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354A -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354A
KR20210112354A KR1020217024720A KR20217024720A KR20210112354A KR 20210112354 A KR20210112354 A KR 20210112354A KR 1020217024720 A KR1020217024720 A KR 1020217024720A KR 20217024720 A KR20217024720 A KR 20217024720A KR 20210112354 A KR20210112354 A KR 2021011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aterpillar track
recess
tool
ch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씨미엘
조르그 린드부클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28Carriages; Connections of grippers thereto;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0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from stock of essentially unlimit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7Carriages; Drives
    • B21C1/30Drives, e.g. carriage-traversing mechanisms; Driving elements, e.g. drawing chains; Controll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14Aprons, endless belts, lattices, or like driv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드로잉 다이 및 드로잉 다이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을 갖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경우, 드로잉 체인의 체인 링크에 드로잉 도구가 배치된 2개의 드로잉 체인을 포함하는 트랙은,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드로잉 도구가 배치될 수 있어서, 구경 범위가 다른 구경 범위를 가진 2개의 드로잉 리세스 사이에서 간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한 변경은 또한,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드로잉 체인의 2개의 다른 드로잉 리세스가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에 대한 제1 드로잉 리세스용으로 되는 경우, 또는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로부터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1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벗어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본 발명은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caterpillar track drawing machine)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에 대한 구경 범위(caliber range)를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JP 2 717 383 B2, WO 2006/002613 A1 또는 WO 2005/092533 A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드로잉 다이 및 드로잉 방향으로 보았을 때 드로잉 다이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을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캐터필러 트랙은 드로잉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드로잉 라인을 따라 드로잉 다이를 통해 공작물을 인발(drawing)하여, 이를 성형(shaping)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공작물을 파지하고 캐터필러 트랙의 드로잉 체인의 순환 동작에 따라 드로잉 다이를 통해 공작물을 인발할 수 있게 배치 또는 구성된 2개의 순환식 체인 링크 및 드로잉 도구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드로잉 도구 또는 드로잉 체인은 드로잉 라인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순환한다.
특히 JP 2 986 758 B2, EP 2 197 601 B1 또는 DE 10 2018 111 731 A1에서 도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로잉 리세스(drawing recesses)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특정 임계 범위 내에서 인발될 공작물의 단면에 맞추어 진다. 이것은 이 과정에서 공작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각각의 공작물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파지력을 적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드로잉 도구가 예를 들어 압하(press-down) 롤러를 운반하는 대응 압하 바아(press-down bars)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 순환하는 아이들 롤러를 통해서, 파지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힘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하며, 여기서 압축력(press-down forces)은 드로잉 다이를 통한 공작물의 드로잉 성형을 위해 캐터필러 트랙이 적용해야 하는 인장력(drawing forces)의 약 10배가 되어야 한다고 추정 된다. 구체적인 조건에 따라, 드로잉 리세스의 특정 형태가 특정 구경 범위(caliber range)의 공작물 단면을 허용하며, 그 단면은 대응 드로잉 리세스를 사용하여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EP 2 197 601 B1 및 DE 10 2018 111 731 A1은 2개 이상의 드로잉 리세스가 있는 드로잉 도구를 개시하였으며,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다르게 구성된 것이므로, 따라서 다른 구경 범위를 위한 것이다. 체인 링크에 형성된 도구 홀더에 고정된 드로잉 도구의 변위를 통해, 각각의 경우에, 이러한 도구 홀더를 기준으로 하여, 드로잉 리세스가 드로잉 라인 또는 드로잉 평면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드로잉 라인에 대해 또는 드로잉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드로잉 도구가 각각의 체인 링크를 기준으로 하여 그에 따라 변위된다는 점에서, 드로잉 체인 또는 각각의 드로잉 리세스의 구경 범위가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그러한 구경 변경 방법 및 그러한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 방법 또는 머신으로 드로잉 체인 또는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간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독립항의 특징을 가진,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에 대한 구경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구경 변경 방법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에 의해 이루어 진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들과는 관계없이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구경 변경 방법의 경우,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를 포함하고 캐터필러 트랙의 드로잉 체인의 체인 링크에 배치된 드로잉 도구는, 체인 링크와 연대적(jointl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로잉 체인 또는 드로잉 체인들의 구경 범위는 드로잉 라인 또는 드로잉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드로잉 도구가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 방식에서는 특정 공작물을 인발하는 데 바람직한 것으로, 2개의 드로잉 리세스가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적절하게 배치된다.
드로잉 도구가 대응 드로잉 도구를 운반하는 각각의 체인 링크와 독립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 때문에, 드로잉 도구는 배치되기 전에 관련 체인 링크에서 해제될 필요가 없으며, 배치된 후 다시 이들을 연결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경우에도,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에 속하는 캐터필러 트랙의 2개의 드레인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드로잉 도구가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드로잉 도구와 연대하는 체인 링크의 변위를 통해, 드로잉 체인 또는 드로잉 체인들의 구경 범위가 간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특히 전체 드로잉 체인이 전체적으로 그에 따라 변위하거나 배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드로잉 체인이 순환하는 동안 국부 구역에서, 예를 들어 체인 휠에서 그에 따른 변위가 발생하여, 일 회 순환 후 또는 수 회 순환 후에 대응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배치를 하는 데 필요한 특정한 총 변위의 경우에는, 변위가 여러 개별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다수의 순환이 전체 체인이 각각의 제1 드로잉 리세스가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제1 정렬 위치에서, 제2 드로잉 리세스가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제2 정렬 위치로 변위되어질 때까지 필요하다고 이해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특히 전체 체인이 그에 따라 일 단계에서 변위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드로잉 체인 및 필요에 따라 대응 드로잉 체인이 그 주위에서 안내되는 체인 휠도 운반하는 체인 지지대와 연대하여 변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위는 특히 체인 지지대 및/또는 체인 휠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 휠이 축방향 구동부에 의해 그에 따라서 변위하는 경우, 또는 체인 자체가 실제로 여전히 장력을 받고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과 접촉되어 있는 모든 모듈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드로잉 체인이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따라서 이곳에서 큰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1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적어도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체인 링크에서 이탈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체인의 2개의 다른 드로잉 리세스가 제1 보정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해당되며,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제1 드로잉 리세스에 대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최종 결과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에 비해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의 더 복잡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인발될 주어진 공작물의 경우, 드로잉 도구가 특정 공작물을 궁극적으로 파지하는 구경은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와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적절한 조합을 선택하여 공작물의 단면에 최대한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드로잉 라인에 대한 드로잉 도구의 각각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능한 충분한 힘으로 공작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각각의 공작물이 드로잉 도구에 의해 최종적으로 파지될 수 있는 적절한 구경의 이러한 세부적인 선택은,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드로잉 도구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간단하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드로잉 체인에 대한 대응 세트의 드로잉 도구로, 필요에 따라 2개의 드로잉 체인에 있는 드로잉 도구 상의 각각의 드로잉 리세스가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큰 구경 범위를 전체적으로 커버 할 수 있다.
특히, 드로잉 도구 및 제2 드로잉 체인의 각각의 체인 링크는,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 및 체인 링크가 정렬되는 방향 성분(direction component)에서 이탈하는 방향 성분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는 드로잉 라인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는 드로잉 평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서, 각각의 경우에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정렬된 바람직한 쌍(desired pairing)으로 이루어진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 및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를 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종적으로 이러한 비교적 큰 유연성은, 각각의 경우, 발생하는 마모가 드로잉 도구 또는 체인 링크, 및 캐터필러 트랙의 다른 모듈의 확장에 대해, 예를 들면 드로잉 평면에 대해 수직인 압하 바아 또는 아이들 롤러의 확장에 대해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게 분배되게 하여서, 대응 모듈의 사용 기간도 증가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로잉 다이 및 드로잉 방향에서 보았을 때 드로잉 다이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을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경우, 드로잉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 드로잉 라인을 따라 드로잉 다이를 통해 공작물을 인발하여, 이를 성형한다. 예를 들어, 2-캐리지 드로잉 머신 또는 순환 롤러 드로잉 머신과 같은 다른 드로잉 머신과 비교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높은 드로잉 속도가 인발될 공작물의 우수한 직진도(straightness)로 보장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이러한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은 비교적 복잡하게 되어, 따라서 캐터필러 트랙으로 인한 비용집약적(costintensive)인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캐터필러 트랙은 대응하는 체인 링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잉 체인을 포함하며, 여기서 순수 블록 체인, 블록/평면 링크 체인 또는 순수 평면 링크 체인과 같은 매우 다양한 유형의 체인, 또는 다른 것들 중에서 2개의 평행한 체인으로 구성된 보다 복잡한 체인 장치는 이미 최신 기술의 드로잉 체인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드로잉 도구와 인발된 공작물 사이의 상호 작용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캐터필러 트랙은 이미 하나의 드로잉 체인과 일 세트 만의 대응 드로잉 도구로 공작물의 인발을 할 수 있으며, 도구는 공작물과 드로잉 도구 사이의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이 예를 들어 집게와 같은 구성이나 기타 수단으로 보장될 수 있는 경우 드로잉 체인에 의해 구동된다. 필요에 따라서, 드로잉 도구는 또한 관련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병렬로 순환하는 2개의 드로잉 체인에 의해 연대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를 포함하는 드로잉 도구가 드로잉 체인의 체인 링크에 배치되거나 구성되면,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다이를 통한 대응 공작물의 인발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대로 적절한 조치를 통해 공작물과 드로잉 도구 사이의 충분한 마찰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force fit)이 보장될 수 있는 한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캐터필러 트랙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도구는 또한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드로잉 리세스는 제1 구경 범위용이고, 제2 드로잉 리세스는 제1 구경 범위에서 벗어나는 제2 구경 범위용이어서,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드로잉 도구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구경 범위를 포함하는 총 구경 범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한 성분(component)과 각각의 드로잉 도구 상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제1 드로잉 리세스 및 제2 드로잉 리세스가, 제1 구경 범위와 제2 구경 범위 사이에서 구경 범위를 적절하게 변경하도록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의 상응하는 변위에 의해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정렬 될 수 있다.
드로잉 체인과 함께 순환하는 드로잉 도구와 각각의 공작물 사이의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간단한 마찰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 연결을 보장하는 것이 비교적 복잡한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더우기 큰 순환 속도가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 상응하여 빠르고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해제될 수 있어야 하므로, 드로잉 도구가 일 측에서만 공작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캐터필러 트랙과 특히 순환 체인 링크를 포함한 2개의 드로잉 체인이 설치된 대응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드로잉 체인과 함께 순환하는 각각의 드로잉 도구는 인발될 공작물을 파지할 목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연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드로잉 도구가 2개의 드로잉 리세스를 포함하는 경우,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다른 하나의 체인의 드로잉 도구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드로잉 리세스만 있으면 충분할 수 있고, 리세스가 제1 드로잉 체인에 대한 드로잉 도구의 2개의 드로잉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여 적당한 구경 범위를 커버하기에 적합하다면, 각 공작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각각의 드로잉 도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로잉 체인의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는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의 변위에 의해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드로잉 라인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각의 드로잉 도구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공작물을 기준으로 그에 따른 적절한 최종 구경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의 드로잉 리세스를 포함하는 드로잉 도구가 또한 제2 드로잉 체인의 체인 링크 상에 배열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작물을 기준으로 하는 최종 구경의 조정이 훨씬 더 정확할 수 있고, 따라서 공작물을 파지하는 경우에 작동 신뢰성이 증가하고 그리고/또는 공작물에 대한 손상 위험이 최소화 된다. 그러나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에서 벗어나거나 드로잉 라인에 대해 적어도 수직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세트의 드로잉 도구로 커버할 수 있는 전체 구경 범위가 각각의 드로잉 리세스가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조정된다면, 그에 따라 확대될 수 있다.
적어도,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는 제1 드로잉 체인의 제1 드로잉 리세스로부터 벗어나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것은 캐터필러 트랙 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다른 영역이 구경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응력을 받기 때문에 총 마모를 줄여야 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각각의 경우 드로잉 라인에 수직으로 또는 드로잉 라인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면, 제2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는 드로잉 라인에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의 변위에 의해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어서, 2개의 구경 범위 사이에서 구경 범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것은 특히 위에서 이미 기재한 바와 같이 원하는 총 구경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 및 체인 링크가 정렬된 방향 성분(direction component)에서 벗어나는 방향 성분으로 이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로잉 다이를 통해 공작물을 인발할 때 성형하는 과정에서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재료의 재분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드로잉 라인을 따라서도 재료가 재분배되도록 공작물의 신장(stretching)도 발생한다. 이것은 특히 금속 튜브 또는 로드 또는 포스트를 드로잉 처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케이블용 드로잉 머신이 알려져 있으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각각의 필라멘트에 대한 재분배를 위해 오직 드로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만 이송 또는 성형하는 공정이 전면에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은 특히 머신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비교적 큰 성형력으로 인해 재료 분배가 수직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드로잉 라인을 따라서도 발생하는 성형 공정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또는 상응하는 구경 변경 방법은 성형될 튜브, 로드 또는 포스트, 바람직하게는 성형될 상응하는 금속 튜브, 로드 또는 포스트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양측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는 각각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와 함께 정렬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그에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될 수 있는 전체 구경 범위의 유연성 및/또는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체인의 2개의 드로잉 리세스가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1 체인의 제1 및 제2 구경 범위에서 벗어나는 구경 범위용이면, 특히 큰 구경 범위를 각 세트의 드로잉 도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이러한 드로잉 리세스의 최적한 형상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드로잉 리세스를 가능한 유사하게 구성하여서, 가능한 부드럽게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으면서 매우 작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1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가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2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응하는 큰 유연성 또는 상응하는 큰 전체 구경 범위를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로잉 평면은 드로잉 라인이 놓이는 평면이며, 각각의 캐터필러 트랙에 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평면은 또한 드로잉 라인도 포함한다.
체인은 일반적으로 배정될 수 있는 평면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드로잉 평면은 적어도 드로잉 체인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드로잉 체인이 순환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다음, 제공될 수 있는 체인 휠이 또한 상기 드로잉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것이다.
대응하는 캐터필러 트랙의 경우에 2개의 드로잉 체인 만이 사용되는 경우, 가능한 균일하게 발생하는 힘을 분배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들은 서로 반대편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관련 드로잉 평면이 드로잉 라인에서 만나서 상호 관계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예를 들어 드로잉 라인 주위에 120°각도로 배치된 3개의 드로잉 체인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드로잉 평면도 중첩되지 않고 드로잉 라인에서 만나거나 교차한다. 그러나, 다수의 드로잉 평면을 갖는 장치에서는 구조적으로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상당히 비용 집약적이며 작동이 복잡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2개의 드로잉 체인이 캐터필러 트랙에 사용되는 경우, 체인은 드로잉 라인을 포함하는 드로잉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체인 휠, 특히 2개의 체인 휠이 드로잉 체인 당(per) 제공될 수 있으며, 드로잉 체인은 드로잉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드로잉 체인이 그 주위에서 안내를 받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체인 휠 또는 체인 휠들은 드로잉 라인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드로잉 체인이 드로잉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순환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드로잉 평면에서 순환한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 휠 자체가 또한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체인 휠의 축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체인 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링은 드로잉 체인에 맞물리거나, 또는 그들을 적절하게 안내한다.
이러한 체인 휠 중 하나 또는 이들 체인 휠 모두는 일반적으로 체인을 구동하는 데도 사용되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 인장력을 적용한다.
바람직하게, 제1 구경 범위와 제2 구경 범위 사이에서 변경되도록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 및 체인 링크에 대한 정렬이 체인 휠 또는 체인 휠들과 연대하여 제공되며; 이것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바람직하게 각각의 드로잉 체인에 대해 추가 안내 작업을 수행하는 체인 지지대에 체인 휠이 배치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다음으로 대응하는 변위를 이행하고, 그에 따라 체인 지지대 전체가 변위된다는 점에서, 체인 지지대와 연대하여 제1 및 제2 구경 범위 사이에서 적절하게 구경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드로잉 평면이 체인 휠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지 또는 드로잉 체인의 순환 평면과 같은 다른 기하학적 배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지 또는 체인 휠 또는 체인 지지대도 변위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드로잉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드로잉 도구의 변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들 롤러, 아이들 롤러 체인 또는 압하 바아와 같은 특정 모듈도 또한 변위되지 않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모듈에 대한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배치하기 전에 각 드로잉 체인을 풀고, 배치 후에 다시 조이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정렬이 전체 체인을 동시에 변위하여 실행하지 않는 경우 보다는, 오히려 예를 들어 체인이 측면 오프셋을 통해 국부적으로 변위되고, 그리고 대응 측면 변위가 체인이 회전하여 결국에는 모든 체인 링크에 이를 때까지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그에 따라서 대응 드로잉 리세스가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드로잉 도구 또는 드로잉 리세스 및 체인 링크를 드로잉 라인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중에 드로잉 라인이 변경되거나 변위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어서, 따라서 한편으로는 드로잉 다이의 변위 뿐만 아니라 드로잉 전후에 길이에 대한 교정(de-scaling), 조정 또는 절단과 같이 드로잉 전후에 공작물과 상호 작용하여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과 함께 작동하는 다른 어셈블리의 변위도 이동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은 드로잉 다이를 운반하는 드로잉 다이 지지대와, 체인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관련된 체인 가이드를 운반하며 캐터필러 트랙의 일부를 나타내는 체인 지지대를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 지지대는 바람직하게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인 체인 지지대의 축방향 변위를 위한 축방향 구동부에 의해 변위될 수 있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관련 드로잉 체인이 드로잉 다이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그에 따라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축방향 구동부는 각각의 체인 링크의 간단하고 목표로 하는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관련 드로잉 도구의 변위도 가능하게 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각각의 드로잉 리세스를 정렬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잉 도구는 체인 링크에 배열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드로잉 체인이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EP 2 197 601 B1 또는 WO 2006/002613 A1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또는 DE 10 2018 111 731 A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체인의 블록에 드로잉 도구를 배열하거나 구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다른 한편, 드로잉 체인의 평면 링크에 부착된 별도의 드로잉 도구가 제공될 수 있고, 그 예가 JP 2 986 758 B2에 또는 WO 2006/002613 A1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드로잉 리세스는 드로잉 체인의 블록 또는 드로잉 체인들 중 하나에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체인 링크로서의 블록이 또한 드로잉 도구와 연대하여 변위되어서, 구조적 분리를 강제적으로 이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체인 링크, 즉, 예를 들어 블록에 제공되거나 구성되는 별도로 구성된 도구 홀더를 갖지 않고 이행 할 수 있어서, 각각의 체인 링크 및 드로잉 도구 및 필요에 따른 도구 홀더가 구조적 유닛으로 또는 단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이 또한 캐터필러 트랙이 대응 공작물을 그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발하는 다수의 드로잉 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한다.
유사하게,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드로잉 체인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체인에 대한 드로잉 도구 중 하나 또는 전체 도구의 2개의 드로잉 리세스는 동일한 구경 범위에 배정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마모된 경우 모든 드로잉 도구 또는 드로잉 체인을 교체할 필요 없이 드로잉 리세스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이며, 대응 캐터필라 트랙 드로잉 머신에서 이와 관련하여 구경 변경과 같은 것이 필요하지 않지만, 사용 수명은 연장된다.
상술된 기술내용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해결책의 특징이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결합되고, 그에 따라 이점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이점, 목적 및 특성이 또한 특히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다.
도 2는 제1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드로잉 체인 및 아이들러(idler) 롤러 체인이 없는 도 1에 따른 제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평면도 이다.
도 3은 제2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드로잉 체인과 아이들러 롤러 체인이 없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평면도 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라 절취된 제1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제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단면도 이다.
도 5는 제2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제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도 4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 6은 제2 캐터필러의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다.
도 7은 제1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드로잉 체인 및 아이들러 롤러 체인이 없는 도 6에 따른 제2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평면도 이다.
도 8은 제2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드로잉 체인과 아이들러 롤러 체인이 없는 도 6 및 도 7에 따른 제2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개략적인 평면도 이다.
도 9는 도 6의 IX-IX 선을 따라 절취된 제1 드로잉 도구 장치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제2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단면도 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드로잉 리세스에 대한 대안적인 드로잉 리세스를 가진 드로잉 도구 장치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드로잉 리세스에 대한 대안적인 드로잉 리세스를 가진 드로잉 도구 장치이다.
도 12는 도 1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드로잉 리세스에 대한 대안적인 드로잉 리세스를 가진 드로잉 도구 장치이다.
도 13은 도 1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의 드로잉 리세스에 대한 대안적인 드로잉 리세스를 가진 드로잉 도구 장치이다.
도면에 도시된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은 각각의 경우에서 드로잉 다이(12)와, 드로잉 방향(21)에서 보았을 때 드로잉 다이(12)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13)을 포함하며, 드로잉 라인(20)을 따라 드로잉 방향으로 드로잉 다이(12)를 통해 공작물(11)을 인발(drawing)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은 베이스 평면(56)을 갖고,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드로잉 다이(12)를 운반하기 위한 드로잉 다이 지지대(54)와 다른 한편으로는 캠 지지대(52)가 상호 관계로 제자리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베이스 평면(46) 없이, 캠 지지대(52)와 드로잉 다이 지지대(53)가 예를 들어 대응 모듈이 저부(floor) 또는 다른 빌딩 유닛에 직접 고정되는 다른 방식의 충분히 안정적인 방식으로 서로 관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평면(56)은 필요에 따라, 캠 지지대(52) 및 드로잉 다이 지지대(53)를 직접적이 없는 간접적으로만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드로잉 다이(12)가 드로잉 다이 지지대(53)에 도입되고 그리고 드로잉 다이 지지대(53)가 베이스 평면(56)을 통해 대응해야 발생하는 인장력에 드로잉 다이 지지대(53)가 대응할 수 있도록, 인장력 안정기(55)는 드로잉 다이 지지대(53)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정기는 판형 돌출부(plate-like projections)로서 드로잉 다이 지지대(53)를 안정시킨다.
특히,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 안정기(55)는 캠 지지대(52)의 측면에 있는 캠 지지대(52)까지 전 방향으로 도달하고, 실질적으로는 그 너머까지 도달하여서,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장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하고, 특히 드로잉 다이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캠 지지대(52)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장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터필러 트랙(13)은 각각 드로잉 평면(23)과 평행하게 순환하는 2개의 드로잉 체인(14)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체인(14) 각각은 2개의 체인 휠(15)을 중심으로 안내되며, 그 축은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응하여 순환하는 훨씬 더 많은 드로잉 체인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2개의 드로잉 체인을 서로 평행하게 정렬하여, 각각의 경우에, 평행하게 있는 드로잉 체인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드로잉 도구를 연대하여 운반하고, 그에 따라 드로잉 체인과 병렬로 순환하는 경우, 이들이 병렬로 순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상호 관계로 정렬된 2개 이상의 드로잉 체인(14), 예를 들어 드로잉 라인(20)을 중심으로 120°의 각도로 배치된 3개의 드로잉 체인(14)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드로잉 체인(14)에 배정될 드로잉 평면이 드로잉 라인(20)에서 교차한다. 제공된 캐터필러 트랙(13)의 장치의 경우에는, 각각의 드로잉 체인(14)에 배정될 드로잉 평면(23)이 또한 드로잉 라인(20)에서 교차하지만, 그러나 이것은 단일 드로잉 평면(23)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 드로잉 평면(23)의 중첩으로 이어진다.
평면(25)은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25)은 또한 드로잉 라인(20)과 교차하고, 원칙적으로는 대칭 평면을 나타내며,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드로잉 체인(14) 및 체인 휠(15)이 기본적으로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드로잉 체인(14)은 압하 바아(82)에 의해 적어도 파지 영역(18)에서 가해지는 압축력을 갖고, 상기 압축력은 구성 성분(22)이 드로잉 라인(20)으로 향하게 한다.
압축력에 의해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에 배치되거나 구성된 드로잉 도구(40)가 드로잉 라인(20)에 위치한 도구(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어서, 대응 공작물(11)을 드로잉 다이(12)를 통한 인발을 할 수 있게 하는 이러한 방식은 충분한 마찰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을 보장한다.
이런 드로잉 작업을 하는 동안, 드로잉 다이(12)는 대응 공작물(11)에 작용하여 공작물을 성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런 성형 공정을 하는 동안, 공작물(11)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재료 분배가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일어나며, 바람직하게 재분배는 실질적으로 드로잉 라인(20)을 따라 일어나서 드로잉 공정을 하는 동안 공작물도 신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로드, 튜브 또는 포스트, 특히 금속 로드, 금속 튜브 또는 금속 포스트를 가공하여 성형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드로잉 체인(14)은 블록/평면 링크 체인으로 구성되며, 블록(17A), 평면 링크(17B) 및 체인 링크로서의 핀(19)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로잉 체인(14)은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며, 블록(17A) 및 체인 링크로서의 핀(19)만을 포함한다.
나머지 체인 링크는 각각의 드로잉 체인(14)의 핀(19)을 통해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더 복잡한 체인 또는 이중 체인 등이 드로잉 체인(14)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핀(19) 각각이 체인 휠(15)의 체인 휠 링과 맞물릴 수 있는 체인 롤러(16)를 운반하여, 각각의 경우에 드로잉 체인이 체인 휠(15) 주위로 안내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캐터필러 트랙(13)은 드로잉 체인(14) 당(per) 체인 구동부(54)를 가지며, 체인은 각각의 경우에 드로잉 방향(21)으로 후방에 있는 체인 휠(15)에 맞물리며,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드로잉 체인(14)을 구동한다.
대조적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체인(14)의 2개의 체인 휠(15)은 각각의 경우에 체인 구동부(54)에 의해 구동되며, 이것은 어느 정도 균일한 드로잉에 필요한 인장력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부의 유형은 또한 이들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 사이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도구(40)는 드로잉 체인(14)의 블록(17A)에 각각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도구(40)와 블록(17A) 및 드로잉 도구(40)를 체인 링크에 고정하는 도구 홀더(30)가 일체(one piece)로 구성된다.
드로잉 도구(40)는 또한 블록(17A)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서의 모듈과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그러나, 이것은 상응하는 블록이 도구 홀더(30)로서 구성되어야 하고, 상응하는 홀딩 디바이스가 도구 홀더(30) 및/또는 드로잉 도구(40) 상에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많은 구성 노력을 필요로 한다. 다른 한편, 이것은 드로잉 도구(40)가 마모된 경우 교체를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별도의 도구 홀더(30)가 필요한 경우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체인 링크에, 예를 들어 대응 드로잉 체인(14)의 블록, 평면 링크 또는 핀에 제공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드로잉 도구(40)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또한, 도구 홀더(30)와 드로잉 도구(4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의 드로잉 도구(40)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평면(25)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된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측면에서 적어도 2개의 드로잉 리세스(41)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드로잉 리세스(41)는 각각의 경우에 서로 다른 구경 범위를 위한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비교적 큰 총 구경 범위가 이러한 드로잉 도구(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드로잉 리세스(41)는 그 단면으로 보았을 때, 대응 드로잉 리세스(41)의 구경 범위 내에 위치하는 공작물(11)에 대해 압축력을 받아 눌려진 경우, 드로잉 체인(14)이 드로잉 다이(12)를 통해 공작물(11)을 임계 정도로 손상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상처내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인장시키도록 강제 끼움 또는 마찰 끼움 효과를 갖는 충분히 큰 압축력을 가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축력은 압하 바아(82)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며, 이런 목적을 위해, 압하 바아(82)는 드로잉 라인(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드로잉 라인(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캠(51)을 사용하여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캠(51)은 캠 지지대(52)에 장착되어 대응 압축력 뿐만 아니라 대응 인장력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기어 메커니즘, 레버 및/또는 가이드와 함께 조합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선형 구동부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가 캠(51) 대신에 사용되어, 평면(25)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각의 드로잉 평면(23)에 필요한 압축력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캠 지지대(52) 대신에 적절한 대안적인 지지대가 사용되며, 이들 지지대는 각각의 드로잉 다이 지지대(53)와 공간적 관계 상태로 배치되고, 대응 디바이스를 운반하며, 대응 압축력 및 필요에 따라서는 인장력도 흡수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체인(14) 및 관련 체인 휠(15)은 각각의 경우에 캠(51)에 의해 운반되는 체인 지지대(50)에 배치되며, 이는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캠(51)을 통해 직접 이행되고, 각각의 체인 지지대(50)는 또한 압하 바아(82)를 운반하거나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대조적으로, 압하 바아(82)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고 캠(51)에 의해 직접 운반되어 관련 압축력을 가하는 반면에, 관련 체인 지지대(50)는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운반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필요한 조건에 따라, 압하 바아(82)를 기준으로 하고 그리고 캠(51) 또는 압축력을 적용하는 다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하는 체인 지지대(5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적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음도 이해한다.
압하 빔(82)이 드로잉 도구(40)에 가해야 하는 압축력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 1 내지 도 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경우에 아이들(idle) 롤러(80)가 제공되며, 롤러는 각각의 경우에 아이들 롤러 체인(81)에 배치되고, 그리고 각각의 드로잉 체인(14)과 연대하여 압하 바아(82)를 지나가거나 주위를 순환하며, 다른 주행 속도로 동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이들 롤러 체인(81)은 각각의 경우에 핀에 아이들 롤러(80)가 배치되는 평면 링크 체인으로 구성되며, 아이들 롤러 체인(81)의 평면 링크(84)는 각각의 경우에 아이들 롤러(8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아이들 롤러 체인(81)은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평면 링크(84)와 아이들 롤러(80) 사이에 제공되고 그리고 아이들 롤러(80)의 주행 경로 너머로 돌출하는 가이드 디스크(83)를 운반한다. 한편으로는 아이들 롤러(80) 또는 아이들 롤러 체인(81),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드로잉 체인(14) 또는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가, 이러한 평면 링크(84)에 의해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인 드로잉 평면(23)을 기준으로 하여 안내된다.
압하 바아(82)에 의한 드로잉 체인(14) 또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한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의 안내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았으며, 아이들 롤러(80) 또는 아이들 롤러 체인(81)은 측방향 아이들 롤러 가이드(85)에 의해 안내되며, 이 가이드는 압하 바아(82)에 제공되어 각 경우에 드로잉 평면(23)에 평행한 측면의 아이들 롤러 둘레와 맞물린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체인(14)의 안내는 드로잉 평면(23)을 기준으로 하여 체인 휠(15) 및/또는, 필요한 경우, 여기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외부 측면 가이드에 의해 발생하며, 예를 들어 체인 지지대(50) 상에 또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아이들 롤러(80)를 기준으로 하거나 압하 바아(82)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한 드로잉 체인(14)을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기술내용은 필요에 따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이들 롤러(80) 또는 압하 바아(82)를 기준으로 하는 대응 변위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아이들 롤러 가이드(85)로서 아이들 롤러(80) 주위에서 맞물리는 것과 같은 대응 가이드가 또한,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 또는 도구 홀더(30) 또는 드로잉 도구(40)에 제공되어, 드로잉 평면(23)을 기준으로 대응 측면 안내를 보장한다.
상기 대응 측면 안내 대신에, 필요에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압하 바아(82)는 별도의 모듈로서 아이들 롤러 체인(81)을 운반하고, 아이들 롤러 체인(81) 및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안내 바아로서 역할을 하며, 캠 지지대(52)에 차례로 장착되는 캠(51)에 의해 직접 운반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드로잉 도구(40) 각각은, 드로잉 라인(20)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된 적어도 2개의 드로잉 리세스(41)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각 경우에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체인 지지대(50)와 결합된 압하 바아아(82)의 대응 변위에 의해 일어날 수 있고, 반면에 이것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체인 지지대(50) 또는 측면 가이드와 결합된 체인 휠(15)의 변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변위를 위해, 도 1 내지 도 9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유압 장치(61)로 구성되고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선형 모터(62)로서 구성되는 축방향 구동부(60)를 갖는다. 여기에서도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적절한 구동부로 또는 다른 하나의 구동부로 구동부 유형의 교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유압 장치(61)가 캠(51) 및 캠 지지대(52)에 직접 구성되어, 별도의 모듈이 필요하지 않고 그리고 캠(51) 자체가 유압 장치(61) 자체에 의해 대응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축방향 구동부(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필요에 따라서 전체 캠 지지대(52) 또는 그에 따라 압축력을 적용하는 모듈을 운반하는 모듈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양측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40)는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와 결합되어 함께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1개 만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충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드로잉 체인(14)의 드로잉 리세스(41)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을 향하는 평면(25)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되어서, 드로잉 도구가 구경 범위가 변경되어야 할 때 드로잉 평면(23)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의 구성요소로 대체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드로잉 리세스(41)는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단면을 갖는다.
한편, 드로잉 리세스는 또한 도 1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대칭이 아니라 오히려 평면(25)을 기준으로 선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드로잉 라인(20)에 대한 이러한 대칭성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드로잉 도구(40)의 변위가 도 11b 및 도 11c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하여서, 각각의 경우 드로잉 라인(20)에 따라 2개의 구경 범위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따른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모든 드로잉 리세스(41)를 다르게 구성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구경 범위에 대해 이들을 결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각각의 드로잉 도구의 상이한 오프셋에 의해, 공작물(11)이 인장되는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따라 다양한 구경 범위로 상이한 드로잉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제2 체인의 2개의 상이한 드로잉 리세스(41)가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드로잉 리세스(41)가 의도된 제1 구경 범위용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드로잉 도구(40) 및 제2 드로잉 체인(14)의 각각의 체인 링크는, 드로잉 도구(40)와 제1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가 배치되는 방향 성분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성분으로 배치되며, 예를 들어, 도 11b 및 도 11c에 따른 장치의 전환인 경우에 바로 나타난다.
드로잉 도구(40) 또는 드로잉 체인(14) 당 2개 이상의 드로잉 리세스(41)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다.
드로잉 체인(14) 양측 또는 전체가 반드시 복수의 드로잉 리세스(41)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닌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대신, 여기에서는 상이한 갯수가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드로잉 체인(14) 중 하나가 오직 하나의 드로잉 리세스(41)를 가질 수 있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의 경우, 각 드로잉 체인(14)의 모든 드로잉 리세스(41)는 서로 어긋나 있다. 여기에서는, 드로잉 도구(40)가 체인 링크와 결합하여 또는 일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경우에는 대응 도구 홀더(30)와 적절한 유지 디바이스가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도구 홀더(30) 및 드로잉 도구(40)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이해 해야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드로잉 리세스(41)는 특히 튜브에 적합하며, 여기서도 또한 궁극적으로 드로잉 도구(40)는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또는 일체형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드로잉 도구(40)의 경우, 드로잉 리세스(40)는 동일한 구경용으로 설계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경을 변경하는 대신, 예를 들어, 드로잉 도구(40) 또는 드로잉 체인(14) 조차도 즉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드로잉 도구(40)에 대한 변위 또는 정렬을 하여 마모에 대항 할 수 있다.
10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11 공작물
12 드로잉 다이
13 캐터필러 트랙
14 드로잉 체인
15 체인 휠
16 체인 롤러
17A 드로잉 체인(14)의 블록
17B 드로잉 체인(14)의 평면 링크
18 파지 영역
19 드로잉 체인(14)의 핀
20 드로잉 라인
21 드로잉 방향
22 드로잉 라인(20)으로 향하는 압축력 성분
23 드로잉 평면
25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의 평면
30 도구 홀더
40 드로잉 도구(drawing tool)
41 드로잉 리세스(drawing recess)
42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평면(25)을 향하는 방향으로 있는 드로잉 도구(40)의 측면
50 체인 지지대
51 캠
52 캠 지지대
53 드로잉 다이 지지대
54 체인 구동부
55 인장력 안정기
56 베이스 평면
60 축방향 구동부
61 유압 장치
62 선형 모터
80 아이들 롤러
81 아이들 롤러 체인
82 압하 바아(press-down bar)
83 안내 디스크
84 아이들 롤러 체인(81)의 평면 링크
85 아이들 롤러 가이드

Claims (11)

  1.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이 드로잉 방향(21)에서 보았을 때, 드로잉 다이(12) 및 드로잉 다이(12)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13)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드로잉 방향(21)에 평행하게 정렬된 드로잉 라인(20)을 따라 드로잉 다이(12)를 통해 공작물(11)을 인발하여 성형할 수 있고 그리고 체인 링크를 구비하는 드로잉 체인(14)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41)를 구비하는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경우에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 상에 배치되거나 구성되고, 제1 드로잉 리세스(41)는 제1 구경 범위용이고 그리고 제2 드로잉 리세스(41)는 제1 구경 범위에서 벗어나는 제2 구경 범위용이고, 그리고 상기 제1 드로잉 리세스(41) 및 상기 제2 드로잉 리세스(41)는 선택적으로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변위를 통해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되거나 또는 드로잉 라인(20)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23)에 기준하여 정렬되어서, 제1 및 제2 구경 범위 사이에서 그에 따라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체인 링크를 구비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의 드로잉 체인(14)에 대한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드로잉 체인(14)은 정렬 전에 느슨하게 되고 그리고 정렬 후에 다시 팽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터필러 트랙(13)은 체인 링크를 구비하는 제2 드로잉 체인(14)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드로잉 리세스(41)를 구비하는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2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에 배치되거나 구성되고, 제2 드로잉 체인(14)의 드로잉 리세스(41)는 제1 드로잉 체인(14)의 드로잉 리세스(41)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적어도 드로잉 라인(20)에 수직하여 이탈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2 드로잉 체인(14)의 드로잉 리세스(41)는,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변위에 의해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드로잉 라인(20)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23)에 기준하여 또는 드로잉 라인(20)에 기준하여 선택적으로 정렬되어, 2개의 구경 범위 사이에서 그에 따라서 구경 범위를 변경하고, 그리고 드로잉 도구(40) 및 제2 드로잉 체인(14)의 각각의 체인 링크는 드로잉 도구(40) 및 제1 드로잉 체인(14)의 체인 링크가 정렬되는 방향 성분에서 벗어난 방향 성분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4.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은 드로잉 다이(12) 및 드로잉 방향(21)에서 보았을 때 드로잉 다이(12) 뒤에 배치된 캐터필러 트랙(13)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공작물(11)을 드로잉 다이(12)를 통해 드로잉 방향(21)에 평행하게 배치된 드로잉 라인(20)을 따라 인발하여 성형하고 그리고 체인 링크를 구비하는 2개의 순환 드로잉 체인(14)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41)를 구비하는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적어도 하나의 체인 링크에 배치되거나 구성되고, 제1 드로잉 리세스(41)는 제1 구경 범위용이고 그리고 제2 드로잉 리세스(41)는 제1 구경 범위에서 벗어나는 제2 구경 범위용이고, 제1 드로잉 리세스(41) 및 제2 드로잉 리세스(41)는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또는 드로잉 라인(20)과 교차하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수직인 각각의 드로잉 도구(40)의 변위에 의해, 드로잉 라인(20)을 기준으로 또는 드로잉 평면(23)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에 있어서,
    (i)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로잉 체인의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ii)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제2 드로잉 체인의 2개의 상이한 드로잉 리세스(41)는,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적어도 하나의 드로잉 체인의 제1 드로잉 리세스(41)에 대한 제1 구경 범위용이고, 및/또는
    (ⅲ)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제1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41)는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제2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41)에서 벗어나거나, 적어도 드로잉 라인(20)에 대해 수직으로 이탈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드로잉 체인(14)의 드로잉 도구(40)는 각각의 경우에 드로잉 라인에 대해 수직으로 각각의 체인 링크와 연대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6. 제3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2개의 드로잉 체인(14) 중 제2 드로잉 체인의 2개의 드로잉 리세스(41)가 제1 드로잉 체인(14)의 제1 및 제2 구경 범위와 다른 구경 범위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7. 제3항 또는 제6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2개의 드로잉 체인 중 제1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41) 모두는 2개의 드로잉 체인(41) 중 제2 체인의 드로잉 리세스(41)에서 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드로잉 체인(14)이 안내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체인 휠(15) 주위를 순환하는 드로잉 라인(20)을 포함하는 드로잉 평면(23)에 대해 평행하게 안내받고, 그리고 드로잉 도구(40)는 드로잉 평면(23) 및/또는 체인 휠(15)과 연대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은 드로잉 다이 지지대(53) 및 드로잉 다이 지지대(53)를 기준으로 드로잉 체인(14)의 축방향 변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구동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10. 제8항 및 제9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체인 휠(15) 및 그와 함께하는 관련된 드로잉 체인(14) 및 드로잉 도구(40)가 축방향 구동부(60)에 의해 배치되거나 정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은 체인 휠(15)을 구비하는 체인 지지대(50)를 포함하고, 체인 지지대(50) 및 그와 함께하는 관련 체인 휠(15)은 축방향 구동부를 통해 관련 드로잉 체인(14) 및 드로잉 도구(40)와 정렬되거나 연대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10)에 있어서, 드로잉 도구(40)는 드로잉 체인(14)의 블록(17A)에 배치되거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경 변경 방법 및/또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KR1020217024720A 2019-01-04 2019-12-02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KR20210112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0142.0 2019-01-04
DE102019100142 2019-01-04
DE102019106362.0 2019-03-13
DE102019106362.0A DE102019106362A1 (de) 2019-01-04 2019-03-13 Verfahren zum Wechsel des Kaliberbereichs einer Kettenglieder umfassenden Ziehkette einer Raupenzugziehmaschine sowie Raupenzugziehmaschine
PCT/DE2019/101031 WO2020141005A1 (de) 2019-01-04 2019-12-02 Verfahren zum wechsel des kaliberbereichs einer kettenglieder umfassenden ziehkette einer raupenzugziehmaschine sowie raupenzugzieh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354A true KR20210112354A (ko) 2021-09-14

Family

ID=7110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720A KR20210112354A (ko) 2019-01-04 2019-12-02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86950B2 (ko)
EP (1) EP3906123A1 (ko)
JP (1) JP2022516925A (ko)
KR (1) KR20210112354A (ko)
BR (1) BR112021013300A2 (ko)
DE (2) DE102019106362A1 (ko)
MX (1) MX2021008117A (ko)
WO (1) WO2020141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9401B1 (en) * 2021-10-14 2023-05-11 Deme Offshore Nl B V Elongated body tensioner for pulling two or more elongated bodies along in a direction of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4885A (en) * 1930-06-13 1933-04-18 Western Electric Co Capstan
US2251291A (en) * 1940-08-10 1941-08-05 Western Electric Co Strand handling apparatus
US2797798A (en) * 1952-07-07 1957-07-02 Hallden Machine Company Tractor-type stock feed
US2884120A (en) * 1955-12-13 1959-04-28 Syncro Mach Co Caterpillar capstan
US3567095A (en) * 1968-12-19 1971-03-02 Joseph C Geist Belt structure
US3668916A (en) * 1970-01-19 1972-06-13 Wean Ind Inc Drawing of metal tubing
FR2275386A1 (fr) * 1974-06-18 1976-01-16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 type de patin de serrage pour organe de traction d'un element allonge
SU676346A1 (ru) 1975-12-23 1979-07-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86 Т 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гусеничного типа
US4235362A (en) * 1979-03-21 1980-11-25 Pfizer Inc. Wire-feeding apparatus
IT1252904B (it) * 1991-12-24 1995-07-05 Danieli Off Mecc Gruppo tiro per trafila
JP2717383B2 (ja) 1995-08-18 1998-02-18 宮崎鉄工株式会社 抽伸機
JP2986758B2 (ja) 1997-04-01 1999-12-06 宮崎鉄工株式会社 抽伸機
US6173769B1 (en) * 1998-04-30 2001-01-16 Hydra Rig, Inc. Universal carrier for grippers in a coiled tubing injector
IT1310892B1 (it) * 1999-08-26 2002-02-22 Danieli Ct Maskin Spa Cingolo per gruppo di traino di macchine trafilatrici
CA2414882C (en) * 2002-12-19 2010-12-07 C-Tech Energy Services Inc. Well string injection system with gripper pads
DE102004023237A1 (de) 2004-03-28 2005-11-17 Schumag Ag Ziehmaschine und Verfahren zum Ziehen eines Ziehgutes
DE102004031843A1 (de) 2004-06-30 2006-01-26 Schumag Ag Ziehmaschine
US20090045158A1 (en) 2007-08-14 2009-02-19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Threaded closure with internal ribs
ITUD20070170A1 (it) 2007-09-20 2009-03-21 Danieli Off Mecc Gruppo di traino per macchine trafilatrici
EP2197604B1 (en) 2007-09-21 2023-07-19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Shell press, and die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therefor
JP5057467B2 (ja) * 2008-03-03 2012-10-24 株式会社中田製作所 成形装置とそのシュー及び成形方法
US9676016B2 (en) * 2013-09-23 2017-06-13 Manchester Copper Product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rawing materials
ITUD20130153A1 (it) * 2013-11-19 2015-05-20 Danieli Off Mecc Gruppo di traino per macchine trafilatrici
DE102016104182B4 (de) * 2016-03-08 2017-10-26 Muhr Und Bender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metallischem Langmaterial
US10392875B2 (en) * 2016-09-30 2019-08-27 Weatherford Technology Holdings, Llc Gripper assembly for continuous rod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102018111731A1 (de) 2017-05-26 2018-11-29 Sms Group Gmbh Raupenzugziehmaschine und Zieh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6925A (ja) 2022-03-03
WO2020141005A1 (de) 2020-07-09
DE102019106362A1 (de) 2020-07-09
DE112019006557A5 (de) 2021-10-21
EP3906123A1 (de) 2021-11-10
US20220088659A1 (en) 2022-03-24
MX2021008117A (es) 2022-01-06
US11786950B2 (en) 2023-10-17
BR112021013300A2 (pt)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661B2 (en) Tool set-up system for a brake press
DE3720175C2 (ko)
KR20070006562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장치용 스케이트 유닛
KR102491503B1 (ko) 연신 시스템
KR102065898B1 (ko) 전주 제작용 철근롱의 편성장치
KR20210112354A (ko) 체인 링크를 포함하는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 및 캐터필러 트랙 드로잉 머신의 드로잉 체인의 구경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US7743911B2 (en) Drawing machine and method of drawing a workpiece
JP3975116B2 (ja) 長尺材を引抜き加工するための引抜き加工ユニットおよび引抜き加工設備
KR20180081112A (ko) 웹-형상 제품의 제조 및 송출 장치와 방법
CA28130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panding metal elements
KR101484451B1 (ko) 밴딩머신
KR100597518B1 (ko) 경사직기
CN107350329B (zh) 板材拉伸矫直机和板材拉伸方法
WO201902076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leitersegmenten eines wicklungsträger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KR910004961B1 (ko) 복렬식 선인발기
EP3225575B1 (de) Schleppkettenführung einer kreuzspulen herstellenden textilmaschine
KR102538998B1 (ko) 금속 메시 보강재 생산 디바이스
CN104582460A (zh) 输送装置以及装配装置
KR20140131853A (ko) 철근의 나사선 가공 장치
KR102007331B1 (ko) 작업 기계에 금속제품을 공급하는 기구 및 방법
KR101003238B1 (ko) 선재 압연 가이드의 쉬프팅장치
KR101247191B1 (ko) 스크래치 방지용 링크식 멘드렐
KR200347505Y1 (ko) 용접시편 세팅용 정반
EP1378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cks of stirrups and pack of stirrups thus formed
CN113677449A (zh) 棒材加工机器及相应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