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62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622A
KR20240077622A KR1020220159125A KR20220159125A KR20240077622A KR 20240077622 A KR20240077622 A KR 20240077622A KR 1020220159125 A KR1020220159125 A KR 1020220159125A KR 20220159125 A KR20220159125 A KR 20220159125A KR 20240077622 A KR20240077622 A KR 2024007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l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원
김영지
김현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7622A/ko
Priority to US18/232,972 priority patent/US20240176393A1/en
Priority to CN202311573343.2A priority patent/CN118076149A/zh
Publication of KR2024007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과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2 영역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제1 영역과 중첩하고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제2 영역과 중첩되고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딩 영역 내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표시 패널의 하부에 지지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벤딩 영역 내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벤딩 영역 내 식각으로 인한 슬러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와 표시 패널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기판과 플레이트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 상기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지지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를 더 커버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을 커버하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표시 패널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접면과 상기 제1 접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접면과 상기 제1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접면과 상기 제2 접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접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를 더 커버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기 벤딩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의 5% 이상 20% 이하인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표시 패널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 내 이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벤딩 영역 내 식각으로 인한 슬러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레이트와 표시 패널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기판과 플레이트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단선 Ⅰ-Ⅰ`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및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를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절단선 Ⅰ-Ⅰ`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D)는 스마트 워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E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전자장치(E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영상(IM)은 동적인 영상은 물론 정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opposing)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의 전면과 배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자장치(ED)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ED)는 전자 장치(ED)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ED)는 전자 장치(ED)의 구조에 따라 전자 장치(E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ED)의 전면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은 꼭지점들이 둥근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투과 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Z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ED)는 표시 장치(DD) 및 외부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윈도우(WM), 표시 모듈(DM), 구동 모듈(EM), 광학 필름(OTF) 및 하부모듈(LM)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영상을 출사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단일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BZA)은 실질적으로 윈도우(WM)의 일 영역에 소정의 컬러를 포함하는 물질이 인쇄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윈도우(WM)는 베젤 영역(BZA)을 정의하기 위한 베젤 패턴(WB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패턴(WBM)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입력 감지층(IS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무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무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감지층(ISP)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감지층(ISP)은 연속공정에 의해 표시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층(ISP)이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접착 필름이 입력 감지층(ISP)과 표시패널(DP)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표시패널(DP)은 영상(IM)을 생성하고, 입력 감지층(ISP)은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광학 필름(OTF)은 윈도우(WM)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OTF)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광학 필름(OTF)은 편광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OTF)은 입력 감지층(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학 필름(OTF)은 입력 감지층(ISP)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P), 광학 필름(OTF), 및 윈도우(WM)들은 접착 필름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과 광학 필름(OTF) 사이에는 제1 접착 필름(AF1)이 배치되고, 광학 필름(OTF)과 윈도우(WM) 사이에 제2 접착 필름(AF2)이 배치된다. 따라서, 광학 필름(OTF)은 제1 접착 필름(AF1)에 의해 입력 감지층(ISP)에 결합되고, 윈도우(WM)는 제2 접착 필름(AF2)에 의해 광학 필름(OTF)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및 제2 접착 필름(AF1, AF2) 각각은 광학투명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접착 필름(AF1, AF2) 각각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착 필름(AF1, AF2) 각각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는 광학 필름(OTF)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층, 예를 들어 보호층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NA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액티브 영역(AA)은 투과 영역(T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에는 액티브 영역(AA)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각종 신호 라인들이나 패드들, 또는 전자 소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베젤 영역(BZA)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은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영역(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표시면(IS)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은 주변 영역(NAA)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되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비벤딩 영역일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이 벤딩된 상태에서, 벤딩 영역(BA)은 외력에 의해 벤딩되도록 형상이 변형된 영역일 수 있고,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상에서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 각각의 제1 방향(DR1) 길이는 제1 영역(A1)의 제1 방향(DR1)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벤딩축(BX) 방향 상에서의 길이가 짧은 영역은 좀 더 쉽게 벤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벤딩 영역(BA) 상에 배치된 벤딩 보호층(BP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제1 영역(A1)의 일부분 및 제2 영역(A2)의 일부분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과 함께 벤딩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보호하고, 벤딩 영역(BA)의 중립면을 제어한다.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신호라인들에 중립면이 가까워지도록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의 스트레스를 제어한다.
구동 모듈(EM)은 표시 모듈(DM)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모듈(EM)은 연성회로필름(FCB) 및 구동칩(DIC)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표시패널(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2)의 끝단에 본딩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이방성 도전 접착층을 통해 표시 모듈(DM)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칩(DIC)은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칩(DIC)은 표시패널(DP)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EM)은 연성회로필름(FCB) 상에 실장된 복수의 구동 소자(DE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소자(DEL)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구동칩(DIC)에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거나, 표시 모듈(DM)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벤딩 영역(BA)이 밴딩되면 연성회로필름(FCB)은 표시 모듈(DM)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모듈(LM)은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배치된다. 하부모듈(LM)은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모듈(LM)은 접착 필름을 통해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 필름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벤딩 영역(BA)이 밴딩되면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2) 및 연성회로필름(FCB)은 하부모듈(LM)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EDC)는 표시 장치(DD)를 수용한다. 외부케이스(EDC)는 윈도우(WM)와 결합되어 전자장치(ED)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EDC)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전자장치(ED)로 침투되는 이물질/수분 등을 방지하여 외부케이스(EDC)에 수용된 구성들을 보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로, 외부케이스(EDC)는 복수의 수납 부재들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제1 영역(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표시패널(DP)의 제1 영역(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은 도 2에서 설명한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에 각각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부분과 영역/부분이 대응한다"는 것은 중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는 의미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화소(PX)가 배치된 액티브 영역(AA) 및 액티브 영역(AA)과 인접한 주변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은 도 2에서 설명한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에 각각 대응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제1 영역(A1) 중 화소(PX)가 배치된 영역에 해당되고, 주변 영역(NAA)은 화소(PX)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1 영역(A1), 그리고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주변 영역(NAA)에 주사 구동부(SDV, scan driver), 발광 구동부(EDV, emission driver), 및 구동칩(DI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DIC)은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 CSL2), 전원 라인(PL), 및 복수 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영역(A1)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2)에 배치된 구동칩(DIC)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1 영역(A1)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화소들(PX)에 기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제1 영역(A1)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제1 영역(A1)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제2 영역(A2)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DIC), 전원 라인(PL),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표시패널(DP) 중 제2 영역(A2)의 끝단에 중첩하며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패드들(PD)과 대응되는 패드들을 포함하고, 이방성 도전 접착층을 통해 패드들(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제1 영역(A1)에 정의된 제1 컨택부(CN-H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컨택부(CN-H1)로부터 제1 영역(A1) 및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2)으로 연장된 연장 감지 라인들(TL-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제1 컨택부를 단일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각 연장 감지 라인들마다 접속되도록 제공된 복수의 컨택부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컨택부는 연장 감지 라인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컨택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 감지 라인들(TL-L)은 대응되는 컨택부를 통해 후술하는 감지 라인들(TL1, TL2, TL3) 중 대응되는 감지 라인들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데이터 라인들(DL1~DLn) 사이에 연장 감지 라인들(TL-L)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장 감지 라인들(TL-L) 사이에 데이터 라인들(DL1~DLn)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컨택부(CN-H1)는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사이에 두고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ISP)은 감지 전극들(TE1, TE2) 및 감지 라인들(TL1, TL2, TL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이 연속 공정에 의해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표시패널(DP)의 제1 영역(A1)과 중첩하는 영역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ISP)은 제1 감지 전극들(TE1) 및 제2 감지 전극들(TE2)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T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제1 감지 전극들(TE1)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다. 제1 감지 전극들(TE1) 각각은 제1 감지 패턴(SP1) 및 제1 연결 패턴(C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SP1)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제1 감지 패턴(SP1)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감지 패턴(SP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연결 패턴(CP1)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CP1)은 인접한 제1 감지 패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턴(CP1)은 제1 감지 패턴(SP1)과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어 컨택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들(TE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제2 감지 전극들(TE2)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다. 제2 감지 전극들(TE2) 각각은 제2 감지 패턴(SP2) 및 제2 연결 패턴(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SP2)은 제1 감지 패턴(SP1)으로부터이격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SP1)과 제2 감지 패턴(SP2)은 비 접촉하여 독립적인 전기적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SP2)은 제1 감지 패턴(SP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지 패턴(SP2)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감지 패턴(SP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연결 패턴(CP2)은 인접한 제2 감지 패턴(SP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감지 전극(TE2)을 제2 감지 패턴(SP2)과 제2 연결 패턴(CP2)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감지 전극(TE2)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감지 전극(TE2)은 제1 감지 패턴(SP1)과 동일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제1 감지 패턴(SP1) 및 제2 감지 전극(TE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메쉬 라인들로 제공될 수 있다.
감지 라인들(TL1, TL2, TL3)은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다. 감지 라인들(TL1, TL2, TL3)은 제1 감지 라인들(TL1), 제2 감지 라인들(TL2), 및 제3 감지 라인들(T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들(TL1)은 제1 감지 전극들(TE1)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감지 라인들(TL1)은 제1 감지 전극들(TE1)의 양단들 중 하측 단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2 감지 라인들(TL2)은 제1 감지 전극들(TE1)의 양단들 중 상측 단들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감지 전극들(TE1)은 제1 감지 라인들(TL1) 및 제2 감지 라인들(TL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감지 전극들(TE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진 제1 감지 전극들(TE1)에 대하여 영역에 따른 감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ISP)에 있어서 제2 감지 라인들(TL2)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감지 라인들(TL3)은 제2 감지 전극들(TE2)의 일 단 들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감지 라인들(TL3)은 제2 감지 전극들(TE2)의 양단들 중 좌측 단들에 각각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감지층(ISP)은 주변 영역(NAA)과 중첩하는 제2 컨택부(CN-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택부(CN-H2)는 표시패널(DP)의 제1 컨택부(CN-H1)와 중첩할 수 있다. 감지 라인들(TL1, TL2, TL3)은 입력 감지층(ISP)에 정의된 제2 컨택부(CN-H2) 및 표시패널(DP)에 정의된 제1 컨택부(CN-H1)를 통해 대응되는 연장 감지 라인들(TL-L)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전극들(TE1, TE2)은 연성회로필름(F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표시 모듈(DM)이 벤딩되지 않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a는 표시모듈(DM)의 벤딩 영역(BA)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7b는 도 7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상측부재(UM), 표시 모듈(DM), 하측 부재(LM), 및 구동회로(CB)를 포함한다. 상측부재(UM)는 표시 모듈(DM)의 상측에 배치된 구성을 통칭한다. 하측부재(LM)는 표시 모듈(DM)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을 통칭한다. 일례로, 상측부재(UM)는 윈도우, 상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측부재(LM)는 하부 보호필름, 지지층,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디지타이저, 전자기 차폐층, 금속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하측 부재(LM)은 도 3의 하부 모듈(도 3의 LM)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표시 모듈(DM)은 복수개의 층(L1, L2, L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층(L1, L2, L3)은 일예로, 순차적으로 전술한 표시 패널(도 2의 DP), 입력 감지층(도 2의 ISP), 광학필름(도 2의OTF), 윈도우(도 2의 WM)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복수개의 층(L1, L2, L3)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표시 모듈(DM)의 설계,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개의 층(L1, L2, L3)은 각각 단일층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각 복수의 층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복수개의 층(L1, L2, L3)을 표시 패널(DP)의 일부인 베이스 기판(L1), 입력 감지층(L2), 광학필름(L3)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층(L1, L2, L3)은 후술하는 실시예들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벤딩 영역(BA)은 베이스 기판(L1)의 전면이 오목해지거나, 베이스 기판(L1)의 배면이 오목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즉, 벤딩 영역(BA)은 표시 패널(DP)의 외부를 향해 볼록해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벤딩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이 제1 영역(A1) 아래에 배치되므로, 구동회로(CB)는 제2 영역(A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표시 패널(DP) 외부를 향해 볼록해지도록 휘어져, 표시 패널(DP)의 전면에서 바라보는 주변 영역(NAA)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BZA)이 감소되어 전자 장치의 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벤딩 보호층(BPL)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1 영역(A1)의 일부분, 및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2 영역(A2)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1 영역(A1)의 일부분으로부터, 벤딩 영역(BA), 및 벤딩 영역(BA)에 인접한 제2 영역(A2)의 부분으로 연속하여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설계 조건에 따라, 벤딩 보호층(BPL)은 제1 영역(A1)에서 입력 감지층(L2) 및 광학필름(L3)과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벤딩 보호층(BPL)은 제2 영역(A2)에서 구동회로(CB)와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벤딩 보호층(BPL)은 입력 감지층(L2) 및 광학필름(L3)과 밀착되며, 구동회로(CB)와 이격되게 표현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벤딩 보호층(BPL)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과 함께 벤딩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들을 커버하여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들을 보호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의 강성을 보완하여, 벤딩 영역(BA)이 휘어질 때, 벤딩 영역(BA)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을 보호할 수 있다.
구동회로(CB)는 표시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회로(CB)는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2 영역(A2)이 제1 영역(A1) 아래에 배치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회로(CB)는 제1 영역(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CB)는 전술한 연성회로필름(FCG) 또는 구동칩(DIC)일 수 있다.
플레이트는 베이스 기판(L1)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L1)은 폴리이미드(Polyimides)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소재로 국한되지 않는다. 일예로, 베이스 기판(L1)은 라미네이팅 방식을 통하여 플레이트 상에 도포 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플레이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이후 베이스 기판(L1)의 벤딩 영역(BA)에서의 벤딩으로 인해 가해지는 힘(일 예로 strain)을 완화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의 두께는 2mm 이상 5m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mm이하일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제1 영역(A1)과 중첩하며, 제2 플레이트(P2)는 제2 영역(A2)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의 두께 및 길이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는 베이스 기판(L1)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는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는 벤딩 영역(BA)과 비중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동일한 플레이트에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일부분이 제거되어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는 벤딩 영역(BA)과 비중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가 벤딩 영역(BA)에 배치되지 않아 벤딩 영역(BA)이 배치된 영역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벤딩 영역(BA)이 보다 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제1 지지면(SS1), 제1 대향면(SF1) 및 제1 연결면(S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SS1)은 베이스 기판(L1)을 지지하며, 제1 대향면(SF1)은 제1 지지면(SS1)과 대향하며, 제1 연결면(S1)은 제1 지지면(SS1)과 제1 대향면(SF1)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2)는 제2 지지면(SS2), 제2 대향면(SF2) 및 제2 연결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면(SS2)은 베이스 기판(L1)을 지지하며, 제2 대향면(SF2)은 제2 지지면(SS2)과 대향하며, 제2 연결면(S2)은 제2 지지면(SS2)과 제2 대향면(SF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벤딩 영역(BA)을 향하는 제1 면(S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2)는 벤딩 영역(BA)을 향하는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은 전술한 제1 연결면(S1)이며, 제2 면(S2)은 전술한 제2 연결면(S2)이다.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극은 베이스 기판(L1)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극(도 8b의 G12)은 베이스 기판(L1)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좁아질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간극은 제품의 설계수치에 따라, 벤딩 영역(BA)의 곡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면(S1)은 베이스 기판(L1)의 배면에서 벤딩 영역(BA)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제2 면(S2)은 베이스 기판(L2)의 배면에서 벤딩 영역(BA)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 면(S1)은 제1 영역(A1)과 중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 영역(BA)과 비중첩될 수 있다. 제2 면(S2)은 제2 영역(A2)과 중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벤딩 영역(BA)과 비중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면(S1) 및 제2 면(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베이스 기판(L1)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만을 커버하거나, 제2 플레이트(P2)만을 커버할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 각각을 커버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베이스 기판(L1)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베이스 기판(L1)의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 제2 플레이트(P2), 및 베이스 기판(L1)과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베이스 기판(L1)의 경계면 단부(BD1), 제2 플레이트(P2)와 베이스 기판(L1)의 경계면 단부(BD2)에서, 보강 부재(SM)는 빈 공간 없이 제1 플레이트(P1), 제2 플레이트(P2), 및 베이스 기판(L1)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영역(A1)과 중첩하는 보강 부재(SM1)의 제1 부분(SM1-1)은 베이스 기판(L1)과 접할 수 있으며, 제2 부분(SM1-2)은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면(S1)과 접할 수 있으며, 제3 부분(SM1-3)은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대향면(SF1)과 접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중첩하는 보강 부재(SM1)에 대하여서만 서술하였으나, 이는 제2 영역(A2)과 중첩하는 보강 부재(SM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SM)는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보강 부재(SM)는 폴리이미드(Polyimides) 필름일 수 있다.
보강 부재(SM)의 두께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강도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강도의 5%와 20% 사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강도가 70 GPA인 경우,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70 GPA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보강 부재(SM)는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A2)에 중첩할 수 있고, 벤딩 영역(BA)과는 비중첩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SM1)의 일측 끝단은 제1 경계선(BL1)과 실질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보강 부재(SM2)의 일측 끝단은 제2 경계선(BL2)와 실질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중첩한다는 것은 공정 상 오차로 인하여 보강 부재(SM)이 벤딩 영역(BA)와 일부 중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및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동일한 플레이트(PT)의 일부가 제거되어 구분된 구성일 수 있다. 일예로, 플레이트(PT)에서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일부분이 제거되어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거되는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절개부분(ICM)으로 정의하며, 이를 이용하여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PT)는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각각 플레이트(PT)의 일부분일 수 있다.
플레이트(PT)의 절개부분(ICM)을 제거하여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PT)의 절개부분(ICM)은 식각 과정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플레이트(PT)의 일부분은 레이저 등 다양한 제거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일예로,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글래스일 수도 있다. 플레이트의 글래스를 식각하기 위하여, 식각 용액(일예로 HF)를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트(PT)에서 제거되는 부분, 플레이트(PT)의 절개부분(ICM)은 제품의 설계수치, 벤딩 영역(BA)의 곡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플레이트(PT)에서 제거되는 부분, 플레이트(PT)의 절개부분(ICM)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모든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일부분일 수 있다. 절개부분(ICM)은 제품의 설계수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거 영역(TGA)에 대응할 수 있다.
절개부분(ICM)이 플레이트(PT)에서 제거되어,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면(S1)과 제2 플레이트의 제2 면(S2)은 소정 간극(G12)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PT)의 절개부분(ICM)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모든 부분일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일부분일 수 있다.
절개부분(ICM)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에 국한되지 않으며, 절개부분(ICM)은 제1 영역(A1)의 일부분과 제2 영역(A2)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거 과정을 통해 플레이트(PT)에서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부분과 함께, 제1 영역(A1)의 일부분과 제2 영역(A2)의 일부분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는 벤딩 영역(BA)과 소정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제1 영역(A1)과 벤딩 영역(BA)의 제1 경계선(BL1)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P2)는 제2 영역(A2)과 벤딩 영역(BA)의 제2 경계선(BL2)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면(S1)과 제1 경계선(BL1)은 벤딩축(BX)에 교차하는 방향, 즉 제2 방향(DR2)을 따라 소정 거리의 간극(G1)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의 제2 면(S2)과 제2 경계선(BL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소정 거리의 간극(G2)을 가진다.
제1 면(S1)은 베이스 기판(L1)의 배면에서 제1 경계선(BL1)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제2 면(S2)은 베이스 기판(L2)의 배면에서 제2 경계선(BL2)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서술한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면(S1)의 일부가 제1 경계선(BL1)과 일부 중첩되고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면(S2)의 일부가 제2 경계선(BL2)과 일부 중첩되는 경우보다 절개부분(ICM)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분(ICM)과 대응하는 절개 영역(ICA)은 제품의 설계수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거 영역(TGA)보다 더 큰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PT)에 대하여 식각 용액을 사용하여 플레이트(PT)의 일부분, 절개부분(ICM)을 제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절개부분(ICM)과 대응하는 절개 영역(ICA), 플레이트(PT)에서의 식각폭을 넓혀, 식각액의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PT)의 식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 생성을 억제하여, 위치별 식각 산포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식각 용액을 통해 제거되는 절개부분(ICM)에 대응하는 절개 영역(ICA)은 제품의 설계수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거 영역(TGA)보다 더 큰 영역일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를 보강 부재(SM)가 커버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와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도록 밀착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가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를 커버하여,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와 베이스 기판(L1) 사이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보강 부재(SM)는 고점착 능력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강 부재(SM)로 사용되는 소재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어느 한 소재로 국한되지 않는다.
보강 부재(SM)는 제1 영역(A1) 중 제1 경계선과 제1 면(S1) 사이의 일부 영역과, 제2 영역(A2)과 제2 경계선 사이의 일부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SM)는 베이스 기판(L1)과 접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베이스 기판(L1)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도록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와 베이스 기판(L1)의 경계면 단부(BD1), 제2 플레이트(P2)와 베이스 기판(L1)의 경계면 단부(BD2)에서 보강 부재(SM)가 제1 플레이트(P1)와 베이스 기판(L1) 또는 제2 플레이트(P2)와 베이스 기판(L1)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지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보강 부재(SM)와 제1 플레이트(P1), 제2 플레이트(P2), 및 베이스 기판(L1)이 밀착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는 지그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가 베이스 기판(L1)과 접하며, 제1 플레이트(P1) 또는 제2 플레이트(P2)와 함께 베이스 기판(L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와 함께, 베이스 기판(L1)에 가해지는 힘(일예로 strain)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고강도 능력을 가진 소재로 구비되어, 베이스 기판(L1)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강도의 5%와 20% 사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실제로,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모듈러스가 70 GPA인 경우, 보강 부재(SM)의 강도는 70 GPA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SM)는 고점착 능력을 가진 소재로 구비되어, 베이스 기판(L1)과의 사이에서 점착력 저하로 인한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보강 부재(SM)는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부재(SM)는 제1 플레이트(P1), 제2 플레이트(P2), 또는 베이스 기판(L1)에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강 부재(SM)는 벤딩 영역(BA)과 비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보강 부재(SM)의 일부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SMa)가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8과 동일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 부재(SMa)는 제1 플레이트(P1) 및 제2 플레이트(P2) 두께보다 작게 구비되며, 제 1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P2)의 강도보다 작은 강도를 가져, 벤딩으로 인해 베이스 기판(L1)의 벤딩 영역(BA)에 과도한 힘(stress)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SMb, SMc)가 필름 형태가 아닌 두꺼운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설명함에 있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8 및 도 9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 부재(SMb, SM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라미네티이팅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전술한 보강 부재(SM, SMa)와 달리 베이스 기판(L1)에 얇게 도포되는 방식이 아니라, 그보다 더 두껍게 도포될 수 도 있다. 즉, 보강 부재(SMb, SMc)는 전술한 필름 형태의 보강 부재(SM, Sma)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SMb)는 도 10에서와 같이 벤딩 영역(BA)과 비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보강 부재(SMc)는 도 11과 같이 벤딩 영역(BA)과 중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폴더블 구조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설명함에 있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F_D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DMa), 표시 모듈(DMa) 상에 배치된 상부 모듈, 표시 모듈(DMa)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a)은 표시 장치(F_DD)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특히 표시 모듈(DMa)에 의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a)은 표시 패널(DP) 및 입력감지층(IS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폴딩축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부 모듈은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WM)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듈은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 광학 필름(OT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모듈(FLM)은 표시 모듈(DMa)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FSP) 및 지지 플레이트(FSP)와 커버지지 플레이트(CSM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지지 플레이트(CSMa)는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에 대응하는 개수의 커버지지 플레이트(CSM1, CSM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커버지지 플레이트(CSMa)는 제1 커버지지 플레이트(CSM1)및 제1 커버지지 플레이트(CSM1)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커버지지 플레이트(CS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CSM1, CSM2)는 각각 제1 및 제2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지지 플레이트(CSM1)는 표시 모듈(DM)의 제1비폴딩 영역(NFA1)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2 커버지지 플레이트(CSM2)는 표시 모듈(DM)의 제2비폴딩 영역(NFA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FSP)는 표시 패널(DP)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FSP)는 표시 패널(DP)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 플레이트(FSP)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표시 패널(DP)로 침투되는 이물질/수분 등을 차단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FSP)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벤딩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BP)에는 복수의 패턴들(OP)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패턴들(OP)은 벤딩부(BP) 내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패턴들(OP)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턴들(OP) 각각은 하부 플레이트(PP)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 패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패턴들(OP) 각각은 하부 플레이트(PP)의 일면(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그루브(groove) 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패턴들(OP) 각각은 폴딩 영역(FA)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패턴들(O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패턴들(OP) 각각은 마름모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벤딩부(BP)에 복수의 패턴(OP)들이 제공되어 벤딩부(BP)의 유연성이 증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FSP)는 표시 모듈(DMa)을 지지하면서, 표시 장치(F_DD)의 폴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L1: 베이스 기판
P1: 제1 플레이트 P2: 제2 플레이트
SM: 보강부재

Claims (20)

  1.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
    상기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지지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지지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를 더 커버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을 커버하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표시 패널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1 접면과 상기 제1 접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접면과 상기 제1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제2 접면과 상기 제2 접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접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 및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를 더 커버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기 벤딩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보다 작게 구비되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강도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강도의 5% 이상 20% 이하인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벤딩 영역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를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표시 패널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경계선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표시 장치.
KR1020220159125A 2022-11-24 2022-11-24 표시 장치 KR20240077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125A KR20240077622A (ko) 2022-11-24 2022-11-24 표시 장치
US18/232,972 US20240176393A1 (en) 2022-11-24 2023-08-11 Display device
CN202311573343.2A CN118076149A (zh) 2022-11-24 2023-11-2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125A KR20240077622A (ko) 2022-11-24 2022-11-2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622A true KR20240077622A (ko) 2024-06-03

Family

ID=9110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125A KR20240077622A (ko) 2022-11-24 2022-11-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76393A1 (ko)
KR (1) KR20240077622A (ko)
CN (1) CN11807614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76149A (zh) 2024-05-24
US20240176393A1 (en)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14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2983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938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126616B2 (en) Electronic device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CN111462642A (zh) 显示装置
KR20220019188A (ko) 표시 장치
CN115454270A (zh) 显示装置以及包括其的触摸输入系统
KR20190092651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2927B1 (ko) 표시 장치
KR20230064069A (ko) 표시 장치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088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24608A (ko) 표시 장치
US20230161436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blocking part covering sensing wirings
US201401685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077622A (ko) 표시 장치
KR20220065145A (ko) 표시장치
KR20230039889A (ko) 표시장치
KR10266846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637A (ko) 표시 장치
CN219738434U (zh) 显示模块
US20230300981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74321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