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48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480A
KR20210113480A KR1020200027886A KR20200027886A KR20210113480A KR 20210113480 A KR20210113480 A KR 20210113480A KR 1020200027886 A KR1020200027886 A KR 1020200027886A KR 20200027886 A KR20200027886 A KR 20200027886A KR 20210113480 A KR20210113480 A KR 2021011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panel
disposed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재
유부균
이동호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480A/ko
Priority to US17/061,698 priority patent/US11805669B2/en
Priority to CN202110223441.8A priority patent/CN113363289A/zh
Priority to EP21160292.5A priority patent/EP3876079A1/en
Publication of KR2021011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480A/ko
Priority to US18/374,666 priority patent/US202400323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부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결합 부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윈도우층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상부 상에 상부 적층 구조물, 및 표시 패널의 하부 상에 하부 적층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의 경우, 폴딩시에 상부 적층 구조물은 슬립되어 하부 적층 구조물 대비,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은 얇은 윈도우층을 포함하는데, 외측으로 돌출된 윈도우층은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윈도우층의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부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결합 부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윈도우층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의 상기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상기 윈도우층 사이에 배치된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층과 이격된 외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칩, 및 상기 구동칩과 이격된 인쇄 회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편광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층의 측면은 상기 보호층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외부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보호층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과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적층 구조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벤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필름층, 및 상기 하부 필름층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할 ㅅ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최외측 부분보다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부 적층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결합 부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윈도우층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윈도우층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보호층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층의 타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필름층, 및 상기 하부 필름층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최외측 부분보다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50μm이고, 상기 윈도우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50μm인 표시 장치.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윈도우층의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제1 동작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동작 상태에서의 도 3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단면 관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적층 구조물과 하부 적층 구조물이 슬립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평면 관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슬립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표시 장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 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동작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더블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노트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표시 장치(1)는 4개의 변들 또는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장변들과 단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단변들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표시 장치(1)의 장변들은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변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장변들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평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로 방향인 제1 방향(DR1)과 세로 방향인 제2 방향(DR2)이 정의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은 평면도상 우측 방향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평면도상 좌측 방향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평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평면도상 하측 방향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 상부 적층 구조물(30), 하부 적층 구조물(20), 및 표시 패널(10)에 부착된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구동칩(IC), 및 구동칩(IC)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인쇄 회로 필름(FPCB)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그 예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특별한 구분을 요하지 않는 이상 실시예에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단순히 표시 패널(10)로 약칭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거된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표시 패널(10)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은 일면(또는 상면)과 타면(또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 기준에서, 표시 패널(10)의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하는 방향은 표시 방향일 수 있고,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하는 방향은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10)의 타면으로부터 일면을 향하는 방향, 및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향하는 방향은 모두 표시 방향일 수도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30)은 표시 패널(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표시 패널(1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더블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장치라 함은 폴딩이 가능한 장치로서, 폴딩되어 있는 장치뿐만 아니라, 폴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폴딩은 대표적으로 약 180°의 각도로 접히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고, 접히는 각도가 180°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예컨대 90° 이상 180° 미만 또는 120° 이상 180° 미만의 각도로 꺾이는 경우에도 폴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폴딩 상태는 완전한 폴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언폴딩 상태를 벗어나 꺾여 있는 상태인 경우 폴딩 상태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0° 이하의 각도로 꺽여 있다고 하더라도, 최대 폴딩 각도가 90° 이상이 되는 이상 언폴딩 상태와 구별하기 위해 폴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폴딩시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mm의 범위에 있거나, 약 1.5m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상술된 폴딩 상태는 제1 동작 상태라 지칭되고, 상술된 언폴딩 상태는 제2 동작 상태라 지칭된다.
표시 패널(10)에는 폴딩 영역(FA)(또는 폴딩축),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가 정의될 수 있다.
도 6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은 제2 동작 상태에서, 폴딩 영역(FA)(또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평면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폴딩 영역(FA)이 표시 장치(1)의 단변과 평행하게 연장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폴딩 영역(FA)은 장변에 평행하거나, 단변과 장변에 대해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A)은 특정 위치에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에서 특정 위치에 정해진 폴딩 영역(FA)은 하나이거나, 2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에서 그 위치가 특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폴딩 영역(FA)의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비폴딩 영역(FA)은 폴딩 영역(FA)의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이 특정 위치에 정해져 있는 경우,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폴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으로 특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평면상 표시 여부에 따라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 화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는 백색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평면상 교대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는 행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4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직사각형 형상은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단변들, 및 장변들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되어 인접 화소로부터 발광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모두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경계에 해당하는 폴딩 영역(FA)에도 표시 영역(DA)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은 비폴딩 영역(NFA1, NFA2), 폴딩 영역(FA) 등의 경계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폴딩 영역(NFA1)에는 표시 영역(DA)이 배치되지만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표시 영역(DA)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표시 영역(DA)이 배치되지만 폴딩 영역(FA)에는 비표시 영역(NDA)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도 표시 영역(DA)과 마찬가지로,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서 후술될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인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면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의 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아웃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인폴딩 방식과 아웃 폴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만으로 폴딩될 수도 있고, 인폴딩과 아웃 폴딩이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폴딩과 아웃 폴딩이 모두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1)의 경우, 인폴딩과 아웃 폴딩이 동일한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폴딩 전용 폴딩 라인과 아웃 폴딩 전용 폴딩 라인 등 서로 다른 방식의 폴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평면상 표시 영역(DA)의 장변들, 및 단변들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은 예를 들어, 실질적인 모서리가 둥근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전한 모서리가 둥근 사각틀 형상은 표시 영역(DA)의 외측 프로파일,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영역(DA)의 장변들에 인접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외측 프로파일(제1 외측 프로파일은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DR1) 타측 장변에 인접, 제2 외측 프로파일은 제1 외측 프로파일과 대향),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변에 인접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3 외측 프로파일, 비표시 영역(NDA)의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변에 인접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4 외측 프로파일, 비표시 영역(NDA)의 인접한 외측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4개의 곡면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상기 돌출부의 제1 방향(DR1) 폭은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의 제1 방향(DR1)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방향(DR2) 타측으로 갈수록 비표시 영역(NDA)의 상기 돌출부의 제1 방향(DR1) 폭은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부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과 중첩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보다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10)은 두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폴더블 장치일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0)이 벤딩될 수 있는 벤더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벤딩되며, 표시 장치(1)가 벤딩될 경우, 표시 패널(10)의 타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외측 프로파일과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1 곡면 프로파일, 상기 제2 외측 프로파일과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2 곡면 프로파일, 상기 제1 곡면 프로파일과 상기 제2 곡면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5 외측 프로파일, 및 상기 제4 외측 프로파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5 외측 프로파일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곡면 프로파일들은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돌출부의 벤딩 영역(BA)의 제2 방향(DR2) 타측에 부착될 수 있다. 구동칩(IC)의 부착 위치는 인쇄 회로 필름(FPCB)의 부착 위치와 벤딩 영역(B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동작 상태에서, 평면상 구동칩(IC)은 인쇄 회로 필름(FPCB)과 표시 영역(DA) 또는 인쇄 회로 필름(FPCB)과 벤딩 영역(B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칩(IC)은 각 화소에 데이터 전압 인가와 데이터 전압 인가 제어 및/또는 스캔 신호 인가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의 구동칩(IC)의 부착 위치에는 복수의 구동 패드들이 배치되며, 구동칩(IC)은 상기 복수의 구동 패드들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필름(FPCB)은 구동칩(IC)에 데이터 전압 신호와 데이터 전압 인가 제어 신호 및/또는 스캔 신호 인가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쇄 회로 필름(FPCB)은 각 화소에 고전압 전위 신호, 및 저전압 전위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필름(FPCB)은 제2 방향(DR2)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커넥터(C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CN)는 메인 회로 보드와 접속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30), 및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평면상 표시 패널(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동작 상태의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적층 구조물(30), 및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30), 및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가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벤딩되면, 표시 패널(10)의 타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될 수 있다. 구동칩(IC), 및 인쇄 회로 필름(FPCB)은 하부 적층 구조물(20)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칩(IC), 및 인쇄 회로 필름(FPCB)은 하부 적층 구조물(20)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 구동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가요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의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은 폴리 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로 구동층은 화소의 발광층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동층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동층 상부에는 발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회로 구동층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 상부에는 봉지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봉지층으로 글래스나 봉지 필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봉지층 상부에는 터치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층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층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일면의 벤딩 영역(BA) 상에는 벤딩 보호층(BPL)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을 지나는 신호 배선(예컨대, 각 화소와 구동 패드를 연결하는 신호 배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하여 상기 신호 배선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보호층(BPL)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감광성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보호층(BPL)은 아크릴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의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확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후술될 편광층(POL)의 외측면에 접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벤딩 보호층(BPL)은 편광층(POL)의 외측면에 접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의 타면 상에 하부 적층 구조물(2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표시 패널(10)의 벤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제1 하부 필름층(21), 제1 하부 필름층(21)의 하부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23), 완충 부재(23)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25), 메탈 플레이트(25)의 하부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27), 스페이서(27)의 하부 상에 배치된 제2 하부 필름층(2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층(21, 29)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필름층(21, 29)은 완충 부재(230), 메탈 플레이트(25), 및 스페이서(27)보다 평면상 크기가 더 클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필름층(21, 29)은 각각 필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필름층(21, 29)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3)는 폼(Foam)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3)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23)는 폴딩 영역(FA)에서 표시 방향을 향해 만입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탈 플레이트(25)는 구리, 은 등과 같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25)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일 수도 있다.
메탈 플레이트(25)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탈 플레이트(25)는 비폴딩 영역(NFA1, NFA2)과 폴딩 영역(FA)에서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 메탈 플레이트(25)는 각각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폴딩 영역(FA)에서 메탈 플레이트(25)는 복수의 패턴들로 형성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서 메탈 플레이트(25)가 복수의 패턴들로 형성됨으로써, 제2 동작 상태에서, 폴딩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탈 플레이트(25)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탈 플레이트(25)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각각 배치되고,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아,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25)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25)는 서로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27)는 메탈 플레이트(25)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7)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7)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2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27)의 하부 상에 제2 하부 필름층(29)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필름층(29)의 물질, 및 배치에 대해서는 상술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하부 필름층(29)은 생략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BA)을 통해 벤딩된 표시 패널(10)의 타면은 하부 적층 구조물(20)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을 통해 벤딩된 표시 패널(10)의 타면은 제2 하부 필름층(29)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7), 및 제2 하부 필름층(29)이 생략된 상기 실시예에서, 메탈 플레이트(25)의 하부 상에 하부 시트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시트는 폴딩 영역(FA)에는 배치되지 않고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된 상기 하부 시트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된 상기 하부 시트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하부 적층 구조물(20)의 단면 구조, 및 형상은 벤딩 영역(BA)과 인접한 제4 외측 프로파일 부분의 단면 구조, 및 형상을 나타내고, 상술된 스페이서(27), 및 제2 하부 필름층(29)이 생략된 상기 실시예에서, 메탈 플레이트(25)의 하부 상에 하부 시트가 더 배치된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적층 구조물의 단면 구조 및 형상은 제4 외측 프로파일을 제외한 부분(예컨대, 제1 내지 제3 외측 프로파일, 및 표시 영역(DA))의 단면 구조, 및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적층 구조물(20)의 복수의 부재 사이에는 하부 결합층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결합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결합층은 압력 민감 접착제(PS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상부 상에는 상부 적층 구조물(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30)은 편광층(31), 편광층(31) 상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35), 충격 흡수층(35)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39), 윈도우층(39) 상에 배치된 보호층(43)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31)은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층(31)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편광층(31)과 표시 패널(10) 사이에는 편광 패널 간 결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패널 결합층은 광학 투명 결합층, 또는 결합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패널 결합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압력 민감 물질(PSA)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은 편광층(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은 폼(Foam) 재질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은 생략될 수도 있다.
편광층(31)과 충격 흡수층(35)사이에는 흡수 편광 간 결합층(33)이 배치될 수 있다. 흡수 편광 결합층(33)은 광학 투명 결합층, 또는 결합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편광 결합층(33)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압력 민감 물질(PSA)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층(39)은 충격 흡수층(3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층(39)은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층(39)의 측면은 충격 흡수층(35)의 측면보다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으로부터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격 흡수층(35)의 측면은 윈도우층(39)의 측면보다 내측 방향(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만입)될 수 있다.
윈도우층(39)의 두께는 약 30μm 내지 50μm일 수 있다. 얇은 두께를 갖는 윈도우층(39)은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층(39)은 강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화된 윈도우층(39)은 내부에 소정의 응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강화된 윈도우층(39)은 강화 전 윈도우층(39)보다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 발생, 크랙의 전파, 파손 등을 더 잘 방지한다. 강화 공정을 통해 강화된 윈도우층(39)은 영역별로 다양한 응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층(39)의 표면 인근, 즉 제1 표면과 제2 표면 인근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는 압축 영역이, 윈도우층(39)의 내부에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인장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압축 영역과 인장 영역의 경계는 응력값이 0일 수 있다. 하나의 압축 영역 내의 압축 응력은 위치(즉,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그 응력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인장 영역의 경우에도 표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다른 응력값을 가질 수 있다.
압축 영역은 외부 충격에 저항하여 윈도우층(39)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윈도우층(39)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압축 영역의 압축 응력은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그 크랙이 해당 깊이에서 잘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압축 깊이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에 형성된 크랙이나 홈이 윈도우층(39) 내부의 인장 영역으로 전파하는 것을 저지한다. 제1 압축 깊이와 제2 압축 깊이가 클수록 크랙 등의 전파를 잘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층(39)의 두께가 약 30μm 내지 50μm로 얇은 두께가 적용될 경우, 형성되는 압축 영역의 압축 깊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크랙이나 홈이 윈도우층(39)의 내부의 인장 영역으로 전파되는 것이 쉬울 수 있다. 크랙이나 홈이 인장 영역으로 전파되면, 윈도우층(39)은 깨져 파편화(비산화)될 수 있다.
윈도우층(39)과 충격 흡수층(35)사이에는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은 광학 투명 결합층, 또는 결합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압력 민감 물질(PSA)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층(39)의 상부 상에는 보호층(43)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43)은 윈도우층(39)의 비산 방지, 충격 흡수, 찍힘 방지, 지문 방지, 눈부심 방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층(43)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43)의 두께는 약 30μm 내지 50μm일 수 있다.
보호층(43)과 윈도우층(39) 사이에는 보호층 윈도우층 간 결합층(41)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 윈도우층 간 결합층(41)은 광학 투명 결합층, 또는 결합 투명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 윈도우층 간 결합층(41)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압력 민감 물질(PSA)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43)의 평면상 크기는 윈도우층(39)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제2 동작 상태에서, 상부 적층 구조물(30)들은 측면이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제2 동작 상태에서, 윈도우층(39)의 측면은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될 수 있다.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된 윈도우층(39)의 주변부(예컨대,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단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층(39)의 두께는 약 30μm 내지 50μm으로 매우 얇으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성이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2 동작 상태에서, 윈도우층(39)의 측면이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고려하여, 윈도우층(39)의 측면보다 상부의 보호층(43)의 측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2 동작 상태에서, 보호층(43)도 측면이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될 수 있다.
보호층(43)의 측면과 윈도우층(39)의 측면은 각각 벤딩된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A)의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보호층(43), 및 윈도우층(39)으로 인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층(39)의 측면(39S)은 보호층(43)의 측면(43S)보다 내측(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제2 동작 상태에서의 도 3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단면 관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적층 구조물과 하부 적층 구조물이 슬립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평면 관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슬립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인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 제2 동작 상태에서, 표시 패널(10)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면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30)은 표시 패널(10)의 일면과 인접한 상부 적층 구조물(30)의 일면, 및 상부 적층 구조물(30)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2 동작 상태에서, 상부 적층 구조물(30)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타면은 폴딩 영역(FA)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2 동작 상태에서, 상부 적층 구조물(30)과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슬립(Slip)될 수 있다. 인폴딩 방식이 적용된 제2 동작 상태에서, 상부 적층 구조물(30)은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슬립(SLIP1)되고, 하부 적층 구조물(20)은 내측 방향(비폴딩 영역(NFA1, NFA2)에서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슬립(SLIP2)될 수 있다. 제1 슬립(SLIP1)과 제2 슬립(SLIP2)은 적층 구조물(20, 30)의 측면이 제1 동작 상태에서 제2 동작 상태로 상태 변환될 때, 각각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슬립(SLIP3)은 제1 슬립(SLIP1)과 제2 슬립(SLIP)의 이동 방향과 무관한 슬립 크기를 합을 의미하며, 그 방향은 제2 동작 상태에서 하부 적층 구조물(20)의 측면으로부터 상부 적층 구조물(30)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적층 구조물(30) 간에도 표시 패널(10)으로부터 멀게 배치될수록 슬립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43), 윈도우층(39), 충격 흡수층(35), 편광층(31) 순으로 슬립 양이 순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제2 동작 상태에서, 윈도우층(39)의 측면(39S)은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될 수 있다.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된 윈도우층(39)의 주변부(예컨대,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단부)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층(39)의 두께는 약 30μm 내지 50μm으로 매우 얇으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성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된 윈도우층(39)의 주변부(예컨대,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단부)는 파손되거나, 깨져 파편화(비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보호층(43)의 평면상 크기가 윈도우층(39)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윈도우층(39)의 측면(39S)보다 상부의 보호층(43)의 측면(43S)이 외측(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된 윈도우층(39)의 주변부(예컨대,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단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파손되어 발생된 크랙이나 홈이 윈도우층(39)의 내부로 전파되어, 윈도우층(39)이 깨져 파편화(비산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층(39)의 측면(39S), 및 보호층(43)의 측면(43S)이 벤딩된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A)의 최외측 부분(BP)(제3 방향(DR3) 연장선과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A)의 일면이 만나는 점)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표시 패널(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보호층(43), 및 윈도우층(39)으로 인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윈도우층(39)의 측면이 충격 흡수층(35_1)의 측면(35S)보다 내측 방향(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만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4, 및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윈도우층(39)의 측면(39S)이 충격 흡수층(35_1)의 측면(35S)보다 내측 방향(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부터 폴딩 영역(FA)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만입)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_1)의 측면(35S)은 보호층(43)의 측면(43S)과 두께 방향에서 정렬될 수도 있다. 충격 흡수층(35_1)의 평면상 크기는 윈도우층(39)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_1)의 측면(37S)은 충격 흡수층(35_1)의 측면(35S)과 두께 방향에서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적층 구조물(30_1)은 충격 흡수층(35_1)과 보호층(43) 사이에 배치된 외부 보호층(OP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은 윈도우층(39)의 측면(39S)과 이격 공간(SP)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은 윈도우층(39)의 측면(39S)보다 외측(폴딩 영역(FA)으로부터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과 윈도우층(39)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과 보호층(43) 사이에는 상술된 보호층 윈도우층 간 결합층(41)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 윈도우층 간 결합층(41)을 통해 외부 보호층(OPL)과 보호층(43)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과 충격 흡수층(35_1) 사이에는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_1)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흡수층 간 결합층(37_1)을 통해 외부 보호층(OPL)과 충격 흡수층(35_1)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은 윈도우층(39)의 외곽(또는 측면(39S))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부 보호층(OPL)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경우에도 보호층(43)의 평면상 크기가 윈도우층(39)의 평면상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윈도우층(39)의 측면(39S)보다 상부의 보호층(43)의 측면(43S)이 외측(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층(39)의 측면이 벤딩된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A)의 최외측 부분(BP)(제3 방향(DR3) 연장선과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A)의 일면이 만나는 점)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립된 윈도우층(39)의 주변부(예컨대,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단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파손되어 발생된 크랙이나 홈이 윈도우층(39)의 내부로 전파되어, 윈도우층(39)이 깨져 파편화(비산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층(39)의 외곽(또는 측면(39S))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 보호층(OPL)이 더 배치됨으로써, 윈도우층(3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층(35_2)은 측면(35S_1)이 보호층(43)의 측면(43S)보다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으로부터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돌출)된다는 점에서 도 12, 및 도 13에 따른 표시 장치(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층(35_2)은 측면(35S_1)이 보호층(43)의 측면(43S)보다 외측 방향(폴딩 영역(FA)으로부터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돌출)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12, 및 도 13에서 상술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IC: 구동칩
FPCB: 인쇄 회로 필름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부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결합 부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윈도우층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은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의 상기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상기 윈도우층 사이에 배치된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층과 이격된 외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구동칩, 및 상기 구동칩과 이격된 인쇄 회로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편광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의 측면은 상기 보호층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만입된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외부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보호층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과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표시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적층 구조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벤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타면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필름층, 및
    상기 하부 필름층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최외측 부분보다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은 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14.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부 적층 구조물;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보호층 결합 부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평면상 크기는 상기 윈도우층의 평면상 크기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윈도우층을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보호층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층의 타면은 서로 마주보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상부 적층 구조물의 측면은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적층 구조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하부 필름층, 및 상기 하부 필름층의 하부 상에 배치된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최외측 부분보다 상기 윈도우층의 측면은 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보호층의 측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의 상기 최외측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50μm이고, 상기 윈도우층의 두께는 30μm 내지 50μm인 표시 장치.

KR1020200027886A 2020-03-05 2020-03-05 표시 장치 KR20210113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86A KR20210113480A (ko) 2020-03-05 2020-03-05 표시 장치
US17/061,698 US11805669B2 (en) 2020-03-05 2020-10-02 Display device
CN202110223441.8A CN113363289A (zh) 2020-03-05 2021-03-01 显示设备
EP21160292.5A EP3876079A1 (en) 2020-03-05 2021-03-02 Flexible display device
US18/374,666 US20240032325A1 (en) 2020-03-05 2023-09-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86A KR20210113480A (ko) 2020-03-05 2020-03-0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480A true KR20210113480A (ko) 2021-09-16

Family

ID=7485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86A KR20210113480A (ko) 2020-03-05 2020-03-0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05669B2 (ko)
EP (1) EP3876079A1 (ko)
KR (1) KR20210113480A (ko)
CN (1) CN1133632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6883B2 (en) 2020-02-14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dable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766A (ko) * 2020-01-10 2021-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2562A (ko)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KR102020659B1 (ko) *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015126B1 (ko) 2013-06-21 2019-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77525B1 (ko) * 2013-07-30 2020-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1585B1 (ko) * 2014-02-10 2021-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81847B1 (ko) * 2014-06-17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7394B1 (ko) * 2014-09-30 2023-08-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US9356087B1 (en) * 2014-12-10 2016-05-3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ridged wire traces
KR102307693B1 (ko) 2014-12-12 2021-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9614168B2 (en) * 2015-01-12 2017-04-04 Apple Inc. Flexible display panel with bent substrate
KR20160088487A (ko) 2015-01-15 2016-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70740A (ko) 2017-12-13 2019-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15890B1 (ko) * 2017-12-28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1750B1 (ko) 2018-03-26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547854B1 (ko) * 2018-05-04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534400B2 (en) * 2018-05-24 2020-01-14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069527A (ko) * 2018-12-07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2397549A (zh) 2019-08-16 2021-02-2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468832B2 (en) * 2019-11-08 2022-10-11 Beijing Bo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6883B2 (en) 2020-02-14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dabl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6079A1 (en) 2021-09-08
US20240032325A1 (en) 2024-01-25
CN113363289A (zh) 2021-09-07
US11805669B2 (en) 2023-10-31
US20210280826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7228B2 (en) Display assembly
US11696377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KR20210113480A (ko) 표시 장치
KR2020004932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10090766A (ko) 표시 장치
KR20210027699A (ko) 표시 장치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US11262866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in a foldable area
KR20210142039A (ko) 표시 장치
JP2019152695A (ja) 表示装置及びカバーパネル
KR20220063834A (ko) 표시 장치
KR20210019637A (ko) 표시 장치
US20240077979A1 (en) Display device
US11899892B2 (en) Display device
KR20070044721A (ko)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20240077622A (ko) 표시 장치
KR20200115877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