JP2021168270A (ja) 光電スイッチ
JP2008186657A (ja) レバー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CN113514841A (zh) 光学位移传感器
KR100994392B1 (ko) 엣지 검출 장치 및 엣지 검출 장치용 라인 센서
JP2019016624A (ja) フォトインタラプタ、及びこれを備える近接覚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