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83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834A
KR20220063834A KR1020200149256A KR20200149256A KR20220063834A KR 20220063834 A KR20220063834 A KR 20220063834A KR 1020200149256 A KR1020200149256 A KR 1020200149256A KR 20200149256 A KR20200149256 A KR 20200149256A KR 20220063834 A KR20220063834 A KR 2022006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upper support
stretchable
block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기
구다솜
김윤재
신재구
전용찬
황현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834A/ko
Priority to US17/447,047 priority patent/US11943878B2/en
Priority to CN202111247099.1A priority patent/CN114464087A/zh
Publication of KR2022006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Abstract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걸쳐 배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신축부, 상기 차단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신축부, 상기 제1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들은 벤딩 스트레스의 완화 등을 위해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의 내부로 이물이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걸쳐 배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신축부, 상기 차단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신축부, 상기 제1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변형률은 상기 차단부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는 표시 패널의 폴딩 시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부,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적어도 하나는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하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신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 차단 부재는 평면상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함입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고정부보다 크고, 상기 제2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2 고정부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고정부보다 작고, 상기 제2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2 고정부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각각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걸쳐 배치되는 제1 비패턴 영역,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패턴 영역,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패턴 영역,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연결되는 제2 비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에 연결되는 제3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변형률은 상기 제1 비패턴 영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비패턴 영역 및 상기 제3 비패턴 영역은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보다 큰 변형률을 가지는 제1 신축부 및 상기 차단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보다 큰 변형률을 가지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신축부 및 제2 신축부의 패턴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폴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예를 들면, 제1 방향(X)은 길이 방향(length direction)이고, 제2 방향(Y)은 너비 방향(width direction)이며, 제3 방향(Z)은 두께 방향(thickness direction)일 수 있다.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2 이상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향(Z)은 도면 상의 상측을 향하는 상측 방향, 도면의 하측을 향하는 하측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방향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의 일면은 상면, 하측 방향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의 타면은 하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향들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부(DPA)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양 장변들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양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부의 4변 둘레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더블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드 또는 언폴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는 일부가 다른 일부에 겹쳐지거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거나, 전체가 편평하게 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약 0˚ 초과 180˚ 미만으로 폴드되거나, 약 180˚의 경사를 이루도록 언폴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인폴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 폴딩은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에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1)는 아웃폴딩 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웃 폴딩은 폴딩 시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표시 영역(DA)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의 일부가 상기 반대면의 다른 일부에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장치일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가 구부러진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부러진 상태이고, 언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일부와 다른 일부 사이의 각도가 약 0˚ 이상 180˚ 미만 및/또는 약 180˚ 초과 360˚ 미만인 상태이고, 언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의 일부와 다른 일부 사이의 각도가 약 180˚ 인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부와 다른 일부는 각각 후술하는 비폴딩 영역(NFA1, NFA2)들일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표시 장치(1)가 인폴딩된 인폴딩 상태 및 표시 장치(1)가 아웃폴딩된 아웃폴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부재들 역시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또는 폴딩 영역(F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가 폴드됨에 따라 폴드 또는 벤드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폴드 또는 벤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되고,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에 하나의 폴딩 영역(FA) 및 2개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이 정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DP),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상기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적층되는 하부 적층 구조물(L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의 상면은 화상 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고, 상기 표시 패널(DP)의 하면은 상기 상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US) 및 하부 적층 구조물(LS)을 구성하는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에 의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발생하는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폴딩 시 요구되는 토크량이 감소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그 예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 상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표시 패널(DP) 내부에 터치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부재가 표시 패널(DP) 내부에 마련되어 표시 패널(DP)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의 회로 구동층(DRL), 회로 구동층(DRL) 상의 발광층(EML), 발광층(EML) 상의 봉지층(ENL), 및 봉지층(ENL) 상의 터치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휘어지거나, 절곡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회로 구동층(DRL)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화소의 발광층(EML)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 상부에는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 구동층(DRL)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부에는 봉지층(ENL)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NL)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NL) 상부에는 터치층(TSL)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TSL)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층(TSL)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적층 구조물(US)은 표시 패널(DP)로부터 상방으로 순차 적층된 편광 부재(POL), 커버 윈도우(CW) 및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표시 패널(DP)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킬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편광 필름일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복수의 컬러 필터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편광 부재(POL)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CW)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CW)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윈도우 부재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은,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 적층 구조물(US)은 인접 적층된 각 부재들을 결합하는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부 결합 부재(UCM1, UCM2, UCM3)는 광학 투명 접착제, 광학 투명 레진 및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 보호층(CWP)과 커버 윈도우(CW) 사이에는 제1 상부 결합 부재(UCM1)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고, 커버 윈도우(CW)와 편광 부재(POL) 사이에는 제2 상부 결합 부재(UCM2)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며, 편광 부재(POL)와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제3 상부 결합 부재(UCM3)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표시 패널(DP)로부터 하방으로 순차 적층된 고분자 필름층(PF), 커버 패널(CPNL), 기능층(FL) 및 지지 부재(SM)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패널(CPNL)은 고분자 필름층(PF)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 패널(CPNL)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층은 각각 강성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패널(CPNL)은 표시 패널(DP)을 지지하는 기능, 표시 패널(DP)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 및 표시 패널(DP)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커버 패널(CPNL)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FL)은, 예를 들면, 디지타이저,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및 방열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능층(FL)은 커버 패널(CPNL)에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층(FL)은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능층(FL)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일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커버 패널(CPNL)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SM)는 기능층(FL)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지지 부재(SM)의 상면 상에 적층된 부재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표시 장치(1)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SM)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일체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부재(SM)는 복수의 층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일부가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커버 패널(CPNL) 또는 기능층(FL)과 같은 표시 패널(DP)의 하면상에 배치되는 부재들이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폴딩 영역(FA)에 틈이 형성되고, 상기 틈을 통해 이물이 침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물의 침투는 후술하는 지지 부재(SM)의 이물 차단 부재(MF)(도 5의 ‘MF’ 참조)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하부 적층 구조물(LS)은 인접 적층된 각 부재들을 결합하는 하부 결합 부재(LCM1, LCM2, LCM3, LCM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과 고분자 필름층(PF) 사이에는 제1 하부 결합 부재(LCM1)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고, 고분자 필름층(PF)과 커버 패널(CPNL) 사이에는 제2 하부 결합 부재(LCM2)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며, 커버 패널(CPNL)과 기능층(FL) 사이에는 제3 하부 결합 부재(LCM3)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고, 기능층(FL)과 지지 부재(SM) 사이에는 제4 하부 결합 부재(LCM4)가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지지 부재(SM)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상부 지지 부재(MPLT1)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SM)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하부 지지 부재(MPLT2) 및 이물 차단 부재(MF)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하부 지지 부재(MPLT2)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커버 패널(CPNL)의 하면 또는 기능층(FL)의 하면 상에 제4 하부 결합 부재(LCM4)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FL)은 디지타이저 또는 전자파 차폐층일 수 있다.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고,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 부재(MPLT2)는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는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고,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각각 판상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평면상에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역시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지지 부재(SM)의 각 가장자리들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경계에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내에 배치되거나, 폴딩 영역(FA)에 일부가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는 평면상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져 상호 완전히 중첩되고,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평면상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져 상호 완전히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와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각각 메탈 플레이트 또는 금속막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적층되는 다른 부재들, 예를 들면, 고분자 필름층(PF), 커버 패널(CPNL) 및 기능층(FL)과 다른 별개의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예를 들면,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고분자 필름층(PF), 커버 패널(CPNL) 및 기능층(FL) 등과 같은 표시 패널(DP)과 이물 차단 부재(MF) 사이에 적층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는 제1 방향(X)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에는 각각 제2 방향(Y)으로 긴 슬릿 형상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들은 폴딩 영역(F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들과 폴딩 영역(FA)은 적어도 일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사이의 틈의 너비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의 너비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틈의 너비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의 너비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사이의 틈의 너비는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지지 부재(MPLT1)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어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지지 부재(MPLT2)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어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들에는 강성 완화를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 부재(MPLT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지지 부재(MPLT2)의 두께는 상부 지지 부재(MPLT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물 차단 부재(MF)는 상부 지지 부재(MPLT1)와 하부 지지 부재(M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폴리에틸렌, 폴리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고, 약 50um 내지 80um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필름 타입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는 후술하는 패턴의 배치 유무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부(MF_BP),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각각 제1 비패턴 영역, 제2 비패턴 영역 및 제3 비패턴 영역이고,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각각 제1 패턴 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일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부(MF_BP)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폴딩 영역(FA)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MF_BP)의 양측은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부,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위치하는 차단부(MF_BP)의 일측은 제1 신축부(MF_PP1)에 연결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위치하는 차단부(MF_BP)의 타측은 제2 신축부(MF_PP2)에 연결될 수 있다.
차단부(MF_BP)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틈 및/또는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틈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제1 방향(X)의 간격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사이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의 일부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의 일부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틈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의 틈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의 틈을 커버할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표시 장치(1)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상기 틈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1) 내부로 침투하는 이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차단부(MF_BP)의 적어도 일부는 대략적인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신축부(MF_PP1)는 차단부(MF_BP)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신축부(MF_PP2)는 차단부(MF_BP)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차단부(MF_BP)의 일측은 차단부(MF_BP)의 좌측이고, 상기 차단부(MF_BP)의 타측은 차단부(MF_BP)의 우측일 수 있다.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신축부(MF_PP1)의 일부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일부는 각각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신축부(MF_PP1)는 차단부(MF_BP)와 제1 고정부(MF_FP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신축부(MF_PP2)는 차단부(MF_BP)와 제2 고정부(MF_F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신축부(MF_PP1)는 차단부(MF_BP)와 제1 고정부(MF_FP1)를 연결하고, 제2 신축부(MF_PP2)는 차단부(MF_BP)와 제2 고정부(MF_FP2)를 연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신축부(MF_PP1)의 일측은 차단부(MF_BP)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신축부(MF_PP1)의 타측은 제1 고정부(MF_FP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축부(MF_PP2)의 일측은 차단부(MF_BP)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1 신축부(MF_PP1)의 타측은 제2 고정부(MF_FP2)에 연결될 수 있다.
도2,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에는 이들에게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변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차단부(MF_BP),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보다 큰 변형률을 가져, 표시 장치(1)의 폴딩 및 언폴딩 시, 두께 방향과 교차 및/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 및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예를 들면, 복수의 개구부(도 9의 ‘OP’ 참고)를 포함하는 메쉬 패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고정부(MF_FP1)는 차단부(MF_BP)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고정부(MF_FP2)는 차단부(MF_BP)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차단부(MF_BP)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차단부(MF_BP)의 일측은 차단부(MF_BP)의 좌측이고, 상기 차단부(MF_BP)의 타측은 차단부(MF_BP)의 우측일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보다 차단부(MF_BP)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보다 지지 부재(SM)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부착되어, 표시 장치(1)의 언폴딩 및 폴딩 시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대하여 고정되지 않아, 표시 장치(1)의 언폴딩 및 폴딩 시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평면상에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평면상에서 차단부(MF_BP),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MF_BP)는 평면상에서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 각각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 각각의 제2 방향(Y)의 너비는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세하게는,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차단부(MF_BP),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보다 클 수 있다. 차단부(MF_BP)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MF_BP)가 제1 상부 부재 및 제2 상부 부재 사이(제1 하부 부재 및 제2 하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틈들을 충분히 커버하되,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단위 면적(또는 단위 길이)당 변형량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요구되는 토크량도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원활한 폴딩 및 언폴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 상호간의 크기 관계 및/또는 면적 관계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물 차단 부재(MF)는 함입부(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 차단 부재(MF)의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양 변에는 각각 함입부(RS)가 배치될 수 있다. 함입부(RS)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부,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함입부(RS)는 상부 지지 부재(MPLT1)와 하부 지지 부재(MPL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함입부(RS)는 평면상에서 이물 차단 부재(MF)의 가장자리로부터 이물 차단 부재(MF)의 내측을 향해 함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제2 방향(Y)의 너비는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보다 크고,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2 방향(Y)의 너비는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함입부(RS)는 후술하는 결합 부재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함입부(RS)는 평면상에서 ‘L’자 형상의 코너들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SM)는 상부 지지 부재(MPLT1)와 하부 지지 부재(MPLT2)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2 결합 부재(CM2)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사이를 통해 침투하는 이물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평면상에서 각각 제1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제1 신축부(MF_PP1)의 양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제1 신축부(MF_PP1)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는 제1 신축부(MF_PP1)와 제2 방향(Y)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3 결합 부재(CM3)의 폴딩 영역(FA)에 인접한 각 일측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는 차단부(MF_BP)의 일부와 제2 방향(Y)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사이를 통해 침투하는 이물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평면상에서 각각 제1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제2 신축부(MF_PP2)의 양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제2 신축부(MF_PP2)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제1 신축부(MF_PP1)와 제2 방향(Y)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CM2) 및 제4 결합 부재(CM4)의 폴딩 영역(FA)에 인접한 각 일측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는 차단부(MF_BP)의 일부와 제2 방향(Y)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또는 제4 결합 부재(CM4)는 각각 상부 지지 부재(MPLT1)와 하부 지지 부재(MPLT2)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함입부(R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결합 부재(CM1) 및 제2 결합 부재(CM2)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일측에 제공되는 함입부(R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타측에 제공되는 함입부(R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물 차단 부재(MF)의 일측 및 타측 각각 도 11의 하측 가장자리 및 상측 가장자리일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이물 차단 부재(MF)와 상부 지지 부재(MPLT1)를 결합하는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 및 이물 차단 부재(MF)와 하부 지지 부재(MPLT2)를 결합하는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는 각각 평면상에서 제2 방향(Y)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 역시 각각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는 각각 평면상에서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의 제5 결합 부재(CM5)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면적은 제5 결합 부재(CM5)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MF_FP2) 중 제6 결합 부재(CM6)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면적은 제6 결합 부재(CM6)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는 각각 평면상에서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약 80%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 역시 각각 평면상에서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이물 차단 부재(MF)와 상부 지지 부재(MPLT1) 사이 및 이물 차단 부재(MF)와 하부 지지 부재(MPLT2)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7 결합 부재(CM7)는 각각 제1 고정부(MF_FP1)의 상면 및 제1 고정부(MF_FP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는 제1 고정부(MF_FP1)와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사이에 개재되고, 제7 결합 부재(CM7)는 제1 고정부(MF_FP1)와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7 결합 부재(CM7)는 제1 고정부(MF_FP1)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6 결합 부재(CM6) 및 제8 결합 부재(CM8)는 각각 제2 고정부(MF_FP2)의 상면 및 제2 고정부(MF_FP2)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결합 부재(CM6)는 제2 고정부(MF_FP2)와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사이에 개재되고, 제8 결합 부재(CM8)는 제2 고정부(MF_FP2)와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6 결합 부재(CM6) 및 제8 결합 부재(CM8)는 제2 고정부(MF_FP2)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의 두께는 이물 차단 부재(MF)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의 두께는 약 8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또는 제8 결합 부재(CM8)는 각각 이물 차단 부재(MF)와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이물 차단 부재(MF)와 하부 지지 부재(MPLT2)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의 결합력(또는 접착력)은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의 결합력(또는 접착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에 적용되는 접착 부재의 접착력은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에 적용되는 접착 부재의 접착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인가되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변형 및/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제2 하부 부재는 생략되고, 이들과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 및/또는 이물 차단 부재(MF)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제4 결합 부재(CM4),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 역시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 차단 부재(MF)의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MPLT1_2)에만 고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는 각각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에,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않아, 지지 부재(SM)의 폴딩 시 가변되는 부재들 간의 간격 보상을 위해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크기 및/또는 길이 등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차단부(MF_BP)의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감소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언폴딩 시,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차단부(MF_BP)의 상부 지지 부재(MPLT1) 및 하부 지지 부재(MPLT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MF_BP),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는 제1 상부 지지 부재(MPLT1_1) 및/또는 제2 상부 하부 지지(제1 하부 지지 부재(MPLT2_1) 및/또는 제2 하부 지지 부재(MPLT2_2))에 대하여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차단부(MF_BP),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도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와 유사하게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으나, 이들의 변형량은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신축부 및 제2 신축부의 패턴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에는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형상을 가변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OP)에 의해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에 메쉬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의 형상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OP)는 평면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일측 방향은 제2 방향(Y)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OP)는 평면상에서 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OP)는 평면상에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부(OP)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개구부(OP)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폴딩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물 차단 부재(MF)의 제1 신축부(MF_PP1), 제2 신축부(MF_PP2),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너비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차단부(MF_BP)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크되,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가 평면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 상에 배치뒤는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가 배치되는 면적도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결합 부재(CM5) 및 제6 결합 부재(CM6)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의 제1 방향(X)의 너비 역시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 부재(CM1), 제2 결합 부재(CM2), 제3 결합 부재(CM3) 및 제4 결합 부재(CM4)의 제1 방향(X)의 너비는 각각 제1 신축부(MF_PP1) 및 제2 신축부(MF_P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크되, 제1 고정부(MF_FP1) 및 제2 고정부(MF_FP2)의 제1 방향(X)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제5 결합 부재(CM5), 제6 결합 부재(CM6), 제7 결합 부재(CM7) 및 제8 결합 부재(CM8)가 배치되는 면적 및/또는 크기가 증가함 따라, 이물 차단 부재(MF)와 상부 지지 부재(MPLT1) 사이 및 이물 차단 부재(MF)와 하부 지지 부재(MPLT2)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반복적인 폴딩 시 발생하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이탈, 변형 및/또는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의 실시예는 이물 차단 부재(MF)의 구성 외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SM: 지지 부재
MPLT1: 상부 지지 부재
MPLT2: 하부 지지 부재
MF: 이물 차단 부재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걸쳐 배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신축부, 상기 차단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신축부, 상기 제1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변형률은 상기 차단부보다 큰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는 표시 패널의 폴딩 시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 상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부착되지 않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2 신축부의 적어도 하나는 표시 패널의 폴딩 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하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신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차단 부재는 평면상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함입부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고정부보다 크고, 상기 제2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2 고정부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고정부보다 작고, 상기 제2 신축부의 면적은 상기 제2 고정부보다 작은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각각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지지 부재에 걸쳐 배치되는 제1 비패턴 영역,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일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패턴 영역,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패턴 영역,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연결되는 제2 비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에 연결되는 제3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패턴 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변형률은 상기 제1 비패턴 영역보다 큰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패턴 영역 및 상기 제3 비패턴 영역은 각각 제1 상부 지지 부재 및 제2 상부 지지 부재 상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20.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보다 큰 변형률을 가지는 제1 신축부 및 상기 차단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보다 큰 변형률을 가지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이물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49256A 2020-11-10 2020-11-10 표시 장치 KR20220063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56A KR20220063834A (ko) 2020-11-10 2020-11-10 표시 장치
US17/447,047 US11943878B2 (en) 2020-11-10 2021-09-07 Display device
CN202111247099.1A CN114464087A (zh) 2020-11-10 2021-10-26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56A KR20220063834A (ko) 2020-11-10 2020-11-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34A true KR20220063834A (ko) 2022-05-18

Family

ID=8140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256A KR20220063834A (ko) 2020-11-10 2020-11-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3878B2 (ko)
KR (1) KR20220063834A (ko)
CN (1) CN1144640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32A1 (ko) 2022-05-25 2023-11-30 (주)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34A (ko) * 2021-05-31 2022-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031B1 (ko) 2013-07-22 2020-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139848A (ko) * 2013-08-30 2020-1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2288238B1 (ko) * 2013-09-03 2021-08-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US10539978B2 (en) * 2015-09-08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2609510B1 (ko) * 2016-11-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12041B1 (ko) * 2016-12-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3053250B (zh) * 2017-12-28 2022-10-04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器
KR102546713B1 (ko) * 2018-04-26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68821B1 (ko) 2019-01-22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795415B2 (en) 2019-01-30 2020-10-06 Motorola Mobility Llc Foldable display with stiff support
KR20210056484A (ko) *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32A1 (ko) 2022-05-25 2023-11-30 (주)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3878B2 (en) 2024-03-26
CN114464087A (zh) 2022-05-10
US20220151085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22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812566B2 (en) Metal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159313A (ja) 表示装置
EP3671703B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KR20210126175A (ko) 표시 장치
JP2023553849A (ja) 表示装置
US11940846B2 (en) Display device
EP3876079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943878B2 (en) Display device
KR2021009725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886243B2 (en) Display device
KR20220001528A (ko) 표시 장치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US20230244276A1 (en) Display panel suppor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1287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46050A (ko) 윈도우 부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