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258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258A
KR20210097258A KR1020200010460A KR20200010460A KR20210097258A KR 20210097258 A KR20210097258 A KR 20210097258A KR 1020200010460 A KR1020200010460 A KR 1020200010460A KR 20200010460 A KR20200010460 A KR 20200010460A KR 20210097258 A KR20210097258 A KR 20210097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isposed
barrier sheet
fold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용권
박인수
심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258A/ko
Priority to US17/103,732 priority patent/US11417848B2/en
Priority to CN202110116424.4A priority patent/CN113192417A/zh
Publication of KR2021009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폴더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과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 치로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분리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라인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폴딩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폴딩축과 인접한 모서리(corner)에 상기 폴딩축을 향해 형성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전계 발광(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소자 또는 양자점 발광(quantum dot electroluminescence device; QD-EL)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의 외장 또는 내장을 이루는 부재들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갭을 통해 이물이 표시 패널 하부로 유입되는 경우, 표시 패널이 울거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재들 사이의 간격(gap)을 감소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과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분리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라인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폴딩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폴딩축과 인접한 모서리(corner)에 상기 폴딩축을 향해 형성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벤딩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홈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사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중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중첩부를 두께 방향으로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개방된 일측이 폴더블 표시 장치의 중심 방향 또는 커버부와 중첩부 사이를 향하는 U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커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두께 방향을 따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 상기 중첩부 및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각도가 가변함에 따라 폴드 또는 언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들에 부착되고, 상기 중첩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중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기 중첩부와 상기 연성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첩부의 상면과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하면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기 배리어 시트의 배면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각도를 가변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을 배면 방향에서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상기 힌지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의 각 배면들 사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배리어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corner)에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에 제2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벤딩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홈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수납된다.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각도를 가변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을 배면 방향에서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gap)을 통한 이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1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를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언폴딩 상태에서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폴딩 상태에서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언폴딩 상태에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폴딩 상태에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언폴딩 상태에서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밴딩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폴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사시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블 표시 장치(1)의 가로 방향이 제1 방향(DR1)으로, 세로 방향이 제2 방향(DR2)으로, 두께 방향이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상측을 향하는 제3 방향(DR3)을 전면 방향이라하고, 상기 전면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배면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면하는 면을 전면이라고 하고, 상기 전면의 반대면을 배면이라 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더블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노트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배면,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블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표시면(DS)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나란한 전면이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폴더블 표시 장치(1)는 복수의 표시면(DS)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표시면(DS)은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전면, 배면 또는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 사이에 연장되는 측면 중 2 이상의 면에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면(DS)이 상기 일면에만 정의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1)의 테두리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DS)은 후술하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폴드 또는 언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접힘(folded)'은 '굽힘(bent)'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일부가 다른 일부에 겹쳐지거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부러지거나, 전체가 편평하게 펴질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전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드 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전면의 일부는 전면의 다른 일부와 평각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폴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폴더블 표시 장치(1)는 배면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드될 수도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표시면(DS)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마주보도록 폴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전면에 정의된 하나의 표시면(DS)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마주보도록 폴드될 수 있다. 또는,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폴더블 포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면(DS)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드될 수도 있다. 다른 말로,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인폴드될 수 있다. 이하에서 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가 인폴드된 상태를 말한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가 구부러진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구부러진 상태이고, 언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일부와 다른 일부 사이의 각도가 약 0˚ 이상 180˚ 미만 및/또는 약 180˚ 초과 360˚ 미만인 상태이고, 언폴딩 상태는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일부와 다른 일부 사이의 각도가 약 180˚ 인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부와 다른 일부는 각각 후술하는 비폴딩 영역들일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1, NFA2)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폴더블 표시 장치(1)가 폴드됨에 따라 폴드되는 영역이다. 다른 말로, 폴딩 영역(FA)는 폴더블 표시 장치(1)가 폴드됨에 따라 구부러지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폴드 또는 벤드되지 않는 영역이다. 다른 말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폴더블 표시 장치(1)의 폴딩과 관계없이 평평한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1)에 하나의 폴딩 영역(FA)이 정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블 표시 장치(1)에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드 또는 언폴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더블 표시 장치(1)는 제2 방향(DR2)으로 배치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드 또는 언폴드 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RX1, RX2)을 포함한다. 폴딩축(FX)은 서로 인접하는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폴더블 표시 장치(1)는 2 개의 곡률 중심을 가지도록 폴드 또는 언폴드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축(RX2)들은 폴딩 영역(F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및 폴딩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8에서 표시 모듈(10) 및 폴딩 부재(2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도 1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10) 및 폴딩 부재(20)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10)은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표시 모듈(10)은 가요성을 가진다. 표시 모듈(10)은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폴딩 영역(FA)을 중심으로 폴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에서 표시 모듈(10)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폴딩 부재(20)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10)을 지지한다. 폴딩 부재(20)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폴드됨에 따라 표시 모듈(10)과 함께 폴드된다. 즉,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모듈(10)은 폴딩 부재(20)에 의해 폴드될 수 있다.
폴딩 부재(20)는 지지 부재(210), 배리어 시트(250), 접착 부재(230), 연결부(270) 및 배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0)는 표시 모듈(10)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10)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210)는 표시 모듈(10)을 지지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210)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은 등을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지지 부재(210)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일 수 있다. 지지 부재(210)는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 부재(213)는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21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고, 제2 지지 부재(213)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일부가 폴딩 영역(FA)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는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시트(250)는 지지 부재(210)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다. 배리어 시트(250)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간격을 커버한다. 배리어 시트(250)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길이가 가변 가능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리어 시트(250)는 탄성을 가지고 가공이 용이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s; T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배리어 시트(250)는 메쉬 구조를 가지는 탄성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에서 배리어 시트(250)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접착 부재(230)는 지지 부재(210)와 배리어 시트(25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210)와 배리어 시트(250)를 부착한다. 접착 부재(230)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적층된 점착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면 테이프와 같이 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230)는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결정성 중합체 또는 고무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에서 접착 부재(230)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연결부(270)는 배리어 시트(250)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다. 연결부(270)는 폴딩축(FX) 상에 배치되어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폴딩축(FX)에 인접한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일측을 연결한다.
연결부(270)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271) 및 상기 힌지 구조물(271)을 배면 방향에서 커버하는 힌지 커버(27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구조물(271)은 다축 힌지 구조물일 수 있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힌지 구조물(271)은 복수의 브라켓과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11)에 결합된 브라켓과 제2 지지 부재(213)에 결합된 브라켓이 상기 복수의 기어에 의해 각각 제1 회전축(RX1) 및 제2 회전축(RX2)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다만, 연결부(270)의 구조나 개수는 상기 힌지 구조물(271)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부(270)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를 연결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를 폴드 또는 언폴드 가능한 일체의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배면 커버(290)는 지지 부재(210)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다. 배면 커버(290)는 제1 배면 커버(290) 및 제2 배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290)는 제1 지지 부재(211)의 배면에서 제1 지지 부재(21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290)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커버(273)의 일부(예: 힌지 커버(273)의 배면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290)는 모서리들이 라운딩될 수 있다. 제1 배면 커버(290)는 내부가 빈 형태이거나 또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체결되면서 제1 지지 부재(211)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면 커버(290)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어지는 세 개의 측벽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각형의 일 변은 측벽이 없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에서 표시 모듈(10)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모듈(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11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잠조하면, 표시 모듈(10)은 표시 패널(110), 전방 적층 구조물(120) 및 후방 적층 구조물(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적층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거된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10)은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110)과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110) 상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표시 패널(110) 내부에 터치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부재가 표시 패널(110) 내부에 마련되어 표시 패널(11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잠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기판(SUB), 기판(SUB) 상의 회로 구동층(DRL), 회로 구동층(DRL) 상의 발광층(EML), 발광층(EML) 상의 봉지층(ENL), 및 봉지층(ENL) 상의 터치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10)은 휘어지거나, 절곡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은 배리어층을 사이에 두고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복수의 서브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회로 구동층(DRL)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화소의 발광층(EML)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 상에는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 구동층(DRL)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는 봉지층(ENL)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NL)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NL) 상에는 터치층(TSL)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TSL)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층(TSL)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잠조하면, 표시 패널(110)의 전면 방향에는 전방 적층 구조물(120)이 배치된다. 전방 적층 구조물(120)은 표시 패널(110)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순차 적층된 편광 부재(125), 커버 윈도우(123) 및 커버 윈도우 보호층(121)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125)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편광 부재(125)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125)는 편광 필름일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편광층 및 편광층을 상하부에서 샌드위치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은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은 일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편광층의 연신 방향은 흡수축이 되고, 그에 수직한 방향은 투과축이 될 수 있다. 보호 기재는 편광층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호 기재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 부재(125)의 전면 방향에는 커버 윈도우(123)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는 표시 패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윈도우(123)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리는 초박막(Ultra Thin Glass; UTG) 내지 박막 유리일 수 있다. 유리가 초박막 또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져 휘어지거나, 벤딩, 폴딩, 롤링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리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80㎛ 두께 또는 약 50㎛ 두께의 유리가 적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의 유리는 소다 라임 유리, 알칼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리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의 유리는 강한 강도를 갖기 위해 화학적 강화 또는 열적 강화된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적 강화는 알칼리 염 내에서 이온교환처리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교환처리 공정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123)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폴딩과 같은 플렉시블한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에 적용 가능한 플라스틱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123)는 상기 열거된 플라스틱 물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23)의 전면 방향에는 커버 윈도우 보호층(121)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121)은 커버 윈도우(123)의 비산 방지, 충격 흡수, 찍힘 방지, 지문 방지, 눈부심 방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 보호층(121)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적층 구조물(120)은 인접 적층된 각 부재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전면 방향 결합 부재(127_1, 127_2, 127_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배면 방향에는 후방 적층 구조물(130)이 배치된다. 후방 적층 구조물(130)은 고분자 필름층(1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131)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131)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131)은 적어도 일면에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광 흡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블랙 잉크로, 코팅이나 인쇄 방식으로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적층 구조물(130)은 표시 패널(110)과 고분자 층을 결합하는 배면 방향 결합 부재(133_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전면으로만 표시를 하는 경우, 배면 방향 결합 부재(133_1)는 전면 방향 결합 부재(127_1, 127_2, 127_3)와는 달리 반드시 광학적으로 투명할 필요는 없다.
상술한 전면 방향 결합 부재(127_1, 127_2, 127_3)와 배면 방향 결합 부재(133_1)는 각각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방향 결합 부재(127_1, 127_2, 127_3)와 배면 방향 결합 부재(133_1)는 단일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의 적층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양면 테이프와 같이 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8에서 지지 부재(210), 배리어 시트(250) 및 접착 부재(23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지지 부재, 배리어 시트 및 접착 부재를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내지 도 9에서 연결부(270) 및 배면 커버(290)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7 및 도 9에서 다른 부재에 의해 가려 보이지 않는 경계 또는 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이하에서,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사이를 향하는 방향을 일측 방향이라 하고, 상기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타측 방향이라고 한다.
도 6 내지 도 9은 언폴딩 상태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210), 배리어 시트(250) 및 접착 부재(2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도 6 내지 도 9을 잠조하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가장자리가 표시 모듈(10)의 가장자리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각 제2 방향(DR2)의 너비는 배면 커버(290)의 제2 방향(DR2)의 너비 또는 힌지부의 제2 방향(DR2)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는 폴딩축(FX)에 인접한 가장자리들이 각각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가 폴딩 영역(FA)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각각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모서리(corner)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홈부(211_1)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배치되고, 제2 홈부(213_1)는 제2 지지 부재(213)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배치된다.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적어도 일부가 폴딩 영역(FA)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폴딩 영역(FA) 내에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각각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 사이를 기준으로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가 각각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홈부(211_1)에 대한 설명은 제2 홈부(213_1)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는 제1 지지 부재(211)의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부(211_1)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방향의 모서리 부분의 측면이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방향의 가운데 부분의 측면보다 타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홈부(211_1)는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방향 모서리에 L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부(211_1)는 제1 방향(DR1)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제1 지지 부재(211)의 일측 방향의 양 모서리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후술하는 배리어 시트(250)의 커버부(251)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와 제2 홈부(213_1) 사이에는 후술하는 배리어 시트(250)의 중첩부(253)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챔퍼부 또는 제2 챔퍼부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는 각각 제1 측면(211_S1, S13_S1) 및 제2 측면(211_S2, S213_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211_S1, S13_S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측면(211_S1, S13_S1)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폴딩 영역(FA)의 너비의 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측면(211_S1, S13_S1)은 접착 부재(230)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211_S1, S13_S1)은 배리어 시트(250)의 커버부(251)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접착 부재(230)보다 표시 모듈(10) 또는 배리어 시트(250)의 제2 방향(DR2)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211_S1, S13_S1)의 너비는 1mm 내지 4mm 일 수 있다.
제2 측면(211_S2, S213_S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측면(211_S2, S213_S2)은 폴딩 영역(F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211_S2, S213_S2)의 너비는 접착 부재(230)의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2 측면(211_S2, S213_S2)의 너비는 접착 부재(230)의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211_S2, S213_S2)의 너비는 1mm 내지 4mm 일 수 있다.
제1 측면(211_S1, S13_S1) 또는 제2 측면(211_S2, S213_S2)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중첩부(253)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211_S2, S213_S2)은 중첩부(253)와 밀착되나, 제1 측면(211_S1, S13_S1)은 중첩부(25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폴딩에 따라 부재의 압축 및 부재 사이의 간격 변화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제1 측면(211_S1, S13_S1)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2 측면(211_S2, S213_S2)의 제2 방향(DR2)의 너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211_S1, S13_S1)의 너비는 1mm이상 내지 2mm 이하이고, 제2 측면(211_S2, S213_S2)의 너비는 2mm 초과 4mm 이하일 수 있다.
배리어 시트(250)는 커버부(251) 및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51)는 제1 지지 부재(211)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지지 부재(213)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에 노출되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을 커버한다.
커버부(251)는 폴딩 영역(FA)과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51)는 폴딩 영역(FA)의 전부를 커버하고,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각각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부(251)는 폴딩 영역(FA)만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커버부(251)의 제2 방향(DR2)의 너비는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지지 부재(213)의 제2 방향(DR2)의 너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251)의 제2 방향(DR2)의 너비는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지지 부재(213)의 제2 방향(DR2)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
연장부는 폴딩축(FX) 상에 배치되고, 폴딩축(FX)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는 배리어 시트(250)의 제1 방향(DR1) 가장자리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중첩부(253) 및 벤딩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첩부(253)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부(25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커버부(251)의 전면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중첩부(253)는 커버부(25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첩부(253)는 커버부(251)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는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253)는 제1 홈부(211_1)의 제2 측면(211_S2)과 제2 홈부(213_1)의 제2 측면(S213_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중첩부(253)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서 배치될 수도 있다.
중첩부(253)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첩부(253)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각 일측 방향의 가장 바깥쪽(outermost)에 배치되는 측면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중첩부(25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홈부(211_1) 및 제2 홈부(213_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첩부(253)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1 홈부(211_1)의 제2 측면(211_S2)과 제2 홈부(213_1)의 제2 측면(S213_S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중첩부(253)의 제2 방향(DR2)의 너비는 제1 홈부(211_1)의 제1 측면(211_S1, S13_S1) 또는 제2 홈부(213_1)의 제1 측면(211_S1, S13_S1)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중첩부(253)는 제1 측면(211_S1, S13_S1)에 밀착되고, 제2 측면(211_S2, S213_S2)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는 달리 중첩부(25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폴딩 부재(20)는 중첩부(253)의 전면과 표시 모듈(10)의 배면 사이에 접착층(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255)는 커버부(251)와 중첩부(253)를 두께 방향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벤딩부(255)는 개방된 일측이 폴더블 표시 장치의 중심 방향 또는 커버부(251)와 중첩부(253) 사이를 향하는 U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커버부(251)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첩부(253)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부(255)는 제2 방향(DR2)으로 절곡되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는 커버부(251)의 타측 방향 가장자리의 일부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는 중첩부(253)의 타측 방향 가장자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타측 방향 가장자리들은 표시 모듈(10)의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가장자리들일 수 있다.
벤딩부(255)의 너비는 중첩부(253)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부(255)의 너비는 중첩부(253)의 너비 이상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부(255)의 너비는 제1 홈부(211_1)의 제2 측면(211_S2)과 제2 홈부(213_1)의 제2 측면(S213_S2) 사이의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커버부(251), 중첩부(253) 및 벤딩부(25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딩부(255) 및 중첩부(253)는 커버부(25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너비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에 삽입되도록 벤드 또는 접철될 수 있다. 또는, 커버부(251), 중첩부(253) 및 벤딩부(255)는 상호 연결되는 별개의 부재일 수도 있다.
접착 부재(230)는 제1 접착 부재(231) 및 제2 접착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는 제1 지지 부재(211)와 배리어 시트(25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착 부재(233)는 제2 지지 부재(213)와 배리어 시트(25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231)와 제2 접착 부재(233)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 부재(23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고, 제2 접착 부재(233)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231) 및 제2 접착 부재(233)는 배리어 시트(250)와 지지 부재(210)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는 영역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 및 제2 접착 부재(233)는 배리어 시트(25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 부재(231) 및 제2 접착 부재(233)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사이를 기준으로 U자 형상의 개방된 일측이 폴딩축(FX)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와 제2 접착 부재(233)는 중첩부(253) 및/또는 벤딩부(255)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 및 제2 접착 부재(233)는 배리어 시트(250)의 둘레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와 제2 접착 부재(233) 사이에는 제2 측면(211_S2, S213_S2)들 및 중첩부(2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와 제2 접착 부재(233)는 제2 측면(211_S2, S213_S2)들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1)와 제2 접착 부재(233)는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사이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5에서 표시 모듈(10), 지지 부재(210), 접착 부재(230) 및 배리어 시트(250)의 결합 관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는 도 6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제1 방향(DR1)의 최소 간격을 제1 간격(G1)이라고 하고, 제1 홈부(211_1)의 제2 측면(211_S2)과 제2 홈부(213_1)의 제2 측면(S213_S2) 사이의 제1 방향(DR1)의 거리를 제2 간격(G2)이라고 한다. 상기 제1 간격(G1)은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각 일측 방향의 가장 바깥쪽(outermost)에 배치되는 측면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도 10은 언폴딩 상태에서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폴딩 상태에서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잠조하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부착된다.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부재(210)와 표시 모듈(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을 위한 부재 또는 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폴딩 영역(FA)에 배치되는 부분은 표시 모듈(10)의 배면에 부착되고,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되는 부분은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언폴딩 상태에서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되는 부분은 표시 모듈(10)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배면에 밀착되어 표시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 상태에서 상기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배치되는 부분은 표시 모듈(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표시 모듈(10)의 곡률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힌지 커버(273)의 제1 방향(DR1)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언폴딩 상태에서 힌지 커버(273)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언폴딩 상태에서 제1 간격(G1)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간격(G1)은 폴딩 영역(FA)의 제1 방향(DR1)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가 폴드됨에 따라 제1 간격(G1)은 증가할 수 있다.
커버부(251)는 가변하는 제1 간격(G1)을 커버하도록 제1 지지 부재(211)의 배면과 제2 지지 부재(213)의 배면에 걸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가 폴드 또는 언폴드됨에 따라, 커버부(251)는 제1 방향(DR1)으로 신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에서 하방으로 노출되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의 일부가 커버부(25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부(251)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제1 간격(G1)보다 클 수 있다. 커버부(251)의 제1 방향(DR1)의 너비는 힌지 부재의 제1 방향(DR1)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부(251)는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에서 힌지 커버(273) 또는 힌지 커버(273)와 배면 커버(290)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부(251)는 접착 부재(230)에 의해 지지 부재(21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51)의 제1 방향(DR1)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접착 부재(231)에 의해 제1 지지 부재(211)에 부착되고, 커버부(251)의 제1 방향(DR1)의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전면의 다른 일부는 제2 접착 부재(233)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13)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251)는 이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51)는 힌지 커버(273)와 배면 커버(290) 사이로 침투한 이물이 표시 패널과 커버부(251) 사이의 공간으로 다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은 언폴딩 상태에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폴딩 상태에서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언폴딩 상태에서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밴딩부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잠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11) 및 제2 지지 부재(213)는 표시 모듈(10)의 배면을 지지한다.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의 일측 방향 모서리에 홈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에 제2 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폴딩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211)와 제2 지지 부재(213) 사이의 거리는 제1 지지 부재(211) 또는 제2 지지 부재(213)의 제1 방향(DR1)의 단변으로부터 제2 방향(DR2)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간격(G2)은 제1 간격(G1)보다 클 수 있다.
중첩부(253)는 표시 모듈(10)과 커버부(2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첩부(253)는 접착층(260)에 의해 표시 모듈(10)에 부착될 수 있고, 커버부(251)는 접착 부재(230)에 의해 지지 부재(21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260)은 중첩부(253)의 전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는 제2 측면(211_S2, S213_S2)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면(211_S1, S13_S1)들 또는 제2 측면(211_S2, S213_S2)들에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첩부(253)는 커버부(251)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중첩부(253)의 두께는 지지 부재(21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도 11을 잠조하면, 중첩부(253)는 언폴딩 상태에서 커버부(251)로부터 이격되고, 폴딩 상태에서 커버부(251)에 밀착될 수 있다.
중첩부(253)와 커버부(251)는 제1 방향(DR1)으로 신장됨에 따라 폴딩 상태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 상태에서 중첩부(253)의 곡률은 커버부(25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잠조하면, 벤딩부(255)는 중첩부(253)와 커버부(251) 사이의 간격을 커버한다. 벤딩부(255)는 표시 모듈(10)과 힌지 커버(273) 사이로 침투한 이물이 중첩부(253)와 커버부(251) 사이의 공간, 나아가, 지지 부재(210)와 배리어 시트(250) 사이의 공간 내로 다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벤딩부(255)의 최외곽 단부는 표시 모듈(10)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 부재(210)의 가장자리와 제3 방향(DR3)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부(255)는 표시 모듈(10) 또는 지지 부재(210)의 제1 방향(DR1)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255)는 힌지 커버(273)와 접촉되어 힌지 커버(273)와 표시 모듈(10) 사이로 유입된 이물이 연결부(270) 내지는 힌지부로 다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딩부(255)는 표시 모듈(10) 또는 지지 부재(210)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폴더블 표시 장치
10: 표시 모듈
20: 폴딩 부재
210: 지지 부재
230: 접착 부재
250: 배리어 시트
270: 연결부
290: 배면 커버

Claims (20)

  1. 폴딩축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과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분리된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라인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폴딩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폴딩축과 인접한 모서리(corner)에 상기 폴딩축을 향해 형성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벤딩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홈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수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사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중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중첩부를 두께 방향으로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개방된 일측이 폴더블 표시 장치의 중심 방향 또는 커버부와 중첩부 사이를 향하는 U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커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첩부에 연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두께 방향을 따라 커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중첩부 및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각도가 가변함에 따라 폴드 또는 언폴드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면에 밀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배면들에 부착되고, 상기 중첩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중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와 상기 연성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첩부의 상면과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하면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의 배면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각도를 가변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을 배면 방향에서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와 상기 힌지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 상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의 각 배면들 사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배리어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corner)에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에 제2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 시트의 연장부는 벤딩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2 홈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 수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각도를 가변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을 배면 방향에서 커버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200010460A 2020-01-29 2020-01-29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97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60A KR20210097258A (ko) 2020-01-29 2020-01-29 폴더블 표시 장치
US17/103,732 US11417848B2 (en) 2020-01-29 2020-11-24 Foldable display device
CN202110116424.4A CN113192417A (zh) 2020-01-29 2021-01-28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60A KR20210097258A (ko) 2020-01-29 2020-01-29 폴더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258A true KR20210097258A (ko) 2021-08-09

Family

ID=7697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460A KR20210097258A (ko) 2020-01-29 2020-01-29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7848B2 (ko)
KR (1) KR20210097258A (ko)
CN (1) CN1131924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0413B (zh) * 2020-01-16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299989B1 (ko) * 2020-10-16 2021-09-08 이경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구성된 폴더블 디바이스의 힌지구조
CN115701703B (zh) * 2021-08-02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设备和防护器件
CN114110007B (zh) * 2021-10-09 2022-09-30 荣耀终端有限公司 转轴以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835B1 (ko)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614168B2 (en) 2015-01-12 2017-04-04 Apple Inc. Flexible display panel with bent substrate
KR20180111281A (ko) 2017-03-31 2018-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754377B2 (en) * 2017-04-05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1178784B2 (en) * 2017-06-15 2021-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2020046541A (ja) * 2018-09-19 2020-03-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650633B1 (ko) * 2018-11-19 2024-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8277B1 (ko) 2019-07-23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10038770A (ko) * 2019-09-30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91848A (ko) 2020-01-14 2021-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7848B2 (en) 2022-08-16
CN113192417A (zh) 2021-07-30
US20210234107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725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5536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470734B2 (en) Metal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159313A (ja) 表示装置
KR20210126175A (ko) 표시 장치
EP3964919A1 (en) Display device
US11527736B2 (en) Display device
EP3926440B1 (en) Display device
US11940846B2 (en) Display device
US11626565B2 (en) Display device
US11943878B2 (en) Display device
US11307610B2 (en) Display device
US20210034106A1 (en) Display device
KR20230162816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3277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2495A (ko) 반발력 측정 장치 및 반발력 측정 방법
US20220107448A1 (en) Window memb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20031777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